KR100491436B1 - 직기용 통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카드 직기 - Google Patents

직기용 통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카드 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436B1
KR100491436B1 KR10-2000-7000974A KR20007000974A KR100491436B1 KR 100491436 B1 KR100491436 B1 KR 100491436B1 KR 20007000974 A KR20007000974 A KR 20007000974A KR 100491436 B1 KR100491436 B1 KR 10049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actic
board
hole
cord
gu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395A (ko
Inventor
슈파이히프란시스코
Original Assignee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22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42Arrangements of lifting-co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38Combe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Woven Fabric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기용 통사 장치(loom harness)는 상부 및 하부 통사보드(top and bottom harness board; 3, 5)를 갖는 상부 부분(top part), 통사코드(2)―여기서 통사코드(2)는 상기 상부 통사보드(3)의 관통 구멍(4)으로 함께 안내되고, 하부 통사보드(5)의 관통 구멍(6)으로 개별적으로 안내됨―, 및 복귀 동작 부재(return motion element)와 종광(heddle)을 갖는 하부 부분(bottom part)을 포함한다. 상기 통사코드는 상기 상부 통사보드에 있는 통사코드 배열 중 하나의 열(row)이 상기 하부 통사보드에 있는 통사 반복 무늬 장치에서와 동일한 순서인 씨실 방향(A)으로 재연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관통 구멍 내로 안내되는 가닥은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인접한 관통 구멍을 통해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닥과 교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통사코드 상의 장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직기의 작업 속도를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직기용 통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카드 직기 {LOOM HARNESS AND JACQUARD LOOM WITH LOOM HARNESS}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직기용 통사 장치(loom harness) 및 이를 구비하는 자카드 직기(Jacquard loom)에 관한 것이다.
자카드 직기는 일반적으로 자카드 장치, 직기용 통사 장치 및 직기를 포함한다. 상기 자카드 장치는 직기용 통사 장치에 연결되는 리프터(lifter)를 포함한 개구 형성 요소(shed forming element)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는 직기용 통사 장치의 공지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직기용 통사장치는 아래로부터 위로, 혹은 위로부터 아래로 각각 조립되며, 하부 (lower part) 및 상부(upper part)로 구분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는 복귀 동작 요소(return motion elements) 및 종광(heddle)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는 스냅 훅(snap hook), 통사코드(harness cord), 및 통과구멍(passage hole)을 구비한 상·하부 통사보드(upper and lower harness board)를 포함한다. 상기 통사코드는 매 반복 패턴(pattern repeat)마다 스트랩(strap)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통과 구멍에 함께 배열되고 상기 하부 통사보드의 통과 구멍에 개별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통사코드는 각각 루프(loop)를 갖는 단일 또는 이중코드로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루프에 의해 상기 스냅 훅에 매달린다.
공지된 직기용 통사 장치에서, 상부 통사보드에 있는 관통 구멍(through-bore)의 모든 통사코드는 상기 하부 통사보드의 모든 반복 패턴으로 동일하게 매핑된다(mapped).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다음 통과구멍의 통사코드는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모든 통사코드가 배열되면, 이들은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의 구멍을 가로질러(cross hole-wise) 교차한다. 이 경우, "X" 로 표시되는 위치에서 상기 통사코드 상에 압력이 가해지고 강한 마찰이 발생한다. 통사코드의 이러한 배열은 작동 중에 상기 통사코드가 진동하고/하거나, 상기 마찰에 의해 서로 관통구멍의 모서리에서 높은 응력하에 놓이게 되는 단점을 가진다. 이 때문에 상기 직기용 통사 장치의 수명 및 작업 속도는 매우 심각한 제한을 받게 된다.
도 1은 직기용 통사 장치의 공지된 실시예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통사코드의 경로를 볼 수 있는, 상부 통사보드의 하부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장치의 연결 및 직기용 통사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라, 4개의 반복 직조 패턴을 가지고 최후방 열(列)에 2개의 통사코드가 배열되어 있는, 직기 통사 장치의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8개의 통사코드가 배열되어 있는 상태의 직기용 통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서 10개의 통사코드가 배열되어 있는 직기용 통사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직기용 통사장치로서, 상부 통사 보드의 하나의 열의 통사코드가 하부 통사보드의 모든 반복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선 Ⅷ-Ⅷ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에 따른 직기용 통사 장치로서, 최후방 열의 통사 코드가 모든 반복패턴으로 배열되고, 두번째 열에 반복패턴이 바깥으로 놓이고 있는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단점을 제거하고 상기 직기의 작업 속도를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직기용 통사 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1 통과구멍(passage hole)을 구비한 상부 통사보드(upper harness board);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2 통과구멍을 구비한 하부 통사보드(lower harness board);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1 통과구멍에서 각 반복 패턴으로 함께(jointly) 가이드되고, 상기 하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2 통과구멍에서는 개별적으로(separately)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통사 코드(harness cord); 상기 통사코드를 자카드 장치(Jacquard device)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냅 훅(snap hook); 및, 상기 통사코드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복귀 동작요소(return motion elements) 및 종광(heddles)을 포함한 직기 통사장치(loom harness)로서,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 상기 통사 코드의 배열의 열(列)이, 위사 방향으로, 상기 하부 통사보드 내의 통사 반복 패턴과 동일 시퀀스(identical sequence)로 맵핑(mapping)되고;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의 하나의 통과 구멍으로 가이드되는 통사코드의 섹션(section)은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인접한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되는 통사코드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코드에 의해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통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기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기용 통사장치의 상부는 복수개의 스냅 훅(1)과 통사코드(2) 뿐만 아니라, 통과구멍(passage hole: 4)을 갖는 상부 통사보드(3) 및 통과구멍(6)을 갖는 하부 통사보드(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통사보드 및 하부 통사보드에 있는 구멍의 열의 배열은 공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카드 장치의 보드(11)를 직기용 통사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스냅 훅(1)이 제공되며, 상기 스냅 훅은 단일체(single piece)로 설계되어 있다. 상기 스냅 훅은 중간 부분(12)과, 눈(eye)처럼 디자인되고 상기 눈을 열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2개의 부분(13)을 포함한다. 상기 보드(11)를 상기 스냅 훅의 위쪽 눈에 연결하는 위치에서 상기 통사 장치의 분리점이 형성된다. 통사코드(2)는 한쪽 말단에 존재하는 루프(14)와, 상기 직기용 통사 장치의 하부 종광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섹션(section)을 갖는 이중코드로서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기용 통사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단계별로 설명한다. 작업자(weaver)가 서있는 위치로부터 볼 때, 상기 통사코드는 후방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위사 방향; 각각 화살표 A 및 B), 그리고 후방에서 전방으로(날실 방향; 각각 화살표 C 및 D) 배열된다. 도 4에서, 상기 직기용 통사 장치는 네 개의 반복 패턴 Ⅰ 내지 Ⅳ를 갖는다. 단지 하나의 통사 코드(2)가 배열되어 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상기 통사코드의 섹션(section)은 반복패턴 I 내지 IV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명명되어 있다. 이중코드의 섹션 I.1 및 Ⅳ.1은 상부 통사보드(3)의 좌측 통과 구멍을 함께 통과하고, 각각은 하부 통사보드의 바깥으로 향하여 놓여 있는 반복 패턴 Ⅰ 및 Ⅳ의 좌측 통과 구멍을 개별적으로 통과한다.
도 5는 섹션 I.1 내지 I.4 및 Ⅳ.1 내지 Ⅳ.4가 하부 통사보드(5)에 있어 외측(外側)에 놓여있는 반복패턴 Ⅰ 및 Ⅳ 에 배열되는 직기 통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열은, 상부 통사보드(3)에서 상기 이중코드를 좌측에서 시작하여 우측으로 화살표(A)의 방향의 시퀀스(sequence)로 연속하여 배열함에 의해 수득되는 것이다. 상기 배열을 통해, 나중에 배열되는 섹션은 먼저 배열되는 각 섹션의 전방에 놓인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중코드의 섹션 Ⅱ.1 및 Ⅲ.1은, 같은 방식으로, 내측에 위치한 반복패턴 Ⅱ 및 Ⅲ에 배열된다. 도 7은 상부 통사보드(3)내의 통사코드 배열 중 임의의 열(列)을 화살표(A) 방향으로 하부 통사보드(5)의 통사 반복패턴과 동일 순서로 매핑하는 방식에 의해, 반복패턴 Ⅰ 내지 Ⅳ의 후방 열의 섹션들을 배열한 직기 통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기용 통사 장치의 전술한 구현예에 있어, 상기 이중 코드의 섹션 경로에 관해, 도 2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연속적인 배열을 통해, 이중 코드들의 섹션 I.1 내지 I.4, Ⅱ.1 내지 Ⅱ.4, Ⅲ.1 내지 Ⅲ.4, 및 Ⅳ.1 내지 Ⅳ.4는 서로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구멍안으로 가이드되는 섹션이 엇갈리게(staggeredly) 배열되어, 상부 통사보드(3)의 인접한 통과 구멍(4)을 통해 가이드되는 섹션 중 하나 이상과 교차하도록 배열된다. 이와 같은 엇갈림 방식의 배열은 공지된 직기용 통사장치에 존재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상기 섹션들이 상호 가이드되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9는 상기 통사 반복 무늬 장치의 후방 열 및 상기 후방 열 전방에 놓이는 통사코드의 열이 배열되는 상기 직기용 통사 장치를 도시한다.

Claims (7)

  1.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1 통과구멍(first passage hole: 4)을 구비한 상부 통사보드(upper harness board: 3);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2 통과구멍(6)을 구비한 하부 통사보드(lower harness board: 5);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1 통과구멍에서는 각 반복 패턴으로 함께 가이드되고, 상기 하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2 통과구멍에서는 개별적으로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통사코드(harness cord: 2); 상기 통사코드를 자카드 장치(Jacquard device)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냅 훅(snap hook: 1); 및, 상기 통사코드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복귀 동작요소(return motion elements) 및 종광(heddles)을 포함한 직기용 통사 장치(loom harness)로서,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 상기 통사코드의 배열에 있어서의 열(列:row)은, 위사(weft) 방향으로, 상기 하부 통사보드 내의 통사 반복패턴(harness pattern repetition)과 동일한 순서(sequence)로 맵핑(mapping)되고; 상부 통사보드 내의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된 통사코드의 하나 이상의 섹션은,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의 인접한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된 통사코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통사 장치.
  2.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1 통과구멍(4)을 구비한 상부 통사보드(3);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2 통과구멍(6)을 구비한 하부 통사보드(5);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1 통과구멍에서는 각 반복 패턴으로 함께 가이드되고, 상기 하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2 통과구멍에서는 개별적으로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통사 코드(2); 상기 통사코드를 자카드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냅 훅(1); 및, 상기 통사코드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복귀 동작요소 및 종광을 포함한 직기용 통사장치로서,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 상기 통사 코드의 배열의 열(列)은, 위사 방향으로, 상기 하부 통사보드 내의 통사 반복패턴에서와 동일한 순서로 맵핑되고;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의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되는 통사코드의 섹션(section)은 상기 상부통사 보드 내 인접한(adjacent)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되는 통사코드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코드에 의해 교차되고;
    상부 통사보드 내의 상기 동일순서의 상기 통사코드 배열은, 상기 하부 통사보드 내에서, 각각의 외측의 반복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통사장치 중앙부(center of harness)로, 복수개의 열의 반복패턴 방식으로 맵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통사 장치.
  3.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1 통과구멍(4)을 구비한 상부 통사보드(3);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2 통과구멍(6)을 구비한 하부 통사보드(5);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1 통과구멍에서는 각 반복 패턴으로 함께 가이드되고, 상기 하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2 통과구멍에서는 개별적으로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통사 코드(2); 상기 통사코드를 자카드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냅 훅(1); 및, 상기 통사코드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복귀 동작요소 및 종광을 포함한 직기용 통사장치로서,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 상기 통사 코드의 배열의 열(列)은, 위사 방향으로, 상기 하부 통사보드 내의 통사 반복패턴에서와 동일한 순서로 맵핑되고;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의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되는 통사코드의 섹션은 상기 상부통사 보드 내 인접한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되는 통사코드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코드에 의해 교차되고;
    상부 통사보드 내의 상기 동일순서의 상기 통사코드 배열은, 상기 하부 통사보드 내에서, 통사장치의 중앙부로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외측의 반복패턴을 향해, 복수개의 열의 반복패턴 방식으로 맵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통사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통사보드에서의 상기 매핑은 상기 상부 통사보드(3) 내의 통과 구멍마다 짝을 이루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통사 장치.
  5.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1 통과구멍(4)을 구비한 상부 통사보드(3);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2 통과구멍(6)을 구비한 하부 통사보드(5);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1 통과구멍에서는 각 반복 패턴으로 함께 가이드되고, 상기 하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2 통과구멍에서는 개별적으로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통사 코드(2); 상기 통사코드를 자카드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냅 훅(1); 및, 상기 통사코드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복귀 동작요소 및 종광을 포함한 직기용 통사장치로서,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 상기 통사 코드의 배열의 열(列)은, 위사 방향으로, 상기 하부 통사보드 내의 통사 반복패턴에서와 동일한 순서로 맵핑되고;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의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되는 통사코드의 섹션은 상기 상부통사 보드 내 인접한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되는 통사코드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코드에 의해 교차되고;
    상기 스냅 훅은 단일체(single piece)로서, 중간 부분(middle section) 및, 상기 중간 부분에서 형성되고 자유단부(free end)를 가진 2개의 눈 형상 부분 (eye-shaped section)을 구비하며, 상기 눈 형상 부분은, 리프터(lifter)에 스냅훅을 매달 수 있고 상기 스냅훅에 통사 코드를 매달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통사 장치.
  6.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1 통과구멍(4)을 구비한 상부 통사보드(3);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2 통과구멍(6)을 구비한 하부 통사보드(5);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1 통과구멍에서는 각 반복 패턴으로 함께 가이드되고, 상기 하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2 통과구멍에서는 개별적으로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통사 코드(2); 상기 통사코드를 자카드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냅 훅(1); 및, 상기 통사코드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복귀 동작요소 및 종광을 포함한 직기용 통사장치로서,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 상기 통사 코드의 배열의 열(列)은, 위사 방향으로, 상기 하부 통사보드 내의 통사 반복패턴에서와 동일한 순서로 맵핑되고;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의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되는 통사코드의 섹션은 상기 상부통사 보드 내 인접한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되는 통사코드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코드에 의해 교차되고;
    상기 통사코드는, 그 한 쪽 말단에, 상기 통사 코드를 상기 스냅훅에 매달기 위해 제공된 루프 및, 상기 종광에 연결되는 2개의 섹션을 구비한 단일체(single pie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통사 장치.
  7. 자카드 장치; 및 상기 자카드 장치에 연결 가능한 통사장치(harness)를 구비한 직기로서,
    상기 통사장치는,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1 통과구멍(4)을 구비한 상부 통사보드(3); 격자 배열되어 있는 제2 통과구멍(6)을 구비한 하부 통사보드(5); 상기 상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1 통과구멍에서는 각 반복 패턴으로 함께 가이드되고, 상기 하부 통사보드의 상기 제2 통과구멍에서는 개별적으로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통사 코드(2); 상기 통사코드를 자카드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냅 훅(1); 및, 상기 통사코드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복귀 동작요소 및 종광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통사보드 내 상기 통사코드의 배열에 있어서의 열(列)은, 위사 방향으로, 상기 하부 통사 보드 내의 통사 반복패턴과 동일한 순서로 맵핑되고;
    상부 통사보드 내의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된 통사코드의 하나 이상의 섹션은, 상기 상부 통사 보드내 인접한 통과구멍으로 가이드된 통사코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KR10-2000-7000974A 1997-07-22 1998-05-27 직기용 통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카드 직기 KR100491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1447A DE19731447A1 (de) 1997-07-22 1997-07-22 Webharnisch und Jaquardwebmaschine mit Webharnisch
DE19731447.3 1997-07-29
PCT/CH1998/000222 WO1999006620A1 (de) 1997-07-22 1998-05-27 Webharnisch und jaquardwebmaschine mit webharnis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395A KR20010022395A (ko) 2001-03-15
KR100491436B1 true KR100491436B1 (ko) 2005-05-24

Family

ID=783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974A KR100491436B1 (ko) 1997-07-22 1998-05-27 직기용 통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카드 직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260585B1 (ko)
EP (1) EP1000187B1 (ko)
JP (1) JP3504673B2 (ko)
KR (1) KR100491436B1 (ko)
CN (1) CN1092727C (ko)
AU (1) AU7329698A (ko)
BR (1) BR9812109A (ko)
CA (1) CA2298568C (ko)
CZ (1) CZ296859B6 (ko)
DE (2) DE19731447A1 (ko)
ES (1) ES2183354T3 (ko)
HK (1) HK1030637A1 (ko)
RU (1) RU2175697C1 (ko)
TR (1) TR200000275T2 (ko)
WO (1) WO19990066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675B1 (ko) 2006-04-12 2007-05-02 고주현 자카드 제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직물제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8755A2 (en) * 2005-01-20 2006-07-27 Julius Koch Usa, Inc. Venetian blind tape
CA2858788C (fr) * 2011-12-14 2019-05-21 Snecma Metier a tisser avec contexture en chaine optimisee
CN103741316A (zh) * 2013-10-25 2014-04-23 苏州联优织造有限公司 织机目板幅宽调节装置
CN103726159B (zh) * 2014-01-21 2015-08-19 成都齐力丝绸有限公司 一种延长电子提花机使用寿命的通丝装置
CN106498593A (zh) * 2016-11-29 2017-03-15 江苏悦达家纺有限公司 一种防止综丝摩擦的装造装置
CN106801284B (zh) * 2017-03-22 2018-01-19 淄博银仕来纺织有限公司 一种利用大提花织造的分区目板的装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9649C (ko) *
DE123669C (ko) *
US770258A (en) * 1902-06-20 1904-09-20 George Herbert Brown Jacquard-machine for looms.
US2795242A (en) * 1953-07-09 1957-06-11 Heminway & Bartlett Mfg Co Harness cord
DE2110355A1 (de) * 1971-03-04 1973-05-30 Mayer Textilmaschf Jacquardeinrichtung
DE3339995A1 (de) * 1983-11-04 1985-05-15 Verseidag-Krawattenstoffe Gmbh, 4150 Krefel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umoren des harnisches einer jacquard-webmaschine
FR2603612B1 (fr) * 1986-09-05 1988-12-09 Brochier Soieries J Dispositif de variation de la densite des fils de chaine dans un metier a tisser
DE4031515C1 (ko) * 1990-08-22 1991-10-10 Schroers Jacquard Papierind
US5608961A (en) * 1990-08-22 1997-03-11 Schroers-Jacquard-Papieindustrie Gmbh & Co. Process for making a loom harness
FR2726011B1 (fr) * 1994-10-25 1996-12-20 Staubli Sa Ets Nouvel harnais demontable pour mecaniques jacquard
DE19512887C1 (de) * 1995-03-16 1996-03-07 Sandt Gmbh & Co Kg Van De Formelastisches Spannglied für Jacquardwebharnische
DE29712991U1 (de) * 1997-07-22 1997-09-18 Textilma Ag Webharnisch und Jaquardwebmaschine mit Webharnis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675B1 (ko) 2006-04-12 2007-05-02 고주현 자카드 제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직물제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30637A1 (en) 2001-05-11
CN1092727C (zh) 2002-10-16
JP2002509589A (ja) 2002-03-26
CA2298568A1 (en) 1999-02-11
CZ296859B6 (cs) 2006-07-12
RU2175697C1 (ru) 2001-11-10
JP3504673B2 (ja) 2004-03-08
EP1000187A1 (de) 2000-05-17
ES2183354T3 (es) 2003-03-16
CN1265713A (zh) 2000-09-06
TR200000275T2 (tr) 2000-12-21
WO1999006620A1 (de) 1999-02-11
US6260585B1 (en) 2001-07-17
DE19731447A1 (de) 1999-01-28
RU2000104869A (ru) 2004-03-20
EP1000187B1 (de) 2002-09-04
KR20010022395A (ko) 2001-03-15
DE59805442D1 (de) 2002-10-10
AU7329698A (en) 1999-02-22
CZ2000332A3 (cs) 2000-08-16
BR9812109A (pt) 2000-07-18
CA2298568C (en) 2004-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97783B (zh) 织机、特别是用于生产一种具有配列花纹的纱罗织物的喷气织机
KR100491436B1 (ko) 직기용 통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카드 직기
KR960041447A (ko) 직조 방법
US4031922A (en) Vertically arranged triaxial weaving machine
DE69606467D1 (de) Vorrichtung zum Bilden einer Dreherkante auf einer Webmaschine
US44063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woven pile fabric
US4538648A (en) Heald control system for a travelling wave shedding loom
US4721135A (en) Loop-forming assembly for weaving machine
TR199903188A3 (tr) Sahte bukjleli kumas dokuma yöntemi.
DE69029219T2 (de) Verschiebbare Vorrichtung zum Realisieren von mit Schlitzdreherlitze gewebten Kanten auf schützenlosen Webmaschinen
KR101093774B1 (ko) 다변화 패턴 직물 제조용 종광 모듈
US6494237B1 (en) Shed forming device for the textile industry
US2613695A (en) Distortion weave fabric structure
US5386854A (en) Compact jacquard type seam-weaving machine
CN211595909U (zh) 罗织机的弹性下垂结构
EP2037018B1 (en) Weaving loom for production of combined structures of the ground and gauze weave
EP0860527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warp selection system in looms
RU2177057C1 (ru) Зевообраз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с волнообразно подвижным зевом
US762525A (en) Loom for weaving ornamental fabrics.
WO1979000759A1 (en) Weaving loom fabric width configuration adjusting method
JP2001032149A (ja) 綟り綜絖を備えた織機のための筬
GB190208012A (en) Improvements in Looped and Cut Pile Fabrics and Looms for We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