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182B1 -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 Google Patents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182B1
KR100490182B1 KR10-1999-7001035A KR19997001035A KR100490182B1 KR 100490182 B1 KR100490182 B1 KR 100490182B1 KR 19997001035 A KR19997001035 A KR 19997001035A KR 100490182 B1 KR100490182 B1 KR 10049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rubber elastic
bearing shell
upper bear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080A (ko
Inventor
오토헤랄드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6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42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 B60T8/368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modulator unit on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중공 원통형으로 제작된 두 개 이상의 고무 탄성 요소를 사용하여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를 탄성 배치하는 것에 관해서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고무 탄성 요소 안으로 유압장치에서 시작되는 저널들이 돌출되고, 이때 저널들은 주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하부 베어링 셸 안에 삽입된 고무 탄성 요소들은 상부 베어링 셸에 의해 하부 베어링 셸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상부 베어링 셀들은 고무 탄성 요소들의 축과 평행하게 정렬된 다음 고무 탄성 요소들 위로 밀리게 된다. 고무 탄성 요소들이 상부 및 하부 베어링 셸들에 의해 꼭 끼게 둘러싸일수록, 상부 베어링 셸들이 미끄러질 때 극복해야 하는 마찰도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조립이 쉽게 될 수 있도록 상부 베어링 셸(8)을 위로부터, 주로 고무 탄성 요소(13)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제작할 것을 제안한다.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예를 들면 상부 베어링 셸(8)로부터 섀클(32)이 시작되고, 이 섀클(32)이 선회하면서 하부 베어링 셸(7) 아래로 맞물려서 고무 탄성 요소(13)를 단단히 에워싸도록 한다.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은 예를 들면 차량 유압 제동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이다.

Description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Elastic suspension for a hydraulic unit in a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본 발명은 독립항에 개시된 양태에 따른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EP 0 456 991 B1호에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에 관해 개시되바 있으며, 그 개시된 유압장치는 예를 들면 구동가능한 바퀴들을 제동함으로써 휠 슬립(wheel slip)과, 구동시 휠 슬립을 제한하는 역할 및, 차량의 주행 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요잉 모멘트(yawing moment)를 생성하기 위한 제동 등 다른 유형의 자동 제동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 베어링은 중공 원통형 부품 형태로 된 세 개의 고무 탄성 요소와, 유압장치에서 시작해서 고무 탄성 요소 안으로 뻗어 있는 세 개의 핀, 그리고 수직으로 솟아 있는 두 개의 지지 아암이 있고 여기에 하부 베어링 셸과 위치가 고정된 상부 베어링 셸이 일체로 형성된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이 중 저널들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수평면 위에 놓인 상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에 성형된 하부 베어링 셸 안으로는 고무 탄성 요소들의 적어도 절반 이상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부 베어링 셸은 고무 탄성 요소들을 덮고 있다. 하부 베어링 셸에 관하여 상부 베어링 셸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 베어링 셸을 미끄럼 부품의 유형에 따라 제작하고, 상기 미끄럼 부품은 하부 베어링 셸의 세로축을 따라 하부 베어링 셸을 향해 정렬하고, 고무 탄성 요소들 위로 미끄러진다. 이를 위해 상부 베어링 셸에 축과 평행하게 정렬된 U자형 안내 프로파일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 U 자형 안내 프로파일은 하부 베어링 셀로부터 돌출한 안내 아암을 둘러싸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는 상부 베어링 셸의 원주 방향으로 튜브를 향해 폐쇄되는 연장부가 있어서, 실질적으로 튜브 모양의 부품을 하부 베어링 셸들을 따라, 그리고 고무 탄성 부품들을 따라 밀 때 이 고무 탄성 부품과 하부 베어링 셸이 고리 모양으로 둘러싸인다. 여기서 고무 탄성 요소들이 부분 베어링 셸에 의해 꼭 끼게 둘러싸이게 되면 될수록, 상부 베어링 셸들을 고무 탄성 요소들 위로, 그리고 고무 탄성 요소들을 따라 미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럽 특허 제 EP 0 699 571 A1호에서도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의 추가 탄성 베어링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탄성 베어링은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으로 제작된 세 개의 고무 탄성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무 탄성 요소들은 유압장치의 블라인드 홀 안에 삽입되어 있으며, 블라인드 홀 중 두 개는 유압장치에서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고, 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세 번째 블라인드 홀은 유압장치의 아랫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탄성 베어링의 하나의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4, 5 및 6은 탄성 베어링의 다른 부품을 다양한 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따른 탄성 베어링을 위한 부품들의 여러 조립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10은 두 개의 상이한 조립 단계와 조립이 완성된 단계에 있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 내지 14는 스프링 강판을 이용해 제작하는 다른 실시예의 여러 조립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5 내지 19는 마찬가지로 스프링 강판으로 제작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 베어링 셸을 갖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 내지 22는 두 개의 조립 단계가 있는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은, 상부 베어링 셸들을 지지 아암에 관하여 유압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립 방향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상부 베어링 셸들을 주로 고무 탄성 요소들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조립하고, 여기에 대고 누를 수 있다. 이 조립 방향은 고무 탄성 요소들에 관한 상부 베어링 셸들의 실제 축방향 상대 변위를 방지함으로써, 마찰력을 극복하는 역할을 하는 변위력(displacement force)이 방지된다.
종속항에 기재된 조치들을 통해 주청구항에 언급된 탄성 베어링을 유리하게 개선, 발전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특징들은 상부 베어링 셸들을 고무 탄성 요소에 대고 누르기 전에 상부 베어링 셸들이 하부 베어링 셸들에 관하여 기계적 배향(mechanical orientation)된다는 장점을 제시한다.
청구항 3의 특징들은 상부 베어링 셸들의 위치를 하부 베어링 셸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고정 장치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청구항 4의 특징들은 금속으로 된 상부 베어링 셸에 대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금속으로 된 상부 베어링 셸들을 종래의 스탬핑 가공과 벤딩 가공으로 제작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특징들은 상부 베어링 셸들에 클립을 할당하는 방법을 개시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청구항 6의 특징들은 맞물림 돌기부를 프레싱 가공과 굽힘 가공으로 제작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하나의 합리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청구항 7의 특징들은 상부 베어링 셸 하나에 최소한 하나의 맞물림 돌기부를 할당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 상부 베어링 셸들의 조립이 후크처럼 거는 작업으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조립자는 상부 베어링 셸을 고무 탄성 요소에 대고 눌릴 때, 맞물림 돌기부가 맞물림 구멍 안에 물리는지의 여부만 감독하면 된다.
청구항 8의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 베어링 셸들을 반경 방향으로 조립하는 조립 방향의 장점과 함께 하부 베어링 셸들을 에워쌈으로써 발생되는 고정성에 관련된 장점을 얻는다. 상부 베어링 셸들을 고무 탄성 요소들 내지 하부 베어링 셸들을 향해 접근시킬 때 상부 베어링 셸들을 약간 의 각을 이루도록 정렬함으로써, 섀클(shackles)을 하부 베어링 셸들 옆으로 내려서, 결국 고무 탄성 요소들을 압축한 상태에서 하부 베어링 셸들 아래로 선회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의 특징들은 섀클의 위치를 고정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섀클이 고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 실시예를 통해 일체형으로 된 열가소성 부품보다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특징들은 각 지지 아암에 배치된 맞물림 핀과 맞물림 돌기부로 섀클의 위치를 고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청구항 12의 특징들은 섀클을 제작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의 탄성을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로써 섀클과 탄력있게 튀는 맞물림 돌기부를 동시에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해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특징들은 유압장치의 측면에 두 개의 고무 탄성 요소들을 분실 위험이 없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유압장치는 고무 탄성 요소와 함께 하나의 조립 공정에서 제작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차량내 설치를 위해 유압장치가 상당히 먼 지점에서 준비되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유압장치(3)를 위한 탄성 베어링(2)의 제 1 실시예에는 브래킷(4)이 설치된다. 브래킷(4)은 박강판에서 성형한 부품으로서 베드 플레이트(bed plate)(5)와, 베드 플레이트(5)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윗쪽을 향해 돌출한 지지 아암(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는 지지 아암(6)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두 개의 하부 베어링 셸(7)과 두 개의 상부 베어링 셸(8), 상하부 베어링 셸(7, 8)에 할당된 두 개의 고무 탄성 요소(13), 고무 탄성 요소(13)에 할당된 저널(14), 또 하나의 고무 탄성 요소(15), 또 하나의 저널(16), 그리고 이 저널(16)과 베드 플레이트(5) 사이에 놓인 예를 들면 하나의 지지 기둥(supporting column)(17)이 설치된다.
유압장치(3)는 예컨대 유럽 특허 제 EP 0 699 571 A1호에 따라 제작된다. 단, 두 개의 고무 탄성 요소(9)를 유압장치에서 서로 마주 보는 두 개의 면에 배치하고, 도 2에 도시된 공동의 축(18)에 놓이도록 한다는 점이 다르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장치(3)는 두 개의 저널(14) 부분에 지지 아암(6) 쪽을 향한 평평한 면(19)을 포함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유압장치(3)가 유럽 특허 EP 0 699 571 A1호에 개시된 것과 다른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가장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어링 셸(7)은 축(18)을 중심으로 휘어진 반 원통형의 부분면(22)들로 구성되며, 부분면(22)의 정면으로 축(18)을 가로질러 바닥 플랜지(basal flange)(23)가 배치된다. 바닥 플랜지(23)는 고무 탄성 요소(13)의 축방향 스토퍼(axial stopper)로서의 역할을 한다. 하부 베어링 셸(7)의 위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서로 평행하게 쌍을 이루는 연장부(24, 25)들이 뻗어 있다. 이 연장부(24, 25)들을 따라 윗쪽으로 바닥 플랜지(23)가 연장되면서 뻗어 있다. 지지 아암(6)들은 연장부(24, 25)에 평행하게 각각 두 개의 플랜지(26, 27)를 갖는다. 플랜지(26, 27) 역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이때 플랜지(26, 27)는 지지 아암(6)와 직각을 이루며, 지지 아암(6) 사이에 걸리게 될 유압장치(3)의 다른 쪽을 나타낸다. 플랜지(26, 27) 안에 각각의 맞물림 구멍들(28)을 형성시킨다. 이 구멍들에 관해서는 이후 다시 기술하기로 하겠다. 저널(16)과 지지 기둥(17)은 바람직하게 일체형으로 제작해서, 용접 이음(29) 등을 통해 베드 플레이트(5)에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과 같은 방향에서 바라본 상부 베어링 셸(8)로서, 여기에 주로 U자형으로 제작되는 섀클(32)이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주로 U자형인 섀클(32)은 반원형으로 만곡된 구간(33)을 갖는다. 이 구간(33)은 도 1에 따라 하부 베어링 셸(7)의 둘레와 아래로 이어지고, 이 베어링 셸(7)에서 가장 낮은 지점과 접하게 된다. 주로 U자형인 섀클(32)의 양측으로 상단 베어링 셸(8)과 떨어진 지점에 두 개의 경계면(34, 35)이 구비된다. 이 두 경계면(34, 35)은, 쌍을 이루며 서로 할당된 플랜지(26, 27) 사이의 작은 틈새보다 삽입 틈새(insert play) 만큼 더 작은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떨어져 있다. 경계면(34, 35)을 따라 탄력있는 맞물림 핀(36, 37)이 이어진다. 맞물림 핀(36, 37)의 자유 단부에는 각각 맞물림 돌기부(38, 39)가 구비된다. 상부 베어링 셸(8)과 섀클(32)을 평면도로 나타낸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도 6과 관련하여 맞물림 핀(36, 37)이 도면에서 윗쪽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맞물림 돌기부(38, 39)가 플랜지(26, 27)의 맞물림 구멍(28) 안으로 맞물리는 이동 방향이 되도록 맞물림 돌기부들이 성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어링 셸(8)은 경계면(32a, 32b)에 관련된 스텝(step)을 형성한다. 이때 견부(shoulder) 내지 스텝의 치수는 주로 지지 아암(6)을 형성하는 박강판의 두께와 일치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 5에 가장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어링 셸(8)이 경계면(32a, 32b)과 맞은 편에 놓인 경계면(32c)에 관련하여 원위치로 변위되어 있다. 이때 원위치로 변위되는 정도는 예컨대 다시 지지 아암을 형성하는 박강판의 두께와 일치한다. 따라서 원위치로 변위되는 정도는 대개 바닥 플랜지(23)의 두께와 일치한다. 도 7은 하단에 하부 베어링 셸(7)과 함께 지지 아암(6)을 보여준다. 그 위에는 유압장치(3)의 한 단편을 보여주는 것으로, 유압장치(3)의 평평한 경계면(19)에 고무 탄성 요소(13)가 저널(14)에 의해 고정된다. 저널(14)은 나사산(40)에 의해 유압장치(3)와 나사 결합된다. 이때 원추형의 머리(41)는 고무 탄성 요소(13)가 분실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고무 탄성 요소(13) 위로 어느 정도 떨어진 지점에 상부 베어링 셸(8)이 섀클(32)과 함께 유압장치(3)의 평평한 면(19)에 관하여 각을 이루도록 정렬된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조립은 다음 단계들을 거쳐 이루어진다:
유압장치를 두 개의 지지 아암(6) 사이로 내리고, 두 개의 고무 탄성 요소들을 연장부(24, 25) 사이로 안내해서, 하부 베어링 셸(7) 안에 끼운다. 이때 고무 탄성 요소(15)도 저널(16) 위로 민다. 그런 다음 예를 들면 고무 탄성 요소(15)가 지지 기둥(17) 위에 얹히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조립 단계가 완료된다. 이밖의 두 조립 단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어링 셸(8)을 각을 이루는 위치로 정렬하고, 각각의 고무 탄성 요소(13) 위로 내리는 작업이 이어진다. 이때 모든 상부 베어링 셸(8)은 윗쪽으로 연장된 바닥 플랜지(23)를 따라 연장부(24, 25) 사이로 삽입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돌기부(38, 39)는 플랜지(26, 27)의 외부에 위치한다. 탄력있는 맞물림 핀(36, 37)을 가진 섀클(32)을 플랜지(26, 27) 사이로 선회시키면 맞물림 핀(36, 37)이 서로를 향해 탄력있게 튀고, 맞물림 돌기부(38, 39)가 두 개의 플랜지(26과 27) 사이에 자리를 잡게 되며, 그 결과 선회 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이 맞물림 돌기부들(38, 39)이 맞물림 구멍(28)을 향해 이동되고, 탄력있는 맞물림 핀(36, 37)의 탄성 때문에 이 맞물림 구멍 안으로 맞물리게(snap into) 된다. 이로써 유압장치(3)를 보호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 과정이 완료된다.
여기서 수작업이나 자동화 공정을 거쳐 유압장치(3)를 탄성 베어링(2)의 하부 베어링 셸(7) 안에 간단히 매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게, 상부 베어링 셸(8)을 각각의 고무 탄성 요소(13) 위로 내리고, 상부 베어링 셸(8)을 고무 탄성 요소(13)의 표면이나 내부를 향해 누르며, 그런 다음 주로 U자형인 섀클(32)이 각 지지 아암(6)에 접근하도록 선회시킬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상기 조립 과정에서는 나사 연결이 형성되어 보호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맞물림 돌기부(38, 39)를 맞물림 구멍(28) 안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연결이 이루어진다. 눈으로 보아서 또는 연결 부위를 손으로 만져보아 맞물림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U자형 섀클(32)이 해당 지지 아암(6)을 향해 선회 이동하는 동안 만곡 구간(33)이 하부 베어링 셸(7)의 아래를 따라 미끄러질 때 느낄 수 있는 저항 때문에 하부 베어링 셸(7)과 상부 베어링 셸(8)이 고무 탄성 요소(13)를 충분히 꼭 끼도록 에워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워싼다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18)을 가로지르는, 즉, 고무 탄성 요소(13)에 대해 반경 방향을 이루는 탄성 베어링의 탄성은 하부 베어링 셸(7)과 상부 베어링 셸(8)에 관련된 고무 탄성 요소(13)의 변형성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또한 고무 탄성 요소들(13)이 도 2에 가장 상세히 도시된 바닥 플랜지(23)에 축방향으로 접하면 축(18)을 따라서 탄성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세 번째 고무 탄성 요소(15)의 공지된 배치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상기 실시예와 유일하게 다른 점은 각각의 상부 베어링 셸(8)에 이어진 주로 U자형의 섀클(32a)에, 단부에 맞물림 돌기부들이 배치된 탄력있는 맞물림 핀이 설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의 탄력있는 맞물림 핀과 맞물림 돌기부 대신,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구멍(28)을 대체하는 부분으로서 섀클(32a)은 그의 가장 낮은 지점에 맞물림 노치(28a)를 포함한다. 여기에 맞게 지지 아암(6a)마다 탄력있는 맞물림 핀(36a)과 여기에 성형된 맞물림 돌기부(38a)를 둔다. 탄력있는 맞물림 핀(36a)은 지지 아암(6a)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해서, 대개 하부 베어링 셸(7)과 평행하게 이어진다. 이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지지 아암(6a)을 금속 박강판으로 성형하면, 주로 U자형인 프레싱 절단면을 둠으로써 지지 아암(6a)의 평면으로부터 탄력있는 맞물림 핀(36a)을 굽혀 만들 수 있다. 굽힘 가공을 하기 전에 스탬핑 등을 통해 맞물림 돌기부(38a)를 성형할 수 있다.
도 8에 가장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장치(3)의 면(19)에 각을 이루도록 정렬된 주로 U자형의 섀클(32a)로 다시 상부 베어링 셸(8)을 고무 탄성 요소(13) 위로 내릴 수 있고, 이때 다시 하부 베어링 셸로부터 윗쪽으로 이어지는 수직 연장부(24, 25) 사이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여기서도 바닥 플랜지(23)는 각 고무 탄성 요소(13)를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 내지 14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포함된 상부 베어링 셸들(8a)은 띠 모양의 스프링 강판을 굽힘 가공해서 제작할 수 있다. 이같은 상부 베어링 셸은 다시 하부 베어링 셸(7a)에서 시작하는 두 개의 연장부(24a, 25a)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하부 베어링 셸들(7a)은 각각 하나의 지지 아암(6b)에서 시작한다. 두 개의 연장부(24a, 25a)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휘어진 부분들(50, 51)이 각 상부 베어링 셸(8a)에 이어진다. 이 휘어진 부분들(50, 51)로 부터 또 다른 부분들(52, 53)이 횡방향으로 이 경우 하나의 공통된 평면내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부분(52)의 자유 단부는 Z자형으로 휘어져 있어서, 맞물림 돌기부와 기술적인 등가(technical equivalence)를 이루는 후크(54)를 형성한다. 부분(53)의 자유 단부는 접히고 변형되어, 맞물림 돌기부(55)가 부분(53)과 연결되게 된다. 후크(54)에는 지지 아암(6b)에서 시작하는 플랜지(56) 안에 구멍(57)이 할당되어 있다. 이 구멍(57)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맞물림 구멍들(28)과 기술적인 등가를 이룬다. 맞물림 돌기부(55)에 맞물림 구멍(58)이 할당되어 있고, 맞물림 구멍(58)은 다시 지지 아암(6b)에서부터 시작하는 플랜지(59) 안에 위치한다. 도 12는 지지 아암(6b)을 제 1 실시예로부터 그대로 인용된 고무 탄성 요소(13)의 높이에서 절단한 수평 단면도(horizontal section)이다. 이 단면의 아래에는 도 11에 도시된 하부 베어링 셸(7a)이 해당 바닥 플랜지(23a)와 함께 위치한다. 도 11에서 단부(54)가 끼워지면 상부 베어링 셸(8a)은 고무 탄성 요소(13)와 수직으로 떨어지게 되고, 맞물림 돌기부(55)는 맞물림 구멍(58)과 멀리 위치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도 13에는 상부 베어링 셸(8a)이 낮게 선회해서 내리 눌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맞물림 돌기부(55)는 맞물림 구멍(58)을 관통해서, 플랜지(59)에 기대어 있다. 이것이 조립의 최종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조립이 정확하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14는 조립한 결과의 평면도이다.
다시 말해 상부 베어링 셸(8, 8a)을 주로 고무 탄성 요소(13)를 향해 정렬해서, 고무 탄성 요소(13)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부 베어링 셸(8a)이 어떤 재료로 제작되는가 하는 문제는 중요하지 않다. 또한 상부 베어링 셸(8, 8a)을 지지 아암(6, 6a, 6b)에 고정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5 내지 18은 탄성 베어링의 제 4 실시예를 다양한 조립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고무 탄성 요소(13)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하부 베어링 셸(7)이 있는 지지 아암(6c)을 나타낸다. 하부 베어링 셸(7)로 부터 다시 연장부(24b, 25b)가 시작된다. 상기 실시예들과 달리 연장부(24b, 25b)들에는 각각 하나의 맞물림 구멍(28a)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24b, 25b)들과 하부 베어링 셸(7)에 할당된 바닥 플랜지는 23b로 표시하였다. 이 경우에도 상부 베어링 셸(8b)은 예컨대 밴드 형태에서 시작 물질로 사용되는 금속 스프링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무 탄성 요소(13)의 반경만큼 휘어진 상부 베어링 셸(8b)에 굽은 부분과, 여기서 부터 시작해서 윗쪽을 향한 부분(50b, 51b)이 이어진다. 이 부분(50b, 51b)들은 상부 베어링 셸(8b)을 내릴 때 연장부(24b, 25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부분(50b, 51b)에 U자형의 단면이 있어서, 이 부분(50b, 51b)들의 기준면으로부터 맞물림 돌기부(55b)를 굽힘 가공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맞물림 돌기부(55b)는 연장부(24b, 25b)들 사이의 작은 틈새보다 더 큰 간격을 가진다. 이같은 사실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베어링 셸(8b)이 지지 아암(6b)와 떨어진 상태가 도시된 도 15에서 매우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고무 탄성 요소(13)가 이미 하부 베어링 셸(7)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부 베어링 셸(8b)을 고무 탄성 요소(13)를 향해 내려서 약간 누르기만 하면, 맞물림 돌기부(55b)가 맞물림 구멍(28b) 안에 맞물리게 된다. 그 최종 상태가 도 18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9는 완전히 조립되어 고정된 상부 베어링 셸(8b)의 평면도이다.
도 20 내지 22는 탄성 베어링의 제 5 실시예를 두 가지 상이한 조립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유압장치(3)와 고무 탄성 요소(13), 저널(14)은 상기 실시예들을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여기서도 상부 베어링 셸(8)이 고무 탄성 요소(13) 위에 비스듬하게 얹힌 다음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주로 U자형인 섀클(32b)이 다시 하부 베어링 셸(7)의 둘레와 아래를 에워싸고, 그 결과 유압장치(3)가 하부 베어링 셸(7)에 관하여 들어 올려지지 않게 된다.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하부 베어링 셸(7)에 대해 상대적으로 섀클(32b)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 경우 탄력있는 맞물림 돌기부(38b)가 섀클(32b)의 가장 낮은 부분에 성형된다. 이때 섀클(32b)에서 탄력있는 맞물림 돌기부(38b)로 넘어가는 부분이 섀클(32b)에서 유압장치(3) 쪽을 향한 면에 놓이고, 그 결과 맞물림 돌기부(38b)가 유압장치(3)와 다른 쪽을 가리키는 맞물림 핀의 유형에 따라 제작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은 맞물림 핀의 탄력있는 자유 단부가 맞물림 돌기부(38b) 역할을 한다.
맞물림 돌기부(38b)에는 위치가 고정된 맞물림 스토퍼(60)가 할당되어 있어서, 섀클(32b)이 조립 최종 위치로 선회될 때 맞물림 핀이 탄력적으로 구부러지면서 맞물림 스토퍼(60)를 지나 미끄러진다. 이때 맞물림 돌기부(38b)가 맞물림 스토퍼(60)를 통과하면, 맞물림 돌기부(38b)가 도 21에 도시된 맞물림 위치로 탄력있게 이동한다.
맞물림 스토퍼(60)는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탄력있는 맞물림 핀(36a)과 맞물림 돌기부(38a)와 같이 지지 아암(6d)을 성형했던 재료 내지 박강판으로 제작할 수 있다. 박강판의 띠 모양 부분의 경계를 지지 아암(6d)로 제한하고, 이 띠 모양 부분을 굽힘으로써, 주로 S자형인 띠 모양 부분의 곡선에 의해 도 20에 도시된 형태가 생기도록 해서 제작한다. 여기서 유리한 것은 본래 연한 디프 드로잉 가공용 박강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맞물림 돌기부(38b)를 탄성 배치하는데 섀클(32b)의 열가소성 재료의 탄성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때 섀클(32b)과 맞물림 돌기부(38b)를 하나의 사출 성형 다이로 동시에 제작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상부 베어링 셸들을 주로 반경 방향으로 조립하기 위해 이 상부 베어링 셸들의 위치를 고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당업자가 상이한 고정 요소 내지 고정 수단 가운데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고무 탄성 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 탄성 요소 중 적어도 두 개의 중공 원통형으로 된 부품 유형에 따라 제작되며, 실질적으로 수평 세로축에 의해 유압장치에서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면에 분산 배치되며, 하부 베어링 셸 안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 상부 베어링 셸로 둘러싸여 있으며, 하부 베어링 셸들이 차량과 연결된 브래킷의 두 개의 지지 아암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압장치에서 시작하는 베어링 저널들이 상기 고무 탄성 요소 안으로 이어지는,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에 있어서,
    상부 베어링 셸(8, 8a 및, 8b)들이 적어도 두 개의 고무 탄성 요소(13) 위에 실질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얹혀질 수 있는 부품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2. 제 1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윗쪽을 향하는 연장부(24, 25, 24a, 25a, 24b, 25b)들은 상기 하부 베어링 셸들로부터 시작되고, 상부 베어링 셸(8, 8a, 8b)들이 상기 연장부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어링 셸(8a, 8b)들에 실질적을 코 모양 형태의 고정수단인 맞물림 돌기부(54, 55, 55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맞물림 구멍들(28a, 57, 58)에 맞물리고, 상기 맞물림 구멍들은 지지 아암(6b, 6c)에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어링 셸(8a, 8b)과 이들의 맞물림 돌기부(55, 55b)가 실질적으로 띠 모양을 한 금속 스프링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어링 셸(8a, 8b)들이 탄성 요소(13) 주변을 에워싸도록 휘어진 부품 형태로 제작되며, 상부 베어링 셀(8a, 8b)로 부터 윗쪽으로 떠받쳐지고 연장부(24a, 25a, 24b 및, 25b)들 사이에 삽입 가능한 부분(50, 51, 50b 및, 51b)이 이어지며, 맞물림 돌기부(55, 55b)가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부분들에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맞물림 돌기부들에 할당된 맞물림 구멍(28a, 58)들이 적어도 간접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 아암들(6b, 6c)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6. 제 5항에 있어서, U자형 절단면이 배치되며, 상부 베어링 셸(8a, 8b)들에 이어진 부분(51, 53, 50b 및, 51b)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맞물림 돌기부(55, 55b)들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6b)에 구비된 플랜지(56)에 위치된 구멍(57)에 걸릴 수 있도록 부분(52)의 한 쪽 단부(54)가 갈고리 모양으로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베어링 셸(8)이 고무 탄성 요소(13)의 외경보다 짧으며, 상부 베어링 셸(8)로 부터 이것과 일체형으로 제작된 섀클(32, 32a)이 시작되며, 조립된 상태에서 섀클(32, 32a)이 하부 베어링 셸(7) 주변을 에워싸며, 조립을 위해 하부 베어링 셸(7) 아래로 선회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6)이 하부 베어링 셸(7)의 세로축에 대해 직각으로 평행하게 이어진 플랜지(26, 27)들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26, 27)들이 섀클(32)과, 그 섀클(32)에서 시작되는 탄력있는 맞물림 핀(36, 37)들을 사이에 수용되며, 맞물림 핀(36, 37)들이 플랜지(26, 27) 쪽을 향하는 맞물림 돌기부(38, 39)들을 지지하며, 맞물림 돌기부(38, 39)들이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림 구멍(28)들이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섀클(32a)은 조립 후 섀클(32a)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맞물림 노치(28a)를 포함하고, 할당된 지지 아암(6a)가 탄력있는 맞물림 핀(36a)을 포함하며, 맞물림 핀(36a)에는 맞물림 노치(28a) 안에 삽입가능한 맞물림 돌기부(38a)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있는 맞물림 핀(36a)은 지지 아암(6a) 재료를 벤딩 가공해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섀클(32a)은 탄력있는 맞물림 핀의 유형에 따라 제작되고, 선회 조립 방향 쪽을 향하는 맞물림 돌기부(38b)를 포함하며, 맞물림 돌기부(38b)에는 지지 아암(6d)에 배치된 맞물림 스토퍼(60)가 할당되며, 탄력있는 맞물림 돌기부(38b)로 인해 섀클(32a)이 선회 조립 최종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맞물림 돌기부(38b)가 맞물림 스토퍼(60)에 의해 탄력적으로 휘어지며, 선회 조립 최종 위치에 도달되면 되튕겨져, 맞물림 위치에 이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역원추형 스크린 헤드(countersunk scren head) 형태의 헤드(41)를 포함하는 저널(14)이 제작되고, 고무 탄성 요소(13)는 상기 헤드(41)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KR10-1999-7001035A 1997-06-09 1998-02-21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KR100490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4177A DE19724177A1 (de) 1997-06-09 1997-06-09 Elastische Lagerung eines hydraulischen Aggregates einer Fahrzeugbremsanlage
DE19724177.8 1997-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080A KR20000068080A (ko) 2000-11-25
KR100490182B1 true KR100490182B1 (ko) 2005-05-17

Family

ID=783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035A KR100490182B1 (ko) 1997-06-09 1998-02-21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96236B1 (ko)
EP (1) EP0917514B1 (ko)
JP (1) JP4286326B2 (ko)
KR (1) KR100490182B1 (ko)
DE (2) DE19724177A1 (ko)
WO (1) WO1998056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7124B4 (de) * 1999-04-15 2004-12-02 Lenze Drive Systems Gmbh Vorrichtung an einem Winkelgetriebe mit Drehmomentstütze
US6378832B1 (en) 1999-10-01 2002-04-30 Carrier Corporation Isolation mounting for a cantilevered load
DE19963757B4 (de) * 1999-12-30 2012-06-14 Robert Bosch Gmbh Elastische Lagerung eines insbesondere elektrohydraulischen Aggregats einer Fahrzeugbremsanlage
DE10036575A1 (de) 2000-07-27 2002-02-0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elastiscchen Lagerung eines hydraulischen Aggregats einer Fahrzeugbremsanlage in einem Fahrzeug
FR2821745B1 (fr) * 2001-03-09 2004-07-02 Ethypharm Lab Prod Ethiques Granules et granules enrobes au gout masque
JP3720278B2 (ja) * 2001-06-13 2005-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ブレーキ装置の液圧ユニット支持構造
US6604725B1 (en) 2002-01-24 2003-08-12 Robert Bosch Corporation Device for securing a hydraulic modulator to a vehicle
US7407234B1 (en) * 2005-09-17 2008-08-05 Robert Bosch Gmbh Manual assembly to ABS/TCS/ESP hydraulic units
DE102005046631A1 (de) 2005-09-29 2007-04-05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Schwingungen dämpfenden Aufhängung eines Aggregats
DE102006015221B4 (de) * 2006-03-30 2011-01-13 Küster Automotive Control Systems GmbH Schwingungsgedämpft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lektrische Feststellbremsen
DE102006036506B3 (de) 2006-08-04 2008-02-07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einer Halterung
JP4924369B2 (ja) * 2006-12-18 2012-04-25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運動制御装置
FR2916503B1 (fr) * 2007-05-24 2010-09-10 Hutchinson Dispositif antivibratoire.
DE102007025859A1 (de) * 2007-06-01 2008-12-04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teuergerät für ein Kraftfahrzeug
US8011631B2 (en) * 2009-03-01 2011-09-0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ibration resistant fastener
DE102010014804B4 (de) 2010-04-07 2024-02-1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Lagerung einer Baugruppe an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JP4917165B2 (ja) * 2010-11-01 2012-04-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液圧ユニット
JP5369077B2 (ja) * 2010-11-17 2013-12-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アクチュエータ取付構造
CN103209873B (zh) 2010-11-17 2015-08-2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动制动执行器的车身安装结构
DE102011009156A1 (de) * 2011-01-22 2012-07-26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ensor Baugruppe
US8919725B2 (en) 2012-05-23 2014-12-30 Caterpillar Inc. Exterior mounting apparatus for interior component
EP3652020A1 (en) * 2017-07-14 2020-05-20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Clip, clip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90382162A1 (en) * 2018-06-19 2019-12-19 Levgo Surface-mounting Holding Device
JP7078008B2 (ja) * 2019-04-03 2022-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レーキ液圧発生装置の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1516A (en) * 1925-08-25 Typewriting-machine support
US4618114A (en) * 1982-09-29 1986-10-21 Lof Plastics Inc. Conduit spacer and support
DE3810788A1 (de) * 1988-03-30 1989-10-12 Teves Gmbh Alfred Ventilblockaggregat
DE3941401C1 (ko) * 1989-12-15 1991-01-31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DE4015561A1 (de) * 1990-05-15 1991-11-21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r montage und fixierung der hydraulikeinheit eines abs
US5104072A (en) * 1990-12-26 1992-04-14 Kuo Chun Hua Insert type of disengageable underground conduit holder
NZ252052A (en) * 1992-05-19 1997-02-24 Cotterill Michael J Mounting track, typically for slidable computer keyboard support, having channel partially closed by downward lip on upper section
JPH0733005A (ja) * 1993-07-14 1995-02-03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装置用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DE4431250A1 (de) * 1994-09-02 1996-03-07 Bosch Gmbh Robert Blockierschutzeinrichtung für ein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AU4589196A (en) * 1996-03-04 1997-09-11 Two Thousand And One Technology Inc Mobile telephone hang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00087A (ja) 2001-01-09
WO1998056629A1 (en) 1998-12-17
JP4286326B2 (ja) 2009-06-24
DE19724177A1 (de) 1998-12-10
KR20000068080A (ko) 2000-11-25
DE59800661D1 (de) 2001-06-07
EP0917514A1 (en) 1999-05-26
EP0917514B1 (de) 2001-05-02
US6296236B1 (en) 2001-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182B1 (ko) 차량 제동장치의 유압장치의 탄성 베어링
US4904107A (en) Ball joi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H0712621U (ja) ボールジョイント
KR970001604B1 (ko) 볼 조인트
US7654372B2 (en) Shoe-hold apparatus for drum brake device
WO2001026942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040020894A (ko) 유닛화 요크 조립체를 구비한 래크/피니언 조향 기어
US4788736A (en) Yoke member connecting device in windshield wiper
EP1156231B1 (en) Brake cable connecting apparatus for drum brake
US20070176412A1 (en) Snap ring locking clip and method
US7118503B2 (en) Creep locking retention mechanism (Clip)
EP1643153A2 (en) Brake cable connecting apparatus for a drum brake device
JPH0781590B2 (ja) 殊に自動車用の摩擦クラッチ及びその製作法
KR900001996A (ko) 마찰클러치
JPH0347012Y2 (ko)
KR100309330B1 (ko)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
JPS619334A (ja) 自動車用自動変速機のコントロ−ルポジシヨン表示装置
JPS5813151Y2 (ja) ばね
JPH0639004Y2 (ja)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用エンドカバ−
GB2307286A (en) A self centring clutch release bearing
JP3616821B2 (ja) 挿入ガイド付カシメ装置
KR200154801Y1 (ko) 튜너용 샤시
KR100264724B1 (ko) 차량의 조작페달 결합구조
JPS5810989Y2 (ja) スイツチレバ復旧機構
JPH0634536Y2 (ja) ガイドピン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