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913B1 - 문서표시시스템및전자사전 - Google Patents

문서표시시스템및전자사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913B1
KR100489913B1 KR1019970018333A KR19970018333A KR100489913B1 KR 100489913 B1 KR100489913 B1 KR 100489913B1 KR 1019970018333 A KR1019970018333 A KR 1019970018333A KR 19970018333 A KR19970018333 A KR 19970018333A KR 100489913 B1 KR100489913 B1 KR 100489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brarian
document
linker
access inform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6227A (ko
Inventor
아츠시 이케노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174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3055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766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147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118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3055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876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7260B2/ja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7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6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06F16/94Hyper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은 전자문서의 내용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사서 액세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전자문서는 그 문서 내의 단어들에 눈에 보이지 않는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함으로써 변형된다. 그후, 변형된 문서는 화면에 표시되고, 이때,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단어들은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단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단어에 대한 전자사전의 내용이 자동적으로 검색되어 표시된다.

Description

문서표시 시스템 및 전자사전{DOCUMENT DISPLAY SYSTEM AND ELECTRONIC DICTIONARY}
본 발명은 문서표시 시스템 및 전자사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문서 내의 단어를 전자사전에서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전이 디스크와 같은 저장매체에서 사용가능하게 되었는데, 이는 사전의 내용을 개인용 컴퓨터 또는 다른 전자장치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자사전에서 단어를 찾기 위해서, 사용자가 키보드로 단어를 타이핑하면, 단어의 의미가 표시 스크린 상에 나타난다. 외국어 사전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자사전이 사용가능하다.
전자사전의 사용자들 중에는 컴퓨터 네트워크로부터 전자문서를 검색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서의 검색이 하이퍼텍스트의 출현으로 매우 용이하게 되었다. 하이퍼텍스트 문서에서는, 특정한 항목(예를 들어, 단어)이 다른 문서와 링크되도록 표시되어, 사용자는 포인팅장치로 표시된 항목을 간단히 선택함으로써 한 문서로부터 다른 문서로 진행할 수 있다. 전세계의 컴퓨터 자원의 소위 월드와이드웹(world-wide web)으로의 연결과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통해 브라우징을 용이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의 상업적인 입수가능성은, 수많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언어로 된 문서와 수많은 특정 주제의 문서와 접촉하도록 하였다.
전자사전은 이와 같은 문서의 이해를 돕는데 극히 유용하지만, 불행하게도, 한 사람이 하나의 문서로부터 다른 문서로 진행할 수 있는 용이함은 그 사람이 문서 내에서 미지의 단어를 찾을 수 있는 용이함과는 부합되지 않는다.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표시하는 종래의 시스템은 단어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전자사전의 내용을 표시하도록 설계되지 않아, 사용자는 별개로 단어를 타이핑함으로써 통상적인 방식으로 전자사전을 액세스해야 한다. 참조해야 할 단어가 많은 경우에는, 이는 지루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는 전자사전을 내부적으로 통합한 브라우징 소프트웨어에 의해 해결될 수 있으나, 그러한 브라우징에 모든 잠정적인 사용자들에 의해 요구될 수 있는 모든 사전을 장착하는 것은 실질적이지 못하며, 브라우징 소프트웨어를 구입하는 사람이 다수의 전자사전 또는 심지어 하나의 전자사전에 대해 돈을 지불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더우기, 각각의 사용자가 그 자신의 컴퓨터에 다수의 전자사전을 저장해야 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문서를 읽는 사람이 그 전자문서 내의 단어를 전자사전에서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읽는 사람이 그 문서 내의 단어를 전자사전에서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떠한 단어가 유리하게 참조될 수 있는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은, 전자문서의 내용과 함께, 사용자가 전자사전으로의 액세스를 요구할 수 있게 하는 제어 항목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사전 액세스인 요구하는 경우에는, 사전 액세스 정보를 문서 내의 각각의 단어와 같은 문자열에 부착함으로써 전자문서가 변형되고, 상기 변형된 문서가 표시된다. 그후, 사용자가 상기한 사전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문자열을 선택하면, 그 문자열을 정의하거나 기술하는 전자사전 내용이 자동적으로 검색되어 표시된다. 선택된 문자열에 대해 전자사전 내에 내용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한 효과에 대한 메시지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전자사전에는, 사전 내의 내용을 여타의 문서로부터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통해 개별적으로 액세스 가능하게 하는 하이퍼텍스트 링크 정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일면에서는, 상기 사전 액세스 정보는 전자사전 내의 내용을 가리키는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사전에는 이러한 하이퍼텍스크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한 사전 액세스 정보를 부착할 때, 문서표시 시스템은 전자사전으로부터 대응하는 내용을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된 내용을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통해 검색될 수 있는 독립된 문서로서 저장한다. 상기 사전 액세스 정보는 이들 독립된 문서에의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사전 액세스 정보는 사전 참조 명령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전 액세스 정보가 부착되는 문자열을 선택하면, 문서표시 시스템은 전자사전 내에서 대응하는 내용을 참조하기 위한 명령을 받아 실행한다. 대응하는 내용이 전자사전에서 발견된 경우에는, 그것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사전 액세스 정보를 다른 문서에 이미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갖는 항목에 부착하는 경우, 문서표시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다른 문서를 검색할 것인지 상기 항목 내의 문자열을 참조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부착한다. 사용자가 상기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먼저 메뉴가 표시된 후, 사용자가 상기 항목 내의 문자열을 참조하도록 선택하면, 상기 문자열의 사서 내용이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한가지에 의해 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문서표시 시스템은, 과거에 얼마나 빈번하게 서로 다른 문자열이 참조되었는지, 또는 얼마나 빈번하게 사전 액세스 정보가 서로 다른 문자열에 부착되었는지와, 얼마나 빈번하게 상기 문자열이 참조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레코드를 보존하고, 이들 레코드에 근거하여 사전 액세스 정보를 문자열에 부착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상기 문서표시 시스템은, 사용자가 어떤 문자열을 참조할 것이지를 판정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상기 레코드에 따라, 변형된 전자문서 내부의 문자열이 표시되는 방식을 변경한다.
이하,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는, 도시된 것 같이 상호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1), 링크된 문서 서버(2), 전자문서 저장부(3), 사서 링커(4) 및 태그가 부착된(tagged) 전자사전(5)을 구비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 링크된 무서 서버(2) 및 전자문서 저장부(3)는 종래의 문서표시 시스템에서 제공된 설비이다. 상기 사서 링커(4) 및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은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부이다.
비록, 도면에는 단지 하나의 링크된 문서 서버(2)가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그들 각각이 그 자신의 전자문서 저장부(3), 사서 링커(4) 및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을 구비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링크된 문서 서버일 수 있다. 각각의 링크된 서버(2)는 공중전화망의 일부를 포함하는 통신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1)로부터 액세스가능하다. 또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1)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는, 예를 들어 브라우징 프로그램과 같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링크된 문서 서버(2)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전자문서 저장부(3) 내에 저장된 문서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용 컴퓨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는 소위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그것으로 표시된 문서 내에서 개별적인 단어, 문자열 또는 여타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는 개인용 컴퓨터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고 검색된 문서를 표시하며 문자열을 선택하도록 하는 어떠한 장치도 클라이언트 장치(1)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예를 들어 상기 전자문서 저장부(3)에서 전자문서 파일을 검색하고 이들 파일을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기능 및 소프트웨어와, 후술하는 또 다른 기능이 장착된 워크스테이션 또는 컴퓨터 시스템을 구비한다.
상기 전자문서 저장부(3)는, 예를 들어 자기 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와 물리적으로 통합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액세스가능한 파일의 형태로 복수의 전자문서를 보관하고 있다.
상기 사서 링커(4)는, 예를 들어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와 동일한 워크스테이션 또는 컴퓨터 사서 링커(4)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4)의 기능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을 참조하여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클라이언트 장치(1)에 제공된 파일에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부가하는 것이다. 상기 사서 링커(4)는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활성화된다.
상기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은, 예를 들어 자기 또는 광 디스크 상에 저장된 파일, 또는 링크된 문서 서버(2)와 사서 링커(4)가 동작하는 워크스테이션 또는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구비한다. 상기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은 하이퍼텍스트 문서로부터 링크를 앵커(anchor)할 수 있는 태그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전자사전과 차이가 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은 영일 사전으로 가정한다.
도 2는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의 내용의 일부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첫번째 라인은 "storehouse"라고 명명된 사서 항목을 앵커하는 개시 태그(11)이다. 다음의 2개의 라인은 이 항목(12)의 헤딩(heading)과 본문(body)을 구성하는데, 단어 "storehouse"는 헤딩으로 나타나며, 그 후에 그 단어의 의미에 대한 일본어 의미가 수반된다. 다음 라인은 사서 항목의 끝 부분을 나타내는 종료 태그(13)이다. 즉, 이들 태그(11, 13)는 잘 알려진 하이퍼텍스크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를 따른다.
비록, 상기 사서 링커(4)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은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전자문서 저장부(3)와 동일한 워크스테이션 또는 컴퓨터의 내부에 존재하지만, 이는 필수불가결한 것은 아니다. 상기 사서 링커(4)는 독립된 컴퓨터 시스템 또는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전자문서 저장부(3)가 놓인 시스템과 연결된 전문적인 시스템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서 링커(4)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은 링크된 문서 서버(2)와 여타의 링크된 문서 서버들과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된 독립된 시스템에 위치하여, 상기 사서 링커(4)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의 설비를 복수의 서버 시스템이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전자문서"라는 용어를 때때로 "문서"로 약칭한다. 용어 "하이퍼텍스크 문서"는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이나 또 다른 문서를 가리키는 내장된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갖는 전자문서를 일컫는다.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도 하이퍼텍스트 문서로 일컬어질 수 있다.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을 제외하고는, 다른 문서를 가리키는 내장된 링크를 포함하지 않는 문서는, 비록 이들 문서가 하이퍼텍스크 문서로부터 링크의 타겟일 수 있지만, 하이퍼텍스크 문서로서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먼저, 클라이언트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문서표시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경우, 먼저 클라이언트 장치(1)는 초기 입력 스크린을 표시한 후(단계 100),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기다린다(단계 101). 상기 입력은 전자문서를 요구하는 파일 서술자나 "종료"와 같은 명령어일 수 있다. "종료"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에는, 문서표시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는 종료한다(단계 102). 파일 서술자와 "종료" 이외의 명령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장치(1)가 링크된 문서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단계 103).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일반적으로 전자문서를 역으로 전송함으로써 응답하며, 이것을 클라이언트 장치(1)가 수신하여 표시한다(단계 104). 단계 104 이후에는, 상기 과정은 단계 101로 복귀하여, 또 다른 입력, 예를들면 사용자가 현재 표시되는 문서에 링크된 또 다른 문서를 요구하는 입력을 기다린다.
이하,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도 4에 도시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처리과정은 클라이언트 장치(1)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면서 개시된다(단계 200).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정보를 파일 서술자 또는 태그 부착 명령으로써 식별한다(단계 201). 상기 정보가 파일 서술자인 경우에는,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전자문서 저장부(3)로부터 요구된 문서를 읽는다(단계 202). 상기 정보가 태그 부착 명령인 경우에는,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 링커(4)를 활성화시키는 동시에(단계 203), 사서 링커(4)에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에 의해 현재 표시되고 있는 문서의 복사본을 제공한다.
단계 200에서 수신된 정보가 파일 서술자인 경우에는, 단계 202에서 문서를 획득한 후, 링크된 문서 서버(2)는 그 문서가 하이퍼텍스트 문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204). 상기 문서가 하이퍼텍스트 문서가 아닌 경우에는,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이하에서는 사서모드 버튼으로 일컬어지는, 사서모드 제어 항목을 문서에 부가한 후(단계 205), 그 문서를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한다(단계 206). 상기 문서가 하이퍼텍스트 문서인 경우에는,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모드 버튼을 부가하지 않고, 그 문서를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한다(단계 206).
단계 200에서 수신한 정보가 태그 부착 명령인 경우에는, 단계 203에서 활성화된 사서 링커(4)는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주어진 문서를 변형한다.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는 후술하는 태그를 포함한다. 그후,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이하에서는 단순모드 버튼으로 칭하는, 단순모드 제어 항목을 결과적으로 얻어진 변형된 문서에 부가하여(단계 207), 그 문서를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한다(단계 206).
상기한 사서모드 버튼 및 단순모드 버튼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자가 사서 액세스 모드와 단순모드 사이에서 교환하도록 포인팅 장치로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다. 이들 제어 항목은 다양한 방법으로 문서에 부가될 수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We draw on vast storehouses..."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문서(21)의 일부를 나타낸다. 이 문서에 사서모드 버튼을 추가하기 위하여, 링크된 문서 서버(2)는 하이퍼텍스트 참조(hypertext reference: HREF) 태그로 명령어 "/cgi-bin/into_the_dic"을 포함하는 라인(21)을 추가한 다음, 단어 "Dictionary mode"를 부가한 후 종료 태그(</A>)를 부가한다. 사용자는 "Dictionary mode"라는 단어를 보게 된다. 사용자가 이 단어를 선택하면, 클라이언트 장치(1)는 문자열 "/cgi-bin/into_the_dic"을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하는데, 이때 "/cgi-bin/into_the_dic"는 상기한 태그 부착 명령어가 되는 것이다.
도 6은 사서 링커(4)에 의해 출력된 변형된 문서에 단순모드 버튼을 추가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비록, 상기 문서의 본문(31)이 삽입된 많은 사서 액세스 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후에 도시되는 것 같이, 상기 본문(31)은 도 5의 문서에 대한 본문과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표시된다.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라인(32)을 추가하는데, 이때 하이퍼텍스트 참조 "slogan"은 도 5의 문서에 대한 파일 서술자로서, 사서 링커(4)가 활성화되었을 때 클라이언트 장치(1)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포인팅 장치로 라인(32) 내의 "Ordinary mode"라는 단어를 선택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1)가 파일 서술자 "slogan"을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사서 링커(4)의 동작에 대해 기술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서 링커(4)는 링크된 문서 서버(3)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1)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문서의 사본을 받음으로써 개시하거나, (동등하게) 전자문서 저장부(3)로부터 이 문서를 읽을 수 있는 허가를 받는다(단계 500). 그후, 상기 상서 링커(4)는 결과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501). 상기 결과 파일은 신규 파일로써 생성되며, 처음에는 내용이 비어있다.
이후, 사서 링커(4)는 상기 단계 500에서 얻는 문서의 형태소 분석을 수행한다(단계 502). 이러한 분석에 의해, 사서 링커(4)는 상기 문서에서 나타나는 단어와 이들 단어의 사서 형태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단어 "storehouses"가 나타나면, 사서 링커(4)는 "storehouse"를 사서 형태로서 식별한다.
단계 503 내지 단계 507의 후속 단계는 문서 내에 미처리된 단어가 잔존하는 한 반복되는 루프를 형성하는데, 각각의 반복과정은 결과 파일에 하나의 라인을 추가하게 된다. 단계 503은 사서 링커(4)가 미처리된 단어가 남아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루프 제어단계이다. 어떠한 미처리된 단어도 남아있지 않으면, 상기 결과 파일은 상기한 변형된 문서로서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출력된다(단계 508).
단계 503에서 미처리된 단어가 발견된 경우에는, 상기 사서 링커(4)는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서 단어의 의미(즉, 단어의 사서 형태에 의해 표제가 붙여진 내용)를 찾는다(단계 504). 상기 의미가 발견된 경우에는, 상기 사서 링커(4)는 상기 단어로부터 그 단어를 의미하는 사서 내용으로 링크를 형성하는 태그를 포함한 사서 액세스 정보를 생성하고(단계 505), 이들 태그 및 단어 자체를 결과 파일에 기록한 후(단계 506), 다음 단어를 처리하기 위하여 단계 503으로 복귀한다. 그 단어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 의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서 링커(4)는 적절한 미지어 처리를 수행하는데(단계 507), 그중 2가지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후, 상기 사서 링커(4)는 미지어 처리과정에 의해 생성된 태그와 함께, 미지어를 상기 결과 파일에 기록하고(단계 506), 단계 503으로 복귀한다.
도 8은 "We draw on vast storehouses..."로 시작하는 문서에 대해 이들 단어 5개 전부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 정의되어 있을 때 사서 링커(4)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최초 5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각 라인은 <A HREF = "tagED#we">와 같은 개시 태그로 시작되는데, 이것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서 단어 "we"에 대한 항목의 하이퍼텍스트 참조이다. 이것은 문서 내에 나타난 것과 같은 단어(예를 들어 "We")와 종료 태그(</A>)를 수반한다.
도 9는 미지어 처리의 한가지 가능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단어 "vast"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예로 들었다. 상기 예에서의 미지어 처리는 전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사서 링커(5)는 어떠한 개시 또는 종료 태그도 없이 결과 파일에 "vast"를 기록한다. 이러한 형태의 미지어 처리과정이 채택된 경우에는, 도 7에서 단계 7은 동작하지 않는 단계로, 생략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또 다른 가능한 형태의 미지어 처리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것 같이,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은 미지어에 대한 특별한 항목을 갖는다. 이 항목의 본문은, "Sono tango wa jisho ni arimasen"으로 읽혀지며 "그 단어는 사서에 없습니다"라는 의미를 지닌 일본어 문장이다. 상기 사서 링커(4)가 단어(예를 들어, "vast")를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도 11의 4번째 라인에 도시된 것 같이, 그 단어를 상기한 특별한 미지어 항목에 링크하는 태그가 생성되고 미지어 부근에 결과 파일에 기록된다.
상기 사서 링커(4)에 의해 생성된 결과 파일은 임시 파일이다. 상기 결과 파일이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출력되고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된 후에는,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가 위치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워크스테이션의 메모리에서 이 파일을 삭제함으로써, 상기 결과 파일의 사본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에만 남아있게 된다. 유사하게,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사서 링커(4)가 서로 다른 시스템에 상주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과 파일이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된 이후에 상기 사서 링커(4)는 결과 파일을 그 자신의 시스템의 메모리에서 제거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실시예의 전체적인 동작을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미지어가 없는 경우와, 미지어가 도 9에서와 같이 처리되는 경우와, 미지어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처리되는 경우의 사서 액세스에 대한 3가지 경우를 나타내었다.
사용자에 의해 처음으로 활성화되었을 때, 클라이언트 장치(1)는 특정한 초기 정보를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도 12와 같은 초기 화면의 내용을 역으로 전송함으로써 응답하고, 이것을 클라이언트 장치(1)가 표시한다. 이 스크린의 상단에는, "뒤로(Back)", "앞으로(Forward)", "재전송(Reload)" 및 "종료(Quit)"로 표시된 4개의 버튼이 존재한다. 포인팅 장치로 "종료"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한 "종료" 명령을 입력한다. "재전송"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는 현재 표시되는 문서의 파일 서술자를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가 그 문서를 다시 전송하도록 한다. "앞으로" 및 "뒤로" 버튼은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사용하여 액세스하는 일련의 문서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움직이게 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들 4개의 버튼은 모든 스크린의 상단에 표시된다.
이들 버튼의 아래에, 초기 스크린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문서의 파일 서술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하나의 라인을 갖는다. 클라이언트 장치(1)는 입력된 파일 서술자를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전송하며, 문서 서버는 요구된 문서 파일을 역으로 전송한다.
도 13에서, 사용자는 "Corporate Guidance"라는 표제의 하이퍼텍스트 문서의 파일 서술자를 입력하면, 링크된 문서 서버(2)는 그것을 전자문서 저장부(3)로부터 검색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하고, 그것이 클라이언트 장치(1)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표제 아래의 3라인은 하이퍼텍스트 링크로서, 밑줄로 표시되어 있다. 이 문서는 하이퍼텍스트 문서이기 때문에, 어떠한 사서모드 버튼도 부착되거나 표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로 "Global Slogan" 라인을 선택하면, 클라이언트 장치(1)는 추가적인 문서의 파일 서술자를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한다. 이러한 파일 서술자는 "Global Slogan" 라인에 선행하는 하이퍼텍스트 참조 태그 내에 포함되지만, 사용자에게 보이지는 않는다. 링크된 문서 서버(2)는 특정된 추가적인 문서를 전자문서 저장부(3)에서 검색하여, 그 문서를 클라이언트 장치(1)로 다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는 이 문서를 도 14에 도시된 것 같이 표시한다. 이 문서는 추가적인 문서에 대한 어떠한 링크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 그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의미에서는 하이퍼텍스트 문서가 아니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모드 버튼을 부착한다.
우연히, 사용자는 처음에 "Corporate Guidance"를 검색하는 대신에, 도 12의 초기 스크린에서 이 문서의 파일 서술자를 입력함으로써, "Global Slogan" 문서를 직접 검색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의 동작은 단순모드에서 수행되었다.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로 사서모드 버튼을 선택하면, 클라이언트 장치(1)는 단어 "Dictionary mode"에 선행하는 태그 내에 포함된 태그 부착 명령("/cgi-bin/into_the_dic")을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이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사서 링커(4)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사서 링커(4)는 링크된 문서 서버(2)가 전자문서 저장부(3)로부터 "Global Slogan" 문서를 다시 검색하도록 하여,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서 이 문서 내의 단어들을 찾아, 예를들어 도 8에 일부가 도시된 것 같은 결과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태그를 부착한다. 사서 링커(4)가 모든 단어를 찾아 결과 파일을 완성한 경우에는,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상기 결과 파일에 단순모드 버튼을 부가하여, 결과적으로 얻어진 변형된 문서를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한다. 상기 단순모드 버튼에 선행하는 태그는, 도 6의 첫 번째 라인(32)의 단어 "slogan"으로 도시된 것 같이, "Global Slogan"의 파일 서술자를 포함한다.
"Global Slogan" 문서 내의 모든 단어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도 15에 도시된 화면을 보게 된다. 문서 내의 각 단어에는 밑줄이 그어져 있는데, 이러한 밑줄은 사서 링커(4)에 의해 부가된,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 대한 하이퍼텍스트 링크의 존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단어 "storehouses"의 일본어 뜻을 찾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이 단어를 포인팅 장치로 선택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는 이 단어에 부착된 태그 내에 포함된 "tagED#storehouse" 정보를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이 정보에 의해 표시된 항목으로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을 액세스하여, 그 항목을 일정한 숫자의 전후 항목과 함께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한다. 그후, 클라이언트 장치(1)는 "storehouse" 및 다른 단어에 대한 일본어 의미를 제공하는 도 16에 도시된 스크린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이 스크린을 위 또는 아래로 스크롤하여 "storehouse"와 함께 알파벳 순으로 또 다른 단어의 일본어 뜻을 표시할 수 있다.
사전 의미를 지닌 이 화면으로부터 상기 변형된 문서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도 16에서 "뒤로" 버튼을 선택한다. 그러면, 클라이언트 장치(1)는 도 15에 도시된 스크린을 다시 표시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단어를 포인팅 장치로 선택함으로써, "storehouse"를 찾을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단어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단어를 찾는 것을 완료하면, 도 15의 단순모드 버튼을 선택하여, 도 14에 도시된 것 같이, "Global Slogan" 문서가 다시 단순모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가 이 문서의 복사본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장치(1)는 상기 보유하고 있는 복사본을 표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장치(1)는 "Global Slogan" 문서의 파일 서술자를 링크된 문서 서버(2)로 다시 전송하고, 링크된 문서 서버(2)로부터 변형되지 않은 "Global Slogan" 문서를 다시 수신하여, 수신된 문서를 표시한다.
다음에는, 도 15의 문서에 미지어가 나타나는 예를 설명한다.
단어 "vast"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 정의되지 않았고, 사서 링커(4)가 도 9에 도시된 미지어를 취급하는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서 액세스 모드를 선택할 때, 도 15의 화면 대신에, "vast"에 밑줄이 그어져 있지 않은 도 17의 화면을 보게 된다.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로 "vast"를 선택하게 되면, 이 단어는 거기에 부착된 어떠한 사서 액세스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무 것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미지어 처리방법은, 어떤 단어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 정의되어 있고 정의되어 있지 않은지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의되어 있지 않은 단어를 찾으려고 시도하는데 시간을 허비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지닌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미지어를 처리하는 방법이 채용된 경우에는, 비록 "vast"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 정의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서모드 버튼이 선택된 후에는, 사용자는 도 15에 도시된 화면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vast"라는 단어를 찾으려 하면, 클라이언트 장치(1)는 정보 "tagED#UNKNOWN WORDS"를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하여, 이에 따라 문서 서버는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서 특정한 미지어 항목을 액세스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그 단어는 사서에 없습니다"라는 의미의 일본어 메시지를 갖는, 도 18에 표시된 스크린을 보게 된다. 이 방법은 사용자에게 그 단어를 왜 찾을 수 없는지를 설명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스크린으로부터 도 15의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해 사용자는 "뒤로"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국어로 작성된 문서에 대한 일련의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따를 경우, 상기 제 1 실시예는 사용자가 자연스럽고 직감적으로 문서를 읽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단어를 찾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단어 "Dictionary mode"를 가리킨 후, 찾고자 하는 단어를 단순히 가리키면 된다. 사용자는 어떠한 특별한 조작을 조작을 배울 필요나 어떤 추가적인 타이핑을 할 필요가 전혀 없다.
상기 제 1 실시예는, 사용자가 찾기를 원하는 의미만을 표시하고, 문서 내의 모든 단어의 의미를 표시하거나 전체 문서를 번역하려고 시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효율적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장치(1)와 링크된 문서 서버(2) 사이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양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이 반도체 메모리 내에 저장되거나, 링크된 문서 서버(2)가 시동될 때 디스크 메모리로부터 반도체 메모리로 적재되는 경우에는,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은 내부 메모리 포인터를 사용하여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미를 매우 신속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제 1 실시예는, 전자문서 저장부(3)에 저장된 문서에 삽입되어질 사서 항목에 대한 링크를 갖는 태그가 필요없이도 사서의 의미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따라서, 사전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사용자는 읽고 있는 문서 내의 불필요한 밑줄에 의해 혼동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상기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은 링크된 문서 서버(2)의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개개의 사용자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 대한 그 자신의 복사본을 구입할 필요가 없다. 더우기, 상기 위치에는,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언어로 다수의 서로 다른 형태의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사전의 선택을 제공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세 번째의 미지어 처리과정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단어가 하나의 사전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사서 링커(4)는 그 단어를, 사용자가 그 단어를 찾고자 하기를 원하는 또 다른 사전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뉴 스크린에 링크시킬 수 있는데, 이때, 이 스크린에는 상기 또 다른 사전을 액세스하는 명령어에 대한 링크가 제공된다. 이러한 메뉴 스크린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에 설치됨으로써,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으로부터 한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아는 단어와 미지어가 초기에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와 사서 링커(4)에 대한 기본적인 동작을 변형하지 않고도, 사서 액세스 명령을 부가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사서 링커(4)에 의해 생성된 결과 파일이 차후의 사용을 위해 저장된다는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클라이언트 장치(1), 링크된 문서 서버(2), 전자문서 저장부(3), 사서 링커(4) 및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3)과, 상기 사서 링커(4)에 의해 생성된 결과 파일을 저장하는 부가적인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를 구비한다. 상기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는, 예를들면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사서 링커(4)에 연결된 자기 또는 광 기억장치이다. 이 장치는 외장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독립된 장치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는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가 존재하는 워크스테이션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또는 상기 사서 링커(4)가 존재하는 시스템에, 또는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사서 링커(4) 모두가 존재하는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이하, 제 2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특정한 조건 하에서는 도 4의 단계 207에서 단순모드 버튼이 부가된 변형된 문서가 사서 링커(4)로부터 얻어지는 대신에 상기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로부터 얻어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의 흐름도에 따라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상기 사서 링커(4)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활성화되었을 때, 도 4는 클라이언트 장치(1)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변형되지 않은 문서의 복사본을 얻음으로써 개시된다(단계 300). 이 단계는 도 7의 단계 500과 동일하다.
다음에, 상기 사서 링커(4)는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가 이미 이 문서에 대한 결과 파일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기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의 디렉토리를 검색한다(단계 301). 만일, 가지고 있다면, 상기 사서 링커(4)는 변형되지 않은 문서 상의 타임 스탬프(time stamp)를 결과 파일 상의 타임 스탬프와 비교하여, 전자문서 저장부(3)에 저장된 문서가 상기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 내부의 결과 파일이 생성된 이후에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302).
전자문서 저장부(3) 내의 문서가 상기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 내의 결과 파일이 생성된 이후에 갱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서 링커(4)는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 내부의 결과 파일이 잠겨있는지를 검사한다(단계 303). 상기 결과 파일이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현재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잠금 상태가 발생한다. 상기 단계 303에서의 검사과정은 상기 문서가 잠금 상태가 아닌 것으로 밝혀질 때까지 반복되며, 이때, 상기 사서 링커(4)는 링크된 문서 서버(4)에 통보하고(단계 304),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결과 파일을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한다.
상기 단계 301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부여하게 되는 경우인, 상기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 내에 대응되는 결과 파일이 없는 경우이거나, 상기 단계 302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부여하게 되는 경우인, 상기 결과 파일이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 내에는 존재하지만 전자문서 저장부(3) 내부의 원래 문서가 갱신된 경우에는, 상기 사서 링커(4)는 사서 액세스 정보를 가지고 새로운 결과 파일을 생성한 후(단계 305), 이 새로운 결과 파일을 상기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에 남기고, 결과 파일이 준비된 것을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에게 통보한다(단계 306). 상기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 내에 동일한 문서에 대한 이전의 결과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결과 파일이 이전의 결과 파일을 대체하게 된다.
도 21은 도 20의 결과 파일 생성 단계 305를 나타낸 것이다. 사서 링커(4)는 새로운 결과 파일을 생성하고 록(lock)을 걸음으로써 개시한다(단계 508). 결과 파일에 록을 거는 것과 록을 해제하는 것은, 예를 들어 상기 결과 파일의 디렉토리 정보 내부의 액세스 허용 비트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새로운 결과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이전의 결과 파일은, 만일 존재한다면, 삭제된다. 그후, 결과 파일 내부에 단어와 태그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 1 실시예(도 7)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단계 502, 503, 504, 505, 506 및 507이 수행된다. 상기 단계 503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부여하는 경우인, 어떠한 미처리된 단어도 남아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서 링커(4)는 결과 파일의 록을 해제하여(단계 509), 그것이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동작은, 사서의 액세스를 종종 더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동일한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동일한 문서로부터의 사서 검색이 반복적으로 요구될 때에는, 결과 파일이 이미 상기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에서 이용 가능하게 때문에, 두 번째 및 그후에는 그 요구에 대한 응답이 가속된다.
시스템의 관점에서는, 추가적인 파일 저장 공간이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를 위해 요구되지만, 상기 문서가 갱신되지 않는 한 그 문서에 대한 결과 파일이 단지 한 번만 생성되기 때문에, 처리에 대한 부하가 감소된다. 문서 내의 단어들이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참조될 것 같은 경우에는, 이러한 장점은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제 3 실시예
전자사전의 포맷의 관점에서 제 3 실시예는 이전의 실시예와는 다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 3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클라이언트 장치(1),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전자문서 저장부(3)와, 대체로 유사한 사서 링커(4)와, 사서내용 추출기(8), 사서내용 저장부(9) 및 전자사전(10)을 구비한다.
상기 전자사전(10)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과 유사한 영일 사전이지만, 어떠한 앵커하는 태그도 삽입되어 있지 않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전자사전이 상기 전자사전(10)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3은 전자사전(10)의 일부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항목은 영단어와 그 아래에 일본어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일본어 의미는 도면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특별한 코드에 의해 종료되고, 그후에는 신규 라인의 코드와, 다음 항목을 수반한다. 상기 특별 코드는, 다음 라인에 있는 단어가 신규 사서 내용의 헤딩이며, 다음의 특별 코드까지의 후속 라인 또는 라인들에 있는 정보는 헤딩에서 주어진 단어의 의미라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전자사전(10)은 도 23에 도시된 포맷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포맷이 항목의 헤딩과 의미를 인식되도록 하는 한, 다른 포맷의 전자사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는 사서 링커(4)로부터 단어를 받고, 이 단어를 전자사전(10)에서 찾아, 단어와 그것의 의미를 포함하는 그 단어의 내용을 사서내용 저장부(9) 내에 독립된 문서로서 저장하며,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 내의 내용의 저장위치를 부여하는 정보를 사서 링커(4)에게 제공한다. 예를들면, 사서내용 추출기(8)는 각각의 검색된 내용을 사서내용 저장부(9)에 별개의 파일로 저장하고,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에 파일명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의 내용은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읽혀질 수 있다.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된 파일은 하이퍼텍스트 문서로 취급되므로,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모드 버튼을 부가하지 않는다.
상기 전자사전(10)은 전자문서 저장부(3)와 동일한 형태의 저장장치 상에 단일의 파일로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서 링커(4), 사서내용 추출기(8), 사서내용 저장부(9) 및 전자사전(10)은 모두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전자문서 저장부(3)와 동일한 컴퓨터 시스템 및 워크스테이션에 통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서 링커(4), 사서 내용 추출기(8), 사서내용 저장부(9) 및 전자사전(10)은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전자문서 저장부(3)가 존재하는 시스템 또는 워크스테이션에 연결되거나, 통신 라인에 의해 그 시스템 또는 워크스테이션에 링크된 다른 컴퓨터 시스템, 워크스테이션 또는 특별한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클라이언트 장치(1) 및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3 및 도 4의 흐름도에 따라 동작한다. 전자문서 저장부(3)로부터 하이퍼텍스트가 아닌 문서를 검색할 때에,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도 5에 도시된 것 같이 사서모드 버튼을 추가한다.
사서 링커(4)는 도 24의 흐름도에 따라 동작한다. 단계 500, 501, 502 및 503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지만, 미처리된 단어가 단계 503에서 남아있는 경우에는, 사서 링커(4)는 사서내용 추출기(8)가 그 단어를 처리하도록 명령한다(단계 510). 이러한 처리과정은 보통 사서내용 저장부(9)에 그 단어에 대한 사서내용의 저장을 야기한다. 그후, 사서 링커(4)는 그 단어를 사서내용 저장부(9) 내의 사서내용에 링크하는 하이퍼텍스트 태그를 생성하고(단계 511), 그 단어와 이들 태그를 결과 파일에 기록한다(단계 506). 미처리된 단어가 더 이상 남아있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결과 파일을 출력한다(단계 508).
도 25는 도 14의 문서에 대해 사서 링커(4)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결과 파일은, 하이퍼텍스트 참조가 도 25의 최종 라인의 "/dic/keep/storehouse"와 같이 사서내용 저장부(9) 내의 파일명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6의 결과 파일과 유사하다. 이러한 참조에서, "dic/keep/"은 사서내용 저장부(9)의 디렉토리명이고, "storehouse"는 단어 "storehouse"에 대한 사서 항목이 저장된 파일명이다.
도 26은 사서내용 추출기(8)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단어를 처리하도록 주어지면, 사서내용 추출기(8)는 먼저 이 단어에 대한 항목이 이미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400). 그 항목이 아직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사서내용 추출기(8)는 그 단어를 전자사전(10)에서 찾으려 시도한다(단계 401). 그 단어가 전자사전(10)에 정의되어 있으면, 사서내용 추출기(8)는 전자사전(10)으로부터 그 단어에 의해 표제가 붙여진 항목을 읽고, 그 항목을 사서내용 저장부(9) 내의 파일에 저장한다(단계 402). 이 파일의 파일명은 찾으려는 단어이고, 파일 내용은 전자사전(10)으로부터 읽힌 항목이다. 그후, 사서내용 추출기(8)는 파일명을 사서 링커(4)에 건네준다(단계 403). 이에 따라, 단어의 처리가 완료된다.
단어가 사전 내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401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수반하여,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는 미지어가 사서내용 저장부(9)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단계 404). 상기 미지어 파일은, 예를 들어 "unknown_words"와 같이 소정의 이름을 갖는다. 상기 단계 404는 디렉토리 "/dic/keep/"에서 이 파일명을 검색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에 어떠한 미지어 파일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서내용 추출기(8)는 그 파일을 생성하여(단계 405), 그 미지어 파일에 상기한 소정의 이름을 부여한다. 파일 내용은, 예를 들어 그 단어가 사서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일본어 메시지, 특히 도 18에 예시된 메시지이다. 그후,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는 단계 403에서 상기 미지어 파일명을 사서 링커(4)에게 건네주어, 미지어 처리과정을 완료한다.
미지어 파일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404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제공하여, 사서내용 추출기(8)는 새로운 미지어 파일을 생성하지 않고 이 파일명을 사서내용 저장부(9)에 건네준다(단계 403). 단어의 내용이 이미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400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제공하여, 중간단계 401 및 402를 건너뛰면서,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는 단계 403으로 곧바로 진행하여, 그 내용의 파일명을 사서 링커(4)에 건네주게 된다.
다음에는, 사용자가 도 14에 도시된 "Global Slogan" 문서를 검색하고 포인팅 장치로 이 문서에서 사서모드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 일어나는 동작에 초점을 맞추어, 제 3 실시예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다른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행된다.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는 처음에 비어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전자사전(10)은 "Global Slogan" 문서 내의 단어 "vast"를 제외한 모든 단어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서모드 버튼의 선택은 클라이언트 장치(1)가 명령어 "/cgi-bin/into_the_dic"을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하도록 하며, 링크된 문서 서버(2)가 사서 링커(4)를 활성화시키도록 한다. 링크된 문서 서버(2)로부터 "Global Slogan" 문서의 복사본을 얻고, 새로운 결과 파일을 생성하여, 형태소 분석을 수행한 후에, 사서 링커(4)는 이 문서의 첫 번째 단어("we")를 사서내용 추출기(8)로 보낸다.
사서내용 추출기(8)는 "we"에 대한 항목이 이미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특히, 사서 링커(4)는 사서내용 저장부(9)의 "/dic/keep/" 디렉토리에서 "we"라고 명명된 파일을 찾는다. 상기한 가정에 의해, 이러한 파일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서 링커(4)는 다음에 전자사전(10)에서 단어 "we"를 찾아, 이 단어에 대한 전체 내용을 읽어, 그 내용을 사서내용 저장부(9)에 "/dic/keep/we"라는 새로운 파일로 저장하고, 파일 서술자 "/dic/keep/we"를 사서 링커(4)로 보낸다. 결과 파일의 첫 번째 라인에서와 같이, 사서 링커(4)는 라인 <A HREF = "/dic/keep/we">We</A>를 기록한다.
다음의 2개의 단어 "draw" 및 "on"은 이와 유사하게 처리되어, 사서내용 저장부(9)에 "/dic/keep/draw" 및 "/dic/keep/on"이라고 명명된 파일을 생성한다. 그러나, 단어 "vast"는 전자사전(10)에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서내용 추출기(8)는 미지어가 이미 사서내용 저장부(9)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한 가정에 의해, 이러한 미지어 파일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서내용 추출기(8)는 도 18에 도시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dic/keep/unknown_words"라는 파일을 생성하고, 그 파일명을 사서 링커(4)로 보낸다. 사서 링커(4)는 결과 파일에 <A HREF = "/dic/keep/unknown_words">vast</A> 라인을 기록한다.
"Global Slogan" 문서 내의 나머지 단어는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단어 "from"은 2번 나타난다. 처음에는, 사서내용 추출기(8)는 이 단어에 대한 내용을 전자사전(10)으로부터 읽어, 사서내용 저장부(9) 내에 "/dic/keep/from"이라 명명된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명 "/dic/keep/from"을 사서 링커(4)로 보낸다. 두 번째는, 사서내용 추출기(8)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지 않고, 단지 파일명 "/dic/keep/from"을 사서 링커(4)로 보낸다. 매번, 사서 링커(4)는 결과 파일에 새로운 라인 <A HREF = "/dic/keep/from">from</A>를 기록한다.
모든 단어가 처리되면, 상기 결과 파일이 사서 링커(4)로부터 링크된 문서 서버(2), 그후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되어, 사용자는 도 15에 도시된 스크린을 보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단어 "storehouses"를 포인팅 장치로 선택하면, 클라이언트 장치(1)는 이 단어에 선행하는 분에 보이지 않는 하이퍼텍스트 태그 내에 포함된 파일 서술자 "/dic/keep/storehouse"를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한다. 링크된 문서 서버(2)는 "/dic/keep/storehouse"라고 명명된 파일을 사서내용 저장부(9)로부터 검색하여, 이 파일을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한다. 그후, 클라이언트 장치(1)는 "storehouse"의 일본어 의미를 나타내는 도 27의 스크린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도 27의 스크린 상에서 "뒤로" 버튼을 선택하면, 클라이언트 장치(1)는 다시 도 15에 도시된 스크린을 표시한다. 만일, 사용자가 다음에 단어 "vast"를 선택하면, 클라이언트 장치(1)는 파일 서술자 "/dic/keep/unknown_words"를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하게 된다.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내용 저장부(9)로부터 "/dic/keep/unknown_words"라고 명명된 파일을 검색하여, 이 파일을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하여, 도 18에 도시된 스크린을 표시함으로써, 선택된 단어가 사서에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사용자에게, 제 3 실시예는, 사용자가 단어를 찾을 때 한 번에 단지 하나의 의미만이 나타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것의 한가지 이점은, 링크된 문서 서버(2)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1)로 더 적은 양의 정보가 전송되어진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점은, 사용자가 원하는 것만이 보이므로, 다른 단어의 의미에 의해 혼란을 받지 않고, 희망하는 의미를 신속하게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제 1 실시예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속도 및 효율면에서는, 제 3 실시예는 대체로 상기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중간이다. 동일한 문서에 대해 사서 액세스 모드가 반복적으로 선택된 경우에, 두번째 및 그후에는 실제적인 사서의 참조과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에서보다 신속하게, 그러나, 사서 링커(4)가 매번 결과 파일을 여전히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링크된 문서 서버(2)에서와 같이 신속하지는 않게, 결과 파일이 클라이언트 장치(1)로 되돌려진다.
그러나, 일련의 서로 다른 문서에 대해 사서 액세스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공통된 단어들이 이미 사서내용 저장부(9) 내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두 번째 및 다음의 문서에 대해서는 제 3 실시예가 상기 제 2 실시예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내용 저장부(9)의 크기는 전자사전(10)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는 반면에,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저장부(6)는 많은 문서에 대한 결과 파일이 저장될 경우에는 매우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전자문서 저장부(3)는 메모리 효율의 관점에서 제 2 실시예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제 3 실시예의 중요한 이점은 전자사전(10)이 삽입된 태그를 가질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전자사전이 그것의 현존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액세스될 수 있는 사서의 개수를 크게 증가시킨다.
도 28 내지 도 30은 사서내용 저장부(9) 내에 미지어 파일을 생성하지 않는 제 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단계 401에서 미지어와 마주치면, 사서내용 추출기(8)는 미지어 플래그(flag)를 설정한 후(단계 406), 사서내용 저장부(9)에 어떠한 파일도 생성하지 않고, 처리과정을 종료한다. 이 단계 406은 도 26에 있어서 단계 404 및 단계 405를 대체한다. 단계 400, 401, 402 및 403은 도 26에서와 동일하다.
도 29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사서내용 추출기(8)에 의해 처리된 단어를 받은 후, 사서 링커는 상기 미지어 플래그를 검사한다(단계 512). 미지어 플래그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사서 링커(4)는 단계 511을 건너뛰고, 그 단어를 부착된 태그없이 결과 파일에 기록한다. 미지어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서 링커(4)는 도 24에서와 같이 단계 511 및 506을 모두 수행한다. 도 29에 도시된 나머지 단계는 도 24에서의 대응되는 단계와 동일하다. 비록, 도 28 및 도 29에 명시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서 링커(4)가 사서내용 추출기(8)를 활성화시킬 때마다, 상기 미지어 플래그가 해제된다.
도 30은 도 14에서 사서모드 버튼이 선택되고 단어 "vast"가 전자사전(10)에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 이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사서 링커(4)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결과 파일에서 처음 3개의 라인과 다섯 번째 라인은 도 25에서와 동일하지만, 단어 "vast"는 4번째 라인에 그대로 나타난다.
이 결과 파일이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되면, 사용자는 단어 "vast"에 밑줄이 그어지지 않은 도 17에 도시된 화면을 보게 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 같이, 상기 변형예는 그 단어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사전에 경고한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제 4 실시예
도 31을 참조하면, 제 4 실시예는,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클라이언트 장치(1), 전자문서 저장부(3) 및 전자사전(10)과, 제 3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한 링크된 문서 서버(2), 사서 링커(4) 및 사서내용 추출기(8)를 구비하지만, 사서내용 저장부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는 링크된 문서 서버(2)와 직접 통신하지만, 사서 링커(4)와는 통신하지 않는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된 문서 서버(2)는 2가지 형태의 명령, 즉 태그 부착 명령 및 사서 참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명령어 처리과정이 변경된다. 단계 200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후에는,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먼저 수신된 정보가 명령어인가를 판정한다(단계 208). 수신된 정보가 명령어가 아닌 경우에는,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처리과정을 진행한다(단계 202, 204, 205 및 206). 수신된 정보가 명령어이면,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단계 201로 진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태그 부착 명령어인지를 판정한다.
명령어가 태그 부착 명령어이면,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기술된 것 같이 진행한다(단계 203 및 단계 207). 상기 명령어가 태그 부착 명령어가 아닌 경우에는, 그 명령어는 사서 참조 명령어로, 링크된 문서 서버(2)가 사서내용 추출기(8)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처리한다(단계 209).
도 33을 참조하면,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활성화되었을 때, 사서 링커(4)는 적절한 문서 파일의 복사본을 얻어, 결과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형태소 분석을 수행한다(단계 500, 501 및 502). 그러나, 단계 503에서 발견된 각각의 미처리된 단어에 대해서는, 사서 링커(4)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부착된 하이퍼텍스트 참조 태그 대신에, 사서 참조 명령 태그 및 종료 태그를 부착한다(단계 504). 그후, 상기 단어와 부착된 사서 참조 명령 태그 및 종료 태그는 결과 파일에 기록된다(단계 506). 그 문서 내의 모든 단어에 대해 사서 참조 명령 태그가 부착될 때까지 이러한 처리과정은 계속되고, 이때, 결과 파일이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출력되며(단계 508), 사서 링커(4)의 처리과정이 종료한다.
도 34는 도 14의 "Global Slogan" 문서에 대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4)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사서 참조 명령은 "/cgi-bin/pic_dic?"으로 시작한다. 도 34의 첫 번째 라인에 있어서, 의문 부호의 뒤에는 찾으려는 단어, 즉 "we"가 따라온다. 명령어가 수행되면, 상기 사선용 추출기(8)는 명령어 처리기로서 활성화되며, 의문 부호 뒤에 따라오는 단어는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로 파라미터로서 보내진다.
도 35는 사서내용 추출기(8)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활성화되었을 때,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는 제공된 단어를 전자사전(10)에서 찾는다(단계 401). 이 단어가 전자사전(10)에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서내용 추출기(8)는 그 단어에 대한 전체 사서 내용을 추출하여(단계 408), 그 내용을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출력한다. 그 단어가 상기 사전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는 미지어 메시지를 생성하여(단계 410), 이 메시지를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출력한다(단계 409). 이러한 미지어 메시지의 내용은, 예를 들어 그 특정한 단어를 사서에서 발견할 수 없다는 일본어 문장이다. 이 처리과정 중에,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는 사서 내용 또는 미지어 메시지를 남겨두기 위한 임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14에서 사서모드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발생하는 동작에 다시 초점을 맞추어, 제 4 실시예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서모드 버튼의 선택은 동일한 태그 부착 명령을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하도록 한다.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 링커(4)를 활성화시켜, 도 34에 도시된 것 같이, 그 문서 내의 모든 단어에 대해 사서 참조 명령 태그를 부착함으로써 결과 파일을 신속하게 생성한다. 이 결과 파일은 도 15에 도시된 것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1)에 표시되는데, 하이퍼텍스트 링크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하여 모든 단어에 밑줄이 그어져 있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단어 "storehouses"를 선택하면, 클라이언트 장치(1)는 링크된 문서 서버(2)로 부착된 사서 참조 명령 "/cgi-bin/pic_dic?storehouse"를 전송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내용 추출기(8)를 활성화시켜 이 명령을 수행하고, 단어 "storehouses"를 파라미터로서 사서내용 추출기(8)로 보낸다.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는 전자사전(10)에서 단어 "storehouse"를 찾아 그 단어에 대한 사서 내용을 반송하며, 그것은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되어 도 27에서와 같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전자사전(10)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vast"와 같은 단어를 선택하면, 사서내용 추출기(8)는 "vast wa jisho ni arimasen"과 같이 메시지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vast"는 밑줄친 단어이고, "wa jisho ni arimasen"은 "는 사서에 없습니다"라는 의미의 일본어 단어이다. 이 메시지는 링크된 문서 서버(2)로 반환되고,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되어, 표시된다.
사용자에게, 제 4 실시예는, 미지어 메시지가 사전에서 찾을 수 없는 단어를 지명한다는 약간의 차이점을 지니면서, 상기 제 3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게 작동되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속도 면에서는, 사서의 참조과정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도 15의 화면이 제 3 실시예에서 더 보다 신속하게 생성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 화면에서 단어를 선택하면, 사서내용 추출기(8)가 그 단어를 전자사전(10)에서 검색해야 하기 때문에, 그 의미(즉, 미지어 메시지)는 제 3 실시예에서보다 느리게 반송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실시예는 짧은 문서 내에서 다수의 단어를 찾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유리한 반면에, 제 4 실시예는 긴 문서 내에서 적은 단어를 찾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유리하다.
시스템의 관점에서는, 제 4 실시예는 사서내용 저장부가 없으므로 매우 작은 메모리를 요구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사용자가 사전을 찾기 위해 선택하는 단어를 추출하는데 있어서 시간이 허비되지 않는다는 또 다른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동일한 단어를 반복적으로 찾게 되면, 사서내용 추출기(8)는 상기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오직 한 번 활성화되는 대신에, 매번 활성화되어야 한다.
제 5 실시예
제 5 실시예는 상기 제 3 실시예와 제 4 실시예의 장점을 결합한 것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 5 실시예는,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클라이언트 장치(1), 전자문서 저장부(3) 및 전자사전(10)과, 대체로 유사한 링크된 문서 서버(2), 사서 링커(4), 사서내용 추출기(8) 및 사서내용 저장부(9)를 구비한다. 이들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관계는, 사서내용 추출기(8)가 사서 링커(4) 대신에 링크된 문서 서버(2)와 통신하고 사서 링커(4)가 사서내용 저장부(9)를 액세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제 3 실시예와 차이가 난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서와 같이, 링크된 문서 서버(2)는 클라이언트 장치(1)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문서 저장부(3)로부터 검색된 문서를 반송한다.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 링커(4)로부터 결과 파일과 사서내용 저장부(9)로부터 사서 내용을 얻어, 이것들을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클라이언트 장치(1)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응답하여 사서 링커(4)와 사서내용 추출기(8) 모두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사서내용 추출기(8)로부터 사서 내용을 얻을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의 이들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가 태그 부착 명령을 수신하면, 사서 링커(4)가 활성화된다. 도 37을 참조하면, 사서 링커(4)는 적절한 문서 파일의 복사본을 얻어, 결과 파일을 생성하고,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며, 문서 파일 내의 단어들을 하나씩 처리하고, 모든 단어가 처리되었을 때 결과 파일을 출력한다. 이들 단계들(단계 500, 501, 502, 503 및 508)은 상기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서와 동일하지만, 각 단어에 대한 처리과정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처리과정과는 다르다.
단계 503에서 미처리된 단어가 발견된 경우에는, 사서 링커(4)는 먼저 그 단어에 대한 사서 내용이 사서내용 저장부(9)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516). 그 단어에 대한 사서 내용이 이미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사서 링커(4)는 그 단어를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된 사서 내용과 링크하는 태그를 생성하고(단계 511), 그 단어와 이들 태그를 결과 파일에 기록한다(단계 506). 단계 516 및 511을 따를 때 상기 결과 파일에 기록되는 라인은 도 25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기록된 라인과 유사하다.
상기 단어의 사서 내용이 사서내용 저장부(9)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서 링커(4)는 사서 참조 명령 태그를 생성하고(단계 514), 이 사서 참조 태그가 붙은 단어 및 종료 태그를 결과 파일에 기록한다(단계 506). 단계 516 및 514를 따를 때 결과 파일에 기록된 라인은 도 34에 도시된 것 같은 제 4 실시예에서 기록된 라인과 유사하다.
도 38은 단어 "we" 및 "on"에 대한 사서 내용이 이미 사서내용 저장부(9) 내에 저장되어 있고 단어 "draw", "vast" 및 "storehouses"에 대한 사서 내용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We draw on vast storehouses..."로 시작하는 문서에 대해 사서 링커(4)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태그의 의미는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가 사서 참조 명령을 수신할 때 사서내용 추출기(8)가 활성화된다. 상기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서내용 추출기(8)는 단어를 명령어 파라미터로서 수신한다. 도 39를 참조하면,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는 상기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단어가 전자사전(10)에 정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개시된다(단계 401). 단어가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서내용 추출기(8)는 전자사전(10)으로부터 단어의 사서 내용을 추출하고, 상기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 내용의 복사본을 사서내용 저장부(9) 내에 파일로서 저장한 다음(단계 402), 그 내용을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출력한다(단계 409). 단어가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4 실시예와 같이 미지어 메시지를 생성하여(단계 410), 이 메시지를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출력한다(단계 409).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5)의 전체적인 동작은 상기한 설명 및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사서모드 버튼을 선택하면, 사서 링커(4)는 어떠한 실제적인 사서 참조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결과 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것의 의미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때, 단어들이 전자사전(10)에서 하나씩 찾아진다. 그러나, 상기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서 내용이 사서내용 저장부(9) 내에 저장되므로, 그 단어의 정의가 요구되는 다음 번에는 동일한 단어를 전자사전(10)에서 찾을 필요가 없게 된다.
전자사전(10)이 액세스되지 않고 사서 내용이 전자사전(10)으로부터 사서내용 저장부(9)로 복사되지 않기 때문에, 제 5 실시예에서의 결과 파일은 상기 제 3 실시예에서보다 신속하게 출력된다. 그러나, 각 쌍의 태그를 생성하기 이전에 사서 링커(4)가 사서내용 저장부(9)를 검사하여야 하기 때문에, 결과 파일의 출력은 상기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빠르지는 않다.
단어의 정의가 요구되는 첫 회에는 제 5 실시예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속도로 의미를 반송한다. 그러나, 사서 참조 명령이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의미는 상기 제 3 실시예 정도로 신속하게 반송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동일한 단어의 의미가 반복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는, 제 5 실시예는 사서 참조 명령을 수행하지 않고, 사서내용 저장부(9)로부터 그 의미를 검색하므로, 의미가 상기 제 3 실시예 정도로, 그리고 상기 제 4 실시예보다는 신속하게 반송된다.
시스템의 효율면에서는, 단어들을 불필요하게 전자사전(10)에서 찾지 않고, 동일한 단어를 두번 이상 전자사전(10)에서 찾지 않으며, 아무도 보기를 원하지 않는 사서 내용은 사서내용 저장부(9) 내에 불필요하게 저장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 5 실시예는 상기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 모두에 비해 장점을 갖는다.
제 6 실시예
제 6 실시예도 상기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의 장점을 결합한 것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제 6 실시예는,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클라이언트 장치(1), 전자문서 저장부(3), 사서내용 저장부(9) 및 전자사전(10)과, 상기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사서 링커(4)와, 상기 제 5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대체로 유사한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사서내용 추출기(8)를 구비한다.
제 6 실시예에서의 링크된 문서 서버(2)와 상기 제 5 실시예에서의 링크된 문서 서버(2)와의 유일한 차이점은, 제 6 실시예에서의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내용 저장부(9)를 직접 액세스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활성화되었을 때, 사서내용 추출기(8)는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명령어 파라미터로서 공급된 단어에 대한 사서 내용이 이미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단계 400). 이 단계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단계와 동일하다. 사서 내용이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서내용 추출기(8)는 이 사서 내용을 사서내용 저장부(9)로부터 읽어(단계 412), 읽은 사서 내용을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출력한다(단계 409).
사서 내용이 사서내용 저장부(9)에 아직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서내용 추출기(8)는 상기 제 5 실시예에서와 같이 진행하여, 전자사전(10)에서 그 단어를 찾아(단계 401), (찾은 경우에는) 그것의 사서내용을 사서내용 저장부(9)에 복사하거나(단계 402), 미지어 메시지를 생성하고(단계 410), 사서 내용 또는 미지어 메시지를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출력한다(단계 409).
다음에는, 사용자가 사서모드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링크된 문서 서버(2)로 태그 부착 명령을 전송하는 시점에서 개시하면서, 제 6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 링커(4)를 활성화시키며, 사서 링커는 사서 참조 명령 태그를 그 문서 내의 모든 단어에 부착한다. 사서 링커(4)는 도 33의 흐름도에 따라 동작하여, 도 3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결과 파일을 생성한다. 이 파일은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되어, 도 15에서와 같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도 15의 화면에서 단어 "storehouses"를 선택하면, 명령어 "cgi-bin/pick_dic?storehouse"가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되어, 도 41의 흐름도에 따라 사서내용 추출기(8)에 의해 수행된다. "storehouse"에 대한 사서 내용이 이미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서내용 추출기(8)는 저장된 내용을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신속하게 되돌리고, 문서 서버는 그것을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한다. "storehouse"에 대한 사서 내용이 아직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서내용 추출기(8)는 이 내용을 전자사전(10)으로부터 얻어, 얻어진 내용을 링크된 문서 서버(2)로 반송하며, 차후의 사용을 위하여 이 내용을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전자사전(10)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단어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서내용 추출기(8)는 그 선택된 단어가 사서에 없다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서 내용 대신에 이 메시지를 반송한다.
따라서, 사서 링커(4)가 사서내용 저장부(9)나 전자사전(10)을 액세스하지 않고 태그를 부착하기 때문에, 결과 파일을 신속히 반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 6 실시예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장점을 갖는다. 이 점에서, 제 6 실시예는 상기 제 3 및 제 5 실시예보다 빠르다.
개별적인 단어들의 의미를 반송함에 있어서, 그 단어를 이전에 찾았다면, 사서 내용을 전자사전(10) 대신에 사서내용 저장부(9)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서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는 상기 제 4 실시예보다 대체로 빠르지만, 그 단어를 이전에 찾은 적이 없다면, 전자사전(10)으로부터 얻어지기 이전에 사서 내용을 사서내용 저장부(9)에서 검색하고, 전자사전(10)으로부터 얻어진 이후에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 4 실시예보다는 느리다. 상기한 모든 경우에 있어서, 제 6 실시예는 상기 제 5 실시예보다는 느리다. 그 단어를 이전에 찾은 적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 5 실시예는 이 경우에 명령어 실행과정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제 6 실시예는 제 5 실시예보다 느리다.
상기 제 6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특별하게 요구될 때까지는 사서 내용이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되지 않아, 아무도 찾으려 하지 않는 불필요한 사서 내용의 저장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 5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 7 실시예
제 7 실시예는, 다른 문서 뿐만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문서에도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도 42를 참조하면, 제 7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클라이언트 장치(1) 및 전자문서 저장부(3)와, 대체로 유사한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사서 링커(4)와, 전자사전(15) 및 메뉴 생성기(16)를 구비한다.
상기 전자사전(15)은, 상기 제 4 실시예의 사서내용 추출기(8)와 균등한 사서 액세스 소프트웨어와 함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전자사전을 구비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가 사서 참조 명령을 제공하고 단어를 명령어 파라미터로서 공급할 때, 전자사전(15)은 제공된 단어에 대한 사서 내용을 반송한다. 도 27에 도시된 것 같이 하나의 사서 내용이 반송되거나, 도 16에 도시된 것 같이 전자사전(15)은 제공된 단어와 다수의 알파벳순으로 인접한 단어들에 대한 사서 내용을 반송할 수 있다. 공급된 단어가 전자사전(15)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사전(15)은 그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반송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도 43에 도시된 것 같이 동작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로부터 정보를 받으면(단계 200), 링크된 문서 서버(2)는 그 정보가 명령어인지 파일 서술자인지를 판정한다(단계 208). 만일, 그 정보가 파일 서술자이면,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전자문서 저장부(3)로부터 서술된 문서 파일을 취하고(단계 202), 사서모드 버튼을 부가하여(단계 205), 그 문서를 클라이언트 장치(1)로 다시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링크된 문서 서버(2)와 달리, 제 7 실시예의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비록 그 문서가 하이퍼텍스트 문서일지라도, 다른 문서에의 링크를 포함하는 "Dictionary mode" 태그를 부착한다.
만일, 클라이언트 장치(1)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명령어이면,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그 명령어가 태그 부착 명령어인지 사서 참조 명령어인지를 판정한다(단계 201). 명령어가 태그 부착 명령어인 경우에는,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 링커(4)를 활성화시킨 후(단계 203), 사서 링커(4)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을 수신하여, 그 결과 파일에 단순모드 버튼을 부가하고(단계 207), 결과 파일을 클라이언트 장치(1)로 다시 전송한다(단계 206).
명령어가 사서 참조 명령어인 경우에는, 링크된 문서 서버(2)는 그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전자사전(15)에서 단어를 찾는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켜, 전자사전(15)으로부터 사서 항목의 내용 또는 미지어 메시지를 얻는다(단계 210). 그후, 전자사전(15)으로부터 얻은 정보는 문서로서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된다(단계 206).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활성화되었을 때, 사서 링커(4)는 도 44에 도시된 것 같이 동작한다. 링크된 파일 서버(2)로부터 적절한 문서 파일을 얻어(단계 500), 결과 파일을 생성한 후에(단계 501), 사서 링커(4)는 형태소 분석을 수행한다(단계 502). 상기 문서가 하이퍼텍스트 문서인 경우에는, 형태소 분석은 단어를 나타내는 문자열과 문서 내의 태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식별한다. 그후, 이들 문자열은 아무 것도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단계 518에서 부정적인 결과가 얻어질 때까지) 하나씩 처리되며, 이 시점에서 결과 파일이 출력된다(단계 508).
단계 518에서 문서 내에 미처리된 문자열의 존재를 나타내는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는 그 문자열이 단어인지 태그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이다(단계 519). 이 문자열이 태그가 아닌 경우에는, 즉 문자열이 단어인 경우에는, 사서 링커(4)는 그 문자열에 대한 사서 참조 명령어 태그를 생성한다(단계 520). 예들 들어, 문자열 "Corporate"에 대해서, 생성된 태그는 <A HREF = "/cgi-bin/look_up?corporate">이다. 이 태그에 있어서, "/cgi-bin/look_up"은 전자사전(15) 내부의 사서 액세스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키는 명령어이고, "corporate"는 전자사전(15)에 명령어 파라미터로 제공되는 찾을 단어이다. 또한, 사서 링커94)는 종료 태그(</A>)를 생성한다. 다음에, 상기 사서 링커(4)는 문자열(상기 예에서는 단어 "Corporate")을 처리되어진 것으로 플래그하고(단계 521), 생성된 태그와 문자열을 결과 파일에 기록한다(단계 506).
상기 문자열이 태그인 경우에는, 단계 519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부여하여, 사서 링커(4)는 그 태그가 링크 태그, 즉 다른 문서에 하이퍼텍스트 참조를 특정한 개시 태그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진행한다(단계 522). 상기 태그가 링크 태그가 아닌 경우에는, 사서 링커(4)는 그 태그 문자열을 처리되어진 것으로 단순히 플래그하고(단계 521), 그 태그 문자열을 결과 파일에 기록한다(단계 506). 그러나, 상기 태그가 링크 태그인 경우에는, 사서 링커(4)는 메뉴 생성기(16)를 활성화시킨 후(단계 523), 상기 메뉴 생성기에 의해 반송된 정보를 결과 파일에 기록한다(단계 506).
상기 사서 링커(4)에 의해 활성화되었을 때, 상기 메뉴 생성기(16)는 사서 링커(4)에 의해 링크 태그인 것으로 확인된 개시 태그에 대한 포인터를 수신한다. 도 45를 참조하면, 메뉴 생성기(16)는 상기 링크 태그 내에 지정된 하이퍼텍스트 참조를 디폴트 메뉴 선택으로 하고 또 다른 선택에 대한 사서 참조를 특정하는 메뉴 개시 명령어 태그를 발생함으로써 개시된다(단계 600). 그 예를 다음에 나타낸다. 상기 메뉴 생성기(16)는, 사서 링커(4)로 되돌려지는 임시 파일 내에 메뉴 개시 명령어 태그를 기록한 후, 상기 개시 태그를 처리되어진 것으로 플래그한다(단계 601).
그후, 메뉴 생성기(16)는 개시 태그에 수반하는 다음 문자열을 검사하여, 이 문자열이 링크의 종료 태그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602). 문자열이 종료 태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메뉴 생성기(16)는 그 문자열이 임의 형태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603). 상기 문자열이 태그가 아닌 경우에는, 즉 그 문자열이 단어인 경우에는, 상기 메뉴 생성기(16)는 문자열을 버퍼에 기록함과 함께, 그 문자열의 사서 형태를 사서 링커(4)에 되돌려질 임시 파일 내에 옵션 라인으로서 기록하고(단계 604), 그 문자열을 처리되어진 것으로 플래그한다(단계 605). 상기 문자열이 태그인 경우에는, 사서 링커(4)는 그 문자열을 임시 파일에 기록하고(단계 606), 그 문자열을 처리되어진 것으로 플래그한다(단계 605). 단계 605 이후에, 상기 메뉴 생성기(16)는 단계 602로 복귀하여, 다음 문자열을 처리한다.
단계 602에서 종료 태그가 나타나면, 상기 메뉴 생성기(16)는 이 태그를 처리되어진 것으로 플래그한 후(단계 607), 상기한 버퍼의 내용을 디폴트 옵션으로 기술하는 선택된 옵션 라인으로서 임시 파일에 기록하고, 메뉴 종료 태그를 추가하여, 상기 임시 파일을 사서 링커(4)로 보낸다(단계 609).
다음에, 제 7 실시예의 전체적인 동작을 앞에서 예시한 "Corporate Guidance" 하이퍼텍스트 문서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이 문서의 파일 서술자는 단어 "guidance"인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2에 도시된 스크린 상에서 "guidance"를 입력하면,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전자문서 저장부(3)에서 "Corporate Guidance" 파일을 얻어, 사서모드 버튼을 추가하고, 결과적으로 얻어진 문서를 도 46에 도시된 형태로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한다. 첫 번째 라인(22)은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추가된 라인으로, "/cgi-bin/into_the_dic" 명령어를 포함하는 개시 태그와 그후의 단어 "Dictionary mode"와 종료 태그를 구비한다. 다른 라인은 그 문서의 포맷팅 태그와 링크 태그를 구비한 본문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 태그 <A HREF = "message">는 파일 서술자 "message"와 회장의 메시지를 갖는 문서에 대한 하이퍼텍스트 참조이다. 클라이언트 장치(1)는 도 47에 도시된 것 같은 문서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도 46에서 사서모드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cgi-bin/into_the_dic/" 명령을 받아 실행함으로써, 사서 링커(4)를 활성화시키고, 사서 링커는 메뉴 생성기(16)를 활성화시킨다. 상시 사서 링커(4) 및 메뉴 생성기(16) 모두는 도 48에 도시된 내용(34)을 갖는 결과 파일을 생성한다.
결과 파일 내용(34)의 첫 번째 라인은 상기한 태그 <A HREF = "/cgi-bin/look_up?corporate">와 그후의 단어 "Corporate" 및 종료 태그(</A>)를 구비한다. 이 뒤에는, 단어 "Guidance"에 대한 유사한 라인이 뒤따른다. 한 쌍의 포맷팅 태그 후에, 태그 <A HREF = "message">로부터 메뉴 생성기(16)에 의해 생성된 메뉴 개시 명령어 태그가 나타난다.
단어 SELECT는 이 명령어 태그를 메뉴 개시 태그로서 식별한다. 메뉴명은 "select1"으로 주어진다. "select1", "select2" 등과 같이 임의의 명칭이 할당될 수 있다. 다음에, "onFocus = 'ref(message)'"는 디폴트 메뉴 선택이 파일 서술자 "message"를 갖는 문서에 대한 하이퍼텍스트 참조인 것을 나타낸다. 다음의 "onChange = 'lookdic(option)"은, 사용자가 디폴트 선택으로부터 메뉴 선택을 변경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옵션이 전자 사전(15)에서 찾아지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lookdic"은 클라이언트 장치(1)에 의해 수행되는 함수이며, 단어 "option"은 선택된 옵션이 그 함수의 독립변수로써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의 4개의 라인은 메뉴 생성기(16)에 의해 기록된 옵션 라인으로, 단어 "Message", "from", "the" 및 "President"의 사서 형태를 구비하며, 이들 각각은 이러한 옵션이 주어진 단어의 사서 내용을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OPTION> 태그가 선행되고 부호 "(dic)"를 수반한다.
이들 라인 뒤에는 "select1" 메뉴의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태그인 </SELECT>가 따른다. 상기 결과 파일은 "Global Slogan" 및 "OKI Electric at a Glance"에 대한 유사한 메뉴로 연속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하이퍼텍스트 참조로서 "guidance"를 부여하는 초기 라인(35)을 부가함으로써 이 결과 파일에 단순모드 버튼을 추가하고, 결과적으로 얻어진 문서를 클라이언트 장치(1)로 전송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는 도 4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신된 문서를 표시한다. 단어 "Corporate" 및 "Guidance" 아래의 밑줄은, 이들 단어를 사서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3개의 항목 "Message from the President", "Global Slogan" 및 "OKI Electric at a Glance"는 앞으로 메뉴를 호출하는 버튼으로 표시된다.
만일,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로 단어 "Corporate"를 선택하면,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명령어 "/cgi-bin/look_up?corporate"를 받아 실행하여, 전자사전(15)이 이 단어에 대한 사서 내용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그후, 사용자는 "corporate"에 대한 일본어 의미가 "storehouse"의 의미 대신에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6 또는 도 27과 유사한 화면을 보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Message from the President" 버튼을 선택하면, 도 48에 도시된 태그 및 다른 정보는 클라이언트 장치(1)로 하여금, 도 50에 도시된 것 같이, 선택된 버튼 옆에 메뉴를 표시하게 한다. 이 메뉴에서, 선단 라인 "Message from the President"는 이 메뉴가 디폴트 선택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하이라이트된다.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 상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 선택사항을 선택하면, 예를 들어, 파일 서술자 "message"는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되며, 문서 서버는 대응하는 문서를 반송하여, 사용자는 그 자신이 도 47의 화면에서 "Message from the President"를 선택한 것처럼 회장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사용자가 단어 "message"의 일본어 의미를 알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도 51에 도시된 것 같이 메뉴 선택사항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메뉴 항목이 선택될 때, 클라이언트 장치(1)는 단어 "message"를 독립변수로 하여 도 48에 도시된 "lookdic" 함수를 수행한다. 이 함수는 "/cgi-bin/look_dic?message" 명령을 생성하여 링크된 문서 서버(2)로 전송한다. 이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전자사전(15)으로부터 "message"에 대한 사서 내용을 얻어, 이 사서 내용을 클라이언트 장치(1)로 반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message"의 일본어 의미를 보게 된다.
제 7 실시예는, 사서모드 버튼이 선택된 때 대신에, 특별히 요구되었을 때에 사서 내용을 찾을 수 있다는 점과, 사서 내용 및 결과 파일은 저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점에 있어서, 제 7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한 것 같은 메뉴를 사용함으로써, 제 7 실시예는 다른 문서 뿐만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문서로부터의 사서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상당히 유리하게 된다.
제 7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4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뉴 개시 태그 및 옵션 태그는 전자문서 저장부(3)에 저장된 문서 파일 내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하이퍼텍스트 링크에서 나타나는 단어에 대한 더욱 신속한 사서 액세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문서 파일이 외국어로 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가 하나의 하이퍼텍스트 문서로부터 다른 문서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더 상세히 읽기를 원하는 문서에 액세스할 때, 문서 상의 사서모드 버튼을 선택하여, 사서 참조 명령어 태그가 문서 내의 모든 단어에 부가되도록 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전자문서 저장부(3) 내에 저장된 메뉴 태그가 부착된 문서를 생성하기 위해 메뉴 생성기(16)가 사용된다.
제 8 실시예
제 8 실시예 또한 하이퍼텍스트 문서로부터의 사서 액세스는 제공하지만, 사서 액세스 모드에서 다른 문서에 대한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제거함으로써 사서 액세스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도 52를 참조하면, 제 8 실시예는, 상기 제 7 실시예와 동일한 클라이언트 장치(1), 전자문서 저장부(3) 및 전자사전(15)과, 대체로 유사한 문서 서버(2) 및 사서 링커(4)와, 링크 제거기(17)를 구비한다. 상기 링크 제거기(17)는 링크된 문서 서버(2)와 사서 링커(4) 모두와 통신한다.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다음의 점에 있어서 제 7 실시예에 있어서의 링크된 문서 서버(2)와 차이가 난다: 태그 부착 명령을 수신하면, 사서 링커(4)를 활성화시키는 대신에,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링크 제거기(17)를 활성화시킨다. 그후, 링크 제거기(17)는 사서 링커(4)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 링커(4)로부터 결과 파일을 얻는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활성화되었을 때, 링크 제거기(17)는 도 53에 도시된 것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기 링크 제거기(17)는, 링크된 문서 서버(2)가 전자문서 저장부(3)로부터 적절한 문서 파일을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태그 부착 명령이 생성되어진 문서의 복사본을 얻는다(단계 700). 다음에, 상기 링크 제거기(17)는 이 문서가 하이퍼텍스트 문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701).
그 문서가 하이퍼텍스트 문서인 경우에는,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임시 파일을 열어(단계 702), 문서의 상단으로부터 문자열을 읽기 시작하며, 모든 문자열이 읽혀진 채 남아있을 때까지 계속 읽는다(단계 703). 문자열을 읽는 동안에, 상기 링크 제거기(17)는 다른 파일에 대한 하이퍼텍스트 링크의 개시 또는 종료 태그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찾는다(단계 704). 이러한 태그가 읽혀지면, 이 태그를 구성하는 문자열은 버려지고, 처리과정은 단계 703으로 복귀한다. 나머지 문자열이 임시 파일에 기록된 후(단계 705), 처리과정은 단계 703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문자열이 처리되어지면, 임시 파일은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제외한, 하이퍼텍스트 문서의 전체 내용을 구성한다. 그후, 사서 링커(4)가 활성화되어, 상기 임시 파일은 상기 사서 링커(4)로 보내진다(단계 706).
단계 701에서 문서가 하이퍼텍스트 문서가 아닌 것으로 밝혀지면, 그 문서는 변경되지 않고 사서 링커(4)로 보내진다(단계 706).
상기 링크 제거기(17)로부터 임시 파일 또는 변경되지 않은 문서를 수신하면, 사서 링커는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근본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하여, 도 33의 흐름도를 따르게 된다. 상기 제 4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의 사서 링커(4)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제 8 실시예에서의 사서 링커(4)는 단계 500에서 링크된 문서 서버(2)로부터 문서 파일을 받는 대신에 링크 제거기(17)로부터 문서 파일을 수신하며, 단계 514에서 생성된 사서 참조 명령어 태그는 사서내용 추출기 대신에 전자사전(15)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이다. 모든 단어에 대해 이러한 명령어 태그를 생성하고 단어 및 명령어 태그를 결과 파일에 기록한 다음에, 상시 사서 링커(4)는 그 결과 파일을 링크된 문서 서버(2)로 보낸다.
다음에, 제 8 실시예의 전체적인 동작을 다시 "Corporate Guidance" 하이퍼텍스트 문서와 연계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이 문서를 검색하면,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서모드 버튼을 부착하여, 사용자는 도 4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을 보게 된다. 사용자가 사서모드 버튼을 선택하면, 링크 제거기(17)는 링크된 문서 서버(2)로부터 "Corporate Guidance" 문서의 복사본을 얻어,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제거하다. 예를 들어, 도 46에 도시된 <A HREF = "message">와 </A>와 같은 태그가 제거된다. 다음에, 사서 링커(4)는 사서 참조 명령어 태그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태그 <A HREF = "/cgi-bin/look_up?/corporate">와 </A>는 단어 "Corporate"의 전후에 삽입되고, <A HREF = "/cgi-bin/look_up?/message">와 </A>는 단어 "Message"의 전후에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도 54의 화면을 보게 되는데, "Corporate Guidance" 내의 각각의 개별적인 단어는 그 단어를 전자사전(15)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밑줄이 그어진다.
사용자는 포인팅 장치로 도 54의 화면 상에서 그것들을 선택함으로써 단어를 찾을 수 있다. 필요한 모든 단어를 찾은 후에는, 사용자는 단순모드 버튼을 선택하여 도 47의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47로부터, 사용자는 밑줄이 그어진 항목을 포인팅 장치로 선택함으로써 다른 문서를 검색할 수 있다.
사서의 의미를 메뉴 선택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제 7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8 실시예는 사용자가 작동하기에 더 편리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도 54의 화면으로부터 또 다른 링크된 문서로 직접 진행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제 8 실시예는 덜 편리하다.
제 9 실시예
제 9 실시예는, 사서 액세스 정보를 모든 단어에 부착하는 대신에, 이들 정보를 하이퍼텍스트가 아닌 문서 내의 선택된 단어에만 부착한다.
도 55를 참조하면, 제 9 실시예는, 상기 제 8 실시예와 동일한 클라이언트 장치(1), 전자문서 저장부(3) 및 전자사전(15)과, 대체로 유사한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사서 링커(4)와, 링크된 문서 서버(2) 및 사서 링커(4)에 연결된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를 구비한다. 상기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는, 서로 다른 단어의 사서 의미가 요구된 횟수를 나타내는 기록을 유지하고, 이 정보를 링크된 문서 서버(2)로부터 얻어, 요구시 이 정보를 사서 링커(4)로 공급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 사서 링커(4) 및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는, 예를 들어, 모두 동일한 컴퓨터 시스템 또는 워크스테이션에 위치하거나, 2개 또는 그 이상의 별개의 시스템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의 기능은 상기 전자사전(15) 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별도의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는 불필요하게 된다.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도 56에 도시된 것과같이 동작한다.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가 파일 서술자를 수신하면, 문서 서버는 요구된 문서를 얻어, 그 분서가 하이퍼텍스트 문서가 아닌 경우에는 사서모드 버튼을 부착한다(단계 200, 208, 202, 204 및 205). 링크된 문서 서버(2)가 태그 부착 명령을 수신하면, 문서 서버는 사서 링커(4)를 활성화시키고, 사서 링커(4)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에 단순모드 버튼을 부착한다(단계 200, 208, 201, 203 및 207). 이들 단계는 도 32에 도시된 제 4 실시예에서의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수행된 대응되는 단계와 동일하다.
링크된 문서 서버(2)가 사서 참조 명령을 수신하면, 문서 서버는 제 8 실시예에서와 같이 명령을 수행하여(단계 210), 전자 사전(15)으로부터 요구된 단어에 대한 사서 내용을 얻거나, 그 단어가 사전에 없는 경우에는 미지어 메시지를 얻는다. 더우기,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그 단어를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로 보낸다(단계 211).
상기 단계 205, 207 또는 211 이후에,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상기한 처리과정으로부터 얻어진 문서 또는 사서 내용을 클라이언트 장치(11)로 보낸다(단계 211).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활성화되었을 때, 상기 사서 링커(4)는 도 5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태그가 부착된 문서의 복사본을 얻고(단계 500), 결과 파일을 생성하며(단계 501), 형태소 분석을 수행한 후에(단계 502), 상기 사서 링커(4)는 미처리된 단어가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단어를 하나씩 처리한 다음(단계 503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결과 파일을 상기 문서 서버(2)로 출력한다(단계 508).
단계 503에서 미처리어의 존재를 나타내는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사서 링커(4)는,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에게 그 단어가 그 이전에 참조되어진 횟수를 표시하도록 요구하는 명령어와 함께, 그 단어를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로 전송하고, 이 정보를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로부터 수신하여, 그 단어에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단계 525). 이러한 결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일정한 한계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사서 액세스 정보가 과거에 많아야 N회 참조되었던 단어에 부착되는 반면에, 과거에 N회 보다 많이 참조되었던 단어에는 부착되지 않고, 이때 N은 음이 아닌 정수를 나타낸다. 한계치 N은 품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의 값은 관사, 접속사, 대명사 및 전치사에 대해서는 제로로 설정되고, 명사, 동사, 형용사 및 부사에 대해서는 1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서 링커(4)는 관사, 접속사, 대명사 및 전치사에 대해서는 이들 단어가 한 번 참조되어진 이후에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는 것을 중단하지만, 명사, 동사, 형용사 및 부사에 대해서는 이들 단어가 11회 참조되어질 때까지 사서 액세스 정보를 계속 부착한다.
상기 단계 525에서 사서 링커(4)가 하나의 단어에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도록 결정한 경우에는, 사서 링커는 사서 참조 명령어 태그와 대응하는 종료 태그를 생성하고(단계 520), 그 단어와 이들 태그를 결과 파일에 기록한다(단계 506). 상기 사서 링커(4)가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단계 520을 건너뛰고, 단계 506에서 단어 만이 결과 파일에 기록된다. 단계 506 이후에, 사서 링커(4)는 단계 503으로 복귀하여, 다음의 단어를 처리하게 된다.
다음에는,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의 동작을 도 58, 59 및 6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는 도 58에 도시된 것 같이 단어 참조 기록에 관한 테이블을 유지한다. 각각은 기록은, 단어와, 그 단어가 링크된 문서 서버(2)로부터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로 전송되어진 횟수, 즉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가 그 단어에 대해 사서 참조 명령을 수신한 횟수를 포함한다. 이러한 횟수를 참조 빈도라 일컫는다. 도 58의 테이블은, 예를 들어, 단어 "we"가 1회 참조되었으며, 단어 "draw"가 3회 참조되었음을 나타낸다.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단어가 제공된 이후에, 상기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는 도 59에 도시된 것 같이 동작한다. 먼저,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는 그 단어가, 단어 참조 빈도의 테이블에 아직 나타나지 않은 단어를 의미하는 새로운 단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800). 제공된 단어가 이미 나타나 있으면,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는 그것의 참조 빈도를 1 만큼 증가시킨다(단계 801). 만일, 제공된 단어가 아직 나타나지 않은 것이면, 상기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는 단어 참조 계수의 테이블에 새로운 레코드를 생성하고, 제공된 단어를 1의 참조 빈도로 리스트를 만들게 된다(단계 802).
사서 링커(4)에 의해 단어가 제공되었을 때,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는 도 60에 도시된 것 같이 동작한다. 먼저,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는 그 단어가 단어 참조 빈도의 테이블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804). 제공된 단어가 있는 경우에는,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는 그것의 참조 빈도를 사서 링커(4)로 되돌린다(단계 805).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는 제로값의 참조 빈도를 사서 링커(4)로 되돌린다(단계 806).
다음에, 제 9 실시예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초기 화면으로부터 개시하여, 사용자가 "Corporate Guidance" 문서의 파일 서술자를 입력하면, "Global Slogan" 문서에 대한 하이퍼텍스트 링크가 선택되어, ("Corporate Guidance" 문서가 하이퍼텍스트 문서이므로, 사서모드 버튼없이) 처음에는 도 13의 화면을, ("Global Slogan" 문서가 하이퍼텍스트 문서가 아니므로, 사서모드 버튼과 함께) 다음에는 도 14의 화면을 보게 된다.
사용자가 도 14의 화면 상에서 사서모드 버튼을 선택하면, 링크된 문서 서버(2)는 사서 링커(4)를 활성화시키고, 문서 서버는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에 의해 유지된 참조 빈도에 따라 결과 파일을 생성한다. 링크된 문서 서버(2)는 단순모드 버튼을 부가하여, 이 파일을 다시 클라이언트 장치(1)로 보낸다.
도 61은 단어 참조 빈도 테이블이 도 58에 도시된 내용을 갖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로 및 10의 한계치가 사용되었을 경우에,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클라이언트 장치(1)로 되돌려진 결과 파일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1의 첫 번째 라인은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추가된 단순모드 버튼이다. 다음 라인은, 이 단어에 대한 참조 빈도(1)가 대명사에 대한 한계치(0)를 초과하기 때문에, 단어 "We"만을 포함한다. 다음 라인은 사서 참조 명령어 태그 및 종료 태그와 함께, 단어 "draw"를 포함하는데, 이는 이 단어에 대한 참조 빈도(3)가 동사에 대한 한계치(10)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라인들은 사서 링커(4)에 의해 유사하게 생성된다. 클라이언트 장치(1)는 이 결과 파일을 도 62에 도시된 것 같이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제 포인팅 장치로 그것들을 선택함으로써 도 62에서의 밑줄이 그어진 단어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어 "storehouses"를 선택하면, 도 16 또는 도 27에 도시된 것 같은 일본어 의미를 얻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단어 "We"를 선택하면, 이 단어에 대해서는 사서 액세스 태그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의미도 되돌아오지 않으며, 도 62의 화면은 변화되지 않은 채 남아있게 된다.
사용자가 이미 일정한 횟수만큼 찾은 단어에는 밑줄을 긋지 않음으로써,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이들 단어를 이미 (아마) 알고 있는 것이라는 것을 상기시킨다. 더욱 중요하게는, 사용자가 더욱 더 많은 단어를 찾음에 따라, 사서 링커(4)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태그 부착 처리의 양이 차차 감소되고, 사서모드 버튼의 선택에 대한 시스템의 응답이 점점 신속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제 9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사서 링커(4)는 단어의 참조 빈도에 관계없이 문서 내의 모든 단어에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는 한편, 단어의 참조 빈도에 의존하여, 각각의 단어가 표시되는 방식을 변경하는 태그를 부착한다. 예를들면, 이전에 찾은 적이 없는 단어는 청색으로 표시되고, 1 내지 5회 찾은 적이 있는 단어는 녹색으로 표시되며, 5회보다 많이 찾은 적이 있는 단어는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3은 이러한 경우에 사서 링커(4)에 의해 생성된 가상적인 결과 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첫번째 라인의 태그 <FONT =BLUE>는 이 태그와 그후의 종료 태그 </FONT> 사이의 단어는 청색으로 표시되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단어 "We"는 청색으로 표시된다. 녹색 및 적색도 유사하게 특정된다. 이 경우에, 적색은 사용자에게 단어 "vast"가 과거에 적어도 6회 찾은 적이 있다는 것을 알려, 이 단어는 배울 가치가 있는 단어라는 것을 제시한다. 따라서, 표시 색상은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어떠한 단어를 참조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단어가 표시되는 색상을 변경시키는 대신에, 사서 링커(4)는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참조 빈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 아래의 밑줄의 색상이 변경되거나, 이탤릭 및 굵은 글자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0 실시예
제 10 실시예는 상기 제 9 실시예에 학습 기능을 부가한 것이다. 제 10 실시예는 사서 액세스를 위해 단어에 태그가 부착된 횟수와 단어를 찾은 횟수 모두를 추적하고, 빈번하게 태그가 부착되었지만 드물게 참조된 단어에는 태그 부착을 중지한다.
도 64를 참조하면, 제 10 실시예는 제 9 실시예와 동일한 클라이언트 장치(1), 링크된 문서 서버(2), 전자문서 저장부(3), 전자사전(15) 및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와, 대체로 유사한 사서 링커(4)를 구비한다. 또한, 제 10 실시예는, 상기 사서 링커(4)에 연결된 태그 도표작성기(19)와, 사서 링커(4),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 및 태그 도표작성기(19)에 연결된 비율 연산기(20)를 구비한다.
제 10 실시예의 사서 링커(4)는 제 9 실시예의 사서 링커(4)와 유사하게 동작하지만, 2가지 차이점이 있다. 도 65를 참조하면, 한가지 차이점은, 제 10 실시예의 사서 링커(4)는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로부터 제공된 참조 빈도에 근거한 대신에, 비율 연산기(20)로부터 제공된 태그 빈도 및 참조 비율에 근거하여 각 단어에 대해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할 것이지 결정하는 것이다(단계 527). 태그 빈도는 단어, 즉 동일한 사서 형태를 갖는 하나의 단어가 과거에 태그가 부착되어진 횟수를 나타낸다. 참조 비율은 이들 횟수의 어느 정도의 비율이 사용자에 의해 실제적인 단어의 참조를 일으켰는지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사서 링커(4)는 태그 빈도를 제 1 한계치와 비교하며, 참조 비율을 제 2 한계치와 비교한다. 태그 빈도가 제 1 한계치 이하이거나, 참조 비율이 제 2 한계치보다 큰 경우에, 사서 링커(4)는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기로 결정한다. 태그 빈도가 제 1 한계치보다 크고, 참조 비율이 제 2 한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사서 링커(4)는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서 링커(4)는, 그 단어가 아직 5회보다 많이 태그가 부착되지 않고 그 횟수의 10분의 3보다 많이 참조된 경우에,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차이점은, 사서 링커(4)가 단계 520에서 필요한 태그를 생성한 후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도록 결정하였을 경우, 사서 링커는 태그가 부착되어지는 단어의 사서 형태를 태그 도표작성기(19)로 보낸다는 것이다(단계 528).
도 65에 도시된 다른 단계들은 도 57에 도시된 제 9 실시예의 사서 링커(4)에 의해 수행된 대응하는 단계와 동일하므로, 단계별의 설명은 생략한다.
태그 도표작성기(19)의 동작은 제 9 실시예에서 설명된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도면은 생략한다. 상기 태그 도표작성기(19)는 사서 링커(4)가 서로 다른 단어에 대해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한 횟수를 나타내는 레코드의 테이블을 유지한다. 수치가 참조 빈도 대신에 태그 빈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 테이블은 도 58에 도시된 차조 빈도의 테이블과 유사하다.
사서 링커(4)에 의해 단어가 전송되면, 태그 도표작성기(19)는 태그 빈도의 테이블에서 그 단어를 검색하여, 그 단어가 이미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어의 태그 빈도를 증가시키고, 그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운 레코드에 그 단어를 1의 태그 빈도로 입력한다. 비율 연산기(20)에 의해 단어가 전송된 경우에는, 그 단어가 테이블에 존재하면 그 단어에 대한 태그 빈도를 복귀시키고, 그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로의 태그 빈도로 복귀시킨다.
도 66은 사서 링커(4)로부터 단어가 제공된 경우 비율 연산기(20)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비율 연산기(20)는 이 단어를 태그 도표작성기(19)로 전송함으로써 시작하고, 그 단어에 대한 태그 빈도를 받아, 태그 빈도가 제로값인지를 결정한다(단계 900). 태그 빈도가 제로가 아니면, 비율 연산기(20)는 그 단어를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로 전송하고, 그 단어에 대한 참조 빈도를 받는다(단계 901). 그후, 참조 빈도를 태그 빈도로 나누어 참조 비율을 얻는다(단계 902). 상기 참조 비율은 0 내지 1 사이의 수치이다. 예를 들어, 단어가 5회 태그가 부착되어지고 한 번도 참조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것의 참조 비율은 제로이다. 단어가 5회 태그가 부착되어지고 5회 참조된 경우에, 그것의 참조 비율은 1이다.
사용자가 동일한 문서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단어를 반복적으로 찾을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인, 단어가 태그가 부착된 것보다 자주 참조된 경우에는, 상기 참조 빈도는 임의적으로 1로 설정된다. 또한, 태그 빈도가 제로인 경우에는 참조 비율은 1로 설정된다(단계 903). 단계 902 및 903 이후에, 비율 연산기(20)는 태그 빈도와 참조 빈도를 사서 링커(4)로 전송한다(단계 904).
제 10 실시예의 전체적인 동작은 상기 제 9 실시예의 전체적인 동작과 유사하지만, 사용자의 참조 행위에 더욱 더 민감하다. 아마 사용자가 이미 단어를 알고 있기 때문에, 비록 그 단어가 반복적으로 태그가 부착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그 단어를 찾지 않는다면, 시스템은 그것의 태그 빈도가 제 1 한계치를 초과하자마자 그 단어의 태그부착을 중단한다. 아마 사용자가 그 단어의 의미를 알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회에 이르도록 단어를 찾은 후 그것을 찾는 것을 중지한 경우에는, 시스템은 태그 빈도가 제 1 한계치를 초과하고 참조 비율이 제 2 한계치에 속하자마자 그 단어에 대한 태그부착을 다시 중단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때때로 그 단어를 찾는 것을 계속하면, 시스템은 참조 비율이 제 2 한계치 위에 남아있을 때까지 그 단어에 대해 태그를 부착하는 것을 계속한다.
제 10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와 태그 도표작성기(19)는 참조 빈도 및 사서 액세스의 태그 빈도에 대한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소거함으로써, 양 테이블을 텅빈 상태로 다시 초기화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테이블이 소거되지 않으면, 일단 사서 링커(4)가 주어진 단어에 태그를 부착하지 않기로 일단 결정하면, 비록 중간에 사용자가 그 단어의 의미를 잊어버려 그것을 다시 찾고자 할지라도, 그 단어에 태그를 부착하지 않도록 무한정 연속적으로 결정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선택적으로, 제 10 실시예는, 일정한 기간동안 참조되지 않은 개별적인 단어에 대한 참조 및 태그 빈도를 제로로 소거하거나, 태그 빈도를 참조 빈도가 제2 한계치보다 커지도록 하는 수치로 조정하여 그 단어가 문서에 존재할 때 다시 태그가 부착될 수 있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여전히 그 단어를 찾지 않은 경우에는, 참조 및 태그 빈도가 소거되거나 조정되는 간격이 점차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상기한 제 9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제 10 실시예도 태그가 부착된 단어를 그것의 참조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거나, 아니면, 그것들이 얼마나 빈번하게 참조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단어의 색상을 변경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 9 실시예와 제 10 실시예가 다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될 때에는, 상기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와 태그 도표작성기(19)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별개의 테이블을 유지하도록 하여,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사서 참조를 위해 사용가능한 단어들이 다른 사용자의 과거 참조 행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시스템을 액세스할 때 사용자에게 사용자명과 다른 식별 정보를 제출하도록 요구하는 시스템에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하나의 참조 빈도 테이블 및 하나의 태그 빈도 테이블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일정한 사용자에 대해 태그를 부착할 단어를 선택함에 있어서, 시스템은 다른 사용자의 참조 행위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영어 관사("a", "an" 및 "the") 및 모든 사람이 알고 있는 다른 일반적인 단어의 태그 부착을 생략하도록 신속하게 학습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은, 참조 빈도 및 태그 빈도 테이블 대신에, 태그가 부착되어지지 않을 고정된 단어의 리스트를 보유할 수 있다. 더욱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사서 액세스를 위해 어떻게 각각의 단어에 태그가 부착되어지고, 이들 단어가 어떻게 표시될 것인지를 특정하는 조건 테이블을 보유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시스템은 다양한 전문 사전을 보유하여, 적절한 전문 사전으로의 액세스를 위해 전문 용어에 태그를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그들 태그는 다른 사전으로 들어가도록 유도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사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실시되어질 수 있는 방식을 전부 열거한 것은 아니다. 서로 다른 실시예의 특징부를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가 조합될 수 있으며, 수많은 또 다른 조합도 가능하다.
말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은 영어 단어의 일본어 의미를 제공하는데 제한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언어로 된 단어의 의미가 여타의 다른 언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어들의 의미가 단어 자체와 동일한 언어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자사전은 단어와 그것의 의미를 단순히 제공하는 사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사서 항목은 합성된 음성을 사용하여 단어의 발음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클라이언트 장치(1)는 오디오 출력을 위한 설비가 장착되어야 한다. 또한, 사서 항목은 그림과 함께 예시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클라이언트 장치(1)는 이러한 그림을 표시하도록 변경되어야 한다. 단어의 의미를 제공하는 사전에 덧붙여, 예를 들어, 유명인사의 간략한 일대기를 제공하는 사전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전자사전을 사용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경우에는, 특정한 사전을 선택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공지된 방법은, 각각의 사전에 일정한 키워드를 할당하고, 사서모드 버튼이 눌린 것에 해당하는 문서 내에서 가장 좋은 키워드를 갖는 사전을 선택하는 것이다. 또 다른 가능한 방법은 문서 내에 나타나는 태그의 내용에 기초하여 사전을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가의 이름을 나타내는 태그가 인명사전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단어를 전자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으로 언급하였다. 용어 "정의된"은 인명사전과 다른 종류의 사전에서 제공되는 설명을 포함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포괄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단순모드 버튼 및 사서모드 버튼은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표시될 필요는 없으며,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추가되어질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1)는 이들 버튼이 스크린 상단의 "앞으로" "뒤로" 및 다른 버튼의 옆에 표시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단순모드 버튼 및 사서모드 버튼은 도면에 도시된 것 같이 밑줄이 그어진 단어로서 표시되거나, 물리적인 버튼을 닮도록 이루어지거나, 아이콘 또는 여타의 인식될 수 있는 제어 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단순모드 버튼은 생략가능하다. 사용자는 "뒤로"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단순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로 다른 장소에 배치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 다수의 링크된 문서 서버 및 다수의 전자문서 저장부로 이루어진 컴퓨터 통신망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링크된 문서 서버는 시서 모드 버튼을 또 다른 장소로부터 검색된 문서에 부착하여, 그 문서가 얻어진 위치에 관계없이 문서 내의 단어들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 또는 문서가 하이퍼텍스트 참조에 의해 서로 링크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임의의 텍스트 파일의 단어를, 이들 파일에 사서 참조 명령어 또는 포인터를 추가함으로써,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명령어 또는 포인터는 하이퍼텍스트 태그 내에 포함될 필요는 없으며, 속성 정보와 같이 다른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로 되돌려지는 사서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것 같이 액세스된 단어와 그것의 의미 모두를 제공해야 할 필요는 없다. 의미 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서가 최초로 검색될 때 자동적으로 삽입된 사서 액세스 정보를 갖는 결과 파일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어를 찾을 필요가 있을 때마다 사서모드 버튼을 선택할 필요가 없도록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검색되어지는 각 문서의 파일 서술자와 함께 링크된 문서 서버로 태그 부착 명령어를 전송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추가적인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에 따르면, 전자문서를 읽는 사람이 그 전자문서 내의 단어를 전자사전에서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동시에,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읽는 사람이 그 문서 내의 단어를 전자사전에서 용이하게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떠한 단어가 유리하게 참조될 수 있는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의 내용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된 문서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문서에 사서모드 버튼을 부가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또 다른 문서에 단순모드 버튼을 부가한 것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단어를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에서 찾을 수 없을 경우 사서 링커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미지 단어를 처리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써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 내부에 제공된 미지어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단어가 태그가 부착된 전자사전에서 찾을 수 없을 경우 사서 링커에 의해 출력된 또 다른 결과 파일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초기 문서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화면으로부터 검색된 문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의 문서로부터 하이퍼텍스트 링크에 의해 검색된 또 다른 문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사서액세스 모드로 표시된 도 14의 문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5의 화면으로부터 사서의 액세스가 수행될 경우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미지어를 처리하는 한가지 방법을 나타내는, 도 9의 결과 파일로부터 얻어지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미지어를 처리하는 또 다른 방법이 사용된 경우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20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21은 도 20의 태그부착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23은 도 22의 전자사전의 내용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4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25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6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내용 추출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27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의 액세스가 수행된 경우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 사서 내용 추출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29는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30은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32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된 문서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33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34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5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내용 추출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36은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37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38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9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내용 추출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0은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41은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내용 추출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2는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의 제 7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43은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된 문서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4는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5는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메뉴 생성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6은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된 문서 서버에 의해 출력된 문서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7은 상기 문서 파일이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어떻게 표시되는가를 나타낸 도면,
도 48은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 및 링크된 문서 서버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9는 상기 결과 파일이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어떻게 표시되는가를 나타낸 도면,
도 50은 사용자가 도 49의 화면에서 특정한 버튼을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메뉴를 나타낸 도면,
도 51은 사서 액세스를 위해 "message"가 선택된 상태의 동일한 메뉴를 나타낸 도면,
도 52는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의 제 8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53은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 제거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4는 사서 액세스 모드에서 제 8 실시예에 의해 표시된 문서를 나타낸 도면,
도 55는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의 제 9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56은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된 문서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7은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8은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에 의해 유지된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9는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60은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또 다른 흐름도,
도 61은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4) 및 링크된 문서 서버(2)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2는 제 9 실시예에 의해 사서 액세스 모드에서 표시된 도 14의 문서를 나타낸 도면,
도 63은 제 9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4)에 의해 출력된 결과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4는 본 발명의 문서표시 시스템의 제 10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65는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사서 링커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66은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비율 연산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클라이언트 장치 2 : 링크된 문서 서버
3 : 전자문서 저장부 4 : 사서 링커
5 : 전자사전

Claims (42)

  1. 전자문서 내의 문자열과 같은 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상에서 사용자에게 전자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에 사용자가 사서 액세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제어 항목을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제어 항목을 갖는 상기 전자 문서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사서 액세스 모드를 선택할 때, 상기 전자문서 내의 문자열에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사서 액세스 모드를 선택할 때, 사용자가 통상 액세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제어 항목을 상기 전자문서에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2제어 항목과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상기 전자문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사서 액세스 모드를 선택할 때,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 자체를 표시하지 않으면서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문자열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문자열을 선택한 경우, 전자사전(5, 10, 15)으로부터 상기 문자열을 정의하는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통상 액세스 모드를 선택할 때, 상기 제1제어 항목을 가지지만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되지 않은 상기 전자문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상기 전자문서를 사서 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서 액세스 모드가 다시 선택된 경우,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상기 전자문서를 상기 사서 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전(5)은 상기 전자사전 내의 내용이 다른 문서로부터 하이퍼텍스트 링크에 의해 개별적으로 검색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이퍼텍스트 링크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전자사전 내의 상기 내용을 가리키는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전자사전(10)에서 상기 문자열을 찾기 위한 명령어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사전으로부터 내용을 표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명령어 중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전(10)으로부터 내용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내용을 상기 전자사전(10)과 분리하여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 추출단계와 내용 저장단계는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될 때 수행되며,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는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 내의 개별적인 내용을 가리키는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 추출단계와 내용 저장단계는 사용자가 내용에 의해 정의된 문자열을 선택하였을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되었을 때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는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 내에 이미 존재하는 내용을 가리키는 하이퍼텍스트 링크와,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 내에 아직 존재하지 않는 내용을 상기 전자사전(10)으로부터 얻기 위한 사서 참조 명령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 부착단계 이전에, 다른 전자문서에 대한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상기 전자문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다른 문서에 대해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갖는 상기 전자문서 내의 항목에 메뉴 정보를 부착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다른 문서에 대해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갖는 상기 전자문서 내의 상기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였을 때, 사용자가 그것의 사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항목 내의 문자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 링크에 의해 상기 항목이 링크된 문서에 대한 액세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전자사전(5, 10, 15)에 정의된 문자열에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전자사전(5, 10, 15)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문자열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열을 전자사전에서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부착된 사서 액세스 정보를 갖는 서로 다른 문자열이 얼마나 빈번하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를 나타내는 제1레코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상기 전자문서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은 상기 제1레코드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전 내의 개별적인 문자열에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할 것인지 여부를 상기 제1레코드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부착된 사서 액세스 정보를 갖는 서로 다른 문자열이 얼마나 빈번하게 표시되는지를 나타내는 제2레코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상기 전자문서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은 상기 제1레코드 및 상기 제2레코드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전 내의 개별적인 문자열에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할 것인지 여부를 상기 제1레코드 및 상기 제2레코드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코드는 각각의 문자열이 참조되어지는 횟수를 나타내는 제1빈도를 구비하고, 상기 제2레코드는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각각의 문자열에 부착되어지는 횟수를 나타내는 제2빈도를 구비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제2빈도의 하나에 대한 상기 제1레코드 중 하나의 비율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비율을 제1한계치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2빈도의 하나를 제2한계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이 상기 제1한계치를 초과할 때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되며, 상기 제2빈도의 하나가 상기 제2한계치를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표시방법.
  21. 사용자에게 전자문서를 표시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1)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어를 받아 사용자가 상기 전자문서 내의 문자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결되고, 전자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복수의 내용을 갖는 전자사전(5, 10, 15)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결되고, 사서 액세스 모드와 통상 액세스 모드를 갖는 사서 링커를 구비하며,
    상기 사서 링커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전자문서 내의 문자열에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고, 사용자가 상기 통상 액세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제어 항목을 상기 전자문서에 부가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수신하는 상기 사서 액세스 모드를 선택하는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 자체는 표시하지 않으면서,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하여 가시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되어 있는 문자열을 갖는 상기 전자문서를 표시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사서 링커는 사용자가 상기 사서 액세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제어 항목을 상기 전자문서에 부가하며, 사용자가 상기 통상 액세스 모드를 선택할 때, 상기 제2제어 항목을 가지지만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되지 않은 상기 전자문서를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와 연결되고, 상기 사서 링커에 의해 부착된 사서 액세스 정보와 함께 전자문서를 저장하기 위한 사서 액세스 대비 문서 저장부(6)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와 상기 사서 링커(4)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상기 전자문서를 제공하여, 상기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사서 링커를 활성화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문자열을 선택하였을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를 받아, 상기 내용을 얻고, 상기 내용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링크된 문서 서버(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전(5)은 상기 내용이 하이퍼텍스트 문서로부터 검색될 수 있도록 하는 하이퍼텍스트 링크 정보를 갖고,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전자사전 내의 내용을 가리키는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전(10)과 연결되고, 상기 전자사전으로부터 내용을 추출하는 사서 내용 추출기(8)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는 상기 링크된 문서 서버(2)가 상기 사서 내용 추출기(8)를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명령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내용 추출기(8)와 연결되고, 상기 사서 내용 추출기에 의해 상기 전자사전(10)으로부터 추출된 내용을 저장하는 사서내용 저장부(9)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문자열을 선택하였을 때, 대응되는 내용이 이미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사서 내용 추출기(8)는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로부터 상기 대응되는 내용을 얻고, 대응되는 내용이 아직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서 내용 추출기는 대응되는 내용을 상기 전자사전(10)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내용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에 제공하고, 상기 대응되는 내용을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는 사서 액세스 정보를 문자열에 부착하고, 상기 사서 내용 추출기(8)는 대응되는 내용을 상기 전자사전(10)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내용이 아직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내용을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에 저장하며,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는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에 저장된 대응되는 내용에 대한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는 사서 액세스 정보를 문자열에 부착하고, 상기 사서 링커는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9)를 검사하여, 상기 대응되는 내용이 이미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 내의 대응되는 내용을 가리키는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로서 부착하고, 상기 대응되는 내용이 아직 상기 사서내용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서내용 추출기(8)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상기 사서 액세서 정보로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와 연결된 메뉴 생성기(16)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사서 링커가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고 있을 때, 상기 사서 링커가 하이퍼텍스트 링크가 이미 부착된 항목과 마주치는 경우에는, 상기 사서 링커는 상기 메뉴 생성기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메뉴 생성기는, 사용자가 상기 하이퍼텍스트 링크에 의해 나타난 전자문서의 검색 및 표시를 선택하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상기 항목 내의 문자열에 대한 사서 액세스를 선택하도록 하는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메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서 링커는 상기 항목에 상기 메뉴 정보를 부착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항목을 선택하였을 때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와 연결되며, 상기 사서 링커가 상기 전자문서 내의 문자열에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하기 전에, 상기 전자문서로부터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제거하기 위한 링크 제거기(17)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는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를 상기 전자사전(5, 10, 15) 내에 정의된 문자열에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3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사전(5, 10, 15)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문자열을 선택한 경우에, 어떠한 사서 내용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3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와 연결되고,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부착된 문자열의 사용자에 의한 과거의 선택에 대한 레코드를 보관하기 위한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는, 상기 문자열에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에 의해 보관된 레코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는,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를 부착함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이 얼마나 빈번하게 이전에 선택되었는가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가 상기 문자열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속성 정보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에 의해 보관된 레코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액세스 도표작성기(18)에 의해 보관된 레코드는 상기 문자열이 얼마나 빈번하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가를 나타내는 제1빈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와 연결되며,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가 얼마나 빈번하게 상기 문자열에 부착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제2빈도를 보관하기 위한 태그 도표작성기(19)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는,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를 상기 문자열에 부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제1빈도 및 상기 제2빈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와 연결되며, 상기 제2빈도에 대한 상기 제1빈도의 비율을 연산하기 위한 비율 연산기(2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사서 링커는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를 상기 문자열에 부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비율 및 상기 제2빈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 링커(4)는 상기 비율을 제1한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제2빈도를 제2한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사서 액세스 정보를, 그것의 비율이 상기 제1한계치를 초과하는 문자열과, 그것의 제2빈도가 상기 제2한계치를 초과하지 않은 문자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표시 시스템.
KR1019970018333A 1996-05-13 1997-05-12 문서표시시스템및전자사전 KR100489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17415A JPH09305579A (ja) 1996-05-13 1996-05-13 電子辞書及び文書表示システム
JP117415 1996-05-13
JP11766196A JP3714723B2 (ja) 1996-05-13 1996-05-13 文書表示システム
JP117661 1996-05-13
JP118766 1996-05-14
JP118795 1996-05-14
JP8118795A JPH09305581A (ja) 1996-05-14 1996-05-14 文書表示システム
JP11876696A JP3537260B2 (ja) 1996-05-14 1996-05-14 リンク付文書検索表示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227A KR970076227A (ko) 1997-12-12
KR100489913B1 true KR100489913B1 (ko) 2005-09-16

Family

ID=2747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333A KR100489913B1 (ko) 1996-05-13 1997-05-12 문서표시시스템및전자사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28635A (ko)
EP (1) EP0810534B1 (ko)
KR (1) KR100489913B1 (ko)
CA (1) CA2204447C (ko)
DE (1) DE6971985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3695B1 (en) 1992-12-09 2011-12-06 Adrea, LLC Electronic book with voice emulation features
US7849393B1 (en) 1992-12-09 2010-12-07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book connection to world watch live
RU2153234C2 (ru) 1992-12-09 2000-07-20 Дискавери Коммьюникейшнз,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головной станции системы кабельного телевид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рограмм абонентам в системе кабельного телевидения
US7835989B1 (en) 1992-12-09 2010-11-16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book alternative delivery systems
US7509270B1 (en) 1992-12-09 2009-03-24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Book having electronic commerce features
US7401286B1 (en) * 1993-12-02 2008-07-15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book electronic links
US8095949B1 (en) 1993-12-02 2012-01-10 Adrea, LLC Electronic book with restricted access features
US9053640B1 (en) 1993-12-02 2015-06-09 Adrea, LLC Interactive electronic book
US7865567B1 (en) 1993-12-02 2011-01-04 Discovery Patent Holdings, Llc Virtual on-demand electronic book
US7861166B1 (en) 1993-12-02 2010-12-28 Discovery Patent Holding, Llc Resizing document pages to fit available hardware screens
US5822720A (en) 1994-02-16 1998-10-13 Sentius Corporation System amd method for linking streams of multimedia data for reference material for display
US6516321B1 (en) 1996-07-30 2003-02-04 Carlos De La Huerga Method for database address specification
US7013298B1 (en) * 1996-07-30 2006-03-14 Hyperphras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ata storage and retrieval
US6820093B2 (en) 1996-07-30 2004-11-16 Hyperphrase Technologies, Llc Method for verifying record code prior to an action based on the code
US6434567B1 (en) 1996-07-30 2002-08-13 Carlos De La Huerga Method for specifying enterprise-wide database address formats
JP3270351B2 (ja) 1997-01-31 2002-04-02 株式会社東芝 電子化文書処理装置
US7574649B1 (en) * 1997-08-14 2009-08-11 Keeboo Sarl Book metaphor for modifying and enforcing sequential navigation of documents
GB2336694A (en) * 1998-01-23 1999-10-27 Electronic Village Limited Menu-based dictionary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FI981355A (fi) 1998-06-11 1999-12-12 Nokia Mobile Phones Ltd Elektroninen tiedoston noutomenetelmä ja -järjestelmä
US6557015B1 (en) * 1998-09-18 2003-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hypertext document is included in a list of active document trails
US7328405B1 (en) * 1998-12-09 2008-02-05 Netscape Communications Corporation Smart browsing providers
US7003719B1 (en) 1999-01-25 2006-02-21 West Publishing Company, Dba West Group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inserting hyperlinks into documents
US6763496B1 (en) 1999-03-31 2004-07-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promoting contextual information to display pages containing hyperlinks
US6578078B1 (en) 1999-04-02 2003-06-1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preserving referential integrity within web sites
US6785869B1 (en) * 1999-06-17 2004-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entral dictionary and glossary server
US20050108219A1 (en) * 1999-07-07 2005-05-19 Carlos De La Huerga Tiered and content based database searching
FR2800182A1 (fr) * 1999-10-25 2001-04-27 Hachette Multimedia Support enregistre utilisable sur ordinateur et procede de recherche d'informations accessible sur le dit support et sur un reseau global d'ordinateurs
GB2371661B (en) * 1999-11-01 2004-06-09 Lockheed Corp System and method for the storage and access of electronic data in a web-based computer system
JP3307625B2 (ja) * 2000-02-25 2002-07-24 株式会社ガーラ 電子掲示板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サーバー
GB0004578D0 (en) * 2000-02-25 2000-04-19 Xrefer Com Limited Automated data cross-referencing method
US6507837B1 (en) 2000-06-08 2003-01-14 Hyperphrase Technologies, Llc Tiered and content based database searching
US8806326B1 (en) * 2000-09-25 2014-08-12 Nokia Inc. User preference based content linking
JP2002283301A (ja) * 2001-03-26 2002-10-03 Makita Corp 際切りマルノコ
US20020152064A1 (en) * 2001-04-12 2002-10-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annotating documents to expand terms in a talking browser
US7130861B2 (en) 2001-08-16 2006-10-31 Sentius International Corporation Automated creation and delivery of database content
US7333966B2 (en) 2001-12-21 2008-02-19 Thomson Global Resources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for hyperlinking names
US7493560B1 (en) * 2002-05-20 2009-02-1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Definition links in online documentation
WO2004025490A1 (en) * 2002-09-16 2004-03-25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 collection, grouping and summarization
US20040073531A1 (en) * 2002-10-09 2004-04-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automatically linking web documents
CN1300718C (zh) * 2002-10-31 2007-02-14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信息显示装置和信息显示处理程序
JP4024137B2 (ja) * 2002-11-28 2007-12-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数量表現検索装置
US7664628B2 (en) * 2002-12-27 2010-02-16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dictionary with illustrative sentences
US7613731B1 (en) * 2003-06-11 2009-11-03 Quantum Reader, Inc. Method of analysis, abstraction, and delivery of electronic information
JP4269811B2 (ja) * 2003-07-09 2009-05-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
US9489853B2 (en) * 2004-09-27 2016-11-08 Kenneth Nathaniel Sherman Reading and information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CN100555264C (zh) * 2003-10-21 2009-10-28 国际商业机器公司 电子文档的注释方法、装置和系统
US20050149851A1 (en) * 2003-12-31 2005-07-07 Google Inc. Generating hyperlinks and anchor text in HTML and non-HTML documents
CA2553196C (en) 2003-12-31 2013-03-19 Thomson Global Resources Systems, methods, interfaces and software for automated collection and integration of entity data into online databases and professional directories
US8321786B2 (en) * 2004-06-17 2012-11-27 Apple Inc. Routine and interface for correcting electronic text
US7761439B1 (en) * 2004-06-30 2010-07-20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directory search
US7207004B1 (en) * 2004-07-23 2007-04-17 Harrity Paul A Correction of misspelled words
US9213557B2 (en) * 2004-12-08 2015-12-15 Andrew M. Dubinsky Method and system for embedding user assistance in documents utilizing markup languages
US7627816B2 (en) * 2005-04-12 2009-1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a transient dictionary that travels with an original electronic document
KR100808991B1 (ko) 2006-05-04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자사전을 이용한 단어검색 방법 및장치
US20090162818A1 (en) * 2007-12-21 2009-06-25 Martin Kosakowski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upplementary content in an electronic device
KR100978693B1 (ko) * 2008-05-20 2010-08-30 야후! 인크. 전자사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812304B2 (en) 2008-08-12 2014-08-19 Abbyy Infopoisk Llc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additional search results into electronic dictionaries
US8155952B2 (en) * 2008-08-12 2012-04-10 Abbyy Software, Ltd Method and system of using information banners to communicate with users of electronic dictionaries
US9081765B2 (en) 2008-08-12 2015-07-14 Abbyy Infopoisk Llc Displaying examples from texts in dictionaries
TW201013433A (en) * 2008-09-19 2010-04-01 Esobi Inc Filtering method for the same or similar documents
WO2010059747A2 (en) 2008-11-18 2010-05-27 Workshare Technolog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act data match filtering
US8543571B2 (en) * 2009-01-08 2013-09-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content web browsing
JP4766135B2 (ja) 2009-03-17 2011-09-0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20100306307A1 (en) * 2009-05-31 2010-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bookmarking/tagging at a sub-document and concept level
US11030163B2 (en) * 2011-11-29 2021-06-08 Workshare, Ltd. System for tracking and displaying changes in a set of related electronic documents
US10853319B2 (en) 2010-11-29 2020-12-01 Workshare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of document comparisons on a remote device
US10783326B2 (en) 2013-03-14 2020-09-22 Workshare, Ltd. System for tracking changes in a collaborative document editing environment
US20120133989A1 (en) 2010-11-29 2012-05-31 Workshare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mon framework for reviewing comparisons of electronic documents
JP5760564B2 (ja) * 2011-03-22 2015-08-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170990B2 (en) 2013-03-14 2015-10-27 Workshare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ocument retrieval with selective document comparison
US9613340B2 (en) 2011-06-14 2017-04-04 Workshare Ltd. Method and system for shared document approval
US10963584B2 (en) 2011-06-08 2021-03-30 Workshare Ltd. Method and system for collaborative editing of a remotely stored document
US10574729B2 (en) 2011-06-08 2020-02-25 Workshare Ltd. System and method for cross platform document sharing
US9948676B2 (en) 2013-07-25 2018-04-17 Workshare, Lt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ocuments prior to transmission
US10880359B2 (en) 2011-12-21 2020-12-29 Workshare, Ltd. System and method for cross platform document sharing
US8589791B2 (en) * 2011-06-28 2013-11-19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ally generating a glossary of terms for a given document or group of documents
US11567907B2 (en) 2013-03-14 2023-01-31 Workshare, Ltd. Method and system for comparing document versions encoded in a hierarchical representation
US9846573B2 (en) * 2013-06-24 2017-12-19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Generating a logical representation from a physical flow
US10911492B2 (en) 2013-07-25 2021-02-02 Workshare Lt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ocuments prior to transmission
US20150088493A1 (en) 2013-09-20 2015-03-26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descriptiv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objects
US9547644B2 (en) 2013-11-08 2017-01-17 Google Inc. Presenting translations of text depicted in images
US11182551B2 (en) 2014-12-29 2021-11-23 Workshare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ocument version geneology
US10133723B2 (en) 2014-12-29 2018-11-20 Workshare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ocument version geneology
US11763013B2 (en) 2015-08-07 2023-09-19 Workshare, Ltd. Transaction docu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7059579B2 (ja) * 2017-11-14 2022-04-2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163959B2 (en) * 2018-11-30 2021-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predictive assistance for word meaning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4963A (ja) * 1988-02-23 1989-08-29 Fuji Xerox Co Ltd 辞書引き装置
JPH0728799A (ja) * 1993-06-25 1995-01-31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用語辞書生成機能を備えた文書表示方法
JPH07114554A (ja) * 1993-10-15 1995-05-02 Hitachi Ltd 文書作成装置
JPH07230452A (ja) * 1994-02-16 1995-08-29 Canon Inc 文書処理装置
JPH07306863A (ja) * 1994-05-13 1995-11-21 Nippon Steel Corp ドキュメント・辞書間リンク生成装置
JPH07334528A (ja) * 1994-04-15 1995-12-22 Nippon Steel Corp 用語辞書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4947A (en) * 1990-10-31 1993-04-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lication independent (open) hypermedia enablement services
US5940614A (en) * 1991-04-18 1999-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ypertex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help information in an interactive data processing system
JP3121384B2 (ja) * 1991-07-20 2000-12-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文書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の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H05314166A (ja) * 1992-05-08 1993-11-26 Sharp Corp 電子化辞書および辞書検索装置
JPH06325081A (ja) * 1993-03-26 1994-11-25 Casio Comput Co Ltd 翻訳支援装置
US5359514A (en) * 1993-08-03 1994-10-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mprehension of on-line documents
US5822720A (en) * 1994-02-16 1998-10-13 Sentius Corporation System amd method for linking streams of multimedia data for reference material for display
US5963205A (en) * 1995-05-26 1999-10-05 Iconovex Corporation Automatic index creation for a word processor
CA2227904C (en) * 1995-07-26 2000-11-14 Tegic Communications, Inc.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US5930787A (en) * 1995-09-27 1999-07-27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for retrieving related word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related information display, and relate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6009382A (en) * 1996-08-19 1999-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ord storage table for natural language determin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4963A (ja) * 1988-02-23 1989-08-29 Fuji Xerox Co Ltd 辞書引き装置
JPH0728799A (ja) * 1993-06-25 1995-01-31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用語辞書生成機能を備えた文書表示方法
JPH07114554A (ja) * 1993-10-15 1995-05-02 Hitachi Ltd 文書作成装置
JPH07230452A (ja) * 1994-02-16 1995-08-29 Canon Inc 文書処理装置
JPH07334528A (ja) * 1994-04-15 1995-12-22 Nippon Steel Corp 用語辞書管理装置
JPH07306863A (ja) * 1994-05-13 1995-11-21 Nippon Steel Corp ドキュメント・辞書間リンク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04447A1 (en) 1997-11-13
EP0810534A3 (en) 2000-03-22
DE69719858D1 (de) 2003-04-24
EP0810534A2 (en) 1997-12-03
DE69719858T2 (de) 2003-12-24
CA2204447C (en) 2005-02-22
US6128635A (en) 2000-10-03
EP0810534B1 (en) 2003-03-19
KR970076227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913B1 (ko) 문서표시시스템및전자사전
US5794233A (en) Browse by prompted keyword phrases
EP05360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interactive query of a database
US7028253B1 (en) Agent for integrated annotation and retrieval of images
US5220625A (en) Information search terminal and system
US7096218B2 (en) Search refinement graphical user interface
US67083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glossary of terms
US6247010B1 (en) Related information search method, related information search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a program
US5982365A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vely generating and testing help systems
US20030018670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lementing acronym assistance
JPH02271468A (ja) データ処理方法
WO2006036487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data repositories
EP0523700B1 (en) Information search terminal and system
JP2000148748A (ja) 仮名漢字変換及び画像検索表示システム
JPH11184865A (ja) 文書要約装置
JP2000010986A (ja) ドキュメントデータベースの検索支援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H07182373A (ja) 文書情報検索装置及び文書検索結果表示方法
JP200823407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588507B2 (ja) 情報フィルタリング装置
JP2005173999A (ja) 電子ファイル検索装置、電子ファイル検索システム、電子ファイル検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1055372A (ja) オンデマンド・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714723B2 (ja) 文書表示システム
JPH07134720A (ja) 文章作成システムにおける関連情報提示方法及び装置
JPH05342265A (ja) マルチメディア管理装置およびそのメディア提示方法
JP3537260B2 (ja) リンク付文書検索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