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076B1 -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076B1
KR100489076B1 KR10-2002-0060140A KR20020060140A KR100489076B1 KR 100489076 B1 KR100489076 B1 KR 100489076B1 KR 20020060140 A KR20020060140 A KR 20020060140A KR 100489076 B1 KR100489076 B1 KR 100489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booster
case
rod part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747A (ko
Inventor
박상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0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사고시 브레이크 페달이 운전자를 상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브레이크 페달과, 그 브레이크 페달과 부스터 사이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며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부스터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1,2로드부와, 주행중 충돌사고시 제 1,2로드부를 상호 분리시켜 그 충돌에너지를 차단시키는 차단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 차단수단은 제 1,2로드부의 결합부위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외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부스터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케이스의 슬라이딩 이동력으로 변한시키는 동력전달부와, 브레이크 페달과 대쉬패널 사이에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자체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충돌사고시 그 충격력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과 결합된 복수개의 로드부가 상호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측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Injury thwarting apparatus of brake pedal}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충돌사고시 브레이크 페달이 운전자측으로 부딪혀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은 주행중의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마찰력을 이용하여 운동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전환한 후에 이 열 에너지를 대기중으로 발산하여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그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의 제동의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브레이크 페달과, 그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브레이크 조작시 진공압과 공기압의 차로 배력을 발생시키는 부스터와, 그 부스터와 연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그 마스터 실린더의 일측 유로에서 출력되는 유압에 의하여 차량의 휠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로 대별된다.
그중 종래 브레이크 페달의 설치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와 엔진룸 사이를 구분하는 대쉬패널(20)에 결합된 브라켓(40)에 페달 아암(11)이 힌지점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페달 아암(11)에 부스터(30)와 연결되는 로드(50)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브레이크 페달의 설치구조는 제동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으면, 브라켓(4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페달 아암(11)이 회동하고, 이어서 그 페달 아암(11)에 의해 로드(50)가 전진하게 되고, 이 전진되는 로드(50)에 의해 부스터(30)에 배력이 발생함과 아울러, 마스터 실린더(미도시)에서 브레이크 어셈블리(미도시됨)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유압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차량은 주행중 충돌사고 발생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충격부위가 반대방향으로 밀리면서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 페달은 힌지점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운전자의 하체부위에 충격을 가해 치명적인 부상을 입히게 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주행중 충돌사고시 브레이크 페달이 운전자의 하체부위측으로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답력에 따라 부스터에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는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부스터를 연결하는 제 1,2로드부와, 차량 충돌시 그 충격에너지로 상기 제 1,2로드부를 분리시켜 그 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차단시키는 차단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는 상기 차단수단이 상기 제 1,2로드부의 결합부위의 외측을 감싸며 일정 구간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충돌사고시 상기 부스터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상기 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대쉬패널을 상호 연결하며 자체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요소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대쉬패널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내부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부스터의 일측면에 면 접촉되고 타측면이 제 1복원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 1피스톤과, 상기 제 1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되는 연결호스를 가지며 제 1하우징과는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 2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의 내부에 충돌시 상기 제 1피스톤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그 이동방향으로는 제 2복원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과 연동되게 일체로 연결되는 제 2피스톤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요소로는 상기 케이스와 제 1,2로드부에는 상호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수단은 제 1,2로드부의 상호 결합부위의 외측면에 상호 수평으로 대응되는 홈형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 내측면에는 상기 제 1,2로드부의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 브레이크 페달(10)과, 그 브레이크 페달(10)과 부스터(30) 사이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며 브레이크 페달(10)의 답력을 부스터(30)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1,2로드부(310,320)와, 그 제 1,2로드부(310,320)의 결합을 지지하며 주행중 충돌사고시 제 1,2로드부(310,320)를 상호 분리시켜 그 충돌에너지를 차단시키는 차단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2로드부(310,320)는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호 면접촉되어 면착하는 구조를 가지며, 외측을 감싸는 케이스(250)의 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이 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제 1로드부(31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로드부(320)의 단부에 대해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각을 가지며, 타측 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10)에 힌지축(315)으로 축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제 2로드부(320)는 대쉬패널(20)에 지지되어 부스터(30)측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차단수단은 제 1,2로드부(310,320)의 결합부위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250)와, 그 케이스(250)의 외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부스터(30)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케이스(250)의 슬라이딩 이동력으로 변한시키는 동력전달부(200)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10)과 대쉬패널(20) 사이에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충돌시 브레이크 페달(10)을 대쉬패널(20)측으로 회동시키도록 하는 자체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400)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200)는 대쉬패널(20)상에 설치되고 일측면이 부스터(30)의 일측면에 면 접촉되며 타측면이 제 1복원 스프링(212)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 1피스톤(215)과, 그 제 1피스톤(215)이 내부에 수용되고 그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제 1하우징(210)과, 제 1하우징(210)과 연결호스(230)로 연결되어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제 2하우징(220)과, 제 2하우징(220)의 내부에 충돌시 상기 제 1피스톤(215)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 설치되며 그 이동방향으로 제 2복원 스프링(222)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케이스(250)의 외측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 2피스톤(22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50)는 제 1,2로드부(310,320)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좌,우 일정 구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며, 그 가이드수단은 제 1,2로드부(310,320)의 양측 외측면에 각각의 가이드홈(312,322)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50)의 양측 내측면에는 가이드홈(312,322)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252)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10)은 대쉬패널(20)의 전면에 설치된 브라켓(210)에 힌지축(212) 결합되어, 그 힌지축(21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240"은 제 1,2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아 브레이크 페달(10)에 답력을 가하면, 브라켓(210)을 중심으로 힌지 운동되면서 제 1,2로드부(310,320)를 통해 부스터(30)측으로 답력이 전달되어 기존의 브레이크 제동과정과 동일한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동력전달부(200)는 제 1피스톤(215)이 제 1복원 스프링(212)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일측면이 부스터(30)의 일측면과 면 접촉되고, 제 2피스톤(225)도 제 2복원 스프링(222)의 탄성력에 의해 제 2하우징(220) 내부의 우측에 위치하여 케이스(250)가 제 1,2로드부(310,320)의 결합부를 감싸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부재(400)는 제 1,2로드부가 케이스(250)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브레이크 페달(10)과 대쉬패널(20)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2로드부(310,320)는 외측에 위치한 케이스(250)에 의해 상호 면 접촉되도록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브레이크 페달(10)의 답력을 부스터(30)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충돌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0)에 발을 올려 놓는 것과 관계없이, 부스터(30)측에서 충돌에너지가 제 1피스톤(215)측으로 전달되어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1하우징(210)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상기 제 1피스톤(215)에 의해 가압되어 연결호스(230)를 통해 제 2하우징(2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제 2하우징(22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제 2복원 스프링(222)에 지지된 제 2피스톤(225)을 좌측으로 밀어 제 2피스톤(225)과 일체로 연결된 케이스(250)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후에, 상기 제 1,2로드부(310,320)의 결합부위를 감싸는 케이스(25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2로드부(310,320)는 그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호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 2로드부(320)는 대쉬패널(20)측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원래의 위치를 고수하게 되지만, 상기 제 1로드부(310)는 제 2로드부(320)와는 별개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이어서, 스프링부재(400)의 자체 복원력이 브레이크 페달(10)을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브레이크 페달(10)이 부스터(30)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는 제 1,2로드부(310,320)가 상호 분리되어 부스터(30)로부터 브레이크 페달(10)에 충격에너지가 전달되지 않게 됨을 의미하며, 이는 부스터(30)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중간에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사고시 충격력이 브레이크 페달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충돌사고시 그 충격력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 부스터 사이에 설치된 로드부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충돌시 부스터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측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중간에서 차단하여 운전자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이드수단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4a는 평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차량 충돌사고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충돌 사고후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 브레이크 페달의 취부구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브레이크 페달 20 : 대쉬패널
30 : 부스터 200 : 동력전달부
210,220 : 제 1,2하우징
212,222 : 제 1,2복원 스프링
215,225 : 제 1,2피스톤
230 : 연결호스 250 : 케이스
252 : 가이드레일
310,320 : 제 1,2로드부
312,322 : 가이드홈
400 : 스프링부재

Claims (4)

  1. 운전자의 답력에 따라 부스터(30)에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는 브레이크 페달(10)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10)과 상기 부스터(30) 사이를 연결함과 더불어 대응되는 일단부가 상호 면착하는 제 1,2로드부(310,320) 및,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로 상기 제 1,2로드부(310,320) 사이의 접촉부위를 분리시켜 상기 부스터(3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차단시키는 차단수단을 갖추되;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제 1,2로드부(310,320)의 면착되는 일단부의 결합부위의 외측을 감싸며 일정 구간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케이스(250)와, 상기 케이스(250)의 일측에 연결되어, 충돌사고시 상기 부스터(30)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250)를 상기 제 1,2로드부(310,320) 사이의 결합부위로부터 벗어나도록 하여 상기 제 1,2로드부(310,320)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동력전달부(200)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10)과 대쉬패널(20)을 상호 연결하여 충돌시 브레이크 페달(10)을 대쉬패널(20)측으로 회동시키도록 하는 자체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4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전달부(200)는 대쉬패널(20)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제 1하우징(210)과, 상기 제 1하우징(210)의 내부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부스터(30)의 일측면에 면접촉되고 타측면이 제 1복원 스프링(212)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 1피스톤(215), 상기 제 1하우징(210)의 내부와 연결호스(2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제2하우징(220) 및, 상기 제 2하우징(220)의 내부에 충돌시 상기 제 1피스톤(215)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그 이동방향으로는 제 2복원 스프링(222)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250)의 외측면과 연동되게 일체로 연결되는 제 2피스톤(22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50)와 상기 제 1,2로드부(310,320)에는 상호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제 1,2로드부(310,320)의 상호 결합부위의 외측면에 상호 수평으로 대응되는 홈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홈(312,322)과, 상기 케이스(250)의 양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홈(312,322)에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레일(2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KR10-2002-0060140A 2002-10-02 2002-10-02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KR100489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140A KR100489076B1 (ko) 2002-10-02 2002-10-02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140A KR100489076B1 (ko) 2002-10-02 2002-10-02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47A KR20040029747A (ko) 2004-04-08
KR100489076B1 true KR100489076B1 (ko) 2005-05-12

Family

ID=3733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140A KR100489076B1 (ko) 2002-10-02 2002-10-02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311B1 (ko) * 2002-12-05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브레이크 페달의 다리 상해 방지장치
KR101020971B1 (ko) * 2004-05-20 2011-03-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JP5720993B2 (ja) * 2011-03-15 2015-05-20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ブレーキ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5852A1 (de) * 1994-05-21 1995-11-23 Volkswagen Ag Betätigung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5852A1 (de) * 1994-05-21 1995-11-23 Volkswagen Ag Betätigung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47A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8483B2 (ja) 自動車のペダルレバーを支承するための装置
JP2007522549A (ja) ペダルサポート
KR20130002290A (ko) 차량 페달 시스템
CN103121429A (zh) 具有用于迎面碰撞的安全机构的机动车用踏板
KR101406644B1 (ko) 차량용 페달의 상해 방지장치
US20080150354A1 (en) Brake force generator for a vehicle hydraulic brake system and vehicle hydraulic brake system equipped therewith
KR100489076B1 (ko)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WO1999059854A3 (de) Bremskraftverstärker mit panikbremsfunktion
CN111591273B (zh) 车辆制动系统和车辆
CA2332666A1 (en) Spring applied parking brake assembly
US6655230B1 (en) Vehicle pedal assembly
KR10050722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KR20050111876A (ko)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구조
GB233748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foot pedal arrangement
KR20050037741A (ko)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KR100527735B1 (ko)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KR101000189B1 (ko) 운전자 보호장치
KR100401890B1 (ko) 경사로 주행시 차량의 밀림방지 장치
KR20040033888A (ko) 차량용 제동장치의 브레이크페달과 브레이크부스터의연결구조
WO2004080771A1 (en) Vehicular safety systems
KR100521919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의 격납구조
KR20040031239A (ko)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KR20050026198A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0839441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KR0140282Y1 (ko) 충격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스톱램프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