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290A - 차량 페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페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290A
KR20130002290A KR1020120069830A KR20120069830A KR20130002290A KR 20130002290 A KR20130002290 A KR 20130002290A KR 1020120069830 A KR1020120069830 A KR 1020120069830A KR 20120069830 A KR20120069830 A KR 20120069830A KR 20130002290 A KR20130002290 A KR 20130002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coupler
lever arm
connecting bracket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숑 랜달
Original Assignee
오토라인 인더스트리 인디아나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라인 인더스트리 인디아나 엘엘씨 filed Critical 오토라인 인더스트리 인디아나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00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10T29/49948Multipart cooperating fastener [e.g., bolt and nut]
    • Y10T29/4995Nonthread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페달 시스템 또는 어셈블리는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을 작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페달 시스템은 적어도 페달 시스템의 발 맞물림 부분이 운전자를 향하는 이동을 중단하도록 하고 차량에서 객실로부터 이격되고 엔진실을 향하는 페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분리되거나 이동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페달 시스템의 페달은 차량 시스템의 작동을 감안하는 구성요소들에 맞물려지게 남아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페달 시스템{VEHICLE PEDAL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를 위한 페달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고, 특히 부상 경감 자동차 페달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반드시 선행 기술이 아닌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페달을 갖는 레버 아암(lever arm)은 운전자가 스로틀을 작동시켜 차량을 가속하고, 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시켜 차량을 감속하며, 클러치를 작동시켜 기어들을 떼어내고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도록 차량에 제공될 수 있다. 운전자가 차량의 시트에 앉아 있는 동안에 페달은 운전자의 발에 의해 맞물리게 되고 일반적으로 차량의 대시월(dashwall) 및/또는 플로어보드(floor board) 근처에 위치된다. 자동차 충돌 동안에, 페달은 잠재적으로 충돌 동안의 페달의 이동 또는 운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운전자의 발에 대하여 강제될 수 있다. 충돌, 예를 들어 정면 충돌 또는 오프셋 충돌(offset collision) 동안에, 엔진실은 객실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페달이 운전자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섹션은 발명의 일반적인 요약을 제공하고, 전체 범위 또는 모든 특징의 포괄적인 개시는 아니다.
충돌 동안에 자동차는 운전자 및 자동차의 객실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정면 충돌 동안에, 엔진실은 객실을 향하여 이동하는 대시보드(dashboard) 또는 파이어월(firewall)을 포함하는 차량의 객실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대시보드 또는 파이어월과 상호 연결되는 구성요소들은 또한 객실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대시보드 또는 파이어월에 고정되게 부착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정면 충돌 동안에 객실로부터 이격되어 이동하거나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
페달 시스템 또는 어셈블리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또한 하기의 논의를 위한 차량 또는 자동차라 불리는) 자동차를 작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충분한 힘의 정면 충돌 동안에 파이어월 또는 대시월에 고정된 페달 어셈블리는 자동차의 객실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페달 시스템은 적어도 페달의 일부분과 맞물리는 발이 승객을 향하는 이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허용하고 그리고/또는 자동차에서 객실로부터 이격되고 엔진실을 향하는 페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분리되거나 이동할 부분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이, 페달 어셈블리의 페달 레버 아암은 충돌 이후에 페달을 갖는 차량 시스템(예를 들어, 브레이크 어플리케이션 및 클러치 시스템)의 작동을 감안하는 구성요소들에 맞물리게 남아 있을 수 있다.
적용가능성의 추가적인 영역들은 여기서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요약에서 설명 또는 특정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하여 의도되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서 설명된 도면들은 선택된 구체예들의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고 모두 가능한 실시들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페달 시스템을 갖는 차량의 환경도이다.
도 2는 페달 시스템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페달 시스템의 제 1 상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a는 도 3a에서 원 3Aa의 브래킷의 상세도이다.
도 3b는 도 2의 페달 시스템의 제 2 상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bb는 도 3b에서 원 3Bb의 브래킷의 상세도이다.
도 4는 정상 작동 구성에서 페달 시스템의 상세 환경도이다.
도 5는 부상 경감 구성에서 페달 시스템의 상세 환경도이다.
상응하는 참조 번호들은 도면들 중 몇몇 도면들에 걸쳐 상응하는 부품들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구체예들은 이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하기의 논의는 적어도 운전자가 자동차의 객실 내에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는 어떠한 적절한 차량에 관한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비록 여객 차량, 예를 들어 세단 자동차가 하기의 논의에 대해 다양한 도면들에서 도시되더라도, 본 발명은 어떠한 적절한 차량(예를 들어, 트럭 또는 트랙터)에서 사용을 위하여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자동차(10)의 일부분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 정도까지 도시되고, 차량(10)이 구성에 있어 종래의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시적인 자동차(10)는 다양한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엔진실(14) 및 객실(16)을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다양한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도어(18)는 차량(10)의 프레임에 맞물림으로써, 객실(16)을 폐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시트(20)는 자동차(10)를 작동시키는 동안 앉는 장소를 운전자 또는 다른 적절한 승객에게 제공한다. 자동차(10)는 대시월(dash wall)(24)에 연결된 대시 어셈블리(dash assembly)(22)를 더 포함한다. 핸들(steering wheel)(26)이 대시(22)와 상호 연결되거나 연장되고, 센터 콘솔(center console)은 변속 레버(28) 또는 적절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고 도 2를 추가로 참조하여, 페달 어셈블리(pedal assembly)(30)가 대시월(24)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페달 어셈블리(30)는 다양한 페달 부분들, 예를 들어 페달 브래킷(pedal bracket) 마운트(mount) 또는 구성(32), 페달 브래킷(32)으로부터 연장된 페달 패드(pedal pad)(35)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레버 아암(brake lever arm)(34) 및 페달 브래킷(32)으로부터 연장된 페달 패드(37)를 갖는 클러치 레버 아암(clutch lever arm)(3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페달 레버들, 예를 들어 가속기 페달 레버 또는 다른 적절한 부분들은 페달 브래킷(32)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페달 레버들, 예를 들어, 브레이크 페달 아암(34) 및 클러치 페달 레버 아암(36)은, 커플러(coupler)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커플러(40) 및 클러치 커플러(42)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크 커플러(40) 및 클러치 커플러(42)는 페달 브래킷(32)과 고정되거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레이크 회전축(axle)(44) 및 클러치 회전축(46)을 포함하는, 회전축들 각각에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레버 아암(34) 및 클러치 레버 아암(36)은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된 대로 브레이크 시스템 및 클러치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10)의 일부분을 작동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레버(34)의 작동은 페달 브래킷(32)에서 개구(48)를 통해 브레이크 커플러(40)에 결합된 브레이크 푸시 로드(brake push rod)(47)를 누를 수 있다. 브레이크 로드(47)는 브레이크 커플러(40)로부터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 브레이크 부스터(break booster) 또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다른 적절한 부분들을 포함하는, (도 4와 도 5에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49)의 일부분까지 연장된다. 클러치 부분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기술 분야에서 이해된 바와 같이, 클러치 커플러(42)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계속해서 참조하고 도 3a와 도 3b를 추가로 참조하여,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의 일부분이 도 3a와 도 3b에서 상세하게 도시된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은 브레이크 페달 커플러(40)에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 레버 아암(34) 및 브레이크 커플러(40)를 결합하는 다양한 부재들은 (또한 승객들이라 불리는) 블라인드 보어(blind bore)들 및/또는 관통 보어(through bore)들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들에서의 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피봇 부재(pivot member)(50)는 레버 아암(34)의 종단에서 보어를 통과할 수 있는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제자리에 핀(50)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는 돌기 또는 클립으로 피봇 핀(50)의 종단(52)에서 레버 아암(34)의 반대측에 클립(clip)될 수 있거나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레버 아암(34)은 복수 개의 다른 부재들 및/또는 연결부들을 통해 브레이크 커플러(40)에 대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피봇 부재(60)는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의 보어(62)를 통과하고 브레이크 커플러(40)의 경감 보어(mitigation bore)(64)를 추가로 통과하며 브레이크 레버 아암의 제 2 보어(66)에 맞물리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감 보어(64)는 가늘고 길 수 있고 둥근 모양으로 연장될 수 있다. 클립(68)은 제 2 피봇 부재(60)의 그루브(groove)(72)를 포함하는 종단(70)에 맞물릴 수 있다. 제 2 피봇 부재(60)는 보어(62)를 통과하지 않도록 확대된 헤드(head)(7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브래킷(76)은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커플러(40) 및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에 걸쳐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브래킷(76)은 부재 헤드(74)가 클립(68)인 것과 같이 브래킷(76)의 외부에 존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클립(68)의 구성은 브레이크 커플러(40), 연결 브래킷(76) 및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에 대하여 제자리에 제 2 피봇 부재(60)를 유지하는 어떠한 적절한 클립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브래킷은 제 1 부분(76a), 제 2 부분(76b) 및 제 1 및 제 2 부분들(76a, 76b)을 연결하는 접합벽(abutment wall)(76c)을 포함한다.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부분들(76a, 76b)은 일반적으로 상호 간에 거울상이고 상호 보완적인 보어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또한 핀이라 불리는) 제 1 고정 부재(80) 및 (또한 핀이라 불리는) 제 2 고정 부재(82)는 각각 제 1 고정 보어(84) 및 제 2 고정 보어(86)에서 브래킷(76)을 통과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고정 보어들(84, 86)은 축들(85, 87) 각각을 따라 연장되는 가늘고 긴 보어들일 수 있다. 여기서 논의된, 2개의 축들(85, 87)은 정렬될 수 있고, 추가로 축(D)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제 1 핀(80)은 보어(84)를 통과하지 않을 헤드(88)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핀(82)은 보어(86)를 통과하지 않을 헤드(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보어(84) 및 제 2 고정 보어(86)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는 도 3a에서 도시되고 도 3aa에서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 영역 및 제 2 고정 영역을 분리하는 약화된(weakened) 부분 또는 벽 및/또는 부분 벽(partial wall)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 보어(84)는 제 1 부분 벽(84a) 및 제 2 부분 벽(84b)을 포함할 수 있다. 부분 벽들(84a, 84b)은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정상 작동 위치를 위한 제 1 영역(84x), 및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경감 또는 회피 위치를 위한 제 2 영역(84y)을 한정한다. 제 2 고정 보어(86)는 제 1 부분 벽(86a) 및 제 2 부분 벽(86b)을 포함한다. 부분 벽들(86a, 86b)은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정상 작동 위치를 위한 제 1 영역(86x), 및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경감 또는 회피 위치를 위한 제 2 영역(86y)을 한정한다. 일반적으로, 핀들(80, 82)은 연결 브래킷(76)의 정상 작동 위치에서 제 1 영역들 각각에 유지될 수 있다. 부분 벽들(84a, 84b 및 86a, 86b)을 포함할 수 있는, 약화된 부분은 핀들(80, 82)이 선택된 힘의 적용 이후에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부러지기 쉽거나 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논의된 바와 같이, 약화된 부분은 각각의 제 1 영역들과 제 2 영역들 사이에 완전 벽(full wall)을 형성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형성할 수 있으나, 정상 작동에서, 제 1 영역들로부터 제 2 영역들로 핀들(80, 82)의 이동을 저항하거나 제거하기에 충분하다.
연결 브래킷(76) 및 커플러(40)의 반대편 또는 대향측 상에, 제 2 쌍의 보어들(84', 86')은 제 1 핀(80)의 제 1 통과 종단(passing end)(94) 및 제 2 핀(82)의 제 2 통과 종단(96)이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클립들(100, 102)은 브래킷(76)을 통과하여 왔던 이후에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제 1 핀(80) 및 제 2 핀(82)의 그루브들에 맞물릴 수 있다.
제 2 쌍의 보어들(84', 86')은 또한 도 3b에 도시되고 도 3bb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또는 완전 벽들을 포함하는, 약화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대향 제 1 고정 보어(84')는 제 1 부분 벽(84a') 및 제 2 부분 벽(84b')을 포함할 수 있다. 부분 벽들(84'a, 84'b)은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정상 작동 위치를 위한 제 1 영역(84'x), 및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경감 또는 회피 위치를 위한 제 2 영역(84'y)을 한정한다. 대향 제 2 고정 보어(86')는 제 1 부분 벽(86'a) 및 제 2 부분 벽(86'b)을 포함할 수 있다. 부분 벽들(86'a, 86'b)은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정상 작동 위치를 위한 제 1 영역(86'x), 및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경감 또는 회피 위치를 위한 제 2 영역(86'y)을 한정한다. 일반적으로, 핀들(80, 82)은 연결 브래킷(76)의 정상 작동 위치에서 제 1 영역들 각각에 유지될 수 있다. 부분 벽들(84'a, 84'b 및 86'a, 86'b)을 포함할 수 있는, 약화된 부분은 핀들(80, 82)이 선택된 힘의 적용 이후에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부러지기 쉽거나 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논의된 바와 같은, 약화된 부분은 각각의 제 1 영역들과 제 2 영역들 사이에서 완전 벽을 형성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형성할 수 있으나, 정상 작동에서, 제 1 영역들로부터 제 2 영역들로 핀들(80, 82)의 이동을 저항하거나 제거하기에 충분하다.
연결 브래킷(76)은 제 1 및 제 2 고정 핀들(80, 82)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각각의 부분(76a, 76b)에서, 제 1 및 제 2 통로들(84, 86)을 포함한다. 연결 브래킷 경감 보어들 또는 슬롯들(110, 110')도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76)의 2개의 부분들(76a, 76b) 상에 제공된다. 제 2 피봇 핀(60)은 여기서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이, 경감 위치로의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연결 브래킷 경감 슬롯(110, 110')을 통과한다. 일반적으로, 경감 슬롯(110, 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브래킷(76)의 측들 각각에, 제 1 부분 또는 영역(112, 112') 및 제 2 부분 또는 영역(114, 114')을 포함한다. 제 1 부분(112, 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피봇 핀(60)의 표준 또는 작동 또는 정상 작동 위치일 수 있고, 제 1 축(11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하지만, 추가로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연결 브래킷(76) 상의 선택된 힘의 적용 또는 충격에 대하여, 연결 브래킷(76)은 제 2 또는 경감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제 2 피봇 핀(60)은 제 2 부분(11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부분(114, 114')은 제 2 축(115)을 따라 연장된다. 제 2 축(115)은 제 1 축(113)에 대하여 0도가 아니다. 제 2 피봇 핀(60)은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이 일반적으로 대시월(24)을 향하여 그리고/또는 대시월(24)과 접촉하여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브레이크 커플러(40)에 한정된 슬롯(64) 안에서 이동할 수 있다(브래킷(32)은 대시월(24)에 또는 그 근처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 브래킷(76)이 여기서 논의된, 연결 브래킷(76)으로의 힘의 도입에 따라 이동할 때 제 2 피봇 핀(60)의 이동은 허용될 수 있다.
간략하게는, 클러치 레버 아암(36)은 제 1 및 제 2 피봇 핀들(120, 122) 및 제 1 및 제 2 고정 핀들(124, 126)을 통해 클러치 커플러(4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브래킷(130)은 또한 피봇 핀들(120, 122) 및 고정 핀들(124, 126)이 통과할 클러치 레버 아암(36) 및 클러치 커플러(42)에 걸쳐 제공될 수 있다. 클립들은 또한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위한 클립들(68, 100, 102)과 유사하게, 제자리에 핀들 각각을 유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클러치 레버 아암(36), 클러치 커플러(42) 및 클러치 연결 브래킷(130)을 포함하는 클러치 어셈블리는 여기서 설명된 브레이크 어셈블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 어셈블리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어셈블리가 여기서 추가로 논의된, 특히 충돌 및 부상 경감에 관련된 브레이크 어셈블리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작동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기에 여기서 제공되지 않는다.
도 1을 다시 참조하고 도 4를 추가로 참조하여, 차량(10)은 상호 간에 상호연결되는 다양한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구조적으로 보강된 프레임 어셈블리(frame assembly)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아 크로스 빔(car cross beam)(140)은 차량의 다양한 프레임 구성요소들과 상호 연결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카 크로스 빔(140)은 페달 어셈블리(30)의 연결 브래킷들(76, 130)에 대하여 위치될 수 있다. 카아 크로스 빔(140)은 또한 페달 어셈블리의 연결 브래킷들(76, 130)과 맞물리도록 카아 크로스 빔(140)으로부터 연장된 다양한 다른 브래킷(141)들 또는 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아 크로스 빔(140)은 차량(10)의 객실(16)을 향하고 차량(10)의 엔진실(14)의 후방으로 고정 슬롯들의 축들(85, 87) 및 제 1 슬롯 영역(112)의 축(113)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선형 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정상 작동 시에,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브래킷(76)이 선택된 작동 위치에 존재할 때, 카아 크로스 빔(140)은 브레이크 커플러(40), 브레이크 레버 아암(34) 및 브레이크 연결 브래킷(76)을 포함하는, 페달 어셈블리(30)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거리에 위치된다.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은 객실(16)에서 시트(20)에 앉은 이용자 또는 승객의 발(150)로 작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살표(A')의 방향으로 대시월(24)을 향하여 브레이크 페달(35)을 누름으로써,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은 피봇 회전축(44) 상에서 브레이크 커플러(40)를 회전시켜 브레이크 로드(47)를 화살표(B)의 방향으로 엔진실(14)을 향하여 누른다.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을 누름으로써 생성된 회전축(44)을 중심으로 브레이크 커플러(40)의 회전은 차량(10)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을 감안한다. 이용자의 발(150)은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된 바와 같이, 적절한 양으로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을 누른다.
연결 브래킷(76)을 통하는 브레이크 레버 아암(40)에 대한 2개의 피봇 핀들(50, 60) 및 고정 핀들(80, 82)의 고정은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의 정상 작동 기하학적 구조를 확보하고 브레이크 커플러(40)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정상 작동 동안에 유지된다. 브레이크 커플러(40)에 대한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의 정상 기하학적 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브레이크 커플러(40)의 경감 보어(64) 및 레버 아암(34)의 보어(62)와 맞물리는 제 2 피봇 핀(60) 때문에 허용된다. 핀(60)은 연결 브래킷(76)으로 인해 브레이크 커플러(40)의 경감 보어(64)의 길이를 따라 이동할 수 없다. 연결 브래킷(76)은 브레이크 커플러(40)에 대하여 고정되고, 이는 레버 아암(34)이 브레이크 커플러(40)에 대하여 단일 배향으로 유지되도록 경감 보어(110)의 제 1 부분(112) 내에서 제 2 피봇 핀(60)을 유지한다. 고정 핀들(80, 82)은 브레이크 커플러(40)에 대하여 연결 브래킷(76)을 고정한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충돌 또는 오프셋 충돌 동안에, 충격은 차량(10)의 엔진실(14) 근처 또는 그 안으로 발생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어셈블리(30)를 포함하는 대시월(24)은 이어서 일반적으로 화살표(X)의 방향으로 객실(16)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대시월(24)이 객실(16)을 향하여 이동하고 또한 엔진실(14)의 부분들이 객실(16)을 향하여 이동하기에, 페달 어셈블리(30)는 이용자의 발(150) 및 객실(16)을 향하여 이동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월(24)은 원래 구성된 것보다 객실에 더 근접한 충돌 위치(24x)로 정상 위치(24n)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객실(16)을 향하여 이동하는 페달 어셈블리(30) 이외에, 페달 어셈블리(30)에 연결되는 다양한 부분들, 예를 들어 브레이크 푸시 로드(47) 및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은 또한 객실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페달 어셈블리(30) 및 객실(16)을 향하여 이와 함께 연결된 부분들의 이동은 줄거나 경감되도록 요구된, 이용자, 예를 들어 이용자의 발(150)에 힘을 적용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어셈블리(30)가 객실(16)을 향하여 이동하기에, 연결 브래킷(76)은 카아 크로스 빔(140) 또는 카아 크로스 빔(140)으로부터 연장되는 브래킷(141)과 맞물릴 수 있다. 빔(140)과 맞물릴 때, 연결 브래킷(76)은 브레이크 커플러(40)에 대하여 정상 또는 제 1 위치로부터 충돌 또는 경감 위치로 이동한다. 연결 브래킷(76)의 이동은 고정 핀들(80, 82)이 고정 보어들(84, 86)의 (예를 들어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부분 벽들(84a, 84b; 84'a, 84'b; 86a, 86b; 86'a, 86'b)을 포함하는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약화된 부분들과 맞물리고 돌파하며 충돌 충격 또는 다른 선택된 힘의 적용에 따라 제 2 부분들 각각으로 이동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선택된 힘의 적용에 따라, 연결 브래킷(76)은 제 1 보어(84) 및 제 2 보어(86)를 통해 일반적으로 한정된 축(D)을 따라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축(D)은 또한 연결 브래킷(76)의 경감 슬롯(110)의 제 1 부분(112)을 통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축(D)은 보어들 또는 보어 부분들 각각의 축들(85, 87, 113)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브래킷(76)은 (파선으로 도시된) 정상 위치(76n)로부터 (실선으로 도시된) 충돌 위치(76d)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 브래킷(76)의 이동은 카아 크로스 빔(140) 및/또는 브래킷(141)과의 충돌로 인한 것이다.
연결 브래킷(76)이 축(D)을 따라 이동하기에, 제 2 피봇 핀(60)은 연결 브래킷(76)의 경감 보어(110)의 제 2 부분(114) 안으로 이동할 수 있다. 중간 또는 제 2 피봇 핀(60)이 경감 보어(110)의 제 2 부분(114) 안으로 이동하기에, 제 2 피봇 핀(60)은 브레이크 커플러(40)에서 경감 보어(64)의 길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어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34n)로부터 충돌 또는 경감 위치(34c)로 일반적으로 화살표(A')의 방향으로 (대시월(24)이 객실(16)로부터 엔진실(1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대시월(24)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은 대시월(24)을 향하여 A'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브레이크 커플러(40)에 대하여 기하학적 구조를 변경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정상 위치(34n)에서 레버 아암(34)의 제 1 부분 또는 표면(34')과 브레이크 커플러(40)의 제 2 표면(40') 사이의 초기 또는 정상 각도 또는 기하학적 구조는 각도(α)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α)는 어떠한 적절한 각도일 수 있고 특정한 차량의 기하학적 구조, 승객 사양(예를 들어, 키) 등을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인 각도(α)는 약 100도 내지 약 170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작동 위치에서, 각도(α)는 연결 브래킷(76)에서 다양한 핀들(50, 60, 80, 82)의 고정으로 인해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크래쉬 경감 위상(crash mitigation phase) 동안에, 경감 위치(34c)는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이 브레이크 커플러(40)에 대하여 엔진실(14)을 향하여 이동하기에 각도(α)로부터 각도(β)로의 증가일 수 있고, 브레이크 커플러(40)의 표면(40')과 레버 아암(34)의 표면(34') 사이의 각도를 야기할 수 있다. 각도(β)는 또한 차량의 기하학적 구조, 승객 요구조건 또는 다른 고려 사항들을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β)는 약 110도 내지 약 250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도(β)는 각도(α)보다 큰 약 10% 내지 약 50%를 포함하는, 적어도 5% 내지 500%이다. 이는 객실 내에 위치되는 승객의 발(150)을 위한 더 큰 면적이 이용자의 발(150)로 페달 레버 아암(34)의 충격을 감소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차량(10)의 정면 충돌 동안에 이용자의 발(150)에 적용된 충격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대시월(24)을 향하는 브레이크 페달 레버 아암(34)의 이동이 브레이크 커플러(40)에 의해 한정된 슬롯(64) 내에서 제 2 피봇 핀(60)의 이동에 의해 허용될 수 있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피봇 핀들(50, 60)은 브레이크 레버 아암(34)과 브레이크 커플러(40) 사이의 결합을 유지한다. 따라서, 심지어 충돌을 따르면서,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은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이 브레이크 푸시 로드(47)에 연결된 브레이크 커플러(40)를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커플러(40)와 상호 연결된다. 제 2 피봇 핀(60)만이 연결 브래킷(76)에서 보어(110)의 제 2 영역(114) 안으로 이동하면서, 연결 브래킷(76)은 커플러(40)에 결합되게 남아 있다. 차량(10)의 플로어보드(170) 또는 대시월(24)과 브레이크 레버 아암(34) 사이의 이동 거리는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지만,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은 브레이크 커플러(40)를 이동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어 차량(10)의 브레이킹 시스템을 작동시키도록 브레이크 푸시 로드(47)를 작동시킨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 아암(36)은 브레이크 커플러(40)와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의 연결과 유사한 방식으로 클러치 커플러(42)와 연결된다. 따라서, 클러치 레버 아암(36)과 클러치 커플러(42)는 정상 작동 위치에서 작동될 수 있다. 충돌 동안에, 클러치 연결 브래킷(130)은 또한 브레이크 연결 브래킷(76)과 유사한 크로스 카아 빔(140)에 접촉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연결 브래킷(76) 및 클러치 연결 브래킷(130)은 정면 충돌 또는 오프셋 충돌 동안에 대시월(24)을 향하는 레버 아암들(34, 36) 각각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정면 충돌 이후에 브레이크 레버 아암(34)의 작동과 유사하게, 클러치 레버 아암(36)은 또한 정면 충돌 이후에, 비록 제한된 방식으로 가능하더라도, 클러치의 작동을 감안하도록 브레이크 레버 아암(34)과 유사한 방식으로 클러치 커플러(42)에 연결된다.
구체예들의 앞서 말한 설명은 도시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제공되어 왔다. 철저하거나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한 구체예의 요소들 및 구조체들 각각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구체예에 제한되지 않으나, 적용가능한 경우에, 특별하게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더라도, 교체가능하고 선택된 구체예에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것은 또한 많은 방법들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들은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으로 여겨지지 않고, 모든 이러한 변형들은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9)

  1. 차량을 위한 페달 시스템에 있어서,
    페달 어셈블리 브래킷;
    이용자의 일부분에 의해 맞물리도록 작동하는 페달 레버 아암;
    페달 어셈블리 브래킷으로부터 연장된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하고,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및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을 통해 형성된 경감 슬롯을 갖는 커플러;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를 갖는 연결 브래킷(제 1 측부는 제 1 피봇 통로부 및 제 2 피봇 통로부 및 제 1 고정 통로로 제 1 피봇 통로를 한정하고, 제 2 측부는 제 3 피봇 통로부 및 제 4 피봇 통로부 및 제 2 고정 통로로 제 2 피봇 통로를 한정한다);
    커플러에서 페달 레버 아암 및 경감 슬롯을 통해 연장됨으로써 제 1 피봇 통로부 및 제 2 피봇 통로부를 통해 페달 레버 아암, 커플러 및 연결 브래킷을 결합하는 제 1 피봇 부재; 및
    연결 브래킷, 제 1 고정 통로 및 제 2 고정 통로, 페달 레버 아암 및 커플러를 결합하는 제 1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연결 브래킷은 제 1 연결 브래킷 위치로부터 제 2 연결 브래킷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페달 레버 아암은 커플러에 힘을 전달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피봇 통로부는 제 1 피봇 통로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제 2 피봇 통로부는 제 2 피봇 통로 축을 따라 연장되며;
    제 1 피봇 통로 축은 제 2 피봇 통로 축에 대하여 0이 아닌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통로는 제 1 고정 통로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제 2 고정 통로는 제 2 고정 통로 축을 따라 연장되며;
    제 1 고정 통로 축 및 제 2 고정 통로 축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브래킷의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는 접합벽과 연결되며,
    접합벽은 차량의 지지 부재에 맞물리고 제 1 연결 브래킷 위치로부터 제 2 연결 브래킷 위치로 연결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시스템은,
    페달 레버 아암 및 커플러를 결합하는 제 2 피봇 부재를 더 포함하되,
    제 2 피봇 부재는 연결 브래킷이 제 2 연결 브래킷 위치에 존재할 때 페달 시스템의 작동을 유지하도록 제 1 피봇 부재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시스템은,
    커플러, 페달 레버 아암 및 연결 브래킷의 제 3 고정 통로 및 제 4 고정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제 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제 1 고정 부재 및 제 2 고정 부재는 제 1 연결 브래킷 위치에서 연결 브래킷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7. 차량을 위한 페달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의 일부분에 의해 맞물리도록 작동하는 페달 레버 아암;
    차량에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하는 커플러(페달 레버 아암은 커플러에 결합되고, 커플러는 커플러에 형성된 제 1 경감 슬롯을 한정한다);
    제 1 측부 및 종단부를 갖는 연결 브래킷(제 1 측부는 제 2 슬롯 영역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 제 1 슬롯 영역을 갖는 제 2 경감 슬롯을 한정한다); 및
    적어도 제 1 경감 슬롯 및 제 2 경감 슬롯 사이에 연장됨으로써 페달 레버 아암, 커플러 및 연결 브래킷을 결합하고, 제 1 슬롯부로부터 제 2 슬롯부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며, 연결 브래킷이 제 1 브래킷 위치로부터 제 2 브래킷 위치로 이동될 때 제 1 슬롯 영역으로부터 제 2 슬롯 영역으로 이동가능한 제 1 피봇 핀을 포함하되,
    페달 레버 아암은 커플러에 힘을 전달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시스템은,
    연결 브래킷의 제 1 고정 통로, 페달 레버 아암의 제 2 고정 통로, 및 커플러의 제 3 고정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제 1 고정 핀을 더 포함하되,
    제 1 고정 핀은 제 1 브래킷 위치에서 연결 브래킷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통로는 고정 축을 따라 연장되는 가늘고 긴 슬롯을 한정하고;
    상기 가늘고 긴 슬롯은 제 1 브래킷 위치로부터 제 2 브래킷 위치로 연결 브래킷의 이동의 선형 경로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슬롯 영역은 제 1 슬롯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제 2 슬롯 영역은 제 2 슬롯 축을 따라 연장되며;
    제 1 슬롯 축은 제 2 슬롯 축에 대하여 0이 아닌 각도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슬롯 축은 제 1 피봇 핀이 제 2 슬롯 영역 안으로 이동할 때 페달 레버 아암이 플로어보드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차량의 플로어보드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시스템은,
    페달 브래킷 어셈블리에 연결된 회전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커플러는 회전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브래킷 위치는 제 1 브래킷 위치보다 회전축 부재에 더 근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14. 제 7 항에 있어서,
    페달 레버 아암은 제 1 페달 레버 아암 및 제 2 페달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커플러는 제 1 커플러 및 제 2 커플러를 포함하되, 제 1 커플러는 제 1 페달 레버 아암에 결합되고 제 2 커플러는 제 2 페달 레버 아암에 결합되고, 제 1 커플러 및 제 2 커플러는 상호 간에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연결 브래킷은 제 1 연결 브래킷 및 제 2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고, 제 1 연결 브래킷은 제 1 페달 레버 아암에 결합되며 제 2 연결 브래킷은 제 2 페달 레버 아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15. 제 7 항에 있어서,
    연결 브래킷은 제 1 고정 보어 영역 및 제 2 고정 보어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약화된 부분을 갖는 가늘고 긴 고정 보어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스템.
  16. 차량에서 사용을 위한 페달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슬롯 영역 및 제 2 슬롯 영역을 갖는 경감 슬롯을 갖는 연결 브래킷을 제공하는 단계;
    페달 레버 아암 및 커플러를 연결하도록 연결 브래킷에서 적어도 경감 슬롯을 통과하는 제 1 피봇 부재에 의해 제 1 고정 위치에서 함께 결합된 커플러 및 페달 레버 아암을 갖는 페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차량의 지지 부재와 차량의 전측 격실 사이에 차량에 고정되도록 페달 어셈블리를 구성하여, 전측 격실이 지지 부재를 향하여 이동할 때 페달 어셈블리가 지지 부재를 향하여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연결 브래킷이 전측 격실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지지 부재에 맞물리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연결 브래킷이 전측 격실을 향하여 이동할 때, 제 1 피봇 부재는 제 1 고정 위치에서의 제 1 슬롯 영역으로부터 제 2 슬롯 영역으로 이동하며, 전측 격벽을 향하여 페달 레버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연결 브래킷이 제 2 위치로 전측 격실을 향하는 이동을 완료한 이후에 연결 브래킷 내에 제 1 피봇 부재를 유지하도록 연결 브래킷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차량의 시스템에 연결하고 차량의 시스템을 작동시키도록 커플러 또는 페달 레버 아암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 1 피봇 부재가 제 2 슬롯 영역으로 이동한 이후에 차량의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는 연결부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연결 브래킷이 전측 격실을 향하여 이동할 때 제 1 피봇 부재는 커플러 내의 제 2 경감 슬롯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069830A 2011-06-28 2012-06-28 차량 페달 시스템 KR201300022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70,983 2011-06-28
US13/170,983 US8899130B2 (en) 2011-06-28 2011-06-28 Vehicle peda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290A true KR20130002290A (ko) 2013-01-07

Family

ID=4639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830A KR20130002290A (ko) 2011-06-28 2012-06-28 차량 페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99130B2 (ko)
EP (1) EP2540579B1 (ko)
KR (1) KR201300022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24B1 (ko) * 2013-07-05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호용 페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1431B2 (ja) * 2012-08-01 2017-06-07 ルノー エス.ア.エス. 自動車のペダルを設置するための装置
FR2994150B1 (fr) * 2012-08-01 2015-08-07 Renault Sa Dispositif de montage d'une pedale d'un vehicule automobile
JP6130665B2 (ja) * 2012-12-28 2017-05-17 株式会社エフテック ペダル装置
US9523998B2 (en) 2013-03-14 2016-12-20 Ventra Group Co. Safety release system for pedals
US9889826B2 (en) 2014-02-19 2018-02-13 Ventra Group Co. Variable ratio brake pedal
JP2019018627A (ja) * 2017-07-12 2019-02-07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ペダル後退防止構造体
JP6716524B2 (ja) * 2017-11-10 2020-07-01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US10960858B2 (en) 2018-04-23 2021-03-30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Automotive pedal release system
SE542239C2 (en) 2018-07-10 2020-03-24 Cj Automotive Ab A ped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CN115366853B (zh) * 2022-10-25 2023-02-17 江苏常发农业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制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0152A (en) 1966-02-01 1968-11-12 Frederick A. Krusemark Mechanical linkage
DE2204628A1 (de) 1972-02-01 1973-08-09 Kiekert Soehne Arn Verstellbare bedienungseinheit fuer kraftfahrzeuge
DE19529347A1 (de) 1995-08-09 1997-02-20 Hs Tech & Design Vorrichtung zum Lösen der Verankerung eines Pedals vom Aufbau eines Kraftfahrzeugs
DE19606427A1 (de) 1996-02-22 1997-08-28 Teves Gmbh Alfred Bremspedalwerk für Kraftfahrzeuge
JP3267145B2 (ja) 1996-03-25 2002-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JP3125677B2 (ja) 1996-04-30 2001-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IT1284785B1 (it) 1996-09-10 1998-05-21 Siv S P A Sistema per liberare il pedale del freno in caso di collisione.
FR2780172B1 (fr) * 1998-06-17 2000-09-08 Renault Dispositif de montage d'une pedale d'un vehicule automobile
GB9930601D0 (en) 1999-12-24 2000-02-16 Ksr Automotive Limited Vehicle pedal box
GB0006365D0 (en) 2000-03-17 2000-05-03 Bck Technology Ltd Vehicle foot pedal retraction device
US20030075005A1 (en) 2000-04-04 2003-04-24 Lothar Schiel Crash-safe pedals in a vehicle
US6679135B1 (en) 2000-09-14 2004-01-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Energy absorbing brake pedal
FR2824027B1 (fr) 2001-04-27 2003-08-29 Financ D Etudes Et De Dev Ind Procede et dispositif pour commander au moyen d'une pedale une tige d'actionnement d'un systeme de freinage ou de debrayage d'un vehicule automobile avec mise au plancher de la pedale en cas de choc frontal
ITTO20010482A1 (it) 2001-05-23 2002-11-23 Fiat Auto Spa Sistema per rilasciare un pedale di un autoveicolo in caso d'urto frontale.
ITTO20011128A1 (it) 2001-12-04 2003-06-04 Siv Spa Sistema di sgancio del braccio di un pedale.
ES2192473B1 (es) 2002-01-23 2004-07-01 Batz, S. Coop Estructura soporte de pedales con mecanismo de seguridad ante colisiones frontales.
GB2389083B (en) 2002-05-29 2004-05-12 Dura Automotive Ltd Collapsible pedal box
ITTO20020497A1 (it) 2002-06-12 2003-12-12 Siv Spa Dispositivo di taglio dell'asse di rotazione di un pedale di un autoveicolo.
ITTO20020226U1 (it) 2002-12-23 2004-06-24 Siv Spa Dispositivo di aggancio del pedale del freno di un autoveicolo al puntale del servofreno
ITTO20030006U1 (it) 2003-01-15 2004-07-16 Siv Spa Dispositivo di aggancio del puntale del servofreno al pedale del freno di un autoveicolo
DE60308806T2 (de) 2003-01-24 2007-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Dearborn Pedalanordnung
US6951152B2 (en) 2003-02-17 2005-10-04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Crash release arrangement and method for an automotive pedal mounting
KR100507468B1 (ko) 2003-02-19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목상해 방지용 능동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
DE10316952B4 (de) 2003-04-12 2008-11-13 Daimler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Vorbaustruktur
GB0310510D0 (en) 2003-05-08 2003-06-11 Bck Technology Ltd Arrangement for permitting motor vehicle foot pedal release and motor vehicle incorporating same
KR100552747B1 (ko) 2003-11-13 2006-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브레이크페달의 발목 상해 방지구조
JP2005153603A (ja) 2003-11-21 2005-06-16 F Tech:Kk 自動車における操作ペダル支持装置
JP4502660B2 (ja) 2004-02-20 2010-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操作ペダル装置
US7415909B2 (en) 2004-03-31 2008-08-26 Mazda Motor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 for pedal of vehicle
ITTO20040358A1 (it) 2004-05-27 2004-08-27 S I V Spa Pedale per autoveicolo provvisto di dispositivo di collassamento
EP1640229B1 (en) 2004-09-27 2007-01-24 Mazda Motor Corporation Pedal assembly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JP4234095B2 (ja) * 2004-12-09 2009-03-04 株式会社エフテック 自動車の操作ペダル装置
US20070137398A1 (en) * 2005-11-17 2007-06-21 Mazda Motor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 for control pedal
JP4979986B2 (ja) 2006-05-31 2012-07-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EP1876076B1 (en) 2006-07-07 2009-11-11 Auto Technica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 for Control Pedal of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24B1 (ko) * 2013-07-05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호용 페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0579B1 (en) 2014-06-18
EP2540579A1 (en) 2013-01-02
US20130000440A1 (en) 2013-01-03
US8899130B2 (en)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2290A (ko) 차량 페달 시스템
EP0928727B1 (en) Brake pedal apparatus for vehicle
US7665387B2 (en) Shock absorbing device for brake pedals
JP4234095B2 (ja) 自動車の操作ペダル装置
US7987743B2 (en) Positive release crash pedal mechanism
JP4221160B2 (ja) 操作ペダルの後退変位抑制機構
JP2007522549A (ja) ペダルサポート
JP3804373B2 (ja)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US7669896B2 (en) Anti-intrusion pedal system
US4662237A (en) Actuating device for automobiles
EP3594776B1 (en) A ped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9032836B2 (en) Device for preventing inward shifting of brake pedal during collision
US20040020324A1 (en) Pedal leve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CN111791857B (zh) 电动车辆
JP2000313319A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US8661933B2 (en) Vehicle brake pedal crash safety device
JP6716524B2 (ja)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JP2003252245A (ja) 自動車における2次衝突時の衝撃力緩和装置
JP3381659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4968204B2 (ja) ブレーキペダル支持構造
WO2016125337A1 (ja) 車両用ペダル装置の後退防止装置
JP2002087230A (ja) 自動車のペダル支持装置
KR20050037756A (ko)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
JP2012121379A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100489076B1 (ko)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