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743B1 -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743B1
KR100488743B1 KR10-2003-0064054A KR20030064054A KR100488743B1 KR 100488743 B1 KR100488743 B1 KR 100488743B1 KR 20030064054 A KR20030064054 A KR 20030064054A KR 100488743 B1 KR100488743 B1 KR 100488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sulator
outer pipe
vehicle body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694A (ko
Inventor
손영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7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66Supports comprising friction d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41Link-typ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변속기 측에 장착되는 프론트 인슐레이터와 롤 로드로 연결되는 리어 인슐레이터의 아웃터 파이프 내주에 러버를 4개로 분할하여 접착하고, 각 러버 사이에는 십자형 인너 코어를 삽입하여 차체 측에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가 감속 및 제동 시 진동절연을 통하여 NVH를 향상시키도록;
롤 로드의 양단에 프론트 인슐레이터와 리어 인슐레이터를 각각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인슐레이터는 변속기 측에 서포트 브라켓을 통하여 체결되고, 리어 인슐레이터는 차체 측에 각각 볼트를 통하여 체결되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에서,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는, 상기 롤 로드의 일단에 일측이 일체로 고정되는 아웃터 파이프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분할되어 접착 고정되는 4개의 러버부재와; 상기 러버부재의 사이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십자형상의 코어로 이루어져 차체 측에 고정되는 인너 코어 수단과; 상기 인너 코어 수단의 외측단에 대응하여 상기 아웃터 파이프와 함께 차체 측에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A ROLL MOUNTING DEVICE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기 측에 장착되는 프론트 인슐레이터와 롤 로드로 연결되는 리어 인슐레이터의 아웃터 파이프 내주에 러버를 4개로 분할하여 접착하고, 각 러버 사이에는 십자형 인너 코어를 삽입하여 차체 측에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가 감속 및 제동 시 진동절연을 통하여 NVH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 및 변속기를 차체에 장착하는 방식은, 크게 관성지지와 중심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관성지지 방식은 엔진의 관성주축을 이용한 마운팅 방식으로, 마운팅 갯수에 따라 4점 마운팅과 3점 마운팅으로 구분된다.
상기 4점 마운팅은 차체의 사이드 멤버의 상단 또는 옆면에 엔진 마운터와 변속기 마운터가 위치되며, 서브 프레임에 프론트 및 리어 롤 스톱퍼가 장착되는 방식이다.
이에 비해, 3점 마운팅 방식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의 일측에 구성되는 엔진 마운터(3)와 변속기(5)의 일측에 구성되는 변속기 마운터(7)는 4점 마운팅 방식과 동일하게 차체의 사이드 멤버(9)의 상단 또는 옆면에 장착되고, 프론트 및 리어 롤 스톱퍼 대신에 롤 마운팅 장치(10)를 서브 프레임 혹은 크로스 멤버(11)에 마운팅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현재, 3점 마운팅 방식에서 사용하고 있는 롤 마운팅 장치(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롤 로드(21)의 양단에 프론트 인슐레이터(23)와 리어 인슐레이터(25)를 각각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인슐레이터(23)는 변속기(5) 측에 고정된 서포트 브라켓(13)에 체결되고, 리어 인슐레이터(25)는 서브 프레임 혹은 크로스 멤버(11)에 각각 관통볼트를 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인슐레이터(23,25)는 다시 아웃트 파이프(31)와 인너 파이프(33) 및 사이에 충진되는 러버(35)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10)는, 도 3에서와 같이, 차량의 가속시, 엔진의 아이들 작동 및 시동 시에 NVH에 기여하는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며, 상기 프론트 인슐레이터(23)와 리어 인슐레이터(25)는 NVH 튜닝의 중요부품이다.
특히, 상기 프론트 인슐레이터(23)는 보통 아웃터 파이프와 인너 파이프에 러버가 충진된 형태를 사용하고 있으며, 리어 인슐레이터(25)에 비해 크기가 작으며 고무의 스프링상수 값만 적절하게 조절하면 리어 인슐레이터(25)에 비해 튜닝에 그리 민감하지 않은 부품이나,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25)는 그 중요도가 커서 러버의 스프링상수는 물론, 그 형상을 변경하는 등, 가속투과 소음 및 시동 시의 NVH를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변수들을 수정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롤 마운팅 장치(10)에서,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25)는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보통 상기한 바와 같이, 아웃트 파이프(31)와 인너 파이프(33) 및 그 사이에 충진되는 러버(35)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며, 경쟁사마다 나름대로의 변형된 형태를 사용하기도 하나, 구조적인 제약으로 인해 튜닝의 한계를 가지며, 결국 엔진의 진동에 대해 절연율이 떨어져 가속투과 소음, 엔진의 아이들 운전 및 시동 시의 NVH 성능에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의 NVH 성능 향상을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기 측에 장착되는 프론트 인슐레이터와 롤 로드로 연결되는 리어 인슐레이터의 아웃터 파이프 내주에 러버를 4개로 분할하여 접착하고, 각 러버 사이에는 십자형 인너 코어를 삽입하여 차체 측에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가 감속 및 제동 시 진동절연을 통하여 NVH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롤 로드의 양단에 프론트 인슐레이터와 리어 인슐레이터를 각각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인슐레이터는 변속기 측에 서포트 브라켓을 통하여 체결되고, 리어 인슐레이터는 차체 측에 각각 볼트를 통하여 체결되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에서,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는,
상기 롤 로드의 일단에 일측이 일체로 고정되는 아웃터 파이프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분할되어 접착 고정되는 4개의 러버부재와; 상기 러버부재의 사이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십자형상의 코어로 이루어져 차체 측에 고정되는 인너 코어 수단과; 상기 인너 코어 수단의 외측단에 대응하여 상기 아웃터 파이프와 함께 차체 측에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는 롤 로드(101)의 양단에 프론트 인슐레이터(103)와 리어 인슐레이터(105)를 각각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인슐레이터(103)는 변속기(5:도 1참조) 측에 서포트 브라켓(107)을 통하여 체결되고, 리어 인슐레이터(105)는 차체 측의 크로스 멤버(11; 도 1참조) 일측에 볼트를 통하여 체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105)의 구성은 상기 롤 로드(101)의 일단에 아웃터 파이프(111)가 그 일측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아웃터 파이프(111)의 내주면에는 90도 각도의 등간격으로 4개의 러버부재가 각각 분할되어 접착 고정되는데, 이 각각의 러버부재는 그 단면형상이 브이(V)자 형상을 갖는 브이형 러버(113,115,117,119)로 이루어지며, 그 각각의 양측 선단이 상기 아웃터 파이프(111)의 내주면에 접착 고정되어 내부에 공간부(S)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브이형 러버(113,115,117,119)의 사이사이의 공간에는 십자형상의 코어로 이루어져 끼워지도록 인너 코어 수단(1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인너 코어 수단(102)은 상기 차체 측의 크로스 멤버(11: 도 1참조)와 아웃터 파이프(111)의 내측단 사이에 위치되어 중앙에 볼트홀이 형성되는 원형 플레이트(121)가 구성되고, 상기 원형 플레이트(121)의 중심에는 내부에 중공의 볼트홀(127)을 형성하는 인너 파이프(12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너 파이프(123)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브이형 러버(113,115,117,119)의 사이사이에 끼워지도록 십자형 코어(1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너 코어 수단(120)의 외측단에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아웃터 파이프(111)와 함께 차체 측에 체결하는 체결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수단은 체결볼트(131)와 함께, 중앙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131)를 통하여 상기 인너 코어 수단(120)의 인너 파이프(123)에 형성된 볼트홀(127)과 원형 플레이트(121)에 형성된 볼트홀을 관통하여 차체 측의 크로스 멤버(11)에 상기 아웃터 파이프(111)를 고정하는 원형의 마운팅 플레이트(1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의 작동을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먼저, 장착 상태에서는 엔진의 아이들(IDLE) 운전상태 또는 시동 등에 의해 상,하 움직임 발생시에는 상기 각 십자형 러버(113,115,117,119)의 내 외측 단면이 인너 코어 수단(120)의 원형 플레이트(121)와 마운팅 플레이트(133)에 접촉되어 진동을 상쇄시키게 되며, 가속시에는 프론트 인슐레이터(103)가 차량의 전방으로 약간 상향하면서 움직이는 괘적을 만들게 되고, 이 때, 롤 로드(101)로 연결된 리어 인슐레이터(105)의 아웃터 파이프(111)를 당기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인너 코어 수단(120)은 차체 측의 크로스 멤버(111)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아웃터 파이프(111)의 전진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해 저항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브이형 러버(113,115,117,119)는 도면에서 좌측 브이형 러버(113)가 압축되는 힘을 받으며 상,하측 브이형 러버(115,119)는 인장과 압축이 동시에 발생하여 진동 절연 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동시에는 상기 가속시의 작동과 정반대로 도면의 우측 브이형 러버(117)가 압축되는 힘을 받으며, 상,하측 브이형 러버(115,119)는 가속시와 같이, 각각의 반대측 단면에 대하여 인장과 압축이 동시에 발생하여 진동 절연 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브이형 러버(113,115,117,119)와 십자형 코어(125)는 엔진이 아이들 작동 및 시동 시, 그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시키게 되며, 가속 및 제동시에는 가속 및 감속 투과음을 상기 브이형 러버(113,115,117,119)의 각 공간부(S) 내에서 공명효과에 의한 흡수하여 NVH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에 의하면, 변속기 측에 장착되는 프론트 인슐레이터와 롤 로드로 연결되는 리어 인슐레이터의 아웃터 파이프 내주에 러버를 4개로 분할하여 접착하고, 각 러버 사이에는 십자형 인너 코어를 삽입하여 차체 측에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가 감속 및 제동 시 진동절연을 통하여 NVH를 향상시키며, 동시에 아이들 작동 및 시동 시에는 엔진의 여진 시간을 단축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엔진과 변속기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 장치의 장착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4)

  1. 롤 로드의 양단에 프론트 인슐레이터와 리어 인슐레이터를 각각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인슐레이터는 변속기 측에 서포트 브라켓을 통하여 체결되고, 리어 인슐레이터는 차체 측에 각각 볼트를 통하여 체결되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는,
    상기 롤 로드의 일단에 일측이 일체로 고정되는 아웃터 파이프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분할되어 접착 고정되는 4개의 러버부재와;
    상기 러버부재의 사이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십자형상의 코어로 이루어져 차체 측에 고정되는 인너 코어 수단과;
    상기 인너 코어 수단의 외측단에 대응하여 상기 아웃터 파이프와 함께 차체 측에 체결하는 체결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러버부재는
    그 형상이 브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각각의 양측 선단이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에 접착 고정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브이형 러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 코어 수단은
    상기 차체 측과 아웃터 파이프의 내측단 사이에 구성되며, 중앙에 볼트홀이 형성되는 원형 플레이트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중공의 볼트홀이 형성되는 인너 파이프와;
    상기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각 러버부재의 사이사이에 끼워지도록 십자형상으로 구성되는 십자형 코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체결볼트와;
    중앙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를 통하여 상기 인너 코어 수단과 아웃터 파이프를 차체 측에 고정하는 원형의 마운팅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KR10-2003-0064054A 2003-09-16 2003-09-16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KR100488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054A KR100488743B1 (ko) 2003-09-16 2003-09-16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054A KR100488743B1 (ko) 2003-09-16 2003-09-16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694A KR20050027694A (ko) 2005-03-21
KR100488743B1 true KR100488743B1 (ko) 2005-05-11

Family

ID=3738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054A KR100488743B1 (ko) 2003-09-16 2003-09-16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702A (ko) * 2000-07-07 2002-01-16 유상철 인라인 스케이트가 내장된 신발
CN105835696A (zh) * 2015-02-04 2016-08-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辊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752B1 (ko) * 2006-09-14 2007-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 마운트
KR100887976B1 (ko) * 2007-12-12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CN104924886B (zh) * 2014-03-21 2018-01-19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抗扭拉杆及汽车
KR102394791B1 (ko) * 2017-08-09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로드
KR102496191B1 (ko) * 2017-12-01 2023-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변속기 마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702A (ko) * 2000-07-07 2002-01-16 유상철 인라인 스케이트가 내장된 신발
CN105835696A (zh) * 2015-02-04 2016-08-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辊杆
CN105835696B (zh) * 2015-02-04 2019-12-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辊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694A (ko) 200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359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KR100489101B1 (ko) 차량의 변속기 마운트장치
KR100488743B1 (ko)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KR102437470B1 (ko)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KR100494418B1 (ko) 엔진의 롤 마운팅 구조
JP2004150596A (ja) 防振支持装置
KR100533462B1 (ko) 차량의 롤 로드 시스템
KR20120014968A (ko) 브릿지형 리어 롤로드
JPH02261916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支持構造
JP2002120735A (ja) 舵取り装置の取付構造
JP3017483B1 (ja) ボデーマウント
KR101673629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장치
KR100460929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마운팅 장치
KR101551954B1 (ko) 공회전 진동 개선을 위한 트랜스미션 마운트
KR101585420B1 (ko) 차량용 롤로드
JPH0313052Y2 (ko)
KR20120051293A (ko) 향상된 진동 절연 효과를 가지는 하이드로 롤로드
KR20190002804A (ko) 프리로드 타입 마운트
JP3891694B2 (ja) 防振装置
KR100559897B1 (ko) 차량용 롤로드
JP2596062Y2 (ja) 自動車のパワユニット支持構造
KR100705081B1 (ko) 리프 스프링의 차체 연결구조
JPH08247216A (ja) 防振装置
JP2552959Y2 (ja) エンジンマウンチング装置
KR100501433B1 (ko) 엔진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