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572B1 -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572B1
KR100488572B1 KR10-2003-0045914A KR20030045914A KR100488572B1 KR 100488572 B1 KR100488572 B1 KR 100488572B1 KR 20030045914 A KR20030045914 A KR 20030045914A KR 100488572 B1 KR100488572 B1 KR 100488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 position
position sensing
plate
sensing wheel
dr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5932A (ko
Inventor
서진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5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5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2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 F02D35/028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by determining the combustion timing or ph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6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circuit-makers or -breakers, or pick-up devices adapted to sense particular points of the timing cycle
    • F02P7/067Electromagnetic pick-up devices, e.g. providing induced current in a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20/00Details on specific features characterising valve gear arrangements
    • F01L2820/04Sensors
    • F01L2820/042Crankshafts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운전 중에 발생되는 회전 각속도의 변동량을 줄여 크랭크 포지션 센서의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외측 둘레가 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의 외주면으로 링 기어가 조립되고,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절곡부 일측으로 크랭크 포지션 센서와 작용되기 위한 노치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이 부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일측면에 부착되며, 외주면 둘레가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 절곡부의 절곡방향으로 절곡된 인너 베어링 장착부가 형성된 환형상의 고정 플레이트와;
내측단에 마련된 아웃터 베어링 장착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도중과 연결되고, 외측단의 노치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노치가 형성되는 댐핑 플레이트와;
상기 댐핑 플레이트의 아웃터 베어링 장착부와 고정 플레이트의 인너 베어링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과;
상기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에 전달되는 회전 각속도의 변동량이 흡수되도록, 상기한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절곡부 내주연과 상기 댐핑 플레이트의 외주연 사이에 개재되는 러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Crank position sensing wheel}
본 발명은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운전 중에 발생되는 회전 각속도의 변동량을 줄여 크랭크 포지션 센서의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구동시 각 실린더의 작동행정을 찾아서 점화순서를 정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점화시기는 크랭크 축의 회전각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엔진제어장치가 판독, 점화시기를 제어한다.
일반적인 크랭크 포지션 센서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플레이트(10)의 외경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13)이 지나는 도중에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13)에는 상기 포지션 센서와 반응되기 위한 통공형태의 노치(14)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드라이브 플레이트(10)는 상기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13)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드라이브 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 리벳팅되므로서 크랭크 샤프트와 동시에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13)의 외측 둘레에는 엔진을 시동할 때 스타터 모터의 회전력을 받는 링 기어(12)가 가열끼워맞춤되거나 볼트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엔진이 운전되는 과정에서 상기한 포시션 센서에서 노치(14)를 감지하여 연료의 분사 타이밍 및 엔진회전수를 측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에는 엔진의 운전 중에 폭발 간격(Firing interval)에 의해서 회전각속도 변동이 발생하며, 저속으로 갈수록 회전 각속도 변동량이 커지게 되므로서, 엔진의 아이들 구동시 및 저속운전영역에서 운전시 회전 각속도 변동에 의한 센싱 시그널의 이상파형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연료의 분사 타이밍이 변동되므로서 이상연소로 인한 에미션(Emission) 악화와 이상 소음 및 실화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의 운전 중에 발생되는 회전 각속도의 변동량을 줄여 크랭크 포지션 센서의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외측 둘레가 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의 외주면으로 링 기어가 조립되고,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절곡부 일측으로 크랭크 포지션 센서와 작용되기 위한 노치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이 부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일측면에 부착되며, 외주면 둘레가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 절곡부의 절곡방향으로 절곡된 인너 베어링 장착부가 형성된 환형상의 고정 플레이트와;
내측단에 마련된 아웃터 베어링 장착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도중과 연결되고, 외측단의 노치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노치가 형성되는 댐핑 플레이트와;
상기 댐핑 플레이트의 아웃터 베어링 장착부와 고정 플레이트의 인너 베어링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과;
상기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에 전달되는 회전 각속도의 변동량이 흡수되도록, 상기한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절곡부 내주면과 상기 댐핑 플레이트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러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4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을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드라이브 플레이트(30)는 종래의 일반적인 드라이브 플레이트와 마찬가지로 큰 지름을 갖는 원형 플레이트의 중앙에 크랭크 샤프트의 일단에 축결합되기 위한 축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공(31)의 외측으로는 볼트결합을 위한 볼트공(32) 및 회전균형을 맞추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33)이 형성된다. 특히, 드라이브 플레이트(30)의 외측 둘레는 단면형상이 외측을 향해서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34)가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절곡부(34)의 외주면에 링 기어(35)의 내주연이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장착된다.
한편, 엔진의 회전수 및 크랭크 각의 측정하기 위한 노치(41)가 일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40)이 상기한 드라이브 플레이트(30)의 둘레 외측에 부착된다. 상기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40)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30)의 측면에 부착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42)와 상기 노치(4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댐핑 플레이트(44)로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40)의 고정 플레이트(42)는 드라이브 플레이트(30)의 측면부에 결합수단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고정부(42a)가 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30)의 절곡부(34)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절곡부(3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환형상의 인너 베어링 장착부(42b)가 마련되도록 상기 고정부(42a)의 외측이 일측으로 절곡된다. 즉, 상기한 고정 플레이트(42)는 일측 단면형상이 ''와 같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열간압연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결합수단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에서는 리벳(50)이 이용되었으나 볼트를 포함한 기타의 결합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40)의 댐핑 플레이트(44)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의 내측이 상기 인너 베어링 장착부(42a)의 지름보다 크며 상기 절곡부(34)의 지름보다는 작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환형상의 아웃터 베어링 장착부(44b)가 형성되고, 그 외측은 상기한 링 기어(35)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그 도중에 일정간격의 노치(41)가 관통되는 노치부(44a)가 형성된다. 즉, 상기한 댐핑 플레이트(44)는 일측단면형상이 ''와 같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열간압연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고정 플레이트(42)의 인너 베어링 장착부(42b)와 댐핑 플레이트(44)의 아웃터 베어링 장착부(44b) 사이에는 고체 윤활제가 코팅된 베어링(46)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한 댐핑 플레이트(44)의 아웃터 베어링 장착부(44b)와 드라이브 플레이트(30)의 절곡부(34) 간에는 회전 각속도의 변화량을 흡수하기 위한 러버(48)가 개재된다. 상기 러버(48)는 강성(stiffness)가 작은 천연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이 시동되어 크랭크 축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한 드라이브 플레이트(30)가 회전되며,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30)의 일측면에 결합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4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브 플레이트(30)와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40)이 함께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한 드라이브 플레이트(30)와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40) 간에는 관성력에 의해서 회전 각속도의 변화가 발생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40)은 드라이브 플레이트(30)의 댐핑 플레이트(44)와 러버(48)를 매개로 결합되므로서, 상기 러버(48)에서 회전 각속도의 변동량이 흡수되어 상기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40)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특히, 엔진의 아이들 및 저속구간에서 회전 각속도 변동에 의한 센싱 시그널의 이상 파형의 발생이 줄게 된다.
한편, 상기한 댐핑 플레이트(44)와 고정 플레이트(42) 간에는 고체윤활제가 코팅된 베어링이 조립되므로서, 양 부재의 상대운동에 의한 마모 및 소음이 방지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회전속도 변동에 의한 이상연소로 발생이 되는 에미션(Emission)의 악화, 소음발생 및 실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크랭크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통하여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에 전달되는 회전 각속도 변동량이 링 기어가 위치되는 절곡부의 내주면 측과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댐핑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러버와,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댐핑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고체윤활제가 코팅되어 있는 베어링에 의해서 상기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에 전달되는 회전 각속도 변동량이 댐핑되므로서, 상기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이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되며, 회전 각속도 변동에 의한 이상연소가 원인이 되는 이미션 악화, 소음발생 및 실화 등의 문제가 해결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드라이브 플레이트 34 : 절곡부
35 : 링 기어 40 :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
41 : 노치 42 : 고정 플레이트
42b : 인너 베어링 장착부 44 : 댐핑 플레이트
44a : 노치부 44b : 아웃터 베어링 장착부
46 : 베어링 48 : 러버
50 : 리벳

Claims (3)

  1. 플라이 휠의 외측 둘레가 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의 외주연으로 링 기어가 조립되고, 상기 플라이 휠의 절곡부 일측으로 크랭크 포지션 센서와 작용되기 위한 노치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이 부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플라이 휠(30)에 일측면에 부착되며, 외주연 둘레가 상기 플라이 휠 절곡부(34)의 절곡방향으로 절곡된 인너 베어링 장착부(42b)가 형성된 환형상의 고정 플레이트(42)와;
    내측단에 마련된 아웃터 베어링 장착부(44b)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42)의 도중과 연결되고, 외측단의 노치부(44a)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노치(41)가 형성되는 댐핑 플레이트(44)와;
    상기 댐핑 플레이트(44)의 아웃터 베어링 장착부(44b)와 고정 플레이트(42)의 인너 베어링 장착부(42b)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46)과;
    상기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40)에 전달되는 회전 각속도의 변동량이 흡수되도록, 상기한 플라이 휠(30)의 절곡부(34) 내주연과 상기 댐핑 플레이트(44)의 아웃터 베어링 장착부(44b) 외주연 사이에 개재되는 러버(48);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플레이트(42)의 일측면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댐핑 플레이트(44)는 일측면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
KR10-2003-0045914A 2003-07-08 2003-07-08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 KR100488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914A KR100488572B1 (ko) 2003-07-08 2003-07-08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914A KR100488572B1 (ko) 2003-07-08 2003-07-08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932A KR20050005932A (ko) 2005-01-15
KR100488572B1 true KR100488572B1 (ko) 2005-05-11

Family

ID=3722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914A KR100488572B1 (ko) 2003-07-08 2003-07-08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01665A (ja) * 2019-06-21 2021-0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ルサー部材のクランク軸取付け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01665A (ja) * 2019-06-21 2021-0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ルサー部材のクランク軸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932A (ko) 200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5552B1 (en) Speed-adaptive vibration damper
JP2982116B2 (ja) パルス発生器付摩擦クラッチ
JP4020360B2 (ja) クランクシャフトの回転角度検出用のプレートの取付構造
JPH01312246A (ja) 定次数形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4700629B2 (ja) パルサープレートの取り付け構造
CN110582656B (zh) 具有用于引导圆柱滚子的预紧元件的离心摆装置
KR100488572B1 (ko) 크랭크 포지션 센싱 휠의 장착구조
JP5312173B2 (ja) パルサープレートの取付構造
JPS60192145A (ja) 往復動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US8347699B2 (en) Procedure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misfiring cylinder of a combustion engine, control unit and motor vehicle drive train
JPH08247218A (ja) 回転軸の回転変動およびねじり振動抑制装置
JP6994364B2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JP2004225829A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の製造方法
JP4883284B2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US5463900A (en) Balancing process and balanced component after this process
JP7124684B2 (ja) クランクシャフト装置
JPH11108115A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JP2007046633A (ja) エンジンのバランサ装置
KR100435960B1 (ko) 마그네틱 클러치가 형성된 밸런스 샤프트
KR0151519B1 (ko) 엔진의 회전 검출장치
JPH08109949A (ja) クランクシャフト
KR100448819B1 (ko) 자동차의 크랭크 포지션 감지 장치
JPH0231622Y2 (ko)
KR101421018B1 (ko) 다기통 엔진의 크랭크 축
JPH05313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