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761B1 -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761B1
KR100487761B1 KR10-2002-0047977A KR20020047977A KR100487761B1 KR 100487761 B1 KR100487761 B1 KR 100487761B1 KR 20020047977 A KR20020047977 A KR 20020047977A KR 100487761 B1 KR100487761 B1 KR 10048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brake
power
wheel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660A (ko
Inventor
양기일
김혜란
Original Assignee
양기일
김혜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일, 김혜란 filed Critical 양기일
Priority to KR10-2002-004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76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0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1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motori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캐디의 노동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골퍼들에 대하여 캐디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모타의 속도를 제어하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 팩과, 상기 밧데리 팩의 구동전원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타와, 상기 모타의 축에 장착되어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모타의 축을 잡는 역할을 하는 모타 브레이크와, 상기 모타의 축에 연결되어 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차동감속기와, 상기 차동감속기와 바퀴를 연결하는 축에 결합되어 필요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동을 수행하는 밴드브레이크와, 상기 밴드브레이크가 작동될 경우 브레이크 핸들 및 케이블의 작동 거리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하여 모타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 접점 스위치와, 일반 카트의 형상을 가지며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골프 가방을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백 서포터 및 지지대용 바구니와, 각 구성의 작동 및 전원의 공급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게기판과, 상기 게기판에 결합되어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기와, 상기 차동감속기를 통해 제공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Electric Cart System for 2 Golf Bags}
본 발명은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의 힘으로 움직여서 골프경기시 골프장의 페어웨이(Fareway)까지 골프채를 담은 골프 가방 및 기타 편의 도구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이하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고자 한다.
페어웨이(Fareway)는 골프장에서 골프경기를 할 때 잔디가 비교적 고르게 자란 중앙 부위를 중심으로 한 주 경기 장소를 의미하며, 캐디(Caddy)는 골프장에서 골프경기를 할 때 운영을 도와주는 경기 보조원으로 골프장 내방객 및 골퍼들에게 경기 안내, 골프채 운반 및 기타 편의를 제공하는 골프장 소속의 여직원을 의미하며, 카트(Cart)는 물건이나 사람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고안된 운송도구로서 본 출원에서는 사람은 타지 않고 골프장에서 골프가방, 골프채, 골프공을 비롯한 골프용품과, 음료수, 수건 등의 편의용품 그리고 캐디들의 서비스용품을 골프장의 클럽 하우스(Club House) 뿐 만 아니라 골프경기장인 페어웨이 안까지 자유롭게 운반하는 운송도구를 의미한다.최근에 골프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면서 골프장도 많이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골프 경기에서는 골퍼의 원할한 경기진행을 위하여 캐디가 골프채가 든 골프가방과, 골프용품, 수건, 음료수 등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물품, 그리고 캐디들의 서비스 보조용품인 모래, 칫솔등이 담겨져있는 디보트 가방을 운반하게 된다.이때, 상기 골프 가방과 디보트 가방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캐디들이 자신들의 힘으로 골프가방을 끌고 다니는 수동카트를 이용하는 방법과, 골프장의 페어웨이 옆에 만들어진 도로를 다니는 자동차 또는 스쿠터를 이용하는 방법과, 레일을 깔아 지정된 길로 다닐 수 있도록 하는 레일카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그러나, 상기 자동차, 스쿠터 또는 레일카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골프공이 가는 위치와 관계없이 정해진 길을 따라 이동하므로 골프채를 바꿔야 하거나 땀을 닦을 수건을 가져오거나 음료수 등 기타 물품이 필요한 때 자동차, 스쿠터 또는 레일카트가 위치한 곳까지 가서 가져와야 하는 어려운 점들이 있다.결국, 현재까지 골프장의 페어웨이에 들어가 골퍼들의 옆에서 골프채를 꺼내 주거나, 음료수 등의 서비스를 가까운 거리에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수동카트를 이용하는 방법 뿐이다.그러나, 수동카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동카트가 페어웨이 안까지 들어갈 수는 있으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동력의 도움없이 캐디들이 수동카트를 자신의 힘만으로 끌어야 하므로 캐디들의 중노동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대부분이 산악지형인 국내의 골프장에서 캐디들이 무거운 골프가방을 계속해서 운반해야 하고 비탈진 곳도 끌고 다녀야하는 점에서 골퍼들에게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기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캐디의 노동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골퍼들에 대하여 캐디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골프 가방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백 서포터(Bag Supporter)와 지지대용 바구니(Supporter Basket)를 구비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페어웨이에서의 잔디보호 및 하중을 고려하여 광폭 타이어 또는 바퀴를 사용하도록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압 강하를 통하여 전류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모타의 속도를 제어하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 팩과, 상기 밧데리 팩의 구동전원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타와, 상기 모타의 축에 장착되어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모타의 축을 잡는 역할을 하는 모타 브레이크와, 상기 모타의 축에 연결되어 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차동감속기와, 상기 차동감속기와 바퀴를 연결하는 축에 결합되어 필요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동을 수행하는 밴드브레이크와, 상기 밴드브레이크가 작동될 경우 브레이크 핸들 및 케이블의 작동 거리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하여 모타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 접점 스위치와, 일반 카트의 형상을 가지며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골프 가방을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백 서포터 및 지지대용 바구니와, 각 구성의 작동 및 전원의 공급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게기판과, 상기 게기판에 결합되어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기와, 상기 차동감속기를 통해 제공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퀴는 타이어(Tire)와 휠(Wheel)로 이루어지고, 잔디 보호와 하중 관계를 고려하여 지름은 10인치(254mm) 내지 15인치(381mm)를 갖고, 폭은 50mm 내지 160mm를 갖는 광폭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면, 참조번호 10은 전동카트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모타(30)의 속도제어를 위하여 PWM(Pulse Width Modulus)에 의한 전압 강하를 통하여 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Controller)를 나타내고, 20은 두 개의 밧데리(21)를 직렬로 연결하여 24볼트로 사용하고 전동카트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 팩(Battery Pack)을 나타내며, 21은 상기 밧데리 팩(20)을 구성하는 통상적인 12볼트용의 밧데리(Battery)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30은 상기 밧데리(21)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모타(Motor)를 나타내고, 31은 상기 모타(30)의 축 한쪽에 장착되어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모타(30)의 축을 잡는 역할을 하는 모타 브레이크(Motor Brake)를 나타내며, 40은 상기 모타(30)의 축 다른쪽 끝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차동감속기(Transaxle)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모타 브레이크(31)는 전원 온(On) 상태에서는 브레이크장치가 열려 모타축이 회전하는데 어떤 영향을 주지 않으나,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모타(30)의 축을 잡음으로써 전동카트 시스템의 바퀴(80)가 차동감속기(40) 및 모타(30)와 직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비탈길에서 주차(Parking)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동감속기(40)는 모타(30)의 출력을 15:1에서 45:1 사이로 감속하여 바퀴(80)의 구동력을 증가시키는데, 한쪽의 바퀴(80)가 미끌어지거나 구덩이에 빠졌을 때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쪽의 바퀴(80)에 걸리는 구동력을 기계적으로 균일하게 배분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정지 상태에서도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향성을 확보하였으며, 주행시의 주행안정성도 확보하였다.
또한, 참조번호 50은 상기 차동감속기(40)와 바퀴(80)를 연결하는 축에 결합되어 필요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동을 수행하는 밴드브레이크(Band Brake)를 나타내고, 51은 상기 밴드브레이크(50)가 작동될 경우 브레이크 핸들 및 케이블의 작동 거리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하여 모타(30)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 접점 스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60은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몸체(Body)를 나타내고, 61은 핸들(Handle) 역할을 하는 손잡이를 나타내며, 62는 운반중인 가방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백 서포터(Bag Supporter)를 나타내며, 63 : 상기 백 서포터(62)와 함께 가방을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대용 바구니(Supporter Basket)를 나타내고, 65는 상기 몸체(60)와 연결되어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프레임(Frame)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지지대용 바구니(63)와 백 서포터(62)는 2개의 골프가방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 폭의 길이를 충분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조번호 70은 각 구성의 작동 및 전원의 공급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게기판(Indicator)을 나타내고, 71은 상기 게기판(70)에 결합되어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기(Speed Adjust)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게기판(70)에는 밧데리 용량 표시계, 전원램프, 모타브레이크 램프, 속도다이얼 등을 장착하여 작동자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하였다.또한, 참조번호 80은 바퀴를 나타내는데, 타이어(Tire)(81)와 휠(Wheel)(8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퀴(80)는 잔디 보호와 하중 관계를 고려하여 지름은 10인치(254mm) 내지 15인치(381mm)를 갖고, 폭은 50mm 내지 160mm를 갖는 광폭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참조번호 90은 진동 등의 충격을 줄이기 위한 쇽 업소바(Shock Absorber)를 나타낸다.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에서는 골프 가방은 아래 부분의 지지대용 바구니(63)에 수납되고 백 서포터(62)에 의해 지지되어 운반되어진다.본 발명에 의한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게기판(70)을 조작하여 전원의 공급을 수행하고, 상기 속도조절기(71)를 조작하여 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속도조절기(71)에서의 속도결정은 PWM(Pulse Width Modulus)에 의한 전압 강하를 통하여 전류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이때, 상기 밧데리 팩(20)의 구동전원이 모타(30)로 공급되면 회전력이 발생되고, 그 회전력은 차동감속기(40)를 통해 바퀴(80)에 전달되어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이 주행하도록 한다. 상기 차동감속기(40)는 모타(30)의 출력을 15:1에서 45:1 사이로 감속하여 바퀴(80)로 전달하는데, 양쪽의 바퀴(80)에 걸리는 구동력을 기계적으로 균일하게 배분하게 된다.상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중에 상기 모타 브레이크(31)는 전원 온(On) 상태에서는 브레이크장치가 열려 모타축이 회전하는데 어떤 영향을 주지 않으나, 전원오프(Off) 상태에서 모타(30)의 축을 잡음으로써 전동카트 시스템의 바퀴(80)가 차동감속기(40) 및 모타(30)와 직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비탈길에서 주차(Parking)가 가능하도록 한다.한편, 주행중에 제동이 필요한 경우 밴드브레이크(50)가 차동감속기(40)의 양축을 잡아주는데 이때 브레이크 케이블의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접점 스위치(51)가 연결되면서 모타(30)의 전원이 끊어지게 된다.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은 많은 캐디들의 노동력을 감소시켜 골퍼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편안한 가운데 제공할 수 있도록 할 뿐 만 아니라, 수입품이 대부분인 국내 전기자동차 및 레일 카트 등을 대체하는데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또한, 백 서포터와 지지대용 바구니의 좌우폭을 충분히 하여 2개의 골프 가방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퍼의 숫자에 비하여 적은 수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또한, 하중을 고려하여 광폭 타이어 또는 바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페어웨이에서 잔디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동 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의 측면도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콘트롤러(Controller) 20 : 밧데리 팩(Battery Pack)
21 : 밧데리(Battery) 30 : 모타(Motor)
31 : 모타 브레이크(Motor Brake) 40 : 차동감속기(Transaxle)
50 : 밴드브레이크(Band Brake) 51 : 브레이크 접점 스위치
60 : 몸체(Body) 61 : 손잡이(Handle)
62 : 백 서포터(Bag Supporter) 63 : 지지대용 바구니
65 : 프레임(Frame) 70 : 게기판(Indicator)
71 : 속도조절기(Speed Adjust) 80 : 바퀴
81 : 타이어(Tire) 82 : 휠(Wheel)
90 : 쇽 업소바(Shock Absorber)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8)

  1. 전압 강하를 통하여 전류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모타의 속도를 제어하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 팩과, 상기 밧데리 팩의 구동전원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타와, 상기 모타의 축에 장착되어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모타의 축을 잡는 역할을 하는 모타브레이크와, 상기 모타의 축에 연결되어 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차동감속기와, 상기 차동감속기와 바퀴를 연결하는 축에 결합되어 필요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동을 수행하는 밴드브레이크와, 상기 밴드브레이크가 작동될 경우 브레이크 핸들 및 케이블의 작동 거리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하여 모타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 접점 스위치와, 일반 카트의 형상을 가지며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골프 가방을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백 서포터 및 지지대용 바구니와, 각 구성의 작동 및 전원의 공급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게기판과, 상기 게기판에 결합되어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기와, 상기 차동감속기를 통해 제공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타이어(Tire)와 휠(Wheel)로 이루어지고, 잔디 보호와 하중 관계를 고려하여 지름은 10인치(254mm) 내지 15인치(381mm)를 갖고, 폭은 50mm 내지 160mm를 갖는 광폭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2-0047977A 2002-08-13 2002-08-13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 KR10048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977A KR100487761B1 (ko) 2002-08-13 2002-08-13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977A KR100487761B1 (ko) 2002-08-13 2002-08-13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660A KR20040015660A (ko) 2004-02-19
KR100487761B1 true KR100487761B1 (ko) 2005-05-06

Family

ID=3732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977A KR100487761B1 (ko) 2002-08-13 2002-08-13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7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501A (ja) * 1989-07-05 1991-02-19 Katsuji Akagi 乾燥草花
JPH0536508A (ja) * 1991-07-30 1993-02-12 Kyocera Corp チツプ状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チツプ状電子部品
KR950001354U (ko) * 1993-06-30 1995-01-04 김성남 요철차도용 주의 표시구
KR200280614Y1 (ko) * 2002-04-04 2002-07-04 한상규 골프백 운반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501A (ja) * 1989-07-05 1991-02-19 Katsuji Akagi 乾燥草花
JPH0536508A (ja) * 1991-07-30 1993-02-12 Kyocera Corp チツプ状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チツプ状電子部品
KR950001354U (ko) * 1993-06-30 1995-01-04 김성남 요철차도용 주의 표시구
KR200280614Y1 (ko) * 2002-04-04 2002-07-04 한상규 골프백 운반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660A (ko)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8695A (en) Battery driven golf cart
US5265695A (en) Portable collapsible motorized golf cart
CA1224725A (en) Portable golf car
US6390216B1 (en) Motorized cart
US6659208B2 (en) Powered golf caddy vehicle
US5161635A (en) Motorized golf caddie
US20040238241A1 (en) Front wheel motor driven-golf trolley
US7581748B2 (en) Power assisted golf bag cart
US8925659B2 (en) Electric utility vehicle
US3871464A (en) Self-propelled golf bag cart
US6866109B2 (en) Mobility vehicle
US7604245B2 (en) Mountable actuating device for motorized vehicles
JPS5977963A (ja) 自動手押車
US20050252700A1 (en) Powered manual propelling vehicle
JP3195395U (ja) 手押し式電動運搬台車
US20070131465A1 (en) Drive wheel assembly for golf bag carts
US20040245745A1 (en) Human powered golf cart with auxiliary power source
US6659210B2 (en) Golf attachment, and device provided therewith
KR100487761B1 (ko) 골프장용 전동카트 시스템
KR100487842B1 (ko) 골프백 운송장치
GB2242404A (en) Battery-driven golf cart for walking or riding
GB2406315A (en) Light personal vehicle
KR200369420Y1 (ko) 골프백 운송장치
JP3524639B2 (ja) 車いす
GB2306925A (en) Ride on golf bag tro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