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863B1 -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 - Google Patents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863B1
KR100486863B1 KR10-2002-0075362A KR20020075362A KR100486863B1 KR 100486863 B1 KR100486863 B1 KR 100486863B1 KR 20020075362 A KR20020075362 A KR 20020075362A KR 100486863 B1 KR100486863 B1 KR 100486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work
drive shaft
ki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233A (ko
Inventor
방장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863B1/ko
Publication of KR2004004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Pipe)에 후렌지를 간편하게 취부할 수 있게하여 작업 및 품질,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데 있는 것으로,
종래에는 작업 정반위에 파이프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후렌지를 끼워 넣게되는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작업 시간과 피로도가 높아 더 이상의 안전/품질/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고정축과 구동축이 파이프 조정용 볼 스크류가 구비된 구동모터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고, 상기 구동축과 고정축에는 클램프가 설치되어 파이프 및 후렌지를 고정 및 해지하도록 되고, 파이프가 놓여지는 작업대에는 회전로울러가 설치되어 파이프를 전,후(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키커(Kicker)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축과 고정축의 이동을 제한하고 키커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후렌지의 취부작업이 기구장치에 의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취부 정도가 향상됨은 물론 취부 불량율을 크게 줄게되어 품질 및 신뢰도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flange}
본 발명은 직관 후렌지(Flange)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중인 파이프(Pipe)에 후렌지가 기구장치에 의해 간편하게 취부할 수 있게하여 작업 및 품질,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배관 제작공정에 있어 후렌지 취부 작업은 10년전이나 현재 작업 방법에 큰 변화가 없다. 즉, 작업 정반위에 파이프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후렌지를 끼워 넣게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 작업이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작업자의 고령화로 인해 작업 피로도가 높고,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써 파이프와 후렌지의 취부 상태가 완전하지 못하여 이로 인한 불량률이 아주 높게 나타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용접기술은 나날이 발전하더라도 유독 배관 제작에 있어 후렌지의 취부 작업만은 과거나 현재나 수작업으로 행해지고 있어 더 이상의 안전/품질/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파이프에 결합되는 후렌지 취부 작업이 기구적인 구성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하여 후렌지의 취부 불량율을 현저하게 낮추므로써 품질과 신뢰도 증진에 크게 기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렌지의 취부 작업을 작업자가 직접 힘들이지 아니하고도 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피로도 감소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후렌지 취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공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도록 대향되게 고정축(10)과 구동축(2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10)과 구동축(20)은 파이프 조정용 볼 스크류가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구동모터는 고정축(10)과 구동축(20)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20)과 고정축(10)에는 클램프(9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클램프(90)를 이용하여 파이프(40) 및 후렌지(30)를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구동축(20)과 고정축(10)에는 절단 정반으로부터 이송되어지는 파이프(40)가 놓여지는 작업대(60)가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40)는 회전로울러(50)에 지지된 채 전,후(좌,우)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파이프(40)를 들어올리도록 된 지그(미도시)에 의해 작업대(60)에 공급된다. 상기 작업대(60) 일측에 구비된 키커(Kicker)(80)는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에서 최종적으로 취부 완료된 후 구동축(20)을 이동하여 장비에서 분리하게 되면 취부된 직관 파이프(40)가 회전로울러(50)위에 놓이게 되는데 다음공정의 작업대(61)로 이송하기 위해 직관 파이프(40)를 굴려주게 된다.
또한 작업대(60)에는 작업 완료된 파이프(40)를 용접 위치로 이동시키는 키커(80)와 에어실린더(70) 및 상기 구동축(20)과 고정축(10)의 이동을 제한하고 키커(80)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가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후렌지 취부장치를 이용하여 후렌지를 조립하고자 할 때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고정축(10)과 구동축(20)에 부설되는 클램프(90)에 각각의 후렌지(30a,30b)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구동축(20)을 1차 이동시켜 작업할 파이프(40)가 고정축(10)과 구동축(20) 키커(80)에 안착될 수 있는 거리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높이조절 로울러는 최하점에 위치하게 하여 키커(80)가 하부측으로 내려가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절단 정반에서 대기중인 파이프(40)를 지그(미도시)에 의해 투입한 후 고정축(10)과 구동축(20)의 키커(80) 위에 올려놓는다.
고정축(10)과 구동축(20)의 높이조절용 볼 스크류 구동모터(미도시)를 동시에 작동시켜 파이프(40)의 중심 높이를 구동축(20)과 고정축(10)에 각각 고정된 후렌지(30)의 중심과 일치되게 상승시킨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20)을 2차 이동시키면서 파이프(40)의 양끝단이 고정축(10)과 구동축(20)의 접촉면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양축(10,20)의 접촉면에 파이프(40)의 양끝단이 밀착되면 구동축(20)의 전원은 자동으로 차단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멈추게되면 파이프(40)에는 양쪽 후렌지(30a,30b)가 자동으로 취부 결합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후렌지(30a,30b) 취부 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고정축(10)의 클램프(90)를 해지하여 후렌지(30a)의 결합상태를 해지한 후 상기 클램프(90)에서 후렌지(30a)가 완전하게 이탈되어질 수 있도록 구동축(20)을 소정의 거리(70~100mm)만큼 이동시킨 후 정지한다.
이처럼 구동축(20)을 이동시켜 결합상태가 해지된 후렌지(30a)를 클램프(9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는 구동축(20)의 클램프(90)를 작동시켜 상기 클램프(90)에 고정된 후렌지(30b)의 결합상태를 마저 해지시킨다.
이와 같이 클램프(90)의 결합상태가 해지된 후에는 구동축(20)을 소정의 거리만큼(약 50mm) 이동시켜 클램프(90)로부터 후렌지(30)를 완전 분리시키게 되면 그 작업은 완료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파이프(40)의 양단부에 취부되는 후렌지(30)의 취부작업이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이 아닌 일정한 기구장치를 이용한 반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그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 작업에 있어 파이프의 양단으로 취부되는 후렌지의 조립작업이 작업자의 힘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하나의 기구적인 구성을 통해 작업자가 힘들이지 아니하고 간편하고 손쉽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 환경이 크게 개선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렌지의 취부작업이 기구장치에 의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취부 정도가 향상됨은 물론 불량율도 크게 줄일 수 있게되어 품질 및 신뢰도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하게 발명인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축
20: 구동축
30: 후렌지
40: 파이프

Claims (1)

  1. 서로 마주하도록 대향되게 설치되는 고정축(10)과 구동축(20)이 파이프 조정용 볼 스크류가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고, 상기 구동축(20)과 고정축(10)에는 키커(Kicker)(80)와 클램프(90)가 설치되어 파이프(40) 및 후렌지(30a,30b)를 고정 및 해지하도록 구성되고, 파이프(40)가 놓여지는 작업대(60)에는 회전로울러(50)가 설치되어 파이프(40)를 전,후(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지그(미도시)에 의해 키커(Kicker)(80)에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
KR10-2002-0075362A 2002-11-29 2002-11-29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 KR100486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362A KR100486863B1 (ko) 2002-11-29 2002-11-29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362A KR100486863B1 (ko) 2002-11-29 2002-11-29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233A KR20040047233A (ko) 2004-06-05
KR100486863B1 true KR100486863B1 (ko) 2005-04-29

Family

ID=3734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362A KR100486863B1 (ko) 2002-11-29 2002-11-29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68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1643A (ja) * 1986-04-25 1987-11-25 Koike Sanso Kogyo Co Ltd パイプフランヂ組立装置
JPS62292332A (ja) * 1986-05-13 1987-12-19 Koike Sanso Kogyo Co Ltd 鋼管の組立治具装置
JPH08174282A (ja) * 1994-12-27 1996-07-09 Nittetsu Boshoku Kk 鋼管へのフランジ仮付け溶接装置
KR20010037076A (ko) * 1999-10-13 2001-05-07 추호석 파이프 플랜지 자동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1643A (ja) * 1986-04-25 1987-11-25 Koike Sanso Kogyo Co Ltd パイプフランヂ組立装置
JPS62292332A (ja) * 1986-05-13 1987-12-19 Koike Sanso Kogyo Co Ltd 鋼管の組立治具装置
JPH08174282A (ja) * 1994-12-27 1996-07-09 Nittetsu Boshoku Kk 鋼管へのフランジ仮付け溶接装置
KR20010037076A (ko) * 1999-10-13 2001-05-07 추호석 파이프 플랜지 자동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233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6027B (zh) 玻璃裂片机
CN110170776B (zh) 一种导轨钢踏板的三轴转动焊接生产线
CN108213526A (zh) 一种全自动数控双头铣床
CN206083515U (zh) 一种高精密数控折弯机
US4721241A (en) Welding apparatus assembled together with grinding device
US4658689A (en) Vertical band saw with cantilever frame
KR100486863B1 (ko) 직관 후렌지 취부장치
JP2000198020A (ja) 難削板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CN110666518B (zh) 一种液压阀自动钻铣后打磨设备
CN1207129C (zh) 机器人型钢切割与划线生产系统
CN110170791B (zh) 一种导轨钢踏板焊接用的翻转设备及其压持定位方法
KR100496310B1 (ko) 금속판재 가공장치
JP2000153502A (ja) 木造建築用のほぞ加工装置
CN211311310U (zh) 一种多轴玻璃切割设备
CN210524319U (zh) 一种导轨钢踏板焊接用的翻转设备
CN220533108U (zh) 一种车架剖沟加工用夹具
JP2001047338A (ja) 製品組立方法および製品組立装置
KR200423461Y1 (ko) 산업용 가공장치
JPH06198526A (ja) ターンテーブル式の工作機械
KR0180127B1 (ko) 공작 기계의 소재 위치 결정 장치
CN218313936U (zh) 一种双坐标皮革冲孔残渣清除装置
JP2514996Y2 (ja) 自動複数面木工用プレーナ
CN221415198U (zh) 一种圆锯机进给装置
CN220741518U (zh) 一种木材加工用切割装置
CN220112931U (zh) 一种锯条接缝打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