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083B1 - 차재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차재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083B1
KR100485083B1 KR10-2002-0022225A KR20020022225A KR100485083B1 KR 100485083 B1 KR100485083 B1 KR 100485083B1 KR 20020022225 A KR20020022225 A KR 20020022225A KR 100485083 B1 KR100485083 B1 KR 10048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lock
cylinder
holder body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174A (ko
Inventor
네모토다케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9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차재용 컵홀더에 관하여, 트레이를 적어도 2위치로 로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결수단) 차재용 컵홀더(10)에는, 홀더본체(30)와, 트레이(40)와, 승강장치(50)가 구비되어 있다. 승강장치(50)에는 피스톤(51)과 실린더(52)가 구비되어 있다. 홀더 본체(30)와 승강장치(50)와의 사이에는, 실린더(52)와 피스톤(51)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며 트레이(40)를 상승시키기 위한 탄지수단(53)과, 탄지수단(5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트레이(40)를 하강위치 및 상승위치의 적어도 2위치로 로크하기 위한 로크장치(60)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차재용 컵홀더{cup hold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재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이를 적어도 2위치로 로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컵홀더로서는 차실내의 승강식 컵홀더 장치(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63-94049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 컵홀더 장치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 내에 푸시 로크 실린더를 통해서 승강가능하게 부착된 컵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푸시 로크 실린더에는, 컵홀더에 연결시킨 로드와, 이 로드를 상승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로드를 하강위치로 로크하기 위한 하트캠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컵홀더 장치에서는, 하트캠 구조를 사용하여 컵홀더를 단순히 하강위치로만 로크했었기 때문에, 상승위치에 있어서 컵홀더가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의 점에 있다.
즉, 본 발명은 트레이를 적어도 2위치로 로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또, 간편한 구조의 로크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삭제
또, 부품 개수를 감소할 수 있도록 하고, 푸시 버튼에 의해서 로크장치의 로크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푸시 버튼의 복귀와, 로크 돌조의 돌출에 1개의 스프링을 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각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컵 내의 부호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한 부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의 번호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한 도면번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첫째, 차재용 컵홀더(10)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1) 내지 (3)의 구성을 구비한다.
(1) 홀더 본체(30)
홀더 본체(30)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중공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2) 트레이(40)
트레이(40)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의 중공내부에 승강가능하게 부착되며, 홀더 본체(30)의 개방 상면으로부터 삽입된 컵(도시하지 않음)을 유지하는 것이다.
(3) 승강장치(50)
승강장치(50)는 트레이(40)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둘째, 승강장치(50)는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4) 및 (5)의 구성을 구비한다.
(4) 피스톤
피스톤(51)은,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와 트레이(40) 중 어느 일측, 예를 들어 홀더 본체(30)에 고정되는 것이다.
(5) 실린더(52)
실린더(52)는,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와 트레이(40) 중 어느 타측, 예를 들어 트레이(40)에 고정되며 피스톤(51)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52)를 트레이(40)에 고정하였으나 역으로 홀더 본체(30)에 고정해도 된다.
셋째, 홀더 본체(30)와 승강장치(50)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6) 및 (7)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6) 탄지수단(53)
탄지수단(53)은,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52)와 피스톤(51)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며 트레이(40)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7) 로크장치(60)
로크장치(60)는, 탄지수단(5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트레이(40)를 하강위치(예를 들어 도 5 참조), 및 상승위치(예를 들어 도 7 참조)의 적어도 2위치로 로크하기 위한 것이다.
로크장치(60)는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삭제
삭제
(1) 로크돌조(80)
로크돌조(80)는 승강장치(50)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2) 하강위치용 로크홈(90)
하강위치용 로크홈(90)은,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의 하측에 형성되며, 트레이(40)의 하강위치에 있어서 로크돌조(80)가 끼워져 들어가는 것이다.
(3) 상승위치용 로크홈(91)
상승위치용 로크홈(91)은,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의 상측에 형성되며, 트레이(40)의 상승위치에 있어서 로크돌조(80)가 끼워져 들어가는 것이다.
피스톤(51)은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또한, 피스톤(51)은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에 고정되어 있다.
삭제
삭제
실린더(52)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40)에 고정되어 있다.
또, 실린더(52)에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버튼(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 버튼(70)은 로크장치(60)의 로크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로크장치(60)와 푸시 버튼(70)과의 사이에는,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수단(100)이 형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복귀수단(100)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위치용 로크 홈(90) 및 상승위치용 로크 홈(91)을 향해서 로크돌조(80)를 돌출시킴과 아울러, 푸시 버튼(70)을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면의 설명)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컵홀더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트레이의 하강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는 컵홀더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승강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승강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트레이의 상승위치에 있어서의 승강장치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컵홀더(10)]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부호 10은 컵홀더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컵홀더(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내의 보디 패널(20)에 고정된 센터 콘솔(21)에 고정된다.
컵홀더(10)의 부착위치는 센터 콘솔(21)에 한정되지 않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암 레스트등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컵홀더(10)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별하면 다음의 부분품이 구비되어 있다.
(1) 홀더 본체(30)
(2) 좌우 1쌍의 트레이(40)
(3) 승강장치(50)
또한 컵홀더(10)의 부분품은 상기한 (1) 내지 (3)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 본체(30)]
홀더 본체(3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콘솔(21)에 매설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홀더 본체(30)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1쌍의 트레이 승강구멍(31,31)이 구비되어 있다.
각 트레이 승강구멍(31)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트레이 승강구멍(31)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트레이(40)가 승강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트레이 승강구멍(31)을 좌우 1쌍 형성했으나, 1개라도 좋고 혹은 3개 이상 형성해도 된다.
[트레이(40)]
트레이(4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1쌍 사용한다.
또한 1개의 트레이(40)에 2개 이상의 컵 삽입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각 트레이(40)는, 홀더 본체(30)의 각 트레이 승강구멍(31)에 승강가능하게 부착되며, 각 트레이 승강구멍(31)의 개방 상면으로부터 삽입된 컵(도시하지 않음)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컵은, 컵이외에 캔류, PET병류, 종이백류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트레이(40)를 좌우 1쌍 설치했으나, 트레이 승강구멍(31)과 마찬가지로 1개라도 좋고 혹은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각 트레이(4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41)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트레이 승강구멍(31)보다 1둘레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승강장치(50)]
승강장치(5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트레이(40)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승강장치(50)를, 좌우의 트레이(40)에 공통으로 1개 설치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의 트레이(40)에 개별적으로 설치해도 좋다. 승강장치(50)를 좌우의 트레이(40)에 개별적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좌우의 트레이(40)를 각각 승강시킬 수 있으며, 높이가 다른 2개의 컵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승강장치(50)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별하면 다음의 부분품이 구비되어 있다.
(1) 피스톤(51)
(2) 실린더(52)
(3) 탄지수단(53)
(4) O링(54)
(5) 로크장치(60)
또한 승강장치(50)의 부분품은 상기한 (1) 내지 (5)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스톤(51)]
피스톤(5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와 트레이(40) 중의 어느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51)을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40)에 고정하고 있다.
또, 피스톤(51)을 트레이(40)에 고정했으나, 역으로 홀더 본체(30)에 고정해도 된다.
[실린더(52)]
실린더(5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와 트레이(40) 중의 어느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5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52)는, 홀더 본체(30)에 일체적으로 형성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홀더 본체(30)와는 별체로 형성해도 된다.
[탄지수단(53)]
탄지수단(53)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52)와 피스톤(51)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며 트레이(40)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탄지수단(53)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파워 스프링등을 사용해도 된다.
[O링(54)]
O링(54)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51)의 선단부, 즉 상단부에 끼워져 들어가 있다.
[로크장치(60)]
로크장치(60)는, 탄지수단(5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트레이(40)를 하강위치(도 5 참조) 및 상승위치(도 7 참조)의 적어도 2위치로 로크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로크장치(60)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별하면 다음의 부분품이 구비되어 있다.
(1) 푸시 버튼(70)
(2) 로크돌조(80)
(3) 로크홈(90,91)
(4) 복귀수단(100)
또한 로크장치(60)의 부분품은 상기한 (1) 내지 (4)에 한정되지 않는다.
[푸시 버튼(70)]
푸시 버튼(70)은 로크장치(60)의 로크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푸시 버튼(70)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52)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크돌조(80)]
로크돌조(8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장치(50), 즉 푸시 버튼(70)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로크돌조(80)와 푸시 버튼(70)과의 사이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분이 구비되어 있다.
(1) 장공(71)
장공(71)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버튼(70)에 형성되며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2) 핀(81)
핀(81)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돌조(80)에서 돌출되며, 장공(71)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푸시 버튼(70)이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수단(100)의 탄지력에 의해서 로크돌조(80)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반해서, 복귀수단(10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푸시 버튼(70)를 눌러내리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핀(81)이 장공(71)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푸시 버튼(70)이 쑥 들어간다.
[로크홈(90,91)]
로크홈(90,91)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돌조(80)가 끼워져 들어가는 것으로서, 대별하면 다음의 2종류가 있다.
또한 로크돌조는 다음의 2개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위치에 형성하여 3개이상으로 해도 된다.
(1) 하강위치용 로크홈(90)
하강위치용 로크홈(9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의 하측에 형성되며, 트레이(40)의 하강위치에서 로크돌조(80)가 끼워져 들어가는 것이다.
(2) 상승위치용 로크장치(91)
상승위치용 로크홈(9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30)의 상측에 형성되며, 트레이(40)의 상승위치에서 로크돌조(80)가 끼워져 들어가는 것이다.
[복귀수단(100)]
복귀수단(100)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장치(60), 즉 실린더(52)와 푸시 버튼(70)과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강위치용 로크홈(90) 및 상승위치용 로크홈(91)을 향해서 로크돌조(80)를 돌출시킴과 아울러 푸시 버튼(70)을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복귀수단(100)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워 스프링 혹은 푸시 버튼(7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지 스프링 등을 사용해도 좋다.
복귀수단(100)으로서의 스프링은, 실린더(52)와 푸시 버튼(70)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며, 상시에는 로크돌조(80)를 횡방향으로 돌출시키며 푸시 버튼(70)을 상승시키고 있다.
(사용방법)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컵홀더(10)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트레이(40)의 하강위치(도 3 참조)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높이가 높은 컵, 캔류, PET병류, 종이백류 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비교적 높이가 낮은 컵, 캔류, PET병류, 종이백류 등을 삽입할 때에는 푸시 버튼(70)을 누르면 된다.
푸시 버튼(70)을 누르면 로크장치(60)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트레이(4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지수단(53)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승한다.
이 때, 로크돌조(80)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위치용 로크홈(91)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트레이(40)는 상승위치로 로크된다.
트레이(40)가 상승위치로 로크되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컵, 캔류, PET병류, 종이백류 등의 바닥이, 상승한 바닥부(41)(도 1 참조)에 얹어 놓여진다.
한편, 트레이(40)를 하강시킬 때에는 푸시 버튼(70)를 누른 후, 승강장치(50)를 탄지수단(53)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눌러내리면 된다.
승강장치(50)를 눌러내리면, 로크돌조(80)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위치용 로크홈(90)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트레이(40)는 하강위치로 로크된다.
본 발명은 이상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트레이를 적어도 2위치로 로크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 구조가 간편한 로크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푸시 버튼에 의해서 로크장치의 로크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푸시 버튼의 복귀와 로크돌조의 돌출에 1개의 스프링을 병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컵홀더의 단면도
도 2는 트레이의 하강상태를 나타내는 컵홀더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승강장치의 확대도
도 6은 승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트레이의 상승위치에 있어서의 승강장치의 확대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컵홀더 20 - 보디 패널
21 - 센터 콘솔 30 - 홀더 본체
31 - 트레이 승강구멍 40 - 트레이
41 - 바닥부 50 - 승강장치
51 - 피스톤 52 - 실린더
53 - 탄지수단 54 - O링
60 - 로크장치 70 - 푸시 버튼
71 - 장공 80 - 로크돌조
81 - 핀 90,91 - 로크홈
100 - 복귀수단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면이 개방된 중공의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의 중공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홀더 본체의 개 방 상면으로부터 삽입된 컵을 유지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로써,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트레이 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는 피스톤과,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트레이 중 어느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승강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며, 상기 트레이를 상승시키기 위한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트레이를 하강위치 및 상승위치의 적어도 2위치로 로크하기 위한 로크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크장치에는,
    상기 승강장치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로크돌조와,
    상기 홀더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의 하강위치에서 상기 로크돌조가 끼워져 들어가는 하강위치용 로크홈과,
    상기 홀더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의 상승위치에서 상기 로크돌조가 끼워져 들어가는 상승위치용 로크홈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홀더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트레이에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로크장치의 로크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푸시 버튼이 설치되고,
    상기 로크장치와 상기 푸시 버튼과의 사이에는, 상기 하강위치용 로크홈 및 상기 상승위치용 로크홈을 향해서 로크돌조를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푸시 버튼을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용 컵홀더.
KR10-2002-0022225A 2001-06-01 2002-04-23 차재용 컵홀더 KR100485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66745 2001-06-01
JP2001166745A JP4592217B2 (ja) 2001-06-01 2001-06-01 車載用のカップホルダ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174A KR20020092174A (ko) 2002-12-11
KR100485083B1 true KR100485083B1 (ko) 2005-04-25

Family

ID=1900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225A KR100485083B1 (ko) 2001-06-01 2002-04-23 차재용 컵홀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92217B2 (ko)
KR (1) KR100485083B1 (ko)
TW (1) TWI2328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4056B2 (en) * 2003-09-09 2008-03-1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llapsible container holder
JP6071003B2 (ja) 2014-01-21 2017-02-01 豊田合成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JP6211550B2 (ja) * 2015-02-26 2017-10-11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
CN106891818A (zh) * 2015-12-21 2017-06-27 福特环球技术公司 储物总成及车辆中央扶手箱
CN107933400A (zh) * 2017-11-16 2018-04-20 东风佛吉亚汽车内饰有限公司 深度可调升降杯托
CN107901813B (zh) * 2017-12-31 2024-02-02 常州艾龙森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车载杯架
CN108146313B (zh) * 2018-02-10 2024-04-26 东莞禾盈通用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升降杯托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654U (ko) * 1996-04-30 1997-11-10 자동차용 컵홀더
KR19990006278A (ko) * 1997-06-25 1999-01-25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컵홀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6254U (ja) * 1982-01-14 1983-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コンソ−ルボツクス
JPS613147U (ja) * 1984-06-14 1986-01-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コンソ−ルボツクス
JPH0524591Y2 (ko) * 1986-12-05 1993-06-22
JPH0554075U (ja) * 1991-12-19 1993-07-2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構造
JPH07228181A (ja) * 1994-02-21 1995-08-29 Kanto Auto Works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654U (ko) * 1996-04-30 1997-11-10 자동차용 컵홀더
KR19990006278A (ko) * 1997-06-25 1999-01-25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컵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92217B2 (ja) 2010-12-01
TWI232817B (en) 2005-05-21
JP2002362212A (ja) 2002-12-18
KR20020092174A (ko)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083B1 (ko) 차재용 컵홀더
CA2461681A1 (en) Pinch grip type bottle-shaped container
ATE332249T1 (de) Arm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KR20060033897A (ko) 트롤리의 삽통식 스템을 위한 잠금 장치
US2133697A (en) Valve lifter or valve puller
DE60002131D1 (de) Ablage zur Verwendung in Kraftfahrzeuge
US4811842A (en) Case for storing spare leads
CN208017257U (zh) 一种床护栏升降控制装置
JP2002159346A (ja) 机の天板昇降装置
KR20028566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940002411Y1 (ko)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
KR10032439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200277191Y1 (ko) 립스틱 케이스
CN208738581U (zh) 一种时钟弹簧的锁止机构
JPH0651037Y2 (ja) 電子部品挿入ヘッド
JPH04191298A (ja) コンテナスプレッダのコンテナストッパ
KR910002237B1 (ko) Ic 소케트에 사용되는 ic 패키지 추출기구
WO1986005167A1 (en) Improvements to car jack
JPH05544Y2 (ko)
KR100488789B1 (ko) 차량용 컵 홀더
KR970005903Y1 (ko) 상자운반용 손수레
KR100207195B1 (ko) 승용차용 예비 타이어 자동 승강 장치
KR200234647Y1 (ko) 절첩 지지대
KR890008187Y1 (ko) 자동차 리프트의 고임대
KR200146041Y1 (ko) 청소가 용이한 자동차의 콘솔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