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073B1 -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073B1
KR100485073B1 KR10-2002-0052774A KR20020052774A KR100485073B1 KR 100485073 B1 KR100485073 B1 KR 100485073B1 KR 20020052774 A KR20020052774 A KR 20020052774A KR 100485073 B1 KR100485073 B1 KR 100485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communication
transfer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194A (ko
Inventor
주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0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209Applications
    • H04T2001/2091Call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 Forwarding [CF], Cell Barring [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 현재 통화진행중인 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호이전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에이 단말기와 비 단말기의 호접속 요청이 있는지를 계속 판단하는 제1 과정;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에이 단말기와 비 단말기의 호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는 호를 접속하여 통신을 하는 제2 과정; 상기 과정의 에이 단말기가 시 단말기와 통신을 요청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에이 단말기가 시 단말기와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 비 단말기는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시 단말기의 해당 고유번호를 확인 및 호이전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제3 과정; 상기 과정에서 호이전 요청신호를 인가받은 교환국은 상기 시 단말기가 통신 대기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4 과정;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시 단말기가 통신 대기 상태인 경우는 상기 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에이 단말기와 시 단말기의 호를 접속하고, 에이 단말기와 비 단말기의 호 접속은 차단하는 제5 과정; 교환기는 단말기들의 통신운용을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제2 과정으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 등에 의하여, 통신을 진행중인 단말기가 상대방 단말기에 의하여 검색되고 선택된 제3자 단말기와 용이하게 호이전 접속하여 통신을 계속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장치 및 그 운용방법{A DEVICE AND A OPERATING METHOD OF CALL TRANSFER FOR WLL SYSTEM}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WLL) 단말기에서 현재 통화진행중인 호(CALL)를 다른 단말기로 이전하는 것으로, 특히,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호출하고 현재 접속중인 호와 접속되도록 하는 동시에 자신의 호는 차단하므로써 호이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가입자망(WLL: WIRELESS LOCAL LOOP)은 해당 교환국과 가입자용 단말기 사이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선로 대신에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선로로 연결하는 것이며, 상기 단말기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동범위가 극히 제한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는 자주 사용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다수 기록저장할 수 있는 해당 메모리가 구비되어 있으며, 기록저장된 주소 또는 이름을 검색하여 해당 전화번호와 통신을 할 수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호 접속 운용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호접속 운용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은, 무선으로 접속되어 통신을 하는 다수의 단말기(10,12,14)와,
상기 단말기(10,12,14)와 무선접속되고 통신을 하는 다수의 기지국(BS: BASE SITE)(20,22,24)과,
상기 기지국(20,22,24)과 접속되고 스위칭(SWITCHING) 기능에 의하여 각 단말기(10,12,14)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동시에 공중통신망(PSTN)과 접속하여 해당 경로정보를 송수신하는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3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WLL)을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일 예로, 단말기 A(10)는 기지국 A(2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단말기 B(12)는 기지국 B(22)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며, 단말기 C(14)는 기지국 C(24)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각각의 단말기(10,12,14)를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제어하고 관리하는 각각의 기지국(20,22,24)은, 무선가입자망(WLL) 전체의 운용을 감시하고 제어하며 관리하는 교환국(MSC)(30)에 접속되고, 상기 교환국(30)은 첨부된 도면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공중교환망(PSTN)에 접속되어 상기 각 단말기(10,12,14)를 다른 교환국 또는 망(NETWORK)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다른 교환국 또는 망(NETWORK)에서도 상기 각각의 단말기(10,12,14)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접속은 호(CALL) 접속을 말하고, 각 단말기(10,12,14) 사이에서도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호접속 운용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무선가입자망의 각 단말기(10,12,14)는 통신을 위한 호(CALL)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제1 단계(S10)에서 판단하여 호(CALL)가 접속된 경우, 통신을 진행하고(S20), 상대방이 다른 호의 접속을 요구하는지 판단하는(S30)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판단하여(S30), 통신 상대방이 다른 호(CALL)의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는, 현재 진행중인 통화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통화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제2 단계(S20)로 궤환하는 제3 단계(S40)와,
상기 제2 단계(S30)에서 판단하여 현재의 통신 상대방이 다른 통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요구하는 동시에 호(CALL) 접속을 요구하는 경우는 해당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대방이 요구하는 전화번호를 확인 및 통보하는 제4 단계(S50)와,
상기 제4 단계(S50) 처리 후, 또는 상기 제3 단계(S40)에서 판단하여 통화가 완료된 경우는 현재 진행중인 호의 접속을 차단하고 진행중인 통신을 종료하는 종료로 진행하는 제5 단계(S6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호접속 운용과정을 상기 첨부된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각각의 무선가입자망 단말기(10,12,14)는 해당 기지국(20,22,24)에 무선접속되어 통신을 하는 호(CALL)가 접속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고(S10), 상기 제1 단계(S10)에서 판단하여 호가 접속되었을 경우, 해당 상대방과 통신을 진행하며(S20), 통신을 진행중인 상대방으로부터 다른 호(CALL)와 접속하고자 하는 요청 또는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30).
상기 제2 단계의 판단(S30)에서 다른 호(CALL)와 접속하고자 하는 요구가 없는 경우는, 현재 진행중인 통화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0), 상기 제3 단계(S40)의 판단결과 현재 진행중인 통화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제2 단계(S20)로 궤환하여 현재 진행중인 통신을 계속하고, 상기 제3 단계(S40)의 판단에서 통화를 완료한 경우는 현재 통신이 진행중인 호 접속을 차단하고 통신종료로 진행한다(S60).
또한, 상기 제2 단계(S30)에서 판단하여 현재 통신이 진행중인 상대방으로부터 다른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요구하는 동시에 호를 접속하여 통신을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는 경우는, 해당 메모리를 검색하여 요구된 다른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확인 및 통보 한 후(S50), 상기의 제5 단계(S60)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무선가입자망 단말기 호 접속 운용방법은, 현재 진행중인 통신상대방이 다른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요구하는 동시에 상기 다른 상대방과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는 단말기의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해당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확인 및 통보하고 호 접속상태를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른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통보 받은 단말기(10,12,14)에서는 해당 전화번호를 다이얼링(DIALING)하고, 호 접속을 요구하여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를 통보받고 기록하기 위한 메모지 및 필기구 등이 별도로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통신 진행중인 상대방이 단말기의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다른 상대방과의 통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해당 메모리를 검색하여 호를 접속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대방과 호 연결되도록 하고 자신의 호는 차단하는 호 이전 장치 및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진행 중에 상대방이 제3 자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경우, 해당 메모리를 검색하여 확인된 번호로 호이전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와 무선접속하고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하여 다수의 단말기를 감시 및 제어하고 스위칭에 의하여 해당 경로를 설정하는 동시에 시스템 전체를 운용하는 교환국과; 상기 교환국에 접속되어 단말기로부터 호이전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호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호이전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운용에 있어서; 에이 단말기와 비 단말기의 호접속 요청이 있는지를 계속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에이 단말기와 비 단말기의 호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는 호를 접속하여 통신을 하는 제2 과정과; 상기 과정의 에이 단말기가 시 단말기와 통신을 요청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에이 단말기가 시 단말기와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 비 단말기는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시 단말기의 해당 고유번호를 확인 및 호이전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제3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호이전 요청신호를 인가받은 교환국은 상기 시 단말기가 통신 대기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4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시 단말기가 통신 대기 상태인 경우는 상기 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에이 단말기와 시 단말기의 호를 접속하고, 에이 단말기와 비 단말기의 호 접속은 차단하는 제5 과정과; 상기 교환기는 단말기들의 통신운용을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제2 과정으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 운용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WLL) 시스템은, 통신진행 중에 상대방이 제3 자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요구 또는 요청을 받은 단말기는 자주 통신하는 고유전화번호를 기록저장하는 해당 메모리를 검색하여 확인된 번호로 호(CALL) 이전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써, 현재 통신진행 중인 상대방과 메모리로부터 검색된 제3자와의 호(CALL)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 발생을 제어하는 호이전 버튼(60,62,64)이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다수 단말기(50,52,54)와,
상기 단말기(50,52,54)와 무선가입자망(WLL)의 해당 방식에 의한 무선접속을 하고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 기지국(25,27,29)과,
상기 기지국(25,27,29)과 접속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기(50,52,54)를 감시 및 제어하고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해당 경로를 설정하는 동시에 시스템 전체를 운용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기로부터 호이전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후술하는 호이전서버(40)의 제어에 의하여 통화 상대방과 제3자의 호(CALL)를 접속하고, 상기 호이전 요청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와의 호접속을 차단하는 교환국(35)과,
상기 교환국(35)에 접속되어 단말기(50,52,54)로부터 호이전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호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호이전서버(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WLL) 시스템의 운용에 있어서,
에이(A) 단말기(50)와 비(B) 단말기(52)의 호(CALL) 접속 요청이 있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제1 과정(S100)과,
상기 제1 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에이(A) 단말기(50)와 비(B) 단말기(52)의 호접속 요청 또는 요구가 있는 경우는 호(CALL)를 접속하여 통신을 하는 제2 과정(S110)과,
상기 제2 과정(S110)의 에이(A) 단말기(50)가 시(C) 단말기(54)와의 호(CALL) 접속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에이 단말기(50)가 시 단말기(54)와의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 비 단말기(52)는 해당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시 단말기(54)의 해당 고유번호(ID)를 확인 및 호이전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교환국(35)에 의하여 상기 비 단말기(52)와 통신을 진행중인 에이 단말기(50)가 시 단말기(54)와 호(CALL) 설정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S120); 상기 판단과정(S120)에서 에이 단말기(50)가 시 단말기(54)와 호(CALL) 설정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는 비 단말기(52)에 의하여 해당 메모리를 검색하고 상기 시 단말기(54)의 고유번호(ID)를 확인하는 확인과정(S130); 상기 비 단말기(52)는 상기 확인과정(S130)에서 확인한 시 단말기(54)의 고유번호(ID)를 해당 호(CALL) 이전 요청 기능버튼(60,62,64)을 입력 하므로써 상기 교환기(35)에 통보하는 입력과정(S140)으로 이루어지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에서 호이전 요청신호를 인가받은 교환국(35)은 상기 시 단말기(54)가 통신 대기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4 과정(S150)과,
상기 제4 과정(S150)에서 판단하여 시 단말기(54)가 통신 대기 상태인 경우는, 상기 교환국(35)의 제어에 의하여 에이 단말기(50)와 시 단말기(54)의 호(CALL)를 접속하고, 에이 단말기(50)와 비 단말기(52)의 호(CALL) 접속은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교환기(35)에 의하여 상기 에이 단말기(50)와 비 단말기(52)의 호(CALL)를 접속하는 접속과정(S160); 상기 접속과정(S160)에 의하여 호(CALL)를 접속한 후에 상기 에이 단말기(50)와 비 단말기(52) 사이의 호(CALL) 접속을 차단하는 차단과정(S170)으로 이루어지는 제5 과정과,
상기 교환국(35)은 상기 단말기(50,52,54) 들의 통신운용을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제2 과정(S110)으로 궤환(FEEDBACK)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는 제6과정(S180)과,
상기 제4 과정(S150)에서 판단하여, 상기 시 단말기(54)가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는 상기 교환국(35)에 의하여 시 단말기(54)가 통신중임을 상기 에이 단말기(50)와 비 단말기(52)로 통보하고 상기 제6 과정(S180)으로 진행하는 제7 과정(S19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무선가입자망(WLL) 시스템의 호(CALL) 이전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WLL) 시스템의 단말기(50,52,54)는 통화가 진행중인 상대방과 자신의 해당 메모리에 기록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고유번호(ID)와의 호(CALL) 접속을 원터치(ONE TOUCH)로 이전(TRANSFER)하는 기능의 호이전 버튼(60,62,64)을 각각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WLL) 교환국(MSC)(35)은 호이전 요구 또는 호이전 요청을 처리하는 호이전 서버(40)를 구비한다.
일 예로, 상기 다수의 단말기(50,52,54) 중에서, 상기 교환국(35)의 호처리 제어에 의하여 상기 에이 단말기(50)가 상기 비 단말기(52)와 통신을 진행중인 상태이고, 상기 에이 단말기(50)가 비 단말기(52)에게 상기 시 단말기(54)의 고유번호를 확인 요청하는 동시에 상기 시 단말기(54)와 통신을 하고자 요구 또는 요청하는 경우, 상기 비 단말기(52)는 해당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시 단말기(54)의 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호이전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호이전 버튼(62)을 입력한다.
상기와 같은 비 단말기(52)는 호이전 버튼(62)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시 단말기(54)의 해당 고유번호(ID)와 호이전을 요청하는 해당 기능의 신호를 상기 해당 기지국(27)에 함께 무선전송한다.
상기 교환국(35)은 상기 기지국(27)을 통하여 상기 시 단말기(54)의 고유번호(ID)와 호이전을 요청하는 해당 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호이전서버(40)에 해당 신호들을 인가한다.
상기 호이전서버(4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교환국(35)은 에이(A) 단말기(50)와 비(B) 단말기(52) 사이의 호(CALL)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시 단말기(54)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시 단말기(54)가 현재 통신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호이전서버(4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교환국(35)은 에이 단말기(50)와 비 단말기(52)의 호(CALL)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에이 단말기(50)와 시 단말기(54)의 호 접속을 진행하고, 상기 에이 단말기(50)와 시 단말기(54)의 호접속이 완료되면, 에이 단말기(50)와 비 단말기(52) 사이의 호(call) 접속을 차단하므로써, 에이 단말기(50)와 시 단말기(54)가 용이하게 호접속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에이 단말기(50)는 비 단말기(52)와 호(call) 접속에 의한 통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 단말기(54)와의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그리고, 상기 시 단말기(54)의 전화번호 또는 고유번호(ID)가 상기 비 단말기(52)의 해당 메모리에 기록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 단말기(52)가 시 단말기(54)의 고유번호(ID)를 자신의 해당 메모리로부터 검색하고, 호이전 기능버튼(62)을 입력하므로써, 교환국(35)에 접속된 호이전서버(40)에 의하여 호이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운용방법을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교환국(35)에 의하여 호접속이 이루어지면(S100) 에이 단말기(50)와 비 단말기(52)가 통신을 한다(S110).
상기 비 단말기(52)는 에이 단말기(50)가 시 단말기(54)와 통신을 하고자 요청하는지 판단하고(S120), 상기의 판단결과 에이 단말기(50)가 시 단말기(54)와 통신을 하고자 요청하지 않는 경우는 통신운용을 계속하는지 판단하여(S180) 통신운용을 계속하는 경우에 상기 제2 과정(S110)으로 궤환하고, 통신운용을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통신을 종료한다.
상기 판단과정(S120)에서 판단하여 에이 단말기(50)가 시 단말기(54)와 통신을 하고자 비 단말기(52)에 요청 또는 요구하는 경우, 상기 비 단말기(52)는 자신의 해당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시 단말기(54)의 해당 전화번호 또는 고유번호(ID)를 확인하고(S130), 상기 확인된 고유번호로 상기 에이 단말기의 호접속을 이전하기 위하여 호이전 기능버튼(62)을 입력한다(S140).
상기 입력과정(S140)에 의하여, 상기 고유번호와 호이전 기능 신호를 입력받은 교환기(35)는 호이전서버(4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시 단말기(54)가 현재 통신상태인지 또는 대기 중의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150).
상기 제4 과정(S150)에서 판단하여, 시 단말기(54)가 대기 상태인 경우는, 호이전서버(40)와 교환기(35)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에이 단말기(50)와 시 단말기(52)의 호를 접속시키고(S160), 상기 에이 단말기(50)와 비 단말기(52) 사이의 호(CALL)를 차단하고, 제6과정(S180)으로 진행하여 통신운용을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고, 종료하는 경우에 통신을 종료한다.
상기 제4 과정(S150)에서 판단하여, 상기 시 단말기(54)가 통신중인 경우는, 상기 교환기(35)에 의하여 에이 단말기(50)와 비 단말기(52)에 통신중임을 표시하는 해당 신호를 출력하여 통보하고(S190), 상기 제6 과정(S180)으로 진행하여 통신운용을 계속할 것인지 또는 종료할 것인지 판단하여 종료하는 경우에 통신을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50,52,54)는 통신중인 상대방 단말기(50,52,54)의 도움에 의하여 제3 단말기(50,52,54)와 호접속 이전을 하므로써 용이하게 통신을 계속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통신을 진행중인 단말기가 상대방 단말기에 의하여 검색되고 선택된 제3자 단말기와 용이하게 호이전 접속하여 통신을 계속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진행중인 상대방 단말기와의 호접속을 차단한 후에 제3자 단말기와 호접속하지 않고,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을 진행중인 상태에서 제3자 단말기와 접속을 한 후에 상대방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차단하므로, 호이전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호접속 운용방법 순서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 운용 방법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12,14,50,52,54 : 단말기 20,22,24,25,27,29 : 기지국
30,35 : 교환국 40 : 호이전서버

Claims (7)

  1.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통신진행 중인 상대방과 메모리로부터 검색된 제3자와의 호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어하는 호이전 버튼을 구비하고, 통신진행 중에 상대방이 제3 자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경우, 해당 메모리를 검색하여 확인된 번호로 호이전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다수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와 무선접속하고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 기지국과, 상기 다수의 기지국을 경유하여 단말기로부터 호이전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통화 상대방과 제3자의 호를 접속하고, 상기 호이전 요청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와의 호접속을 차단하는 교환국과, 상기 교환국에 접속되어 단말기로부터 호이전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호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호이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장치.
  2. 삭제
  3. 삭제
  4.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운용에 있어서,
    임의의 단말기(A)와 단말기(B)의 호접속 요청이 있는지를 계속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과정중에 단말기(A)와 단말기(B)의 호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이들의 호를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에 임의의 단말기(A)가 다른 임의의 단말기(C)와 통신을 요청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A)가 단말기(C)와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단말기(B)는 자신의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C)의 해당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호이전 요청신호를 처리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호이전 요청신호를 인가받은 교환국이 상기 단말기(C)가 통신 대기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4 과정중에 확인한 결과 상기 단말기(C)가 통신 대기 상태일 경우 상기 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단말기(A)와 단말기(C)의 호를 접속하고, 단말기(A)와 단말기(B)의 호 접속은 차단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5 과정중에 교환기가 단말기들의 통신운용을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고, 계속하는 경우 상기 제2 과정으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운용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에서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C0가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교환국에 의하여 단말기(C)가 통신중임을 상기 단말기(A)와 단말기(B)로 통보하고 상기 제6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7 과정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운용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교환국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B)와 통신을 진행중인 단말기(A)가 단말기(C)와 호 설정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지 판단하고, 상기의 판단에서 통신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6 과정으로 진행하는 판단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단말기(A)가 단말기(C)와 호 설정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 단말기(B)에 의하여 해당 메모리를 검색하고 상기 단말기(C)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단말기(B)가 상기 확인과정에서 확인한 단말기(C)의 전화번호를 해당 호이전 요청 기능버튼을 입력 하므로써 상기 교환기에 통보하는 입력과정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운용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과정은 상기 교환기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A)와 단말기(B)의 호를 접속하는 접속과정과, 상기 과정에 의하여 호를 접속한 후에 상기 단말기(A)와 단말기(B) 사이의 호 접속을 차단하는 차단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운용방법.
KR10-2002-0052774A 2002-09-03 2002-09-03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485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774A KR100485073B1 (ko) 2002-09-03 2002-09-03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장치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774A KR100485073B1 (ko) 2002-09-03 2002-09-03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194A KR20040021194A (ko) 2004-03-10
KR100485073B1 true KR100485073B1 (ko) 2005-04-22

Family

ID=3732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774A KR100485073B1 (ko) 2002-09-03 2002-09-03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0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3848A (ja) * 1998-06-25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llシステムの運用管理方法及びwllシステム
US6424835B1 (en) * 1998-08-12 2002-07-23 Lg Information & Communications, Lt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in communication system or terminal
US6631275B1 (en) * 1997-12-19 2003-10-07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accelerating call establishment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654598B1 (en) * 1999-04-20 2003-11-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up call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1275B1 (en) * 1997-12-19 2003-10-07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accelerating call establishment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0013848A (ja) * 1998-06-25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llシステムの運用管理方法及びwllシステム
US6424835B1 (en) * 1998-08-12 2002-07-23 Lg Information & Communications, Lt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in communication system or terminal
US6654598B1 (en) * 1999-04-20 2003-11-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up call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194A (ko)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02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ff and inbound cal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82098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発信側携帯端末における相手先携帯端末の時刻識別方法
KR101067304B1 (ko) 교환처리 시스템
JP3015705B2 (ja) 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485073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이전 장치 및 그 운용방법
JPH0888688A (ja) 交換システム
JP4292987B2 (ja) 交換処理システム
JP5233484B2 (ja) 端末、サーバ、電話システム、及び中継通信方法
JP4670186B2 (ja) コールバック装置及びコールバック方法
JPWO2008053836A1 (ja)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3421212B2 (ja) 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無線通信方法
KR1003877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대단말 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930000584B1 (ko) 사설 교환기망에서의 가입자 이동방법
KR20030018470A (ko)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367306B1 (ko)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와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KR20000063812A (ko) 지원장치를 이용한 원격통역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58030A (ko)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
JPH06232975A (ja) 構内交換機
JP2000175241A (ja) 無線端末を収容する構内交換機の無線端末接続方式
KR100598580B1 (ko) 부가 전화번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601548B2 (ja) 通話中の呼の転送制御方式
JP3665154B2 (ja) 応答機能付きページャおよびページャシステム、それに関連する無線基地局およびページャ制御局
JP2000308141A (ja) 通信システム
JP2007282130A (ja) 携帯通信端末
JP2007274646A (ja) 移動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