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423B1 -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423B1
KR100484423B1 KR10-1998-0011613A KR19980011613A KR100484423B1 KR 100484423 B1 KR100484423 B1 KR 100484423B1 KR 19980011613 A KR19980011613 A KR 19980011613A KR 100484423 B1 KR100484423 B1 KR 100484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ields
delete
subfield
lumina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023A (ko
Inventor
이사오 가와하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8361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393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924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912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16225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5435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1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09G2360/126The frame memory having additional data ports, not inclusive of standard details of the output serial port of a VR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the sub-frames being organized in consecutive sub-frame grou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using two or more bit-mapped memories, the operations of which are switched in time, e.g. ping-pong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의 분포의 큰 변화를 더욱 억제함으로써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고, 그 밖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이 크게 흐려지는 등의 일이 없는 선명 화상 표시가 가능한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은, 입력 영상신호의 1 TV 필드의 분할을 고안하고, 그 위에서 해당하는 계조의 표시가 가능한 서브 필드의 온(on), 오프(off)의 조합 중에서, 휘도 웨이트가 큰 서브 필드의 온을 가능한 한 억제하는 등의 서브 필드의 조합을 선택하여 계조 표시를 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의 1 TV 필드를,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여 표시함으로써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표시패널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표시시 발생하는 특히 중간조 표시의 계조의 혼란을 개선하여 표시하는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간단히「PDP」라 함)로 대표되는 2값적으로 발광을 행하는 표시패널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어드레스 표시 기간분할 서브필드 방식(address display period separated sub-field method)이라는 표시방법에 의해 계조표시를 실현한다. 이 방식은, 1 TV 필드를, PDP 화면의 1라인마다 점등·비점등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소정의 화소를 일제히 발광시키는 방전 유지기간으로 이루어지는 몇 개의 서브 필드로 시간분할하여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종래부터, 이와 같이 화상의 1 TV 필드 만큼을, 복수의 서브 필드의 화상으로 분할하고 표시하여 다계조 표시를 행할 경우, 동화상 표시에 있어서 소위 의사(疑似) 윤곽 형상의 계조혼란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8, 도 19를 이용하여 동화상 표시시의 의사윤곽의 발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127과 128이라는 근접한 계조레벨을 인접한 화소사이에서 갖는 4개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화상패턴(PA1)이, PDP(180)의 화면을 2화소 상당 평행이동하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9는, 가로축은 화면상에서의 각 화소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또한 세로축은 편의상 1 TV 필드에 해당하는 시간만을 표시하고 있다. 또 화상패턴(PA1)이 평행이동하는 모양을 따라 관측자가 관측할 때 보이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8비트 계조 즉 256계조를, 8개의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의 8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당해 8비트 데이터에 따라 해당하는 계조 표시를 행하고, 구체적으로는, 1, 2, 4, 8, 16, 32, 64, 128로 가중하여 이 순서(오름차순)로 1 TV 필드를 서브 필드1∼8로 시간분할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계조레벨(127)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서브 필드 1∼서브 필드 7을 점등(도면 중의 사선부), 서브 필드 8을 비점등으로 함으로써 당해 계조레벨의 표시를 행하고, 계조레벨(128)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서브 필드 1∼서브 필드 7을 비점등, 서브 필드 8을 점등(도면 중의 사선부)으로 함으로써 당해 계조레벨의 표시를 행한다. 또, 도 19에서는 각 서브 필드마다 점등이 소정 폭으로 연속하여 행하여지고 있는 것같이 그려지고 있지만, 실제 PDP에서는, 각 서브 필드는 각각의 휘도 웨이트에 따른 회수의 펄스 발광의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어드레싱하는 시간만큼 시간간격이 있다.
정지 화상을 표시한 경우, 관측되는 화상의 1 TV 필드의 평균 휘도는 도 19의 A-A' 사이의 점등의 시간적분으로 표시되고, 정확하게 계조표시가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동화상을 표시한 경우, 시선의 이동의 방향에 따라서 망막 상에는 도 19의 B-B' 사이 또는 C-C' 사이의 점등의 시간적분이 관측된다. B-B' 사이에서는 각 비트(서브 필드)를 합성한 값은 약 0이 되고, 또한 C-C' 사이의 각 비트(서브 필드)의 합계는 약 255가 된다. 이와 같이, 계조레벨(127) 및 계조레벨(128)과 같은, 값이 가까운 계조레벨이 인접한 화상패턴이 이동하는 것을 관측한 경우, 레벨변화부분에서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측되는 계조레벨이 화상의 움직임에 의해서 현저히 흐트러진다.
이와 같이 각 서브 필드의 휘도의 시간방향의 적분으로 중간조를 표현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동화상 등에서 시선이 이동한 경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원래의 화소 위치와는 다른 위치의 화상의 각각의 비트의 휘도 웨이트를 적분하게 되어, 중간조 표시가 크게 흐트러지게 된다. 또, 이 중간조의 흐트러짐은 화상에 가짜 윤곽이 나타나는 것처럼 인식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동화상 의사윤곽」이라고 한다. 또, 이러한 동화상 표시에 있어서의 의사윤곽의 발생의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문헌, 1997년 5월 1일 발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모든 것, 165페이지∼1277 페이지(일본국 공업조사회 출판, 내지평수(內池平樹)·어자자무(御子紫茂) 공저)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동화상 의사윤곽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위의 복수 비트에 대응하는 상기 서브 필드 7 및 서브 필드 8의 휘도 웨이트를 분할하고, 또 이들을 필드 내의 전반·후반으로 분산하여 배치함으로써 동화상 표시에 있어서의 중간조 표시혼란을 경감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20은 이 종래 방법에 의한 동화상 의사윤곽의 경감방법에 있어서의 서브 필드구성이고, 10개의 서브 필드를 이용하여 8비트 계조레벨 즉 256계조 레벨을 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각 서브 필드의 휘도 가중은 시간순으로, 48, 48, 1, 2, 4, 8, 16, 32, 48, 48로 되어 있다. 즉, 상기 8개의 서브 필드에 있어서의 상위 2비트 서브 필드 7 및 서브 필드 8의 휘도 웨이트(64, 128)를 4개의 휘도 웨이트로 분할((64+ 128)/4=192/4=48×4)하여, 이들을 1필드 내의 전반·후반에 분산배치하고 있고, 상위 비트의 웨이트를 작게 하여 중간조 흐트러짐의 발생을 가능한 억제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에 의하면 상기 한 계조레벨(127 및 128)의 경계부분에서는, 계조의 흐트러짐은 거의 관측되지 않고, 그 부분에서의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은 억제되지만,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계조레벨이 63과 64와 같이, 휘도 웨이트가 큰 서브 필드(여기에서는, 서브 필드 9)가 처음으로 점등되고, 점등된 휘도 웨이트가 작은 서브 필드(여기에서는, 서브 필드 3, 4, 5, 6 및 8)를 비점등으로 하는 경우에는,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의 분포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역시 경계부분에서는 계조혼란이 관측된다. 즉, 화살표(a) 방향에서 관측되는 계조레벨은 약 79인 데 대해, 화살표(b)에서 관측되는 계조레벨은 약 32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계조의 동화상을 표시한 경우에는,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은 억제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위 비트의 휘도 웨이트를 분할하여 1필드 내의 전반·후반으로 분할하는 서브 필드 분할법을 채용하면, 시간적으로 떨어져서 배치된 「휘도 웨이트=48」의 4개의 서브 필드는, 합계로 192의 휘도 웨이트를 형성하고 있고, 전체 휘도 웨이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통상, 관측되는 화상은 시간적으로 떨어진 화상 성분의 합성으로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휘도 웨이트가 큰 서브 필드를 1필드의 전반·후반에 분산시킨 필드 분할법에서는, 당해 가중을 갖는 서브 필드를 이용하여 고휘도 영역에서의 동화상 표시를 하는 경우에는, 「휘도 웨이트=48」의 서브 필드로 표시되는 화상성분의 합성이 되어 동화상 부분은 흐려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동화상에 흐려짐이 발생하면, 예를 들면 이동하는 가는 문자가 2중으로 되어 판독할 수 없게 되는 화질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의 분포가 큰 변화를 더욱 억제함으로써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고, 그 밖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이 크게 흐려지지 않는 선명한 화상 표시가 가능한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입력 영상신호의 1 TV 필드의 분할을 아래와 같이 행하여, 점등시키는 서브 필드의 조합을 이하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서브 필드 중 휘도 웨이트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제외한 휘도 웨이트를 단조증가 또는 단조 감소하는 순서로 배열하고, 또 이것이 소정의 휘도 웨이트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 1 그룹과, 그 이외의 휘도 웨이트가 상대적으로 큰(제 1 그룹에 속하는 어느 서브 필드의 휘도 웨이트보다 휘도 웨이트가 큰) 제 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휘도 웨이트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 1 그룹의 서브 필드는 휘도 웨이트가 등비 급수적으로 다르고, 제 2 그룹의 서브 필드는 휘도 웨이트가 근사적으로 등차 급수적으로 달르도록 설정한다. 이 가중은, 2P 계조(P는, 1 이상의 정수)를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에, (P+1) 이상의 서브 필드에서 같은 가중의 서브 필드를 갖지 않도록 필드 분할함으로써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을 행하여 필드 분할하여, 해당하는 계조의 표시가 가능한 서브 필드의 온, 오프의 조합 중에서, 휘도 웨이트가 큰 서브 필드의 온을 억제하도록 하는 필드의 조합을 선택하여 계조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계조표시를 행하면,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정도가 작은 저휘도에서는 통상의 2진법 표현과 동등한 조합으로 부호화하여, 서브 필드 수를 늘리지 않고 최소의 서브 필드수로 소정의 휘도를 표현할 수 있는 한편, 기타 서브 필드의 휘도 웨이트는, 거의 일정한 차이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휘도 웨이트를 갖은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중휘도에서부터 고휘도부분에서는 부호화를 고안하여, 등가적으로 동화상 의사윤곽의 대부분을 취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전체로서 서브 필드 수를 그다지 증대시키지 않고,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을 억제한 다계조 화상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바꿔 말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계조표시함으로써,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의 분포의 변화를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의 분포가 큰 변화라고 하는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의 주요한 요인이 배제된다는 것이기도 하다.
더구나, 1필드 내에서 휘도 웨이트가 상대적으로 큰 서브필드가 시간적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점등되지 않으므로, 고휘도영역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이 크게 흐려지지 않고 선명한 화상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특히, 계조를 1개 올릴 때에, 현재 온되어 있는 서브 필드의 휘도 웨이트보다 큰 휘도 웨이트를 갖는 서브 필드를 새롭게 온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각 서브 필드의 점등의 분포가 크게 변화할 가능성이 생기지만, 서브 필드의 온, 오프의 조합 중, 오프에서 온으로 변화하는 서브 필드 중 가장 휘도 웨이트가 큰 서브 필드에 인접한 서브 필드는 오프가 되는 조합을 우선하여 선택하면, 점등의 분포가 어느 정도 변화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제어에 의해서 점등의 분포의 변화의 시간적인 방향을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범위의 계조레벨에 있어서, 원래의 계조레벨로부터 상위 또는 하위의 복수의 계조레벨로 변환(의도적으로 계조레벨을 변환하는 것, 즉 개찬(改竄)하는 것을 의미함)하여 점등시켜서, 특히 동화상 의사윤곽이 생기기 쉬운 계조레벨의 범위에서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의 분포의 변화를 더욱 억제하도록 하면, 한층 더 효과적으로 동화상 의사윤곽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이것만으로서는 계조레벨을 치환한 화소가 경우에 따라서는 눈에 띄므로, 더욱 더 공간적으로 인접하는 화소마다 반전하여 체크패턴으로서 표시함으로써, 화상이 평균적인 레벨에 영향을 주지 않고,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고려하고 있다.
1 TV 필드는, 256계조로 표현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9개의 서브 필드에서 휘도 웨이트의 비가 1 : 2 : 4 : 8 : 16 : 32 : 48 : 64 : 80, 10개의 서브 필드에서 휘도 웨이트의 비가 1 : 2 : 4 : 8 : 16 : 24 : 32 : 48 : 56 : 64, 11개의 서브 필드에서 휘도 웨이트의 비가 1 : 2 : 4 : 8 : 16 : 24 : 32 : 36 : 40 : 44 : 48, 12개의 서브 필드에서 휘도 웨이트의 비가 1 : 2 : 4 : 8 : 12 : 20 : 24 : 28 : 32: 36 : 40 : 48, 12개의 서브 필드에서 휘도 웨이트의 비가 1 : 2 : 4 : 8 : 12 : 16 : 24 : 28 : 32 : 36 : 44 : 48이 되도록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계를 일반화 하면, M개의 서브필드를 갖는 N계조의 TV 필드의 각 휘도 가중의 전체 값은 N-1이며, 이때 M > (log N/log2)의 관계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 > (log N/log2)의 관계 식은, 적어도 하나의 계조에 대하여, 당해 계조를 표시하기 위해, 온 하는 서브필드의 선택방식이 2가지 이상 존재하도록 1 TV필드를 구성하는 서브필드의 휘도 웨이트가 설정되어 있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 실시예 )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표시장치는, PDP(5)와, 입력 화상신호를 8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1)와, 8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나타낸 화상신호를 12개의 서브 필드로 구성된 12비트의 신호로 병렬 전환하는 기입 제어부(2)와, 이 병렬 전환된 12비트 신호를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3)와, 프레임 메모리(3) 내에서 1필드마다 화상신호를 PDP(5)로 판독하는 판독 제어부(4)로 구성된다.
이 PDP(5)는, 전극이 배치되어 매트릭스 형상으로, 예를 들면, (640화소/1 라인)×480개의 화소를 구비하고, 온 또는 오프와 같이 2값적으로 발광을 행하는 표시장치이다. 그리고, 소정의 발광 회수를 휘도 웨이트로서 갖는 12개의 서브 필드의 발광의 합계로 계조가 표현되어, 중간조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단색에 의해 표시를 하는 PDP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R(적색), G(녹색), B(청색) 삼색에 의해 화소를 형성하고 컬러 표시를 행하는 PDP 에서도, 각 색에 대하여 같이 적용할 수 있다.
이 A/D 변환부(1)는, 비월주사신호를 순차 주사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256계조를 나타내는 8비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도 2는, 기입 제어부(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입 제어부(2)는, 서브 필드 변환부(21)와, 기입 어드레스 제어부(22)로 구성된다.
기입 어드레스 제어부(22)는,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수평 동기신호, 수직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어드레스 지정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서브 필드 변환부(21)는, 각 화소에 대응하는 8비트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중을 갖는 12비트의 필드 정보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이 필드 정보는, 1 TV 필드 내의 어느 시간대 즉 어느 서브 필드를 점등·비점등시키는 것인가라는 1비트의 서브 필드 정보의 집합이다. 여기에서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계조레벨에 따라 서브 필드 변환부(21)에 기억시켜 놓은 서브 필드 변환표(210)를 참조하여 각 화소에 대응하는 8비트 영상신호가 소정 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된다. 1화소마다의 분할처리는,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행해진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각 화소에 대응하는 필드 정보는, 기입 어드레스 제어부(22)로부터의 어드레스 지정신호에 의해 물리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프레임 메모리(3)에 라인마다, 화소마다, 필드마다(화면마다) 기입한다.
서브 필드 변환표(210)를 도 3에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서브 필드 변환표(210)는, 각 영상신호를 12비트의 서브 필드(SF1∼SF12)의 온, 오프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이 표의 세로란은 입력 디지털 영상신호의 값을 나타내고, 가로란은 당해 입력 영상신호를 변환할 12비트의 필드 정보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로 기록된 서브 필드는「온(점등)」으로 되고, 기타 서브 필드는 그 필드기간 「오프(비점등)」으로 되는 것을 의미하며, 하위 2비트는 그대로 서브 필드(SF1)및 서브 필드(SF2)의 온, 오프의 제어에 이용되므로 기재를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이 서브 필드 변환부(21)에서는, 값이 128인 디지털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당해 영상신호는 서브 필드 변환표(210)의 표에 근거하여, 「0 0 0 1 1 1 1 1 0 1 0 0」이라는 12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 여기서 「1」로 기록된 서브 필드는「온」이 되고, 「0」으로 기록된 서브 필드는 그 필드기간 「오프」를 의미한다.
프레임 메모리(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내부구조를 하고 있다. 즉, 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이 필드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영역(F1)과 별도인 하나의 화면의 필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영역(F2)을 구비한다. 각각의 메모리 영역(Fl, F2)은, 12개의 서브 필드 메모리(SFM1∼SFM12)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2화면분의 12비트의 서브 필드의 조합에 관한 필드 정보가 각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에 관한 정보로서 서브 필드 메모리(SFM1∼SFM12)에 기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서브 필드 프레임 메모리(SFM1∼SFM12)는, 1비트 입력으로 1비트 출력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 프레임 메모리(3)는, 필드 정보를 기입하는 동시에 PDP(5)로의 판독도 동시에 가능한 2포트 프레임 메모리이다.
프레임 메모리(3)로의 필드 정보의 기입은, 하나의 화면 만큼의 필드 정보를 제 1 메모리 영역(F1)으로, 다음 1화면 만큼의 필드 정보를 제 2 메모리영역(F2)으로와 같이 2개의 메모리영역(Fl, F2)에 대하여 교대로 행해진다. 그리고, 하나의 메모리 영역Fl(F2)으로의 필드 정보의 기입은, 서브 필드 변환부(21)로부터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출력되는 12비트 데이터를 12의 서브 필드 메모리(SFM1∼12)에 1비트씩 분배하여 기입하는 방법으로 실행된다. 12비트 데이터의 어느 비트를 어떤 서브 필드 메모리(SFM1∼12)에 저장하는가는 미리 정해져 있다.
상세하게는, 서브 필드 변환표(210)의 서브 필드 번호(1∼12)와, 그것과 동일한 번호의 서브 필드메모리(SF1∼12)가 논리적으로 대응되어 있어, 12비트 데이터의 비트가 어떤 서브 필드 번호에 해당하는 것인가에 의해 해당하는 서브 필드 메모리(SFM1∼12)에 기입하는 것이다. 12비트 데이터의 서브 필드 메모리(SFM1∼12)로의 기입 위치는, 기입 어드레스 제어부(22)로부터의 어드레스 지정신호에 의해 지시된다.
12비트 데이터로 변환되기 전의 화소신호의 화면 상에서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기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판독 제어부(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라인 제어부(40)와, 어드레스 드라이버(41)와, 라인 드라이버(42)로 구성된다.
표시라인 제어부(40)는, 프레임 메모리(3)에 PDP(5)에 판독할 메모리 영역 (F1, F2), 라인, 서브 필드를 지정하고, 또, PDP(5)의 어느 라인을 주사하는 것인가의 지시를 내리는 것이다.
이 표시라인 제어부(40)의 동작은 기입 제어부(2)의 기입 동작과 화면 단위의 오더로서는 동기가 취해지고 있다. 즉, 표시라인 제어부(40)는 기입 제어부(2)가 12비트 데이터를 기입 중의 메모리 영역Fl(F2)으로부터는 판독은 행해지지 않고, 이미 기입 완료한 메모리 영역F2(Fl)으로부터 판독을 행한다.
어드레스 드라이버(41)는, 표시라인 제어부(40)의 메모리 영역 지정, 판독라인 지정 및 서브 필드 지정에 따라 1비트씩 시리얼로 입력된 1라인에 상당하는 서브 필드 정보를, 1라인 분의 화소수에 대응한 비트(640비트)를 병렬로 어드레스 펄스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라인 드라이버(42)는, 서브 필드 정보를 PDP(5)의 어느 라인에 기입하는가를 주사펄스에 의해 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판독 제어부(4)의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이 프레임 메모리(3)로부터 PDP(5)로의 필드 정보의 판독이 행해진다. 프레임 메모리(3)에 기입한 1화면 만큼의 필드 정보의 판독은, 화소마다의 서브 필드 정보가 서브 필드 메모리(SFMl, SFM2, …, SF12)로부터 순차 판독됨으로써 행해진다. 즉, 우선, 서브 필드 프레임 메모리(SFM1)로부터 1라인째의 각 화소에 해당하는 서브 필드 정보가 1비트씩 순차 판독된다. 그리고, 라인 드라이버(42)에 의한 라인지정을 대기하여 1라인째에 잠상을 형성(어드레싱)하고, 이어서, 같은 서브 필드 프레임 메모리(SFM1)로부터 2라인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서브 필드 정보를 판독하여 어드레스 드라이버(41)에 순차 시리얼에 입력하여, 640비트의 서브 필드 정보가 병렬로 PDP(5)에 출력되어 어드레싱이 행해진다. 이러한 판독이 화면의 최종 제 N라인(480라인)까지 종료하면, 일제히 각 화소가 발광된다.
다음 서브 필드(SF2)의 점등·비점등에 관한 서브 필드 정보가 상기와 같이 1라인씩 판독되고 어드레싱이 행해진 후, 이어서 순차 서브 필드(SF12)까지 이 동작을 반복하면, 1화면분의 필드 정보의 판독이 종료한다.
이러한 PDP의 작동방식을 도시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 도 6은,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PDP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 즉 주사·방전유지 전극의 번호를 나타내고, 굵은 사선 부분에서 발광시키는 화소의 어드레스를 지정하고, 테두리를 한 부분에서 화소를 발광시킨다. 즉, 주사·방전유지 전극(1) 상의 모든 가로방향 화소에 대하여, 서브 필드(SF1)가 시작되는 타이밍에 맞춰서 세로방향으로 주사되는 어드레스 전극에 어드레스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어드레싱을 행한다. 주사·방전유지 전극(1)의 어드레싱이 종료하면, 동 전극 2, 3, … 에 대해서도 같은 조작을 반복한다. 마지막 주사·방전유지 전극의 어드레싱이 종료하면, 시각t1∼t2 방전유지 기간으로 이행한다. 이 기간에서는, 가중에 비례한 수의 방전유지 펄스가 방전유지 전극에 인가되지만, 상기 어드레스 지정에 의해 발광의 지시가 있던 화소만 발광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반복하여 설명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서브 필드에 있어서의 어드레싱과 전체 화소의 일제점등이라는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1필드 만큼의 계조표시가 완료된다. 또, 여기에서는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상기 어드레싱은, 전체 화소의 벽전하를 소거하는 초기화 기간을 거친 후에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독과 병행하여 별도의 포트에 기입한 다음 화면의 필드 정보를 상기 같이 하여 판독함으로써 동화상의 표시가 행해진다.
( 휘도 웨이트 )
상기 서브 필드변환표(210)에 있어서, 서브 필드 수는 12이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순으로 1, 2, 4, 8, 12, 20, 24, 32, 36, 40, 48이라는 가중을 실시하고 있다. 이 휘도가중은, 정수 L개의(L은 2 이상의 정수, 여기에서 L=4임) 휘도 웨이트의 비가 1 이상 2(L-1) 이하인 2의 누승(累乘)으로 나타내는 수치(등비 급수적으로 나타내는 수치)인 휘도가중이 하위(휘도 웨이트가 작은)의 서브 필드의 군(휘도 웨이트가 1, 2, 4, 8인 서브 필드(SF1∼SF4)가 해당함)과, 휘도 웨이트가 2(L-1) 보다 큰 값으로 거의 일정한 차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수치(휘도 웨이트가 근사적으로 등차 급수적으로 나타내는 수치)의 휘도 웨이트가 상위(휘도 웨이트가 큰)의 서브 필드의 군(휘도 웨이트가 12, 20, 24, 28, 32, 36, 40, 48인 서브 필드(SF5∼SF12)가 해당함)의 2개의 군으로 분류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 가중이 8 이하 인 4개의 서브 필드(SF1∼SF4)(휘도 웨이트는 각각 1, 2, 4, 8)와, 서브 필드의 휘도 웨이트가 각각 12, 20, 24, 28, 32, 36, 40, 48이 되는 서브 필드(SF5∼SF12)의 각 서브 필드를 이 순서대로 오름차순으로 배열한 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상위의 가중은 등차 급수적으로 증가하므로, 가중이 상위의 서브 필드의 휘도를, 가중이 하위의 서브 필드를 복수 조합함으로써 표현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해당하는 계조표시를 하는 데 서브 필드의 조합이 몇 개가 존재할 경우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영상신호의 값이 127인 경우에는, 하위 2개의 서브 필드(SFl, SF2)에 덧붙여, 서브 필드(SF9, SF8, SF7, SF6, SF5, SF4)의 조합, 서브 필드(SF12, SFl1 및 SF10) 또는 서브 필드(SFl1, SFl0, SF9, SF5 및 SF3) 또는 서브 필드(SFl0, SF9, SF8, SF6 및 SF4)의 조합이 존재한다. 또한, 디지털 영상신호의 값이 128인 경우에는, 서브 필드(SFl0, SF8, SF7, SF6, SF5, SF4)의 조합, 서브 필드(SF12, SFl1, SF10 및 SF3) 또는 서브 필드(SFl1, SFl0, SF9, SF5 및 SF4) 또는 서브 필드(SFl0, SF9, SF8, SF7 및 SF4) 또는 서브 필드(SFl0, SF9, SF8, SF6 및 SF5)의 조합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수의 조합이 존재하는 중에서, 서브 필드 변환표(210)는 그 중 1가지의 조합으로 기술되어 있다. 즉, 디지털 영상신호의 값이 127인 경우에는 서브 필드(SFl, SF2)에 덧붙여, 서브 필드(SF9, SF8, SF7, SF6, SF5, SF4)의 조합이, 디지털 영상신호의 값이 128인 경우는, 서브 필드(SFl0, SF8, SF7, SF6, SF5, SF4)의 조합이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브 필드 변환표(210)에 기술되어 있는 서브 필드의 조합은, 요약하면, 휘도 웨이트가 상위의 서브 필드의 사용을 최대한 억제한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합은 저휘도(0∼11)를 제외한 중휘도부터 고휘도(12∼255)에 걸쳐 채용되는 것이 변환표(210)의 내용에서 이해된다. 휘도가 99→100, l27→128, 167→168, 207→208로 변화하는 개소의 서브 필드의 조합을 참조하면 이해되듯이 다음과 같은 특징도 있다. 즉, 1계조레벨이 낮은 휘도(99, 127, 167, 207)까지는 오프였던 휘도 웨이트가 무거운 서브필드를, 온으로 하는 휘도에서는 그 온이 된 휘도 웨이트보다 1단 낮은 휘도 웨이트의 서브 필드는 오프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휘도(100)에서의 휘도 웨이트(28)의 서브 필드가 오프가 된 것, 휘도(128)에서의 휘도 웨이트(32)의 서브 필드가 오프가 된 것, 휘도(168)에서의 휘도 웨이트(36)의 서브 필드가 오프가 된 것, 휘도(208)에서의 휘도 웨이트(40)의 서브 필드가 오프가 된 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휘도 웨이트의 조합에 의해 화상 표시하면,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 정도가 작은 저휘도에서는 서브 필드 수를 늘리지 않고 최소의 서브 필드 수로 표현할 수 있는 한편, 중휘도에서 고휘도 부분에서는, 등가적으로 동화상 의사윤곽의 대부분을 해소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더욱이, 저휘도에서는 서브 필드 수를 늘리지 않고 최소의 서브 필드 수로 표현하므로, 전체로서 서브 필드 수를 그다지 증대시키지 않고,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을 억제한 다계조 화상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이 점등방식에 의한 동화상 의사윤곽 억제 효과를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표에 나타내는 온, 오프 패턴은 계조레벨이 인접한 화상의 동화상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관측되는 모양으로서 볼 수 있다. 즉, 세로방향은 화소가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가로방향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124∼127과 계조레벨이 인접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을 평행이동시켜 동화상 표시를 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 관측자에게는 도 3 중 점선 화살표(1)로 표시된 바와 같이 124계조 정도로 관측되어, 동화상 표시에 의한 의사윤곽은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같은 계조표시를 행할 수 있는 서브 필드의 조합 중에서 휘도가중이 상위의 서브 필드의 점등을 억제하는 서브 필드의 조합을 선택하였기 때문이다. 즉, 124부터 127의 계조를 표현하는 서브 필드의 조합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위 2비트를 제외하면 서브 필드(SF9, SF8, SF7, SF6, SF5 및 SF4)의 조합, 서브 필드(SF12, SF11 및 SFl0)의 조합, 서브 필드(SFl1, SFl0, SF9, SF5 및 SF3)의 조합, 서브 필드(SFl0, SF9, SF8, SF6 및 SF4)의 조합을 들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최대한 가중이 상위의 서브 필드를 점등시키지 않고, 점등시킬 서브 필드 수가 가능한 한 많아지는 조합을 선택한다. 이러한 서브 필드의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계조가 변화하는 경우의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의 분포의 큰 변화가 억제되므로 계조의 흐트러짐이 관측되지 않고,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휘도가중이 상위의 서브 필드의 점등을 억제하는 조합을 채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디지털 영상신호의 값이 127과 128이라는 레벨이 인접한 화상패턴을 동화상 표시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규칙성이 존재한다.
즉, 도 3을 보면, 계조레벨이 127의 표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서브 필드(SFl, SF2, SF4, SF5, SF6, SF7, SF8, SF9)인 데 대하여, 계조레벨 128의 표현에는, 휘도 웨이트의 합계가 128이 되는 서브 필드의 온, 오프의 상기 복수의 조합 중, 휘도가중이 상위의 서브 필드의 사용을 억제하는 조합 서브 필드(SFl0, SF8, SF7, SF6, SF5, SF4)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오프에서 온으로 변화하는 가장 상위의 서브 필드(서브 필드 SFl0)에 인접한 서브 필드(서브 필드 SF9)는 오프가 되는 조합이 우선된다는 규칙성이다.
이와 같은 규칙성은, 이밖에도 현재 온되어 있는 서브 필드의 휘도가중보다 상위의 가중을 갖는 서브 필드를 새롭게 온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167과 168의 변화 부분, 207과 208의 변화 부분 등)에 먼저 보인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서브 필드의 점등의 분포가 크게 변화할 가능성이 생기지만, 상기한 조합을 채용함으로써, 점등의 분포의 변화의 시간적인 방향을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동화상 의사윤곽의 대부분을 등가적으로 취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오프에서 온으로 변화하는 가장 상위의 서브 필드에 인접한 서브 필드는 오프가 되는 조합이 효과적인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의 규칙성은, 예를 들면, 계조레벨이 211에서 212로 변화하는 부분, 215에서 216으로 변화하는 부분 등에도 발견할 수 있다. 즉, 계조레벨(211)의 표현에서는 오프인 서브 필드(SFl1)가 계조레벨(212)의 표현에서는 온이 되는 한편, 그것에 인접하는 온이던 서브 필드(SFl0)는 오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계조레벨(215)의 표현에서는 오프인 서브필드(SFl0)가 계조레벨(212)의 표현에서는 온이 되는 한편, 그것에 인접하는 온이던 서브 필드(SF9)는 오프가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점등의 분포의 변화의 시간적인 방향을 분산하여, 동화상 의사윤곽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들의 경우에는, 현재 온되어 있는 서브 필드 중에서 가중이 보다 하위인 서브 필드의 오프로부터 온이기 때문에 207과 208의 변화 부분 정도에는 점등의 분포의 변화에 의한 영향은 작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오프에서 온으로 변화하는 가장 상위의 서브 필드에 인접한 서브 필드는 오프가 되는 조합이 우선되어 있다는 규칙성이 효과적인 것은, 현재 온되어 있는 서브 필드의 휘도가중보다도 상위의 가중을 갖는 서브 필드를 새롭게 온하는 경우라고 생각된다.
또, 휘도가중이 상위의 서브 필드의 점등을 억제하는 조합을 채용하면, 특히 휘도가중이 상위의 서브 필드에서, 새롭게 온되는 서브 필드 수와 새롭게 오프되는 서브 필드 수의 합을 될 수 있는 한 적은 조합을 이용하는 것도 된다. 이러한 서브 필드를 선택함으로써,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의 분포가 변화하기 어렵게 되므로, 계조의 흐트러짐이 억제되고 동화상 의사윤곽의 억제에 기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계조레벨(124∼127)의 표시에서는, 하위 비트의 서브 필드(SF1, SF2)를 제외하면, 서브 필드(SF4, SF5, SF6, SF7, SF8, SF9)는 기본적으로는 온되고, 상위 비트에서 새롭게 온되는 서브 필드 수와 새롭게 오프되는 서브 필드 수의 합이 「0」으로 최대한 적어지는 조합이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등방식에 의하면, 1 TV 필드 내에서는 가중이 하위의 서브 필드(SF1∼SF4)인 군과, 가중이 상위의 서브 필드(SF5∼SF12)인 군이 1 TV 필드의 전반과 후반으로 정리되어 배치되고, 1 TV 필드 내에서 휘도 웨이트가 상대적으로 큰 서브 필드가 시간적으로 떨어진 위치로 점등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으므로, 화상이 크게 흐려지지 않고 선명한 화상 표시가 가능해진다.
(동화상 의사윤곽의 억제 효과의 검증)
도 8∼도 1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8은, 서로 이웃하는 화소로 1계조씩 계단형상으로 계조레벨을 올려 화상 표시한 경우의 램프 파형이라고 불리는 화상의 이상적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고, 수평방향은 화면위치, 수직방향은 상대적인 신호레벨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은 램프 파형을, 본 발명의 상기 한 실시예에 의해 표시하여 관측점을 이동시킨 경우에 관측되는 파형을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한 것으로, 원래의 램프 파형으로부터의 요동이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을 나타낸다. 도 10에 종래의 8개의 서브 필드를 이용한 표시방법에 따라 같은 화상을 표시한 경우의 파형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의 비교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요동의 피크값이 현저히 감소하고 있어, 동화상 의사윤곽으로서 인식되는 계조표시의 흐트러짐이 대폭 개선된다.
( 제 2 실시예 )
본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는 소정의 화상의 계조레벨을 개찬하여 표시하는 점을 달리하고 있다. 이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체크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계조레벨 변환회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조레벨 변환회로(100)는, 상기 A/D 변환부(1)와 상기 기입 제어부(2)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동화상 정지화상 판정부(101)와, 비선형 변환부(102)와, 반전신호 생성부(103) 및 계조신호 선택부(104)로 구성되어 있다.
동화상 정지화상 판정부(101)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1010)와, 3개의 비교회로(1011, 1012, 1013) 및 2개의 AND 회로(1014, 1015)로 구성되고, 소정의 범위의 계조레벨에 대하여 동화상인가 정지화상인가의 여부의 취지를 나타내는 동화상 정지화상 판정신호(d)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동화상 정지화상 판정신호(d)의 생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비선형 변환부(102)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비선형 변환부(1021)와, 제 2 비선형 변환부(1022)를 구비하고, 영상신호를 제 1 비선형 변환부(1021)에서 그보다 상위의 값으로, 제 2 비선형 변환부(1022)에서 그보다 하위의 값으로 변환표(1023)를 참조하여 변환하는 것이다.
이 변환표(1023)를 도 13에 도시한다. 이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표(1023)는, 신호레벨이 소정의 범위, 여기에서는 205∼215의 영상신호를 어느 값으로 변환하는가의 대응을 나타내는 표이고, 예를 들면, 값(208)의 영상신호라면 보다 상위값, 보다 하위값의 2개의 값, (a)값과 (b)값으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즉, 상위의 216(a)과 그보다 하위의 200(b)으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216(a)로의 변환을 담당하는 것이 제 1 비선형 변환부(1021)이고, 이 200(b)로의 변환을 담당하는 것이 제 2 비선형 변환부(1022)이다.
반전신호 생성회로(103)는, 도트 카운터(1031), 라인 카운터(1032), 필드 카운터(1033) 및 배타적 논리합 회로(1034, 1035)로 구성된다. 또, 도트 카운터(1031)는 화소클록을 하나씩 카운트 업하여 수평 동기신호에 의해 리세트된다. 라인 카운터(1032)는, 수평 동기신호를 하나씩 카운트 업하여, 수직 동기신호에 의해 리세트된다. 필드 카운터(1033)는 수직 동기신호를 하나씩 카운트 업한다. 여기에서는, 도트 카운터(1031), 라인 카운터(1032), 필드 카운터(1033)의 LSB(Least significant bit)가 배타적 논리합 회로(1034, 1035)에 입력되어 라인마다, 화소마다, TV 필드마다의 반전신호(e)가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계조신호 선택부(104)는, 반전신호(e)에 따라, 비선형 변환부(102)에서 생성된 2가지의 영상신호 (a), (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기입 제어부(2)로 출력하는 것이다.
( 동화상 정지화상 판정신호의 생성에 대하여 )
상기 동화상 정지화상 판정부(101)에서는, 아래와 같이 하여 동화상 정지 화상 판정신호(d)가 생성된다. 프레임 메모리(1010)에는, 직전의 1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모두 저장되어 있고, 이 중 현재의 프레임의 영상신호 A와 같은 화소의 영상신호 C가 비교회로(1013)로 출력되어 A와 C가 비교된다. 그리고, 「A≠C」이면, 당해 비교회로(1013)로부터 「1」이, 그 외의 경우에는「0」이 출력된다.
또한, 비교회로(1011)에서는, 값(B1), 여기에서는 205와 영상신호 A가 비교되어, 「A≥205」이면 「1」이, 그 이외이면 「0」이 출력된다. 또, 비교회로(1012)에서는, 값(B2), 여기에서는 215와 영상신호 A가 비교되어, 「A≤215」이면 「1」이, 그 이외이면 「0」이 출력된다.
그리고, AND 회로(1014)에 비교회로(1011, 1012)로부터의 출력값이 입력되어, 쌍방 모두 「1」인 경우 「1」이 출력된다. AND 회로(1015)에는, 비교회로(1013)와 AND 회로(1014)로부터의 출력값이 입력되어, 쌍방 모두 「1」인 경우, 즉, 「A≠C」또한「205≤A≤215」인 경우, 「1」이, 그 외의 경우에는「0」이 동화상 정지화상 판정신호(d)로서 출력된다.
이 신호값이 「1」이면, 현재의 영상신호 A가 직전의 프레임의 같은 화소의 영상신호와는 다르며, 그러나 그 값은 205∼215의 범위의 값인 것을 나타낸다. 즉, 그 화소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것이고, 밝은 계조 영역의 신호인 것을 나타낸다. 당해 1프레임에서의 전체 화소에 대해서 상기한 비교처리를 1화소씩 행하여지고, 동화상인가 정지화상인가의 여부, 또, 205∼215의 범위의 영상신호인가의 판정이 내려진다.
또, 프레임 메모리(1010)는, 2화면분의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구비하고, 현재의 영상신호를 다음 프레임을 표시하는 경우에서 비교용 데이터로서 제공해야 하고, 과거의 영상신호를 판독하는 동시에, 당해 현재의 영상신호를 기입할 수 있도록 2포트 프레임 메모리를 이용한다.
( 체크패턴 생성에 대하여 )
상기한 바와 같이 생성되는 동화상 정지화상 판정신호(d)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값이「1」이면, 현재의 영상신호는 제 1 및 제 2 비선형 변환부(1021, 1022)에 의해, 2개의 (a), (b)라는 값으로 변환되어 계조신호 선택부(104)로 출력된다. 그리고, 반전신호(e)에 동기되어 당해 신호값이 「1」이면 (a)값을, 「O」이면 (b)값을 선택한 출력이 된다. 동화상 정지화상 판정신호(d)의 값이 「0」이면, 당해 화소의 영상은 정지화상이거나 또는 혹은 동화상이어도 신호레벨이 205미만이거나 215를 넘는 값이고, 이 경우에는, 그대로 변환하지 않고, 기입 제어부(2)로 출력한다.
이러한 영상신호의 변환처리를 각 화소에 대하여 행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서브 필드 정보로의 변환, 프레임 메모리(3)로의 기입, PDP(5)로의 판독을 행하여, 계조레벨(205∼215)의 레벨을 갖는 화소가 (a), (b), (a), (b), … 라는 체크패턴 형상으로 표시되게 된다.
도 14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계조레벨(204∼215)의 12개의 화소로 구성된 화상패턴(PA2)을 표시한 PDP의 화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리고, 과거, 직전에 표시된 (x-1)매째의 프레임의 화상패턴(PA2)은 도 (1-1)에, 현재 표시하고자 하는 x매째의 프레임의 화상패턴(PA2)을 도 1-2에, 또 다음에 표시하고자 하는 (x+1)매째의 프레임의 화상패턴(PA2)을 도 (1-3)에 나타내고, (x-1)매째→x매째→(x+1)매째의 프레임으로 추이할 때, 화상패턴(PA2)이 소정 화소씩 평행이동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화상패턴(PA2) 이외의 배경의 계조레벨은 전체 화소에서, 화상패턴(PA2)을 구성하는 어느 화소보다 계조레벨이 낮은 200이라고 가정한다.
현재 표시하고자 하는 프레임은 보통으로 표시하면, 도 (1-2)에 도시한 대로지만, 여기에서는, 레벨「205∼215」의 화소는, 모두 동화상이므로, (a), (b), (a), (b) … 또는 (b), (a) (b), (a), … 로 변환되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레벨 「204」의 화소에서는, 동화상이지만 그 범위 외이기 때문에, 그대로의 값(c)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동화상이고 특정한 범위의 계조레벨의 화소에서는, 체크패턴 형상으로 표시된다.
또, x매째의 프레임으로부터 화상패턴(PA2)이 평행이동한 (x+1)매째의 프레임의 표시는, 원래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대로의 계조로 표시되는 바, 당해 프레임에 있어서의 PA2는 동화상이고, 또한, 「205∼215」의 범위의 계조레벨의 화소를 포함하므로, 역시, 그 범위의 화소에서는, (a) , (b), (a), (b) … 또는 (b), (a) (b), (a), … 와 교대로 반전되어, 체크패턴 형상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 체크패턴은, 화소마다, 라인마다, 필드마다 각각 반전하는 체크패턴(이른바, 필드 및 화소마다 교체하는 화상패턴)이므로, (x+1)매째의 프레임에서 화상패턴(PA2)이 x매째의 프레임에서의 위치로부터 얼마만큼 이동하는가에 의해, (x+1)매째에서의 패턴이 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체크패턴 형상으로 표시하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 것이다.
즉, 상기 제 1 실시예에 나타난 서브 필드의 조합에 의해 동화상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도, 시선의 방향에 의해 계조레벨에 흐트러짐이 생긴다. 도 3에 있어서, 점선 화살표(2)의 방향으로는 계조레벨이 약 0으로 관측되므로, 의사윤곽 발생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비교적 계조레벨이 낮은 영역에서는, 배경의 휘도가 낮기 때문에 의사윤곽은 쉽게 눈에 띄지 않고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계조레벨이 높은, 예를 들면 208을 중심으로한 영역에서는, 배경의 휘도가 높기 때문에 의사윤곽이 쉽게 눈에 띈다. 이와 같이 1계조 낮은 레벨에서 오프였던 서브 필드를 새롭게 온하는 경우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그 주변을 비점등으로 하여 하위의 서브 필드를 점등시킴으로써 변화의 시간적인 방향을 분산시켰다고 해도 역시, 점등시킨 서브 필드를 비점등으로 하기 때문에, 그것에 의한 어느 정도의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의 분포의 변화는 피할 수 없다.
그래서, 계조레벨 「208」을 그 전후의 계조레벨과 비직선적이 되도록, 더구나, 오프에서 온으로 되는 서브 필드(서브 필드 SF12)의 주변의 서브 필드(서브 필드 SFll)가 본래는 오프로 되는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오프로 되지 않도록 원래의 계조레벨보다도 상위 또는 하위의 복수의 계조레벨로 변환하여 점등시켜,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의 분포의 변화를 더욱 억제한다.
이것만으로는 계조레벨을 변환한 화소가 경우에 따라서는 눈에 띄기 때문에, 더욱이, 계조레벨이 이 「208」에 가깝고 또한 공간적으로 인접한 화소마다 계조레벨을 고·저로 교대로 반전하여 체크패턴으로서 표시한다.
이러한 인접화소에서 교대로 계조레벨을 반전시켜서 표시함으로써, 「208」을 (a) 또는 (b)로 변환함에 의한 영향을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상쇄한다. 즉, 도 15(당해 도 15는, 가로축이 영상신호의 입력값이고, 세로축이 출력값을 나타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5∼215로 변화하는 화상부분의 직선성을 유지하여(직선(c)으로 나타냄), 화상의 평균적인 계조레벨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고려되어 있다.
또한, (x+1)매째에서의 체크패턴은 그 이동거리나 방향에 의해 결정되므로, 화상패턴(PA2)의 x장번째의 프레임으로부터의 이동거리 등에 따라서는, (x+1)매째의 프레임에서의 화상패턴(PA2)은, x매째의 프레임에서의 체크패턴에 대하여 반전한 패턴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표시되면, 동화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계조레벨이 프레임마다, 즉즉으로도 (a)→(b) 또는 (b)→(a)로 반전되게 되므로, 특정 계조의 각 화소에 착안한 경우, 시간적인 특성이 직선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소단위에 시간적인 특성이 직선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 화질의 평균특성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a), (b)값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공간적, 시간적인 직선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값이 선택된다.
또한, 정지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반전신호(e)에 관계없이, 항상 원래의 영상신호(c)로 표시함으로써, 동화상 의사윤곽 저감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고, 화면에 체크패턴이 관측되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빈도를 적게 한다. 또, 「208」을 중심으로 한 계조레벨 이외의 영역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동화상 의사윤곽은 해소되므로, 여기서는, 계조레벨을 비직선적으로 변환시켜서 표시하는 영역은, 계조레벨 「208」을 중심으로 한 계조레벨 영역에 한정된다. 이것도 체크패턴이 관측되는 부작용을 억제하는 것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 변형예 )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① 상기 12 서브 필드에서, 각각의 휘도 웨이트를, 1 : 2 : 4 : 8 : 12 : 20 : 24 : 28 : 32 : 36 : 40 : 48이라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이면 이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예를 들면, 1 : 2 : 4 : 8 : 12 : 16 : 24 : 28 : 32 : 36 : 44 : 48이라는 휘도 웨이트의 구성비로 할 수도 있다.
또는, 서브 필드를 11개로 하여, 각각의 휘도 웨이트를 1 : 2 : 4 : 8 : 16 : 24 : 32 : 36 : 40 : 44 :48로 해도 된다.
또는, 서브 필드를 10개로 하여, 각각의 휘도 웨이트를, 1 : 2 : 4 : 8 : 16 : 24 : 32 : 48 : 56 : 64로 해도 된다.
또는, 서브 필드를 9개로 하여, 각각의 휘도 웨이트를 1 : 2 : 4 : 8 : 16 : 32 : 48 : 64 : 80으로 해도 된다.
가장, 서브 필드 수가 많은 쪽이, 휘도 웨이트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의 분포가 변화도보다 적어지므로, 동화상 의사윤곽의 억제를 행하는 효과는 서브 필드 수가 적은 경우와 비교해서 현저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들 휘도 웨이트의 구성순서는 내림차순이어도 된다. 단, 단조증가 내지는 단조감소라고 해도, 휘도 웨이트가 1, 2, 4, 8라는 가중이 하위의 서브 필드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도 동화상 의사윤곽 해소에 그다지 영향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 이 웨이트가 내림차순이 되도록 서브 필드를 배치한 경우에 얻어지는 상기 서브 필드 변환표(210)의 일례를 도 16도에 도시하였다.
② 다음으로 서브 필드의 배치에 대하여 언급하기로 한다. 상기한 휘도 가중을 오름차순으로 행한 서브 필드를, 소정의 가중을 기준 2개의 서브 필드 군으로 나누어, 가중이 상위의 서브 필드군의 1개의 서브 필드를 가중이 하위의 서브 필드군 사이에 끼운 배열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예의 가중을 예로 들면, 각각의 서브 필드의 휘도 웨이트가 12 이상인 8개의 서브 필드(휘도 웨이트는 각각 12, 20, 24, 28, 32, 36, 40, 48)로 이루어지는 서브 필드군과, 각각의 서브 필드의 휘도 웨이트가 8 이하인 4개의 서브 필드(휘도 웨이트는 각각 1, 2, 4, 8)로 이루어지는 서브 필드군으로 나누고, 전자의 서브 필드군에 속하는 서브 필드 중 1개(휘도 웨이트=24의 서브 필드)를, 후자의 서브 필드군 사이에 끼워 배치하는 것이다. 즉, 12개의 서브 필드의 배치를 휘도 웨이트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1, 2, 4, 24, 8, 12, 20, 28, 32, 36, 40, 48이 되는 배치이다.
상기한 제 1실시예와 같이 서브 필드의 배치가 시간적으로 모두 오름차순으로 나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디지털 영상신호의 계조레벨의 값이 47에서 48로 변화하는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휘도가중이 상위의 서브 필드를 이용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새롭게 온되는 서브 필드 주변의 서브 필드는 점등하지 않도록 고안해도, 역시, 도 3 중의 점선 화살표(3)로 나타낸 바와 같은 시선의 방향에 의해서는 계조가 흐트러지고, 더욱 개량할 여지는 남는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서브 필드를 배열함으로써,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로 휘도의 변화를 평균화하여, 점등하는 서브 필드의 분포의 변화를 더한층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동화상 의사윤곽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서브 필드 휘도 웨이트:
1, 2, 4, 24, 8, 12, 20, 32, 48, 40, 48
레벨 = 47 : 1 1 1 0 1 1 1 0 0 0 0
레벨 = 48 : 0 0 1 1 1 1 0 0 0 0 0
③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브 필드의 온, 오프의 선택은, 전체 계조레벨에서 가중이 상위의 서브 필드를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도록 행하고 있지만, 동화상 의사윤곽이 쉽게 발생하는 높은 계조레벨 영역에 한하여, 그와 같이 서브 필드의 선택을 행하여 계조표시를 행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④ 상기한 바와 같이 계조레벨을 화소마다, 라인마다 교대로 변환하여 체크패턴으로서 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기술에 의해 개선을 시도한 상태에서 그것으로도 동화상 의사윤곽이 생기기 쉬운 계조레벨 영역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부터 일반적인, 예를 들면, 단순히 1, 2, 4, 8, 16, 32, 64, 128과 2이 누승으로 가중을 실시한 8개의 서브 필드로 분할한 경우이더라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범위의 계조레벨의 화소에서, 입력값보다 상위 또는 하위의 계조레벨로 교대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동일한 효과를 거둔다.
⑤ 상기 영상신호의 (a)값 또는 (b)값으로의 변환은, 서브 필드 정보로 변환하기 전에 행했지만, 일단, 서브 필드 정보로 변환한 후, 이것과 프레임 메모리(3)의 하나의 메모리 영역에 기입하는 직전의 프레임의 영상신호 데이터를 비교하여, 변환하도록 해도 물론 상관없다.
⑥ 상기한 실시예는, 동화상 표시장치로서 PDP를 이용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기타 복수의 발광의 시간적분에 의해 계조표시를 행하는 표시패널을 이용하는 화상 표시장치라면, 상기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의 분포가 큰 변화를 더욱 억제함으로써 동화상 의사윤곽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화상이 크게 흐려지지 않는 선명한 화상 표시가 가능한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상기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기입 제어부(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상기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8비트의 입력 디지털 영상신호를 서브 필드의 온, 오프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표를 도시한 도표.
도 4는 상기 화상 표시장치의 프레임 메모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화상 표시장치의 판독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상기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PDP의 발광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상기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1 TV 필드의 분할양식을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상기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동화상 의사윤곽 발생억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실험결과를 도시한 특성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동화상 정지화상 판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3은 계조레벨(208)을 중심으로 한 계조레벨 영역의 계조레벨을 복수의 계조레벨로 변환하는 경우의, 원래의 계조레벨과 개찬 후의 계조레벨의 대응을 도시한 표.
도 14는 당해 실시예에 있어서의 계조 표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5는 화상의 계조레벨을 변환하여 표시한 경우에 있어서의, 출력되는 평균적인 계조레벨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8비트의 입력 디지털 영상신호를 서브 필드의 온, 오프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다른 표를 도시한 도표.
도 17은 소정 영역의 계조레벨을 복수의 계조레벨로 의도적으로 개찬하는 경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
도 18은 종래의 화상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소정의 화상패턴이 평행이동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상기 화상패턴이 평행이동하는 모양을 관측자가 추종했을 때 관측되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또 다른 종래의 화상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9에 해당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A/D 변환부 2 : 기입 제어부
3 : 프레임 메모리 4 : 판독 제어부
5 : PDP 21 : 서브 필드 변환부
22 : 기입 어드레스 제어부 40 : 표시라인 제어부
41 : 어드레스 드라이버 42 : 라인 드라이버
101 : 동화상 정지화상 판정부 102 : 비선형 변환부
103 : 반전신호 생성부

Claims (4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신설)
    각각이 휘도 웨이트를 가지는 M개의 서브 필드를 시간순으로 배열하여 1 TV 필드가 구성되고, 화소별로, 상기 복수의 서브필드 중에서 선택적으로 온 함으로써 합계의 휘도 웨이트에 상당하는 계조를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1 TV필드의 영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계조에 대하여, 당해 계조를 표시하기 위하여, 온 하는 서브필드의 선택방식이 2가지 이상 존재하도록 1 TV필드를 구성하는 서브필드의 휘도 웨이트가 설정되어 있고;
    표시하고자 하는 계조에 대하여, 온 하는 서브필드를 선택하는 방식이 2가지 이상인 경우에는, 휘도 웨이트가 상대적으로 큰 서브필드를 가능한 온 하지 않는 조합을 사용하여 표시하며;
    상기 M개의 서브필드는, ⒜ 단조증가, 또는 ⒝ 단조감소 중 어느 한 경향을 나타내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34. (신설)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는, 소정의 휘도 웨이트 보다도 상대적으로 휘도 웨이트가 작은 제 1 그룹과, 당해 제 1 그룹의 어느 서브필드의 휘도 웨이트 보다도 휘도 웨이트 보다도 휘도 웨이트가 상대적으로 큰 제 2 그룹으로 나뉘어지며, 제 1 그룹의 서브필드는 휘도 웨이트가 등비급수로 되어 있고, 제 2 그룹의 서브필드는 휘도 웨이트가 근사적으로 등차급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35. (신설)
    제 34 항에 있어서,
    서브필드의 온, 오프의 조합 중, 1 계조 낮은 영상신호와 비교하여 오프에서 온으로 변화하는 서브필드 중 가장 휘도 웨이트가 큰 서브필드에 인접한 서브필드는 오프가 되는 조합이 우선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36. (신설)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서브필드는, 휘도 웨이트의 합계가 N-1이고,
    M 〉(logN/log2)의 관계식(여기서, N은 자연수임)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37. (신설)
    제 36 항에 있어서,
    전 계조가 256계조일 때, 다음의 (1), (2), (3), (4) 및 (5)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1) 서브 필드 수가 9개에서, 서브 필드의 휘도 웨이트의 비가 1 : 2 : 4 : 8 : 16 : 32 : 48 : 64 : 80이고,
    (2) 서브 필드 수가 10개에서, 서브 필드의 휘도 웨이트의 비가 1 : 2 : 4 : 8 : 16 : 24 : 32 : 48 : 56 : 64이며,
    (3) 서브 필드 수가 11개에서, 서브 필드의 휘도 웨이트의 비가 1 : 2 : 4 : 8 : 16 : 24 : 32 : 36 : 40 : 44 : 48이고,
    (4) 서브 필드 수가 12개에서, 서브 필드의 휘도 웨이트의 비가 1 : 2 : 4 : 8 : 12 : 20 : 24 : 28 : 32 : 36 : 40 : 48이며,
    (5) 서브 필드 수가 12개에서, 서브 필드의 휘도 웨이트의 비가 1 : 2 : 4 : 8 : 12 : 16 : 24 : 28 : 32 : 36 : 44 : 48이다.
  38. (신설)
    서브필드법에 의해 중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표시장치로서,
    입력신호의 신호레벨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비선형 변환수단과, 상기 복수의 비선형 변환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비선형 변환수단의 각각은 비선형 특성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비선형 변환수단의 각각의 특성을 평균한 특성이 대략 선형이 되도록 구성하고,
    입력신호의 신호레벨이 동화상 의사윤곽이 발생하기 쉬운 신호레벨인 경우,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복수의 비선형 변환수단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입력신호의 신호레벨이 동화상 의사윤곽이 발생하기 어려운 신호레벨인 경우,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복수의 비선형 변환수단을 선택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9. (신설)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선형 변환수단의 각각의 특성을 평균한 특성이란, 복수의 비선형 변환수단의 각각의 특성을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평균한 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40. (신설)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의사윤곽이 발생하기 쉬운 신호레벨이란, 모든 서브필드의 발광·비발광이 역전하는 신호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41. (신설)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의사윤곽이 발생하기 쉬운 신호레벨이란, 발광의 시간적인 분포가 크게 변화하는 신호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42. (신설)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의사윤곽이 발생하기 쉬운 신호레벨이란, 입력신호 레벨이 2의 누승(累乘)의 값의 근방의 신호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998-0011613A 1997-04-02 1998-04-02 화상표시장치 KR100484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83614 1997-04-02
JP08361497A JP3339355B2 (ja) 1997-04-02 1997-04-02 画像表示装置
JP???9-129249 1997-05-20
JP12924997A JP3591217B2 (ja) 1997-05-20 1997-05-20 多階調画像表示装置
JP???9-162258 1997-06-19
JP9162258A JPH1115435A (ja) 1997-06-19 1997-06-19 多階調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023A KR19980081023A (ko) 1998-11-25
KR100484423B1 true KR100484423B1 (ko) 2005-06-16

Family

ID=2730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613A KR100484423B1 (ko) 1997-04-02 1998-04-02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68890B1 (ko)
EP (3) EP0869467B1 (ko)
KR (1) KR100484423B1 (ko)
CN (2) CN1146848C (ko)
DE (2) DE69815427T2 (ko)
TW (1) TW3979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4850A1 (en) * 2000-01-26 2002-01-2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processing video pictures for display on a display device
JP3322809B2 (ja) * 1995-10-24 2002-09-09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駆動方法及び装置
US6215469B1 (en) * 1997-06-25 2001-04-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display method
GB2361575B (en) * 1999-03-16 2002-01-30 Innomind Internat Ltd Display, and device having a display
EP1233395A4 (en) * 1999-10-19 2008-11-19 BRIGHTNESS ASSAY PROCESS WITH EFFECTIVE REDUCTION OF FLUID AND DISPLAY WITH BRIGHTNESS LEVELS
JP3827057B2 (ja) * 2000-02-23 2006-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レート変換装置
CN100399382C (zh) * 2001-09-07 2008-07-02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降低等离子平面显示器动态拟似轮廓现象的方法及装置
US9412314B2 (en) * 2001-11-20 2016-08-09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JP2005516243A (ja) * 2002-01-23 2005-06-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表示パネルのセルのアドレス
TW550537B (en) * 2002-05-06 2003-09-0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driving method capable of changing the display screen frequency
KR100486715B1 (ko) * 2002-10-09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펄스수 변조방식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의사 윤곽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72483B1 (ko) * 2002-11-2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사 윤곽 제거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US10726798B2 (en) 2003-03-31 2020-07-28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operating electro-optic displays
JP4082318B2 (ja) * 2003-09-04 2008-04-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33197A (ko)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589379B1 (ko) * 2003-10-16 2006-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그 계조 구현 방법
KR100570614B1 (ko) * 2003-10-21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부하 화면의 계조 표현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KR100524313B1 (ko) * 2003-12-16 2005-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EP1553549A1 (en) * 2004-01-07 2005-07-1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special coding on pixel located at the border area of a plasma display
KR100515309B1 (ko) 2004-05-25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계조 표현 방법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JP4746851B2 (ja) * 2004-06-29 2011-08-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WO2006013799A1 (en) 2004-08-03 2006-02-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646192B1 (ko) * 2005-01-06 2006-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JP2006194951A (ja) * 2005-01-11 2006-07-27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194948A (ja) * 2005-01-11 2006-07-27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101960A (ja) * 2005-10-05 2007-04-19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デジタル表示装置の表示方法及びデジタル表示装置
KR101404582B1 (ko) * 2006-01-20 2014-06-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CN100578584C (zh) * 2006-07-17 2010-01-06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等离子显示面板的驱动装置及其驱动方法
CN100463509C (zh) * 2007-03-28 2009-02-1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人的视觉特性提升显示图像的画质水平的方法
JP4715859B2 (ja) * 2008-04-15 2011-07-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637181B1 (ko) * 2016-11-18 2024-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743A (ja) * 1994-03-11 1995-09-26 Fujitsu General Ltd 階調表示方法
EP0698874A1 (en) * 1994-07-25 1996-02-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reducing temporal artifacts in digital video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02A (ja) 1993-06-18 1995-01-10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JP2575594B2 (ja) * 1993-09-30 1997-01-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3489884B2 (ja) 1994-02-08 2004-01-26 富士通株式会社 フレーム内時分割型表示装置及びフレーム内時分割型表示装置における中間調表示方法
JPH07261696A (ja) * 1994-03-18 1995-10-13 Fujitsu General Ltd 階調表示方法
US6025818A (en) 1994-12-27 2000-02-15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ethod for correcting pixel data in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driving system
JP3417246B2 (ja) * 1996-09-25 2003-06-16 日本電気株式会社 階調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743A (ja) * 1994-03-11 1995-09-26 Fujitsu General Ltd 階調表示方法
EP0698874A1 (en) * 1994-07-25 1996-02-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reducing temporal artifacts in digital video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9569A1 (en) 2011-06-29
TW397962B (en) 2000-07-11
US6268890B1 (en) 2001-07-31
EP0869467B1 (en) 2003-06-11
EP0869467A2 (en) 1998-10-07
CN1146848C (zh) 2004-04-21
CN1201216A (zh) 1998-12-09
EP1359561B1 (en) 2010-12-22
KR19980081023A (ko) 1998-11-25
DE69842070D1 (de) 2011-02-03
EP1359561A1 (en) 2003-11-05
CN1516442A (zh) 2004-07-28
DE69815427D1 (de) 2003-07-17
EP0869467A3 (en) 1999-10-27
DE69815427T2 (de) 2004-01-08
CN1279507C (zh)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423B1 (ko) 화상표시장치
JP3489884B2 (ja) フレーム内時分割型表示装置及びフレーム内時分割型表示装置における中間調表示方法
KR100306987B1 (ko) 계조표시방법및계조표시장치
KR1006605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73514B1 (ko)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그레이 스케일 디스플레이를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
JP3750889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中間調表示方法
US6052112A (en) Gradation display system
JPH1098663A (ja) 自発光表示器の駆動装置
JPH1098662A (ja) 自発光表示器の駆動装置
KR100708499B1 (ko) 플리커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계조표시방법 및 계조표시장치
KR100263250B1 (ko) 프레임내 시분할형 중간조 표시 방법 및 프레임내 시분할형 표시장치
JP2001034229A (ja) 画像表示装置
JP200532144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ディザ処理回路
JP4325171B2 (ja) 画像表示装置
JPH10171400A (ja) 映像信号の階調表示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860993B1 (ko)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JP4759209B2 (ja) 画像表示装置
US20050259043A1 (en) Display-panel driving method
JP4370925B2 (ja) 表示装置
KR2001002004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계조구현 방법
JP3330110B6 (ja) 画像表示装置
KR20000011193A (ko) 중간조표시방법및표시장치
JP4085860B2 (ja) 液晶画像表示装置
JP4042603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5148297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