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332B1 - 정보데이터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정보데이터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4332B1 KR100484332B1 KR1019960064076A KR19960064076A KR100484332B1 KR 100484332 B1 KR100484332 B1 KR 100484332B1 KR 1019960064076 A KR1019960064076 A KR 1019960064076A KR 19960064076 A KR19960064076 A KR 19960064076A KR 100484332 B1 KR100484332 B1 KR 1004843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ording
- data
- audio
- recording area
- occupi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11B2220/415—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RAID] system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의 지정된 기록 영역에 대해 정보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 수단과, 기록한 상기 정보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점유 기록 영역, 및 기록 매체의 빈 기록 영역을 관리하는 기록 영역 관리 수단과 각각 제 1 버스를 거쳐 상기 기록 영역 관리 수단과 버스 접속되고, 상기 제 1 버스를 거쳐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상기 빈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받아 각각 상기 제 2 버스를 거쳐 상기 기록·재생 수단과 버스 접속되고, 상기 제 2 버스를 거쳐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입출력하는 복수의 입출력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입출력 제어 수단 각각은 상기 기록 영역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록 매체의 빈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할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 및 재생해야 할 정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을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대해 지정하는 기록·재생 제어 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편집 장치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한 상기 정보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재생하는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장치를 다수 접속하고 전체로서 수십 내지 수백기가 바이트(GB)의 기록 용량을 갖고 랜덤 액세스 가능한 하드디스크 어레이 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이 하드디스크 어레이 장치는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또는 이들의 어느 것(음성·영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량이 매우 큰 데이터의 기록에 적합하고, 특히 임의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짧은 액세스 타임으로 재생할 수 있는 특성으로부터, 편집 장치용의 기록·재생 장치로서 뛰어나다.
그러나, 편집후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편집의 대상으로 된 음성·영상 데이터(소재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어레이에 다시 기록하면, 같은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중복해서 기록하게 되고 하드디스크 어레이의 기록 용량이 낭비되고 장시간의 음성·영상 데이터의 편집 작업이 불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8)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8)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 어레이 장치 또는 광 자기 디스크(MO; Magnetic Optical Disc) 장치 등의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기록 매체(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 장치(24)와 RAM(204)을 사용해서 ROM(20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용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 제어 신호 인터페이스 회로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도 1에 있어서는 n=3), 및 각각 영상 음성 신호 인터페이스 회로(음성·영상 데이터 IF)(2201 내지 220n) 및 버퍼 메모리(2221 내지 222n)로 구성되는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가 CPU 버스(218)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 구성된다.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8)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된 음성·영상 데이터(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또는 이들 중 어떤 것) 각각이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기록 영역(점유 기록 영역) 및 빈 기록 영역을 관리한다. 점유 기록 영역 및 빈 기록 영역을 각각 도시하는 점유 기록 영역 데이터 및 빈 기록 영역 데이터(이들을 합쳐서 간단히 기록 영역 데이터라고도 한다)는 RAM(204)에 기억되고, 또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의 소정의 기록 영역에 기록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기록시에는 편집 장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 장치) 또는 전송 장치 등의 복수의 음성·영상 기기 각각으로부터 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를 거쳐 입력되는 입출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재생 장치(24) 및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를 제어하고, 음성·영상 기기로부터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를 거쳐 입력되어 오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시킨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재생시에는 음성·영상 기기 각각으로부터 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를 거쳐 입력되는 입출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재생 장치(24) 및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를 제어하고, 음성·영상 기기가 요구하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4)로부터 재생하고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를 거쳐 음성·영상 기기에 공급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8)에 있어서는, 기록·재생 장치(24)에 대해 기록·재생되는 음성·영상 데이터와, 음성·영상 기기로부터 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를 거쳐 입력되어 오는 제어 신호와, 점유 기록 영역 데이터 및 빈 기록 영역 데이터가 동일한 CPU 버스(218)를 거쳐 각 구성 부분 간에서 송수신되기 때문에, CPU 버스(218)에 버스 넥크가 생긴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00)가 음성·영상 기기와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 사이의 전송 프로토콜 제어, 기록 영역 데이터에 관한 처리 및 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에 입력되는 입출력 제어 신호의 처리 등의 모든 것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 및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의 수를 너무 증가시킬 수가 없다.
또한 기록 영역 데이터 및 음성·영상 데이터가 동일한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되기 때문에, 기록·재생 장치(24) 자체에 부하도 증대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하드디스크 및 광 자기 디스크(MO 디스크, Magnetic-Optical Disc) 등의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에 복수의 편집 대상이 되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편집 장치 등의 외부 장치의 요구에 의해 임의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제공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의 음성·영상 데이터의 편집에 적합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록 매체에 같은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중복해서 기록하지 않고, 편집 결과의 음성·영상 데이터(편집 결과 데이터)와 꼭 같은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음성·영상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있어서, 점유하는 기록 영역(점유 기록 영역) 및 빈 기록 영역의 관리, 외부의 음성·영상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입출력 제어 신호에 관한 처리, 및 음성·영상 기기와의 사이의 음성·영상 데이터의 입출력에 관한 프로토콜 제어 등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필수인 처리의 부하를 별도의 구성 부분에 분산시킨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처리 부담이 특정 구성 부분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고, 보다 많은 외부의 음성·영상 기기와의 사이에서 음성·영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입출력할 수 있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음성·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버스와, 그 밖의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버스를 분리하고, 버스 넥크가 생기기 어려운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의 지정된 기록 영역에 대해 정보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 수단과, 기록한 상기 정보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점유 기록 영역, 및 상기 기록 매체의 빈 기록 영역을 관리하는 기록 영역 관리 수단과 각각 제 1 버스를 거쳐 상기 기록 영역 관리 수단과 버스 접속되고, 상기 제 1 버스를 거쳐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상기 빈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각 상기 제 2 버스를 거쳐 상기 기록·재생 수단과 버스 접속되고, 제 2 버스를 거쳐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입출력하는 복수의 입출력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입출력 제어 수단 각각은 상기 기록 영역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록 매체의 빈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 및 재생해야 할 정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을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대해 지정하는 기록·재생 제어 수단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기록 영역 관리 수단은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상기 정보 데이터의 복수의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과,
상기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표시된 상기 정보 데이터가 삭제 가능한 경우에 제 1 값을 취하는 식별 플래그를 상기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부가하는 식별 플래그 부가 수단과,
상기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표시된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해방하는 요구를 받은 때에 상기 식별 플래그의 값이 상기 제 1 값인 경우에만, 상기 해방 요구를 받은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해방하고 상기 해방한 점유 기록 영역을 상기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로부터 삭제하는 기록 영역 해방 수단과,
상기 기록·재생 수단의 복수의 상기 빈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빈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빈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의 지정된 기록 영역에 대해 정보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 수단과,
기록한 정보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제 1 점유 기록 영역 및 상기 기록 매체의 빈 기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 1 기록 영역 관리 수단과,
조합시켜 재생하는 부분 데이터로서의 상기 기록된 정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 2 기록 영역 관리 수단;
각각 제 1 버스를 거쳐 상기 제 1, 제 2 기록 영역 관리 수단과 버스 접속되고, 상기 제 1 버스를 거쳐 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상기 빈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각 제 2 버스를 거쳐 상기 기록·재생 수단과 버스 접속되고, 상기 제 2 버스를 거쳐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입출력하는 복수의 입출력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입출력 제어 수단 각각은 제 1 기록 영역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록 매체의 빈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기록 매체 상의 영역을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대해 지정하고, 상기 제 1, 제 2 기록 영역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해야 할 상기 정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을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대해 지정하는 기록·재생 제어 수단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기록 영역 관리 수단은,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상기 정보 데이터의 복수의 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제 1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 1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과,
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표시된 정보 데이터가 삭제 가능한 경우에, 제 1 값을 취하는 식별 플래그를 상기 제 1 점유 영역 리스트에 부가하는 제 1 식별 플래그 부가 수단과,
상기 기록·재생 수단의 복수의 상기 빈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빈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빈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을 갖고,
상기 제 2 기록 영역 관리 수단은,
상기 조합시켜 재생하는 부분 데이터의 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제 2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 2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과,
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표시된 정보 데이터가 삭제 불가능한 경우에, 제 2 값을 취하는 식별 플래그를 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부가하는 제 2 식별 플래그 부가 수단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 및 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해방하는 요구를 받은 때에, 상기 식별 플래그의 값이 제 1 값인 경우에만 상기 해방 요구를 받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해방하고, 상기 해방한 제 1 또는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상기 제 1 또는 제 2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로부터 삭제하는 기록 영역 해방 수단과,
상기 기록·재생 수단의 복수의 상기 빈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빈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빈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을 더 갖는다.
또한, 상기 부분 데이터가 소정의 데이터 길이 이하인 경우에, 상기 소정의 데이터 길이 이하의 짧은 부분 데이터와 상기 짧은 부분 데이터의 전후에 재생되는 상기 부분 데이터의 소정의 부분을 상기 기록 매체의 소정의 기록 영역에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부분 데이터 기록 수단과,
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데이터 및 기록 매체의 상기 소정의 기록 영역에 기록된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소정의 부분 및 상기 짧은 부분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제 3 점유 기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 3 기록 영역 관리 수단을 더 갖고,
상기 기록·재생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해야 할 정보 데이터의 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 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 및 상기 제 3 점유 기록 영역을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지정한다.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은 편집 장치, 전송 장치 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의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 및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은 버스 브리지 회로(206)에 의해 버스끼리가 접속된 제어 장치(20) 및 입출력 장치(22)와 기록·재생 장치(24)로 구성된다.
제어 장치(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0), ROM(202), RAM(204) 및 n개의 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도 2는 n=3의 경우를 예시)가 CPU 버스(218)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 구성된다.
입출력 장치(22)는 n개의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로 구성되고,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 각각은 음성·영상 데이터 IF(2201 내지 220n) 및 버퍼 메모리(2221 내지 222n)로 구성된다.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 각각은 재생시에 재생을 요구하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에 대해 출력하고, 요구한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시키고, 재생시킨 음성·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 각각은 기록시에 기록을 요구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의 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에 대해 출력하고, 기록을 요구하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에 대해 공급하고,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시킨다.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는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AV)를 공급하고,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에 의한 편집의 결과로서 얻어진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의 제어 장치(20)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00)는, 예를 들면, 범용 또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구성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그 주변 회로로 구성되고, RAM(204)를 사용하여 ROM(2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기록된 음성·영상 데이터가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MO 또는 하드디스크 등)(도시되지 않음)에 있어서 점유하는 기록 영역(점유 기록 영역)과 빈 기록 영역을 관리하고,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점유 기록 영역 데이터 및 빈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빈 기록 영역 데이터를 RAM(204)에 기록하고, 또 버스 브리지 회로(206) 및 서브 버스(226)를 거쳐 이들의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4)의 소정의 기록 영역에 기록시킨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CPU 버스(218), 버스 브리지 회로(206) 및 서브 버스(226)를 거쳐 입출력 장치(22)의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의 프로토콜 제어 등의 동작 및 기록·재생 장치(24)에 대한 음성·영상 데이터의 기록 영역의 지정 등을 행한다.
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 각각은 접속된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로부터 입력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고, CPU 버스(218)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200)에 대해 출력한다.
버스 브리지 회로(206)는 제어 장치(20)의 CPU 버스(218)와 입출력 장치(22)의 서브 버스(226)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의 타이밍을 조정한다.
입출력 장치(22)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 각각은 제어 장치(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200)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하고, 기록시에는 소정의 프로토콜(예를 들면, SCSI,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에 따라서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서브 버스(226)를 거쳐 기록·재생 장치(24)에 대해 출력하고,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의 지정의 기록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 각각은 재생시에는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의 지정 기록 영역에서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시키고, 서브 버스(226)를 거쳐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에 대해 공급한다.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IF(2201 내지 220n) 각각은 재생시에는 기록·재생 장치(24)에 의해 재생되고 서브 버스(226) 및 버퍼 메모리(2221 내지 222n)를 거쳐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에 대해 출력한다.
또한, 음성·영상 데이터 IF(2201 내지 220n)는 기록시에는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2221 내지 222n) 및 서브 버스(226)를 거쳐 기록·재생 장치에 대해 출력하고 기록시킨다.
버퍼 메모리(2221 내지 222n) 각각은 재생시에는 서브 버스(22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음성·영상 데이터 IF(2201 내지 220n)에 대해 출력하고, 기록시에는 음성·영상 데이터 IF(2201 내지 220n)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서브 버스(226)를 거쳐 기록·재생 장치(24)에 대해 출력한다.
기록·재생 장치(24)는 하드디스크 어레이 장치 또는 광 자기 디스크(MO; Magnetic Optical Disc) 장치 등으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200)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하고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기록 매체(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입출력 제어회로(2241 내지 224n)로부터 서브 버스(226)를 거쳐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200)에 의해 지정된 기록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재생 장치(24)는 기록 매체의 마이크로프로세서(200)에 의해 지정된 기록 영역으로부터 재생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서브 버스(226)를 거쳐 입출력 제어 회로(2241 내지 224n) 각각에 대해 출력한다.
이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의 동작을 중심으로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 음성·영상 기기(41)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요구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음성·영상 기기(42 내지 4n)가 음성· 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요구하는 경우의 동작도 같다.
먼저, 기록시의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음성·영상 기기(41)는 재생을 요구하는 음성·영상 데이터의 명칭(파일명) 및 데이터 길이 등의 소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접속되어 있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의 제어 장치(20)의 제어 데이터 IF(2101)에 대해 출력한다.
제어 데이터 IF(2101)는 음성·영상 기기(41)로부터의 입출력 제어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00)에 대해 출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로부터 입력된 입출력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파일명 및 데이터 길이 등에 기초하여, 빈 기록 영역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영역을 기록·재생 장치(24)에 지정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입출력 제어 회로(2241)를 제어하여 소정의 프로토콜로 입력되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의 지정된 기록 영역에 기록시킨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음성·영상 기기(41)로부터 입력된 파일명 등을 사용하여 음성·영상 데이터의 검색에 사용하는 파일 엔트리 및 기록한 음성·영상 데이터의 점유 기록 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빈 기록 영역 데이터를 갱신한다.
다음에, 재생시의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음성·영상 기기(41)는 재생을 요구하는 음성·영상 데이터의 파일명 등을 포함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제어 데이터 IF(2101)에 대해 출력한다.
제어 데이터 IF(2101)는 이 입출력 제어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200)에 대해 출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입출력 제어 신호의 파일명에 기초하여 기록시에 생성되는 파일 엔트리를 검색하고, 검색의 결과로서 얻어진 파일 엔트리에 대응하는 점유 기록 영역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을 요구받은 음성·영상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영역을 기록·재생 장치(24)에 지정하고, 기록·재생 장치(24)를 제어하여 지정된 기록 영역으로부터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입출력 제어 회로(2241)를 제어하고 소정의 프로토콜로 재생한 음성·영상 데이터를 음성·영상 기기(41)에 대해 출력시킨다.
(제 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 (도 2 및 도 3)에 있어서는, CPU 버스(218)와 서브버스(226)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 영역 데이터 생성에 관한 데이터와 음성·영상 데이터가 동일 버스 상에 존재하지 않고 CPU버스(218) 상에서는 버스 넥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음성·영상 데이터와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 및 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 간의 프로토콜 제어에 관한 데이터 등은 서브버스(226) 상에서 혼재하고 서브버스(226)에 버스 넥크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의 각 구성 부분의 처리 부담 전부를 마이크로프로세서(200)가 맡으므로, 도 1에 도시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8)에 있어서와 꼭 같이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도 2 및 도 3)에 있어서도 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 및 입출력 제어회로(2241 내지 224n)의 수를 대폭으로 증가시킬 수는 없다.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는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를 더 개량한 것으로서 음성·영상 데이터와 프로토콜 제어에 관한 데이터 등의 다른 데이터가 동일 버스 상에서 거의 혼재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는 특정 마이크로프로세서(데이터 처리 수단)에 프로토콜 제어 및 기록 영역 관리 등의 처리에 관한 부하가 집중되지 않고 접속 가능한 음성·영상 기기의 수를 대폭 증가시킬 수가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 도 4는 n=4의 경우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를 예시한다. 또한, 도 4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각 구성 부분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는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도 2 및 도 3) 대신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n개의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가 메인 CPU 버스(32)를 거쳐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를 갖는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버스 접속되고, 또한 데이터 버스(30)를 거쳐 기록·재생 장치(24)에 버스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는 이들의 구성 부분에 의해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입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서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에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 각각으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기특한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 각각에 공급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데이터 관리 장치(34)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340), ROM(342), RAM(344) 및 SCSI 인터페이스(SCSI IF)(348)가 메인 CPU 버스(32)를 거쳐 버스 접속되어 구성되고, SCSI IF(348)에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장치 등의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가 접속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340), ROM(342) 및 RAM(344)은 ROM(34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로서 동작하고,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관리하고 기록·재생 장치(24)의 점유 기록 영역 및 빈 기록 영역을 생성하여 RAM(344)에 기억시키고, 또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에 기록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 각각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기록을 위해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에 기록 영역을 할당하여 재생을 요구받은 음성·영상 데이터의 점유 기록 영역을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 각각에 통지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영상 데이터(A, B)의 점유 기록 영역, 데이터 관리 장치(34)가 생성하는 음성·영상 데이터(A, B)의 점유 기록 영역 데이터(파일 엔트리와 레코드 엔트리) 및 빈 기록 영역 데이터(프리 스페이스 리스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4에 도시한 데이터 관리 장치(34)가 생성하는 기록 영역 데이터의 내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 어레이 장치(24)의 기록 매체에는 음성·영상 데이터(A, B)가 기억되어 있고, 음성·영상 데이터(B)는 기록 매체의 선두로부터 80블록 내지 129블록 및 230블록 내지 329블록(1블록은, 예를 들면, 1 기가 바이트(GB))에 기록되고, 음성·영상 데이터(A)는 기록 매체의 선두로부터 170블록 내지 229블록에 기록되고, 다른 기록 영역은 빈 기록 영역으로 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성·영상 데이터(A, B)가 기록되는 사태는, 예를 들면, 음성·영상 데이터(A)를 기록할 때에는 기록 매체의 170블록 이후가 가장 기록 영역의 선두에 가까운 빈 기록 영역으로서 존재하고, 음성·영상 데이터(A)의 전부가 170블록 내지 229블록에 기록되고, 그후 80블록 내지 129블록에 기록된 음성·영상 데이터가 삭제되고, 이 기록 영역이 해방되어 빈 기록 영역으로 되고 이 부분에 음성·영상 데이터(B)의 앞쪽 부분이 기록되고, 뒤쪽 부분이 230블록 이후에 기록된 경우에 생긴다.
이와 같이, 1개의 음성·영상 데이터가 복수의 기록 영역에 분할되어 기록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음성·영상 데이터(A, B) 각각의 점유 기록 영역 데이터를 도 6B, 도 6C에 도시하는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 형식의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로서 작성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음성·영상 데이터(A, B) 각각에 대해서,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일명 및 최초의 레코드 엔트리를 도시하는 링크 데이터(피일 엔트리)를 RAM(344)에 기억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RAM(344)에 기억된 레코드 엔트리에 그 레코드 엔트리가 대응하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삭제해도 좋은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식별 플래그(삭제 가능 플래그)를 부가한다. 또한, 삭제 가능 플래그의 값 중, ON은 삭제 가능을 표시하고 OFF는 삭제 불가능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삭제 가능 플래그를 레코드 엔트리에 부가하는 이유는, 예를 들면,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영상 데이터의 일부가 다른 레코드 엔트리에 의해 참조되어 있는 경우에, 참조되어 있는 음성·영상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삭제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레코드 엔트리 각각은,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레코드 엔트리를 도시하는 링크 데이터, 기록 영역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선두 위치 데이터 및 기록 영역의 길이를 나타내는 기록 길이 데이터로 구성된다. 또한, 링크 데이터가 종료치(END)인 경우에는 다음의 레코드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고, 그 레코드 엔트리가 나타내는 기록 영역에는 음성·영상 데이터의 최후의 부분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하드디스크 어레이 장치(24)의 빈 기록 영역(프리 스페이스)을 나타내는 빈 기록 영역 데이터를 도 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리스트(프리 스페이스 리스트)로서 생성한다. 프리 스페이스 리스트는,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 빈 기록 영역의 링크 데이터, 빈 기록 영역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선두 위치 데이터, 및 빈 기록 영역의 길이를 나타내는 기록 길이 데이터로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관리 장치(34)의 마이크로프로세서(340)는 상기 각 데이터를 갱신할 때마다, 갱신한 데이터를 SCSI IF(348)를 거쳐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에 기록한다.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기동시에는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에 기록된 각 데이터를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로부터 재생하고, 재생한 상기 각 데이터, 및 기동 후에 음성·영상 기기(41 내지 4n)로부터 입력되는 입출력 제어 신호등에 기초하여 각 데이터를 갱신한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 각각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380), ROM(382), RAM(384), 제어 데이터 IF(210)(제어 데이터 IF(2101 내지 210n))(도 3)과 같음) 및 어드레스 발생 회로(394)가 입출력 제어 장치 (38i)에 있어서 닫힌 로컬 CPU 버스(388)를 거쳐 버스 접속되고, 듀얼포트 RAM(390)이 메인 CPU 버스(32)(도 4)와 로컬 CPU 버스(388)를 접속하고, 기록·재생 장치 제어 인터페이스(기록·재생 장치 IF)(392)가 로컬 CPU 버스(388)와 데이터 버스(30)를 접속하고 데이터 버스(30)에 버퍼 메모리(222)(버퍼 메모리(2221 내지 222n)에 대응함) 및 음성·영상 데이터 IF(220)(음성·영상 데이터 IF(2201 내지 220n))와 같음)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의 음성·영상 데이터 IF(220)에는 각각 음성·영상 기기(4i)(도 2)가 접속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이들의 구성 부분에 의해, 기록시에는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의 파일명 및 데이터 길이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액세스하고, 기록·재생 장치(24)로부터 기록을 요구받은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영역의 할당을 받아 할당된 기록 영역을 기록·재생 장치(24)에 지정하고, 지정한 기록 영역에 SCSI 등의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입력되어 오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재생시에는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의 파일명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액세스하여 재생을 요구받은 음성·영상 데이터의 점유 기록 영역의 통지를 받아 통지된 점유 기록 영역으로부터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재생한 음성·영상 데이터를 음성·영상 기기(4i)에 대해 소정의 프로토콜로 출력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380), ROM(382) 및 RAM(384)은 ROM(382)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로서 동작하고,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각 구성 부분을 제어하여 기록·재생 장치(24)에 대한 음성·영상 데이터의 기록·재생 및 음성·영상 기기(4i)간의 프로토콜 제어를 실행한다.
듀얼포트 RAM(390)은 메인 CPU 버스(32)를 거쳐 데이터 관리 장치(34) 측으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데이터를 로컬 CPU 버스(388)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380)에 공급하고, 로컬 CPU 버스(388)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인 CPU 버스(32)를 거쳐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공급한다.
기록·재생 장치 IF(392)는 마이크로프로세서(380)로부터 기록·재생 장치(24)에 대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4)에 공급하고, 기록·재생 장치(24)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380)에 대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380)에 공급한다.
어드레스 발생 회로(394)는 마이크로프로세서(380)의 제어에 따라서 버퍼 메모리(222)의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버퍼 메모리(222)의 버퍼링 동작을 제어한다.
음성·영상 기기(4i)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음성·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요구하는 경우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동작을 아래에 설명한다.
음성·영상 기기(4i)는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제어 데이터 IF(210)에 대해서, 재생을 요구하는 음성·영상 데이터의 파일명 등을 포함하고 음성·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요구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입출력 제어 신호는 제어 데이터 IF(210)로부터 마이크로 프로세서(380)에 입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380)는 듀얼 포트 RAM(390)을 거쳐 재생을 요구받은 음성·영상 데이터의 점유 기록 영역을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확인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확인받은 음성·영상 데이터의 파일명을 사용해서 파일 엔트리(도 6B, 도 6C)를 검색하고 대응하는 레코드 엔트리를 찾아내어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통지한다.
또한, 레코드 엔트리를 통지받은 마이크로프로세서(380)는 데이터 버스(30) 및 기록·재생 장치 IF(392)를 거쳐 기록·재생 장치(24)에 재생하는 음성·영상 데이터의 점유 기록 영역을 지정하여 재생시킨다.
또한, 기록·재생 장치(24)로부터 데이터 버스(30)를 거쳐 버퍼 메모리(222)에 재생된 음성·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380)는 기록·재생 장치(24)와의 사이의 프로토콜 제어를 행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380)는 어드레스 발생 회로(394)를 거쳐 버퍼 메모리(222)의 버퍼링 동작을 제어하고, 또 음성·영상 기기(4i)와의 사이의 프로토콜 제어를 행하고, 음성·영상 데이터 IF(220)를 거쳐 음성·영상 기기(4i)에 대해 출력시킨다.
음성·영상 기기(4i)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음성·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요구하는 경우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동작을 아래에 설명한다.
음성·영상 기기(4i)는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제어 데이터 IF(210)에 대해서, 기록을 요구하는 음성·영상 데이터의 파일명 및 데이터 길이를 포함하고, 음성·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요구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입출력 제어 신호는 제어 데이터 IF(210)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380)에 입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380)는 듀얼 포트 RAM(390)을 거쳐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기록 영역의 할당을 요구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빈 기록 영역 및 음성·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기초하여 기록 영역을 할당하여 듀얼 포트 RAM(390)을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380)에 통지한다.
기록 영역 할당의 통지를 받은 마이크로프로세서(380)는 데이터 버스(30) 및 기록·재생 장치 IF(392)를 거쳐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 영역을 지정한다.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음성·영상 데이터 IF(220)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380)는 음성·영상 기기(41)와의 사이에서 프로토콜 제어를 행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380)는 어드레스 발생 회로(394)를 제어하여 버퍼 메모리(222)의 버퍼링 동작을 제어하고, 기록·재생 장치(24)와의 사이의 프로토콜 제어를 행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380)는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30)를 거쳐 기록·재생 장치(24)에 대해 출력시키고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4)에 지정한 기록시킨다.
이하, 도 4에 도시한 음성 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를 사용한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가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공급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4)로부터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가 도 4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24)로부터 재생된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도 1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4i)에 공급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가 도 4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24)로부터 재생된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4i) 공급하는 경우의 음성·영상 기기(4i), 입출력 제어 장치(38i) 데이터 관리 장치(34) 및 기록·재생 장치(24)간의 신호 시퀀스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102(ST102)에 있어서, 음성·영상 기기(4i)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A)(예를 들면, 도 6A)의 파일명 FILE_A를 포함하고,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A)를 재생시키는 뜻의 OPEN_PLAY 명령을 출력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이 OPEN_PLAY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104(ST104)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OPEN_PLAY 명령을 출력한다.
단계 106(ST106)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 엔트리(FE)를 판독하고, 파일 각 FILE_A를 사용해서 음성·영상 데이터(A)의 레코드 엔트리(RE)를 검색하고 음성·영상 데이터(A)의 레코드 엔트리를 찾아낸다.
단계 108(ST108)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찾아낸 음성·영상 데이터(A)의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를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단계 110(ST110)에 있어서, 음성·영상 기기(4i)는 음성·영상 데이터(A)의 재생을 개시시키는 PLAY 명령을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 출력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이 PLAY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112(ST112) 및 단계 114(ST114)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데이터 관리 장치(34)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A)의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에 기초하여 음성·영상 데이터의 점유 기록 영역을 산출하여 기록·재생 장치(24)에 지정하고, 또 READ 명령을 기록 재생 장치(24)에 대해 출력한다.
단계 116(ST116)에 있어서, 기륵·재생 장치(24)는 지정된 기록 영역으로부터 음성·영상 데이터(A)를 재생하고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재생된 음성·영상 데이터(A)를 수신한다.
단계 118(ST118)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수신한 음성·영상 데이터(A)를 버퍼 메모리(222)에 기록한다.
단계 120(ST120)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버퍼 메모리(222)로부터 음성·영상 데이터(A)를 판독하고 음성·영상 데이터 IF(220)에 대해 출력한다.
단계 122(ST122)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음성·영상 데이터 IF(220)를 거쳐 음성·영상 기기(4i)에 대해 재생한 음성·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에,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가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재생을 요구받은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도 4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도 4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하는 경우의 음성·영상 기기(4i), 입출력 제어 장치(38i), 데이터 관리 장치(34) 및 기록·재생 장치(24) 사이의 신호 시퀀스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202(ST202)에 있어서, 음성·영상 기기(4i)는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B)(예를 들면, 도 6A)를 기록하는 준비를 행하도록 하기 위해 음성·영상 데이터(B)의 파일명 FILE_B 및 데이터 길이를 포함하는 OPEN_REC 명령을 입출력 제어 신호로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 출력한다.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이 OPEN_REC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204(ST204)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파일명 FILE_B 및 데이터 길이를 포함하여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B)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영역의 할당을 요구하는 OPEN_WRITE 명령을 송신한다.
단계 206(ST206)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입출력 제어 장치(38i)로부터 출력된 OPEN_WRITE 명령에 포함되는 파일명 FILE_B에 기초하여 파일 엔트리(도 6B, 도 6C)를 생성하여 RAM(344)에 기억하고 관리 데이터 기록장치(36)에 기록한다.
단계 208(ST208)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음성·영상 데이터(B)의 데이터 길이 및 프리 스페이스 리스트(도 6D)에 기초하여 음성·영상 데이터(B)를 기록하는 기억 영역을 확보하고 레코드 엔트리(RE: 도 6B, 도 6C)를 생성한다.
단계 210(ST210)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레코드 엔트리 및 파일 엔트리를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단계 212(ST212)에 있어서, 음성·영상 기기(4i)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시키는 REC 명령을 출력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제어 데이터 IF(210)는 이 REC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214(ST214)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음성·영상 데이터 IF(220)는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B)를 버퍼 메모리(222)에 기록한다(라이트한다).
단계 216(ST216)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데이터 관리 장치(34)로부터 수신한 레코드 엔트리 및 파일 엔트리에 기초하여 음성·영상 데이터(B)를 기록하는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산출한다.
단계 218(ST218)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기록·재생 장치 F(392)를 거쳐 기록·재생 장치(24)에 음성·영상 데이터(B)를 기록하는 기록 영역을 지정하고, 기입 명령을 입력하여 기록·재생 장치(24)를 제어하고, 버퍼 메모리(222)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영상 데이터(B)를 지정한 기록 영역에 기록시킨다.
단계 220(ST220)에 있어서, 기록·재생 장치(24)는 입출력 제어 장치(38i)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B)를 기록 매체의 지정된 기록 영역에 기록한다.
다음에,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데이터 관리 장치(34)가 프리 스페이스 리스트의 갱신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삭제의 대상이 되는 음성·영상 데이터의 파일명을 포함하고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뜻의 입출력 제어 신호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 출력되면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이 입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출력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이 입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파일명을 사용하여 파일 엔트리를 검색하고, 파일명에 대응하는 레코드 엔트리의 삭제가능 플래그를 검사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삭제 가능 플래그가 ON인 경우에만 레코드 엔트리 및 파일 엔트리를 삭제하고, 대응하는 음성·영상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영역을 해방하고 프리 스페이스 리스트를 갱신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또 갱신한 프리 스페이스 리스트를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에 기록한다.
이상,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있어서는, 음성·영상 데이터와 프로토콜 제어에 관한 데이터 등의 다른 데이터가 동일 버스 상에서 거의 혼재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있어서는, 특정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프로토콜 제어 및 기록 영역 관리 등의 처리에 관한 부하가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수 및 접속되는 음성·영상 기기(4i)의 수를,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2)에 비해 대폭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대량의 음성·영상 데이터가 데이터 버스(30) 상에 송수신되는 경우에도 프로토콜 제어 및 기록 영역 관리에 관한 데이터가 음성·영상 데이터와 충돌하는 일이 없고, 프로토콜 제어 및 기록 영역 관리에 관한 처리를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고, 음성·영상 기기(4i)에 대한 음성·영상 데이터의 기록·재생에 관한 응답이 빠르다.
또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는 음성·영상 데이터 외에 다른 데이터, 예를 들면, 컴퓨터용의 데이터의 기록·재생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흐름도 등에 도시한 처리 내용은 예시이고, 동일한 기능 및 성능을 보증 가능한 한 다른 처리 순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있어서는 동등한 기능, 및 성능이 보증 가능한 한에 있어서 각 구성 부분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는지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는지는 상관없다.
(제 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나타내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는 제 2 실시예에 도시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와 같이, 복수의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또는 이들 중 어떤 것(음성·영상 데이터)을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하고,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접속되어 있는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음성·영상 기기(4i)에 대해 편집 처리의 대상이 되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러나, 제 2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를 사용해서 편집 처리를 행하면, 편집 처리의 대상이 된 음성·영상 데이터(소재 데이터)와 함께, 편집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음성·영상 데이터(편집 결과 데이터)도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서, 제 3 실시예에는 편집 결과 데이터에 있어서 소재 데이터의 어떤 부분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편집 데이터)를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수신하고, 이 편집 데이터에 기초하여 편집 결과 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개량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는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ROM(382)의 내용이 변경되어 있고,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는 제 2 실시예에 나타낸 기능 외에 음성·영상 기기(4i)(도2)로부터 입출력 제어 신호로서 입력된 편집 데이터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가 관리하는 점유 기록 영역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되어 있는 소재 데이터의 편집 결과 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부분 데이터)을 조합시켜 재생함으로써, 편집 결과 데이터와 같은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음성·영상 기기(4i)에 대해 공급하는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가 상술한 편집 결과 데이터와 같은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의 내용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도 13A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D)가 도 4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고, 도 13B는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D)의 일부를 꺼내서 접속하는 편집 처리(커트 편집)의 결과로서 얻어진 음성·영상 데이터(편집 결과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 3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4i)가 도 13B에 도시한 편집 결과 데이터와 같은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시키기 위해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하는 편집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자면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에는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D)가 기록되어 있고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D)의 점유 기록 영역은 각각, 예를 들면, 100블록 내지 189블록, 200블록 내지 269블록, 300블록 내지 379블록 및 400블록 내지 469블록이다.
도 13A에 도시한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D)를 소재 데이터로 하여, 음성·영상 기기(4i)가 편집 처리를 행하고, 예를 들면, 음성·영상 데이터(A)의 선두로부터 10블록 내지 49블록(데이터 길이 40 블록), 음성·영상 데이터(B)의 선두로부터 20블록 내지 24블록(데이터 길이 5블록), 음성·영상 데이터(C)의 선두로부터 30블록 내지 69블록(데이터 길이 40 블록) 및 음성·영상 데이터 20블록 내지 24블록(데이터 길이 5블록)의 부분 데이터를 커트 편집하여 도 13B에 도시하는 내용의 편집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편집 결과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하면, 동일한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가 중복해서 기록되고 낭비가 생기므로, 음성·영상 기기(4i)는 도 14에 도시하는 편집 데이터를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집 데이터에는 부분 데이터 각각의 파일명, 소재 데이터 각각에 있어서의 재생 개시 위치 및 재생 종료 위치가 기록된다. 예를 들면, 도 13B에 도시한 편집 결과 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편집 데이터는 도 15, 도 16에 도시하는 내용으로 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편집 데이터 및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C)에 대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가 생성한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도 5B, 도 5C 참조)에 기초하여 편집 결과 데이터에 포함되는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D)의 부분 데이터(부분 데이터(A 내지 D))가 각각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기록 영역을 아래 식과 같이 산출한다. 또,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산출한 기록 영역을 기록 재생 장치(24)에 지정하여, 지정한 기록 영역 각각으로부터 부분 데이터(A 내지 D)를 편집 데이터가 나타내는 순서로 재생시킨다.
이상과 같이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동작을 변경함으로써,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되어 있는 각 소재 데이터의 부분(부분 데이터)으로 구성되는 편집 결과 데이터를 소재 데이터와 중복하여 다시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하는 일없이, 편집 결과와 동일한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있어서는 기록 영상 데이터(24)의 기록 용량이 낭비되지 않고, 음성·영상 기기(4i)에 따른 장시간의 음성·영상 데이터의 편집이 가능해 진다.
또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를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의 한 쪽에만 사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동일한 기능 및 성능을 실현 가능한 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각 구성 부분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는지,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는지는 상관없다.
또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각 구성 부분은 동등한 기능 및 성능을 갖는 다른 수단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4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의한 기록 영역 관리 방법에 의하면,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용량의 유효 이용이라고 하는 소정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나, 편집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RAM(384)에(도8)에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수신대로의 형태로 기록하고, 재생시에 부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편집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할 때까지,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되어 있는 소재 데이터 내의 어느 데이터가 소재 데이터로서 사용되는지를 알 수 없고, 소재 데이터로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삭제되어 버리는 상태가 생길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 4 실시예에 나타내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있어서는,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ROM(342)의 내용을 변경하고 입출력 제어 장치(38i)가 데이터 관리 장치(34)로부터 수신한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도 6B, 도 6C 및 도 7A, 도 7B 참조)와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입력된 편집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동일한 편집 결과 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재생 엔트리를 생성하여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출력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입력된 재생 엔트리를 RAM(344)에 기억하고, 또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에 기록한다.
또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임의의 편집 결과 데이터의 재생을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요구된 경우에,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재생이 요구된 편집 결과 데이터의 재생 엔트리를 요구하고, 데이터 관리 장치(34)로부터 재생 엔트리를 수신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수신한 재생 엔트리가 나타내는 기록 영역을 기록·재생 장치(24)에 지정하고, 기록·재생 장치(24)를 제어하여 지정한 기록 영역으로부터 부분 데이터를 편집 데이터가 나타내는 순서로 재생시킴으로써, 편집 결과 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의 신속한 재생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와 같이,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레코드 엔트리 및 재생 엔트리에 식별 플래그(삭제 가능 플래그)를 첨부하고, 기록 영역을 삭제할 때에 이 삭제 가능 플래그를 검사함으로써 소재 데이터가 준비없이 삭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ROM(383)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의 ROM(342)의 내용 이외의 각 구성 부분은 제 3 실시예와 같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도 17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A에 도시한 음성·영상 데이터(소재 데이터)(A 내지 B)의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 도 13B에 도시한 편집 결과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집 데이터,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재생 엔트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도 13A에 도시한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D)에 기초하여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D) 각각의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를 생성하고, ROM(342)에 기억하고, 또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에 기록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음성·영상 기기(4i)가 도 13B에 도시한 편집 결과 데이터와 동일한 음성·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도 17C에 도시하는 편집 데이터(도 15와 동일함)를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이 편집 데이터는 소재 데이터(A)의 10블록 내지 49블록 범위의 부분 데이터, 소재 데이터(B)의 20블록 내지 24블록 범위의 부분 데이터, 소재 데이터(C)의 30블록 내지 69블록 범위의 부분 데이터 및 소재 데이터(D)의 20블록 째로부터 24블록의 범위에 포함되는 부분 데이터가 이 순서로 편집 결과 데이터(X)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입력된 편집 데이터에 포함되는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D)의 레코드 엔트리 및 파일 엔트리를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요구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이 요구에 의해 음성·영상 데이터의 레코드 엔트리 및 파일 엔트리를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로부터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D)의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를 수신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편집 데이터, 수신한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에 기초하여 부분 데이터(A 내지 D)의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점유 기록 영역을 관련지어 나타내는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재생 엔트리(도 17C)를 생성하여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출력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입력된 재생 엔트리를 RAM(344)에 기억하고, 또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에 기록한다.
또한, 제 3 실시예와 편집 결과 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 데이터가 동일하기 때문에, 도 17C에 도시한 재생 엔트리는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표 2와 동일한 내용이다.
편집 결과 데이터(X)를 재생하는 경우, 음성·영상 기기(4i)는 편집 결과 데이터(X)의 재생을 요구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입력된 입출력 제어 신호를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출력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재생을 요구받은 편집 결과 데이터(X)의 재생 엔트리를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데이터 관리 장치(34)로부터 수신한 재생 엔트리에 기초하여 재생 엔트리가 나타내는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기록·재생 장치(24)에 지정하고, 지정한 기록 영역으로부터 부분 데이터(A 내지 D)를 편집 데이터가 나타내는 순서로 재생시킨다.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 데이터를 그대로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RAM(384)에 기억해 두고 재생시에 부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을 산출하는데 비해, 제 4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도 17C에 도시한 링크드 리스트의 형식으로 재생 엔트리를 생성하고 데이터 관리 장치(34)의 RAM(344)에 기억해두면, 재생시의 부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의 산출이 불필요하게 되고, 신속하게 편집 결과 데이터와 같은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가 생성한 재생 엔트리 전부가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의해 일괄 관리되기 때문에,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의 어느 것인가가 생성한 재생 엔트리를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의 전부가 공유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13A, 도 13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부분 데이터가 4개의 블록으로 분할되는 정도의 경우에는 재생시의 부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의 산출 처리 시간은 특히 재생의 방해는 되지 않지만, 부분 데이터의 분할 수가 많아지면 질수록 산출 처리 시간은 증대하고, 재생의 방해가 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많은 부분 데이터를 포함하는 편집 결과 데이터의 편집 데이터가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입력된 경우에 미리 재생 엔트리를 생성하는 장점이 커진다.
이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5는 도 3에 도시한 데이터 관리 장치(34)가 재생 엔트리를 생성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재생 엔트리의 생성 처리에 관한 편집 데이터,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와 재생 엔트리의 생성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재생 엔트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302(ST302)에 있어서, 변수 n, j에 수치 1을 대입한다. 변수 n은 도 19A에 도시하는 편집 데이터 및 도 19B에 도시하는 레코드 엔트리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고, 변수 j는 19C에 도시하는 재생 엔트리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350(ST350)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편집 데이터에 포함되는 파일명(도 19A의 FILE(n)), 재생 개시 위치(도 16A의 START(n)), 재생 종료 위치(도 16A의 END(n)), 데이터 관리 장치(34)로부터 수신한 소재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음성·영상 데이터의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도 19B의 RE(n, I))로부터 재생 엔트리(도 19C의 RE(j))를 생성한다. 처리 내용을(ST352 내지 ST364)에 나타낸다.
단계 352(ST352)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재생 개시 위치(START(n))가 존재하는 소재 데이터의 레코드 엔트리(RE(n, is)를 데이터 관리 장치(34)로부터 수신한 레코드 엔트리(RE(n, i))로부터 구한다.
단계 354(ST354)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재생 종료 위치(END(n))가 존재하는 소재 데이터의 레코드 엔트리(RE(n, ie))를 데이터 관리 장치(34)로부터 수신한 레코드 엔트리(RE(n, i))로부터 구한다.
단계 356(ST356)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변수 i에 수치 is를 대입한다.
단계 358(ST358)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재생 엔트리(RE(j))를 생성한다.
단계 360(ST360)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동일한 레코드 엔트리 내에 재생 종료 위치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즉, 변수 i가 수치 is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변수 i가 수치 is인 경우에는 ST364의 처리로 진행하고, 변수 i가 수치 is가 아닌 경우에는 ST362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362(ST362)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변수 i, j에 각각 수치 1을 가산한다(변수 i, j를 증가시킨다).
단계 364(ST364)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변수 j를 증가시켜 ST304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304(ST304)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변수 n이 수치 end 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수치 n이 수치 end인 경우에는 생성한 재생 엔트리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출력하여 처리를 종료하고, 변수 n이 수치 end가 아닌 경우에는 ST306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306(ST306)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변수 n을 증가시켜 ST350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상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의 처리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편집 결과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24)에 기록할 필요가 없고, 편집 결과 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재생 엔트리를 생성하고 이 재생 엔트리에 기초하여 재생을 하기 때문에, 제 3 실시예에 도시한 부분 데이터의 기록 영역 산출을 위한 처리 시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기록 영역 산출을 위한 처리 시간이 재생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또한, 제 4 실시예에 나타낸 재생 엔트리의 생성처리는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ROM(382)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의 ROM(342)의 기억 내용을 재기록하는 것만으로,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하드웨어에 하등의 변경도 줄 필요가 없다.
또한, 발명에 따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는 4개의 소재 데이터로부터 재생 엔트리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5개 이상의 소재 데이터의 부분 데이터를 조합하여 편집 결과 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엔트리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한, 제 4 실시예에 나타낸 제어 시스템(10)의 알고리즘 및 음성·영상 기기(4i)와 제어 시스템 사이이의 신호 시퀀권스는 예시이고, 동일한 기능 및 성능을 실현 가능한 한 다른 알고리즘 및 신호 시퀀스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도 제 3 실시예와 같은 변형을 가하는 일이 가능하다.
(제 5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도 4)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1블록의 데이터 길이는, 예를 들면, 10M바이트이다.
예를 들면, 음성·영상 기기(4i)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A에 도시한 소재 데이터(A 내지 D) 각각에 포함되는 데이터 길이 40블록, 5블록, 40블록 및 5블록의 부분 데이터(A 내지 D)(도 20B)를 편집 처리하고, 도 13B에 도시한 편집 결과 데이터를 얻은 경우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도 17B에 도시한 편집 데이터가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입력된다.
이 편집 데이터 및 도 17A에 도시한 소재 데이터(A 내지 D)의 레코드 엔트리에 기초하여, 제 4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가 처리를 행하면, 도 17C에 도시하는 편집 결과 데이터(X)의 재생 엔트리가 얻어진다.
그러나, 소재 데이터(B, D)의 부분 데이터(부분 데이터 B, D)는 5블록과 데이터 길이가 짧아져 있다. 이와 같은 편집 결과 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는 부분 데이터(A, C) 각각의 최후의 부분과 부분 데이터(B, D) 각각의 개시 부분이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 상의 이격된 기록 영역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부분 데이터(B, D)의 재생 종료시에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의 이격된 기록 영역으로의 액세스 및 회전 대기가 필요해진다. 한편, 부분 데이터(B, D)는 각각 5MB와 데이터 길이가 적기 때문에, 액세스 및 회전 대기에 요하는 시간 내에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버퍼 메모리(222)(도8)가 언더플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버퍼 메모리(222)에 언더플로가 생기면 연속적인 재생이 불가능해진다.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 길이가 버퍼 메모리(222)의 언더플로를 일으키지 않는 만큼 짧은 부분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수신한 편집 데이터(도 17B)를 해석하여, 미리 짧은 부분 데이터와 이 짧은 부분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의 소정의 기록 영역에 연속하여 기록해 두고 버퍼 메모리(222)에 언더플로가 생기지 않는 데이터 길이로서 상술한 불합리함을 회피한다.
또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동작, 즉,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ROM(382)의 기억 내용 이외의 각 구성 부분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각 구성 부분과 같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의 100블록 내지 189블륵, 200블록 내지 269블록, 300블록 내지 379블록 및 400블록 내지 469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소재 데이터(A 내지 D)(도 20A) 내의 각각 110블록 내지 149블록(데이터 길이 40블록), 220블록 내지 224블록(데이터 길이 5블록), 330블록 내지 369블록(데이터 길이 40블록) 및 420블록 내지 424블록(데이터 길이 5블록)이 부분 데이터(A 내지 D)(도 20B)로서 편집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버퍼 메모리(222)(도 8)가 데이터 길이 10블록 이하의 경우에 언더플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경우 부분 데이터(B, D)를 재생할 때에 연속 재생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생긴다. 한편,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분 데이터(A, C)를 데이터 길이 35블록의 부분 데이터(A', C')와 데이터 길이 5블록 부분 데이터(a, c)로 분할해도 부분 데이터(A')를 재생할 때에는 지장없이 연속 재생이 가능하다.
이 점을 이용하여,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기록 시스템(20)을 제어하고,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짧은 부분 데이터(B, D)에 부분 데이터(a, c)를 전치하여 데이터 길이 10블록의 부분 데이터(ab, cd)로 하고, 미리, 기록·재생 장치(24)의 기록 매체의 소정의 기록 영역(예를 들면, 1000블록 내지 2000블록, 컴파일 기록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도 20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분 데이터(A', ab, C', cd)에 대해 제 4 실시예와 같은 재생 엔트리를 생성하고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출력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이 재생 엔트리를 RAM(344)에 기억하고, 또, 관리 데이터 기록 장치(36)에 기록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 중 어떤 것에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도 13B에 도시한 편집 결과 데이터의 재생이 요구된 경우, 요구를 받은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 중 어떤 것은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재생을 요구받은 편집 결과 데이터의 재생 엔트리를 요구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이 요구에 의해 재생 엔트리를 요구한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 중 어떤 것에 재생 엔트리를 출력한다. 재생 엔트리를 수신한 입출력 제어 장치(381 내지 38n) 중 어떤 것은 수신한 재생 엔트리에 기초하여 편집 결과 데이터와 같은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와 같이, 컴파일 기록 영역에 버퍼 메모리(222)가 언더플로를 일으키지 않는 데이터량의 부분 데이터를 미리 기록해 두고, 또 통상의 기록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부분 데이터와 컴파일 기록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부분 데이터를 통해 재생 엔트리를 생성하고, 음성·영상 기기(4i)의 요구에 의해 도 20D에 도시한 재생 엔트리에 기초하여 기록·재생 장치(24)로부터 부분 데이터(A', ab, C', cd)를 재생함으로써 제 4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신속한 재생이라고 하는 효과 외에, 또, 편집 결과 데이터와 같은 음성 영상 데이터의 연속적인 재생을 보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파일 기록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부분 데이터의 삭제 가능 플래그의 값을 ON으로 하고, 그 외의 부분 데이터의 삭제 가능 플래그의 값을 OFF로 한다. 삭제 가능 플래그를 도 20D에 도시한 값으로 하는 이유는 컴파일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삭제해도 원래의 소재 데이터는 기록·재생 장치(24)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상실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부분 데이터(A, C)의 데이터 길이가 15블록 미만인 경우에는 부분 데이터(A, C)에 부분 데이터(B, D)를 부가하여 컴파일 기록 영역에 기록하고, 재생 엔트리를 생성함으로써 연속적인 재생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부분 데이터(A, C)와 부분 데이터(B, D)를 가해도 각각 10블록에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더욱 부분 데이터(A)의 앞의 부분 데이터(도시하지 않음)를 부분 데이터(A, B)에 부가하고, 부분 데이터(D)의 뒤의 부분 데이터(도시하지 않음)를 부분 데이터(C, D)에 부가하고, 또는 부분 데이터(A 내지 D)의 모두를 컴파일 기록 영역에 연속하여 기록하는 등에 의해 연속적인 재생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직전의 부분 데이치터가 아니고 직후의 부분 데이터의 일부를 짧은 부분 데이터에 부가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짧은 부분 데이터를 직전의 부분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와 컴파일 기록 영역에 미리 기록해 두는 처리를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컴파일 처리라고 한다.
이하,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의한 컴파일 처리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가 행하는 컴파일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가 컴파일 처리를 행할 때의 음성·영상 기기(4i), 입출력 제어 장치(38i)및 데이터 관리 장치(34) 사이의 신호 시퀀스를 도시하는 신호 시퀀도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한 ST450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가 행하는 컴파일 처리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402(ST402)에 있어서, 음성·영상 기기(4i)는 편집 데이터(VFL; Virtual File List)를 포함하고, 편집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수신시키는 명령(VFL_DOWNLOAD 명령)을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이 VFL_DOWNLOAD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404(ST404)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수신한 WL_DOWNLOAD 명령을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출력한다.
단계 406(ST406) 및 단계 408(ST408)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편집 데이터에 기초하여 편집 결과 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재 데이터의 파일 엔트리(FE) 및 레코드 엔트리(RE)를 검색하고 재생 엔트리(도 17C)를 생성한다. 또,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검색의 결과 발견된 레코드 엔트리의 삭제 가능 플래그를 증가시키고, 삭제 가능 플래그의 값을 OFF로 한다.
단계 410(ST410)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생성한 재생 엔트리 및 검색의 결과 발견된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를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단계 412(ST412)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데이터 관리 장치(34)로부터 보내져 온 재생 엔트리를 해석하고, 데이터 길이가 짧고 연속 재생이 불가능한 부분 데이터를 검색한다.
단계 450(ST450)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컴파일 처리의 필요성을 판단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의한 컴파일 처리의 필요성의 판단에 관한 처리의 내용은 도 23에 도시하는 대로이다. 컴파일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만 ST416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416(ST416)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컴파일 처리에 필요로 하는 기록 영역(컴파일 기록 영역)의 확보를 요구한다. 또한, 컴파일 기록 영역의 데이터 길이는 연속 재생 불가능한 부분 데이터를 데이터 길이(T) 이하의 부분 데이터로 하고, 연속 재생이 불가능한 부분 데이터의 수를 c개로 하면, 2cT 이상이다.
단계 418(ST418)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컴파일 기록 영역을 확보하고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통지한다.
단계 420(ST420)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컴파일 처리(도 20A 내지 도 20D)를 행한다. 또한,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의한 컴파일 처리의 내용의 상세한 것은 도 24에 도시하는 대로이다.
단계 422(ST422)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컴파일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재생 엔트리를 생성하고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출력한다.
단계 424(ST424)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입출력 제어 장치(38i)로부터 수신한 새로운 재생 엔트리를 ST406의 처리에 있어서 작성한 재생 엔트리에 치환하여 갱신한다.
또한 도 24에 도시한 흐름도에 있어서는 재생 엔트리(R(k)) 내의 데이터(b(k), s(j))는 도 2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의되고, 변수 Z, s(k)는 도 26A, 도 2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의된다.
즉, 도 24 내의 ST566에 있어서의 변수 Z는 도 2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짧은 부분 데이터에 더해서 데이터 길이(T) 이상의 데이터로 하기 위해 짧은 부분 데이터의 직전의 부분 데이터에서 제거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표시한다.
또한, 도 24 내의 ST544에 있어서의 수치 s(k)-T-X는 도 2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짧은 부분 데이터(도 23B)에 더해서 데이터 길이(T) 이상의 데이터로 하기 위해 짧은 부분 데이터의 직후의 부분 데이터로부터 제거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된 재생 엔트리에 기초하여 음성·영상 기기(4i)로부터 요구된 편집 결과 데이터와 동일한 재생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고, 더욱이 제 5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는 제 4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와 같이 신속하게, 더욱이 확실하게 편집 결과 데이터와 동일한 음성·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하, 음성·영상 기기(4i)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하는 경우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도 27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4i)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한 경우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4i)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한 경우의 음성·영상 기기(4i), 입출력 제어 장치(38i)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시퀀스도이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580(ST586)에 있어서, 음성·영상 기기(4i)는 음성·영상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하고, 삭제를 요구하는 음성·영상 데이터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DELETE 명령을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이 DELETE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582(ST582)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수신한 DELETE 명령을 출력한다.
단계 584(ST584)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삭제를 요구받은 음성·영상 데이터의 레코드 엔트리(RE; 재생 엔트리)의 삭제 가능 플래그를 참조하고, 값이 ON인 경우에는 ST586의 처리로 진행하고, 값이 OFF인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586(ST586)및 단계 588(ST588)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파일 엔트리(FE) 및 레코드 엔트리(RE)를 삭제하고 프리 스페이스 리스트에 추가한다.
이하, 음성·영상 기기(4i)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하는 경우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도 29는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4i)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 재생 엔트리(편집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한 경우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 및 데이터 처리 장치(34)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4i)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 재생 엔트리(편집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한 경우의 음성·영상 기기(4i), 입출력 제어 장치(38i)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도시하는 신호 시퀀스도이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880(ST880)에 있어서, 음성·영상 기기(4i)는 재생 엔트리(편집 데이터; WFL)의 삭제를 요구하고, 삭제를 요구하는 편집 결과 데이터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VFL_DELETE 명령을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이 VFL_DELETE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882(ST882)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수신한 VFL_DELETE 명령을 출력한다.
단계 884(ST884)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편집 결과 데이터의 파일 엔트리와 재생 엔트리를 삭제한다.
단계 886(ST886)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재생 엔트리의 삭제 가능 플래그의 값을 1 감소한다.
단계 888(ST888)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편집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의하면, 어떠한 길이의 부분 데이터를 조합시켜 편집 결과 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도 재생한 음성·영상 데이터의 연속성이 손실되는 일이 없다.
또한, 제 5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제 5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입출력 제어 장치(38i)의 ROM(382)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의 ROM(342)의 기억 내용을 변경하면 되고, 하드웨어적인 변경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제 5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서도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에 대해서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제 6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출력 제어 장치(38i)가 재생 엔트리를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제 6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관리 장치(34)가 재생 엔트리를 생성하고 컴파일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입출력 제어 장치(38i)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의 재생 엔트리의 재생 엔트리의 생성 및 컴파일 처리 이외의 처리 내용은 제 5 실시예와 같다.
도 31은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데이터 관리 장치(34)가 행하는 컴파일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데이터 관리 장치(34)가 컴파일 처리를 행할 때의 음성·영상 기기(4i), 입출력 제어 장치(38i) 및 데이터 관리 장치(34) 사이의 신호 시퀀스를 나타내는 신호 시퀀스도이다.
도 33은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데이터 관리 장치(34)가 행하는 컴파일 처리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702(ST702)에 있어서, 음성·영상 기기(4i)는 편집 데이터를 포함하고 편집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수신시키는 명령(VFL_DOWNLOAD 명령)을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대해 출력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이 VFL_DOWNLOAD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704(ST704)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수신한 VFL_DOWNLOAD 명령을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대해 출력한다.
단계 706(ST706) 및 단계 708(ST708)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편집 데이터에 기초하여 편집 결과 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재 데이터의 파일 엔트리(FE) 및 레코드 엔트리(RE)를 검색하고 재생 엔트리(도 17C)를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검색의 결과 찾아낸 레코드 엔트리의 삭제 가능 플래그를 증가시키고 삭제가능 플래그의 값을 OFF로 한다.
단계 710(ST710)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데이터 관리 장치(34)로부터 보내져 온 재생 엔트리를 해석하고, 데이터 길이가 짧고 연속 재생이 불가능한 부분 데이터를 검색한다.
단계 712(ST712)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장치(38i)는 컴파일 처리의 필요성을 판단한다.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의한 컴파일 처리의 필요성의 판단에 관한 처리 내용은 도 23에 도시하는 대로이다. 컴파일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만 ST714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ST750의 처리 내용은 도 21 및 도 23에 도시한 ST450의 처리 내용과 같다.
단계 714(ST714)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컴파일 처리에 필요로 하는 기록 영역(컴파일 기록 영역)을 확보한다.
단계 716(ST716)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장치(34)는 컴파일 처리(도 20A 내지 도 20D)를 행한다. 또한, 입출력 제어 장치(38i)에 의한 컴파일 처리의 내용의 상세한 것은 도 33에 도시하는 대로이다.
또한, 도 33에 도시한 흐름도에 있어서는 재생 엔트리(R(k)) 내의 데이터(b(k), s(j))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의되고, 변수(Z, s(k))는 도 26A, 도 2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의된다.
즉, 도 33 내의 ST854에 있어서, 변수 Z는 도 2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짧은 부분 데이터(도 20B)에 더해서 데이터 길이(T) 이상의 데이터로 하기 위해서, 짧은 부분 데이터의 직전의 부분 데이터로부터 제거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도 27 내의 ST832에 있어서의 수치(s(k)-T-X)는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부분 데이터에 더해서 데이터 길이(T) 이상의 데이터로 하기 위해서, 짧은 부분 데이터의 직후의 부분 데이터로부터 제거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관리 장치(34)에 있어서 재생 엔트리의 생성 및 컴파일 처리를 행하면, 메인 CPU 버스(32) 상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량이 적어도 되고, 버스 넥크의 발생할 가능성이 감소한다.
또한,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에 나타낸 재생 엔트리의 생성 및 컴파일 처리는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구성(접속되는 음성·영상 기기(4i)의 수 등)에 따라,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3)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편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의하면, 하드디스크 및 광 자기 디스크(MO 디스크, Magnetic-Optical Disc) 등의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에 복수의 편집 대상이 되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편집 장치 등의 외부 장치의 요구에 따라 임의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장시간의 음성·영상 데이터의 편집에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의하면, 기록 매체에 동일한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중복해서 기록하는 일이 없고, 편집 결과의 음성·영상 데이터(편집 결과 데이터)와 꼭 같은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의하면, 음성·영상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기록 영역(점유 기록 영역) 및 빈 기록 영역의 관리, 외부의 음성·영상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입출력 제어 신호에 관한 처리 및 음성·영상 기기와의 사이의 음성·영상 데이터의 입출력에 관한 프로토콜 제어 등과 같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필수로 되는 처리의 부하를 각각 별도의 구성 부분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의하면, 처리 부담이 특정 구성 부분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많은 외부의 음성·영상 기기와의 사이에서 음성·영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입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버스와 그 외의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버스가 분리되어 있고 버스 넥크가 생기기 어렵다.
도 1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데이터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의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영상 데이터(A, B)의 점유 기록 영역, 데이터 관리 장치가 생성하는 음성·영상 데이터(A, B)의 점유 기록 영역 데이터 및 빈 기록 영역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도 4에 도시한 데이터 관리 장치가 생성하는 기록 영역 데이터의 내용을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입출력 제어 장치 각각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가 도 4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로부터 재생된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에 공급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가 도 3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로부터 재생된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도 1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에 공급하는 경우의 음성·영상 기기, 입출력 제어 장치,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기록·재생 장치간의 신호 시퀀스도.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도 4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에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로부터 입력된 음성·영상 데이터를 도 4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에 기록하는 경우의 음성·영상 기기, 입출력 제어 장치,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기록·재생 장치간의 신호 시퀀스도.
도 13A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A 내지 D가 도 4에 도시한 기록·재생 장치의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점유 기록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B는 음성·영상 데이터(A 내지 D)의 일부를 커트 편집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편집 결과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
도 14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가 도 13B에 도시한 편집 결과 데이터와 같은 내용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재생시키기 위해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입출력 제어 장치에 대해 출력하는 편집 데이터의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편집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편집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A 내지 도 17C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A에 도시한 음성·영상 데이터(소재 데이터)(A 내지 B)의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 도 13B에 도시한 편집 결과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집 데이터 및 데이터 관리 장치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재생 엔트리를 예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4에 도시한 데이터 관리 장치가 재생 엔트리를 생성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9A 내지 도 19C는 재생 엔트리의 생성 처리에 관한 편집 데이터, 파일 엔트리 및 레코드 엔트리와 재생 엔트리의 생성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재생 엔트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A 내지 도 20D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입출력 제어 장치 및 데이터 관리 장치(도 3)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입출력 제어 장치가 행하는 컴파일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2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입출력 제어 장치가 컴파일 처리를 행할 때의 음성·영상 기기, 입출력 제어 장치 및 데이터 관리 장치간의 신호 시퀀스를 도시하는 신호 시퀀스도.
도 23은 도 21에 도시한 ST450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4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입출력 제어 장치가 행하는 컴파일 처리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흐름도에 있어서의 재생 엔트리(R(k)) 내의 데이터(b(k), s(j))의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도 24에 도시한 흐름도에 있어서의 변수(Z, s(k))를 정의하는 도면.
도 27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한 경우의 입출력 제어 장치 및 데이터 관리 장치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8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대해 음성·영상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한 경우의 음성·영상 기기, 입출력 제어 장치 및 데이터 관리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도시하는 신호 시퀀스도.
도 29는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대해 재생 엔트리(편집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한 경우의 입출력 제어 장치 및 데이터 관리 장치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0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기기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대해 재생 엔트리(편집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한 경우의 음성·영상 기기, 입출력 제어 장치 및 데이터 관리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도시하는 신호 시퀀스도.
도 31은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데이터 관리 장치가 행하는 컴파일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2는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데이터 관리 장치가 컴파일 처리를 행할 때의 음성·영상 기기 입출력 제어 장치 및 데이터 관리 장치 사이의 신호 시퀀스를 도시하는 신호 시퀀스도.
도 33은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데이터 관리 장치가 행하는 컴파일 처리의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4 :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23 :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Claims (7)
-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의 지정된 기록 영역에 대해 정보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 수단;기록한 상기 정보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점유 기록 영역 및 상기 기록 매체의 빈 기록 영역을 관리하는 기록 영역 관리 수단; 및각각 제 1 버스를 거쳐 상기 기록 영역 관리 수단과 버스 접속되고, 상기 제 1 버스를 거쳐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상기 빈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각 제 2 버스를 거쳐 상기 기록·재생 수단과 버스 접속되고, 상기 제 2 버스를 거쳐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입출력하는 복수의 입출력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입출력 제어 수단 각각은 상기 기록 영역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록 매체의 빈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 및 재생해야 할 정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을 기록·재생 수단에 대해 지정하는 기록·재생 제어 수단을 갖는,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록 영역 관리 수단은,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상기 정보 데이터의 복수의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 형식의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과,상기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표시된 정보 데이터가 삭제 가능한 경우에, 제 1 값을 취하는 식별 플래그를 상기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부가하는 식별 플래그 부가 수단과,상기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표시된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해방하는 요구를 받은 때에, 상기 식별 플래그의 값이 상기 제 1 값인 경우에만 상기 해방 요구를 받은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해방하고, 상기 해방한 상기 점유 기록 영역을 상기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로부터 삭제하는 기록 영역 해방 수단과,상기 기록·재생 수단의 복수의 상기 빈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빈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빈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을 갖는,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의 지정된 기록 영역에 대해 정보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 수단;기록한 상기 정보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제 1 점유 기록 영역 및 상기 기록 매체의 빈 기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 1 기록 영역 관리 수단;조합시켜 재생하는 부분 데이터로서의 상기 기록된 정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 2 기록 영역 관리 수단; 및각각 제 1 버스를 거쳐 상기 제 1, 제 2 기록 영역 관리 수단과 버스 접속되고, 상기 제 1 버스를 거쳐 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상기 빈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각 제 2 버스를 거쳐 상기 기록·재생 수단과 버스 접속되고, 상기 제 2 버스를 거쳐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입출력하는 복수의 입출력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입출력 제어 수단 각각은 상기 제 1 기록 영역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록 매체의 빈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을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대해 지정하고, 상기 제 1, 제 2 기록 영역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해야 할 상기 정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을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대해 지정하는 기록·재생 제어 수단을 갖는,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기록 영역 관리 수단은,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상기 정보 데이터의 복수의 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제 1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 1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과,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표시된 정보 데이터가 삭제 가능한 경우에, 제 1 값을 취하는 식별 플래그를 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부가하는 제 1 식별 플래그 부가 수단과,상기 기록·재생 수단의 복수의 상기 빈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빈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빈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을 갖고,상기 제 2 기록 영역 관리 수단은,상기 조합시켜 재생하는 상기 부분 데이터의 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제 2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 2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과,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표시된 정보 데이터가 삭제 불가능한 경우에, 제 2 값을 취하는 식별 플래그를 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에 부가하는 제 2 식별 플래그 부가 수단을 갖는,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 및 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해방하는 요구를 받았을 때에, 상기 식별 플래그의 값이 제 1 값인 경우에만 상기 해방 요구를 받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해방하고, 상기 해방한 상기 제 1 또는 제 2 점유 기록 영역을 상기 제 1 또는 제 2 점유 기록 영역 리스트로부터 삭제하는 기록 영역 해방 수단; 및상기 기록·재생 수단의 복수의 상기 빈 기록 영역을 서로 관련지은 링크드 리스트 형식의 빈 기록 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빈 기록 영역 리스트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부분 데이터가 소정의 데이터 길이 이하인 경우에, 상기 소정의 데이터 길이 이하의 짧은 부분 데이터와, 상기 짧은 부분 데이터의 전후에 재생되는 상기 부분 데이터의 소정의 부분을 상기 기록 매체의 소정의 기록 영역에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부분 데이터 기록 수단; 및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데이터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소정의 기록 영역에 기록된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소정의 부분 및 상기 짧은 부분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에서 점유하는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제 3 점유 기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 3 기록 영역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상기 기록·재생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해야 할 정보 데이터의 상기 제 1 점유 기록 영역, 상기 제 2 점유 기록 영역 및 상기 제 3 점유 기록 영역을 상기 기록·재생 수단에 지정하는,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보 데이터는 음성·영상 데이터인, 정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5-320187 | 1995-12-08 | ||
JP32018795A JP3250440B2 (ja) | 1995-12-08 | 1995-12-08 | 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 |
JP32712695A JP3277784B2 (ja) | 1995-12-15 | 1995-12-15 | 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 |
JP95-327126 | 1995-12-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50857A KR970050857A (ko) | 1997-07-29 |
KR100484332B1 true KR100484332B1 (ko) | 2005-08-17 |
Family
ID=2656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64076A KR100484332B1 (ko) | 1995-12-08 | 1996-12-09 | 정보데이터기록·재생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717663A (ko) |
KR (1) | KR100484332B1 (ko) |
CN (1) | CN1113347C (ko) |
ID (1) | ID17355A (ko) |
TW (1) | TW32951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40435A (en) * | 1994-10-31 | 1998-04-14 | Sony Corporation |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of variable lengths recorded on a record medium |
JPH11149754A (ja) * | 1997-11-17 | 1999-06-02 | Sony Corp |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記録再生装置、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
TW385436B (en) * | 1997-12-12 | 2000-03-21 | Toshiba Corp | Digital recording system using variable recording rate |
US6614449B1 (en) * | 1998-08-28 | 2003-09-02 | Ati International Srl |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graphics antialiasing using a single sample frame buffer and associated sample memory |
JP2000148718A (ja) * | 1998-11-16 | 2000-05-30 | Canon Inc |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マルチメディア・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ファイル更新方法、マルチメディア・プレゼンテーション方法、及び記憶媒体 |
JP2000268507A (ja) * | 1999-03-19 | 2000-09-29 | Hitachi Ltd | データ記録装置 |
WO2000063914A1 (fr) * | 1999-04-16 | 2000-10-26 | Sony Corporation | Dispositif d'enregistrement/lecture de donnees, dispositif d'edition de donnees et proce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
EP1054405A1 (en) * | 1999-05-18 | 2000-11-22 | Deutsche Thomson-Brandt Gmbh | Method for marking digital data |
EP1054404B1 (en) * | 1999-05-18 | 2006-03-01 | Deutsche Thomson-Brandt Gmbh | Method of marking digital data |
JP2000353375A (ja) | 1999-06-11 | 2000-12-19 | Pioneer Electronic Corp | 情報編集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
JP4206667B2 (ja) * | 1999-09-09 | 2009-01-14 | ソニー株式会社 |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
US6937814B1 (en) * | 2000-04-14 | 2005-08-30 | Realnetworks, Inc. | System and method for play while recording processing |
US7930459B2 (en) * | 2007-09-28 | 2011-04-19 | Intel Corporation | Coherent input output device |
JP5159916B2 (ja) * | 2011-04-28 | 2013-03-13 | 株式会社東芝 | ホスト |
JP6852478B2 (ja) * | 2017-03-14 | 2021-03-31 | 株式会社リコー | 通信端末、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01301A (en) * | 1987-06-18 | 1990-02-13 |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 Region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empty sectors on a recording medium |
US5153861A (en) * | 1988-12-29 | 1992-10-06 | Sharp Kabushiki Kaisha |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JPH05258308A (ja) * | 1992-03-11 | 1993-10-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
US5323367A (en) * | 1991-10-25 | 1994-06-21 | Sanyo Electric Co., Ltd. | Reproduction or recording device having a pause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73447B2 (ja) * | 1990-01-26 | 1999-11-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再生装置 |
-
1996
- 1996-11-26 TW TW085114599A patent/TW32951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12-05 US US08/759,429 patent/US5717663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12-08 CN CN96123802A patent/CN111334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12-09 KR KR1019960064076A patent/KR1004843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12-09 ID IDP963670A patent/ID17355A/id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01301A (en) * | 1987-06-18 | 1990-02-13 |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 Region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empty sectors on a recording medium |
US5153861A (en) * | 1988-12-29 | 1992-10-06 | Sharp Kabushiki Kaisha |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US5323367A (en) * | 1991-10-25 | 1994-06-21 | Sanyo Electric Co., Ltd. | Reproduction or recording device having a pause function |
JPH05258308A (ja) * | 1992-03-11 | 1993-10-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717663A (en) | 1998-02-10 |
CN1157981A (zh) | 1997-08-27 |
KR970050857A (ko) | 1997-07-29 |
TW329518B (en) | 1998-04-11 |
ID17355A (id) | 1997-12-24 |
CN1113347C (zh) | 2003-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65355B1 (ko) | 정보데이터기록재생장치및방법 | |
KR100484332B1 (ko) | 정보데이터기록·재생장치 | |
JP3857381B2 (ja) | 編集装置及びデータ記録媒体 | |
KR100333299B1 (ko) | 디스크 기록매체의 데이터 복사방법, 데이터 기록방법, 데이터편집방법 및 디스크 기록장치 | |
JPH10162560A (ja) | 映像編集方法、及びノンリニア映像編集装置 | |
US6694339B1 (en) | Fil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audio visual dat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
JP4478218B2 (ja) | 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媒体 | |
US6516134B1 (en) |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 |
JP3277923B2 (ja) |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とその方法 | |
JP3277784B2 (ja) | 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 | |
JP4930358B2 (ja) |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 |
JP3521165B2 (ja) |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 |
JP3277781B2 (ja) |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 |
JP3277782B2 (ja) |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 |
JP3250440B2 (ja) | 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 | |
JPH11195287A (ja) | フアイル管理装置及びフアイル管理方法 | |
WO1999000728A1 (fr) | Dispositif de gestion de fichiers, procede de gestion de fichiers et support d'enregistrement associe a un programme de gestion de fichiers | |
JP3277922B2 (ja) |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とその方法 | |
US8494348B2 (en) | Method of managing and reproducing additional audio files of an interactive optical disc | |
KR100292351B1 (ko) | 편집기능을위한관리정보가기록되는저장매체와관리정보기록방법 | |
US8644676B2 (en) |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 |
JP3099862B2 (ja) | カラオケ情報送出装置 | |
JP3510998B2 (ja) | ディスク制御装置、ディスク制御方法およびディスク装置 | |
JP2001086448A (ja) |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 |
JPH07200178A (ja) | 情報記憶媒体利用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0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