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406B1 - 유체 여과용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여과용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406B1
KR100483406B1 KR10-1999-7003599A KR19997003599A KR100483406B1 KR 100483406 B1 KR100483406 B1 KR 100483406B1 KR 19997003599 A KR19997003599 A KR 19997003599A KR 100483406 B1 KR100483406 B1 KR 100483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lement
sealing lip
filter
thickness
elem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786A (ko
Inventor
폼플룬클라우스
벡롤랜드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098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834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0005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52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ith means for maintaining spacing between the pleats or 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1/00Sealing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1/02Gaskets, sealings
    • B01D2271/027Radial sea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28Carburetor attach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0Exhaust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특히 자동차의 승객실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유체 여과용 필터 장치는 경계(14; 64)를 가진 필터 재료(12; 62)와 이 필터 재료(12; 62)에 연결되고 경계(14; 64)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 필터 요소 프레임(20; 70)을 구비한 필터 요소(10; 60)를 포함한다. 필터 요소 프레임(20; 70)에는 필터 요소(10; 60)를 수용하는 장치(42, 44, 48)에 접촉하는 돌출된 탄성 밀봉 립(24; 74)이 마련되고, 밀봉 립(24; 74)은 필터 요소 프레임(20; 70)을 향하는 제1 두께(30)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26)와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26)에 인접하고 필터 재료(12; 62)의 반대쪽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대부(28)를 구비한다. 확대부의 적어도 일부분(40)은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26)에서의 제1 두께(30)보다 더 큰 제2 두께(32)를 가진다.

Description

유체 여과용 필터 장치{A FILTER DEVICE FOR FILTERING A FLUID}
본 발명은 유체, 특히 자동차의 승객실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 특히 자동차의 승객실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장치의 수 많은 설계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 필터 장치는 필터 요소 프레임이 연결되는 경계에 의하여 한정되는 필터 재료가 마련된 필터 요소를 구비한다. 필터 요소 프레임은 필터 재료의 경계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적절하게는, 상기 필터 재료(특히 필터 종이 또는 부직 필터 재료)는 유체 유동에 노출되는 필터 표면을 증가시키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주름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필터 요소 프레임은 필터 재료의 주연 둘레에 연장되도록 배치되지만, 그러나 필터 재료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주름져 있으므로 필터 프레임이 상기 필터 재료의 주름진 측방향 가장자리를 따라서만 연장되도록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필터 요소들은 여과된 유체가 나중에 통과하게 되는 장치의 유체 유입 개구 안으로 삽입된다. 필터 요소와 장치의 유입 개구의 한계를 정하는 가장자리 사이로의 유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영역에 밀봉 프로파일(profile)이 가해지는데, 이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탄성 재료, 예를 들면 고무 또는 발포 재료(foamed material)로 만들어진 스트립이다. 필터 요소의 제작 측면에서 필터 요소와 일체로 된 밀봉 프로파일을 마련하는 것이 적당하다.
독일 특허 제34 39 255호로부터, 외주에 연장되는 마분지 재료로 된 필터 요소 프레임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주름진 필터 재료를 가지는 필터 요소가 알려져 있다. 이 필터 요소 프레임은 필터 재료에서 멀리 면해있는 필터 요소 프레임의 외측을 향하여 구부러진 돌출 돌기(tongue)를 구비한다. 예각으로 돌출되는 이러한 마분지 돌기는 필터 요소를 수용하는 유입 개구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밀봉 립으로서 작용한다.
독일 특허 제24 29 474호에서 알려져 있는 필터 요소에서는, 필터 재료를 둘러싸는 필터 요소 프레임이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지고, 여기에 일체로 형성되는 밀봉 립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밀봉 립은 필터 요소 프레임에 인접하는 절곡부와 이 절곡부에 인접하는 단부를 가진다. 필터 요소가 필터 하우징 또는 이와 비슷한 장치에 삽입되면, 상기 밀봉 립이 그 절곡부의 영역에서 구부러지는 반면 그 단부 영역에서 필터 하우징에 접촉된다.
유럽 특허 제0 620 133호, 유럽 특허 제0 639 474호 및 일본 특허 제59-85472호에 개시된 필터 요소에서는, 필터 요소를 둘러싸는 필터 요소 프레임에 별개의 탄성 밀봉 스트립이 마련되어 부가된다.
마지막으로 유럽 특허 제0 380 026호에 개시된 필터 요소에서는, 필터 재료 웨브 형상의 편평한 필터가 필터 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마련된 슬롯 안으로 측방향으로 삽입된다. 특히 필터 요소와 수용 하우징 사이의 밀봉은 필터 요소의 가장자리와 수용 하우징의 슬롯 사이 영역의 래비린스(labyrinth)형 설계에 의하여 달성되는데, 이것은 유체 유동에 복 전향(multiple deflection)을 일으키고, 그럼으로써 밀봉 효과가 발생한다.
비용상의 이유 때문에, 제작자들은 필터 요소를 플라스틱 재료 부품으로 마련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플라스틱 재료들은 저가로 생산되고 처리될 수 있으나, 비교적 큰 열 팽창 계수와 치수상의 제작 관련 편차를 가지고 있고, 이것이 특히 대형화된 필터 요소가 그에 대응하는 유격을 갖고 수용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어야 하는 이유이다. 예상되는 온도 조건 하에서 필터 프레임과 수용 하우징 사이의 충분한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밀봉 스트립이 그에 상응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제작 기술상의 이유 때문에, 필터 요소에는 그 필터 요소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체형 밀봉 립이 마련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밀봉 립은 또한 수용 하우징에 항상 접촉되도록 비교적 큰 두께를 가져야 한다. 필터 요소가 수용 하우징 안으로 삽입될 때 밀봉 립의 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밀봉 립은 절곡부에서 그 항복점을 넘어서 구부려져서는 안된다. 이것은 밀봉 립이 플라스틱 재료인 경우에는 이 밀봉 립이 비교적 얇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플라스틱 필터 요소 프레임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사출 금형 공동들이 얇은 밀봉 립의 영역에서 비교적 강한 (유동) 저항을 일으키므로, 이것은 제작 공정상 불리하다. 특히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점성이 큰 재료(위에서 언급된 종류의 필터 장치용 재료로서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음)가 사용될 때, 이것은 증가된 재료 압력을 필요로 하고 사출 금형 및 성형 부품상에 보다 큰 부하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로 제작될 수 있고 필터 요소 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에서 필터 요소 프레임의 신뢰성있는 밀봉을 제공하는 필터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터 요소 프레임과 경계를 가지는 필터 재료를 구비한 필터 요소가 마련된 필터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필터 요소 프레임은 필터 재료에 연결되고 이 필터 재료의 경계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필터 요소 프레임에는 필터 요소를 수용하는 장치에 접촉하는 돌출된 탄성 밀봉 립이 마련되고, 상기 밀봉 립은 필터 요소 프레임에 면하고 제1 두께를 가진적어도 하나의 절곡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에 인접하고 필터 요소에서 멀리 면해있는 적어도 하나의 확대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대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의 제1 두께보다 더 큰 제2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필터 장치의 필터 요소의 밀봉 립은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와 적어도 하나의 확대부를 가진다. 여기에서 절곡부는 필터 요소 프레임에 면하는 반면에, 이 절곡부에 인접한 확대부는 필터 요소에서 벗어나 있다. 상기 확대부는 그 두께가 절곡부의 두께보다 더 큰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진다. 상기 밀봉 립은 이러한 부분들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쌍을 가질 수 있고, 그 각각은 절곡부와 인접한 확대부를 가진다. 상기 밀봉 립이 이러한 부분들의 복수개의 쌍을 가진다면, 절곡부와 확대부는 교호적으로 연속 배열된다.
필터 요소가 수용 하우징 또는 그러한 종류의 다른 장치로 삽입시에 밀봉 립이 상기 수용 하우징에 접촉될 때, 이 밀봉 립은 그 절곡부(들)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밀봉 립의 재료가 절곡부(들)에서 항복 한계를 넘어서 변형됨으로써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절곡부가 적당한 길이를 가지거나 상응하는 수의 더 짧은 절곡부들 및 중간에 개재되는 확대부들이 상기 절곡부에 마련되어야 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균일한 일체형 밀봉 립을 가진 필터 요소 프레임을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으로 제작할 때, 플라스틱 재료가 상기 밀봉 립을 형성하는 좁은 공간을 완전히 채우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는 단지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압력이 증가될 때에도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밀봉 립의 연장부의 일부만을 밀봉 립의 탄성 굽힘을 위해 충분히 얇게 만듬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다. 다른 부분들에서 밀봉 립은 더 큰 두께를 가지고, 이러한 부분들이 확대부(들)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출 금형에서, 밀봉 립을 형성하기 위하여 마련된 공동은 오직 부분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얇은 수축부를 가지고, 이 수축부가 절곡부(들)을 형성한다. 나머지 부분들에서는 공동이 더 커서, 사출 금형과 성형품에 증가된 부하가 작용하지 않도록 플라스틱 재료가 과도하게 높은 사출압을 사용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필터 장치의 필터 요소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비교적 긴 밀봉 립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요소는 필터 요소 프레임과 함께 일체형 부품으로서 사출 성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교적 높은 점도를 가진 플라스틱 재료가 채택될 수 있다. 대형 사이즈의 필터 요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긴 돌출 밀봉 립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발생될 수 있는 온도 변이 및 제작 공차 때문에 밀봉 립이 여과된 유체가 공급되는 유니트의 (기구 비슷한) 수용 슬롯 안으로 각 온도 범위에 걸쳐서 필터 요소와 수용 장치 사이에 누설이 발생하지 않고 비교적 큰 유격을 가지고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작 공정이 매우 엄격한 공차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작 공차 요건이 낮아질 수 있는데, 이것이 또한 제작상의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확대부는 인접부와 단부를 가진다. 상기 인접부는 필터 요소 프레임에 면하고 절곡부에 인접한다. 따라서, 단부는 필터 요소 프레임으로부터 확대부의 자유단까지 또는 (여러 쌍의 절곡부와 확대부가 마련된 경우에는) 다음 절곡부까지 멀리 연장된다. 인접부에서는 확대부의 두께가 특히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면에, 확대부의 단부에서는 밀봉 립의 두께가 감소한다.
상기 단부와 인접부는 상호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상기 두 부분들 사이에 중간 개재부가 배치될 수 있고, 여기에서 밀봉 립의 두께는 일정하다.
밀봉 립의 확대부의 단부는 인접부보다 더 큰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단부의 길이는 인접부의 길이의 2 내지 4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립은 그 두께 방향에서 상부면 및 하부면에 의하여 한정된다. 하부면은 평탄한 반면에 상부면은 윤곽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의하여 상이한 부분들 또는 이 부분들의 상이한 소부분들이 형성된다.
필터 요소 프레임에서 멀리 면해있는 밀봉 립의 단부는 그 두께에 있어서 테이퍼지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이 단부는 필터 요소 프레임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확대부의 단부의 일부분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밀봉 립의 절곡부에서의 구조적인 탄성 때문에 밀봉 립과 필터 요소 프레임 용으로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다. 특히 이러한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폴리올레핀 재료이다. 또한 상기 필터 재료는 필터 프레임 및 밀봉 립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필터 재료는 서로간에 접착되거나 용접되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결합된 미세섬유의 부직포이고, 이 부직포는 또한 폴리올레핀 재료로 만들어진 그물 모양의 지지 구조체에 연결된다. 따라서 필터 장치는 그 자체가 단지 하나의 타입으로, 즉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필터 장치의 단순 재생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주름진 필터 재료와 외주상에 돌출된 일체형 밀봉 립을 가지는 원주 필터 요소 프레임을 구비한 필터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선 "Ⅱ-Ⅱ"에 따른 필터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영역 "Ⅲ"의 확대도이다.
도4는 필터 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개구로 삽입된 필터 요소를 도시한 도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5는 도1의 영역 "Ⅴ"의 확대도이다.
도6은 코너 영역의 설계가 상이한 밀봉 립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요소를 도시한 도1의 영역 "Ⅴ"의 확대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요소(10)의 평면도이다. 이 필터 요소(10)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승객실로 흘러들어가는 공기를 여과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공기 흐름은 상기 목적을 위하여 마련된 장치, 예를 들어 공기를 필터 요소를 통하여 불어내거나 빨아들이기에 적합하도록 된 송풍기 등에 의하여 유지된다. "수단"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과 관련해서는 다소 일반적인 의미를 가지는데, 즉 필터 요소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위하여 마련되는 모든 장치와 그 주변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궁극적으로는, 상기 필터 요소가 마련된 자동차에서 그리고 거기에 송풍기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자동차가 구동되면 자동차가 공기유동을 생성하고 이 공기유동은 필터 수단의 필터 요소를 통하여 흐르기 때문에, 그러한 수단은 또한 자동차 그 자체가 될 수 있다. 필터 요소(10)는 직사각형으로 연장되는 경계(14)를 가진 주름진 필터 재료(12)를 구비한다. 특히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재료는 그 위에 부직 필터 재료(18)가 있는 플라스틱 지지 스크림(scrim : 16)으로 이루어진다.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사각형의 필터 요소 프레임(20)은 필터 재료(12)의 둘레에 연장된다. 필터 요소 프레임(20)의 필터 재료(12)에서 멀리 면해있는 외측면(22) 상에는 외주상으로 연장되는 밀봉 립(24)이 마련된다. 일 예로, 필터 요소(10)가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여야 하는 유니트, 예를 들어 자동차 승객실의 공기 유입 덕트의 공기 유입 개구로 삽입될 때 이 필터 요소를 밀봉하는 밀봉 립(24)의 기능 뿐만 아니라 그 형상이 도3 및 도4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필터 요소(10)는 사출 성형품으로서 만들어지고, 폴리머 재료 특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다. 필터 요소(10)의 생산은 삽입 성형 공정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필터 재료(12)는 사출 성형기 내에 클램핑 상태로 유지되고 경계 지역에서는 자유 상태로 남는다. 이러한 자유 경계(14)는 필터 요소 프레임(20)을 형성하는 금형의 공동 안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금형 공동에 밀봉 립(24)을 형성하는 금형 공동이 연결된다. 플라스틱 재료 주입시에 필터 재료(12)의 자유 경계(14)가 둘레에 성형됨으로써, 필터 요소 프레임(20)과 필터 재료(12) 사이의 연결이 확보된다. 또한 사출 금형이 주입된 재료를 더 빨리 냉각하는 작용을 하도록, 이 사출 금형은 주입된 폴리머 재료의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로 예열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요소는 특히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밀봉 립(24), 지지 스크림(16) 및 부직 필터 재료(18)의 섬유와 함께 필터 요소 프레임(20)이 각각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재료는 성형품으로 가공하기에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포괄적인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동차 내부의 예정 온도로서 통풍 시스템의 개개의 구성 부품에 가해지는 온도가 폴리프로필렌의 연화 온도 범위보다 상당히 낮다. 그 밖에, 폴리프로필렌은 비교적 저가의 재료이다. 또한 이것은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밀봉 립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한다.
밀봉 립(24)은 필터 요소 프레임(20)에서 시작하는 상이한 부분(26, 28)들을 가진다. 필터 요소 프레임(20)에 바로 접해 있는 부분(26)은 밀봉 립(24)이 감소된 두께(30)를 가지게 되는 절곡부이다. 상기 두께(30)는 밀봉 립(24)이 그 절곡부(26)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선택된다. 두께(30)의 하한은 밀봉 립(24)이 충분한 접촉력으로 필터 요소 하우징 또는 유사한 장치에 접촉하도록 변형 후에도 그 절곡부(26)에서 충분히 탄성적이어야 한다는 사실에 의하여 한정된다(도4 참조). 두께(30)의 상한은 필터 요소(10)가 필터 요소 하우징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밀봉 립(24)이 그 절곡부(26)에서 변형될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에 의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절곡부(26)의 두께(30)는 실질적으로 0.20 mm와 0.40 mm 사이의 값, 바람직하게는 0.25 mm와 0.30 mm 사이의 값을 가져야 한다.
부분(28)이 절곡부(26)에 접하는데, 이 부분은 밀봉 립(20)의 두께(32)가 절곡부(26)에서의 두께(30)보다 더 크게 되는 확대부이다. 두께(32)는 두께(30)의 약 2 내지 5배, 특히 약 3배인 것이 적당하다. 확대부(28)는 그 자체가 인접부(34)와 이 인접부(34)에 인접하는 단부(36)로 나누어진다. 인접부(34)에서, 확대부(28)의 두께는 절곡부(26)의 두께(30)의 값으로부터 두께(32)의 값까지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그 전이부는 둥글게 이루어진다. 최대 두께(32)의 영역에서 인접부(34)를 이어 단부(36)가 위치되는데, 상기 단부의 경로상에서 확대부(28)의 두께는 두께(32)의 값으로부터 제로까지 감소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36)에서는, 밀봉 립(24)이 밀봉 립(24)의 자유단(38)을 향하여 테이퍼져서 대략 절곡부(26)에서의 두께로 된다. 이와 같이 정점 또는 더 정확하게는 "정점 선(40)"이 확대부(28)에 생기고, 확대부(28)의 두께는 상기 정점으로부터 정점선(40)의 양측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절곡부(26)와 확대부(28)의 길이에 있어서, 즉 필터 요소 프레임(24)에서 멀어지는 밀봉 립(24)의 연장부가 배향된 상기 두 부분의 연장부에 있어서, 확대부(28)가 절곡부(26)의 길이의 약 1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3배의 길이를 가지게 된다. 확대부(28) 내에서, 단부(36)의 길이는 인접부(34)의 길이의 약 1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4배가 된다.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터 요소(10)가 수용 하우징(44)의 유입 개구(42)로 삽입될 때 밀봉 립(24)은 특히 절곡부(26)의 영역에서 구부러진다. 확대부(28)에서, 밀봉 립(24)은 대략 직선으로 연장되고, 또한 자유단(38)에 인접한 단부(36)의 부분(46)에서는 밀봉 립(24)이 약간 변형된다. 이러한 부분(46)에서, 밀봉 립(24)의 평탄한 외향 하부면(48)이 수용 하우징(44)의 유입 개구(42)를 한정하는 표면(50)에 접촉한다. 밀봉 립(24)의 하부면(48)이 필터 요소 프레임(20)에서 멀리 면해있는 반면에, 밀봉 립(24)의 내향 상부면(52)은 필터 요소 프레임(20)을 향한다. 상기 상부면(52)은 확대부(28)를 결정하는 삼각형의 융기부(54)를 가진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립(24)은 코너 영역(56)에서 절개된다. 밀봉 립(24)의 코너 영역(56)에는 45도의 각도로 밀봉 립(24)의 자유단(38)으로부터 필터 요소 프레임(20)까지 연장되는 슬릿(58)이 마련되어서, 필터 요소(10)가 수용 하우징(44)의 유입 개구(42)로 삽입될 때 서로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밀봉 립(24)이 또한 상기 코너 영역(56)에서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고, 이 코너 영역(56)에서 스터핑(stuffing)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립(24)은 또한 코너 영역(56)에서 유입 개구(42)의 내부면(50)에 접촉한다. 따라서, 수용 하우징(44)의 유입 개구(42)가 서로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내부면(50)들을 가지는 경우에도 신뢰성있는 밀봉을 얻게 된다.
필터 요소의 제2 실시예의 밀봉 립의 코너 영역의 다른 설계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도6의 필터 요소(60)는 직사각형의 필터 요소 프레임(70)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필터 재료(62)를 구비한다. 필터 재료(62)에서 멀리 면해있는 필터 요소 프레임(70)의 외측면(72)에는 일체형 밀봉 립(74)이 마련된다. 이 밀봉 립(74)의 구조 및 설계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필터 요소(10)의 밀봉 립(24)과 유사하다.
코너 영역(76)에서 밀봉 립(74)은 90도의 곡선(78)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90도 곡선(78)의 단부에서, 밀봉 립(74)의 전 폭에 걸쳐서 연장되는 2개의 V형 슬릿(80)이 이 밀봉 립(74)에 마련된다. 이러한 2개의 슬릿(80)은 스터핑되지 않고 코너 영역(76)에서 밀봉 립(72)이 변형되는 것을 허용한다. 수용 하우징(44)의 유입 개구(42)의 내부면(50)들이 코너 영역에서 둥글게 되어 있을 때는, 밀봉 립(74)의 자유단(38)의 곡선(78)이 상기 내부면 상에 밀봉 접촉되는 것을 보장한다.

Claims (12)

  1. 유체 여과용, 특히 자동차의 승객실로 유입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장치이며,
    경계를 가지는 필터 재료와, 이 필터 재료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 재료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필터 요소 프레임을 구비한 필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요소 프레임에는 필터 요소를 수용하는 장치에 접촉되는 돌출된 탄성 밀봉 립이 마련되고,
    상기 밀봉 립은 필터 요소 프레임에 면하는 제1 두께를 가진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 인접하고 필터 요소 프레임에서 멀리 면해있는 확대부를 구비하고,
    상기 확대부는 상기 절곡부의 제1 두께보다 더 큰 제2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 확대부의 두께는 상기 절곡부에 인접한 확대부의 인접부에서 증가하고, 상기 절곡부에서 벗어나 있는 확대부의 단부에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부에서의 두께의 증가 또는 상기 단부에서의 두께의 감소는 선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는 인접부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는 인접부보다 더 길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가 인접부의 약 2 내지 4배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두께가 제1 두께의 약 2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두께는 제1 두께의 약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은 평탄한 하부면과 윤곽이 있는 상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은 필터 요소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 재료에서 벗어나 있는 필터 요소 프레임의 외측면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은 필터 요소 프레임의 코너 둘레로 연장되고 테이퍼져 있는 코너부를 가지고, 상기 밀봉 립은 상기 코너부에서 슬릿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필터 요소 프레임에서 벗어나 있는 밀봉 립의 단부에서 시작하여 필터 요소 프레임 가까이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은 필터 요소 프레임의 코너 둘레로 연장되고 둥글게 형성된 코너부를 가지고, 상기 밀봉 립은 상기 둥근 코너부의 양측상에 두개의 개별 슬릿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필터 요소 프레임에서 벗어나 있는 밀봉 립의 단부에서 시작하여 필터 요소 프레임 가까이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KR10-1999-7003599A 1996-10-24 1997-10-22 유체 여과용 필터 장치 KR100483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4214.1 1996-10-24
DE19644214 1996-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786A KR20000052786A (ko) 2000-08-25
KR100483406B1 true KR100483406B1 (ko) 2005-04-15

Family

ID=780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599A KR100483406B1 (ko) 1996-10-24 1997-10-22 유체 여과용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02361A (ko)
EP (1) EP0932515B2 (ko)
JP (1) JP3761585B2 (ko)
KR (1) KR100483406B1 (ko)
AT (1) ATE205138T1 (ko)
AU (1) AU4990197A (ko)
BR (1) BR9712563A (ko)
DE (3) DE69706551T3 (ko)
WO (1) WO1998017490A1 (ko)
ZA (1) ZA9795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439A (en) 1997-06-27 1998-12-29 Donaldson Company, Inc. Aerosol separator and method
US6143049A (en) * 1997-06-27 2000-11-07 Donaldson Company, Inc. Aerosol separator; and method
US6375699B1 (en) * 1997-10-17 2002-04-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jection mold for insert-molding a synthetic material around a filter material, filter for the filtration of fluid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filter
DE19844874A1 (de) 1998-09-30 2000-04-06 Knecht Filterwerke Gmbh Plattenfilterelement für ein Luftfilter
DE19855244C2 (de) * 1998-11-30 2000-09-21 Freudenberg Carl Fa Filterelement
US6221122B1 (en) * 1999-02-26 2001-04-24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element and methods
US6187073B1 (en) 1999-03-17 2001-02-13 Donaldson Company, Inc. Air cleaner; aerosol separator; and method
US6406509B1 (en) 1999-07-01 2002-06-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xtruded profile filter framing
US6290739B1 (en) * 1999-12-29 2001-09-18 Donaldson Company, Inc. Aerosol separator; and method
JP2001239121A (ja) * 2000-03-02 2001-09-04 Toyobo Co Ltd フィルター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013301B4 (de) * 2000-03-17 2007-04-05 Carl Freudenberg Kg Filtereinsatz
DE20017121U1 (de) * 2000-06-08 2001-10-18 Juergen Pauls Konstruktionen S Filter, insbesondere zur Luftfilterung in einem Kraftfahrzeug
DE20010383U1 (de) * 2000-06-09 2000-08-31 Irema Filter Gmbh Filteranordnung
US6800117B2 (en) 2000-09-05 2004-10-05 Donaldson Company, Inc. Filtration arrangement utilizing pleated construction and method
AU784745B2 (en) * 2000-09-07 2006-06-08 Breatheclean Pty Ltd Dust filter
EP1326693B1 (de) * 2000-10-18 2006-08-23 ARGO-HYTOS GmbH Filtervorrichtung
FR2815699B1 (fr) 2000-10-20 2003-01-31 Valeo Dispositif de filtration destine a equiper un appareil d'aeration et/ou de chauffage et/ou de climatisa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appareil equipe d'un tel dispositif
DE10058478B4 (de) * 2000-11-24 2015-06-11 Mann + Hummel Gmbh Flaches Filterelement mit angegossenem Rahmen
US6568540B1 (en) 2000-12-13 2003-05-27 Nelson Industries, Inc. Low force closure filter with integral seal
JP2002201963A (ja) * 2000-12-28 2002-07-19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吸気部用のフィルタ及びガスタービン
FR2824023B1 (fr) * 2001-04-30 2003-12-12 Valeo Dispositif de filtration destine a equiper un appareil d'aeration et/ou de chauffage et/ou de climatisa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appareil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6797028B2 (en) * 2002-02-13 2004-09-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ush-on” self attach adaptive filter
US6926781B2 (en) 2002-03-14 2005-08-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inuous filter framing strip storable in roll form
US6966940B2 (en) * 2002-04-04 2005-11-22 Donaldson Company, Inc. Air filter cartridge
DE10244309B4 (de) * 2002-09-23 2008-07-31 Carl Freudenberg Kg Filteranordnung
DE10259202A1 (de) * 2002-12-17 2004-07-08 Behr Gmbh & Co. Kg Filtereinrichtung und Filterelement
US7300486B1 (en) 2003-04-02 2007-11-27 Wix Filtration Corp Llc Filter elements having injection molded thermoplastic seals and methods of making same
PL1464372T3 (pl) 2003-04-02 2009-07-31 Wix Filtration Corp Llc Elementy filtrujące posiadające termoplastyczne uszczelki formowane wtryskowo oraz sposoby ich wytwarzania
GB2411367B (en) * 2004-02-17 2008-06-04 Nationwide Filter Company Filter unit
US7674308B2 (en) * 2004-03-24 2010-03-09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elements; air cleaner; assembly; and methods
US20050229563A1 (en) * 2004-04-19 2005-10-20 Holzmann Mark V Filter element
US7258717B2 (en) * 2004-06-28 2007-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 cross brace
US7261757B2 (en) * 2004-08-18 2007-08-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lip-rib filter gasketing
DE102004042237B4 (de) * 2004-09-01 2011-04-07 Miele & Cie. Kg Staubsauger mit einem Feinstaubfilter im Abluftstrom
DE102004054246A1 (de) * 2004-09-27 2006-04-06 Carl Freudenberg Kg Anordnung für ein plattenförmiges Filterelement in einem Gasfiltergehäuse
US7247183B2 (en) * 2004-09-29 2007-07-24 Fleetguard, Inc. Panel filter with gasket seal
JP4563768B2 (ja) * 2004-10-15 2010-10-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US7828870B1 (en) 2004-11-24 2010-11-09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er assembly with cost effective seal
US7413588B2 (en) * 2004-11-24 2008-08-19 Fleetguard, Inc. High efficiency, low restriction, cost effective filter
US7320720B2 (en) * 2005-10-17 2008-01-22 Kirk Ticknor Interlocking filtration device
DE502006007503D1 (de) * 2005-11-11 2010-09-02 Freudenberg Carl Kg Laserschweissverfahren und damit hergestelltes filterelement
KR100700383B1 (ko) * 2006-05-02 2007-03-28 박병근 유체용 필터
US7625419B2 (en) * 2006-05-10 2009-12-01 Donaldson Company, Inc. Air filter arrangement; assembly; and, methods
US7691165B1 (en) * 2006-06-12 2010-04-06 Frank Hammes Fluid filter frame system and method
DE202006017617U1 (de) * 2006-11-16 2008-03-27 Mann+Hummel Gmbh Filtereinsatz
US8186372B2 (en) 2007-03-30 2012-05-29 Toyoda Gosei Co., Ltd. Fuel shut-off valve
JP4807341B2 (ja) * 2007-03-30 2011-11-02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TWI469819B (zh) * 2008-01-14 2015-01-21 Mann & Hummel Purolator Filters Llc 用於流體過濾器的雙件式彈性組合式底支座及減壓閥端封總成
JP5393244B2 (ja) * 2009-05-11 2014-01-22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
DE102009041113A1 (de) * 2009-09-15 2011-03-24 Carl Freudenberg Kg Filteranordnung mit einrastbaren V-Laschen
US8562708B2 (en) * 2010-04-30 2013-10-22 Diversitech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filter
US8613785B1 (en) * 2011-02-18 2013-12-24 Dwight L. Davis Tabbed air filter
DE102011078057A1 (de) 2011-06-24 2013-01-10 Mahle International Gmbh Plattenfilterelement
US11235274B2 (en) 2011-06-30 2022-02-01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systems; components; features;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JP5986359B2 (ja) * 2011-09-06 2016-09-06 日本無機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
DE102014102794B4 (de) 2014-03-03 2018-05-03 Fsp Fluid Systems Partners Holding Ag Filtervorrichtung zum Filtrieren einer Hydraulikflüssigkeit
DE102014224549A1 (de) * 2014-12-01 2016-06-02 Mahle International Gmbh Plattenförmiges Filterelement sowie Filtereinrichtung
KR102423166B1 (ko) 2015-03-02 2022-07-20 도날드슨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공기 필터 카트리지 및 공기 청정기 조립체
DE102015004336B4 (de) * 2015-04-09 2023-05-04 Mann+Hummel Gmbh Filterelement mit Lasche und Filtersystem
MX2018009612A (es) * 2016-02-09 2019-03-06 Clarcor Air Filtration Products Inc Estructura de panel con estructura moldeada y sello integral.
WO2017218966A1 (en) 2016-06-17 2017-12-21 Donaldson Company, Inc. Air cleaner assemblies and cartridge
KR20210141780A (ko) * 2016-06-24 2021-11-23 케이앤드엔 엔지니어링, 인크. 복합 공기 필터
CN115105909A (zh) 2017-06-05 2022-09-27 唐纳森公司 侧面装载式空气过滤器组件及其使用方法
RU2020112618A (ru) 2017-08-31 2021-09-30 Дональдсон Компани, Инк. Картриджи фильтров,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ные узлы, корпуса, признаки, компоненты и способы
CN109824006B (zh) * 2019-01-22 2020-09-11 东阳市天杨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建筑物料细化分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9183A (en) * 1955-12-07 1959-06-02 Renault Packing ring
CH387243A (de) * 1959-02-24 1965-01-31 Electrolux Ab Scheibenförmiger Staubsaugerfilter
DE1961542A1 (de) * 1969-12-08 1971-07-22 Gilbert Schwartzmann Fluidapplikator
FR2268551B1 (ko) 1974-04-24 1980-12-05 Cfea
DE2900035C2 (de) * 1979-01-02 1983-02-03 Schulz & Co, 5830 Schwelm Filterelement zur Luft- und Gasreinigung
US4450081A (en) * 1981-07-16 1984-05-22 Sealed Power Corporation Transmission fluid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EP0076778A1 (de) * 1981-10-05 1983-04-13 Crown Obrist AG Verschlusskappe aus Kunststoffmaterial
JPS5985472A (ja) * 1982-11-09 1984-05-17 Tokyo Roki Kk エアクリ−ナのガスマツト取付構造
DE3439255A1 (de) * 1984-10-26 1986-04-30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Rechteckiger filtereinsatz fuer gasfilter
DE8620972U1 (ko) * 1986-08-05 1987-03-26 Metzeler Kautschuk Gmbh, 8000 Muenchen, De
DE3822155A1 (de) * 1987-07-01 1989-01-12 Schlimme Wolfram Dipl Ing Dipl Innenraumluftfilter fuer kraftfahrzeuge
DE69017927T2 (de) * 1989-01-27 1995-12-14 Green Products Ltd Filter.
US5399264A (en) * 1993-03-22 1995-03-21 Cuno, Incorporated Compressible differential pressure energized seals for filter elements and the like
DE9305767U1 (ko) * 1993-04-16 1993-06-17 Filterwerk Mann & Hummel Gmbh, 7140 Ludwigsburg, De
DE4327834C2 (de) * 1993-08-19 1998-05-28 Mann & Hummel Filter Luftfilter für den Innenraum von Kraftfahrzeugen
US5639287A (en) * 1994-05-16 1997-06-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ter system for filtering fluids
DE19524677A1 (de) * 1994-07-07 1996-01-11 Nippon Denso Co Filtervorrichtung mit einem Filter
US5674302A (en) * 1994-07-12 1997-10-07 Nippondenso Co., Ltd. Automobile filter element
DE4430333C2 (de) * 1994-08-29 2000-02-17 Mann & Hummel Filter Filter
JP3468436B2 (ja) * 1994-09-22 2003-11-17 豊田紡織株式会社 樹脂製エアクリーナ
GB2300825B (en) * 1995-05-19 1998-11-18 Philips Electronics Uk Ltd rechargeable filter
DE19548197C2 (de) * 1995-12-22 1999-05-20 Freudenberg Carl Fa Faltenfiltereinsatz
DE19654188C5 (de) * 1995-12-26 2010-09-23 Toyoda Boshoku Corp., Kariya-shi Filterelement und Verfahren für dess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12563A (pt) 1999-10-19
EP0932515B2 (en) 2008-02-20
DE69706551T3 (de) 2008-09-18
WO1998017490A1 (en) 1998-04-30
AU4990197A (en) 1998-05-15
DE19746804C2 (de) 1998-09-10
JP2001502634A (ja) 2001-02-27
EP0932515B1 (en) 2001-09-05
JP3761585B2 (ja) 2006-03-29
DE69706551D1 (de) 2001-10-11
DE29723953U1 (de) 1999-07-29
DE19746804A1 (de) 1998-04-30
DE69706551T2 (de) 2002-05-02
US5902361A (en) 1999-05-11
KR20000052786A (ko) 2000-08-25
EP0932515A1 (en) 1999-08-04
ZA979519B (en) 1999-04-23
ATE205138T1 (de) 200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406B1 (ko) 유체 여과용 필터 장치
US668268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ccordion filter insert
KR100640125B1 (ko) 연속 스트립 프레임을 갖는 필터
US586348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ter insert
US6159261A (en) Filter cartridge
CA2291521C (en) Pressure relief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165403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filter cartridge
KR101783636B1 (ko) 사출 성형 기술적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프레임을 구비한 유연한 필터 소자
CA2167585A1 (en) Filter for the filtration of a fluid flow
US20170267069A1 (en) Cabin Air Filter and Filter Element for a Cabin Air Filter
CZ402797A3 (cs) Patrona filtru
US20040035096A1 (en) Recyclable air filter
US8282699B2 (en) Filter unit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752906B1 (en) Filter arrangement for filtration of a fluid flow
MXPA99003828A (en) A filter device for filtering a fluid
KR200183043Y1 (ko) 에어필터
KR200330765Y1 (ko) 공조용 에어컨 필터
JPH0970515A (ja) エアクリ−ナ用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478507B2 (ja) フィルタ枠、およびエアフィルタ
CN209771605U (zh) 一种过滤框及空气过滤器
JP2003154838A (ja) ケーシングの嵌合構造
JP4247508B2 (ja) クーリングユニットの配管保護キャップ
JP3781979B2 (ja) ガラスラン組立体
JP3194858B2 (ja) 車輌用ウインドモールデイング装置
JP3877850B2 (ja) プラスチック製外壁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