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922B1 - 용접토치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용접토치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922B1
KR100482922B1 KR10-2001-7016078A KR20017016078A KR100482922B1 KR 100482922 B1 KR100482922 B1 KR 100482922B1 KR 20017016078 A KR20017016078 A KR 20017016078A KR 100482922 B1 KR100482922 B1 KR 100482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serts
insert
hous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739A (ko
Inventor
라조스 케레케스
라스즈로 메스자로스
안탈 나타
안탈네 나타
페렌크 나타
Original Assignee
라조스 케레케스
라스즈로 메스자로스
안탈 나타
안탈네 나타
페렌크 나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조스 케레케스, 라스즈로 메스자로스, 안탈 나타, 안탈네 나타, 페렌크 나타 filed Critical 라조스 케레케스
Priority claimed from HU0002269A external-priority patent/HU222855B1/hu
Publication of KR2002002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3Combined coupling means, e.g. gas, electricity, wate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토치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용접장치의 전면판에 장착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 커넥터(10)의 기본 특징은, 커넥터 본체와 하우징을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로 구성하되, 뒷벽(14)에 의해 연결되는 일체형 유니트(12)로 설계하고, 바람직하게 링형으로 된 접촉면(57,157,257)과 도전재로 된 나사면(55,155,255)을 갖는 도전재로 된 삽입부(50,150,250)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50,150,250)는 유니트(12)의 커넥터 본체부(20) 측면(21)과 이 측면(21)에 대향하는 유니트(12)의 하우징부(40) 표면(41)으로 이루어진 안착부 (30)에 끼워맞춤될 수 있고, 삽입부(50,150,250)의 측면에는 전류가 흐르기에 적절한 부분이 있으며, 하우징부(40)의 측벽에는 전류가 흐르기에 적합한 삽입부 (50,150,250) 측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33)가 있고, 전류가 흐르기에 적합한 삽입부(50,150,250) 측면에 연결된 장치를 개구부(33)에 끼워맞춤하거나 그 가장자리에 걸리게 하여 안착부(30)에 삽입부(50,150,25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용접토치 연결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welding torch}
본 발명은 용접토치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용접토치와 용접장치를 연결하되 커넥터 소켓으로서 용접장치의 전면판에 장착되는 소켓형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의 전면상의 개스공급관용 안착부와 와이어 가이드용 안착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 커넥터 본체 전방판과 동일하게 위치하고 뒷면까지 이어진 하나 이상의 전기접촉부, 뒷면부터 와이어 가이드용 안착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와 개스공급관용 안착부 안으로 인도되는 안내부, 전기전도재로 이루어진 나사면, 그 옆의 접촉면, 및 커넥터를 장착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커넥터 본체를 옆에서 둘러싸는 절연재 하우징을 포함한다.
종래 알려진 것으로는 소위 빈젤형 커넥터가 있는데, 이 커넥터는 황동으로 구성된 본체를 구비하고, 그 중량과 크기가 상당하며, 용접전류가 나사조인트에 의해 본체에 고정된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를 통해 뒷면부터 본체까지 흐른다. 즉, 전류가 하르는 케이블의 케이블 슈우를 고정하는 나사조인트를 통해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까지 전류가 흐른다. 또, EP 0794029에 기재된 커넥터가 알려져 있는데, 이 커넥터는 구조적으로 중량과 크기가 약간 감소되었지만,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를 통해 뒷쪽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접촉부를 제공하는 연결본체에 용접전류가 흐르는 구조, 예컨대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의 케이블 슈우가 나사조인트를 통해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에 연결되는 점에서 단점이 있다. 또, 이 장치의 단점으로는, 전기접점용 안착부를 지지하는 연결본체를 도전재로 만들기 때문에 커넥터의 중량이 여전히 매우 크다는데 있다.
이런 두가지 구조의 단점은, 하우징에 연결본체를 고정하는 추가적인 나사조인트에 의해 회전하도록 또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커넥터의 플라스틱 하우징에 연결본체를 고정하므로, 규칙적인 정상 사용 도중에 연결이 느슨해질 수도 있다는데 있다.
이상 설명한 단점들로 인해, 이들 단점을 없애면서도, 종래의 커넥터에 비해 무게와 길이를 감소시켜 사용시 용접장치에 좀더 쉽고 간단하게 장착하고 경량으로 인해 취급하기가 용이하면서도, 그 용량과 절연성이 저하되지 않음은 물론, 동일 목적으로 사용되는 광범위한 커넥터들과 이들 커넥터에 결합된 유니트를 확실히 연결할 수 있도록 커넥터를 교체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야만 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의 전개도;
도 2는 제2 형태의 커넥터 삽입부의 사시도;
도 3은 제3 형태의 커넥터 삽입부의 사시도;
도 4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5는 접속부를 보여주는 커넥터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표시된 평면을 따른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용접전류가 흐르는데 직접 관여하는 커넥터 부분만을 도전재로 만들고 나머지 모든 부분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로 만들며, 도전재와 이를 지지하는 플라스틱 몸체를 끼워맞춤 방식이나 전기접속을 설정하는 조인트에 의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면 원하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 커넥터 본체 전면의 개스공급관용 안착부와 와이어 가이드용 안착부, 커넥터 본체 전방판과 동일하게 위치하고 뒷면까지 이어진 하나 이상의 전기접촉부, 뒷면부터 와이어 가이드용 안착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와 개스공급관용 안착부 안으로 인도되는 안내부, 전기전도재로 이루어진 나사면, 그 옆의 접촉면, 및 커넥터를 장착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커넥터 본체를 옆에서 둘러싸는 절연재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커넥터의 기본적인 특징은, 상기 커넥터 본체와 하우징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뒷벽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유니트로 설계되며, 바람직하게 링형으로 된 접촉면과 도전재로 된 나사면을 갖는 도전재로 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유니트의 커넥터 본체부 측면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유니트의 하우징부 표면으로 이루어진 안착부에 끼워맞춤될 수 있고, 삽입부의 측면에는 전류가 흐르기에 적절한 부분이 있으며, 하우징부의 측벽에는 전류가 흐르기에 적합한 삽입부 측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있고, 전류가 흐르기에 적합한 삽입부 측면에 연결된 장치를 개구부에 끼워맞춤하거나 그 가장자리에 걸리게 하여 안착부에 삽입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류를 흐르게 하기에 적합한 삽입부 측면, 또는 전류를 흐르게 하기에 적합한 삽입부 측면에 연결된 장치를 개구부 가장지리에 걸리도록 설계하여 상기 삽입부가 안착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류를 흐르게 하기에 적합한 삽입부 측면이 두툼한 측면부이고, 이 측면부는 하우징부 측벽의 개구부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부가 안착부에 삽입되어 정위치 상태에 있으면 하우징 측벽에서 돌출한다.
또, 삽입부에 전류를 흘리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의 전류가 흐르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측면부에 나사구멍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삽입부중 상기 개구부에 끼워맞춤되는 두툼한 측면부가 뒷벽 부근의 하우징부 측면에서 돌출할 수도 있다.
의도된 사용과정중에, 용접장치 전면판의 구멍에 커넥터를 연결한다. 하우징부의 전면벽으로 이루어진 플랜지 및 플랜지내의 하나 이상의 보어구멍을 이용해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장착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하우징부의 전면판에서 플랜지가 돌출되고 그 뒷벽에서 플랜지를 향해 하나 이상의 텅이 돌출하며, 삽입부 제거 위치에서는 텅이 그 탄성에 의해 커넥터 본체부를 향해 휘어질 수 있으며, 삽입부가 제위치에 있으면 텅이 휘어지지 않고, 이렇게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텅은 플랜지의 대향면과 함께 리테이너 홈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텅의 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텅의 단부를 두툼하게 하여 더 깊은 리테이너 홈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부의 플랜지 뒷쪽에 원형이 아닌 결합 숄더가 있을 경우 그리고 이 숄더를 끼울 수 있는 개구부가 용접장치의 전면판에 있으면 용접장치의 전면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가 커넥터 본체부에 끼워맞춤되는 축선상 보어구멍을 갖는 원통형 몸체나 프리즘형 몸체, 바람직하게는 모서리가 둥그스름한 2차 프리즘형 몸체를 구비하고, 삽입부를 끼우기 위한 안착부의 형상은 원통형이나 프리즘형 몸체를 삽입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의 축선상 보어에는 분리 가능한 와이어 가이드 라이너가 있다. 이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는 전기전도도가 아주 좋지 않은 재료 또는 부도체로 만들 수 있다.
삽입부는 동, 황동, 동합금, 기타 전도성이 좋은 재료로 만든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의 전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주요 부분으로는 커넥터 본체부(20)와 하우징부(40)로 이루어진 유니트(12), 삽입부(50) 및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16)가 있다.
유니트(12)는 뒷벽(14), 원통형 커넥터 본체부(20), 및 뒷벽(14)에서 전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측방으로 돌출하여 커넥터 본체부(20)를 둘러싸는 하우징부(40)로 구성된다.
커넥터 본체부(20)의 전면(22)에는 와이어 가이드용 안착부(24)와 개스공급관용 안착부(26)가 있고, 전면(22)의 구멍들(28,29)과 동일한 위치에 뒷벽까지 이어진 두개의 전기접점(도시 안됨)이 있다.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16)는 구멍(17)이 뚫려 있으며 유니트(12) 뒷벽(14)의 나사구멍에 그 나사단부(18)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16)의 구멍(17)은 와이어 가이드용 안착부(24)에 연결된다. 중간부(16)의 구멍(17)에 세관 형태의 교환형 라이너(19)가 배치되어, 커넥터(10)를 이용할 때 와이어 공급기로 공급되는 용접와이어를 지지함으로써, 커넥터(10)를 통한 용접와이어의 전진을 촉진한다.
또, 유니트(12)에는 커넥터 본체부(20)의 개스공급관용 안착부(26)로 이어지는 로딩 개구부가 있으며, 적절한 개스켓 조인트를 통해 이 로딩 개구부에 개스공급기(15)가 끼워맞춤되고, 개스켓 조인트를 통해 보호개스를 커넥터(10) 안으로 유도하여 용접토치로 전달할 수 있다. 도면에는 개스공급기(15)만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부(20), 하우징부(4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뒷벽(14)은 전기절연체,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하나의 유니트(12)로 일체로 구성된다.
제시된 커넥터(10)의 실시예에서, 삽입부(50)에는 축선상으로 보어구멍(52)이 뚫린 본체(54)가 있고, 이 본체의 형상은 모서리가 둥그스름한 2차 프리즘 형태이며, 그 원통형 전방부의 곡면에는 나사면(55)이 형성되고, 나사면(55)의 전방에는 링형 접촉면(57)이 형성된다. 삽입부(50)의 일측면에는 전류가 흐르기에 적절한 부분이 있는바, 여기서는 나사면(55) 뒷쪽으로 본체(54)에서 돌출한 블록형의 두툼한 측면부(59)와, 삽입부(50) 중심선을 가로지르는 나사구멍(60)이 이 부분이다.
삽입부(50)는 전기전도성이 양호한 재질인, 구리, 구리합금(황동이 바람직함)으로 이루어진다.
삽입부(50)는 커넥터 본체부(20)의 측면(21)과 이에 대향하는 하우징부(40)의 측면에 형성된 안착부(30)에 끼워맞춤되고,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부(20)가 삽입부(50)의 보어구멍(52)에 삽입되며, 삽입부(50)는 그 형상에 맞도록 조절된 주연부를 갖는 안착부(30)에 삽입된다. 이런식으로 안착부(30)에 끼워맞춤된 삽입부(50)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안착부(30)를 둘러싼 하우징부(40)의 측면에는 삽입부(50)의 두툼한 측면부(59)를 끼워서 측면부(59)가 삽입되었을 때 이 측면부를 안내하는 슬릿(도시 안됨)이 있고, 이 슬릿은 안착부(30)의 입구부터 하우징부(40) 측벽의 개구부(33)까지 이어져 있다. 삽입부(50)가 안착부(30)에 끼워진 정상 위치에서, 전기접속을 위해 삽입부(50)의 두툼한 측면부(59)가 개구부(33)를 통해 노출되고 이 측면부의 나사구멍(60)도 노출되어, 두툼한 측면부(59)에 접속할 수 있다.
삽입부(50)가 안착부(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커넥터(10)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개구부(33)를 통해 내부로부터 돌출한 블록형 측면부(59)의 나사구멍(60)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의 케이블 슈우를 개구부(33)를 통해 나사구멍(60)까지, 즉 나사조인트를 통해 삽입부(50)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나사조인트의 위치는 삽입상태에서 나사구멍(60) 위로 배치되는 나사(35)에 의해 표시된다.
그와 동시에, 나사조인트가 삽입부(50)로부터 하우징부(40) 밖으로 돌출하므로, 삽입부(50)를 당기면, 고정된 장치,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슈우 및/또는 나사(35)가 개구부(33)의 전연부에 걸린다.
개구부(33)와 함께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연결된 두툼한 측면부(59)를 구비한 삽입부(50)의 형상으로 인해 회전 가능하게 안착부(30)에 삽입부(50)를 고정 삽입할 수 있으므로, 삽입부(50)를 오프시키면, 두툼한 측면부(59)의 모서리가 개구부(33)의 모서리에 맞닿는다.
또, 나사조인트에 의해 개구부(33)를 통해 전류가 흐르므로 삽입부(50)를 안착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다.
커넥터(10)를 장착하는 방법은 도면을 보면 명확할 수 있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부(40)의 전방벽에서 돌출하는 링형 플랜지(43)와 이 플랜지(43)를 향해 하우징부(40) 후방벽(14)에서 돌출하는 두개의 텅이 있지만, 두개의 텅중 하나의 텅(45)만을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삽입부(50)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이들 텅은 그 탄성에 의해 커넥터 본체부(20)쪽으로 휘어질 수 있지만, 삽입부(50)가 제위치에 있으면, 이들 텅은 삽입부(50)에 걸려 휘어지지 않는다. 텅이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텅의 단부는 플랜지(43)의 대향 뒷면과 함께 리테이너 홈을 형성한다(도 5, 6 참조).
리테이너 홈의 깊이는 텅 단부의 돌출부에 의해 증가되는바, 도면에는 돌출부(47)만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10)는 사용중에 대개 용접장치의 전면판에 장착된다. 커넥터(50)를 장착하기 위한 용접장치의 전면판에는 원형이나 사각형 개구부가 형성된다. 커넥터(10)의 하우징부(40)는 텅을 휘어진 상태로 유지하면서 앞에서부터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고, 전면판은 하우징부(40)의 플랜지(43)에 걸리며, 텅이 해제되어 휘어지지 않은 상태를 취하며, 이 상태에서 전면판이 리테이너 홈에 고정된다. 삽입부(50)를 끼우면 텅이 조여져 용접전류가 커넥터(10)의 삽입부(50)에 흐르며, 그 뒤 케이블 슈우와 나사(35)를 플랜지(43) 부근의 개구부(33)에 장착하여 삽입부(50)를 안착부(3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두번째 형태의 삽입부(150)의 사시도이다. 이 삽입부(150)는 축선상 보어구멍(152)을 갖는 원통형 본체(154)를 구비하고, 원통형 본체(154)의 곡면 전방에 나사면(155)이 있으며, 그 전방에 링형 접촉면(157)이 있다.
삽입부(150)중 전류가 흐르기에 적절한 부분은 나사면(155) 뒷쪽으로 원통형 본체(154)의 곡면에서 돌출한 두툼한 측면부(159)인데, 이 부분이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형 돌기로서, 삽입부(150)의 중심선을 가로지르는 나사구멍(160)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삽입부(150)를 지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를 수납하기 위한 사각형 안착부(30)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를 삽입하는 안착부의 단면을 삽입부(150)의 원통형 본체(154)에 대응하는 링형으로 하면서, 두툼한 측면부(159)를 삽입하는 안착부를 둘러싸는 하우징부 측벽에 슬릿을 형성할 수도 있는바, 이 슬릿은 삽입부(150)의 측면부(159)에 접속할 수 있도록 개구부까지 이어져 있고, 따라서 앞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구멍(160)을 이용해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을 개구부를 통해 나사조인트에 의해 삽입부(150)에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두툼한 측면부(159)를 이루는 블록형 돌출부를 접속을 위한 개구부의 측연부에 맞닿게 하면 삽입부(150)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부에 고정할 수 있고, 또는 접속용 개구부의 측연부와 두툼한 측면부(159)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케이블을 맞닿게 하면 삽입부를 커넥터 삽입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한편, 두툼한 측면부(159)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케이블을 개구부의 전연부에 맞닿게 하면 삽입부(150)가 안착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부(150)를 포함한 커넥터의 경우, 비저항이 낮은 물질, 바람직하게는 동, 황동, 기타 동합금으로 된 파이프나 바아로 삽입부(150)를 형성하되 두툼한 측면부(159)에서도 삽입부의 단면에 대응되게 형성하면, 비교적 가공없이 삽입부를 제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세번째 형태의 삽입부 (250)의 사시도이다. 이 삽입부(25)의 원통형 본체(254)에는 축선상으로 보어구멍 (252)이 뚫려 있고, 원통형 본체(254)의 곡면 전방에는 나사면(255)이 있으며, 그 전방에 링형 접촉면(257)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50)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에 적절한 부분은 나사면(255) 뒷쪽의 원통형 본체(254) 곡면에서 돌출하는 두툼한 측면부(259)이고, 이 측면부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터드형으로 둘출하고 삽입부(250) 중심선을 가로지르는 나사구멍(260)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 도면에 도시된 삽입부(250)를 지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를 삽입하기 위한 사각형 안착부(30)를 갖거나, 또는 안착부가 삽입부(250)의 원통형 본체(254)에 대응하는 링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고, 두툼한 측면부(259)를 삽입하는 안착부를 둘러싼 하우징부 측벽에 슬릿이 형성되고, 이 슬릿은 개구부까지 이어져 삽입부(250)의 측면부(259)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 앞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구멍(260)을 이용해 개구부를 관통하는 나사조인트에 의해 삽입부(250)에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두툼한 측면부(259)를 이루는 스터드형 돌출부를 접속을 위한 개구부의 측연부에 맞닿게 하면 삽입부(250)를 회전 가능하게 안착부에 고정할 수 있고, 또는 접속용 개구부의 측연부와 두툼한 측면부(259)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케이블을 맞닿게 하면 삽입부를 커넥터 삽입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한편, 두툼한 측면부(259)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케이블을 개구부의 전연부에 맞닿게 하면 삽입부(250)가 안착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부(250)를 포함한 커넥터의 경우, 비저항이 낮은 물질, 바람직하게는 동, 황동으로 된 필요한 크기의 파이프나 바아로 삽입부(250)를 형성함으로써, 가공을 거의 하지 않고 제작할 수 있다. 두툼한 측면부(259)는 적절한 접합에 의해 파이프의 곡면상의 구멍에 별도의 스터드를 고정하여 형성되는 것도 적합하다.
도 4는 상세부를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커넥터(10)의 정면도이다. 전면(22)의 안착부와 함께 하우징부(40)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 본체부(20), 커넥터 본체부(20)를 둘러싸는 2차 프리즘 형상의 몸체를 갖는 삽입부(50), 나사면(55), 링형 접촉면(57) 및 두툼한 측면부(59)가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파단선은 삽입부(50)에 의해 조여진 위치의 하우징부(40)의 플랜지(43) 뒷쪽의 텅(45,46)과, 플랜지(43) 뒷면의 비원형 숄더(49)를 보여준다. 도면상에서는, 하우징부(40)의 측벽에 형성되어 측벽의 다른 개구부까지 이어진 구동 슬릿(31)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 슬릿은 적절히 위치했을 때 삽입부의 두툼한 측면부에 대한 가이드 기능을 한다.
커넥터(10)를 장착하는 다른 방법은, 하우징부(40)에서 돌출한 플랜지(43)의 고정 구멍들을 이용하는 것인데, 도면에는 고정 구멍(44)만 도시되어 있다.
텅(45,46)을 이용한 전술한 방법을 이용해, 또는 나사조인트 관통 구멍들(44)을 이용해 커넥터(10)를 고정할 수 있다. 커넥터를 장착하면, 동일한 형태의 구멍에 위치된 사각형 숄더(49)에 의해 커넥터의 회전운동이 방지되고 그 고정성이 향상된다.
도 5는 커넥터(10)의 측면도이다. 여기서는, 뒷벽(14)에서부터 플랜지(43)를 향해 돌출한 하우징부(40) 측벽의 텅(45)과 그 단부의 돌출부(47)가 도시되어 있는바, 텅(45) 단부와 플랜지(43)의 대향면에 의해 형성된 리테이너 홈(39)을 볼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은 전방벽을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또한 플랜지(43) 뒷벽에 형성된 숄더(49)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또한 용접선(71)을 보유한 라이너(19)와 함께 뒷벽(14)에 장착된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16), 개스공급관, 및 용접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의 케이블 슈우(70)와 두툼한 측면부(59)를 나사(35)로 전기기계적으로 연결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4에 표시된 평면을 따른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커넥터 본체부(20)와 하우징부(40) 및 이들을 일체 유니트로 형성하는 뒷벽(14)이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고, 또한 뒷벽(14)에서부터 플랜지(43)를 향해 돌출한 텅(46)과 그 단부의 돌출부(48)가 도시되어 있으며, 텅(46)의 단부와 플랜지(43)의 대향면으로 형성된 리테이너 홈(39)과, 플랜지(43)의 뒷면에 형성된 숄더(49)가 도시되어 있다.
또, 커넥터 본체부(20)의 측면(21)과 하우징부(40)의 대향면(41)으로 형성된 삽입부(50)용 안착부(30)내의 삽입부의 위치, 및 커넥터 본체부(20)에 대한 삽입부(50) 보어구멍의 끼워맞춤상태와, 삽입부(50)의 두툼한 측면부(59)와 나사구멍(60)의 하우징부(40) 측벽의 개구부에 대한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두툼한 측면부(59)는 하우징부(40)의 측면에서 d만큼 돌출하여 있으므로 삽입부(50)에 접근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다른 경우에 사용될 수도 있는바, 고정 텅을 구비하거나 없이, 숄더를 구비하거나 없이, 고정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를 구비하거나 없이 고정 가능성이 없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또는 이들 방법의 어떤 조합도 실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삽입부를 삽입하는 안착부를 원통형이나 프리즘 형태로 할 수도 있고, 하우징부를 원통형이나 프리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용접전류의 커플링으로 기능하는 삽입부를 커넥터 다른 부분, 전류를 흐르게 하기에 적절한 균일 두께의 측면, 또는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이나 육각형 프리즘 형태와 어울리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주요 장점은, 신규한 구조 때문에, 커넥터를 연결했을 때 측면으로부터 삽입부 나사면을 통해 그리고 종래의 커넥터에 적용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전면의 나사면 부근의 링형 접촉면을 통해 도전 접촉부가 설정되는데 있으며, 나사면 부근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부에 용접전류가 흐르고, 용접전류의 접촉부로서 기능하는 경량 삽입부만을 전기전도도가 양호하고 단단한 재료인, 동, 동합금, 황동 등의 재료로 구성한다는데 있다.
전기접점을 형성하고 정위치 안착부들을 구비한 커넥터를 하우징과 함께 부도체 플라스틱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전기접촉부들을 서로로부터 및 용접전류 접촉부로부터 안전하게 절연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 커넥터의 형상으로 인해 용접장치의 전면벽에 커넥터를 장착할 수 있어 커넥터의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용접전류용 전기접속부로서 기능하는 삽입부를 하우징부에 장착하여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을 끼워맞춤하거나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의 다른 장점은 용접장치의 정상적인 출력에 따라 삽입부의 축선 크기를 선택하여 용접장치의 출력에 정확히 맞도록 할 수 있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에 도전기능이 없기 때문에, 전기접속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줄여 커넥터의 축선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전도성이 약한 재료를 이용해 간단한 기술로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를 제조할 수 있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전가접속부의 갯수와 접촉저항부의 갯수를 하나로 줄여, 접촉부에서의 손실을 줄인다는데 있다. 이런식으로 필요한 출력에 더 정확히 일치하도록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더 소량의 금속을 이용하고, 기존의 커넥터에 비해 경제적이며 더 값싼 기술로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0)

  1. 커넥터 본체, 커넥터 본체의 전방 영역상의 개스공급관용 안착부와 와이어 가이드용 안착부, 커넥터 본체 전방판과 동일하게 위치하고 뒷면까지 이어진 하나 이상의 전기접촉부, 뒷면부터 와이어 가이드용 안착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가이드 중간부와 개스공급관용 안착부 안으로 인도되는 안내부, 전기전도재로 이루어진 나사면, 그 옆의 접촉면, 및 커넥터를 장착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커넥터 본체를 옆에서 둘러싸는 절연재 하우징을 포함한 용접토치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와 하우징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뒷벽(1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유니트(12)로 설계되며, 바람직하게 링형으로 된 접촉면(57,157,257)과 도전재로 된 나사면(55,155,255)을 갖는 도전재로 된 삽입부(50,150,250)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50,150,250)는 유니트(12)의 커넥터 본체부(20) 측면(21)과 이 측면(21)에 대향하는 유니트(12)의 하우징부(40) 표면(41)으로 이루어진 안착부(30)에 끼워맞춤될 수 있고, 삽입부(50,150,250)의 측면에는 전류가 흐르기에 적절한 부분이 있으며, 하우징부(40)의 측벽에는 전류가 흐르기에 적합한 삽입부(50,150,250) 측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33)가 있고, 전류가 흐르기에 적합한 삽입부(50,150,250) 측면에 연결된 장치를 개구부(33)에 끼워맞춤하거나 그 가장자리에 걸리게 하여 안착부(30)에 삽입부(50,150,25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
  2. 제1항에 있어서, 전류를 흐르게 하기에 적합한 삽입부(50,150,250) 측면, 또는 전류를 흐르게 하기에 적합한 삽입부 측면에 연결된 장치를 개구부(33) 가장지리에 걸리도록 설계하여 상기 삽입부(50,150,250)가 안착부(30)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류를 흐르게 하기에 적합한 삽입부 (50,150,250) 측면이 두툼한 측면부(59,159,259)이고, 이 측면부는 하우징부(40) 측벽의 개구부(33)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부(50,150,250)가 안착부(30)에 삽입되어 정위치 상태에 있으면 하우징 측벽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50,150,250)의 전류가 흐르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측면부에 나사구멍(60,160,2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50,150,250)중 상기 개구부(33)에 끼워맞춤되는 두툼한 측면부(59,159,259)가 뒷벽(14) 부근의 하우징부(40) 측면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부(40)의 전면판에 형성된 플랜지(43) 및 플랜지(43)내의 하나 이상의 보어구멍(44)을 이용해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40)의 전면판에서 플랜지(43)가 돌출되고 그 뒷벽(14)에서 플랜지(43)를 향해 하나 이상의 텅(45,46)이 돌출하며, 삽입부(50,150,250) 제거 상태에서는 텅(45,46)이 그 탄성에 의해 커넥터 본체부(20)를 향해 휘어질 수 있으며, 삽입부(50,150,250)가 제위치에 있으면 텅(45,46)이 휘어지지 않고, 이렇게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텅(45,46)은 플랜지(43)의 대향면과 함께 리테이너 홈(3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
  8. 제7항에 있어서, 텅(45,46)의 단부에 돌출부(47,48)가 있거나 텅(45,46)의 단부가 두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부(40)의 플랜지(43) 뒷쪽에 원형이 아닌 결합 숄더(4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50,150,250)가 커넥터 본체부(20)에 끼워맞춤되는 축선상 보어구멍(52,152,252)을 갖는 원통형 몸체나 프리즘형 몸체를 구비하고, 삽입부(50,150,250)를 끼우기 위한 안착부(30)의 형상은 원통형이나 프리즘형 몸체(54,154,254)를 삽입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
KR10-2001-7016078A 1999-06-14 2000-06-14 용접토치 연결용 커넥터 KR100482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9901959A HU223861B1 (hu) 1999-06-14 1999-06-14 Csatlakozó hegesztőpisztoly csatlakoztatásához
HUP9901959 1999-06-14
HUP0002269 2000-06-14
HU0002269A HU222855B1 (hu) 2000-06-14 2000-06-14 Csatlakozó hegesztőpisztoly csatlakoztatásáho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739A KR20020020739A (ko) 2002-03-15
KR100482922B1 true KR100482922B1 (ko) 2005-04-14

Family

ID=8999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078A KR100482922B1 (ko) 1999-06-14 2000-06-14 용접토치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786752B1 (ko)
EP (1) EP1210202B2 (ko)
JP (1) JP3727881B2 (ko)
KR (1) KR100482922B1 (ko)
CN (1) CN1186163C (ko)
AT (1) ATE267662T1 (ko)
AU (1) AU775503B2 (ko)
BG (1) BG64304B1 (ko)
CA (1) CA2377059C (ko)
CZ (1) CZ20014504A3 (ko)
DE (1) DE60011102T3 (ko)
DK (1) DK1210202T3 (ko)
EE (1) EE04422B1 (ko)
ES (1) ES2222909T3 (ko)
HK (1) HK1048784B (ko)
HU (1) HU223861B1 (ko)
PL (1) PL194029B1 (ko)
RU (1) RU2242344C2 (ko)
SK (1) SK284790B6 (ko)
UA (1) UA66413C2 (ko)
WO (1) WO20010003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476B1 (ko) * 2013-10-21 2015-01-08 박근종 절연 연결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8164B2 (en) 2002-07-19 2007-07-03 Baxter International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umping cassette-based therapies
CN2800594Y (zh) * 2005-05-10 2006-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连接器
EP2015887B1 (en) * 2005-09-12 2012-05-30 Antal Natta Connector for connecting welding torch
US8847116B2 (en) * 2006-06-12 2014-09-30 Victor Equipment Company Wire feeder with interchangeable adaptor cartridges
KR100741271B1 (ko) * 2006-06-28 2007-07-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AT507878B1 (de) * 2009-02-06 2011-07-15 Fronius Int Gmbh Strombuchse für ein schweissgerät
AT508285B1 (de) 2009-05-06 2011-11-15 Fronius Int Gmbh Anschlusssystem mit einer kupplungsvorrichtung und einem steckelement für einen schweissbrenner
CN101658972B (zh) * 2009-09-14 2012-04-18 济南尼克焊接技术有限公司 组合式氩弧焊枪后端焊机复合接口
IT1398415B1 (it) * 2010-02-22 2013-02-22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Gruppo connettore derivatore per impianti elettrici.
AT509589B1 (de) * 2010-06-11 2011-10-15 Fronius Int Gmbh System zur befestigung einer drahtseele in einer kupplung und drahteinlaufdüse für ein solches befestigungssystem
AT509982B1 (de) * 2010-08-09 2012-01-15 Fronius Int Gmbh Befestigungssystem eines brennerkörpers eines wig-schweissbrenners, brennerkörper und wig-schweissbrenner
FR2978366A1 (fr) * 2011-07-27 2013-02-01 Gys Ensemble femelle de connexion d'un poste a souder
AU2013209396B2 (en) * 2012-01-19 2016-07-07 Victor Equipment Company Universal conduit assembly for a welding torch
US9314867B2 (en) * 2013-03-11 2016-04-19 Illinois Tool Works Inc. Replaceable machine-mounted male input power connections
US9669487B2 (en) * 2014-11-06 2017-06-06 Illinois Tool Works Inc. Electrical contact for MIG welding torch
CN104439657B (zh) * 2014-11-26 2016-04-27 泰佰亿(山东)工业有限公司 一种连接焊枪枪颈与电缆的连接件
US11241753B2 (en) * 2016-07-08 2022-02-08 Norsk Titanium As Contact tip contact arrangement for metal welding
US20180290227A1 (en) * 2017-04-07 2018-10-11 Lincoln Global, Inc. Self adjusting seals for wire feeder connection
CN108176917A (zh) * 2018-03-01 2018-06-19 姜龙河 金龙气体降温型电焊枪连接装置
USD914071S1 (en) 2018-11-02 2021-03-23 Esab Ab Welding device enclosure
US10700451B1 (en) * 2019-02-08 2020-06-30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1738403B2 (en) 2020-01-27 2023-08-29 The Esab Group Inc. Push pull torch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116A (en) * 1976-10-27 1977-10-04 Central Welding Supply Co., Inc. Swivel connector for an arc gouging torch
US4864099A (en) * 1987-03-19 1989-09-05 Tweco Products, Inc. Water cooled semi-automatic welding gun
IT239387Y1 (it) * 1995-03-16 2001-02-26 Trafimet Spa Attacco centralizzato per torce per taglio plasma
IT239427Y1 (it) 1995-11-14 2001-02-26 Trafimet Spa Raccordo per collegare una pinza porta elettrodo all'attacco di unatorcia tig
IT241750Y1 (it) 1996-03-05 2001-05-17 Trafimet Spa Attacco per torce di saldatura
DE19631090C2 (de) 1996-08-01 2001-12-13 Binzel Alexander Gmbh Co Kg Kabelanschluß für ein Schweißkabel
US5902150A (en) * 1997-01-09 1999-05-11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 for a power supp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476B1 (ko) * 2013-10-21 2015-01-08 박근종 절연 연결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77059A1 (en) 2001-01-04
KR20020020739A (ko) 2002-03-15
CN1370099A (zh) 2002-09-18
DE60011102T2 (de) 2005-06-30
SK18522001A3 (sk) 2002-05-09
CZ20014504A3 (cs) 2002-07-17
EE200100676A (et) 2003-02-17
AU775503B2 (en) 2004-08-05
SK284790B6 (sk) 2005-11-03
DE60011102D1 (de) 2004-07-01
HK1048784B (zh) 2005-03-04
ATE267662T1 (de) 2004-06-15
BG64304B1 (bg) 2004-09-30
HUP9901959A2 (hu) 2002-05-29
EP1210202B1 (en) 2004-05-26
US6786752B1 (en) 2004-09-07
JP2003503207A (ja) 2003-01-28
DE60011102T3 (de) 2009-02-26
CN1186163C (zh) 2005-01-26
EP1210202A1 (en) 2002-06-05
AU5834700A (en) 2001-01-31
EP1210202B2 (en) 2008-07-02
HU223861B1 (hu) 2005-02-28
ES2222909T3 (es) 2005-02-16
DK1210202T3 (da) 2004-09-27
HK1048784A1 (en) 2003-04-17
RU2242344C2 (ru) 2004-12-20
PL351482A1 (en) 2003-04-22
WO2001000364A1 (en) 2001-01-04
BG106306A (en) 2002-08-30
JP3727881B2 (ja) 2005-12-21
CA2377059C (en) 2005-11-01
UA66413C2 (en) 2004-05-17
PL194029B1 (pl) 2007-04-30
EE04422B1 (et) 2005-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922B1 (ko) 용접토치 연결용 커넥터
RU2002100352A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сварочной горелки
US7140913B2 (en) Apparatus for connection of a coaxial cable to a housing
US7585118B1 (en) Fiber optic cable connector and adaptor for optical laser transmitter system
US20100108656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welding torch
US20180342818A1 (en) Wedge connector assemblies and methods and connections including same
US6530791B1 (en) Coupling for conductor bars
US20210140636A1 (en) Flame sensor assemblies and methods of replacing flame sensor assemblies
US7705272B2 (en) Bolt heater assembly unit having junction housing configuration
JP2003197026A (ja) 配線器具、配線装置およびライティングダクト装置
JP2001035602A (ja) 電気コネクタ
US5789705A (en) Electrical/mechanical tubing connector for surface mounted electrical device box
EP0615664A1 (en) Electrical adaptor
US5797760A (en) Electrical components and apparatus
JP3531684B2 (ja) 端子係止機構
HU222855B1 (hu) Csatlakozó hegesztőpisztoly csatlakoztatásához
US5752763A (en) Light bulb and a light device using the same
KR20050045238A (ko) 램프홀더어셈블리
JP2009205832A (ja) コンセント
KR200278467Y1 (ko) 전기 플러그
JPH0619175Y2 (ja) 環形蛍光灯用複合ソケツト
JP2000091045A (ja) 同軸コネクタ取付構造
JP2004335429A (ja) 電源プラグとコンセント
JPS6222233B2 (ko)
JPH05258817A (ja) 放電管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