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909B1 - 해충방제장치 - Google Patents

해충방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909B1
KR100482909B1 KR10-1999-7001957A KR19997001957A KR100482909B1 KR 100482909 B1 KR100482909 B1 KR 100482909B1 KR 19997001957 A KR19997001957 A KR 19997001957A KR 100482909 B1 KR100482909 B1 KR 100482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est control
fan
holding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518A (ko
Inventor
야마구치마사나가
가마타니미츠노부
마츠시타마유미
Original Assignee
아아스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528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21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260404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923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7275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12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4651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8764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아스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아스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55Holders or dispensers for solid, gelified or impregnated insecticide, e.g. volatile blocks or impregnated pa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3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u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방제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비가열조건하에서 약제를 유지한 약제유지재가 기류를 받아 약제유지재로부터 약제성분을 증발시키므로써, 비상성 해충을 방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장치(l)는 흡기구(6)부터 배기구(7)를 향하는 기류를 챔버(2)안에 발생시키는 팬(8)과 그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5)를 구비한다. 해충방제장치(1)는 상기 모터(5)로서 무부하시의 소비전류가 100mA이하인 것을 구비하든지 혹은 약제 성분의 단위시간당 증발량이 사용환경에 따른 최적량이 되도록 상기 기류의 조건을 조정하는 기층조정수단을 구비하든지 또는 그들의 양쪽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해충방제장치{Pesticide applicator}
본 발명은 해충방제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해충방제성분을 포함하는 약제를 유지한 약제유지재로부터 송풍수단에 의한 기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해충방제성분을 증발시킴으로써, 특히 날아다니는 해충을 방제하는 해충방제장치 및 약제유지재와 약제유지재를 구성하는 담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많은 해충방제약제가 알려져 있지만,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그들 중에서 방제 대상이 되는 해충에 적당한 약제가 선택되고 있다. 모기 등의 날아다니는 해충에게는 특히 증발성의 해충방제성분을 포함하는 약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증발성 해충방제성분, 즉, 상온에서의 증기압이 높은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존 중이나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약제가 증발하여 해충방제효과가 소실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약제를 증발시키지 않고, 사용시에는 약제를 필요량 증발시키기 때문에, 종래부터 가열조건하에서 약제를 증발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모기향의 경우 서서히 연소하는 성질(서연성:徐燃性)의 기재와 약제를 연합하여 선향으로 성형한 것에 착화하고, 그 연소에 의해 가열하여 약제를 증발시키고 있다. 또한, 매트식이나 액체식 전기 모기향 기기의 경우는 해충방제성분을 포함하는 약제를 적당한 기재에 함침 또는 침투시켜, 그 기재의 일부를 히터 등으로 가열하여 약제를 증발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가열조건하에서 사용되는 약제는 그 속에 포함되는 해충방제성분의 30℃에서의 증기압이 1×10-3mmHg 이하의 것이 많다.
이러한, 가열에 의해 약제를 증발시키는 방법을 사용한 장치는 그 기기 본체를 내열성 소재에 의해 구성해야 하므로, 소재의 선택폭이 한정되어 있다.
한편, 가열이라는 방법을 채용하지 않고, 송풍에 의해 약제를 증발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 예로서 장치내에 나프탈린 등의 승화성 방충제를 수납하여 장치내에서 방충제의 증발성분을 증발시키고 송풍기에 의해 방충제의 증발성분을 포함한 공기를 배기구멍에서 배출하는 방충장치가 알려져 있다(일본공개실용신안 소 55-954호). 또한, 상온(常溫) 증발성 약제를 유지시킨 약제유지재로 팬을 형성하고 그 팬을 모터 등으로 회전시켜 약제를 증발시키는 장치도 알려져 있다.
이들 종래의 송풍수단을 사용한 장치는 팬 회전용 전동모터를 일반 가정용 상용전원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공급전압은 항상 일정하고 증발량은 안정되지만, 당연히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장소에서도 접속코드길이의 한계로부터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는다. 한편, 상용전원에 의존하지 않고, 전지 등을 사용하여 전동모터를 구동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입수가 용이한 일반적인 전지를 최소 개수로 사용하고도 매트식이나 액체식의 모기향 기기와 동등한 운전시간(예컨대, 적어도 30일 정도)을 만족시키는 것은 아직 없었다.
또한, 종래의 송풍수단을 사용한 장치에서는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의 조정을 송풍기 스위치의 온·오프 기능만으로 의존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기온 또는 사용공간의 크기 등의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해충방제성분을 쓸데없이 증발시켜, 결과적으로는 통상의 유효기간보다도 단기간에 해충방제성분이 소실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송풍기를 필요없이 작동시키게 되므로, 송풍기의 전력이 완전히 쓸데없이 소비되고 있었다. 이것은 전력절약의 관점에서는 문제이지만 일반 가정용 상용전원을 송풍기구의 전원으로 할 경우에도, 특히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경우에 문제였다.
또한, 종래의 송풍수단을 사용한 장치에서는 상온 증발성 약제 등의 증기압이 높은 약제를 유지시킨 약제유지재가 쓰이고 있었지만, 이들의 장치에 증기압이 낮은(예컨대 30℃에서의 증기압이 1×10-3mmHg 내지 1×10-6`mmHg) 난증발성 약제를 적용할 경우는 그 난증발성 약제에 열풍을 가해야만 했다.
또한, 이와 같이 약제유지재를 사용하여 약제를 증발시키는 경우, 약제유지재가 유지할 수 있는 약제의 양에는 한도가 있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약제를 증발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해충방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약제유지용 담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해충방제장치에 2종류의 모터를 적용할 때의 각 경우에 있어서, 장치의 운전시간과 약제의 확산량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도 1의 해충방제장치를 2종류의 전원으로 작동시킬 때의 각 경우에 있어서, 장치의 운전시간과 약제의 증발량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도 1의 해충방제장치의 성능시험을 하기 위한 시험설비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1의 해충방제장치를, 2종류의 제어방법으로 작동시킬 때의 각 경우에 있어서, 외부온도와 약제의 증발량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약제유지용 담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평면도.
도 12는 약제의 증발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설비인 실리카겔 트랩의 개략도.
도 13은 약제유지용 담체의 허니컴의 셀 사이즈와 약제의 증발량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해충방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5는 압출식 팬을 구비한 도 14의 해충방제장치에서의 팬 및 허니컴의 간격과 장치 외부에 배기되는 풍량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6은 흡인식 팬을 구비한 도 14의 해충방제장치에서의 팬 및 허니컴의 간격과 장치 외부에 배기되는 풍량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7은 도 14의 해충방제장치에, 밀어내기식 팬과 흡인식 팬을 적용하였을 때의 각 경우에 있어서의, 팬 및 허니컴의 간격과 약제의 증발량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해충방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약제유지재를 도시한 개략도.
도 20은 허니컴의 일반적인 셀 사이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평면도.
본 발명은 전력 및 해충방제성분을 쓸데없이 소비하지 않고, 비가열조건하에서 해충방제성분의 유효한 증발을 장시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해충방제장치 및 약제유지재와 약제유지재를 구성하는 담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1)항 내지 (14)항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1) 흡기구와 배기구를 갖는 중공 형상의 챔버와, 상기 챔버내에 흡기구로부터 배기구를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기류의 유로에 설치할 수 있는 약제를 유지한 약제유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유지재가 상기 기류를 받아 약제 성분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상기 팬을 구동시키며 무부하시의 소비전류량이 100mA 이하의 직류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 혹은 상기 약제성분의 단위시간당 증발량이 사용환경에 따른 최적량이 되도록 상기 기류의 조건을 조정하는 기류조정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장치.
(2)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기되는 풍량은 0.1 내지 10리터/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한 해충방제장치.
(3) 상기 팬은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날개부를 방사형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항에 기재한 해충방제장치.
(4) 상기 약제유지재가 약제유지용 담체에 상기 약제를 유지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약제유지용 담체는 상기 챔버내의 기류방향에 개구한 통기구를 상기 기류방향에 직교하는 면방향으로 복수개 병설한 허니컴 형상, 망 형상, 슬릿 형상, 격자 형상 및 천공지(perforated paper) 중 어느 하나이고 또한 상기 약제를 유지할 수 있는 무기질 또는 유기질의 성형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항에 기재란 해충방제장치.
(5) 상기 약제유지재에 상기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약제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약제공급수단이 상기 약제를 포함한 겔 형상물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에 기재한 해충방제장치.
(6) 상기 약제유지재는 네트 형상체 또는 허니컴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항에 기재한 해충방제장치.
(7) 상기 약제유지재는 셀 사이즈가 2 내지 5mm 범위의 다수의 관통셀을 갖는 허니컴 형상의 약제유지용 담체에 상기 약제를 유지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에 기재한 해충방제장치.
(8) 상기 관통셀의 수가 200 내지 250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항에 기재한 해충방제장치.
(9) 상기 약제유지재에 대하여, 그 셀의 관통방향에 실질적으로 0.1 내지 10리터/초의 비율로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항에 기재한 해충방제장치.
(10) 상기 제 (5)항에 기재한 해충방제장치에 사용하는 약제를 포함하는 겔 형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11) 셀 사이즈가 2 내지 5mm 범위의 다수의 관통셀을 갖는 허니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유지용 담체.
(12) 상기 관통셀의 수가 200 내지 2500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항에 기재한 약제유지용 담체.
(13) 상기 (11)항 또는 (12)항에 기재한 약제유지용 담체에 약제를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유지재.
(14) 상기 약제는 해충방제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항에 기재한 약제유지재.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장치의 송풍수단에 사용하는 팬으로서는 프로펠러 팬이나 시로코팬(sirocco fan)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IC를 내장하는 브러시리스(brushless) 축류 팬 타입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전류공급원으로서는 일반 가정용 상용전원, 건전지, 태양전지, 축전지, 카드뮴-니켈 등의 충전식 건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장치에 있어서, 약제유지재는 미리 장치내에 세팅될 수 있고, 또한 사용시에 세팅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장치에는 약제유지재 교체시에 팬의 회전에 의해 손가락을 베는 등의 피해를 없애기 위한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약제유지재를 출납하는 개구가 열려진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그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송풍수단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유지용 담체로서는 간단한 구조로, 통기성이 큰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허니컴 형상 외에, 드레인보드(drainboard) 형상, 벨로우즈(bellows) 형상, 망 형상, 슬릿 형상, 격자 형상 또는 천공지 등의 구조로 할 수 있다.
약제유지용 담체를 형성하는 소재는 약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유지한 약제를 일시에 증발시키는 것보다도, 요구되는 시간에 걸쳐 같은 양의 약제를 연속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는 소재의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종이류(여과지, 펄프, 두꺼운 종이 등), 수지류(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고흡유성중합체 등), 세라믹, 유리섬유, 탄소섬유, 화학섬유(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이크릴, 비닐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천연섬유(목면, 비단, 양모, 마 등)와, 유리섬유, 탄소섬유, 화학섬유, 천연섬유 등으로부터의 부직포, 다공성 유리재료, 철망 등을 들 수 있다. 각 셀의 형상도 본 발명의 효과면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기한 이외의 형상으로서 예컨대 6각형 벌집형상도 원형상, S자 형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약제유지용 담체에 유지시키는 약제는 살충제 또는 방충제 등의 해충방제성분과 같이 대기중에 그 성분을 증발시킴으로 일정한 효과를 얻는 약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을 쐼으로써 증발하는 데 적합한 약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살충제나 방충제 등의 해충방제제성분으로서는 다음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해충방제성분을 들 수 있다.
·d1-3-알리-2-메틸-4-옥소-2-사이클로펜테닐 d1-시스/트랜스-크리산테메이트(일반명 알레스린: 상품명 피나민: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d1-3-알리-2-메틸-4-옥소-2-사이클로펜테닐 d-시스/트랜스-크리산테메이트(상품명 피나민폴테: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d1-3-알리-2-메틸-4-옥소-2-사이클로펜테닐 d-트랜스-크리산테메이트(상품명 바이오알레스린: 유크라프사제),
·d-3-알리-2-메틸-4-옥소-2-사이클로펜테닐 d-트랜스-크리산테메이트(상품명 엑기스린: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에스바이올: 유크라프사제),
·(5-벤질-3-프릴)메틸 d-시스/트랜스-크리산테메이트(일반명 레스메트린: 상품명 크리스롱폴테: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5-프로파길-2-프릴메틸-d-시스/트랜스-크리산테메이트(일반명 프라메트린: 상품명 피나민 D폴테: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2-메틸-4-옥시-3-(2-프로피닐)-2-사이클로펜테닐(+)-시스/트랜스(일반명 프랄레트린: 상품명 에톡: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d1-3-알리-2-메틸-4-옥소-2-사이클로펜테닐-d1-시스/트랜스-2,2,3,3-테트라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일반명 테랄레스린: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1, 3, 4. 5, 6, 7-헥사하이드로-1, 3-디옥소-2-이소인드릴)메틸-d1-시스/트랜스-크리산테메이트(일반명 프탈스린: 상품명 네오피나민: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1, 3, 4, 5, 6, 7-헥사하이드로-1, 3-디옥소-2-이소인돌릴)메틸-d-시스/트랜스-클리산테마트(상품명 네오피나민폴테: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3- 페녹시벤질-d-시스/트랜스크리산테마트(일반명 페노트린: 상품명 스미스린: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3-페녹시벤질-d1-시스/트랜스-3-(2, 2-디클로로비닐)-2, 2-디메틸-1-사이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일반명 페르메트린: 상품명 엑스민: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α-시아노-3-페녹시벤질(+)-시스/트랜스-크리산테메이트(일반명 시페노트린: 상품명 고키레이트: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1-에테닐-2-메틸-2-펜테닐 d1-시스/트랜스-3-(2,2-디메틸비닐)-2,2-디메틸-1-사이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일반명 엔펜트린: 상품명 베이퍼스린: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d-트랜스-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 1-사이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일반명 트랜스푸르스린)
·1-에테르-2-메틸-2펜테닐 3-(2,2-디클로로에테닐)-2,2-디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 등.
또한, 상술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구조상 유사하고, 실질적으로는 같은 효과가 있는 화합물도 들 수 있다. 예컨데 3 위치에서 2개의 메틸기를 갖는 엔펜트린의 경우, 메틸기 대신에 그 치환기로서 다른 알킬기, 불포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원자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피플로닐, S-1295, S-41311 등의 살충제나 메트플렌(이소프로필(2 E-2E)-11-메톡시-3,7,11-트리메틸-2,4-트리메틸드데카-2,4-디에노에이트), 피리프록시펜, 82-〔1-메틸-2-(페녹시페녹시)에톡시〕피리딘) 등의 곤충 유약호르몬, 디플루펜즈론(1-(4-클로로페닐)-3-(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아), 테플벤즈론 (1-(3,5-디플로오로벤조일)우레아) 등의 곤충키틴 형성 저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 중에서도, 상온에서 난증발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엔펜트린, 플라레트린, 레스메트린, 에스바이올, 플라메트린, 테랄레스린, 트랜스플트린 및 S-하이드로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해충방제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의 유연체(類緣體)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상온에서 증발하기 쉬운 것에 관해서는, 예컨대, 증발을 조정하기 위한 커버를 설치하거나 폴리브텐, 이소파라핀, 노르말파라핀 등의 탄화수소류나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프탈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지는 증발조정제를 겸용하기도 함으로써, 장시간에 걸친 해충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 해충방제성분과 함께 또는 해충방제성분 대신 방향제나 살균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방향제중에 함유되는 향료로서는 어떠한 제한도 받지 않고, 천연향료 또는 합성향료 모두 사용가능하고 이들의 조합향료라도 상관없다.
천연향료로서 예컨대, 사향, 영묘(靈猫)향, 용연용(龍延)향 등의 동물성 향료; 아비에스유, 아죠큰유, 아몬드유, 안게리칼트유, 뻬질유, 베르가못유, 파찌유, 보아팔로즈유, 카야부치유, 가난가유, 카푸시캄유, 캬라웨유, 칼다몬유, 카시아유, 셀러리유, 신나몬유, 시트로네라유, 코냑유, 코리안다유, 큐페브유, 쿠민유, 장뇌유, 질유, 에스트고란유, 유칼리유, 펜네루유, 갈릭, 진저유, 그레이프프루트유, 홉유, 주니파베리유, 로렐루리프유, 레몬유, 레몬그라그유, 로페이스유, 메스유, 너트메그유, 맨더린유, 탄제린유, 겨자유, 박하유, 등꽃유, 양파유, 후추나무유, 오렌지유, 세이지유, 스타아니스유, 테레핀유, 웜우드유, 와니라콩엑스트랙트 등의 식물성 향료.
인조향료는 합성 또는 추출향료이고, 그들은 예컨대 피넨, 리모넨 등의 탄화수소류; 리나롤, 게라니올, 시트로넬롤, 멘톨, 볼네올, 벤질알콜, 아니스알콜, β -페닐에틸알콜 등의 알콜 등의 알콜류, 아네톨, 오이게놀 등의 페놀류;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헥실알데히드, 펩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노나디에날, 시트랄, 시트로넬랄, 벤즈알데히드, 신나믹알데히드, 헤리오트로핀, 와니린 등의 알데히드류, 메틸아밀케튼, 메틸노닐케튼, 디아세틸, 아세틸프로피오닐, 아세틸부티릴, 카본, 멘톤, 장뇌, 아세트페논, p-메틸아세트페논, 이오논 등의 케톤류; 아밀부티로락톤, 메틸페닐글리시드산에틸, γ-노닐락톤, 쿠마린, 시네올 등의 락톤 또는 옥시드류; 메틸포메이트, 이소프로필포메이트, 리나릴포메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옥틸아세테이트, 멘틸아세테이트, 벤질아세테이트, 신나밀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부틸, 아세트산이소아밀, 이소부티르산 이소프로필, 이소발레르산구라닐, 카프론산알리, 헵틸산부틸, 카프릴산옥틸, 헵틴카복실산메틸, 페라하곤산에틸, 옥틴카복실산메틸, 카프르산이소아실, 라우르산메틸, 미리스트산에틸, 벤조산에틸, 벤조산벤질, 페닐아세트산메틸, 페닐아세트산부틸, 신남산메틸, 신남산신나밀, 살릴실산메틸, 아니스산에틸, 안스라닐산메틸, 에틸피루베이트, 에틸α-부틸부티레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등.
향료는 하나의 종류만으로도 할 수 있고, 두 종류 이상을 조합한 조합향료로도 할 수 있다. 배합향료로서는 예컨대 천연향료로서 사향, 합성향료로서 피넨을 조합한 조합향료, 또는 천연향료로서 영묘향, 합성향료로서 리모넨을 조합한 조합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약제유지용 담체에 약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약제의 적하도포, 함침도포, 분무도포 등의 액상 도포방법, 액상 인쇄, 브러시칠 등의 방법, 또는 약제유지용 담체에 붙이는 방법, 더욱이 제트 인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점도가 높아서 용이하게 유지시키기 어려운 약제의 경우, 용제 등에 약제를 일단 혼합시켜 점도를 내려 흡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시키는 약제가 액상이 아니고 용제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등은 이겨서 속에 넣어 도포, 인쇄하는 등의 방법도 있다. 약제는 허니컴에 직접 흡수시켜 유지시킬 수 있지만, 겔화 물질과 같은 유지보조제에 일단 흡착시켜, 그 유지보조제를 허니컴에 유지시키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액을 연속 공급할 수 있는 흡액심(또는 테이프)과 연결하거나 적하장치와 병용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해충방제장치(1)는 전지(3)를 수용하는 전지수용부(4)와, 직류모터(5)와, 챔버(2)로 이루어진다. 전지수용부(4)에는 전지(3)의 전극에 접촉하는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그 단자는 운전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직류모터(5)와 접속된다. 전지수용부(4)와 챔버(2)와는,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류모터(5)의 케이싱부를 거쳐 연결할 수 있다. 직류모터(5)는 챔버(2)의 하면에서 챔버 내부로 수직하게 돌출하는 구동축(5a)을 갖는다. 챔버(2)는 내부가 중공이고, 직류모터(5)를 설치한 하면에 흡기구(6)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기구(7)가 형성된다.
직류모터(5)의 구동축(5a)에는 흡기구(6) 바로 위에 위치하는 팬(8)이 고정된다. 따라서, 팬(8)이 회전함으로써 흡기구(6)로부터 외기가 흡입되고, 팬(8)을 통과한 외기는 챔버(2)내의 윗쪽으로 보내지게 된다. 그리고, 배기구(7)로부터의 풍량 범위는 0.1 내지 10리터/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6리터/초가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8)의 회전축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외에, 팬(8)을 가요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고, 예컨대 선풍기와 같이 팬(8)이 좌우 혹은 상하로 이동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챔버(2)내의 윗쪽에는 약제유지재(10)를 배기구(7) 바로 아래에 설치된다. 약제유지재(10)는「발명의 상세한 설명」중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제유지용 담체에 약제를 유지시켜 이루어진다.
팬(8)은 복수개의 경사 날개를 구동축(5a)에 방사형으로 설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팬(8)과 직류모터(5)와는 소위 축류식 송풍수단을 구성한다. 이밖에 송풍수단으로서는 구동축(5a)에 평행한 방향에 다수의 날개를 원통형으로 설치하여 구동축(5a)과 직교하는 방향에 송풍을 하는 소위 다중날개형 송풍수단(시로코팬)일 수도 있다.
이들 팬(8)의 중량으로서는 전지로 구동가능한 부하와의 관계로부터 30g보다 더 적은 것이 적당하고, 그 예를 나타내면 프로펠러팬으로서는 3 내지 17g정도, 시로코팬으로서는 7 내지 15g 정도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IC을 내장하는 브러시리스 축류팬 타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팬의 일례를 나타낸다.
·프로펠러팬 (1) 직경 56mm 11개의 날개
(2) 직경 48mm 11개의 날개
(3) 직경 74mm 7개의 날개
·시로코팬 (1) 직경 58mm 날개폭 23mm
날개현 길이 l0mm 12개의 날개
(2) 직경 45mm 날개폭 20mm
날개현 길이 8mm 12개의 날개
(3) 직경 54mm 날개폭 13mm
날개현 길이 8mm 8개의 날개
·브러시리스 축류팬 (1) 직경 56mm 11장 날개
도 1에 도시한 축류식 송풍수단의 경우는 흡기구(6)로부터 흡기되는 외기의 유속은 팬(8)의 중심부 부근만큼 늦고, 바깥둘레 부분에 가까이감에 따라서 빨라지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약제유지재(10)에 해당하는 공기량은 약제유지재(10) 중심부 부근에서는 적고, 바깥둘레 부분에 가까이감에 따라서 많아지기 때문에 증발성 약제의 확산량이 약제유지재(10)의 각 부분에 있어서 불균일해지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팬(8)과 약제유지재(10) 사이의 풍로에는 평판을 교차하여 설치한 정류판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정류판은 이러한 축류식 송풍수단의 특성에 의해 생긴 불균일한 공기를 정류하여, 약제유지재(10)의 각 부분에서의 풍량을 균일하게 시정할 수가 있다. 약제유지재(10)가 흡입하는 공기에는 약제유지재(10)로부터 약제의 유효성분이 들어가고, 유효성분이 들어 간 공기는 배기구(7)로부터 장치 외부로 확산, 방출된다. 또한 정류판을 별도 설치하는 것 외에, 약제유지재(10)에 정류기능을 갖게 하거나, 혹은 정류판에 약제유지기능을 갖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약제유지재(10)의 설치위치를 팬(8)의 배기측으로 하였지만, 약제유지재(10)는 팬(8)의 흡기측에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해충방제장치(1)의 성능을 알기 위해서, 이하의 측정시험을 하였다.
·측정시험 1
약제유지용 담체는 허니컴 형상의 종이(골판지)로 하고, 세로 66mm×가로 6mm×두께 15mm의 것을 사용한다.
약제로서는 해충방제성분인 트랜스풀트린(transfluthrin)을 사용하여, 상기 약제유지용 담체에 2g 함유되도록 처리한다.
직류모터는 무부하시의 소비전류량이 100mA 이하의 직류모터로서, 무부하시의 소비전류가 25mA인 것을 사용한다.
팬은 직경 58mm, 날개폭 23mm의 시로코팬을 사용한다. 전지는 단일 알칼리 전지 2개를 직렬로 사용한다.
비교예로서, 무부하시의 소비전류량이 160mA의 직류모터를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사용한다.
측정시험결과를 도 3에 도시한다. 무부하시의 소비전류량이 25mA의 직류모터를 사용한 경우는 비교예의 무부하시의 소비전류량이 160mA의 직류모터에 비교하여 장시간에 걸쳐 사용가능하고, 또한 트랜스풀트린도 충분한 증발량이 얻어진다.
·측정시험 2
무부하시의 소비전류가 6mA의 직류모터와 직경 58mm, 날개폭 23mm의 시로코팬을 구비한 해충방제장치에 측정시험 1에서 사용한 허니컴을 삽입 장착한다.
이 해충방제장치를 2개가 직렬로 구성된 망간 건전지와 비교예로서 3V 정전압으로 운전한다. 운전시간은 12시간/일로 하여 30일간 운전하고, 트랜스풀트린의 증발량을 측정한다. 풍량은 2리터/초, 증발량 1.5mg/hr이다.
측정시험결과를 도 4에 도시한다. 동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로도 트랜스풀트린의 증발량은 3V 정전압 운전과 거의 동등한 안정된 증발량이 장시간에 걸쳐 얻어진다.
·측정 시험 3
측정시험 2에서 사용한 해충방제장치에 트랜스풀트린 lg을 처리한 허니컴(세로 66mm×가로 66mm×두께 15mm)을 삽입 장착하고, 망간 전지 2개를 직렬로 접속하고, 1일 12시간 2분마다 온·오프를 되풀이하여 30일간 운전한다. 이 기간중 트랜스풀트린의 증발량을 측정한다.
그 결과, 측정시험 2에서 얻어진 결과와 같이, 트랜스풀트린은 30일간 안정하여 유효량의 증발이 얻어진다.
·측정 시험 4
다음에, 본 실시예의 해충방제장치를 운전하여 홍모기 암컷 성충에 대한 효력을 평가한 결과를 도 5 및 표 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세로 2.5×가로 3.5×높이 2.6m = 22.8m3의 용적을 갖는 시험실(80)로써 측정 시험한다.
해충방제장치(la: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방제장치(1)와 같은 것)를 바닥면 중앙에 설치한다. 시험실(80)의 네 곳의 모퉁이에 공시충 약 15마리를 넣은 25cm 입방의 스테인리스망으로 만든 케이지(81)를 바닥면에서 0.75 및 1.5m의 높이로 2개소씩 대각 방향으로 세팅한다.
공시충 세팅 후, 시간경과에 따라 녹다운(knock down)하는 개체수를 관찰하여 2시간 후 공시충을 별도의 청결한 폴리용기에 옮기고, 25℃ 전후의 별도의 방에서 1% 설탕물을 주어, 24시간 후에 죽은 곤충수를 관찰하여 치사율을 구한다.
이 조건에서의 풍량은 2리터/초, 증발량 0.4mg/hr이다. 또한, 트랜스풀트린의 증발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유효성분을 25±1℃로 조정한 실내에서 포집하고, 포집한 유효성분을 분석한다. 또한, 내부 표준으로서 프탈산 디부틸을 사용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다. 또한, 표 중의 값은 4개의 평균치이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KT50 (분) KT90 (분) 24시간 후치사율(%)
본 발명의 해충방제장치 43 58 91.8
액체 전자 모기향 기기 42 60 62.5
홍모기에 대한 효력
표 l에서 해충방제장치(1a)는 KT50치가 약 43분, KT90치가 약 58분이고, 비교의 액체 전자 모기향 기기보다 뛰어난 녹다운 효과를 나타내고, 치사율도 90% 이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난다. 또한, 해충방제장치(1a)는 각 통전경과시점의 어디에도 안정된 녹다운효과와 치사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증발량을 0.2mg/hr로 할 때에도 충분한 살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해충방제장치(la)에서는 강제적인 송풍에 의해 약제가 재빠르게 증발 되기 때문에, 종래의 증산장치에 비교하여, 넓은 공간에 대한 약제의 확산이 빨라지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해충방제장치에 의하면, 입수 용이한 전지를 사용하여 직류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부하시의 소비전류량이 100mA 이하의 직류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전지에 의한 장시간 운전이 가능해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1에 도시한 해충방제장치(1)에 적외선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증발량이 기온에 따른 최적량이 되도록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모터(5) 및 팬(8)을 포함하는 송풍기구(9)를 제어하여 약제유지재(10)에 해당하는 기류조건을 조정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도시하지 않음)와, 그 적외선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송풍기구(9)를 제어하는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본 발명의 요지 중에서의 「기류 조정 수단」의 일례를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시예(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약제유지용 담체 및 해충방제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유지용 담체에 약제를 유지시킬 때에, 약제유지용 담체에 약제를 용이하게 함침시키기 위한 이유로 액상 약제를 저점도화하는 첨가제로서,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나 이소프로필 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취 케로신 등의 용제를 필요에 의해 사용할 수 있다.
약제유지용 담체에 상기의 해충방제성분 및/또는 각종 약제를 유지시키는 양은 특히 제한을 받지 않지만, 적어도 0.lmg/hr의 증발량이 되는 것을 목표로 포화함침량까지 유지시킬 수 있다.
약제유지용 담체에 유지되는 해충방제성분량은, 통상, 해당 약제유지용 담체의 포화 함침량까지로 하지만, 약제유지용 담체에 별도 보급용 용기를 연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증발량이 기온에 따른 최적량이 되도록 약제유지재에 해당하는 기류조건을 조정한다는 것은 기온에 따라서, 예컨대 기류의 풍량이나 풍압을 조정하는 것이다. 기온에 따른 조정이란, 예컨대 계절, 밤낮 등을 기준으로서 조정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실시예의 해충방제장치의 효과를 알기 위해서, 다음 측정시험을 한다.
·측정 시험 5
약제유지용 담체는 허니컴 형상의 종이(골판지)로 하여, 세로 66mm×가로 66mm×두께 15mm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해충방제성분으로서는 트랜스풀트린을 사용하여 약제유지용 담체에 100mg/g에서 700mg/g의 범위로 함유시킨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해충방제장치의, 외기 온도의 변화에 대한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가는 실선은 본 실시예에 의해 팬의 회전수를 조정할 때의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을 나타내고, 파선은 팬의 회전수를 무제어로 한 경우의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직류모터의 회전수는 도 6중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온도의 상승에 반비례하여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즉, 외기 온도 26℃ 이하에서의 회전수를 l00%로 하면 26℃에서 약 83%, 28℃에서는 약 64%, 30℃에서는 약 50%까지 감소한다.
이에 따라,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은 도 6 중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온도 26℃에서 1℃ 상승할 때마다 약 40% 감소한다. 즉, 본 실시예의 해충방제장치에 의한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은 다소의 증감은 있지만, 외기 온도 26℃에서 30℃의 범위로 소정의 범위내에 유지된다.
한편, 직류모터를 무제어로 한 경우의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은 도 6 중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온도의 상승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대하고, 외기 온도 26℃에서 약 120%였던 증발량이 외기 온도 30℃에서는 약 200%까지 증대한다.
이로부터, 본 실시예의 해충방제장치는 직류모터를 무제어로 작동시키는 해충방제장치에 비교하여, 해충방제성분이 필요없는 증발이 현저하게 적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해충방제장치의 변경예로서, 다음 (1) 내지 (7)항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 1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한다.
(1) 적외선 센서 대신 온도계(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온도계의 온도표시눈금에 의해 기온을 자동 검출하고, 해당 검출치에 따라서 송풍기구(9)의 직류모터(5)가 연속 운전 또는 단속 운전으로 바뀌도록 구성한 해충방제장치.
(2) 적외선 센서 대신 온도계(도시하지 않음) 및 온도계의 지시값을 인지하여 수동으로 바뀌는 온도표시다이얼(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한다. 그리고, 온도표시다이얼의 전환에 의해 송풍기구(9)의 직류모터(5)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해충방제장치.
(3) 적외선 센서 대신 온도계(도시하지 않음) 및 온도계의 지시값을 인지하여 수동으로 바뀌는 온도표시다이얼(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함과 동시에, 챔버(2)의 흡기구(6) 및 배기구(7)에 각각 개구부의 개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개구부 셔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 그리고, 온도표시다이얼의 전환에 의해, 직류모터(5)의 회전수와, 흡기구(6) 및 배기구(7)의 개구부 셔터의 열린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해충방제장치.
(4) 적외선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함과 동시에, 챔버(2)의 흡기구(6) 및 배기구(7)에 각각, 개구부의 개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개구부 셔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에 의해 기온을 자동검출하고, 해당 검출치에 따라서 흡기구(6) 및 배기구(7)의 개구부 셔터의 열린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해충방제장치.
(5) 적외선 센서 대신 사용공간의 크기를 인지하여 수동으로 바뀌는 공간표시다이얼(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함과 동시에, 챔버(2)의 흡기구(6) 및 배기구(7)에 각각 개구부의 개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개구부 셔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 그리고, 공간표시다이얼의 전환에 의해, 흡기구(6) 및 배기구(7)의 개구부 셔터의 열린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해충방제장치.
(6) 상기 (5)항의 공간표시다이얼 대신 계절(예컨대 춘하추동)에 따라서 수동으로 바뀌는 계절표시다이얼(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계절표시다이얼의 전환에 의해, 흡기구(6) 및 배기구(7)의 개구부 셔터의 열린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해충방제장치.
(7) 상기 (5)항의 공간표시다이얼 대신 밤낮에 따라서 수동으로 바뀌는 밤낮표시다이얼(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밤낮표시다이얼의 전환에 의해, 흡기구(6) 및 배기구(7)의 개구부 셔터의 열린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해충방제장치.
상기 (1) 내지 (7)항의 해충방제장치에 있어서, 각 항에서 기재된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2에서 기재된 것과 같다.
또한, 상기 온도표시다이얼, 공간표시다이얼, 계절표시다이얼, 밤낮표시다이얼에 사용되는 다이얼 대신 텅(tongue)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1)항 내지 (2)항의 변경예에 의하면, 직류모터(5)의 회전수를 온도계 또는 온도표시다이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함으로써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증발량이 기온에 따른 최적량이 되도록 약제유지재(10)가 받는 기류의 풍량 및 풍압을 조정한다.
또한 (3)항의 변경예에 의하면 직류모터(5)의 회전수 및 챔버(2)의 흡기구(6) 및 배기구(7)의 개구부 셔터의 열린 상태를 온도표시다이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제어함으로써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증발량이 기온에 따른 최적량이 되도록 약제유지재(10)가 받는 기류의 풍량 및 풍압을 조정한다.
또한, (4) 내지 (7)항의 변경예에 의하면, 챔버(2)의 흡기구(6) 및 배기구(7)의 개구부 셔터의 열린 상태를 적외선 센서 또는 공간표시다이얼, 또는 계절표시다이얼, 또는 밤낮표시다이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제어함으로써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증발량이 기온, 사용공간의 크기, 계절 또는 밤낮별에 따른 최적량이 되도록 약제유지재(10)가 받는 기류의 풍량 및 풍압을 조정한다.
따라서,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증발량을 기온, 사용공간의 크기, 계절 또는 밤낮에 따른 최적량으로 할 수 있어 해충방제성분이 필요없는 증발을 적극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직류모터(5)가 필요없는 회전을 방지하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어 건전지(3)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해충방제성분이 유효한 증발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충방제성분의 사용환경에 따른 유효량을 장기간에 걸쳐 증발시킬 수 있어, 통상의 유효기간보다도 짧은 기간으로 해충방제성분이 없어져 버리는 등의 불량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변경예에서는 약제유지재(10)를 팬(8)의 배기측에 배치한 소위 압출식이지만, 약제유지재(10)를 팬(8)의 흡기측에 배치하는 흡인식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팬의 형식으로서는 로터리, 시로코, 피에조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 팬(8) 대신 압축기(compres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해충방제장치에서는 기류조정수단이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증발량이 사용환경에 따른 최적치가 되도록 약제유지재가 받는 기류조건을 조정한다. 따라서, 해충방제성분의 단위시간당 증발량을 사용환경에 따른 최적량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해충방제성분이 유효한 증발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에 도시한 해충방제장치(1)의 약제유지용 담체로서 셀 사이즈가 2 내지5mm의 허니컴 형상의 것을 사용한다.
이 허니컴의 형태로서는 예컨대, 주로 패널의 심재(心材)로서 쓰이는 패널용「페이퍼코어」와 같은 형태의 것을 들 수 있다. 「페이퍼코어」란 종이를 접착제로 겹쳐 접착하여 다수의 연속한 육각형, 원형 및 부등변 다각형 등의 관통셀을 갖고, 그 공극율이 90%이상인 것으로서, 요컨대,「페이퍼코어」는 다수의 관통셀을 갖고, 공극율이 매우 크므로, 약제를 유지할 수 있는 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고 또한 통풍시킬 때의 저항이 작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 경우, 유효 성분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형태(구조)를 한정하지 않지만, 허니컴의 두께를 크게 하면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반면, 통풍저항도 커진다. 예컨대, 골판지 형상의 허니컴이면 이들의 상태나 강도 등을 감안하여 그 두께로서는 2 내지 15mm 정도가 목표로서 표시된다. 허니컴의 소재에 따라서는 이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약제유지용 담체(10a)는 사각형의 틀(11) 안쪽에 편골판지가 연속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골판지 형상의 허니컴을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는 다수의 제 1 테이프 형상 시트를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길게 설치하고, 또한 패널 폭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라이너부(12)를 형성한다. 각 라이너부(12) 사이에는 파형을 한 제 2 테이프형 시트가 설치되고, 인접하는 라이너부(12)와의 사이에서 교대로 접합함으로써 파형의 플루트부(l3)를 형성한다. 이 경우, 인접한 제 2 테이프 형상 시트끼리의 산 형상부가 그들 사이의 라이너부(12)를 사이에 두고 맞대는 형상으로 하면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허니컴 패널의 두께방향(14)에 관통한 다수의 관통셀(15)을 사각형의 틀(11)내에 갖는 허니컴을 얻을 수 있다. 그 셀 사이즈를 2 내지 5mm로 한다. 이 틀(11)의 크기, 즉, 약제유지용 담체(10a)의 크기는 유지시키는 약제의 양이나 단위시간당 증발시키고자 하는 약제의 양에 의해 바꿀 수 있다. 여기서, 관통셀의 수는 200에서 2500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허니컴에서의 셀 사이즈의 크기는 통상의 경우 셀을 나누는 격벽 두께방향의 중심점 상호간에서 측정되고, 즉, 그 개념은 JISA 6931(1978년)에 의한다. 예컨대, 도 20은 골판지 형상의 것으로, 이것은 JIS A 6931(1978년)에서의 도면을 인용한 것이다. 이 도면에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그 일부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면에서 D는 셀 사이즈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약제유지용 담체에 있어서는 그 관통셀의 크기가 약제의 증발량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도 20의 것으로 골판지 종이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셀 사이즈의 크기가 같더라도 관통셀의 내경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본 명세서에서는「셀 사이즈」로 하고, 「종래의 셀 사이즈의 크기로부터 골판지 종이의 두께를 뺀 값」을 사용한다. 관통셀의 크기라고 하면 관통셀의 형상이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정의하기 어려우므로, 상기와 같이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허니컴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페이퍼코어의 형상을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하고, 더불어 그 경우에서의 셀 사이즈의 측정법을 도시한다. 도 7은 상기의 골판지 형상의 것이고, 도 8은 육각 형상(벌집 형상)의 것이며, 도 9는 S자형의 연속한 원형 형상의 것이고, 도 10은 리브를 평행히 연속한 형상의 것이고, 도 11은 접기형으로 연속한 종이 접기 형상이다.
이들의 도면은 동일하게 JIS A 6931(1978년)에서의 도면을 인용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의 a는 사시도이고, b는 그 일부분의 평면도이고, 도면에서 d가 본 발명에서의 셀 사이즈를 나타낸다.
셀 사이즈가 2mm 미만인 경우, 허니컴의 증발 면적은 크지만, 송풍시에 저항이 커서 충분한 풍량을 얻을 수 없고, 증발량이 적어질 수가 있다. 셀 사이즈가 5mm을 넘는 경우, 허니컴의 증발면적은 작고, 그 때문에 단위시간당 증발량도 적어질 수 있다.
종래의 셀 사이즈로 말하는 경우에는 셀 사이즈의 크기가 같더라도 셀을 나누는 격벽의 두께가 두꺼우면, 그 몫만큼 관통셀의 실질적인 단면적이 작아지므로,「셀 사이즈」를 본 명세서에서의 정의에 의해 말하는 것이 실제적이고, 상기 격벽의 두께는 강도를 주는 데에 충분한 두께를 갖고 있으면 양호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약제유지용 담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중에 기재된 바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발명의 상세한 설명」중에 기재된 것 같은 약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약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그 밖의 보조성분과 함께 이것을 유지시킬 수 있고, 예컨대, 증산 촉진용 조제로서 승화성 물질을 첨가하면 증발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해충방제성분으로서 피레슬로이드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것에 대하여 유효한 기지(旣知)의 공력제를 혼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BHT나 BHA 등의 산화 방지제나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면 광, 열, 산화 등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진다. 또한, 인디케이터로서 경시간 지시제를 병용하면 약제의 잔류량을 알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약제유지용 담체에 상기의 해충방제성분 및/또는 각종 약제를 유지시키는 양은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는다. 상기 약제(해충방제성분 등)을 흡유성 재료(예컨대 종이)에 함유시키는 경우, 통상이면 흡유성 재료중에 10 내지 1000mg/g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0mg/g의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2시간/일로 1개월 사용하는 경우에는 엔펜트린에서는 2000 내지 4000mg/허니컴(약 10g), 트랜스풀트린에서는 100 내지 1500mg/ 허니컴(2 내지 5g), 테라레스린에서는 200 내지 3000mg/허니컴(2 내지 5g), S l295로서는 150 내지 2500mg/허니컴(2 내지 5g)이 표시된다.
또한, 약제유지용 담체에는 상기 약제의 유효기간을 나타내기 위한 경시적 지시제, 예컨대 색조변화를 이용한 경시간 지시제를 유지시켜 두면 실용상 편리하다. 그와 같은 경시간 지시제로서는 물 및 알콜 가용성의 염기 또는 산 지시약과 조색제로서 수용성의 염기성 또는 산성제를 첨가한 인디케이터, 가변색소로서 염기성 지시약과 알칼리성 물질을 공존시킨 타임 인디케이터 등과 같은 주지의 것 이외에, 저분자량의 유기변성제로 변성시킨 변성전자 공여성 착색 유기화합물과 증발성 감감제와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시간 표시제 등이 있고, 유용성인 점에서 저분자량의 유기변성제로 변성시킨 변성전자 공여성 착색 유기화합물과 증발성 감감(減感)제와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시간 표시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약제유지재로서는 예컨대 셀의 그 관통방향에 실질적으로 0.1 내지10리터/초·m2의 비율로 송풍하여, 유지하고 있는 약제를 공기중에 증발시킨다. 풍량이 0.1리터/초·m2 미만의 경우에는 충분한 증발량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10리터/초·m2를 넘는 경우에는 소요 동력이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도 1에 도시한 해충방제장치(1)에 있어서는 배기구로부터의 풍량범위가 0.1 내지 10리터/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6리터/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약제유지용 담체의 성능을 알기 위해서, 이하의 측정시험을 행한다.
·측정 시험 6
사라시크라프트지제의 편골판지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한 골판지 형상의 약제유지용 담체(10a)를 형성한다. 크기는 70mm×70mm×5mm, 라이너부에는 종이 중량 70g/m, 플루트부에는 종이 중량 120g/m의 편골판지를 사용한다. 이 약제유지용 담체(10a)에 약제로서는 트랜스풀트린을 1g 함침시켜 약제유지재(10)를 제작한다.
얻어진 약제유지재(10)를 도 1에 도시한 해충방제장치(1)에 장착하여, 팬(8)을 직류모터(5)에 의해 30분간 움직여 송풍하고, 트랜스풀트린을 증발시킨다. 증발시킨 트랜스풀트린은 하기의 방법으로 실리카겔 트랩을 사용하여 흡착 포집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증발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사용한 직류모터(5)는 무부하시의 소비전력량이 100mA 이하의 것이고, 단일 망간 건전지 2개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팬(8)은 직류모터(5)를 전지(3)로서 상기의 단일 망간 건전지 2개(3V)를 사용하여 운전할 때 2리터/초의 풍량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약제유지용 담체(10a)로서, 셀 사이즈가 1.7mm에서 10mm까지의 것을 6종 제작하여, 바꿔 각각 측정한다. 또한, 상기 팬(8)을 1.5V로 운전하여 동일하게 측정한다.
도 12는 흡착포집에 사용한 실리카겔 트랩(20)을 도시한 개략 설명도이다. 상하 개구의 원통 케이스(21)를 수평대(22) 위에 장치하고, 그 속에 해충방제장치(1)를 설치한다. 원통 케이스(21) 상부는 상하를 반전시킨 로트(23)로 폐색한다.
내경 43mm, 길이 140mm의 상하 개구의 수직 유리관(24)을 지지대(25)를 사용하여 공중에 고정한다. 수직 유리관(24)의 하측 개구부에는 상향된 상기 로트의 적하부를 고무 마개(26)를 거쳐 장착하고, 수직 유리관(24)내에서 탈지면(27)으로 누른다. 수직 유리관(24)내에 실리카겔(28)을 40g 충전하고, 실리카겔(28)의 상단은 탈지면(29)으로 누른다. 수직 유리관(24) 상단은 고무 마개(30)를 거쳐 토출관 (31)을 장착하고 토출관(31)은 진공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한다.
해충방제장치(1)를 구동하여 원통 케이스(21) 안에서 트랜스풀트린을 증발시키고 상기 진공펌프로 원통 케이스(21)와 수직 유리관(24)내를 흡인하여 트랜스풀트린을 실리카겔(28)에 흡착시킨다.
측정한 결과에서 얻어진 측정치에 의한 약제유지재(1: 허니컴)의 셀 사이즈와 트랜스풀트린의 증발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13에 도시한다. 그래프 중, ○은 전압 3V에서 운전한 경우를 나타낸다. ●는 전압 1.5V에서 운전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것에 의하면, 셀 사이즈는 2 내지 5mm의 범위에서 트랜스풀트린의 증발량이 높고, 특히 2 내지 3.5mm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측정시험 7
도 2에 도시한 허니컴 형상을 갖는 3종의 셀 사이즈의 약제유지재를 제작하고, 다음과 같이 하여 홍모기에 대한 효력을 조사한다. 비교품도 사용한다.
공시충: 홍모기 암컷 성충(20 내지 25마리)
샘플:
1) 셀 사이즈 2.2mm, 크기 35×35×15mm의 허니컴에 트랜스풀트린 lg을 처리한다.
2) 셀 사이즈 2.7mm, 크기 35×35×15mm의 허니컴에 트랜스풀트린 1g을 처리한다.
3) 셀 사이즈 5.0mm, 크기 35×35×15mm의 허니컴에 트랜스풀트린 1g을 처리한다.
4) 비교: 시판 액체 모기향(알레스린을 유효 성분으로 한다)
각각의 허니컴을 1리터/초의 풍량을 갖는 도 1의 해충방제장치에 장착하여 시험샘플로 한다.
시험조건:
6자 거실을 사용하여 시험한다. 공시충을 케이지에 넣고, 바닥면에서 150cm 및 75cm의 위치에 2케이지씩 설치한다.
상기 시험샘플을 설치한 해충방제장치를 2시간 사용한다. 시험개시로부터 10분마다 입실하여 공시충의 앙전수(仰轉數)를 계수한다. 시험종료 후, 공시충을 플라스틱 컵에 모아 24시간 후의 치사수를 계수한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샘플 KT50 (분) KT90 (분) 24시간 후 치사율(%)
셀 사이즈 2.2mm 46 56 78.9
셀 사이즈 2.7mm 40 47 91.5
셀 사이즈 5.0mm 67 90 66.7
시판액체 모기향 55 82 65.1
홍모기에 대한 효력
(허니컴 함침 처방)
·처방예 1
12시간/일로 30일간 사용하는 것.
엔펜트린4g, BHT 0.1g을 70×70×15mm의 세라믹제 허니컴에 처리한다.
·처방예 2
12시간/일로 30일간 사용하는 것.
트랜스풀트린 0.5g, BHT 0.05g,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0.2g을 60×60× 5mm의 종이제 허니컴에 처리한다.
·처방예 3
12시간/일로 30일간 사용하는 것.
S-l295를 0.5g, BHT0.05g을 60×60×5mm의 종이제 허니컴에 처리한다.
·처방예 4
12시간/일로 30일간 사용하는 것.
테라레스린 lg, BHT 0.05g을 70×70×1 0mm의 종이제 허니컴에 처리한다.
(용액 처방)
·처방예 5
엔펜트린 5.0g
2,6-디-t-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6g
향료 0.1g
등유 35ml
·처방예 6
벤플루스린 0.6g
2,6-디-t-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1g
향료 0.1g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8ml
등유 32ml
·처방예 7
플라레트린 1.3g
2,6-디-t-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1g
향료 0.lg
등유 40ml
(물베이스 처방)
·처방예 8
벤플루스린 0.6g
부틸카비톨 25ml
물 25ml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20g
·처방예 9
엔펜트린 2.0g
부틸카비톨 25ml
프로필렌 글리콜 17ml
물 8ml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20g
본 실시예에 의하면, 셀 사이즈가 2 내지 5mm 범위의 다수의 관통셀을 갖는 허니컴으로 이루어지는 약제유지용 담체에 약제를 유지시킴으로써 송풍에 의해 해충방제성분이 높은 증발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방향제를 병용할 때에는 방향 작용을 유효하게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4에 도시한 해충방제장치(41)는 챔버(42a 및 42b)내에 수납되는 약제유지재(50)가 송풍기구(49)로부터의 기류를 받음으로써 약제유지재(50)에 유지된 해충방제성분을 챔버(42b) 외부로 증발시킨다.
송풍기구(49)는 팬 구동용 모터(45)에 의해 구동되는 팬(48)의 회전에 의해서 챔버(42a)에 설치된 흡기구(46)로부터 외기를 흡입하고, 챔버(42a)내에 도 14 중 위쪽에의 기류를 발생시킨다. 팬(48)의 회전에 따르는 기류는 약제유지재(50)에 부딪혀 그 약제유지재에 유지된 해충방제성분과 함께 챔버(42b)의 도 14 중 상면에 설치된 배기구(47)에서 챔버(42b) 외부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해충방제성분이 외부로 증발된다.
팬(48)의 직경(B)은 약제유지재(50)의 기류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치수 (C)보다도 작다. 팬(48)과 약제유지재(50)와의 기류방향에 따르는 간격(A)은 소정범위내에 제한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5mm이다.
또한, 팬 구동용 모터(45)는 전지수용부(44)에 수용되는 건전지(43)를 전원으로서, 회전축(45a)를 회전시키고 회전축(45a)에 고정된 팬(48)을 회전 구동한다. 또한, 건전지(43) 대신 일반 가정용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챔버(42a 또는 42b)에 약제유지재(50)의 하부를 걸기 위한 걸림부를 설치할 수 있다. 걸림부로서는 받침, 돌기, 망체 등 실질적으로 걸기 기능을 갖는 것이면 형상은 상관없다. 또한 더욱, 상기 걸림부 대신 약제유지재 바로 아래에 정류판을 배치하고 약제유지재를 아래쪽에서 지지할 수도 있다.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간격(A)은 팬(48)과 걸림부의 간격 및 팬과 정류판의 간격을 각각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해충방제장치(41)의, 팬(48)과 약제유지재(50)와의 기류방향을 따르는 간격(A)이 챔버(42b) 외에 배기되는 풍량 및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측정 시험을 실시한다.
·측정 시험 8
시험은 하기의 조건으로 실시한다. 결과를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다.
팬(48)으로서 시코 기연 회사에서 제조한 프로펠러 팬을 사용함과 동시에, 약제유지용 담체로서 허니컴을 사용하고, 팬(48)과 허니컴의 간격(A)를 변화시켰을 때의 풍속변화를 측정한다. 팬(48), 허니컴, 팬 구동용 모터(45)의 운전전압은 하기의 ① 또는 ②로부터 각각 어느 한 개를 선택하여 조합한다. 실제 조합은 도 15 내지 도 17중에 각각 도시한다. 즉,
프로펠러 팬 : ① 직경 58mm, 날개매수 11장
② 직경 48mm, 날개매수 11장
허니컴 : ① 70×70×15mm, 셀 사이즈 2.2mm,
종이 중량 180g/m2
② 70×70×5mm, 셀 사이즈 2.0mm,
종이 중량 120g/m2
팬 구동용 모터의 운전 전압: ① 1.5V
② 3.0V
도 15는 도 14의 해충방제장치에 있어서, 간격(A)을 변화시킨 경우의 챔버 외부로 배기되는 풍량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에 있어서, 각 절선은 팬, 허니컴 및 팬 구동용 모터의 운전전압의 조합을 변경한 경우의 간격(A) 변화에 대한 풍량의 변화를 도시한다.
어느 쪽의 절선도 간격(A)=20 내지 5mm의 범위에서는 풍량에 거의 변화가 없음을 나타낸다. 한편, 간격(A)=5mm 미만이 되면, 어느 쪽의 절선도 작은 풍량 저하를 나타내지만, 도 16에 도시한 흡인식 팬을 구비한 해충방제장치의 경우에 비교하여 그 저하량은 작다.
도 16은 흡인식 팬을 구비한 해충방제장치에 있어서, 간격(A)를 변화시킨 경우의 챔버 외부로 배기되는 풍량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에 있어서, 각 절선은 팬, 허니컴 및 팬 구동용 모터의 운전전압의 조합을 변경한 경우의 간격(A) 변화에 대한 풍량의 변화를 도시한다.
어느 쪽의 절선도 간격(A)=20 내지 5mm의 범위에서는 간격(A)이 작아짐에 따라서 풍량이 서서히 저하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간격(A)=5mm 미만이 되면 어느 쪽의 절선도 풍량의 급격한 저하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4의 해충방제장치 및 흡인식 팬을 구비한 해충방제장치에 있어서, 간격(A)의 변화에 대한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에 있어서, 절선 D는 도 14의 해충방제장치의 간격(A) 변화에 대한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 변화를 도시한다. 또한 절선 E는 흡인식 팬을 구비한 해충방제장치의 간격(A) 변화에 대한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 변화를 도시한다.
어느 쪽의 절선 D, E에 있어서도 간격(A)=20 내지 5mm의 범위에서는 간격(A)이 작아짐에 따라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이 서서히 저하한다. 그러나, 절선 D쪽이 절선 E에 비교하여 저하 정도가 꽤 작다.
또한, 간격(A)=5mm미만이 되면 절선 E에서는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이 급격히 저하한다. 그 저하 정도는 도 16에 도시한 풍량의 저하보다도 더욱 크다. 그러나 절선 D에서는 간격(A)=20 내지 5mm의 범위에서의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으로부터, 증발량이 저하하지만, 저하의 정도는 절선 E의 경우에 비교하여 지극히 작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압출식 팬(48)을 사용함과 동시에 팬(48)의 직경(B)을 약제유지재(도시하지 않음)의 기류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치수(C)보다도 작고, 더욱 팬(48)과 약제유지재(50)와의 기류 방향을 따르는 간격(A)을 5mm정도로 함으로써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 저하의 억제와, 장치(41)의 소형화라는 상반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팬(48)과 배기구(47) 사이에 약제유지재(50)가 설치되는 소위 압출식이고, 팬(48)과 약제유지재(50)가 소정 간격(5mm 정도)으로 근접배치된다. 또한 팬(48)의 직경(B)은 약제유지재(50)의 기류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치수(C)보다도 작다. 따라서, 해충방제성분의 증발치 저하 등의 기능저하를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해충방제성분의 증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8에 도시한 해충방제장치(61)는 약제유지재인 네트(70)를 갖는 약제실(69), 직류모터(65)와 팬(68)을 갖는 팬실(62), 전지(63)를 수용하는 전지수용실(64)로 이루어진다.
네트(70)는 당초 거기에 약제를 유지시켜 놓더라도, 그 약제의 유지량은 그 만큼 크지 않으니까,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는 중에 증발하여 약제 효과가 없어져 버리므로, 이 네트(70)에 약제를 연속적으로 공급해 줄 필요가 있다. 그래서 지지틀(70a)에 의해 약제실(69)에 장착된 네트(70) 일단에, 아래쪽이 개방되고 세 방면이 약제 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진 상자형 약제유지 공급부(71)가 설치된다. 그 약제유지 공급부(71)의 내부에는 약제를 함유하는 겔 형상물(72)이 충전되고, 상기 겔 형상물(72)로부터 약제가 네트(70) 전체에 공급된다.
겔 형상물로 하기 위해서는 겔화제를 사용하지만, 그 겔화제로서는 공지의 것 중에서도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는 예컨대, 금속 비누, 지방산과 그 염, 긴 사슬 알칼리 인산의 금속염, 하이드록시산, POE 알콜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셀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에탄울 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겔 형상물의 성상에 관해서는 겔 형상물의 점도가 크고, 비교적 딱딱한 것이어서 겔 형상물 중의 약액이 스며들기 시작해서 약제유지체에 이행하는 상태로 될 수도 있고, 또한 겔 형상물의 점도가 낮아 약액이 점조액의 형태로 약제 공급부에서 흘러 나와 약제유지체에 이행할 수도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겔화제가 약제유지재의 약제 증발면에 퍼져 약제 증발면의 면적을 크게 하든지 혹은 약제 증발면에서의 약제유지량을 크게 하는 작용을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약제유지용재가 네트 형상체인 경우 약제 증발면의 면적을 크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약제유지재에 공급하는 약제는 살충제 또는 방충제 등의 해충방제성분, 대기중에 그 성분을 증발시키는 것으로 일정한 효과를 얻는 약제이면, 특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약제유지재에 공급하는 약제로서, 실시예(1)에 사용한 해충방제제 성분이나 실시예(3)에 사용한 방향제를 들 수 있다.
약제유지재에 해충방제성분 및/또는 각종 약제를 공급하기 때문에, 약제유지재에 유지시키는 약제의 양은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는다. 상기 약제(해충방제성분 등)를 겔 형상물에 함유시키는 경우, 통상이면 겔 형상물 중에 2 내지 500mg/g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mg/g의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네트에 대한 1일당 약액의 공급량을 구체적 예를 나타내면 예컨대 60×60mm 크기의 네트로, 12시간/일로 1개월 사용하는 경우에는 트랜스풀트린에서는 30 내지 360mg/네트, 테라렌스린에서는 50 내지 750mg/네트, S1295에서는 40 내지 500 mg/네트가 표시된다.
또한, 약제에는 상기 약제의 존재량, 즉, 약제의 잔류량을 알 수 있도록 약제 혹은 약액에 색소 등을 함유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색소로서는 약액 용제에 가용성인 것이 양호하고, 겔 형상물을 약액이 이동하였을 때에 약액과 동시에 이동하는 것이 좋다. 그와 같은 색소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3,3-비스(1-n-부틸-2-메틸-인돌-3-일)프탈리드,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리드, 1,3-디메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등.
이러한 네트형체에서는 예컨대 그 관통방향에 실질적으로 0.1 내지 10리터/초·m2의 비율로 송풍하고, 유지하고 있는 약제를 공기중에 증발시킨다. 풍량이 0.1 리터/초·m2미만의 경우에는 충분한 증발량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10리터/초·m2를 넘는 경우에는 소요 동력이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도 18에 도시한 약제실(69) 아래 쪽 팬실(62)에는 직류모터(65)가 설치되고, 직류모터(65)의 구동축(65a) 선단에 팬(68)이 설치되고, 팬실(62)의 측면에 배기구(67)가 형성된다.
전지(63)로부터 전류를 흘려 직류모터(65)를 운전하여, 팬(68)이 회전함으로써 윗쪽의 흡기구로부터 외기를 받아드려, 약제 증발면인 네트(70)를 통과시키면 약제를 증발시켜 약제를 함유하는 가스로 되고, 팬(68)에 의해 배기구(67)를 통과하여 해충방제장치(61)로부터 밖으로 나가 해충방제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량의 증발량으로 유효한 약제를 증발시켜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유효량의 약제를 장기에 걸쳐 증발시킬 수 있고, 그 조정이 용이하여 그 약제유지체에 연속하여 약제를 공급할 수가 있고, 더구나 그 약제의 종점 판별이 용이하여 그 판단에 개인차가 없을 정도로 정확하다.
(실시예 6)
도 19는 약제공급수단에 연결된 약제유지용 담체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약제공급수단인 약액 용기(91)는 링 형상이고, 약액(92)이 충전된다. 약액(92)으로서는 겔 형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액(92)은 도면 중에 있어 약액 용기(91) 상면에 설치된 주입구(93)로부터 주입된다. 또한, 약액 용기(91) 상면에는 약제유지용 담체의 끝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94)가 형성된다.
약제유지용 담체인 구(矩)형상 흡액 부재(90)는 그 양 단부(96)를 약액 용기(91)의 삽입구에 삽입시킨다. 양 단부(96)는 약액(92)중에 침지되어 양 단부(96)에 연결된 중앙부(95)에 연속적으로 약액을 공급한다. 중앙부(95)는 허니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구형상 흡액부재에 도면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람을 쐼으로써 구형상 흡액부재(90)에 유지된 약제를 증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형상 흡액부재(90)의 포화 함침량을 넘은 약액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에 걸쳐 약제의 증발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약액 용기(91)의 일부 또는 전체가 반투명 또는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면, 약액(92)의 잔량을 확인하기 쉽다는 이점도 있다.

Claims (24)

  1. 흡기구와 배기구를 갖는 중공 형상의 챔버와, 상기 챔버내에서 흡기구로부터 배기구를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기류의 유로에 설치할 수 있는 약제를 포함하는 약제유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유지재가 상기 기류를 받아 약제성분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무부하시의 소비전류량이 100mA 이하의 직류모터로 이루어진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약제성분의 단위시간당 증발량이 사용환경에 따른 최적량이 되도록 상기 기류의 조건을 조정하는 기류조정수단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기되는 풍량은 0.1 내지 10리터/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날개부를 방사형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유지재는 약제유지용 담체에 상기 약제를 유지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약제유지용 담체는 상기 챔버내의 기류방향에 대해 개방된 통기구를 상기 기류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복수개 병설한 허니컴 형상, 망 형상, 슬릿 형상, 격자 형상 및 천공지(perforated paper) 중 어느 하나이고, 또한 상기 약제를 유지할 수 있는 무기질 또는 유기질의 성형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유지재에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약제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약제공급수단은 상기 약제를 포함한 겔 형상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유지재는 네트 형상체 또는 허니컴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유지재는 셀 사이즈가 2 내지 5mm 범위의 다수의 관통셀을 갖는 허니컴 형상의 약제유지용 담체에 상기 약제를 유지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컴은 200 내지 2500개의 관통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유지재에 대하여, 그 셀의 관통방향에 0.1 내지 10리터/초의 비율로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장치.
  10. 제 5 항에 기재한 해충방제장치에 사용하는 약제조성물은 겔 형상물로 이루어지고, 이 겔 형상물중에 2 내지 500 mg/g 범위의 해충방제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약제공급수단과 약제유지용 담체를 구비하는 해충방제재에 있어서,
    상기 약제공급수단인 약액 용기(91)는 링 형상이고, 약액(92)은 약액 용기(91)의 상면에 형성된 주입구(93)로부터 주입되고, 약액 용기(91)의 상면에는 약제유지용 담체인 흡액부재(90)의 끝부분을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구(94)가 형성되고, 상기 흡액부재의 양 단부(96)는 약액(92)중에 침지되고, 양단부(96)에 연결된 중앙부(95)에 연속적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재.
  16. 흡기구(6) 및 배기구(7)를 갖는 챔버(2)와,
    기류를 흡기구(6)로부터 배기구(7)로 송풍하는 팬(8)을 구비하며 상기 챔버내에 설치되는 송풍수단과,
    해충방제성분을 유지한 담체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2)내에 설치되는 약제유지재(10)와,
    무부하시 100 mA 이하의 전류를 소비하는 직류모터(5)를 구비하는 팬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장치(1)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팬(8)이 약제유지재(10)의 표면을 가로지르는 기류를 발생시켜서 약제성분을 증발 및 확산시키며, 상기 기류가 배기구(7)에서 0.1 내지 10리터/초가 되도록 상기 모터(5)에 의해 상기 팬(8)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충방제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사용조건에 따라 약제성분의 증발량을 최적으로 하기 위해서 기류를 조정하는 기류조정수단을 설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해충방제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조정수단은 기류 흐름에 설치된 약제유지재(10)이거나 또는 독립된 기류조정기이거나 또는 그들의 조합체인 해충방제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유지재(10)는 그 위에 약제를 유지하고,
    상기 약제유지재는 상기 챔버내의 기류방향에 대해 개방된 통기구를 상기 기류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복수개 병설한 허니컴 형상, 망 형상, 슬릿 형상, 격자 형상 및 천공지(perforated paper) 중 어느 하나이고, 또한 상기 약제를 유지할 수 있는 무기질 또는 유기질의 성형재료로 이루어지는 해충방제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약제를 약제유지재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약제를 함유하는 겔 형상물인 해충방제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유지재는 네트 구조(70) 또는 허니컴 구조(10a)를 구비하는 해충방제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유지재는 상기 약제를 유지하는 허니컴이고, 상기 허니컴은 셀 사이즈가 2 내지 5mm 범위인 다수의 관통셀을 갖는 해충방제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컴은 200 내지 2500개의 관통셀을 갖는 해충방제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는 셀의 관통방향에 0.1 내지 10리터/초로 송풍하는 해충방제방법.
KR10-1999-7001957A 1997-07-10 1998-01-30 해충방제장치 KR100482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528497A JP3802196B2 (ja) 1997-07-10 1997-07-10 害虫防除装置
JP97-185284 1997-07-10
JP97-260404 1997-09-25
JP9260404A JPH1192303A (ja) 1997-09-25 1997-09-25 薬剤保持用担体、薬剤保持材及び薬剤の揮散方法
JP97-272751 1997-10-06
JP27275197A JP3781230B2 (ja) 1997-10-06 1997-10-06 害虫防除成分の揮散調整方法
JP97-346510 1997-12-16
JP34651097A JP3818764B2 (ja) 1997-12-16 1997-12-16 害虫防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518A KR20000068518A (ko) 2000-11-25
KR100482909B1 true KR100482909B1 (ko) 2005-04-14

Family

ID=2747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957A KR100482909B1 (ko) 1997-07-10 1998-01-30 해충방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25717B1 (ko)
KR (1) KR100482909B1 (ko)
CN (1) CN1288971C (ko)
AU (1) AU5679598A (ko)
WO (1) WO19990020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71B1 (ko) 2013-12-16 2015-01-02 (주)원케미칼 수목이나 거치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해충 포집용 잠복소 및 이를 이용한 해충의 제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4079B1 (en) * 1999-06-04 2003-03-18 S. C. Johnson & Son, Inc. Passive space insect repellant strip
IL150429A0 (en) * 2000-03-06 2002-12-01 Fumakilla Ltd Fan type chemicals diffusing device
US6926902B2 (en) * 2002-02-22 2005-08-09 Dainhon Jochugiku Co., Ltd. Insecticide transpiration apparatus
US7459168B2 (en) 2002-02-22 2008-12-02 Dainihon Jochugiku Co., Ltd. Insecticide transpiration apparatus
KR100484887B1 (ko) * 2002-05-10 2005-04-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천연 모기 기피제 조성물
US6854208B1 (en) * 2003-05-13 2005-02-15 Intermatic Incorporated Light fixture and chemical distribution device
GB2407771A (en) * 2003-11-07 2005-05-11 Reckitt Benckiser Packaging means for emanating pyrethroid effective in controlling flying insects
GB2407770A (en) * 2003-11-07 2005-05-11 Reckitt Benckiser Produ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ying insects
BRPI0417764B1 (pt) * 2003-12-25 2016-05-10 Fumakilla Ltd aparelho difusor de produto químico tipo ventilador, e, cartucho de produto químico
JP4634031B2 (ja) * 2003-12-25 2011-02-16 フマキラー株式会社 送風式薬剤拡散装置
KR100770303B1 (ko) * 2006-12-26 2007-10-2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권취설비내 곤충 박멸장치
DE202007017927U1 (de) * 2007-12-21 2008-04-30 Air & D - Sarl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Räumen
US8231887B2 (en) 2008-04-11 2012-07-31 Basf Corporation Pesticidal compositions
KR101218110B1 (ko) * 2010-06-24 2013-01-03 배재환 양봉용 구제약품 기화 장치
US9457117B2 (en) * 2011-02-09 2016-10-04 Firmenich Sa Emanator element for volatile liquids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TWI563915B (zh) * 2011-12-27 2017-01-01 大日本除蟲菊股份有限公司 含有揮發性藥劑之結構體
US10694747B2 (en) 2012-11-21 2020-06-30 S. C. Johnson & Son, Inc. Dispenser comprising only one single hinge
US9149031B2 (en) 2013-09-13 2015-10-06 S.C. Johnson & Son, Inc. Portable area repellent device
US9352062B2 (en) 2013-10-30 2016-05-31 S.C. Johnson & Son, Inc. Wearable chemical dispenser
WO2015161266A1 (en) 2014-04-17 2015-10-22 Lamar Thompson Fragrance delivery system, devices, and methods
US10383969B1 (en) 2014-04-17 2019-08-20 Rimports, LLC—A Sterno Group Company Elements for dispersing fragrance
US9352064B2 (en) 2014-06-05 2016-05-31 S. C. Johnson & Son, Inc. Wearable chemical dispenser
EP3174561A4 (en) 2014-07-30 2019-07-24 GPCP IP Holdings LLC AIR FRESH DISPENSERS, CARTRIDGES THEREOF, SYSTEMS AND METHOD
CN104200802B (zh) * 2014-08-27 2018-04-06 江苏东方创意文化产业有限公司 香味风铃
PL3228190T3 (pl) * 2014-12-05 2019-11-29 Shikoku Cage Co Ltd Pułapka na insekty
US9968701B2 (en) 2015-07-29 2018-05-15 Caffco International Ltd. Scented fan fragrance delivery system
US11986578B2 (en) * 2017-05-30 2024-05-21 Firmenich Sa Malodour counteracting and fragrance delivery system
KR102216156B1 (ko) * 2017-11-13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의 전환에 관련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196010A (zh) * 2017-12-29 2018-06-22 中山赛特奥日用科技有限公司 一种挥发效果的测试方法
US11464882B2 (en) * 2020-01-10 2022-10-11 1St Sense Technologies Llc Dry diffuser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626A (en) * 1986-12-22 1989-02-07 Hunter's Specialties, Inc. Molded scent impregnated devices
EP0775441A1 (en) * 1994-08-08 1997-05-28 Earth Chemical Co., Ltd. Insect pest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54U (ko) 1978-06-20 1980-01-07
JPH0140458Y2 (ko) * 1985-05-02 1989-12-04
JP3489691B2 (ja) * 1993-08-23 2004-01-26 アース製薬株式会社 ファン式殺虫・防虫方法及びその装置
JP3498858B2 (ja) * 1994-03-01 2004-02-23 アース製薬株式会社 揮散性薬剤の拡散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626A (en) * 1986-12-22 1989-02-07 Hunter's Specialties, Inc. Molded scent impregnated devices
EP0775441A1 (en) * 1994-08-08 1997-05-28 Earth Chemical Co., Ltd. Insect pest control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71B1 (ko) 2013-12-16 2015-01-02 (주)원케미칼 수목이나 거치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해충 포집용 잠복소 및 이를 이용한 해충의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518A (ko) 2000-11-25
CN1288971C (zh) 2006-12-13
EP0925717A4 (en) 2000-09-13
WO1999002032A1 (fr) 1999-01-21
EP0925717B1 (en) 2008-10-15
EP0925717A1 (en) 1999-06-30
AU5679598A (en) 1999-02-08
CN1239401A (zh) 1999-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909B1 (ko) 해충방제장치
JP4191243B2 (ja) 害虫防除方法
KR100766837B1 (ko) 팬 타입 약제 확산 장치
JP3818764B2 (ja) 害虫防除装置
JPH11308955A (ja) 害虫防除方法
JPH1192303A (ja) 薬剤保持用担体、薬剤保持材及び薬剤の揮散方法
JP4790508B2 (ja) 害虫防除方法及び害虫防除用装置
JP2003061545A (ja) 薬剤揮散装置
JPH1128040A (ja) 害虫防除装置
JP2003009747A (ja) 送風式薬剤揮散装置
JPH09308421A (ja) 防虫材
JP3781230B2 (ja) 害虫防除成分の揮散調整方法
JPH08231321A (ja) 害虫の刺咬行動抑制剤および害虫の刺咬行動を抑制する方法
JP2001103899A (ja) 薬剤拡散装置
JP2004242668A (ja) 薬剤揮散具及びこれ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JP2004123702A (ja) 屋内衛生害虫駆除剤および屋内衛生害虫駆除方法
JPH11187799A (ja) 害虫防除装置
JP2002027891A (ja) 蒸散装置
JP2005143429A (ja) 薬剤揮散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