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516B1 -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516B1
KR100481516B1 KR10-2002-0065417A KR20020065417A KR100481516B1 KR 100481516 B1 KR100481516 B1 KR 100481516B1 KR 20020065417 A KR20020065417 A KR 20020065417A KR 100481516 B1 KR100481516 B1 KR 100481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licker
auto focus
autofocus
f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401A (ko
Inventor
윤수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516B1/ko
Publication of KR2004003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포커스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CCD와, CCD를 통해 변환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디지털 영상신호를 색차신호 및 휘도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및 자동 초점 데이터를 기초로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영기기의 제어방법은, 디지털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을 확인하여 플리커의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플리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보정하여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수행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촬영기기를 가지고 방송방식이나 전원시스템이 다른 지역에서 촬영을 하는 경우 발생되는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를 보정함으로써, 촬영기기의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있어 촬영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A moving-camera having auto focus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및 전원시스템 방식이 다른 지역에서 촬영하는 경우 발생하는 플리커 현상을 보정할 수 있는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시스템 방식은 NTSC방식, PAL방식 및 SECAM방식 등이 있다. 각 방식의 차이는 프레임주파수, 1프레임 당 주사선의 수 및 컬러화방식의 차이에 있다. NTSC방식을 사용하는 지역은 60Hz의 전원주파수를 사용하고, PAL지역은 50Hz의 전원주파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NTSC용 세트를 가지고 PAL지역에서 촬영을 하거나, PAL용 세트를 가지고 NTSC지역에서 촬영할 경우 세트의 신호처리주기와 그 지역의 전원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플리커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플리커는 모니터나 텔레비전의 화면이 주기적으로 깜박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캠코더 등의 촬영기기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찰영하는 경우 피사체에 대한 정확한 화상을 재현하기 위해 포커스 렌즈를 조절하고 있다. 자동 초점 조절은 장치내의 마이컴이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자동 초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 이동에 따른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자동 초점 데이터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피사체의 정초점(PF)의 위치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며, 포커스 렌즈가 정초점(PF)의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작은 값을 갖는다. 따라서,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자동 초점 데이터가 커지는 방향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다가, 자동 초점 데이터가 작아지면 자동 초점 데이터가 가장 큰 값을 갖는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도 2는 플리커가 존재하는 경우, 포커스 렌즈의 위치 이동에 따른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플리커가 포함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자동 초점 데이터는 플리커의 영향으로 불규칙적인 증감을 나타낸다. 따라서, 자동 초점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자동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으로는 포커스의 렌즈를 정초점에 맞추기 어렵다. 즉, 포커스 렌즈를 움직이지 않아도 플리커에 의해 자동 초점 데이터가 변화기 때문에 초점이 맞는 위치를 찾기 어렵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스템차이에 의한 플리커현상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플리커가 발생된 경우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를 보정하여 플리커성분이 제거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있는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CCD와, 상기 CCD를 통해 변환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색차신호 및 휘도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및 상기 자동초점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영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을 확인하여 플리커의 발생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플리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플리커에 의한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보정하여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 확인결과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이 소정의 주기를 가지면 상기 플리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는 필드단위로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필드에 대응하는 자동 초점 데이터에 상기 플리커에 의한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데이터를 가산하여 상기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전필드 전의 소정 주기 동안 입력된 자동 초점 데이터들의 평균값에서 상기 이전필드에 대응하는 자동 초점 데이터를 감산하여 상기 보정데이터를 산출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포커스 렌즈와, CCD를 통해 변환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색차신호 및 휘도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및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영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을 확인하여 플리커의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의 검출결과, 상기 플리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플리커에 의한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보정하여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산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 확인결과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이 소정의 주기를 가지면 상기 플리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는 필드단위로 입력되며, 상기 (b) 단계는 현재필드에 대응하는 자동 초점 데이터에 상기 플리커에 의한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데이터를 가산하여 상기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이전필드 전의 소정 주기 동안 입력된 자동 초점 데이터들의 평균값에서 상기 이전필드에 대응하는 자동 초점 데이터를 감산하여 상기 보정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의 제어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100)는 렌즈부(110), 렌즈구동부(115), 광전변환부(120), 샘플/자동이득조절부(130), A/D 변환부(140), 디지털 신호처리부(150) 및 제어부(160)를 구비한다.
렌즈부(110)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 있어서, 피사체의 상(image)을 입력받는 포커스 렌즈(미도시)와 피사체를 확대/축소하는 줌잉(zooming) 기능을 수행하는 줌렌즈(미도시)를 포함한다.
렌즈구동부(115)는 후술할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렌즈부(110)에 포함된 포커스 렌즈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포커스 모터(미도시) 및 줌렌즈를 지지하여 피사체의 배율을 조절하는 줌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한다.
광전변환부(Charge Coupled Device, 이하 'CCD'라 칭함)(120)는 렌즈부(110)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샘플(Correlated Double Sampling, '이하 CDS'라 칭함)/자동이득조절부(Automatic Gain Control, 이하 'AGC'라 칭함)(130)는 CCD(12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잡음의 제거 및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이 항상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이득을 자동으로 증폭 및 조절한다. 즉, CDS/AGC(130)는 CCD(120)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샘플링 하여 소정의 이득값을 갖도록 이득을 조절하는 것이다.
A/D 변환부(140)는 CDS/AGC(13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 이하 'DSP'라 칭함)(150)는 A/D 변환부(140)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처리된 영상신호를 NTSC 또는 PAL 방식에 적합한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Cb, Cr)로 분리한다. 바람직하게는, DSP(150)는 휘도신호(Y)로부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저역통과필터 및 고역통과필터(미도시)를 구비한다. DSP(150)는 자동 초점, 자동 노출, 자동 색온도 보정 및 손떨림 보정 등의 자동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제어부(160)는 DSP(150)로부터 입력받은 자동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촬영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초점 데이터를 이용한 포커스 렌즈의 자동 초점 조절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60)는 DSP(150)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을 확인하여 플리커(Flicker)의 발생여부를 검출한다. 플리커는 모니터나 텔레비전의 화면이 주기적으로 깜박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으로, NTSC용 세트를 가지고 PAL지역에서 촬영을 하거나, PAL용 세트를 가지고 NTSC지역에서 촬영을 하는 경우 세트의 신호처리주기와 그 지역의 전원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NTSC 지역의 전원주파수의 주기는 1/60초이고, PAL 지역의 전원주파수의 주기는 1/50초이다. 따라서, NTSC 전원주파수의 주기와 PAL 전원주파수의 주기가 교차되는 주기는 1/10초이다. 그러므로 NTSC용 세트를 가지고 PAL 지역에서 촬영하는 경우 6필드(Filed)의 주기를 갖는 플리커가 발생한다. 반대로 PAL용 세트를 가지고 NTSC 지역에서 촬영을 하는 경우 5필드(Filed)의 주기를 갖는 플리커가 발생한다.
이는 포커스 렌즈가 정지되어 있다면, NTSC용 세트에서는 6필드를 주기로 같은 자동 초점 데이터가 반복되며, PAL용 세트에서는 5필드를 주기로 자동 초점 데이터가 반복됨을 의미한다. 즉,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는 6필드 또는 5필드를 주기로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이 일정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NTSC용 세트를 가지고 PAL 지역에서 촬영을 하는 경우, 이전 6필드간의 자동 초점 데이터가 증가/증가/증가/감소/감소/감소의 증감패턴을 갖는다면 현재의 6필드간의 자동 초점 데이터도 상기와 같은 증감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DSP(150)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을 확인하여 플리커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 확인결과 플리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데이터를 산출한다.
제어부(160)는 이전필드 전의 소정 주기 동안 입력된 자동 초점 데이터들의 평균값에서 이전필드의 자동 초점 데이터를 감산하여 보정데이터를 산출한다. 이는 DSP(150)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이 소정의 주기성을 갖는다면,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은 이전 주기(NTSC의 경우 6필드, PAL의 경우 5필드)에 플리커에 의해 발생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과 같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즉, 플리커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므로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도 주기적으로 비슷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DSP(150)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이 6필드를 주기로 반복되는 경우,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데이터를 산출한다.
보정데이터 = 6필드 전의 AF DATA X의 6필드 평균 - 6필드 전의 AF DATA X
여기서, AF DATA X는 현재 입력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제어부(160)는 [수학식 1]과 같이 6필드 전의 자동 초점 데이터의 6필드 평균값에서 6필드 전의 자동 초점 데이터를 감산한 값을 플리커에 의한 변화량으로 판단하여 플리커의 보정데이터로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DSP(150)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이 5필드를 주기로 반복되는 경우, 다음 [수학식 2]에 의해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데이터를 산출한다.
보정데이터 = 5필드 전의 AF DATA X의 5필드 평균 - 5필드 전의 AF DATA X
여기서, AF DATA X는 현재 입력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의미한다.
[수학식 2]와 같이 제어부(160)는 5필드 전의 자동 초점 데이터의 5필드 평균값에서 5필드 전의 자동 초점 데이터를 감산한 값을 플리커에 의한 변화량으로 판단하여 플리커의 보정데이터로 결정한다.
제어부(160)는 현재필드에 대응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에 산출된 보정데이터를 가산하여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산출한다. 이때,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는 다음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된다.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 = AF DATA X + 보정데이터
여기서, AF DATA X는 현재 입력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의미한다.
제어부(160)는 플리커성분을 제거한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 초점 데이터가 최대가 되도록 렌즈구동부(115)를 제어하여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의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DSP(150)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을 확인한다(S200). 제어부(160)는 DSP(150)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을 확인하여 플리커 발생여부를 판단한다(S210).
S210 단계의 판단결과 플리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보정하여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산출한다(S220).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는 현재필드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에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데이터를 가산하여 산출된다. 여기서, 보정데이터는 이전필드 전의 소정 주기동안 입력된 자동 초점 데이터들의 평균값에서 이전필드에 대응하는 자동 초점 데이터를 감산하여 산출된다.
제어부(160)는 산출된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조절한다(S230).
한편, S210 단계의 판단결과 플리커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현재 입력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조절한다(S240). 즉, 제어부(160)는 촬영기기(100)의 신호처리주기와 피사체가 존재하는 지역의 전원주파수 주기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통상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으로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춘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캠코더나 방송카메라와 같은 촬영기기를 가지고 방송방식이나 전원시스템이 다른 지역에서 촬영을 하는 경우 발생되는 플리커에 의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를 보정함으로써, 촬영기기의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있어 촬영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 이동에 따른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플리커가 존재하는 경우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 이동에 따른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에 대한 블록도,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촬영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촬영기기 110 : 렌즈부
115 : 렌즈구동부 120 : CCD
130 : CDS/AGC 140 : A/D 변환부
150 : DSP 160 : 제어부

Claims (8)

  1. 포커스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CCD와, 상기 CCD를 통해 변환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색차신호 및 휘도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및 상기 자동초점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영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로부터 필드단위로 입력되는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을 확인하여 플리커의 발생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플리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전필드 전의 소정 주기 동안 입력된 자동 초점 데이터들의 평균값에서 상기 이전필드에 대응하는 자동 초점 데이터를 감산하여 보정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보정데이터를 현재필드에 대응하는 자동 초점 데이터에 가산하여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 확인결과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이 소정의 주기를 가지면 상기 플리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3. 삭제
  4. 삭제
  5. 포커스 렌즈와, CCD를 통해 변환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색차신호 및 휘도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및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영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로부터 필드단위로 입력되는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을 확인하여 플리커의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플리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전필드 전의 소정 주기 동안 입력된 자동 초점 데이터들의 평균값에서 상기 이전필드에 대응하는 자동 초점 데이터를 감산하여 보정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한 상기 보정데이터를 현재필드에 대응하는 자동 초점 데이터에 가산하여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한 상기 보정된 자동 초점 데이터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발생여부 검출단계는,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의 주기성 확인결과 상기 자동 초점 데이터의 증감패턴이 소정의 주기를 가지면 상기 플리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의 제어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2-0065417A 2002-10-25 2002-10-25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81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417A KR100481516B1 (ko) 2002-10-25 2002-10-25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417A KR100481516B1 (ko) 2002-10-25 2002-10-25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401A KR20040036401A (ko) 2004-04-30
KR100481516B1 true KR100481516B1 (ko) 2005-04-07

Family

ID=3733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417A KR100481516B1 (ko) 2002-10-25 2002-10-25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74B1 (ko) * 2006-09-14 200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휘도데이터 및 af데이터를 이용한 오토포커스 방법 및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JP2008083338A (ja) * 2006-09-27 2008-04-10 Fujitsu Ltd Af検波の光学ズーム補正撮像装置
JP7254592B2 (ja) * 2019-03-29 202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0076A (ja) * 1991-04-08 1992-11-02 Olympus Optical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シングシステム
JPH07177415A (ja) * 1993-12-20 1995-07-14 Hitachi Ltd 自動合焦装置
JPH07298119A (ja) * 1994-04-25 1995-11-10 Canon Inc 自動合焦装置
JPH09284634A (ja) * 1996-04-17 1997-10-31 Sony Corp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0076A (ja) * 1991-04-08 1992-11-02 Olympus Optical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シングシステム
JPH07177415A (ja) * 1993-12-20 1995-07-14 Hitachi Ltd 自動合焦装置
JPH07298119A (ja) * 1994-04-25 1995-11-10 Canon Inc 自動合焦装置
JPH09284634A (ja) * 1996-04-17 1997-10-31 Sony Corp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401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9528B2 (ja) 自動焦点検出装置
US755122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utomatic focus lens, when auto focusing cannot be conducted focus lens is driven based on stored information of distance to object
US6034726A (en) Image generating device having automatic focus correction based on a detected change in an iris position or in a zoom lens position
JP2851713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US650736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for varying filter characteristics for focus adjustment
JP3401847B2 (ja) 撮像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回路
KR100481516B1 (ko)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H08265631A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4003246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KR19980054704A (ko)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JPH0933792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446557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3786234B2 (ja) 画像信号検波回路
JP2742741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3825850B2 (ja) 撮像装置
JP2004070037A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3032050B2 (ja) 自動焦点検出装置
JPH0686141A (ja) 自動焦点制御装置
JP3961161B2 (ja) デジタルスチルビデオカメラおよびその合焦制御方法
KR20060004252A (ko) 자동 초점 조절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JP3841241B2 (ja) カメラのピント調整方法
KR100244566B1 (ko) 화면중심이탈 보정량 산출 및 보정방법
JP3441882B2 (ja) 撮像装置
JPH03134605A (ja) 自動焦点検出装置
KR20060004253A (ko) 촬영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