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704A -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704A
KR19980054704A KR1019960073870A KR19960073870A KR19980054704A KR 19980054704 A KR19980054704 A KR 19980054704A KR 1019960073870 A KR1019960073870 A KR 1019960073870A KR 19960073870 A KR19960073870 A KR 19960073870A KR 19980054704 A KR19980054704 A KR 19980054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value
signal
digital
detecting
z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0011B1 (ko
Inventor
이승억
박진수
여명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73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011B1/ko
Priority to US08/997,849 priority patent/US6239838B1/en
Priority to DE19757800A priority patent/DE19757800C2/de
Publication of KR1998005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탈 줌에 의해 보여지는 최종 출력 화면과 연동하여 이 영상신호로부터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함으로써, 줌신호 처리와 자동 촛점 조절(AF) 동작을 보다 긴밀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메라에서 AF를 위한 신호는 CCD출력신호를 바로 평가치 검출신호로 사용하기 때문에 포커스 영역 밖의 피사체에 대해서 줌인/아웃이 실행되면 정확한 포커싱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디지탈신호처리계의 후단에서 평가치 검출신호를 구하여 AF를 실행함으로써 줌된 화상의 피사체에 대한 정확한 AF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탈 줌 처리기에서 출력된 휘도신호를 평가치 검출신호로 이용해서 AF를 실행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광학적 시차현상을 없애고 정확한 AF가 가능하도록 한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탈 줌에 의해 보여지는 최종 출력 화면과 연동하여 이 영상신호로부터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함으로써, 줌신호 처리와 자동 촛점 조절(AF) 동작을 보다 긴밀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메라 장치는 도면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물렌즈,줌렌즈,조리개 등의 렌즈들을 포함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는 광학계(1)와, 상기 광학계(1)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의 이득을 자동조절하는 AGC회로(2)와, 상기 AGC회로(2)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3)와, 상기 AGC회로(2)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에서 휘도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4) 및 대역통과필터(5)와, 상기 대역통과필터(5)에서 출력된 휘도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6)와, 상기 변환된 디지탈 휘도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줌영역의 가변을 수행하는 영역 가변부(7)와, 상기 영역 가변부(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AF를 위한 평가치(Fv)를 검출하는 평가치 검출부(8)와, 텔레(Tele) 및 와이드(Wide)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평가치 검출부(8)에서 출력된 평가치에 대응하여 광학계(1)의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9)와, 상기 제어부(9)의 제어를 받아 광학계(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0)로 구성된다.
광학계(1)에서 피사체를 촬영한 신호는 CCD를 통해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되고 이 영상신호는 AGC회로(2)를 통해서 이득조절된 후 신호 처리부(3)를 거쳐서 출력됨과 함께, 저역통과필터(4)와 대역통과필터(5)를 통해서 평가치 검출을 위한 휘도신호가 분리되고, 이 휘도신호는 A/D변환기(6)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영역가변부(7)를 통해 줌 영역의 가변이 이루어짐과 함께 평가치 검출부(8)에서 피사체 촬영 휘도신호의 평가치(Fv)가 검출된다.
이 평가치(Fv)는 제어부(9)에 입력되고, 제어부(9)는 외부에서 텔레/와이드신호(T/W)를 받아 구동부(10)를 통해서 광학계(1)를 구동시켜 줌인/아웃을 수행함과 함께, 평가치(Fv)에 따른 AF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카메라에서 AF를 위한 신호는 CCD출력신호를 바로 평가치 검출신호로 사용하기 때문에 포커스 영역 밖의 피사체에 대해서 줌인/아웃이 실행되면 정확한 포커싱이 어려워진다.
즉, AF 평가치 신출 입력 데이타가 AGC회로의 후단에서 입력되기 때문에 디지탈 줌을 실행하면 디지탈 줌에 의한 화면이 실제로 최종출력되는 화면과 다른 피사체에 대하여 포커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실제 피사체와의 광학적 시차(Parallax)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디지탈신호처리계의 후단에서 평가치 검출신호를 구하여 AF를 실행함으로써 줌된 화상의 피사체에 대한 정확한 AF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탈 줌 처리기에서 출력된 휘도신호를 평가치 검출신호로 이용해서 AF를 실행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광학적 시차현상을 없애고 정확한 AF가 가능하도록 한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도는 종래의 카메라 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 카메라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블럭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 카메라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블럭 구성도
제 4 도는 본 발명 카메라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블럭 구성도
제 5 도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 6 도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면 제 2 도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였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피사체 영상신호를 촬영하여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광학계(21)와, 상기 광학계(21)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의 AGC회로(22)와, 상기 AGC회로(22)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휘도 및 칼라 분리하여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기(23)와,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기(23)에서 출력된 디지탈 영상신호에 대하여 디지탈 줌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탈 줌처리부(24)와, 상기 디지탈 줌처리부(24)에서 처리된 휘도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영역가변을 수행하는 영역가변부(25)와, 상기 영역 가변부(25)에서 출력된 디지탈 영상신호의 평가치(Fv)를 검출하는 평가치 검출부(26)와, 상기 평가치 검출부(26)에서 검출된 평가치를 이용해서 AF동작을 제어하고 또 외부에서 입력되는 텔레/와이드신호(T/W)에 대응하여 줌인/아웃 제어를 수행함과 함께, 상기 디지탈 줌처리부(24)를 제어하는 제어부(27)와, 상기 제어부(27)의 제어를 받아 광학계(2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학계(21)는 피사체 촬영 영상신호를 광전변환하여 AGC회로(22)에 입력하고, AGC회로(22)에서 자동 이득 조절된 영상신호는 디지탈 신호 처리기(23)에 입력된다.
디지탈 신호 처리기(23)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로 분리하고 또 각각 신호처리하여 합성된 디지탈 영상신호를 디지탈 줌처리부(24)에 입력한다.
디지탈 줌처리부(24)는 입력된 신호를 줌칼라신호 처리부(24a)와 줌휘도신호 처리부(24b)에서 각각의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탈 줌처리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되는 줌휘도신호는 영역가변부(25)를 통해서 줌영역의 가변이 이루어진 후 평가치 검출부(26)에서 평가치(Fv)가 검출된다.
이 평가치(Fv)는 디지탈 줌 처리된 신호에 대한 평가치이므로 이 평가치(Fv)를 제어부(27)가 입력받아서 구동부(28)를 통해 광학계(21)를 구동시키고 또 줌위치 검출신호(Zp)를 입력받아 줌인/아웃을 적절하게 수행하면, 디지탈 줌처리부(24)에서 최종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줌인/아웃된 영상신호는 서로 광학적 시차없이 일치하는 영상신호이기 때문에 피사체에 정확한 AF가 가능하게 된다.
도면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피사체 영상신호를 촬영하여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광학계(31)와, 상기 광학계(31)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의 AGC회로(32)와, 상기 AGC회로(32)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휘도 및 칼라 분리하여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기(33)와,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기(33)에서 출력된 디지탈 영상신호에 대하여 디지탈 줌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탈 줌처리부(34)와, 상기 디지탈 신호처리기(33)에서 처리된 휘도신호 또는 상기 디지탈 줌처리부(34)에서 처리된 휘도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칭부(35)와, 상기 스위칭부(35)에서 선택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영역가변을 수행하는 영역가변부(36)와, 상기 영역 가변부(36)에서 출력된 디지탈 영상신호의 평가치(Fv)를 검출하는 평가치 검출부(37)와, 상기 평가치 검출부(37)에서 검출된 평가치를 이용해서 AF동작을 제어하고 또 외부에서 입력되는 텔레/와이드신호(T/W)에 대응하여 줌인/아웃 제어를 수행함과 함께,디지탈 줌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35)를 제어하고 또 상기 디지탈 줌처리부(34)를 제어하는 제어부(38)와, 상기 제어부(38)의 제어를 받아 광학계(3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학계(31)는 피사체 촬영 영상신호를 광전변환하여 AGC회로(32)에 입력하고, AGC회로(32)에서 자동 이득 조절된 영상신호는 디지탈 신호 처리기(33)에 입력된다.
디지탈 신호 처리기(33)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A/D변환기(33a)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Y/C분리회로(33b)에서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로 분리하고 또 칼라처리부(33c) 및 휘도처리부(33d)에서 각각 신호처리하여 합성된 디지탈 영상신호를 디지탈 줌처리부(34)에 입력한다.
또 상기 휘도처리부(33d)에서 처리된 디지탈휘도신호(DSP_Y)를 스위칭부(35)의 일단에 입력한다.
한편, 디지탈 줌처리부(34)는 입력된 신호를 줌칼라신호 처리부(34a)와 줌휘도신호 처리부(34b)에서 각각의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탈 줌처리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여기서 출력되는 줌휘도신호(D_Y)는 스위칭부(35)의 다른 일단에 입력한다.
상기 스위칭부(35)는 제어부(38)의 제어를 받아 스위칭 전환되어 디지탈 신호처리기(33)의 휘도신호(DSP_Y) 또는 디지탈 줌처리부(34)에서 출력된 휘도신호(D_Y)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영역 가변부(36)에 입력한다.
즉,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어부(35)는 AF모드에서 광학계(31)로부터 검출되는 줌위치(Zp)신호를 입력받고, 현재 디지탈 줌모드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판단 결과 디지탈 줌모드이면 제어부(38)는 스위칭부(35)를 제어하여 디지탈 줌처리부(34)의 휘도신호(D_Y)를 선택하게 하고, 여기서 선택된 신호가 영역 가변부(36)를 통해서 평가치(Fv)검출부(37)에 입력되게 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 평가치 검출부(37)는 디지탈 줌처리된 휘도신호(D_Y)의 평가치를 검출하게 되고, 이 검출된 평가치를 제어부(38)가 입력받아서 일정 레벨 이상인가를 비교 판단한다.
레벨 비교 판단은 포커싱이 가능한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일정레벨 이상이면 제어부(38)에서 구동부(39)를 통해 광학계(31)를 제어하여 AF를 실행한다.
또, 제어부(38)에서는 텔레/와이드 신호(T/W)에 대응하여 디지탈 줌처리부(34)를 제어함과 함께 영역 가변부(36)를 제어하여 디지탈 줌영역을 가변시키는데, 평가치 검출부(37)는 이와같이 줌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한 평가치(Fv)를 검출하게 되므로 AF시에 신호처리와 AF동작을 상호 관련하여 긴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지탈 줌이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38)에서 스위칭부(35)를 제어하여 디지탈 신호처리기(33)의 휘도신호(DSP_Y)를 영역 가변부(36)를 통해 평가치 검출부(37)에 입력시킨다.
또는 상기 디지탈 줌처리된 휘도신호(D_Y)가 일정 레벨에 미달되는 경우 즉, 디지탈 줌에 의한 영상에 대한 포커싱이 어려운 경우에도 스위칭부(35)가 휘도신호(DSP_Y)를 선택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디지탈 신호처리된 휘도신호(DSP_Y)의 평가치(Fv)를 검출하게 되고, 이 평가치(Fv)를 제어부(38)가 입력받아 상기한 바와같이 AF실행 및 영역 가변부(25)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면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피사체 영상신호를 촬영하여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광학계(41)와, 상기 광학계(41)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의 AGC회로(42)와, 상기 AGC회로(42)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휘도 및 칼라 분리하여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기(43)와,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기(43)에서 출력된 디지탈 영상신호에 대하여 디지탈 줌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탈 줌처리부(44)와, 상기 디지탈 신호처리기(43)에서 출력된 휘도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영역가변을 수행하는 영역가변부(45)와, 상기 영역 가변부(45)에서 출력된 디지탈 영상신호의 평가치(Fv)를 검출하는 평가치 검출부(46)와, 상기 평가치 검출부(46)에서 검출된 평가치를 이용해서 AF동작을 제어하고 또 외부에서 입력되는 텔레/와이드신호(T/W)에 대응하여 줌인/아웃 제어를 수행함과 함께, 영역 가변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7)와, 상기 제어부(47)의 제어를 받아 광학계(4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학계(41)는 피사체 촬영 영상신호를 광전변환하여 AGC회로(42)에 입력하고, AGC회로(42)에서 자동 이득 조절된 영상신호는 디지탈 신호 처리기(43)에 입력된다.
디지탈 신호 처리기(43)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A/D변환기(43a)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Y/C분리회로(43b)에서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로 분리하고 또 칼라처리부(43c) 및 휘도처리부(43d)에서 각각 신호처리하여 합성된 디지탈 영상신호를 디지탈 줌처리부(44)에 입력한다.
한편, 디지탈 줌처리부(44)는 입력된 신호를 내부의 줌칼라신호 처리부와 줌휘도신호 처리부에서 각각의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탈 줌처리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디지탈 신호처리기(43)에서 처리된 휘도신호는 영역 가변부(45)에 입력되고, 영역 가변부(45)에 처리된 신호는 평가치 검출부(46)에서 그 평가치(Fv)를 검출하여 제어부(47)에 입력한다.
제어부(47)는 입력된 평가치를 비교 판단하여 AF제어를 실행한다.
즉,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어부(47)는 AF모드에서 광학계(41)로부터 검출되는 줌위치(Zp)신호를 입력받고, 현재 디지탈 줌모드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판단 결과 디지탈 줌모드이면 제어부(47)는 디지탈 줌처리부(44)를 제어하여 줌인/아웃 제어를 수행하고 이때의 광학적인 줌영역(Fo)을 저장해둔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이 디지탈 줌상태로 영역 가변부(45)를 제어하여 영역가변을 수행한 다음 이 것에 의해서 평가치 검출부(46)로부터 검출된 평가치(Fv)를 입력받아 이 평가치(Fv)가 일정 레벨 이상인가를 비교 판단한다.
레벨 비교 판단은 포커싱이 가능한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일정레벨 이상이면 제어부(47)에서 구동부(48)를 통해 광학계(41)를 제어하여 AF를 실행한다.
그러나,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평가치(Fv)가 일정 레벨에 미달되는 경우 즉, 영상에 대한 포커싱이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저장해둔 광학줌 영역(Fo)으로 영역 가변을 수행하고 AF제어를 실행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에 의하면, 디지탈 신호처리기 후단 또는 디지탈 줌처리부 후단의 영상신호를 포커싱을 위한 평가치로 검출하기 때문에 디지탈 신호 처리기 또는 디지탈 줌처리부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AF동작이 제어된다.
그러므로, 피사체 촬영신호 처리와 AF동작을 보다 긴밀하게 할 수 있고, AF 특히, 디지탈 줌동작시에 AF의 틀어짐을 장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피사체 촬영수단과, 상기 변환된 영상신호를 휘도 및 칼라신호에 대하여 디지탈 신호처리하고 또 디지탈 줌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의 디지탈 줌처리된 신호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그 평가치를 검출하는 평가치 검출수단과, 상기의 평가치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평가치에 근거하여 AF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어수단은 디지탈 줌제어시에 광학줌 영역을 저장하고, 이때의 디지탈 신호에 대한 평가치를 검출하여 소정의 기준레벨과의 비교 판단 결과에 따라 AF를 실행하거나 또는 광학줌 영역으로 가변하여 AF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3.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피사체 촬영수단과, 상기 변환된 영상신호를 휘도 및 칼라신호에 대하여 디지탈 신호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디지탈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탈 줌처리하는 디지탈 줌처리수단과, 상기의 디지탈 처리된 신호 또는 줌처리된 신호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의 스위칭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그 평가치를 검출하는 평가치 검출수단과, 상기의 디지탈 줌여부에 따라 스위칭수단을 전환 제어하여 이때의 평가치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평가치에 근거하여 AF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어수단은 디지탈 줌모드인 경우 디지탈 줌처리수단의 출력신호의 평가치를 검출하여 소정의 기준레벨과의 비교 판단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AF실행 및 영역가변을 실행하거나, 또는 디지탈 줌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디지탈 신호처리수단의 출력신호의 평가치를 검출하여 AF실행 및 영역가변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의 디지탈 줌신호에 대한 평가치의 비교 판단 결과 소정의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디지탈 신호처리수단의 출력신호의 평가치를 검출하여 AF실행 및 영역 가변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KR1019960073870A 1996-12-27 1996-12-27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KR100220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870A KR100220011B1 (ko) 1996-12-27 1996-12-27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US08/997,849 US6239838B1 (en) 1996-12-27 1997-12-24 Camera apparatus for detecting focus value engaged to output picture
DE19757800A DE19757800C2 (de) 1996-12-27 1997-12-29 Photographische 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870A KR100220011B1 (ko) 1996-12-27 1996-12-27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704A true KR19980054704A (ko) 1998-09-25
KR100220011B1 KR100220011B1 (ko) 1999-09-01

Family

ID=1949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870A KR100220011B1 (ko) 1996-12-27 1996-12-27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39838B1 (ko)
KR (1) KR100220011B1 (ko)
DE (1) DE1975780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0446B2 (ja) * 2001-01-11 2003-12-22 ミノルタ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4598374B2 (ja) * 2003-06-12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KR100617702B1 (ko) * 2004-01-13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편집 방법
US7920180B2 (en) * 2004-04-06 2011-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device with burst zoom mode
US9955209B2 (en) * 2010-04-14 2018-04-24 Alcatel-Lucent Usa Inc. Immersive viewer, a method of providing scenes on a display and an immersive viewing system
US9294716B2 (en) 2010-04-30 2016-03-22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maging system
US9008487B2 (en) 2011-12-06 2015-04-14 Alcatel Lucent Spatial bookmark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3400A (en) * 1987-08-19 1991-03-26 Hitachi, Ltd. Focusing apparatus of video camera or the like
JP3041969B2 (ja) * 1990-12-27 2000-05-15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
KR940007163B1 (ko) * 1991-07-09 1994-08-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캠코더의 피사체 자동추적장치
JP2977979B2 (ja) * 1991-11-28 1999-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
US5867217A (en) * 1992-01-08 1999-02-02 Canon Kabushiki Kaish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lens position control device
US5345264A (en) * 1992-02-27 1994-09-06 Sanyo Electric Co., Ltd.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video camera using a luminance signal
US6236431B1 (en) * 1993-05-27 2001-05-22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camera apparatus with distance measurement area adjusted based on electronic magnification
JP3277051B2 (ja) * 1993-11-18 2002-04-2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の自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57800A1 (de) 1998-07-16
US6239838B1 (en) 2001-05-29
KR100220011B1 (ko) 1999-09-01
DE19757800C2 (de) 200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5243B2 (en) Autofocus apparatus having a flash synchronized to an autofocus sampling time
JPH09200597A (ja) 自動焦点検出装置
JP2008170508A (ja) 撮像装置
JPH0933791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100341253B1 (ko) 자동 촛점 장치
KR100220011B1 (ko)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US650736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for varying filter characteristics for focus adjustment
JP2000338387A (ja) 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JP2003315664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3943610B2 (ja) カメラ及びレンズユニット
US6747704B1 (en) Video camera apparatus capable of simply extracting brightness information used in auto-iris control
JP3485762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3272186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ビデオカメラ
JP2006215285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H0698239A (ja) 自動焦点調節装置
EP1972981A2 (en) Automatic focusing system
KR100215453B1 (ko) 피사체와의 거리 디스플레이기능을 갖는 캠코더
KR0128531B1 (ko) 캠코더의 자동촛점 조절장치
JP2008022080A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KR100213888B1 (ko)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초점 조절방법
KR10124691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 방법
JP2004258088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KR0179067B1 (ko) 비디오 포커싱 방식에서의 자동 포커싱장치 및 방법
JPH10161016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H099130A (ja) 自動焦点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