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842B1 -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842B1
KR100480842B1 KR10-2001-0082725A KR20010082725A KR100480842B1 KR 100480842 B1 KR100480842 B1 KR 100480842B1 KR 20010082725 A KR20010082725 A KR 20010082725A KR 100480842 B1 KR100480842 B1 KR 100480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is weight
base
fixed
hoop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697A (ko
Inventor
최동영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8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24Roll hand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후프코일을 평량하는 평량기 측면에 설치된 이동부를 이용하여 후프코일을 하나하나 인출이 가능하며, 중량 측정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본 발명의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는,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탄지된 평량베이스와, 평량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후프코일이 안착되는 스키드와, 평량베이스의 측면에는 설치되는 측면베이스와, 상기의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고 평량베이스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로드셀로 구성되는 평량부; 및 상기 평량부의 인접한 위치에 세워지는 중심축베이스와, 이 중심축베이스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대와, 이 장착대에 설치된 이동실린더와 이동실린더의 로드 끝에 설치된 승하강실린더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되는 후크프레임과, 이 후크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고 리프트의 아암이 안내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삽입가이드와, 상기 후크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된 위치이동실린더의 로드 끝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가이드에 삽입된 고정림으로 구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Device for sub-transferring hoop coil}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프코일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송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냉연공장에서 생산되는 후프코일은 제품으로 출하되기 전에 평량기 위의 스키드에 안착되어 중량을 체크하게 된다.
이러한 후프코일은 두께가 대개의 경우 박판과 같이 3mm이하로, 폭 600mm미만의 띠모양으로 된 강판을 코일형태로 감아서 출하되는 제품을 말한다.
도 3에서는 종래 후프코일의 평량작업을 위해 후프코일을 권상하는 작업을 나타내고 있다.
크레인의 와이어(1)에 장착된 씨후크(C-hook)(2)에는 리프터(3)가 후킹되고, 후킹된 리프터(3)는 스키드(4) 위에서 평량이 끝난 후프코일(HC)을 들어내기 위해서 리프터(3)의 아암을 후프코일(HC)의 중심으로 삽입하여 권상함으로써 후프코일(HC)을 옮기고 있다.
그러나 후프코일의 폭이 좁아서 중량을 측정하는 평량기 위에서 여러개의 코일을 적치하거나 인출하는 작업을 할 때, 코일의 전도 위험이 상시 존재하게 된다.
또한 리프터로 후프코일을 권상하는 과정에서 스키드 위에 올려진 여러개의 후프코일 중에서 하나의 후프코일을 권상하려고 하면, 리프터의 아암 끝으로 후프코일을 권상하기 때문에 리프터의 무게중심에 후프코일이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밖에 없게 되어 이송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후프코일이 기울어진 리프터에서 낙하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후프코일을 평량하는 평량기 측면에 설치된 이동부를 이용하여 후프코일을 하나하나 인출이 가능하며, 중량 측정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는,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탄지된 평량베이스와, 평량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후프코일이 안착되는 스키드와, 평량베이스의 측면에는 설치되는 측면베이스와, 상기의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고 평량베이스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로드셀로 구성되는 평량부; 및 상기 평량부의 인접한 위치에 세워지는 중심축베이스와, 이 중심축베이스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대와, 이 장착대에 설치된 이동실린더와 이동실린더의 로드 끝에 설치된 승하강실린더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되는 후크프레임과, 이 후크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고 리프트의 아암이 안내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삽입가이드와, 상기 후크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된 위치이동실린더의 로드 끝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가이드에 삽입된 고정림으로 구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가이드에 삽입되는 후프코일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후프프레임에 고정된 스너버롤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스너버롤실린더의 로드 끝에 설치되어 상기 후프코일을 눌러주게 되는 스너버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후프코일(HC)을 안전하게 평량할 수 있는 평량부(10)와, 평량된 후프코일(HC)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20)로 구분된다.
평량부(10)는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11)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볼트(12)와, 고정볼트(12)의 외측에 삽입되는 스프링(13) 위에 얹혀지는 평량베이스(14)와, 평량베이스(14)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키드(15)와, 평량베이스(14)의 측면에는 설치되는 측면베이스(16)와, 상기의 베이스프레임(11)에 고정되고 평량베이스(14)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로드셀(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키드(15)는 중심부가 대략 'V'자 형태로 형성되어 후프코일(HC)이 안착되었을 시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부(20)는 후프코일(HC)을 스키드(15)에서 권상한 후 크레인의 리프터(L)로 인계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부(20)는 측면베이스(16)의 측방에 설치된 베이스(21) 위에 구성된다.
베이스(21) 위에 중심축베이스(22)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데, 이 중심축베이스(22)의 상단에는 끝부분에 결합나사(23)가 형성된 중심축(24)이 결합된다.
이 중심축(24)에는 하측롤베어링과 장착대(25)가 순서대로 삽입된다.
장착대(25)는 상측에 대기어(26)가 고정되며, 이 대기어(26)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한 중심축(24)이 관통하게 된다.
대기어(26)를 관통하여 돌출된 중심축(24)에는 상측롤베어링(27)과 고정브라켓(28)을 삽입하고, 고정브라켓(28)의 위로 돌출된 중심축(24)의 결합나사(23)에 결합너트(29)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측롤베어링(27)에는 베어링하우징(30)이 외측에 끼워지며, 상술한 고정브라켓(28)이 볼팅된다.
이러한 베어링하우징(30)의 외측에는 회전모터(31)와 감속기가 홀더(32)에 의해 고정되고, 회전모터(31)의 회전축에는 전술한 대기어(26)와 치합되는 소기어(33)가 결합된다.
그리고 장착대(25)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이동실린더(34)가 설치되며, 이 이동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는 장착대(25)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하여 돌출된다.
돌출된 피스톤로드의 끝에는 이동블록(35)이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며, 이 이동블록(35)은 장착대(25)의 내부로 인입 가능하다.
이 이동블록(35)에는 수직되는 방향으로 승하강실린더(36)가 설치되고, 승하강실린더(36)의 인접한 위치에는 승하강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케이스(37)가 설치된다.
가이드케이스(37)에는 상한감지센서(38a)와 하한감지센서(38b)가 설치되며, 이 가이드케이스(37)의 내부로 후술하는 가이드로드(39)가 삽입된다.
가이드로드(39)의 끝과 승하강실린더(36)의 끝에는 후크프레임(40)이 고정된다. 후크프레임(40)은 하측에는 후프코일(HC)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삽입가이드(41)가 고정되며, 삽입가이드(41)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홈(41a)이 형성되어 리프터(L)의 아암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후크프레임(40)의 하측에는 위치이동실린더(42)가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고 상측에 하방을 향해 스너버롤실린더(43)가 고정된다.
스너버롤실린더(43)의 로드 끝에는 스너버롤(snubber roll)(44)이 결합되어 후프코일(HC)의 외측에 밀착된다.
그리고 위치이동실린더(42)의 로드 끝에는 삽입가이드(41)에 삽입된 고정림(rim)(45)이 고정되어 위치이동실린더(42)의 확장 또는 단축에 의해서 고정림(45)이 삽입가이드(41)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후프코일(HC)이 스키드(15) 위에 적치되어, 평량기베이스(11)의 가운데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로드셀(17)에 의해서 평량작업이 종료되었을 경우, 이 후프코일(HC)을 인출하여야 하는데, 이때 회전모터(31)를 작동하여 소기어(33)를 회전함으로써 치합된 대기어(26)를 회전시킨다.
대기어(26)의 회전에 의해 장착대(21)는 중심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프코일(HC)의 가운데 부분과 삽입가이드(41)가 동일선상에서 일치하는 위치에 정지한다.
정지 상태에서 승하강실린더(36)를 작동하여 이동블록(35)이 상한감지센서(38a)의 위치에서 하한감지센서(38b)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한다. 그 다음, 후크프레임(40)의 측면에 설치된 위치이동실린더(42)를 확장하여 고정림(45)을 삽입가이드(41)에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이동실린더(34)를 단축하여 후프코일(HC)의 중심으로 삽입가이드(41)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삽입가이드(41)에 삽입된 후프코일(HC)은 고정림(45)이 있는 위치까지만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삽입가이드(41)에 삽입된 후프코일(HC)은 안정된 자세를 취한 상태가 된다.
삽입이 완료되면 후크프레임(40)의 상측에 설치된 스너버롤실린더(43)를 확장하여 스너버롤(44)이 후프코일(HC)의 외측을 눌러 코일이 풀리지 않도록 한 후에, 승하강실린더(36)를 단축하여 하한감지센서(38b)의 위치에서 상한감지센서(38a)의 위치까지 후크프레임(40)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후프코일(HC)은 스키드(15) 위에서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스키드 상에 남아 있는 후프코일(HC)의 중량이 체크되며, 회전모터(31)를 작동시켜 장착대(25)를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스키드에 남겨진 후프코일(HC)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후크프레임(40)에 설치된 삽입가이드(41)에 올려진 후프코일(HC)을 평량기 옆에 있는 다른 적치장소로 이동시켜 적치한다.
또한 후크프레임(40)에 설치된 삽입가이드(41)에 끼워진 후프코일(HC)을 크레인의 리프터(L)로 옮기고자 할 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L)의 아암을 삽입가이드(41)의 안내홈(41a)으로 삽입시키고 스너버롤실린더(43)를 단축한 상태에서 리프터(L)를 권상하면 후프코일(HC)은 삽입가이드(41)에 간섭되지 않고 삽입가이드(41)에서 빠지게 되며, 그 다음은 크레인을 이동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 적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후프코일의 폭이 좁은 것에 관계없이 여러개의 후프코일이 스키드 위에 적치되어도 측면베이스가 있기 때문에 코일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를 이용하여 후프코일을 일단 권상한 상태에서 리프터의 아암을 삽입가이드의 안내홈에 깊게 밀어 넣어 리프터의 무게중심으로 후프코일을 최대한 근접시킨 후 크레인을 권상하기 때문에 후프코일이 리프터의 아암 끝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리프터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후프코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로 후프코일이 인계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크레인을 이용한 후프코일 이송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HC : 후프코일 L : 리프터
10 : 평량부 14 : 평량베이스
15 : 스키드 16 : 측면베이스
20 : 이동부 22 : 중심축베이스
23 : 결합나사 25 : 장착대
35 : 이동블록 36 : 승하강실린더
40 : 후크프레임 41 : 삽입가이드
42 : 위치이동실린더 43 : 스너버롤실린더
44 : 스너버롤 45 : 고정림

Claims (2)

  1.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탄지된 평량베이스와, 평량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후프코일이 안착되는 스키드와, 평량베이스의 측면에는 설치되는 측면베이스와, 상기의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고 평량베이스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로드셀로 구성되는 평량부; 및
    상기 평량부의 인접한 위치에 세워지는 중심축베이스와, 이 중심축베이스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대와, 이 장착대에 설치된 이동실린더와 이동실린더의 로드 끝에 설치된 승하강실린더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되는 후크프레임과, 이 후크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고 리프트의 아암이 안내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삽입가이드와, 상기 후크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된 위치이동실린더의 로드 끝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가이드에 삽입된 고정림으로 구성되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가이드에 삽입되는 후프코일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후프프레임에 고정된 스너버롤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스너버롤실린더의 로드 끝에 설치되어 상기 후프코일을 눌러주게 되는 스너버롤을 포함하는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
KR10-2001-0082725A 2001-12-21 2001-12-21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 KR10048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725A KR100480842B1 (ko) 2001-12-21 2001-12-21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725A KR100480842B1 (ko) 2001-12-21 2001-12-21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697A KR20030052697A (ko) 2003-06-27
KR100480842B1 true KR100480842B1 (ko) 2005-04-06

Family

ID=2957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725A KR100480842B1 (ko) 2001-12-21 2001-12-21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0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310B1 (ko) * 2002-05-31 2008-09-26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불량 코일재 이송장치
KR100742817B1 (ko) * 2006-07-10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불량부 절단이 가능한 코일 평량장치
CN109399291A (zh) * 2018-12-10 2019-03-01 无锡先导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换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697A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3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retaining core plugs in paper rolls
JP2853284B2 (ja) 輸送用キャリッジ
EP0862957B1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sheet material
US20100172729A1 (en) Device for handling a load such as a sheet iron coil
KR100480842B1 (ko)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
JP2767212B2 (ja) 重量物の横転機及び反転機
US4787664A (en) Electromechanical apparatus for holding and turning over hollow cylindrical bodies, in particular rolled steel coils
CN220033770U (zh) 一种动车电气柜用起吊运输结构
KR101879063B1 (ko)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EP1291107B1 (en) Capstan for handling slitting tools
CN214087540U (zh) 一种运输定位装置
JPH08113311A (ja) ストリップコイル搬送用無人搬送車のコイルクランプ装置
KR200331472Y1 (ko) 장입주편 추락 방지장치
CN219194222U (zh) 一种可称重的液压移动举升装置
JP2022136523A (ja) 押え機構付きコイルリフター
CN216549423U (zh) 一种固定式升降平台
CN211847001U (zh) 一种双电机升降机械伸展装置
KR200194123Y1 (ko) 극후판 제품의 다단적치 장치
JP2562401Y2 (ja) 平パレット昇降用リフター
JPS5927927Y2 (ja) バックアップロ−ル組替治具
JPH0641957Y2 (ja) 巻取紙給紙装置における巻取紙位置決め装置
JPS61197321A (ja) 複写機移載方法及びその装置
JP2589148Y2 (ja) フォークリフト移載用接続装置
KR0170620B1 (ko) 박판 운반 다이
JPS61215135A (ja) 車両荷台のスキツ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