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949B1 - 조리용 단팥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용 단팥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949B1
KR100479949B1 KR10-2002-0085024A KR20020085024A KR100479949B1 KR 100479949 B1 KR100479949 B1 KR 100479949B1 KR 20020085024 A KR20020085024 A KR 20020085024A KR 100479949 B1 KR100479949 B1 KR 100479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bean
weight
porridge
red
glutinous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8659A (ko
Inventor
송경남
Original Assignee
송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남 filed Critical 송경남
Priority to KR10-2002-008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9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5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옛날 고유의 전통 맛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게 한 조리용 단팥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숙(煮熟)한 팥으로부터 수득한 완전히 건조시킨 팥 분말16중량%, 찹쌀 및 멥쌀을 혼합하여 미세하게 분쇄한 혼합분에 물을 가하여 니상(泥狀)으로 만든후 이를 1~2cm의 직경으로 빚어서 만든 경단(瓊團)65중량%, 설탕과 소금을 첨가하여 만든 조미료 19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들은 적량의 비율로 포장대에 넣어 포장하여 판매함에 의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조리시 각자의 취향에 따라 적량의 물을 부은후 죽 상태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 단팥죽 및 그 제조방법{Sweet Adzuki Soup For Cooking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조리용 단팥죽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팥죽 재료들을 조미료와 같이 포장 판매함에 의해, 누구든지 적량의 물만을 붇고 끓여서 먹을 수 있도록 한 단팥죽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반적으로 팥(한자명:赤豆)에는 비타민 B1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옛부터 각기(脚氣)병의 선약(仙藥)으로 전해오고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약효로 인하여 옛부터 즐겨먹는 팥 음식으로는 팥밥, 팥죽, 팥떡, 팥고물 및 팥단자 등이 있다.
그러나, 팥은 상기와 같은 특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자에 들어서는 팥 자체는 물론이고 팥이 들어가는 음식의 조리 과정이 번거롭고 복잡하여 요리를하는 주부들로 하여금 회피되고 있음이 현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팥 음식으로 대 다수의 일반 사람들이 좋아하는 즉석식 단 팥죽이 있는데, 그 일예가 국내 특허공보에 등록번호 제1994-4529호로 게재된 "즉석 단팥죽의 제조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은 기 조리된 단 팥죽을 진공 포장하여 판매 하는 것으로, 필요 시에 전자렌지 등에 넣고 단지 덮혀서만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문에 장기간의 보존성은 있지만, 기 만들어져 있는 죽을 단지 덮혀서 먹는 것이기 때문에 단 팥죽의 풍미(風味)와 질면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즉석에서 직접 물을 붓고 조리후 취식할 수 있게하여, 옛날 고유의 전통 맛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게 한 조리용 단팥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리용 단 팥죽은 청구항1의 발명과 관련된 팥에 설탕을 넣어만든 단팥 죽에 있어서, 팥 분말 16중량%, 찹쌀가루 및 멥쌀가루로 만든 경단 65중량% 및 설탕과 소금으로된 조미료 19중량%로 이루어진 단팥죽 재료; 내부에 일정 크기의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상하 분리되는 형태를 이루어 그 공간에 상기 단팥죽 재료들을 기밀성 있게 포장하는 포장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팥 분말은 정선(精選)하여 수세(水洗)한 팥 100 중량%를 1~3 시간 동안 물에 침지하여 불리고, 이 불린 팥의 총 중량%에 대하여 2배의 물을 부어 100℃ 온도로서 1시간 동안 자숙(煮熟)하고, 자숙된 팥의 껍질(皮)만을 제거 후 모든 것을 200메쉬의 눈금 크기를 체에 올려놓고 2~3시간 동안 걸러서 나온 것을 저온에서 건조 시킴이 바람직하다.
또,상기 경단은 찹쌀 및 멥쌀가루를 6:4의 비율로 혼합하여 미세하게 분쇄한 혼합분 98중량%에 나머지는 물을 첨가하여 니상(泥狀)으로 만든후 이를 1~2cm의 직경으로 둥글 둥글하게 빚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단팥죽용 재료들은 그 단팥죽 재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물 10 ~ 15 중량%를 넣고 가열하여 죽 상태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상기 포장용 비닐대에는 조미료를 포장하는 소 포장용 비닐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단은 쪄서 건조 시킨 것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리용 단 팥죽의 제조방법은 청구항7의 발명과 관련된 정선(精選)하여 수세(水洗)한 팥 100 중량%를 1~3 시간 동안 물에 침지하여 불리는 과정과 그 불린 팥의 총 중량%에 대하여 2배의 물을 부어 100℃ 온도로서 1시간 동안 자숙(煮熟)하는 과정과 자숙된 팥의 껍질(皮)만을 제거한 모든 것을 200 메쉬의 눈금 크기를 갖는 체에 올려놓고 2~3시간 동안 걸러서 나온 죽 상태의 팥을 저온에서 건조하는 과정으로 된 팥 분말을 만드는 단계 ; 찹쌀 및 멥쌀을 6 : 4의 비율로 혼합후 미세하게 분쇄하는 과정과 분쇄된 혼합분 98 중량%에 나머지는 물을 첨가하여 니상(泥狀)으로 만드는 과정과 니상의 혼합물을 2 ~ 3cm의 직경을 이루게 빚는 과정으로 된 경단을 만드는 단계; 설탕과 소금을 8.5:1.5의 비율로 첨가하여 조미료를 만드는 단계 ; 상기 단팥죽 재료들인 팥 분말 16중량%, 찹쌀 및 멥쌀가루로 만든 경단65중량% 및 설탕과 소금으로된 조미료 19중량%를 기 준비된 포장용 비닐대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단팥죽용 재료들은 그 단팥죽 재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물 10 ~15 중량%를 넣고 가열하여 죽 상태로 조리하여 먹을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용 단팥죽이 포장용 비닐대에 포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 표시의 조리용 단팥죽의 포장용 비닐대에 수용되어 포장되는 조미료 포장용 비닐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단팥죽은 팥 분말16중량%, 찹쌀 및 멥쌀가루로 만든 경단 65중량% 및 설탕과 소금으로 된 조미료 19중량%로 이루어진 단팥죽 재료(1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성된 상기 단팥죽 재료(10)들은 기 준비된 수지재질의 제1포장대(20)에 넣어져서 기밀성 있게 포장되는데, 도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포장대(20)는 내부에 일정 크기의 밀폐공간(도면부호 미표시)을 형성하며 상하 분리되는 형태를 이루어 그 공간에 상기 단팥죽 재료(10)들을 기밀성 있게 포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포장대(20)는 분리되는 상하 부위(21a,21b)를 예컨대, 열접착 등으로 서로 접착하여 상기 단팥죽 재료들(10)을 담은 공간을 기밀성 있게 포장하고 있고, 상부위(21a)가 하부위(21b)로부터 접리(接離)됨을 통해 하부위(21b)에 담긴 상기 단팥죽 재료들(10)을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미료는 별도의 작은 제2포장대(30)에 포장되어 상기 제1포장대(20)의 내부에 넣어져서 포장된다. 도면부호(12)는 팥 분말을, (14)는 경단(일명,새알)을 그리고 (16)은 설탕과 소금으로된 조미료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제조예>
제1공정<팥 분말 제조공정>
정선(精選)하여 수세(水洗)한 팥 100 중량%를 1~3 시간 동안 깨끗한 물에 침지하여 불린다. 불린 팥의 총 중량%에 대하여 2배의 물을 부어 100℃ 온도로서 1시~2간 동안 자숙(煮熟)한다. 이어서 자숙된 팥의 껍질(皮)만을 제거한다. 팥 껍질의 제거는 일반적인 방법이므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자숙된 팥을 으깬 후 체로 걸러 내면된다. 껍질이 제거된 팥은 수분이 함유된 죽 상태이므로 이를 200 메쉬의 눈금 크기를 갖는 체(Net)에 올려놓고 2~3시간 동안 자연적으로 방치하게 되면, 그 체에 의해 체의 밑에 위치시킨 용기에는 아주 미세한 입자의 팥물이 고이게 된다. 그 체를 통과하여 나온 죽 상태의 팥물을 저온에서 4~5시간 방치하여 건조하여 완전한 팥 분말을 만든다. 상기에서 저온은 죽 상태의 팥물이 상하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온도이면 충분한데, 이는 팥물의 온도, 외부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관계로 그 온도 범위를 설정하여 한정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제2공정<경단 제조공정>
기 준비된 찹쌀 및 멥쌀을 6:4의 비율로 혼합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분쇄한다. 미세하게 분쇄된 찹쌀 및 멥쌀 혼합분 98중량%에 대하여 나머지는 물을 부어 혼합분을 덩어리 상태로 빚을 수 있는 약간 질은 니상(泥狀)으로 만든다.니상의 혼합물은 1~2cm의 직경을 이루게 둥글 둥글하게 빚음에 의해 상기 경단을 얻게되는데, 상기 경단의 크기는 임의로 변형할수 있다. 이렇게 빚은 경단은 그대로 응고시켜 단팥죽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고, 혹은 경단을 찐 후 응고 시켜서 단팥죽의 재료로서 제공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3공정<조미료 제조공정>
상기 조미료는 설탕과 소금을 8.5:1.5의 비율로 첨가하여 된 것으로, 그 조미료를 구성하는 설탕과 소금 함량은 각자의 취향에 따라서 가감할 수 있다.
제4공정<포장공정>
상기 제1,제2포장대(袋)들(20,30)모두는 인체에 무해한 비닐 재질로 제조된다. 상기 제1,제2포장대들(20,30)의 크기는 1인 혹은 2인이 취식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데, 상기 단팥죽의 재료 조성비율은 2인이 취식할 수 있는 함량이다.
위와 같은 단계들을 경유하여 제조된 상기 단팥죽용 재료들은 그 단팥죽 재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물 10 ~15 중량%를 넣고 가열하여 죽 상태로 조리후, 취식하게 되는데,조리시 물의 양은 각 취식자들의 취향에 따라서 다소 가감할 수 있다.
<실시예1>
자숙(煮熟)한 팥으로부터 수득한 완전히 건조 시킨 팥 분말 16중량%, 찹쌀 및 멥쌀을 6:4의 비율로 혼합하여 미세하게 분쇄한 혼합분 98중량%에 나머지는 물을 첨가하여 니상(泥狀)으로 만든후 이를 1cm의 직경을 이루도록 둥글 둥글하게 빚은 경단 65중량%, 설탕과 소금을 8.5:1.5의 비율로 첨가하여 만든 조미료19중량%를 기 준비된 포장대에 넣어 포장한 상기 단팥죽 재료를, 그 단팥죽 재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물 15 중량%를 넣고 가열하여 조리하면서 죽 상태로 조리하여 취식하였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는 경단을 찐 것으로 하여 크기는 2cm로 한 것과 그리고 조리용 물을 10 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물을 10중량%로 한 것은 찐 경단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실험예>
본 실험 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단팥죽 재료를 기존의 기 조리가되어 나온 즉석식 단팥죽과를 질, 풍미 및 향미 면에서 조사하기 위해 10세 이상의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조리용 단팥죽과 기존의 조리된 단팥죽(대조용)을 시험자들은 모르도록하여 시험자 각각의 취향에 따라 시식하게 하여 단팥죽의 질, 풍미 및 향미를 평가하였다.그 결과는 하기 표1과 같았다.
단팥죽의 풍미 및 향미상의 특징 본 발명 (응답자수) 대조용(응답자수) 모르겠다(응답자수)
고유 전통의 단팥죽의 질을 그대로 느낄수 있다. 46 3 1
풍미가 좋다. 48 2 0
좋은 향미가 느껴진다. 45 5 0
또한, 본 발명의 제품으로 만든 단팥죽과 기존의 조리된 단팥죽과의 기호도 및 관능검사의 결과는 하기 표2 및 표 3의 표시와 같았다.
<기호도 검사>
시료대상 본발명 대조용
10대 학생 9 10
20대 직장인 및 주부 10 8
30대 주부 10 8
40 ~50대 주부 10 6
<관능검사>
시료대상 본 발명 대조용
고유의 맛 10 8
고유의 향 10 8
시료의색 연한적색 진한 적색
*상기 표2,3에서 점수 기준은 10점 만점이며, 기호도 검사 대상자는 2차에 걸쳐 서울 송정동에서는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과, 경기도 광주에서는 아파트에 거주하는 10 대에서 50대의 남녀 주민 들을 상대로하여 실시 하였으며, 나이와 지역에 차이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또한 시료는 상기 실시 예에 따라 즉석에 조리하여 만든 단팥죽을 지급하였다.
*상기 표 2에서 시료의 고유한 맛은 단팥죽을 조리하였을 때 단팥죽 자체로부터 느끼는 맛을, 시료의 고유한 향은 단팥죽으로 조리하였을 때 팥의 향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된 단팥죽은 간단한 아침식사 혹은 환자, 학생 및 직장인들의 간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즉석에서 직접 물을 붓고 조리후 취식할 수 있게하여, 옛날 고유의 전통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하는 풍미감과 아울러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용 단팥죽이 포장용 비닐대에 포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 표시의 조리용 단팥죽의 포장대(袋)에 수용되어 포장되는 조미료 포장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팥분말 14 : 경단
16 : 조미료 20,30 : 포장대(袋)

Claims (8)

  1. 팥에 설탕을 넣어만든 단팥 죽에 있어서,
    팥 분말 16중량%, 찹쌀가루 및 멥쌀가루로 만든 경단 65중량% 및 설탕과 소금으로된 조미료 19중량%로 이루어진 단팥죽 재료;및
    내부에 일정 크기의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상하 분리되는 형태를 이루어 그 공간에 상기 단팥죽 재료들을 기밀성 있게 포장하는 포장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단팥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팥 분말은 정선(精選)하여 수세(水洗)한 팥 100 중량%를 1~3 시간 동안 물에 침지하여 불리고, 이 불린 팥의 총 중량%에 대하여 2배의 물을 부어 100℃ 온도로서 1시간 동안 자숙(煮熟)하고, 자숙된 팥의 껍질(皮)만을 제거 후 모든 것을 200메쉬의 눈금 크기를 체에 올려놓고 2~3시간 동안 걸러서 나온 것을 저온에서 건조한 것 임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단팥죽.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경단은 찹쌀 및 멥쌀가루를 6:4의 비율로 혼합하여 미세하게 분쇄한 혼합분 98중량%에 나머지는 물을 첨가하여 니상(泥狀)으로 만든후 이를 1~2cm의 직경으로 둥글 둥글하게 빚은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단팥죽.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단팥죽용 재료들은 그 단팥죽 재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물 10 ~ 15 중량%를 넣고 가열하여 죽 상태로 조리하여 먹을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단팥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대에는 조미료를 포장하는 소 포장용 제2포장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단팥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단은 쪄서 건조 시킨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단팥죽.
  7. 팥에 설탕을 넣어 단팥 죽을 만드는 방법에 있어서,
    정선(精選)하여 수세(水洗)한 팥 100 중량%를 1~3 시간 동안 물에 침지하여 불리는 과정과, 그 불린 팥의 총 중량%에 대하여 2배의 물을 부어 100℃ 온도로서 1시간 동안 자숙(煮熟)하는 과정과, 자숙된 팥의 껍질(皮)만을 제거한 모든 것을 200 메쉬의 눈금 크기를 갖는 체에 올려놓고 2~3시간 동안 걸러서 나온 죽 상태의 팥을 저온에서 건조하는 과정으로 된 팥 분말을 만드는 단계 ;
    찹쌀 및 멥쌀을 6 : 4의 비율로 혼합후 미세하게 분쇄하는 과정과, 분쇄된 혼합분 98 중량%에 나머지는 물을 첨가하여 니상(泥狀)으로 만드는 과정과, 니상의 혼합물을 2 ~ 3cm의 직경을 이루게 빚는 과정으로 된 경단을 만드는 단계 ;
    설탕과 소금을 8.5:1.5의 비율로 첨가하여 조미료를 만드는 단계 ; 및
    상기 단팥죽 재료들인 팥 분말 16중량%, 찹쌀 및 멥쌀가루로 만든 경단65중량% 및 설탕과 소금으로된 조미료 19중량%를 기 준비된 포장용 비닐대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단팥죽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단팥죽용 재료들은 그 단팥죽 재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물 10 ~15 중량%를 넣고 가열하여 죽 상태로 조리하여 먹을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단팥죽의 제조방법.
KR10-2002-0085024A 2002-12-27 2002-12-27 조리용 단팥죽 및 그 제조방법 KR100479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024A KR100479949B1 (ko) 2002-12-27 2002-12-27 조리용 단팥죽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024A KR100479949B1 (ko) 2002-12-27 2002-12-27 조리용 단팥죽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659A KR20040058659A (ko) 2004-07-05
KR100479949B1 true KR100479949B1 (ko) 2005-04-06

Family

ID=3735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5024A KR100479949B1 (ko) 2002-12-27 2002-12-27 조리용 단팥죽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37B1 (ko) * 2005-05-11 2006-12-26 송경남 컵 단팥죽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659A (ko) 2004-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7550A (zh) 一种方便螺蛳粉的制作方法
KR100589649B1 (ko)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KR100479949B1 (ko) 조리용 단팥죽 및 그 제조방법
CN105639575A (zh) 一种清油火锅底料及其制作方法
KR20160076164A (ko) 차의 제조 방법
CN113749238A (zh) 一种螺蛳粉配料及其制备方法
CN106879662A (zh) 一种卤猪肉夹馍的制作方法
KR100686185B1 (ko) 겔 함유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1743A (ko) 사과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84880B1 (ko)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TWI796091B (zh) 料理蛋的製備方法
CN1486628A (zh) 一种营养米花饭及其制作工艺
KR20140097819A (ko) 닭국수 제조방법
KR101795684B1 (ko) 떡볶이용 소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캡슐형 떡볶이
KR102643047B1 (ko) 전기밥솥 또는 즉석밥으로 조리가 가능한 솥밥 밀키트의 제조방법
KR102515912B1 (ko) 묵나물 전병 및 그 제조방법
KR102443671B1 (ko) 다진 양념의 제조방법
KR102276186B1 (ko) 땅콩호박 면 조성물, 이를 이용한 땅콩호박 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473754B1 (ko) 쑥을 이용한 호떡과 그 제조방법
KR101992048B1 (ko) 어육과 보리분말을 이용한 향기나는 굴비빵의 제조방법
KR102605986B1 (ko) 식감을 개선한 수제 호떡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36745A (ko) 밥 찐빵 제조방법
JP3052481U (ja) ケース付き即席麺
JPH11266810A (ja) ケース付き即席麺および即席麺の製造方法ならびに即席麺用たれ
JP3135991U (ja) 手作り外郎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