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691B1 -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 - Google Patents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691B1
KR100477691B1 KR10-2002-0079748A KR20020079748A KR100477691B1 KR 100477691 B1 KR100477691 B1 KR 100477691B1 KR 20020079748 A KR20020079748 A KR 20020079748A KR 100477691 B1 KR100477691 B1 KR 100477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aper
carriage
inkjet printer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2029A (ko
Inventor
양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6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5Means for printing without leaving a margin on at least one edge of the copy material, e.g. edge-to-edg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Guides in the printing zone, e.g. guides for preventing contact of conveyed sheets with print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4Platen-shift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42Scales and indicators, e.g. for determining side margin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개시된 잉크젯 프린터는, 주주사 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캐리지에 설치되어 인쇄화상의 얼라인먼트와 용지의 크기를 검출하는 센서와, 이 센서를 얼라인먼트를 검출하기 위한 제1위치와 용지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얼라인먼트와 보더리스 프린팅을 위한 용지 크기를 하나의 센서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용지를 정/역방향으로 이송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검출시간과 프린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 being capable of borderless printing}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지의 네 가장자리까지 여백없이 인쇄하는 보더리스 프린팅(borderless printing)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용지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용지의 이송방향(이하, 부주사 방향이라 한다.)과 직각방향(이하, 주주사 방향이라 한다.)으로 왕복주행되는 기록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는 용지(S)를 적재한 급지카세트(10), 용지(S)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20), 캐리지(60)에 탑재되어 용지(S)의 상방에서주주사 방향으로 왕복주행하는 기록헤드(30), 인쇄된 용지(S)를 배출하는 배출롤러(40) 및 피드롤러(20)와 배출롤러(40)와의 사이에서 용지(S)의 배면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급지카세트(10)로부터 용지(S)를 인출하고, 피드롤러(20)가 아이들롤러(21)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용지(S)를 소정의 속도로 이송시킨다. 용지(S)의 선단이 지지부재(50)에 의해 지지되면서 기록헤드(30)의 하방에 도착하면, 기록헤드(30)의 노즐부(31)로부터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잉크액적이 용지(S)의 상면으로 토출되어 화상이 형성된다. 인쇄된 용지(S)는 배출롤러(40)와 이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용지(S)의 상면에 점접촉하는 스타휠(41)에 의해 배출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캐리지(60)에는 센서(70)가 구비된다. 센서(70)는 기록헤드(30)에 의해 인쇄된 화상의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으로의 얼라인먼트(alignment)를 검출한다. 양호한 품질의 인쇄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주주사 및 부주사 방향의 얼라인먼트가 소정의 허용범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도 2의 참조부호 80과 90은 각각 부주사 방향과 주주사 방향의 얼라인먼트를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패턴(test pattern)을 도시한 것이다. 이 테스트 패턴이 정확히 부주사 및 주주사 방향의 직선인 경우에 얼라인먼트는 완전히 맞추어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씩 어긋난 경우에는 얼라인먼트가 정확히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센서(70)는 노즐부(31)의 출측에 위치되어 이 테스프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얼라인먼트가 어긋난 정도를 측정하며,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노즐의 토출타이밍 등의 파라메타(parameter)를 조정함으로써 얼라인먼트가 소정의 허용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용지(S)전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용지(S)의 폭방향의 양단부와 길이방향의 선단부 및 말단부에 일정한 여백(a,b,c,d)을 두고 인쇄한다. 이는 용지(S)의 길이와 폭이 미리 정해진 규격용지(S)를 사용하더라도 용지(S)의 제조사에 따라 용지(S)의 폭과 길이가 다소간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또 용지(S)의 선단부와 말단부를 정확히 검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잉크젯 프린트가 사진 등의 그래픽 화상의 인쇄에 널리 사용되면서 용지의 상하좌우의 여백없이 인쇄하는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용지의 크기 즉, 선단과 폭 및 말단을 정확히 검출하여야 한다. 비록, 참조부호 2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용지를 검출하는 검출센서(22)가 있기는 하지만 노즐부(31)로부터의 거리가 멀고 또 정확성 면에서 문제가 있어 보더리스 프린팅을 하기에는 불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히 용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노즐부(31)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센서(70)를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런데,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센서(70)가 노즐부(31)의 입측에 위치되는 것이 타당하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얼라인먼트를 검출할 때 테스프 패턴을 인쇄한 후에 용지를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센서(70)의 하방으로 보낸 후에 다시 정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얼라인먼트를 검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70)가 노즐부(31)의 출측에 위치된 경우에는 얼라인먼트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타당하나, 보더리스 프린팅을 하는 경우에는 먼저 노즐부(31)의 출측에 위치된 센서(70)까지 용지를 이송시켜 용지의 선단을 검출한 후에 용지를 다시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노즐부(31)의 입측으로 보낸 후에 다시 정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인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슬한 바와 같이 용지를 정/역방향으로 반복 이송시킬 경우에는 이송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용지를 정/역방향으로 이송시키지 않고 얼라인먼트를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용지의 크기를 검출함으로써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는, 노즐부를 구비한 기록헤드를 탑재하고 주주사 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에 설치되어 인쇄화상의 얼라인먼트와 용지의 크기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를 상기 얼라인먼트를 검출하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용지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노즐부의 출측이며 상기 제2위치는 상기 노즐부의 입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센서를 탑재하고 상기 캐리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랙기어가 형성된 홀더; 구동모터와 동력연결되며, 상기 캐리지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젯 프린터는, 상기 센서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수단은, 부부사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센서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체로서,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제1반사부재와 제2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Ⅰ-Ⅰ' 단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3의 Ⅱ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보면, 용지(S)를 공급하는 급지부(110)와, 주주사 방향으로 왕복주행되는 기록헤드(120)와, 용지(S)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30)와, 기록헤드(120)의 하방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S)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40)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부재(140)의 전방에는 화상이 인쇄된 용지(S)를 배출시키는 배출부(150)가 구비된다.
기록헤드(120)는 캐리지(160)에 탑재된다. 캐리지(160)는 프레임(170)에 주주사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샤프트(1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주주사 방향으로 왕복주행된다. 기록헤드(120)의 하측에는 잉크를 토출하는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부(121)가 마련되어 있다.
급지부(110)는 적재된 용지(S)를 한 장씩 인출하여 이송부(130)로 보낸다.
이송부(13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이송롤러(131)와 이송롤러(131)의 외주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며 접촉된 가압롤러(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롤러(1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주사 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롤러(131)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면 다수의 가압롤러(132)는 이송롤러(131)와의 마찰력에 의해 종동되면서 그 사이로 용지(S)를 이송시킨다.
지지부재(140)의 상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2열의 리브(141)(142)가 주주사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리브(141)(142)는 갭유지부재로서 용지(S)가 노즐부(121)와 소정의 상하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용지(S)의 배면을 가이드 한다. 2열의 리브(141)(142)들은 주주사 방향으로 서로 교번으로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지지부재(140)에는 노즐부(121)의 하방에 해당되는 위치에 수거부(143)가 마련된다. 수거부(143)는 노즐부(121)에서 토출된 잉크 중 용지(S)를 벗어난 잉크가 낙하되는 곳으로서 지지부재(14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몰입되어 형성된다. 수거부(143)의 주주사 방향의 길이는 사용되는 용지(S)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부주사 방향의 길이는 노즐부(121)의 부주사 방향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부(143)는 용지를 벗어나서 낙하된 잉크에 의해 용지의 배면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출부(150)는 일 예로서, 배출롤러(151)와 그 외주면에 점접촉되는 스타휠(15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타휠(152)은 화상이 인쇄된 용지(S)에 점접촉됨으로써 건조되지 않은 화상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지(S)를 배출한다.
도 5를 보면, 센서(2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센서(22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한 광센서로서, 용지(S)에 인쇄된 테스트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얼라인먼트를 측정하는 한편, 용지(S)의 크기 즉, 용지(S)의 선단과 말단 및 폭을 검출한다. 센서(220)는 얼라인먼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노즐부(121)의 출측인 제1위치(P1)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지(S)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노즐부(121)의 입측인 제2위치(P2)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수단은, 홀더(210)와, 스윙부재(230)를 포함한다.
캐리지(160)의 일 측면에는 부주사 방향으로 슬롯(161)이 형성된다. 홀더(210)에는 센서(220)가 결합되는 포스트(213)와, 슬롯(161)에 끼워지는 돌출부(211)가 형성된다. 또한, 홀더(210)의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부주사 방향으로 랙기어(212)가 형성된다. 센서(220)가 포스트(213)에 끼워지고 이 상태에서 돌출부(211)를 슬롯(161)에 끼움으로써 센서(220)와 홀더(210)가 캐리지(160)에 결합된다. 그러면, 센서(220)와 홀더(210)는 슬롯(161)을 따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캐리지(160)에는 포스트(213)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2슬롯(166)이 마련될 수도 있다. 슬롯(161)의 부주사 방향의 길이는 홀더(210)를 이동시킴으로써 센서(220)가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위치(P1)와 제2위치(P2)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슬롯(161)의 양단부 쪽에는 센서(220)가 각각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에 있을 때 홀더(220)가 슬롯(161)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유동방지수단의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목부(162)를 구비할 수 있다. 병목부(162)의 폭은 돌출부(211)가 다소간 억지로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부(211)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 형성한다. 유동방지수단의 다른 일 예로서, 한 쌍의 탄성부재(270)를 설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2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61)의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씩 설치되는데, 서로 조여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되어 있다. 홀더(210)가 슬롯(161)을 따라 이동되어 돌출부(211)가 한 쌍의 탄성부재(270)를 벌리면서 그 사이로 삽입되면, 탄성부재(270)의 탄성력에 의해 홀더(210)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윙부재(230)는 스윙아암(231)과, 스윙기어(233)와, 피니언(234)을 포함한다. 스윙기어(233)와 피니언(234)은 스윙아암(231)에 서로 맞물려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스윙아암(231)에는 스윙기어(233)와 피니언(234)의 반대쪽으로 축(232)이 돌출 형성된다. 축(232)이 프레임(170)의 일측벽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됨으로써 스윙부재(230)는 축(23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축(232)은 스윙기어(233)의 회전축과 피니언(234)의 회전축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윙부재(230)가 축(232)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스윙기어(233)는 용지(S)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와 동력연결된 기어(260)와 맞물린다. 축(232)은 스윙기어(233)의 회전축과 동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스윙기어(233)는 기어(260)와 항상 맞물려 있어야 한다.
스윙부재(230)를 축(232)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스윙아암(2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에 제1경사면(236)을 갖는 제1레버(235)와, 캐리지(160)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에 제1경사면(236)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164)을 갖는 제2레버(163)가 구비된다. 제1경사면(236)과 제2경사면(164)은 캐리지(160)가 스윙부재(230)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서로 간섭되면서 스윙부재(230)가 피니언(234)이 랙기어(212)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240)은 일단은 프레임(170)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윙레버(231) 또는 제1레버(235)에 연결되어 피니언(234)이 랙기어(212)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스윙부재(23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캐리지(16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경사면(236)과 제2경사면(164)의 간섭이 풀리면서 스프링(240)에 의해 스윙부재(230)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피니언(234)이 랙기어(212)로부터 이탈된다.
스프링(240)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축(232)을 중심으로 하여 스윙부재(230)의 무게를 적절히 배분하면, 제1경사면(236)과 제2경사면(164)의 간섭이 풀릴 때 스윙부재(230)가 피니언(234)이 랙기어(212)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재(140)의 상면에는 센서(22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으로서 제1반사부재(251)와 제2반사부재(252)가 부착된다. 제1반사부재(251)와 제2반사부재(252)는 센서(220)로부터 방출된 빛을 반사시키는 것으로서, 각각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에 대응되도록 부착된다. 두 반사부재(251)(252)의 반사율은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반사부재(251)는 화이트 쉬트(white sheet)로 하고 제2반사부재(252)는 시안쉬트(cyan sheet)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들 반사부재(251)(252)로부터 반사된 광량을 측정함으로써 센서(220)가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제1반사부재(251)와 제2반사부재(252)는 되도록 지지부재(140)의 주주사 방향의 가장자리쪽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140)는 빛을 잘 반사시키지 않는 어두운 색 계통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킹 스테이션(parking station)(190)은 인쇄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 캐리지(160)가 위치되는 곳으로서, 화상인쇄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파킹 스테이션에는 인쇄대기시에 노즐부(121)가 건조되지 않도록 하는 캡핑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등 복잡한 구조물이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220)와 이동수단 및 검출수단을 파킹 스테이션(190)의 반대쪽에 설치하였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장치의 집중화를 위해 파킹 스테이션(190)쪽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과 도 8은 이동수단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제, 도 3 내지 도 8을 보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일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얼라인먼트 동작을 설명한다. 얼라인먼트 동작은 기록헤드(120)를 교환하였거나 또는 사용자가 인쇄상태를 보고 임의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얼라인먼트 동작을 위해서는 센서(220)가 노즐부(121)의 출측인 제1위치(P1)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얼라인먼트 명령이 입력되면 우선 센서(220)가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캐리지(160)는 파킹 스테이션(190)의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센서(220)는 제1반사부재(251)와 제2반사부재(252) 및 지지부재(140) 중 한 곳의 상측을 통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부재들(251)(252)은 서로 반사율이 다르고 또, 지지부재(140)는 어두운 색 계통의 재료로 제작되므로 센서(220)에 수광되는 반사광량을 검출하면 현재 센서(220)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 수 있다.
만일, 제1위치(P1)에 있다면, 잉크젯 프린터는 급지부(110)로부터 용지(S)를 인출하여 이송시킨다. 용지(S)의 선단이 노즐부(121)의 하방에 도달하면 소정의 선단마진을 두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을 인쇄한다. 센서(220)는 캐리지(160)와 함께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스트 패턴을 검출하여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에 대해 얼라인먼트가 어긋난 정도를 측정한다. 이 측정값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보내지며, 제어부는 이에 근거하여 얼라인먼트가 허용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노즐부(121)의 잉크 토출 타이밍 등의 파라메타를 조정한다.
만일, 센서(220)가 제2위치(P2)에 있거나 또는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의 사이에 있다면, 센서(220)를 제1위치(P1)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이동수단이 마련되어 있음은 위에서 보았다. 캐리지(160)가 파킹 스테이션(190)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면, 캐리지(160)에 마련된 제2경사면(164)이 제1경사면(236)과 간섭되면서 스윙부재(230)가 회동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기어(233)와 피니언(234)이 각각 기어(260)와 랙기어(212)에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랙기어(212)와 맞물린 피니언(234)이 A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면 홀더(210)가 슬롯(161)을 따라 B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센서(220)는 홀더(210)를 따라 이동하면서 계속하여 반사광량을 검출한다. 센서(220)가 제1반사부재(251)의 가장자리를 통과하면, 센서(220)에 수광되는 광량이 변하므로 구동모터의 회전을 멈춘다. 이 위치가 제1위치(P1)가 되며, 돌출부(211)는 유동방지부재인 병목부(162) 또는 탄성부재(270) 사이에 끼워지므로 이 위치에서 센서(220)가 유동되지 않는다.
이제, 캐리지(160)가 다시 파킹 스테이션(190)으로 돌아가면 제1경사면(236)과 제2경사면(164)의 간섭이 풀리고 스윙부재(230)가 스프링(240)의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잉크젯 프린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얼라인먼트 동작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보더리스 인쇄과정을 설명한다.
보더리스 인쇄를 위해서는 센서(220)가 제2위치(P2)에 있어야 한다. 보더리스 인쇄명령이 입력되면, 먼저 센서(22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센서(220)가 노즐부(121)의 입측인 제2위치(P2)에 있다면, 잉크젯 프린터는 급지부(110)로부터 용지(S)를 인출하여 이송시킨다. 용지(S)의 선단이 센서(220)에 의해 검출되면, 캐리지(162)가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지(S)의 폭을 검출한 다음, 다시 용지(S)를 노즐부(121)쪽으로 이송시킨다. 센서(220)와 노즐부(121)와의 거리는 이미 알고 있으므로 용지(S)의 선단이 센서(220)를 통과하여 소정 거리 이송되면 노즐부(121)에 도달된다. 용지(S)의 배면은 리브(141)(142)에 의해 지지된다. 용지(S)의 선단이 노즐부(121)로 인입되면 잉크를 토출하여 선단 마진 없이 화상을 인쇄한다. 이 때, 용지(S)의 선단과 폭방향의 가장자리를 벗어난 잉크는 수거부(143)로 떨어지므로 리브(141)(142)가 잉크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브(141)(142)가 용지(S)의 배면을 계속 지지하더라도 용지(S)의 배면이 잉크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쇄가 진행되어 센서(220)에서 용지(S)의 말단을 검출 한 후 소정거리만큼 더 이송시키면서 인쇄를 계속하면 용지(S)의 말단까지 여백없이 인쇄할 수 있다.
만일, 센서(220)가 제1위치(P1) 또는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와의 사이에 있다면, 캐리지(160)가 파킹 스테이션(190)의 반대쪽으로 이동되어 제1경사면(236)과 제2경사면(164)이 서로 간섭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부재(230)가 회동되고 피니언(234)과 랙기어(212)가 서로 맞물린다. 피니언(234)이 C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면, 홀더(210)가 D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센서(220)도 함께 이동된다. 센서(220)는 계속하여 반사광량을 검출하며 제2반사부재(252)의 가장자리를 통과하면 반사광량이 달라지므로 구동모터의 회전을 멈춘다. 이 위치가 제2위치(P2)가 되며, 돌출부(211)는 유동방지부재인 병목부(162) 또는 탄성부재(270) 사이에 끼워지므로 이 위치에서 센서(220)가 유동되지 않는다.
이제, 캐리지(160)가 다시 파킹 스테이션(190)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경사면(236)과 제2경사면(164)과의 간섭이 해제되고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스윙부재(230)는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보더리스 인쇄를 실행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센서(22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반사부재를 사용하였으나, 구동모터의 부하를 검출함으로써 센서(220)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슬롯(161)의 길이를 제1위치(P1)와 제2위치(P2)까지로 한정하여 형성하면, 센서(220)가 제1위치(P1) 또는 제2위치(P2)에 도달되면 홀더(210)가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구동모터의 부하가 상승하게 된다. 이를 검출함으로써 센서(220)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얼라인먼트를 검출하는 경우에, 피니언(234)이 A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를 회전시킨다. 만일, 센서(220)가 제1위치(P1)에 있었다면, 홀더(210)가 더 이상 B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므로 구동모터의 부하가 증가될 것이다. 또한, 센서(220)가 제2위치(P2)에 있었다면,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홀더(210)가 B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구동모터의 부하가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다가 센서(220)가 제1위치(P1)에 도달되면 구동모터의 부하가 상승한다. 이 때 구동모터의 회전을 멈추면 센서(220)는 제1위치(P1)에 있게 된다. 센서(220)를 제2위치(P2)로 이동시키기 위해 피니언(234)을 C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얼라인먼트와 보더리스 프린팅을 위한 용지의 크기를 하나의 센서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얼라인먼트와 보더리스 프린팅을 위한 용지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와 달리 용지를 정/역방향으로 이송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검출시간과 프린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테스트 패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Ⅰ-Ⅰ'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Ⅱ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유동방지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과 도 8은 이동수단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급지부 120......기록헤드
130......이송부 140......지지부재
150......배지부 160......캐리지
161......슬롯 162......병목부
163......제2레버 164......제2경사면
170......프레임 180......가이드 샤프트
210......홀더 211......돌출부
212......랙기어 213......포스트
220......센서 230......스윙부재
231......스윙아암 232......축
233......스윙기어 234......피니언
235......제1레버 236......제1경사면
240......스프링 251......제1반사부재
252......제2반사부재 260......기어
270......탄성부재 P1......제1위치
P2......제2위치 S......용지

Claims (8)

  1. 노즐부를 구비한 기록헤드를 탑재하고 주주사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에 설치되어 인쇄화상의 얼라인먼트와 용지의 크기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를 상기 얼라인먼트를 검출하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용지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노즐부의 출측이며, 상기 제2위치는 상기 노즐부의 입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센서를 탑재하고 상기 캐리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랙기어가 형성된 홀더;
    구동모터와 동력연결되며, 상기 캐리지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캐리지의 일 측면에 부주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슬롯;
    상기 슬롯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홀더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슬롯의 부주사 방향의 양단부 쪽에는 홀더가 이동되었을 때 그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방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억지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슬롯의 폭이 좁아지는 병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서로 조여지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부부사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센서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체로서,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제1반사부재와 제2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KR10-2002-0079748A 2002-12-13 2002-12-13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 KR10047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748A KR100477691B1 (ko) 2002-12-13 2002-12-13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748A KR100477691B1 (ko) 2002-12-13 2002-12-13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029A KR20040052029A (ko) 2004-06-19
KR100477691B1 true KR100477691B1 (ko) 2005-03-21

Family

ID=3734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748A KR100477691B1 (ko) 2002-12-13 2002-12-13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6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2584A (ja) * 1988-01-29 1989-08-02 Canon Inc シート幅検出器および記録装置
JPH01275090A (ja) * 1988-04-28 1989-11-02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0421482A (ja) * 1990-05-17 1992-01-24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H05309925A (ja) * 1992-05-08 1993-11-22 Oki Data Syst:Kk 印字装置
US6109745A (en) * 1998-07-17 2000-08-29 Eastman Kodak Company Borderless ink jet printing on receiv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2584A (ja) * 1988-01-29 1989-08-02 Canon Inc シート幅検出器および記録装置
JPH01275090A (ja) * 1988-04-28 1989-11-02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0421482A (ja) * 1990-05-17 1992-01-24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H05309925A (ja) * 1992-05-08 1993-11-22 Oki Data Syst:Kk 印字装置
US6109745A (en) * 1998-07-17 2000-08-29 Eastman Kodak Company Borderless ink jet printing on re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029A (ko) 200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1782B2 (en) Paper edg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orderless printing
KR100657341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US6869241B2 (en) Printer and printing method for obtaining a remaining printable distance on the rear end side of a paper
US7896566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JP200905109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552679B2 (en) Printer
US6991387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position adjustment method
US7441849B2 (en) Droplet ejection apparatus
JP2001180057A (ja) 記録装置
US9956791B2 (en) Recording apparatus
US20150109362A1 (en) Printer and printer control method
KR100477691B1 (ko)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
JP3646396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05221103A (ja) 画像記録装置
JPH05262019A (ja) 記録装置
JP522901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053953A (ja) 印刷装置および縁無し印刷方法
JP7484274B2 (ja) 印刷装置
EP1661839B1 (en) Sheet handling device
JP3089578U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4210527A (ja) 画像形成機の排紙検出装置
JP3466723B2 (ja) プリンタ
JP200615977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位置合わせ方法
JP2014018987A (ja) ライ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JP2004181659A (ja) 端部位置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