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254B1 -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254B1
KR100477254B1 KR10-2003-0003397A KR20030003397A KR100477254B1 KR 100477254 B1 KR100477254 B1 KR 100477254B1 KR 20030003397 A KR20030003397 A KR 20030003397A KR 100477254 B1 KR100477254 B1 KR 100477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rash pad
vehicle
fastening structure
lock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361A (ko
Inventor
신광섭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2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8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nterchangeable parts, e.g. new part adapting to old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크래쉬 패드(Crash pad)의 핀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는 핀으로 고정되는 차량용 크래쉬패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핀의 말단부에 ∪자형의 걸림돌기가 마련된 바디핀(body pin)과, 상기 바디핀의 걸림돌기를 수용결합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하부에, ∪자형의 걸림돌기를 일체로 수용결합 할 수 있는 걸림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인 크래쉬패드의 핀 체결구조는 다양한 차종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바디핀(body pin)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개발비가 적게들고, 체결구조에 따라 핀(pin)의 강성이 보완되며, A/S시 분해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상 효율성을 극대화 한다.

Description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Coupling device for crash pad-pin}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용 크래쉬 패드를 차량의 본체와 체결하는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래쉬 패드(CRASH PAD)는 인스투루먼트 판넬 패드(INSTRUMENT PANEL PAD) 또는 대쉬보드(DASH BOARD)라고도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으로써 운전석의 전면 유리 하단에 부착되며 속도계, 연료계, 온도계 등의 미터(METER)류는 묶어 일체화 시킨 계기판과 공조장치, 라디오, 시계, 소형품을 넣을 수 있는 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운전 중에 조작하기도 하고 확인하기도 하므로 디자인, 편의성,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품이다.
종래의, 크래쉬 패드를 차량의 본체와 연결할 때에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연결 핀 등의 부속품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들고, A/S시 차량의 생산이 단종되었을 경우 동일한 부속품을 구하기 어렵고, 재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어느 차종에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디핀과 체결부재로 구성된 크래쉬패드의 핀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핀으로 고정되는 차량용 크래쉬패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핀의 말단부에 ∪자형의 걸림돌기가 마련된 바디핀(body pin)과, 상기 바디핀의 걸림돌기를 수용결합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하부내측에, ∪자형의 걸림돌기를 일체로 수용결합 할 수 있는 걸림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패드(Crash pad)의 핀 체결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인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에 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에 대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는 바디핀과 체결부재와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핀(101)은 핀부(105)와 걸림돌기(102)로 구성되어 있으며, 핀부(105)는 차량의 본체에 삽입고정되며, 걸림돌기(102)는 핀부(105)의 말단부에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바디핀(body pin)은 steel 또는 POM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차의 종류와 관계없이 전차종에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02)는 상기 핀부의 말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체결부재와 수용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103)는 사출물로 차종별로 개발가능하며, 그 하부에 걸림홈이 마련되어 있어 걸림돌기(102)를 삽입고정한다.
상기 걸림홈(104)은 상기 체결부재(103)의 하부내측에 ∩자형의 홈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자형 걸림돌기(102)를 수용결합하기 때문에 바디핀의 강성을 보완한다.
본 발명인 크래쉬패드의 실시예를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핀(101)의 걸림돌기(102)를 체결부재(103)의 하부내측에 마련된 걸림홈(104)에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고정한 후 차량의 본체에 고정시킨 후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옵션을 선택부착하면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인 크래쉬패드의 핀 체결구조는 핀의 강성이 보완됨에 따라 차량의 본체와 크래쉬패드의 결합력이 좋고, 바디핀을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차량의 생산이 단종되어도 그 부품의 교체에 문제가 없으며, A/S시 분해하여 재활용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자동차 개발비가 절감되어 자동차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 할 것이다.
본 발명인 크래쉬패드의 핀 체결구조는 다양한 차종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바디핀(body pin)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개발비가 적게들고, 체결구조에 따라 핀(pin)의 강성이 보완되며, A/S시 분해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상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매우 훌륭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에 대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바디 핀
102 : ∪자형 걸림돌기
103 : 체결부재
104 : 걸림 홈
105 : 핀부

Claims (1)

  1. 핀으로 고정되는 차량용 크래쉬패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핀의 말단부에 ∪자형의 걸림돌기가 마련된 바디핀(body pin)과;
    상기 바디핀의 걸림돌기를 수용결합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하부내측에, ∪자형의 걸림돌기를 일체로 수용결합 할 수 있는 걸림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패드(Crash pad)의 핀 체결구조.
KR10-2003-0003397A 2003-01-17 2003-01-17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 KR100477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397A KR100477254B1 (ko) 2003-01-17 2003-01-17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397A KR100477254B1 (ko) 2003-01-17 2003-01-17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361A KR20040066361A (ko) 2004-07-27
KR100477254B1 true KR100477254B1 (ko) 2005-03-17

Family

ID=3735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397A KR100477254B1 (ko) 2003-01-17 2003-01-17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452B1 (ko) * 2005-10-13 2007-08-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크래쉬패드의 핀 체결구조
KR100888584B1 (ko) * 2007-12-14 2009-03-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크래쉬 패드의 센터 필라 삽입홈 은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361A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571B2 (en) Pin-less assist grip handle assembly
JP2006298131A (ja) 自動車の内装部品と車体パネルとの連結構造
US20050057050A1 (en) Door handle apparatus
JP5149962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装置
CN101195359A (zh) 汽车托盘的锁定装置
US20150166005A1 (en) Buckle apparatus for seat belt
WO2011004823A1 (ja) 外装部材の取付構造及びクリップ
KR100477254B1 (ko)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
KR101592279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
JP2005104399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側部カバーの取付構造
JP201423398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11348726A (ja) シートベルトの保持構造
JP5570256B2 (ja) ピラートリムの取付構造
KR100745452B1 (ko) 크래쉬패드의 핀 체결구조
KR200489371Y1 (ko)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JP6256759B2 (ja) メータークラスターの取り付け構造
JP2001301521A (ja) ランプの取付構造
KR101555997B1 (ko) 차량용 조향장치
JP2000322969A (ja) 乗り物のスイッチ装置
JP4003497B2 (ja) 車両用電子装置取付構造
JP3620989B2 (ja) 容器ホルダ
JP2011218884A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200266014Y1 (ko) 자동차용 컴퓨터 시스템
KR100737476B1 (ko)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KR20230011809A (ko)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그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