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809A -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그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그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809A
KR20230011809A KR1020210092503A KR20210092503A KR20230011809A KR 20230011809 A KR20230011809 A KR 20230011809A KR 1020210092503 A KR1020210092503 A KR 1020210092503A KR 20210092503 A KR20210092503 A KR 20210092503A KR 20230011809 A KR20230011809 A KR 20230011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elease lever
bracket body
hood release
mount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박진영
김진우
김신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809A/ko
Priority to US17/705,938 priority patent/US11851916B2/en
Priority to CN202210377857.XA priority patent/CN115613911A/zh
Publication of KR2023001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02Arrangements to mount end fittings of the sheathings to support walls or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50/00Machines or articles related to building
    • F16C2350/52Locks, e.g. cables to actuate door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개시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후드 릴리즈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바디와, 브라켓바디로부터 돌출한 리텐션 클립과, 상기 브라켓바디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 리브(hooked ri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리브의 자유단은 상기 리텐션 클립을 향해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그의 장착구조{HOOD RELEASE LEVER ASSEMBLY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 없이 차량의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그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가 운전석에 인접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또는 대쉬보드)에 장착되고,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는 릴리즈케이블을 통해 후드의 래치조립체에 연결된다.
도 17 내지 도 20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는 후드 릴리즈레버(110) 및 브라켓(120)을 포함하고, 후드레버(100)는 피벗핀(160)을 통해 브라켓(120)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은 개구(220) 및 결합숄더(230)를 가지고, 브라켓(120)은 돌출부(150)를 가지며, 돌출부(150)의 상부 일부가 브라켓(120)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결합홈(151)이 브라켓(120) 및 돌출부(150) 사이에 한정된다. 상측클립(140)이 돌출부(150)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측클립(140)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구성된다. 하측클립(130)이 브라켓(120)의 하단에 일체로 제공되며, 하측클립(130)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브라켓(120)의 돌출부(150)를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개구(220) 내로 삽입시킬 때, 브라켓(120)의 하측클립(130)의 상단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결합숄더(230)와 접촉한다. 그 이후에 작업자가 브라켓(120)을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을 따라 상향으로 밀어낸다(도 18의 화살표 U방향 참조). 이에 따라, 도 19와 같이 브라켓(120)의 상측클립(140)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개구(220) 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돌출부(150)의 결합홈(151)은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개구(220)의 상측가장자리에 결합되고, 브라켓(120)의 하측클립(130)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결합숄더(230)에 결합된다. 즉, 브라켓(120)은 돌출부(150), 상측클립(140), 및 하측클립(130)을 통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에 고정된다.
종래의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에 따르면, 브라켓(120)의 돌출부(150)가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개구(220)에 안착됨을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으므로 브라켓(120)의 작업성 및 조립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에 따르면, 브라켓(120)의 하측클립(130)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결합숄더(230)에 안착될 때 상측클립(140) 및 인스트루먼트패널(200) 사이의 간섭에 의한 반력이 발생하고, 상측클립(140)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개구(220)에 안착되기 위한 외력(체결력)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브라켓(120)을 인스트루먼트패널(200)에 결합하기 위한 외력은 상측클립(140) 및 하측클립(130)으로 분산되므로 브라켓(120)의 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종래의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에 따르면, 상측클립(140)이 가압된 상태에서 하측클립(130)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결합숄더(230)에 안착될 때, 하측클립(130) 및 인스트루먼트패널(200) 사이에서 발생된 반력에 의해 브라켓(120)의 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에 따르면, 브라켓(120)의 상측클립(140)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개구(220)에 안착되고, 브라켓(120)의 하측클립(130)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결합숄더(2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브라켓(120)을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을 따라 상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상측클립(140)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개구(220)에 결합되고, 하측클립(130)은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결합숄더(230)에 결합된다. 하지만, 작업자가 브라켓(120)의 하단을 상향으로 밀어낼 때 브라켓(120)의 파지면이 상대적으로 협소하므로 작업자의 손가락에 대한 압박감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 20을 참조하면, 브라켓(120)의 하측클립(130)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결합숄더(230)에 정확하게 안착(포지셔닝)되지 못할 때, 하측클립(130)의 단부가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결합숄더(230)의 상부와 접촉한다. 이런 상태에서, 결합홈(151)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개구(220)에 결합될 때, 돌출부(150)는 상측클립(140)의 탄성력에 의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에 대해 제1외력을 인가하고, 하측클립(130)의 자유단은 인스트루먼트패널(200)에 대해 제1외력의 반대방향으로 인가되는 제2외력을 인가함으로써 브라켓(120)은 인스트루먼트패널(200)에 오조립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는 하측클립(130)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의 결합숄더(230)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못할 경우 브라켓(120)이 인스트루먼트패널(200)에 오조립되는 조립불량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종래의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는 스크류 등을 통해 운전석의 전방에 위치한 크러쉬패드의 로어패널에 조립된다.
어느 한 조립방식에 따르면, 릴리즈케이블이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에 조립되고, 그 이후에 후드 릴리즈레버가 스크류들을 통해 크러쉬패드의 로어패널에 결합된다. 하지만, 크러쉬패드의 로어패널은 그 공간이 매우 협소하므로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한 조립이 매우 불리한 단점이 있었다.
다른 조립방식에 따르면,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가 스크류들을 통해 로어패널에 조립되고, 그 이후에 릴리즈케이블이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에 조립되며, 최종적으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릴리즈케이블이 조립된 로어패널이 크러쉬패드에 조립된다. 하지만, 조립순서 및 조립방식이 매우 복잡하므로 그 제조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27817호(2004.04.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별도의 공구 없이 차량의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에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는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그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후드 릴리즈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바디와, 브라켓바디로부터 돌출한 리텐션 클립과, 상기 브라켓바디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 리브(hooked ri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리브의 자유단은 상기 리텐션 클립을 향해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바디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 리브의 자유단이 브라켓의 상부에 제공된 리텐션 클립을 향해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후크 리브가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하단 둘레로 회전함을 허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브라켓의 조립을 위한 외력이 브라켓의 회전방향만으로 인가될 수 있으므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의 조립방향이 일원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는 별도의 공구 없이 차량의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후크 리브는 그 내부에 제공된 라운드면을 가지고, 상기 라운드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 리브의 라운드면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장착벽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접촉함으로써 이에 브라켓바디는 장착벽의 하단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리텐션 클립은,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상기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을 향해 돌출한 제1레그와, 상기 제1레그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진 제2레그와, 제2레그의 자유단에 제공된 리텐션 숄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텐션 클립은 제1레그 및 제2레그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리텐션 숄더가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장착벽의 장착홀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텐션 클립은 상기 리텐션 숄더에 대해 경사진 스토퍼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텐션 숄더가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장착벽의 장착홀에 결합될 때 리텐션 숄더는 리텐션 스토퍼에 의해 장착홀에 정확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상기 리텐션 숄더는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제1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후크 리브의 자유단은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제2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간격이 상기 제1간격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 리브가 장착벽의 하단에 가결합되기 전에 브라켓바디의 상단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장착벽과 먼저 접촉할 때, 리텐션 클립의 리텐션 숄더가 장착벽의 장착홀 내에 삽입됨이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브라켓이 장착벽에 오조립됨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바디는 슬롯을 가지고, 상기 제1레그는 상기 슬롯의 제1가장자리로부터 외팔보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리텐션 숄더는 상기 슬롯의 제2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텐션 클립이 브라켓바디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리텐션 클립은 장착벽의 장착홀 내로 삽입 및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슬롯의 제2가장자리는 상기 슬롯의 제1가장자리 보다 상기 후크 리브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롯의 제2가장자리가 제1가장자리 보다 후크 리브에 가까우므로 리텐션 숄더는 후크 리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크 리브는 브라켓바디로부터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바디는 상기 리텐션 클립 및 상기 후크 리브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돌기가 원뿔형상을 가짐으로써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홀과 접촉할 때 브라켓바디는 장착벽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텐션 클립의 리텐션 숄더는 가이드돌기에 의해 장착홀의 제2가장자리에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그리고, 리텐션 클립이 장착벽의 장착홀에 완전히 스냅결합될 때, 브라켓바디에 인접한 가이드돌기의 일부분이 장착벽의 장착홀에 끼움결합됨으로써 브라켓은 장착벽에 대해 상하로 이동함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바디의 상부 양측에 제공된 제1 및 제2 브라켓측 피벗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드 릴리즈레버는 그 상부 양측에 제공된 제1 및 제2 레버측 피벗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측 피벗러그는 제1피벗핀을 통해 상기 제1레버측 피벗러그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브라켓측 피벗러그는 제2피벗핀을 통해 상기 제2레버측 피벗러그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드 릴리즈레버는 브라켓측 피벗러그들 및 레버측 피벗러그들을 통해 브라켓에 대한 안정적으로 피벗작동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1피벗핀은 상기 제1레버측 피벗러그로부터 상기 제1브라켓측 피벗러그를 향해 돌출하고, 상기 제2피벗핀은 상기 제2레버측 피벗러그로부터 상기 제2브라켓측 피벗러그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 및 후드 릴리즈레버 사이의 피벗연결구조가 강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및 후드 릴리즈레버 사이에 장착된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후드 릴리즈레버를 일정위치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드 릴리즈레버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일정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의 장착구조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후드 릴리즈레버를 포함한 후드 릴리즈조립체; 및 상기 브라켓이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벽을 가진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바디와,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상기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장착벽을 향해 돌출한 리텐션 클립과, 상기 브라켓바디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 리브(hooked ri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벽은 상기 리텐션 클립이 결합되는 장착홀을 가지며, 상기 후크 리브는 상기 장착벽의 하단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가지고, 상기 후크 리브의 자유단은 상기 리텐션 클립을 향해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바디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 리브의 자유단이 브라켓의 상부에 제공된 리텐션 클립을 향해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후크 리브가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하단 둘레로 회전함을 허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브라켓의 조립을 위한 외력이 브라켓의 회전방향만으로 인가될 수 있으므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의 조립방향이 일원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는 별도의 공구 없이 차량의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후크 리브는 그 캐비티에 제공된 제1라운드면을 가지고, 상기 장착벽의 하단은 상기 제1라운드면과 접촉하는 제2라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2라운드면은 상기 제1라운드면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 리브의 라운드면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장착벽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접촉함으로써 이에 브라켓바디는 장착벽의 하단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벽은 상기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를 향하는 제1면과, 제1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벽은 상기 장착홀로부터 경사진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바디의 리텐션 클립이 장착벽의 장착홀에 삽입될 때 리텐션 클립은 가이드면을 통해 장착홀 내로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바디는 상기 리텐션 클립 및 상기 후크 리브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착벽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돌기가 원뿔형상을 가짐으로써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홀과 접촉할 때 브라켓바디는 장착벽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텐션 클립의 리텐션 숄더는 가이드돌기에 의해 장착홀의 제2가장자리에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그리고, 리텐션 클립이 장착벽의 장착홀에 완전히 스냅결합될 때, 브라켓바디에 인접한 가이드돌기의 일부분이 장착벽의 장착홀에 끼움결합됨으로써 브라켓은 장착벽에 대해 상하로 이동함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 리브의 자유단이 브라켓의 상부에 제공된 리텐션 클립의 리텐션 숄더와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후크 리브가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하단 둘레로 회전함을 허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브라켓의 조립을 위한 외력이 브라켓의 회전방향만으로 인가될 수 있으므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의 조립방향이 일원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는 별도의 공구 없이 차량의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가 차량의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에 조립될 때, 브라켓의 후크 리브가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하단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이 후크 리브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브라켓의 리텐션 클립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장착홀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후드 릴리즈레버의 베이스면이 전체적으로 파지면이 될 수 있고, 이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진 파지면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브라켓이 후크 리브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브라켓의 리텐션 클립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장착홀에 스냅결합될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조립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없이 작업자의 촉감에 의해 그 장착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화살표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화살표 D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화살표 E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가 장착되는 차량의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가 차량의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가 장착된 차량의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으로, 브라켓의 후크리브가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장착벽의 하단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의 리텐션 클립이 장착벽의 장착홀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9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으로, 브라켓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장착벽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9의 G-G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으로, 브라켓의 가이드돌기가 장착벽의 가이드홀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9의 G-G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으로, 브라켓의 가이드돌기가 장착벽의 가이드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의 브라켓의 리텐션 클립이 장착벽의 장착홀에 오조립됨이 방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의 브라켓의 가이드돌기가 장착벽의 가이드홀에 오조립됨이 방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H-H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종래기술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종래기술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종래기술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오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10)는 브라켓(11)과, 피벗핀(13a, 13b)을 통해 브라켓(11)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후드 릴리즈레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10)는, 운전석의 앞쪽에 위치한 차량의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10)는 운전석에 인접한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고,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10)는 릴리즈케이블(15)을 통해 차량의 후드 래치조립체(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은 브라켓(11)이 장착되는 장착벽(3)을 포함할 수 있고, 장착벽(3)은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예컨대,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은 차량의 운전석 및 보조석의 전방에 위치한 크래쉬패드의 로워패널, 인스트루먼트패널, 대쉬패널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장착홀(2)이 장착벽(3)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2개의 장착홀(2)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에 제공될 수 있다. 장착홀(2)은 제1가장자리 및 제2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고, 장착홀(2)의 제1가장자리는 장착벽(3)의 상단을 향하는 상측 가장자리일 수 있으며, 장착홀(2)의 제2가장자리는 장착벽(3)의 하단을 향하는 하측 가장자리일 수 있다. 가이드면(2a)이 장착홀(2)의 제1가장자리로부터 경사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장착벽(3)은 차량의 실내 및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10)를 향하는 제1면(3a)과, 제1면(3a)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2면(3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2a)이 장착홀(2)의 제1가장자리로부터 경사질 수 있고, 가이드면(2a)은 장착벽(3)의 제1면(3a)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가이드홀(4)이 장착벽(3)의 중간부분에 제공될 수 있고, 가이드홀(4)은 장착홀(2)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홀(4)은 제1가장자리 및 제2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고, 가이드홀(4)의 제1가장자리는 장착벽(3)의 상단을 향하는 상측가장자리일 수 있으며, 가이드홀(4)의 제2가장자리는 장착벽(3)의 하단을 향하는 하측가장자리일 수 있다. 제1경사면(4a)이 가이드홀(4)의 제1가장자리로부터 경사질 수 있고, 제1경사면(4a)은 장착벽(3)의 제1면(3a)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제2경사면(4b)이 가이드홀(4)의 제2가장자리로부터 경사질 수 있고, 제2경사면(4b)은 장착벽(3)의 제2면(3b)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브라켓(11)은 브라켓바디(21)와, 브라켓바디(21)의 상부에 제공된 리텐션 클립(22)과, 브라켓바디(21)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 리브(23, hooked rib)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바디(21)는 그 상부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슬롯(28)을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리텐션 클립(22)은 하나 이상의 슬롯(28)에 정렬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2개의 슬롯(28)이 브라켓바디(21)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고, 2개의 슬롯(28)은 브라켓바디(2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2개의 리텐션 클립(22)은 브라켓바디(2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2개의 리텐션 클립(22)이 2개의 슬롯(28)에 개별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리텐션 클립(22)은 브라켓바디(21)로부터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을 향해 돌출한 제1레그(22a)와, 제1레그(22a)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진 제2레그(22b)와, 제2레그(22b)의 자유단에 제공된 리텐션 숄더(2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3,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슬롯(28)은 제1가장자리 및 제2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고, 슬롯(28)의 제1가장자리는 브라켓바디(21)의 상단을 향하는 상측가장자리일 수 있고, 슬롯(28)의 제2가장자리는 브라켓바디(21)의 하단을 향하는 하측가장자리일 수 있다. 제1레그(22a)는 브라켓바디(21)의 슬롯(28)의 제1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의 장착홀(2)을 향해 돌출할 수 있고, 특히 제1레그(22a)는 브라켓바디(21)의 슬롯(28)의 제1가장자리에 외팔보구조(in cantilevered manner)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레그(22a)는 브라켓바디(21)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레그(22b)는 제1레그(22a)의 자유단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고, 제2레그(22b)의 자유단은 브라켓바디(21)의 슬롯(28)에 인접하거나 수평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2레그(22b)의 자유단은 브라켓바디(21)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제2레그(22b)는 제1레그(22a)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제2레그(22b)의 자유단은 브라켓바디(21)의 슬롯(28)의 제2가장자리에 인접할 수 있다. 제1레그(22a)가 탄성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제2레그(22b)는 제1레그(22a)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리텐션 숄더(22c)는 제2레그(22b)의 자유단에 제공될 수 있고, 리텐션 숄더(22c)는 브라켓바디(21)의 하단을 향할 수 있으며, 리텐션 숄더(22c)는 브라켓바디(2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리텐션 숄더(22c)는 브라켓바디(21)의 슬롯(28)의 제2가장자리에 정렬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리텐션 숄더(22c)는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의 장착홀(2)의 제2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리텐션 클립(22)은 리텐션 숄더(22c)에 대해 경사진 리텐션 스토퍼(2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리텐션 숄더(22c)가 장착홀(2)의 제2가장자리에 결합될 때 리텐션 숄더(22c)는 리텐션 스토퍼(22d)에 의해 장착홀(2)의 제2가장자리에 정확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후크 리브(23)는 브라켓바디(21)의 하단 또는 그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리텐션 클립(22)의 리텐션 숄더(22c)를 향해 커브질 수 있다. 후크 리브(23)는 장착벽(3)의 하단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한정할 수 있고, 특히 후크 리브(23)는 그 캐비티에 제공된 제1라운드면(23c)을 가질 수 있으며, 제1라운드면(23c)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은 그 하단에 제공된 제2라운드면(3c)을 가질 수 있고, 제2라운드면(3c)은 일정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1라운드면(23c)은 장착벽(3)의 제2라운드면(3c)에 회전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제1라운드면(23c)은 제2라운드면(3c)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브라켓바디(21)는 후크 리브(23)를 통해 장착벽(3)의 하단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바디(21)의 후크 리브(23)가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의 하단에 가결합될 때, 장착벽(3)의 하단은 브라켓바디(21)의 후크 리브(23)의 캐비티에 수용되고, 후크 리브(23)의 제1라운드면(23c)은 장착벽(3)의 제2라운드면(3c)과 접촉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바디(21)는 장착벽(3)의 하단을 중심으로 장착벽(3)을 향해 회전할 때, 후크 리브(23)의 제1라운드면(23c)은 장착벽(3)의 제2라운드면(3c)과 접촉함에 따라 후크 리브(23)는 장착벽(3)의 제2라운드면(3c)을 따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브라켓바디(21)가 후크 리브(23) 및 장착벽(3)의 하단을 중심으로 장착벽(3)의 제1면(3a)을 향해 회전할 때, 리텐션 클립(22)의 제2레그(22b)는 장착홀(2)의 제2가장자리를 통과하고 리텐션 클립(22)의 제1레그(22a)는 가이드면(2a)을 통해 장착홀(2)의 제1가장자리를 통과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리텐션 클립(22)이 장착홀(2) 내로 삽입될 때 리텐션 클립(22)의 제1레그(22a) 및 제2레그(22b)는 장착벽(3)의 장착홀(2) 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리텐션 클립(22)이 장착벽(3)의 장착홀(2)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 11과 같이, 리텐션 클립(22)의 제1레그(22a)는 장착홀(2)의 제1가장자리에 지지될 수 있고, 리텐션 클립(22)의 리텐션 숄더(22c)는 장착홀(2)의 제2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브라켓바디(21)는 리텐션 클립(22) 및 후크 리브(23)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돌기(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24)는 브라켓바디(21)로부터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24)는 그 내부에 캐비티(24b)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브라켓(11)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돌기(24)는 테이퍼면(24a)을 가진 원뿔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가이드돌기(24)는 테이퍼면(24a)에 의해 브라켓바디(21)로부터 장착벽(3)을 향해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4)는 적어도 일부분의 외경이 장착벽(3)의 장착홀(2)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벽(3)을 향하는 가이드돌기(24)의 자유단의 외경이 가장 작을 수 있고, 브라켓바디(21)에 고정된 가이드돌기(24)의 고정단의 외경이 가장 클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브라켓바디(21)에 고정된 가이드돌기(24)의 고정단의 외경은 장착벽(3)의 장착홀(2)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2개의 후크 리브(23)가 브라켓바디(21)의 하단에 제공될 수 있고, 2개의 후크 리브(23)는 브라켓바디(2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각 후크 리브(23)는 그에 상응한 리텐션 클립(22)과 브라켓바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8)의 제1가장자리는 후크 리브(23) 및 가이드돌기(24)에 대해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한 가장자리이고, 슬롯(28)의 제2가장자리는 후크 리브(23) 및 가이드돌기(24)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가장자리이다. 이에 따라, 슬롯(28)의 제2가장자리는 슬롯(28)의 제1가장자리 보다 후크 리브(23) 및 가이드돌기(24)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제2레그(22b) 및 리텐션 숄더(22c)는 제1레그(22a) 보다 가이드돌기(24) 및 후크 리브(23)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며, 리텐션 숄더(22c) 및 리텐션 스토퍼(22d)는 브라켓바디(21)로부터 충분히 이격될 수 있다.
브라켓바디(21)의 후크 리브(23)가 장착벽(3)의 하단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바디(21)가 장착벽(3)의 하단을 중심으로 장착벽(3)을 향해 회전할 때,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가이드돌기(24)는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의 가이드홀(4) 내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돌기(24)는 가이드홀(4)의 제2가장자리와 먼저 접촉한 후에 가이드홀(4)의 제1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돌기(24)의 테이퍼면(24a)이 가이드홀(4)과 접촉함에 따라 브라켓바디(21)는 장착벽(3)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텐션 클립(22)의 리텐션 숄더(22c)는 가이드돌기(24)의 테이퍼면(24a)에 의해 장착홀(2)의 제2가장자리에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그리고, 리텐션 클립(22)이 장착벽(3)의 장착홀(2)에 완전히 스냅결합될 때, 가이드돌기(24)의 고정단에 인접한 부분이 장착벽(3)의 가이드홀(4)에 끼움결합됨으로써 브라켓(11)은 장착벽(3)에 대해 상하로 이동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라켓(11)은 가이드돌기(24)에 의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착벽(3)은 제1면(3a)의 가장자리에 제공된 2개의 융기부(5a)를 가질 수 있고, 2개의 융기부(5a)는 제1면(3a)으로부터 브라켓(11)을 향해 융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바디(21)는 그 상부 양측에 제공된 2개의 함몰부(29)를 가질 수 있고, 2개의 함몰부(29)는 브라켓바디(21)의 중심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이에, 브라켓바디(21)가 장착벽(3)의 제1면(3a)에 장착될 때, 장착벽(3)의 융기부(5a)들이 브라켓바디(21)의 함몰부(29)들에 개별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후드 릴리즈레버(12)는 피벗핀(13a, 13b)들을 통해 브라켓(11)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후드 릴리즈레버(12)는 베이스면(12a)을 가질 수 있고, 베이스면(12a)은 차량의 승객실을 향할 수 있다. 또한, 후드 릴리즈레버(12)는 베이스면(12a)으로부터 융기된 융기면(12b)을 가질 수 있다. 후드 릴리즈레버를 지시하는 마크(12c)가 융기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11)은 브라켓바디(21)의 상부 양측에 제공된 제1 및 제2 브라켓측 피벗러그(31a, 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측 피벗러그(31a) 및 제2브라켓측 피벗러그(31b)는 브라켓바디(21)의 폭에 대응하여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제1브라켓측 피벗러그(31a)는 브라켓(11)의 상부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브라켓측 피벗러그(31b)는 브라켓(11)의 상부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후드 릴리즈레버(12)는 그 상부 양측에 제공된 제1 및 제2 레버측 피벗러그(32a, 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레버측 피벗러그(32a) 및 제2레버측 피벗러그(32b)는 후드 릴리즈레버(12)의 폭에 대응하여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제1레버측 피벗러그(32a)는 후드 릴리즈레버(12)의 상부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레버측 피벗러그(32b)는 후드 릴리즈레버(12)의 상부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브라켓측 피벗러그(31a)는 제1피벗핀(13a)을 통해 제1레버측 피벗러그(32a)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2브라켓측 피벗러그(31b)는 제2피벗핀(13b)을 통해 제2레버측 피벗러그(32b)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피벗핀(13a)이 제1브라켓측 피벗러그(31a)로부터 제1레버측 피벗러그(32a)를 향해 돌출할 수 있고, 제1피벗핀(13a)은 제1레버측 피벗러그(32a)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피벗핀(13b)이 제2브라켓측 피벗러그(31b)로부터 제2레버측 피벗러그(32b)를 향해 돌출할 수 있고, 제2피벗핀(13b)은 제2레버측 피벗러그(32b)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10)는 릴리즈케이블(15)을 통해 후드 래치조립체(미도시)에 연결된다. 릴리즈케이블(15)의 일단이 릴리즈레버(12)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릴리즈케이블(15)의 타단은 후드 래치조립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릴리즈케이블(15)은 그 일단에 제공된 핀(16)을 가질 수 있고, 핀(16)의 길이방향 축선은 릴리즈케이블(15)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릴리즈레버(12)는 그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평탄리브(17)와, 평탄리브(17)에 대해 직교하는 제1 및 제2 보강리브(18, 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강리브(18)는 제1브라켓측 피벗러그(31a) 및 제1레버측 피벗러그(32a)를 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보강리브(18)는 릴리즈케이블(15)의 핀(16)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18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보강리브(19)는 제2브라켓측 피벗러그(31b) 및 제2레버측 피벗러그(32b)를 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보강리브(19)는 릴리즈케이블(15)의 핀(16)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19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강리브(18)의 제1삽입홀(18a)은 릴리즈레버(12)의 폭방향을 따라 제2보강리브(19)의 제2삽입홀(19a)에 정렬될 수 있다. 릴리즈케이블(15)의 핀(16)은 제1보강리브(18)의 제1삽입홀(18a) 및 제2보강리브(19)의 제2삽입홀(19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릴리즈케이블(15)의 핀(16)이 릴리즈레버(12)에 결합될 수 있고, 릴리즈레버(12)가 브라켓(11)에 대해 피벗함에 따라 릴리즈케이블(15)은 그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바디(21)는 그 하부에 릴리즈케이블(1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25)을 가질 수 있고, 가이드블록(25)은 그 내부에 한정된 가이드 캐비티(guide cavity)를 가질 수 있고, 릴리즈케이블(15)의 일부분은 가이드블록(25)의 가이드 캐비티 내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25)은 개구(25a)를 가질 수 있고, 릴리즈케이블(15)의 일부분이 개구(25a)를 통해 가이드블록(25)의 가이드 캐비티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후드 릴리즈레버(12)는 피벗핀(13a, 13b)들을 중심으로 피벗할 수 있고, 이에 차량의 후드를 개방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후드 릴리즈레버(12)를 당김에 따라 후드 릴리즈케이블(15)이 당겨지고, 이에 따라 후드 래치조립체의 래치가 후드를 차체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후드 릴리즈레버(12)는 릴리즈레버(12)의 제1레버측 피벗러그(31a)로부터 릴리즈레버(12)의 중심을 향해 돌출한 리테이너돌기(13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리테이너돌기(13c)는 제1레버측 피벗러그(31a)로부터 제1피벗핀(13a)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10)는 브라켓(11) 및 후드 릴리즈레버(12) 사이에 장착된 토션스프링(14)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14)은 후드 릴리즈레버(12)를 록위치로 편향시키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14)은 리테이너돌기(13c)의 둘레에 배치된 코일부(14a)와, 코일부(14a)의 일단에서 연장된 제1스프링레그(14b)와, 코일부(14a)의 타단에서 연장된 제2스프링레그(14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스프링레그(14b)는 브라켓(11)에 지지될 수 있고, 제2스프링레그(14c)는 후드 릴리즈레버(12)에 지지될 수 있다. 제1관통홀(21a)이 브라켓(11)의 브라켓바디(21)의 한 측벽에 제공될 수 있고, 제1스프링레그(14b)는 제1관통홀(21a)에 지지될 수 있다. 제2관통홀(18b)이 제1보강리브(18)에 제공될 수 있고, 제2스프링레그(14c)가 제2관통홀(18b)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리텐션 클립(22)의 리텐션 숄더(22c)가 슬롯(28)의 제2가장자리에 정렬됨에 따라 리텐션 숄더(22c)는 가이드돌기(24) 및 후크 리브(23)를 향할 수 있고, 이에 리텐션 클립(22)의 리텐션 스토퍼(22d)는 브라켓바디(21)로부터 제1간격(t1)으로 이격될 수 있다. 후크 리브(23)가 일정길이를 가짐으로써 후크 리브(23)의 자유단(23a)은 제2간격(t2)으로 이격될 수 있다. 특히, 제2간격(t2)이 제1간격(t1) 보다 길 수 있다. 도 14와 같이, 후크 리브(23)가 장착벽(3)의 하단에 가결합되기 전에 브라켓(11)의 브라켓바디(21)의 상단(21c)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과 먼저 접촉할 때, 리텐션 클립(22)의 리텐션 스토퍼(22d)가 브라켓바디(21)로부터 제1간격(t1)으로 이격되고, 후크 리브(23)의 자유단(23a)은 브라켓바디(21)로부터 제2간격(t2)으로 이격되며, 제2간격(t2)이 제1간격(t1)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텐션 클립(22)의 리텐션 숄더(22c)가 장착벽(3)의 장착홀(2) 내에 삽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11)이 장착벽(3)에 오조립됨이 방지될 수 있다. 후크 리브(23)가 장착벽(3)의 하단에 가결합되기 전에 도 15와 같이, 브라켓(11)의 브라켓바디(21)의 상단(21c)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과 먼저 접촉할 때, 도 16과 같이 가이드돌기(24)의 상부가 제1경사면(4a)과 부분적으로 중첩됨으로써 가이드돌기(24)가 장착벽(3)의 가이드홀(4) 내에 삽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11)이 장착벽(3)에 오조립됨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브라켓(11)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 리브(23)의 자유단(23a)이 브라켓(11)의 상부에 제공된 리텐션 클립(22)의 리텐션 숄더(22c)와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후크 리브(23)가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의 하단 둘레로 회전함을 허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10)의 브라켓(11)의 조립을 위한 외력이 브라켓(11)의 회전방향만으로 인가될 수 있으므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10)의 조립방향이 일원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10)는 별도의 공구 없이 차량의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특히, 릴리즈케이블(15)이 후드 릴리즈레버(12)에 미리 장착된 상태에서 브라켓(11)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10)의 조립성이 개선될 뿐만 아닐 그 조립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후드 릴리즈레버(12)의 베이스면(12a)이 전체적으로 파지면이 될 수 있고, 이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진 파지면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1)이 후크 리브(23) 및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벽(3)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브라켓(11)의 리텐션 클립(22)이 전방측 인테리어패널(1)의 장착홀(2)에 정확하게 스냅결합될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조립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없이 작업자의 촉감에 의해 그 장착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전방측 인테리어패널 2: 장착홀
3: 장착벽 3b: 제2라운드면
4: 가이드홀 10: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11: 브라켓 12: 후드 릴리즈레버
13a, 13b: 피벗핀 14: 토션스프링
15: 릴리즈케이블 17: 평판리브
18, 19: 보강리브 21: 브라켓바디
22: 리텐션 클립 22a: 제1레그
22b: 제2레그 22c: 리텐션 숄더
22d: 리텐션 스토퍼 23: 후크 리브
23a: 자유단 23c: 제1라운드면
24: 가이드돌기 24a: 테이퍼면
25: 가이드블록 28: 슬롯
31a, 31b: 브라켓측 피벗러그 32a, 32b: 레버측 피벗러그

Claims (12)

  1.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후드 릴리즈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바디와, 브라켓바디로부터 인테리어패널을 향해 돌출한 리텐션 클립과, 상기 브라켓바디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 리브(hooked rib)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리브의 자유단은 상기 리텐션 클립을 향해 마주보도록 구성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 리브는 그 내부에 제공된 라운드면을 가지고, 상기 라운드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진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클립은,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돌출한 제1레그와, 상기 제1레그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진 제2레그와, 제2레그의 자유단에 제공된 리텐션 숄더를 포함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클립은 상기 리텐션 숄더에 대해 경사진 스토퍼면을 더 포함하는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숄더는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제1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후크 리브의 자유단은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제2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간격이 상기 제1간격 보다 길게 형성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바디는 슬롯을 가지고, 상기 제1레그는 상기 슬롯의 제1가장자리로부터 외팔보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리텐션 숄더는 상기 슬롯의 제2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제2가장자리는 상기 슬롯의 제1가장자리 보다 상기 후크 리브에 가깝게 위치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바디는 상기 리텐션 클립 및 상기 후크 리브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형상을 가진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9.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후드 릴리즈레버를 포함한 후드 릴리즈조립체; 및
    상기 브라켓이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벽을 가진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바디와,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상기 전방측 인테리어패널의 장착벽을 향해 돌출한 리텐션 클립과, 상기 브라켓바디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 리브(hooked rib)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벽은 상기 리텐션 클립이 결합되는 장착홀을 가지며, 상기 후크 리브는 상기 장착벽의 하단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가지고, 상기 후크 리브의 자유단은 상기 리텐션 클립을 향해 마주보도록 구성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의 장착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후크 리브는 그 캐비티에 제공된 제1라운드면을 가지고, 상기 장착벽의 하단은 상기 제1라운드면과 접촉하는 제2라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2라운드면은 상기 제1라운드면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의 장착구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착벽은 상기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를 향하는 제1면과, 제1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벽은 상기 장착홀로부터 경사진 가이드면을 포함한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의 장착구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바디는 상기 리텐션 클립 및 상기 후크 리브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브라켓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형상을 가지며,
    상기 장착벽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가진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KR1020210092503A 2021-07-14 2021-07-14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그의 장착구조 KR20230011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03A KR20230011809A (ko) 2021-07-14 2021-07-14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그의 장착구조
US17/705,938 US11851916B2 (en) 2021-07-14 2022-03-28 Hood release lever assembly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CN202210377857.XA CN115613911A (zh) 2021-07-14 2022-04-12 发动机罩释放杆组件及其安装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03A KR20230011809A (ko) 2021-07-14 2021-07-14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그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809A true KR20230011809A (ko) 2023-01-25

Family

ID=8485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503A KR20230011809A (ko) 2021-07-14 2021-07-14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그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51916B2 (ko)
KR (1) KR20230011809A (ko)
CN (1) CN1156139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817B1 (ko) 2001-09-12 2004-04-3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레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871B1 (ko) * 1999-12-31 2004-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ES1056145Y (es) * 2003-11-27 2004-06-01 Castellon Melchor Daumal Palanca de maniobra del capo de un automovi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817B1 (ko) 2001-09-12 2004-04-3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레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1916B2 (en) 2023-12-26
CN115613911A (zh) 2023-01-17
US20230023988A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116B1 (ko) 방수 그로밋
US7617571B2 (en) Pin-less assist grip handle assembly
US7478848B2 (en) Door opening prevention device for vehicle door outer handle
US20160010368A1 (en) Structure for attaching vehicle door handle device
JP2011230593A (ja) カーペットクランプ
EP2169149A2 (en) Door handle for vehicle
US7287890B2 (en) Lamp unit mounting structure
US20190017300A1 (en) Handle device
JP2015137662A (ja) クリップおよび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JP2011521419A (ja) 90°の角度をなす2つのアームを有するケーシングにより形成される電気接続部品
KR20230011809A (ko) 후드 릴리즈레버조립체 및 그의 장착구조
KR101181574B1 (ko) 부착구
WO2019058166A1 (en) MOTORIZED VEHICLE LATCH
JP3656795B2 (ja) 筒体と止め具の固定構造
US11788324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US7255365B2 (en) Air bag module with adjustable cover
JP3846628B2 (ja) コネクタ
JP3175495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ロックの固定構造
WO2017094575A1 (ja) フック装置
KR101464544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JP3887695B2 (ja) コネクタ
KR200314672Y1 (ko) 래치 모듈
KR101823886B1 (ko) 차량도어용 인사이드핸들의 장착구조
CN115139869B (zh) 用于车辆座椅轨道的锁定装置
JP6006916B2 (ja) メータユニットの取付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