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476B1 -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476B1
KR100737476B1 KR1020050124951A KR20050124951A KR100737476B1 KR 100737476 B1 KR100737476 B1 KR 100737476B1 KR 1020050124951 A KR1020050124951 A KR 1020050124951A KR 20050124951 A KR20050124951 A KR 20050124951A KR 100737476 B1 KR100737476 B1 KR 100737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upled
striker
locking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475A (ko
Inventor
윤선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47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는 캡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 차체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결합/이탈되는 수납부,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커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수납부에 결합되는 경우,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는 안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캡의 틸팅다운시 탄성력에 의하여 래치를 정위치에 안내하여 안정적인 잠금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차량, 잠금, 틸팅, 캡, 록킹, 래치, 안내, 스트라이커

Description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APPARATUS FOR LOCKING CAB OF VEHICLE}
도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적용된 차량용 캡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3 은 도2 의 잠금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4 는 도3 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스트라이커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5 는 도4 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잠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캡(Cab) 22: 잠금장치
23: 스트라이커(Striker) 25: 수납부
27: 차체 29: 힌지축
35: 록킹바(Locking Bar) 37: 안내수단
본 발명은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캡의 틸팅 다운시 안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잠금작용이 정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는 엔진룸을 밀폐시키고 외관을 형성하는 캡이 틸팅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캡(1)은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2)에 힌지축(3)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며, 실린더(4)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캡(1)의 선단부에 구비된 잠금장치(5)에 의하여 차체(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5)는 캡(1)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6)와, 차체(2)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스트라이커(6)가 결합/이탈되는 수납부(7)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6)는 록킹바(8)가 구비되며, 이 록킹바(8)가 수납부(7)의 래치(11)에 결합됨으로써 잠금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납부(7)는 차체(2)에 구비되는 브릿지(9)와, 이 브릿지(9)의 상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0)과, 스프링(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바(8)가 결합되는 래치(11)를 포함한다.
따라서, 캡(1)이 틸팅다운되어 차체(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록킹바(8)가 상기 래치(11)에 결합됨으로써 잠금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캡의 잠금장치는 주행중 캡 스프링이 유동하게 되므로, 이 스프링에 지지된 래치도 전후로 유동하게 되어, 잠금시 래치가 록킹바의 잠금가능한 범위(W)를 벗어나게 됨으로써 잠금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록킹바가 정위치에 안내되지 못함으로써 캡 및 부품들의 형상변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캡의 틸팅다운시 래치를 정위치에 안내하여 안정적인 잠금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캡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 차체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결합/이탈되는 수납부;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커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수납부에 결합되는 경우,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는 안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캡의 틸팅다운시 탄성력에 의하여 래치를 정위치에 안내하여 안정적인 잠금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과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캡(21)은 차체(27)에 힌지축(29)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며, 실린더(31)에 의하여 신축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캡(21)의 선단부에 구비된 잠금장치(22)에 의하여 차체(27)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22)는 캡(21)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23)와, 차체(27)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스트라이커(23)가 결합/이탈되는 수납부(2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23)는 캡(21)의 선단에 연결되는 브래킷(33)과, 이 브래킷(33)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25)에 결합되는 록킹바(35)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래킷(33)은 바람직하게는 "∩" 형상을 가지며, 상기 록킹바(35)는 이러한 브래킷(33)의 내부를 가로질러 장착된다. 이때, 상기 록킹바(35)는 원형단면을 가짐으로써 수납부(25)의 래치(43)에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록킹바(35)는 원형단면 뿐만 아니라 반원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단면형상도 가능하다.
그리고, 수납부(25)는 차체(27)에 구비되는 브릿지(39)와, 이 브릿지(39)의 상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1)와, 탄성부재(4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바(35)가 결합되는 래치(43)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41)는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반드시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을 갖는 재질, 즉 러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부재(41)의 상부에는 베이스(53)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53)의 상면에 래치(43)가 돌출된다.
따라서, 캡(21)이 틸팅다운되어 차체(27)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록킹바(35)가 상기 래치(43)에 결합됨으로써 잠금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트라이커(23)가 잠금부에 결합되는 경우, 스트라이커(23)가 수납부(25)의 래치(43)에 원활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래치(43)를 일정 범위(W)이내에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록킹바(35)에 안내수단(37)이 구비됨으로써, 결합시, 래치(43)를 정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안내수단(37)은 도3 및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바(35)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경사부(38a,38b)와, 제1 및 제2 경사부(38a,38b)를 탄력적으로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S1,S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38a,38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1 경사부(38a)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 경사부(38a)는 그 중심부에 관통홀(47)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47)에는 록킹바(35)가 삽입됨으로써 제1 경사부(38a)가 활주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1 경사부(38a)는 일측에 경사면(5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삽입홈(49)이 형성된다. 이 삽입홈(49)에는 제1 스프링(S1)이 삽입됨으로써 제1 경사부(38a)는 제1 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하여 중심방향으로 지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캡(21)이 틸팅다운 되는 경우, 상기 록킹바(35)가 수납부(25)의 래치(43)에 접촉하게 되며, 이때, 래치(43)의 상부가 제1 및 제2 경사부(38a,38b)의 경사면(51)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제1 및 제2 경사부(38a,38b)를 외측 방향으로 적절하게 밀어냄으로써 록킹바(35)에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납부(25)의 스프링이 진동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결합범 위(W)를 벗어난 경우에도, 래치(43)의 상단부가 제1 경사부(38a) 혹은 제2 경사부(38b)의 경사면(51)에 접촉하여 제1 경사부(38a) 혹은 제2 경사부(38b)의 경사면을 타고 결합범위(W) 이내의 정위치로 안내됨으로써 원활하게 잠금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38a,38b)가 록킹바(35)를 따라 좌우로 유동할 수 있는 범위는 상기 래치(43)가 경사면(51)에 접촉되어 록킹바(35)에 결합될 수 있는 범위 이내이다.
그리고, 상기 래치(43)는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바(35)에 걸림턱(44)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38a,38b)가 탄력적으로 래치(43)에 밀착 결합된 상태이므로, 주행중 차체(27)의 진동 등에 의하여 래치(43)의 좌우유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는 안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캡의 틸팅다운시 탄성력에 의하여 래치를 정위치에 안내하여 안정적인 잠금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래치를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 결합함으로써 진동 등에 의하여 래치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 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7)

  1. 캡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
    차체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결합/이탈되는 수납부;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커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수납부에 결합되는 경우,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캡의 선단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이 브래킷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는 록킹바를 포함하는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차체에 구비되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의 상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록킹바가 결합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록킹바에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경사부와,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를 내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캡의 틸팅다운시 상기 래치가 제1 및 제2 경사부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는 각각 록킹바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의 유동 범위는 상기 래치가 경사면에 접촉되어 록킹바에 결합될 수 있는 범위 이내인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KR1020050124951A 2005-12-17 2005-12-17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KR100737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951A KR100737476B1 (ko) 2005-12-17 2005-12-17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951A KR100737476B1 (ko) 2005-12-17 2005-12-17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475A KR20070064475A (ko) 2007-06-21
KR100737476B1 true KR100737476B1 (ko) 2007-07-09

Family

ID=3836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951A KR100737476B1 (ko) 2005-12-17 2005-12-17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4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6216U (ko) 1977-06-01 1978-12-26
JPH03114666U (ko) * 1990-03-07 1991-11-26
KR100266078B1 (ko) 1996-12-03 2000-09-15 정몽규 대형트럭의 캡 틸팅 스트라이커 마운팅 보강구조
KR20040035331A (ko) * 2002-10-22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캡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6216U (ko) 1977-06-01 1978-12-26
JPH03114666U (ko) * 1990-03-07 1991-11-26
KR100266078B1 (ko) 1996-12-03 2000-09-15 정몽규 대형트럭의 캡 틸팅 스트라이커 마운팅 보강구조
KR20040035331A (ko) * 2002-10-22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캡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475A (ko)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8563A1 (en) Pin-less assist grip handle assembly
WO2011004823A1 (ja) 外装部材の取付構造及びクリップ
KR100737476B1 (ko)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US8807622B2 (en) Urging device
JP2019077267A (ja) 車載部品の取付構造
EP4309956A1 (en) Sliding-type glove box
US20050013435A1 (en) Mounting for electronic accessories for vehicles
JP5206281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9120118A (ja) 部品の取付構造及び部品の取付方法
JP2005297646A (ja) ワイパブレードの連結構造及び車両用ワイパ装置
KR100573390B1 (ko) 흔들림방지된 리어뷰미러 장치
KR100477254B1 (ko) 크래쉬 패드의 핀 체결구조
JP2007063904A (ja) ロック機構
JP4490190B2 (ja) ゲーム機用蝶番
JP2013079042A (ja) 一対の自動車用モール
JP3227991B2 (ja) クラスタの空き凹部用蓋部材の固定構造
JP3575462B2 (ja) ロック機構を具える車両用操舵装置
JP2008279999A (ja) 内装部品の取付構造
WO2010150855A1 (ja) 固定具
JP2001171424A (ja) 車両用灯具
KR200266014Y1 (ko) 자동차용 컴퓨터 시스템
JP2002046490A (ja) フューエルリッドの支持構造
JP6120916B2 (ja)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4501907B2 (ja) 車両用天井モジュール
KR200153109Y1 (ko) 차량용 재떨이의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