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748B1 -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748B1
KR100476748B1 KR10-2002-0034401A KR20020034401A KR100476748B1 KR 100476748 B1 KR100476748 B1 KR 100476748B1 KR 20020034401 A KR20020034401 A KR 20020034401A KR 100476748 B1 KR100476748 B1 KR 100476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ngine room
vehicle
sp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030A (ko
Inventor
민장홍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748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스프링(40)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14)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가이드 홈(14)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탄지되는 지지암(22)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의 유동이 가능한 제1브라켓(20); 상기 본체(10)의 또다른 일측면에 고정 형성된 제2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량에 보행자가 충돌한 경우 보행자가 엔진룸 내에 취부된 부품에 의해 2차적인 충격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여, 차량 사고시의 인명 피해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MOUNTING BRACKET STRUCTURE IN ENGINE ROO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룸 내에 각종 부품을 취부시키는 브라켓의 구조로서, 특히 차량에 보행자가 충돌한 경우 보행자가 엔진룸 내에 취부된 부품에 의해 2차적인 충격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취부된 부품이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형성한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특히 승용차의 엔진룸은 차량의 전방 후드부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엔진룸 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들이 취부되는데, 일반적으로 차체측에 스크루나 볼트 등의 취부 수단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탱크류나 릴레이 박스 등과 같이 엔진룸 후드부와 근접해 있는 부품들은 차체 측면 공간에 배치 고정되는데, 파워 스티어링 오일 탱크, 워셔 탱크, 냉각수 저장 탱크, 릴레이 및 퓨즈 박스, 에어 클리너 등이 이러한 부품들에 해당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부품들이 엔진룸 내에 고정될 때에, 부품에 형성된 브라켓을 차체측에 스크루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상당히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엔진룸 부품들이 상당한 충격에도 탈거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취부구조는 부품의 고정이라는 본래의 기능은 충분히 제공하지만, 차량 안전사고시에는 취약점을 나타내었다.
도 1은 주행하는 차량에 보행자가 충돌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로서, 보행자가 차량에 충돌한 후, 보행자의 머리부가 차량 후드부에 충돌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엔진룸 부품들은 상기한 것과 같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후드부에 충돌한 보행자에 대하여 강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실제로 보행자 머리부는 후드와의 충돌보다 후드의 변형 후에 그 내부에 2차적으로 충돌하는 내부의 엔진룸 부품들로 인해 더 큰 충격을 받아 상해치가 높아 지게 된다.
이때문에 현재 엔진룸의 규격에 대한 보행자 보호법규가 규정되어 있으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후드와 엔진룸내 부품간에 일정한 거리를 두도록 설계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실제 차량 디자인 측면에서 후드부의 높이를 일정치 이상 높게 설정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보행자의 충돌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와 같은 2차적인 충돌이 발생되는 것을 피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룸 내에 각종 부품을 취부시키는 브라켓의 구조로서, 차량에 보행자가 충돌한 경우 보행자가 엔진룸내에 취부된 부품에 의해 2차적인 충격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취부된 부품이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형성한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이 상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는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로서, 일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14)이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40)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가이드 홈(14)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탄지되는 지지암(22)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홈(14)을 따라 상하 방향의 유동이 가능한 제1브라켓(20); 및 상기 본체의 타측면으로 고정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브라켓(30)을 포함하여, 상기 제1브라켓(20) 및 제2브라켓(3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엔진룸 내의 부품이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차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40)에 의하여 엔진룸내의 부품들이 차체에 대하여 상하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면에는 상기 스프링(4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암(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22)은 'ㄱ'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일단은 제1브라켓(20)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40)의 상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라켓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라켓의 좌측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 본체(10)는 대략 장방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내부에 스프링(40)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 내부의 하면에는 상기 스프링(4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암(1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는 엔진룸 내의 부품들이 고정결합되는 제1브라켓(20)이 구비되는 데, 제1브라켓(20)에는 상기 본체(10)의 가이드 홈(14)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탄지되는 지지암(22)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암(22)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데, 일단이 제1브라켓(20)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홈(14)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40)의 상단부에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브라켓(20)은 지지암(22)을 통해 스프링(40)에 의해 탄지되며, 하방으로의 외력을 받을 때에 이에 대항하는 스프링(40)의 탄지력을 받는 상태에서 하부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타측면에는 제2브라켓(30)이 고정 형성되는데, 제2 브라켓(30)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며, 부품의 하중에 따라 갯수나 형상, 치수 등은 적절하게 변경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2개의 제2브라켓(30)이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을 이용하여 부품을 엔진룸에 취부하는 경우, 상기 제1브라켓(20)은 부품의 측면에 형성된 브라켓에 나사나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고정 체결되며, 제2브라켓(30)은 차체측에 형성된 취부 홀을 통해 나사나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고정 체결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엔진룸 부품들은 상기의 브라켓 구조에 의해 상하 방향의 유동이 가능하므로, 후드부에 충돌하여 엔진룸 내의 부품에 2차적으로 충돌하는 보행자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유동과 스프링의 탄지력을 통해 완충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보행자의 2차 충돌이 발생할 때에 보행자에 가해지는 충격은 완화되며, 충격 후에 엔진룸 내의 부품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브라켓(20)이 부품측에 고정 체결되고, 제2브라켓(30)이 차체측에 고정 체결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제1브라켓(20)이 차체측에 고정 체결되고, 제2브라켓(30)이 부품측에 고정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은 엔진룸 내의 부품 조건을 고려하여 적당한 치수와 재질을 갖는 범용 부품으로 생산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의 각각은 상기한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에서 권리로서 청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물론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엔진룸 내에 취부된 부품이, 소정의 외력 발생시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차량에 보행자가 충돌한 경우 보행자가 엔진룸 내에 취부된 부품에 의해 2차적인 충격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여, 차량 사고시의 인명 피해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주행하는 차량에 보행자가 충돌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라켓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라켓의 좌측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고정암
14: 가이드 홈 20: 제1브라켓
22: 지지암 30: 제2브라켓
40: 스프링

Claims (3)

  1.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이 상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는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로서,
    일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14)이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40)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가이드 홈(14)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탄지되는 지지암(22)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홈(14)을 따라 상하 방향의 유동이 가능한 제1브라켓(20); 및
    상기 본체의 타측면으로 고정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브라켓(30)을 포함하여,
    상기 제1브라켓(20) 및 제2브라켓(3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엔진룸 내의 부품이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차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40)에 의하여 엔진룸내의 부품들이 차체에 대하여 상하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면에는 상기 스프링(4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암(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22)은 'ㄱ'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일단은 제1브라켓(20)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40)의 상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KR10-2002-0034401A 2002-06-19 2002-06-19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KR100476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401A KR100476748B1 (ko) 2002-06-19 2002-06-19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401A KR100476748B1 (ko) 2002-06-19 2002-06-19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030A KR20040000030A (ko) 2004-01-03
KR100476748B1 true KR100476748B1 (ko) 2005-03-16

Family

ID=3731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401A KR100476748B1 (ko) 2002-06-19 2002-06-19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7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5022A (en) * 1977-07-27 1979-02-24 Toyota Motor Corp Automative engine mounting mechanism
KR19980027664A (ko) * 1996-10-17 1998-07-15 박병재 차량의 충격흡수 및 분산장치
KR0126528Y1 (ko) * 1995-08-14 1998-10-15 윤은중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KR200158553Y1 (ko) * 1996-12-12 1999-10-15 정몽규 테일게이트의 댐핑 유동방지장치
JP2000014967A (ja) * 1998-06-30 2000-01-18 Daewoo Electronics Co Ltd 二重の緩衝構造を有する洗濯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5022A (en) * 1977-07-27 1979-02-24 Toyota Motor Corp Automative engine mounting mechanism
KR0126528Y1 (ko) * 1995-08-14 1998-10-15 윤은중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KR19980027664A (ko) * 1996-10-17 1998-07-15 박병재 차량의 충격흡수 및 분산장치
KR200158553Y1 (ko) * 1996-12-12 1999-10-15 정몽규 테일게이트의 댐핑 유동방지장치
JP2000014967A (ja) * 1998-06-30 2000-01-18 Daewoo Electronics Co Ltd 二重の緩衝構造を有する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030A (ko) 200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838B1 (ko) 자동차의 휀더부 구조
JP2009083687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2005518294A (ja) バンパービームを備える自動車のフロントパネル
US6840659B2 (en) Transition region between a vehicle engine hood or front trunk lid and a headlight
KR100476748B1 (ko)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KR20100060135A (ko) 저속충돌 대응을 위한 범퍼의 백빔 보강구조
KR20110023347A (ko) 자동차용 범퍼 페시아
CN110525325B (zh) 固定元件以及固定元件在机动车的车前部中的布置
KR100471495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100471477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101251828B1 (ko) 차량용 범퍼
KR20050070517A (ko) 범퍼커버 결착구조
KR100542103B1 (ko) 차량의 범퍼 지지구조
KR100427765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카울판넬구조
KR19980025665U (ko) 자동차용 범퍼 어셈블리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0128691B1 (ko) 자동차용 보조 앞 범퍼의 브라켓트 취부구조
JPH09315243A (ja) 車両用グリルガード
JP5692025B2 (ja) リヤバンパ構造
KR0120507Y1 (ko)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
KR200152954Y1 (ko) 자동차용 후방도어 임팩트바의 구조
KR100422787B1 (ko) 차량용 범퍼 장착 구조
KR20030080846A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범퍼
KR100231554B1 (ko) 차량용 대쉬판넬의 보강구조
KR100351361B1 (ko) 승객의 두부손상저감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론트필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