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528Y1 -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 Google Patents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528Y1
KR0126528Y1 KR2019950020835U KR19950020835U KR0126528Y1 KR 0126528 Y1 KR0126528 Y1 KR 0126528Y1 KR 2019950020835 U KR2019950020835 U KR 2019950020835U KR 19950020835 U KR19950020835 U KR 19950020835U KR 0126528 Y1 KR0126528 Y1 KR 0126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pring mount
flange
sp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201U (ko
Inventor
윤은중
Original Assignee
윤은중
주식회사엔.에스.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은중, 주식회사엔.에스.브이 filed Critical 윤은중
Priority to KR2019950020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528Y1/ko
Publication of KR9700102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2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5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를 개시한다.
종래의 스프링 마운트는 상하부 하우징이 각각 원호형 기둥형태의 가이드로 서로 맞물리므로 그 제조가 복잡하고 구성부가 분리 가능성이 있고 설치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상하부 하우징에 서로 걸릴 수 있는 플랜지를 각각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돌기부와 슬롯으로 결합되도록 하며, 특히 하부하우징을 측벽 블록의 조립으로 구성하여 제작이 용이하여 취급과 설치가 간편한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제1도는 종래의 스프링 마운트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원인의 선출원 스프링 마운트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스프링 마운트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4도는 그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하우징(upper housing) 13 : 플랜지(flange)
14 : 돌기부 20 : 하부하우징(lower housing)
40 : 측벽블록 42 : 플랜지
44 : 저판부(底板部) 45 : 안착홈
50 : 고정판 30 : 코일 스프링(coil spring)
본 고안은 스프링 마운트(spring mount)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 마운트는 펌프나 송풍기 또는 공조기 등 회전이나 왕복운동으로 기진력(起塵力)을 발생시키는 설비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진동을 감쇠시킴으로써 진동과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지지장치이다.
이러한 스프링 마운트에 있어서 주로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거나 수평방향의 기진력이나 반력이 비교적 크지 않은 경우에는 횡진(side sway)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단순한 개방형의 스프링 마운트가 사용된다.
이에 비해 수평반력이 크거나 장비를 고효율로 방진해야 하는 경우에는 횡방향의 진동을 구속 및 감쇠시키는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가 사용된다.
종래의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는 예를들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제1도에서, 배관의 브라켓(bracket)이 결합될 결합볼트(B)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11)과, 바닥의 앵거볼트(anchor bolt)등에 고정될 하부 하우징(12)의 양측에는 각각 서로 맞물리는 원호형 기둥형태의 가이드(guide : 11a, 12a)가 연장된다. 상하부 하우징(11,12)의 가이드(11a,12a)사이에는 상호 원활한 유동을 보장하기 위한 베어링재(18)가 개재된다.
이러한 상하부 하우징(11,12)사이에 코일 스프링(13)이 삽입되어 수직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게 된다. 횡방향의 진동은 가이드(11a,12a) 사이의 베어링재(18)를 통해 구속 및 감쇠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프링 마운트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점은 상하부 하우징(11,12)이 서로 고정되지 못하고 분리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스프링 마운트의 취급과 설치가 번거롭고 지지될 장비의 하중이나 진동상태에 따라 스프링 마운트가 사용시 분리되어 버릴 위험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코일 스프링(13)이 자유로운 연신(延伸)상태에 있다가 장비하부에 설치될 경우에 압축되어 사용상태가 되므로, 복수의 스프링 마운트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높이차와 요동이 심해 장비를 정확한 수평으로 설치할 수 없으며 설치후에도 요동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 마운트는 그 구조상 주조 또는 용접으로 제조될 수 밖에 없어 제조원가도 높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원인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를 고안하여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9738호로 출원한 바 있다.
이 스프링 마운트는 각각 ㄷ자형으로 형성된 상하부 하우징(1, 2)의 측벽부(1b,2b)가 서로 겹친상태로 그 사이에 코일 스프링(3)을 설치하고, 일측 측벽부(2b)가 상단에돌기부(5)를 형성하고 타측 측벽부(1b)의 대응 부위에 핀구멍(1c)을 형성하여, 이 핀구멍(1c)에 결합핀(4)를 결합하여 돌기부(5)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코일 스프링(3)이 소정높이로 프리세팅(pre-setting)된 상태로 한 조립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2도의 나머지 부호 B는 상부하우징(1)의 지지부(1a)에 설치된 결합볼트, 8은 베어링재(bearing material), 6은 스프링 캡(spring cap), 2a는 하부하우징(2)의 고정부, 2c는 앵커볼트(anchor bolt)등이 결합되는 슬롯(slot), 7은 마찰재(non-skid material)이다.
이러한 구성의 스프링 마운트는 상하부 하우징(1,2)이 한 조립체로 구성될 뿐 아니라 스프링 마운트가 설치상태로 프리세팅될 수 있어 요동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제2도의 스프링 마운트는 여러가지 기능상의 우수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작상 몇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이 밝혀졌다.
즉, 하부하우징(2)이 판재를 대략 +자형으로 블랭킹(blanking)하여 측벽부(2b)를 절곡해 올리는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재료의 소모가 크고 그 벤딩(bending)장치도 상당히 대형화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상하부 하우징(1,2)의 결합을 위해 상부하우징(1)의 양 측벽부(1b)의 핀구멍(1c)으로 결합핀(4)을 관통시켜 결합시키지 않으면 안되는바 그 결합이 상당히 어렵고, 스프링 마운트가 중량물의 진동환경에서 사용되므로 이 결합핀(4)이 이탈되기 쉬움에도 적절한 고정수단의 설치가 어렵게 된다.
또한 상하부 하우징(1,2)의 측벽부(1b,2b)의 접촉면적이 커서 별도의 베어링재(8)가 없이는 방진시 마찰소음등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제1, 2도의 스프링 마운트는 모두 코일스프링(3)의 상부는 결합볼트(B)가 없이는 방진시 마찰소음등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제1, 2도의 스프링 마운트는 모두 코일스프링(3)으 상부는 결합볼트(B)로 지지하고 하부는 하부하우징(2)에 제한턱을 랜싱(lancing)가공이나 용접등으로 설치하여 지지하고 있는 바, 이러한 제한턱의 설치에 많은 공수와 원가가 소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판재의 소모가 작고 조립이 용이하며 별도의 베어링재가 필요없고 제한턱이 없이도 코일스프링의 지지가 가능한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는 상하부 하우징 사이에 코일 스프링을 설치한 스프링 마운트에 있어서, 상부하우징이 양 측벽부 하단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를 구비하여 대략 모자(hat) 형태(또는 Ω형태)로 구성되고, 하부하우징의 두 측벽부가 각각 상단에 상부하우징의 플랜지에 걸리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의하면 하부하우징은 이 플랜지를 가지는 측벽부가 그 하부에 연장된 저판으로 고정판에 결합되는 두 측벽블록에 구비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부하우징의 플랜지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돌기부가 돌출되고, 하부하우징의 지지블록의 측벽부에는 이 돌기부를 안내하는 슬롯(slot)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본 고안 스프링 마운트는 종래와 같이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 사이에 코일스프링(30)을 설치하여 일체로 조립된 구성을 가진다.
먼저 상부하우징(10)을 살펴보면, 결합볼트(B)가 설치된 상판부(11)의 양측에는 측벽부(12)가 하방으로 연장되고, 측벽부(12)의 단부에서는 외측을 향해 소정폭의 플랜지(13)가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모자형태 또는 Ω형태를 가지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플랜지(13)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 도면에서는 2개의 돌기부(14)가 돌출연장된다.
한편 하부하우징(20)은 두 측벽부(41)의 상단에 상부하우징(10)의 양플랜지(14)에 각각 외측으로부터 걸리는 플랜지(42)를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상하부 하우징(10,20)에 돌기부(14) 및 슬롯(44)이 형성되면 양 플랜지(13, 42)가 서로 걸리는 대신 돌기부(14)와 슬롯(44)이 걸리게 된다.
여기서 측벽부(41)는 제2도에 도시된 구성과 같이 고정판(50)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50)에 결합되는 측벽블록(40)의 일부로 구성된다.
각 측벽블록(40)은 상단에 플랜지(42)를 가지는 측벽부(41)를 구비하고 그 하부에 고정판(50)에 결합되는 저판부(底板部 : 43)를 가져 대략 ㄷ자형으로구성되어 고정판(50)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상부하우징(10)의 플랜지(13)에 돌기부(14)가 구비되는 경우, 측벽부(41)에는 이에 대응되는 슬롯(44)이 형성되어 돌기부(14)의 상하유동을 안내하고 상부하우징(10)의 횡방향운동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측벽블록(40)의 저판부(43) 내측에는 원호형의 안착홈(45)이 형성되는데, 이 안착홈(45)은 두 측벽블록(40)이 대향 설치되었을때 코일 스프링(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한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나머지 부호 31은 스프링캡(spring cap)이며, 51은 앵커볼트(anchor bolt)등과의 체결을 위한 슬롯, 그리고 60은 스프링 마운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패드(non-skid pad)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프링 마운트는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들어 일측 측벽블록(40)을 고정판(50)에 결합한 뒤 상부하우징(10)의 플랜지(13)의 돌기부(14)를 측벽블록(40)의 측벽부(41)의 슬롯(44)에 삽입시킨 뒤, 다른 측벽블록(40)을 횡방향으로 부터 진입시켜 고정판(50)에 고정하는 방법등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30)은 조립이 완료된 후 클램프(clamp)등으로 압축된 상태로 조립된 상, 하부 하우징(10, 20)사이에 진입시켜 클램프를 해제시키거나 상부하우징(10)에 결합시켜 프레스(press)등으로 압축시킨 상태에서 측벽블록(40)을 결합하는 방법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 하부하우징(10,20)이 조립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30)의 하부는 두 측벽블록(40)의 저판부(43)의 안착홈(45) 사이에서 유동없이 지지된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하우징(10)의 플랜지(13)가 하부하우징(20)의 플랜지(42)에 걸리거나, 돌기부(14) 및 슬롯(44)이 구비된 경우는 이 돌기부(14)가 슬롯(44)의 상단에 걸려 코일 스프링(30)을 소정의 압축상태로 유지해주게 된다.
즉 본 고안 스프링 마운트는 그 높이나 탄성력을 소정상태로 프리세팅 시킬 수 있는 바, 하부하우징(20)의 플랜지(42) 또는 슬롯(44)의 높이는 스프링 마운트의 설치 상태 또는 사용하중의 일정비율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선출원 94-29738호와 같이 취급과 설치가 용이한 일체형이면서, 특히 재료가 절감되고 조립이 용이하며 별도의 베어링재가 불필요한 개선된 형태의 스프링 마운트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상하부 하우징 사이에 코일 스프링을 설치한 스프링 마운트에 있어서, 상부하우징(10)이 양 측벽부(12) 하단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3)를 구비하여 모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20)의 두 측벽부(41) 상단에 상기 상부하우징(10)의 플랜지(13)에 걸리는 플랜지(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20)의 측벽부(41) 및 플랜지(42)가 상기 하부하우징(20)의 고정판(50)에 저판부(43)로 결합되는 ㄷ자형의 두 측벽블록(4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블록(40)의 저판부(43) 내측에 원호형의 안착홈(45)이 형성되어, 두 측벽블록(40)이 상기 고정판(50)상에 설치되면 상기 코일스프링(30)의 하부가 상기 두 측벽블록(40)의 안착홈(45) 사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4. 제1항 또는 제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10)의 플랜지(13)에 하나 또는 복수의 돌기부(1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20)의 측벽부(41)에 상기 돌기부(14)가 안내되는 슬롯(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KR2019950020835U 1995-08-14 1995-08-14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KR0126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835U KR0126528Y1 (ko) 1995-08-14 1995-08-14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835U KR0126528Y1 (ko) 1995-08-14 1995-08-14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201U KR970010201U (ko) 1997-03-29
KR0126528Y1 true KR0126528Y1 (ko) 1998-10-15

Family

ID=1942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835U KR0126528Y1 (ko) 1995-08-14 1995-08-14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5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748B1 (ko) * 2002-06-19 2005-03-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KR20160036455A (ko) * 2014-09-25 2016-04-04 조양근 진동 흡수 댐퍼
KR101984982B1 (ko) * 2018-11-16 2019-06-03 주식회사 한빛파워 원자력발전소의 베어링 일반규격품 품질 검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748B1 (ko) * 2002-06-19 2005-03-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KR20160036455A (ko) * 2014-09-25 2016-04-04 조양근 진동 흡수 댐퍼
KR101984982B1 (ko) * 2018-11-16 2019-06-03 주식회사 한빛파워 원자력발전소의 베어링 일반규격품 품질 검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201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528Y1 (ko)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CN110601103A (zh) 电缆固定支架组件
JP2501990B2 (ja) ハット型レ―ル用の導体接続部
KR0120117Y1 (ko)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KR101826481B1 (ko) 실외기용 방진 구조물 설치 방법
KR200197539Y1 (ko) 방진 스프링마운트
KR20180095761A (ko) 클립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장치
JP2507467Y2 (ja) ワイヤ固定装置
KR200311970Y1 (ko) 밀폐형스프링마운트
KR200406712Y1 (ko) 고강성, 결합형 방진 스프링 행거
CN112128309A (zh) 一种壁挂式减震器及壁挂式显示装置
JPH10322842A (ja) プロテクタ取付角度調整構造
JP2000355994A (ja) 住宅用制振装置
JPH08318866A (ja) リザーバタンクの装着装置
KR200166014Y1 (ko)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KR200345404Y1 (ko) 방진 스프링 마운트
CN219621448U (zh) 一种箱体结构及衣物处理设备
CN219621449U (zh) 一种箱体结构及衣物处理设备
JP3485051B2 (ja) 間仕切パネルのパネル板構造
JP3546224B2 (ja) 転倒防止装置
JPS6145705Y2 (ko)
JP5489109B1 (ja) 野縁取付金具
KR20190081793A (ko) 정션블록
KR200143116Y1 (ko) 자동차용 호스류 고정용 클립
JPS62292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