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482B1 - 복수 목적지 좌표를 이용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목적지 좌표를 이용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482B1
KR100475482B1 KR10-2003-0004613A KR20030004613A KR100475482B1 KR 100475482 B1 KR100475482 B1 KR 100475482B1 KR 20030004613 A KR20030004613 A KR 20030004613A KR 100475482 B1 KR100475482 B1 KR 10047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route
route information
information
entry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490A (ko
Inventor
이재영
김영기
김영우
라대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4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6Platform-type show stands with flat, inclined, or curved up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로정보 생성시 다수의 목적지 좌표를 기초로 최단거리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안내하는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하는 경로요청 관리수단; 목적지가 다수의 목적지 세부좌표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목적지에 대응하는 목적지 세부좌표 및 입구점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목적지 좌표 설정수단; 입구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각각의 경로를 계산하여 최단 거리 경로정보를 추출하고, 입구점으로부터 추출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계산 수단; 생성된 경로정보를 전송하는 경로정보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최단거리 목적지 상세좌표를 기초로 생성된 경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목적지로 접근하기 위해 우회하지 않아 목적지까지의 이동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 목적지 좌표를 이용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urse Information Using Multiple of Destination Coordinates}
본 발명은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경로정보 생성시 다수의 목적지 좌표를 기초로 최단거리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안내하는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컨텐츠 서비스 중 주행중인 차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무선으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안내하는 서비스가 있다. 상기 경로안내 서비스는 운전자가 출발지명과 목적지명을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독립된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입력하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에게 음성, 문자, 신호음 등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서비스이다.
도 1은 종래의 경로정보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경로안내 정보 생성시, 경로 안내 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하나의 목적지 좌표(G)를 기초로 경로정보를 생성하는데, 지하철역, 인터체인지, 톨게이트, 교차로, 터널 또는 고가차도/지하차도 등과 같이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지점의 목적지 좌표가 사용자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인 차선의 어느 한 지점으로 지정되었을 경우, 경로 안내 시스템은 반대차선의 목적지 지점에 도착하도록 하기 위해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우회하여 목적지 지점에 도착하도록 경로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입구점(S)은 목적지 좌표(G)로 접근하기 위한 목적지 좌표 부근의 임의의 한 지점이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자는 목적지로 설정된 부근에 도착하길 원하는 경우가 많아서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 근처에 도착하였더라도 경로 안내 시스템이 전송하는 정확한 목적지 좌표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우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설정하는 목적지의 입구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일 경우 다수의 목적지 좌표를 설정하여 출발지와 각각의 목적지 좌표를 기준으로 최단거리를 계산하여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요청을 수신하고, 목적지에 대한 다수의 목적지 좌표 및 입구점을 검색하고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목적지 좌표, 목적지 좌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목적지 상세좌표 및 목적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구점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하는 경로요청 관리수단; 목적지가 다수의 목적지 세부좌표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목적지에 대응하는 목적지 세부좌표 및 입구점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목적지 좌표 설정수단; 입구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각각의 경로를 계산하여 최단 거리 경로정보를 추출하고, 입구점으로부터 추출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계산 수단; 생성된 경로정보를 전송하는 경로정보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요청을 수신하고, 목적지에 대한 다수의 목적지 좌표 및 입구점을 검색하여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경로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다수의 목적지 좌표 및 목적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구점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포함한 경로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목적지가 다수의 목적지 세부좌표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목적지에 대응하는 목적지 세부좌표 및 입구점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입구점에서 다수의 목적지 상세좌표까지의 경로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생성된 경로 중에서 입구점에서 목적지 상세좌표까지의 거리가 최단 거리인 경로정보를 선별하고 최단 거리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선별된 경로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600)과 연결된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경로안내 요청 신호는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Base Station Controller; BTS/BSC, 200)을 통하여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 300) 또는 PDSN(Packet Data Service Node, 400)으로 전송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에 관련된 기술로서 MSC(300)와의 연결관계는 언급하지 않는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목적지 부가정보 요청 정보는 BTS/BSC(200), PDSN(400) 및 데이터 통신망(Data Core Network; DCN, 500)을 경유하여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600)으로 전송된다.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사용자가 경로정보를 요청할 만한 예상 목적지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미리 수집하고, 경로정보 생성시 참조할 상기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세부좌표(예를 들어, 강남역이 목적지일 경우 목적지 세부좌표는 강남역의 1번 출구, 2번 출구, 3번 출구, 4번 출구로 지정함)를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상기 목적지 세부좌표로 진입하기 위한 상기 목적지 세부좌표 부근의 입구점을 미리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에서, 입구점은 목적지 주위에서 목적지로 접근할 수 있는 지점을 말한다.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로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목적지를 검색하여 상기 목적지가 다수의 목적지 세부좌표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목적지 세부좌표에 대한 입구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를 각각 계산하고, 입구점에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가 최단 거리인 목적지 좌표를 선별하고, 출발지에서 선별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운전하는 차량의 현위치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고, 목적지가 A역 일 경우 A역의 1번 출구, 2번 출구, 3번 출구, 4번 출구는 A역에 대한 각각의 목적지 세부좌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목적지 세부좌표(A역의 1번 출구, 2번 출구, 3번 출구, 4번 출구)에 해당하는 입구점은 입구점1, 입구점2, 입구점3, 입구점4로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사용자의 차량 현위치를 고려하여 입구점3을 입구점으로 추출하고, 입구점3에서 각각의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를 계산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6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수단(610),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하는 경로요청 관리수단(620),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목적지를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가 다수의 목적지 세부좌표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목적지 좌표 설정수단(630), 출발지에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 각각의 경로를 계산하여 최단 거리 경로정보를 추출하고 출발지에서 추출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계산 수단(640), 생성된 경로정보를 전송하는 경로정보 전송수단(650),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6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60) 및 데이터베이스(670)로 구성된다.
먼저, 사용자 관리수단(61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67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경로요청 관리수단(620)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안내 요청을 수신하고 관리한다.
목적지 좌표 설정수단(630)은 미리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목적지를 검색하여 상기 목적지가 다수의 목적지 세부좌표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가 강남역 일 경우, 목적지 좌표 설정수단(630)이 데이터베이스(670)에서 강남역을 검색하면 강남역은 1번 출구, 2번 출구, 3번 출구 및 4번 출구의 다수 목적지 세부좌표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검색될 것이다. 또한, 목적지 좌표 설정수단(630)은 미리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입구점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차량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구점 중에서 하나의 입구점을 추출한다.
경로계산 수단(640)은 상기 목적지 좌표 설정수단(630)에서 차량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추출한 입구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를 각각 계산하고, 경로를 계산한 결과 입구점에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가 최단 거리인 정보를 선별한다. 또한, 경로 계산 수단(640)은 입구점에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가 최단 거리인 정보를 포함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를 추출한다.
경로정보 전송수단(650)은 경로계산 수단(640)에서 추출된 경로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경로정보를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670)는 사용자 관리수단(610)과 연결되어 제어부(66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MIN 정보, 목적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71)와 목적지 세부좌표에 대한 경로를 계산하거나 출발지에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데 기초가 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경로생성 기초정보 데이터베이스(672)로 구성된다.
경로생성 기초정보 데이터베이스(672)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경로생성 기초정보 데이터베이스(672)는 사용자가 경로정보를 요청할 만한 예상 목적지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미리 수집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경로생성 기초정보 데이터베이스(672)는 경로정보 생성시 참조할 상기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세부좌표(예를 들어, 강남역이 목적지일 경우 목적지 좌표는 강남역의 1번 출구, 2번 출구, 3번 출구, 4번 출구로 지정함)를 저장한다. 경로생성 기초정보 데이터베이스(672)는 운용자가 미리 지정한 목적지 세부좌표에 해당하는 다수의 입구점을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로정보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 설명시 도 6a ~ 도 6e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목적지 정보(예를 들어 출발지, 목적지 등)를 포함한 경로요청 정보를 수신한다(S101). 목적지 좌표 설정수단(63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목적지를 미리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670)에서 검색하여 상기 목적지가 다수의 목적지 세부좌표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목적지와 매칭되는 다수의 입구점을 검색하여 사용자 차량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하나의 입구점을 추출한다(S103).
이어서, 경로계산 수단(640)은 상기 추출된 입구점에서 다수의 목적지 좌표까지의 경로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의 거리를 계산한다(S105). 경로계산 수단(640)은 생성된 경로 중에서 입구점에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거리가 최단 거리인 경로정보를 선별한다(S107). 경로정보 전송수단(650)은 선별된 경로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09).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목적지가 서초 인터체인지인 경우, 목적지 좌표 설정수단(630)은 미리 구축되어 있는 경로생성 기초정보 데이터베이스(672)에서 서초 인터체인지를 검색하여, 서초 인터체인지가 양재역 방면 지점, 부산 방면 지점, 예술의 전당 방면 지점 및 한남대교 방면 지점을 다수 목적지 세부좌표로 보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다수의 입구점 중에서 하나의 입구점을 추출한다.
이어서, 경로계산 수단(640)은 입구점에서 다수의 목적지 세부좌표(양재역 방면 지점, 부산 방면 지점, 예술의 전당 방면 지점 및 한남대교 방면 지점)까지의 경로를 설정한다. 도 6b ~ 도 6e에서 도시된 S는 입구점을 나타내는 것이고, G는 목적지 세부좌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6b는 입구점에서 예술의 전당 방면 지점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6c는 입구점에서 양재역 방면 지점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6d는 입구점에서 부산방면 지점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6e는 입구점에서 예술의 전당 방면 지점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경로계산 수단(640)은 입구점에서 목적지 세부좌표에 대한 각각의 경로를 계산하여 최단거리로 생성된 경로정보를 추출한다. 도 6b ~ 도 6e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도 6b의 예술의 전당 방면 지점을 목적지 좌표로 설정한 경로가 입구점에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최단거리로 생성된 경로정보이다. 경로정보 전송수단(650)은 도 6b 경로정보가 반영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전체 경로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발지에서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최단거리 목적지 상세좌표를 기초로 생성된 경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목적지로 접근하기 위해 우회하지 않아 목적지까지의 이동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로정보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과 연결된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의 최단거리 계산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로정보 제공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의한 다수의 목적지 좌표를 이용한 경로정보 제공 방법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BTS/BSC
300 : MSC 400 : PDSN
500 : DCN 600 :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610 : 사용자 관리수단 620 : 경로요청 관리수단
630 : 목적지 좌표 설정수단 640 : 경로계산 수단
650 : 경로정보 전송수단 660 : 제어부
670 : 데이터베이스 671 :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
672 : 경로생성 기초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에 대한 다수의 목적지 좌표 및 입구점을 검색하고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목적지 좌표, 상기 목적지 좌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목적지 상세좌표 및 상기 목적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구점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경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하는 경로요청 관리수단;
    상기 목적지가 다수의 목적지 세부좌표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목적지에 대응하는 상기 목적지 세부좌표 및 입구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목적지 좌표 설정수단;
    상기 입구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각각의 경로를 계산하여 최단 거리 경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입구점으로부터 추출된 목적지 세부좌표까지의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계산 수단; 및
    상기 생성된 경로정보를 전송하는 경로정보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계산 수단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입구점을 추출할 때, 상기 사용자의 차량 진행방향을 참조하여 상기 입구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3.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에 대한 다수의 목적지 좌표 및 입구점을 검색하여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경로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다수의 목적지 좌표 및 상기 목적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구점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포함한 경로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목적지가 상기 다수의 목적지 세부좌표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상기 목적지에 대응하는 목적지 세부좌표 및 입구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구점에서 다수의 목적지 상세좌표까지의 경로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생성된 경로 중에서 입구점에서 목적지 상세좌표까지의 거리가 최단 거리인 경로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최단 거리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선별된 경로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정보 제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입구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 진행방향을 참조하여 상기 입구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정보 제공 방법.
KR10-2003-0004613A 2003-01-23 2003-01-23 복수 목적지 좌표를 이용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7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613A KR100475482B1 (ko) 2003-01-23 2003-01-23 복수 목적지 좌표를 이용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613A KR100475482B1 (ko) 2003-01-23 2003-01-23 복수 목적지 좌표를 이용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490A KR20040067490A (ko) 2004-07-30
KR100475482B1 true KR100475482B1 (ko) 2005-03-10

Family

ID=3735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613A KR100475482B1 (ko) 2003-01-23 2003-01-23 복수 목적지 좌표를 이용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193A (ko) * 2015-11-11 2017-05-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스케줄링 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490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3495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を案内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689774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を案内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87483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안내 음성신호 출력 제어방법 및 장치
US11887479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vehicle control device, and control center
US7702457B2 (en)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information delivery server, and program
JP4437168B1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経路探索仲介サーバ及び経路案内方法
EP10354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oute within traffic network
WO2009133596A1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案内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CN102374862A (zh) 使用多种交通模式的路线导航的方法
CN100593802C (zh) 提供出发地和目的地导航信息的系统和方法
KR100475482B1 (ko) 복수 목적지 좌표를 이용한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3534228B2 (ja) 目的地案内装置
KR20160002139A (ko) 경로 탐색 방법, 장치 및 서버
JP2008191115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KR100875678B1 (ko)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445039B1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及び経路案内方法
CN115235498A (zh) 行泊一体全局路径规划方法、系统、电子设备及车辆
KR20150139082A (ko) 대중교통 수단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70134B1 (ko) 경로 안내 시스템, 경로 안내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기록한 저장매체
KR102281831B1 (ko) 스마트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207540A (zh) 电子控制装置
KR20070030521A (ko) 대중교통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9013A (ko) 텔레매틱스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7210691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を案内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08379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経路誘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