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678B1 -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678B1
KR100875678B1 KR1020080024868A KR20080024868A KR100875678B1 KR 100875678 B1 KR100875678 B1 KR 100875678B1 KR 1020080024868 A KR1020080024868 A KR 1020080024868A KR 20080024868 A KR20080024868 A KR 20080024868A KR 100875678 B1 KR100875678 B1 KR 10087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stination
user
public transport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호
Original Assignee
(주) 비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앤디 filed Critical (주) 비앤디
Priority to KR102008002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주요거점에 설치된 키오스크 수단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정보저장장치로부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 안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연동하여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출력하는 키오스크 수단, 정보저장장치로부터 경로안내정보를 리드하는 대중교통수단 내 카드 인식 수단,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중교통수단에서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하는 정류장 식별 수단, 및 식별된 정류장과 설정된 범위 이내에 대중교통수단이 위치하는 경우, 하차와 관련한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하차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24868
정보저장장치, 키오스크, 대중교통수단, 안내정보

Description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STINATION-BASE PUBLIC TRAFFIC GUIDE SERVICE}
본 발명은 주요거점에 설치된 키오스크 수단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정보저장장치로부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 안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크게 휴대용으로 개인이 소지할 수 있는 PNS(Personal Navigation System)와 차량에 장착되어 각종 주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CNS(Car Navigation System)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도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인 CNS는 이동체의 진행 방향,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거리, 이동체의 현재 이동속도,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등을 표시하여 주는 등 차량 운전자에게 주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하지만, CNS는 차량에 장착되므로 사용시 장소적인 제한이 따르게 된다.
이에 반해 PNS는 개인이 소지한 상태에서 각종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이하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통신기능을 포함하기도 하고 휴대폰,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처럼 동작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사용자가 출발지와 희망하는 목적지를 입력하게 되면, 해당 도로 지도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설정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하지만, 이러한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초행의 목적지에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대중교통에 대한 환승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이동할 때 중간에서 대중교통을 갈아타야 할 경우 어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최적인지를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에,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소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대중교통에 대한 환승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각 지자체들의 교통 관제 시스템에서는 현재 무선망(CDMA, RF 등)을 이용해서 대중교통수단(버스나 택시, 지하철 등)에 탑재된 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현재의 위치를 파악해서 승객들에게 정류장, 배차 간격, 배차 거리 등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는, 정류장 중심으로만 안내되고 있어 초행길의 여행자나 외국 관광객의 경우 목적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목적지 '남산'으로 이동하는 경우, 현재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에서는 현재의 환승 정류장의 명칭이나 배차 간격, 배차 거리 등에 대해서만 안내되고, 환승 정류장의 정확한 위치나 최종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실제 목적지 '남산'까지의 도보 이동 방법에 대해서는 확인할 방법이 없었다.
또한, 현재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대중교통에 대한 환승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개인용 정보기기(PDA, PMP, 휴대전화 등)를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의 경우 더욱더 구비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한 목적지까지의 상세한 경로안내정보를 사용자가 손쉽게 안내 받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요거점에 설치된 키오스크 수단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정보저장장치로부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 안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적지로의 최적 경로와, 최적 경로 상에 위치한 정류장, 및 상기 정류장에서의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경로안내정보를 시각 안내 수단 또는 음성 안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는 대중교통수단의 탑승시 정보저장장치를 단말기에 인식시키는 동작 만으로도 용이하게 하차할 정류장 및 안내정보를 안내 받을 수 있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위치한 정류장의 명칭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출발/환승/하차 정류장에 대한 정보와 함께, 각 정류장에 대응하는 안내정보를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의 대중교통수단에서의 하차 이후의 환 승/목적지로의 도보 이동시 용이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세한 경로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용 정보기기의 구비 없이도, 대중교통수단 내 구비된 시각 안내 수단 또는 음성 안내 수단을 이용하여 하차할 정류장에 대한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언어정보를 고려하여 경로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저장장치가 재기록형(rewritable)으로 제작되는 경우, 신규 목적지 입력에 따라 정보저장장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단말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단말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단말수단에 경로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연동하여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출력하는 키오스크 수단, 상 기 정보저장장치로부터 경로안내정보를 리드하는 대중교통수단 내 카드 인식 수단, 상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중교통수단에서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하는 정류장 식별 수단, 및 상기 식별된 정류장과 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대중교통수단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차와 관련한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하차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연동하여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저장장치가 대중교통수단에서 인식 됨에 따라, 상기 정보저장장치로부터 경로안내정보를 리드하는 단계, 상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중교통수단에서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정류장과 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대중교통수단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차와 관련한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거점에 설치된 키오스크 수단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정보저장장치로부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 안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지로의 최적 경로와, 최적 경로 상에 위치한 정류장, 및 상기 정류장에서의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경로안내정보를 시각 안내 수 단 또는 음성 안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는 대중교통수단의 탑승시 정보저장장치를 단말기에 인식시키는 동작 만으로도 용이하게 하차할 정류장 및 안내정보를 안내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위치한 정류장의 명칭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출발/환승/하차 정류장에 대한 정보와 함께, 각 정류장에 대응하는 안내정보를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의 대중교통수단에서의 하차 이후의 환승/목적지로의 도보 이동시 용이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세한 경로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개인용 정보기기의 구비 없이도, 대중교통수단 내 구비된 시각 안내 수단 또는 음성 안내 수단을 이용하여 하차할 정류장에 대한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언어정보를 고려하여 경로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저장장치가 재기록형(rewritable)으로 제작되는 경우, 신규 목적지 입력에 따라 정보저장장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단말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단말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단말수단에 경로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키오스크 수단, 교통 관제 단말기, 대중교통수단 내 인식용 단말기, 대중교통수단 내 시각 안내 수단, 및 대중교통수단 내 음성 안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키오스크 수단(110)은 호텔, 주요 터미널, 관광안내센터 등과 같은 주요거점에 설치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된 교통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최신의 교통정보(예컨대, 정류장정보, 버스노선정보, 교통혼잡도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키오스크 수단(110)은 키오스크 수단(110)의 위치지점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는 목적지 검색엔진과, 상기 산출된 최적 경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화면 표출부와, 외국인 여행객을 위하여 다국어를 지원하는 UI,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정보가 기록된 정보저장장치를 발권하는 카드발권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키오스크 수단(110) 또는 입력된 출발지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상기 산출된 최적 경로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수단(버스, 지하철 등)의 정류장에 대한 정류장ID와, 상기 대중교통수단이 상기 정류장에 근접하게 될 경우,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안내정보(예컨대, 문자열 형태)를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재기록형(rewritable)으로 제작될 수 있다.
대중교통수단 내에는 키오스크 수단(110)에서 발권한 정보저장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기 설치된 대중교통카드 과금단말기나 새로 설치될 인식 단말)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정보저장장치의 인식 단말기는 교통 관제 단말기에 네트워크 연결되며, 재기록형 정보저장장치로부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상기 교통 관제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사용자(이하, 사용자)는 키오스크 수단(110)에서 목적지(140), 예컨대, '남산'을 자국어로 입력하고, 키오스크 수단(110)의 시각 안내 수단(즉, 화면 표출부) 또는 음성 안내 수단을 통해 목적지(140)까지의 경로안내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경로안내정보가 기록된 정보저장장치를 안내카드(120) 형태로 발권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로안내정보는 키오스크 수단(110) 또는 입력된 출발지로부터 입력된 목적지(140)까지의 산출된 최적 경로와, 대중교통수단(130)의 종류(지하철/버스/택시 또는 버스의 경우 노선번호), 대중교통수단(130)의 배차 간격, 배차 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경로안내정보는 산출된 최적 경로 상의 출발/환승/하차를 위한 정류장에 대한 정보와, 정류장의 위치 및 최종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140)까지의 도보 이동 방법 등에 관한 안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오스크 수단(110)으로부터 발권 받은 안내카드(120)를 소지하고, 대중교통수단(130)에 탑승시 대중교통수단(130) 내에 비치된 인식용 단말기를 이용해서 소지하고 있는 안내카드(120)의 정보를 교통 관제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교통 관제 단말기는 서비스 중인 위치 인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내카드(120)로부터 리드한 정류장에 근접할 경우, 정보저장장치(120)에서 정류소에 대응하여 문자열 형태로 기록되는 안내정보를 음성 안내 수단, 예컨대, TTS엔진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130) 내 사용자에게 방송하거나, 또는 대중교통수단(130) 내에 비치된 시각 안내 수단, 예컨대, 문자 표시기에 상기 안내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탑승한 대중교통수단(130)이 최종 하차 정류장 '명동 정류장'에 근접 함에 따라, 교통 관제 단말기는 "남산(140)으로 가실 분 여기서 내리세요. 명동정류장에서 100m 직진하면 남산케이블카 보입니다'와 같은 안내정보를 대중교통수단(130)에서 음성으로 방송하거나, 또는 문자 표시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키오스크 수단(210), 카드 인식 수단(220), 정류장 식별 수단(230), 및 하차 안내 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키오스크 수단(210)은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연동하여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키오스크 수단(110)은 호텔, 주요 터미널, 관광안내센터 등과 같은 주요거점에 설치되고,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된 교통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최신의 교통정보(예컨대, 정류장정보, 버스노선정보, 교통혼잡도정보)를 유지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 수단(110)은 목적지 검색엔진을 통해 상기 최신의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키오스크 수단(110)의 위치지점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경로안내정보는 키오스크 수단(210) 또는 입력된 출발지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산출된 최적 경로와, 대중교통수단의 종류(지하철/버스/택시 또는 버스의 경우 노선번호), 대중교통수단의 배차 간격, 배차 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경로안내정보는 산출된 최적 경로 상의 출발/환승/하차를 위한 정류장에 대한 정보와, 정류장의 위치 및 최종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 방법 등에 관한 안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경로안내정보는 키오스크 수단(210)의 위치지점에서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한 승차, 하차, 또는 환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 수단(210)은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시각화하는 시각안내수단(211), 또는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음성화하는 음성안내수단(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키오스크 수단(210)은 상기 생성된 경로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화면 표출부와, 외국인 여행객을 위하여 다국어를 지원하는 U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수단(210)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정보가 기록된 정보저장 장치를 발권하는 카드발권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키오스크 수단(110) 또는 입력된 출발지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상기 산출된 최적 경로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수단(버스, 지하철 등)의 정류장에 대한 정류장ID와, 상기 대중교통수단이 상기 정류장에 근접하게 될 경우,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안내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정보는 하차 알람 메시지, 환승할 대중교통수단, 환승 정류장의 위치, 최종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정보는 정류소ID에 대응하여 문자열 형태로 상기 정보저장장치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언어종류(예컨대,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에 해당하는 언어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말정보(예컨대,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더 포함하여 기록할 수 있다.
키오스크 수단(210)은 카드형, 동전형, 또는 상품에 구비되는 패치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작된 정보저장장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재기록형(rewritable)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키오스크 수단(210)은 사용자의 신규 목적지 입력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정보저장장치를 회수하고, 신규 목적지와 연관되어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회수된 정보저장장치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카드 인식 수단(220)은 정보저장장치로부터 경로안내정보를 리드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카드 인식 수단(220)은 대중교통수단의 이용에 따라 발생되는 요금을 과금하는 대중교통수단 내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보저장장치가 대중교통수단 내 단말기에 태그될 경우, 카드 인식 수단(220)은 정보저장장치로부터 경로안내정보를 리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는 대중교통수단의 탑승시 정보저장장치를 단말기에 인식시키는 동작 만으로도 용이하게 하차할 정류장 및 안내정보를 안내 받을 수 있게 된다.
정류장 식별 수단(230)은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중교통수단에서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정류장 식별 수단(230)은 리드한 경로안내정보에 포함되는 정류장ID'1511'를 식별 함으로써, 탑승한 사용자의 하차할 정류장 '명동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식별 수단(230)은 대중교통수단이 이동하는 경로이동정보를 더 이용하여 사용자가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대중교통수단을 틀리게 탑승한 경우, 정류장 식별 수단(230)은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로부터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정류장 식별 수단(230)은 대중교통을 관제하는 교통 관제 시스템(260)에 현재 사용자가 탑승한 대중교통수단의 경로이동정보를 고려하여 수정된 경로안내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정류장 식별 수단(230)은 수정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중교통수단에서 하차할 정 류장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려움 없이 상기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하차 안내 수단(240)은 식별된 정류장과 설정된 범위 이내에 대중교통수단이 위치하는 경우, 하차와 관련한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하차 안내 수단(240)은 위치 인식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식별되는 대중교통수단의 위치가 상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로부터 식별된 하차할 정류장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에 놓일 경우, 하차 안내 수단(240)은 식별된 정류장에 대응하여 기록된 안내정보를, 리드한 경로안내정보에서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하차 안내 수단(240)은 하차 알람 메시지, 환승할 대중교통수단, 환승 정류장의 위치, 최종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차 안내 수단(240)은 대중교통수단 내 시각안내수단(241)을 통해 안내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대중교통수단 내 음성안내수단(242)을 통해, 안내정보를 음성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대중교통수단이 하차할 정류장 '명동정류장'의 직전 정류장 '명동시장 정류장'에 정차할 경우, 하차 안내 수단(240)은 대중교통수단(130) 내에 비치된 문자 표시기를 통해 다음 정류장 '명동정류장'에 대한 하차 알림 메시지 '남산에 가실 분은 다음 정거장에서 내리세요'를 출력하고, 환승인 경우, 환승할 대중교통수단과 환승 정류장의 위치에 대한 메시지를 문자 표시기에 표출하고, '명동정류 장'이 최종 하차 정류장인 경우,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 '남산'까지의 이동 방법이나 목적지 '남산'의 구체적인 위치에 대한 메시지 '명동정류장에서 도보로 100m 직진하면 남산케이블카 보입니다.'를 문자 표시기에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하차 안내 수단(240)은 상기 하차 알림 메시지, 환승할 대중교통수단과 환승 정류장의 위치에 대한 메시지, 및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 '남산'까지의 이동 방법이나 목적지 '남산'의 구체적인 위치에 대한 메시지를 TTS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차 안내 수단(240)은 키오스크 수단(21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언어정보를 고려하여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외국인 사용자에 의해 '영어'가 선택된 경우, 경로안내정보를 선택된 언어정보에 따라 생성하거나, 또는 '한국어'로 생성된 경로안내정보를 언어정보에 따라 변환하여 안내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말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차 안내 수단(240)은 단말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단말수단에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250)을 소지한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250)에 대한 단말정보가 사전 등록된 경우, 하차 안내 수단(240)은 단말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이동 단말(250)로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거점에 설치된 키오스크 수단에서, 목적지까 지의 경로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정보저장장치로부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 안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위치한 정류장의 명칭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출발/환승/하차 정류장에 대한 정보와 함께, 각 정류장에 대응하는 안내정보를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의 대중교통수단에서의 하차 이후의 환승/목적지로의 도보 이동시 용이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세한 경로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정보저장장치의 메모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연동하여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정보저장장치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장치에는 도시된 도면과 같이,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와, 상기 목적지까지의 산출된 최적 경로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수단(버스, 지하철 등)의 정류장에 대한 정류장ID와, 대중교통수단이 상기 정류장에 근접하게 될 경우,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안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언어종류(예컨대,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에 해당하는 언어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말정보(예컨대,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키오스크 수단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키오스크 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화면 표출부(411)와 음성 안내 수단(미도시함), 목적지/언어정보/단말정보를 입력 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부(413),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정보가 기록된 정보저장장치를 발권하는 카드발권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수단은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목적지 검색엔진(미도시함), 외국인 여행객을 위하여 다국어를 지원하는 UI(미도시함)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본 발명의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5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5를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S510에서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연동하여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경로안내정보는 키오스크 수단(210) 또는 입력된 출발지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산출된 최적 경로와, 대중교통수단의 종류(지하철/버스/택시 또는 버스의 경우 노선번호), 대중교통수단의 배차 간격, 배차 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경로안내정보는 산출된 최적 경로 상의 출발/환승/하차를 위한 정류장에 대한 정보와, 정류장의 위치 및 최종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 방법 등에 관한 안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시각안내수단(211)을 통해 시각화하거나, 음성안내수단(212)을 통해 음성화하여 목적지를 입력한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일례로, 키오스크 수단(210)은 상기 생성된 경로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화면 표출부와, 외국인 여행객을 위하여 다국어를 지원하는 UI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정보저장장치에 출력한다.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키오스크 수단(110) 또는 입력된 출발지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상기 산출된 최적 경로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수단(버스, 지하철 등)의 정류장에 대한 정류장ID와, 상기 대중교통수단이 상기 정류장에 근접하게 될 경우,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안내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언어종류(예컨대,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에 해당하는 언어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말정보(예컨대,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더 포함하여 기록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정보저장장치로부터 경로안내정보를 리드한다.
일례로, 카드 인식 수단(220)은 대중교통수단의 이용에 따라 발생되는 요금을 과금하는 대중교통수단 내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보저장장치가 대중교통수단 내 단말기에 태그될 경우, 카드 인식 수단(220)은 정보저장장치로부터 경로안내정보를 리드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중교통수단에서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한다.
예컨대, 정류장 식별 수단(230)은 리드한 경로안내정보에 포함되는 정류장ID'1511'를 식별 함으로써, 탑승한 사용자의 하차할 정류장 '명동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식별 수단(230)은 대중교통수단이 이동하는 경로이동정보를 더 이용하여 사용자가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대중교통수단을 틀리게 탑승한 경우, 정류장 식별 수단(230)은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로부터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정류장 식별 수단(230)은 대중교통을 관제하는 교통 관제 시스템(260)에 현재 사용자가 탑승한 대중교통수단의 경로이동정보를 고려하여 수정된 경로안내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정류장 식별 수단(230)은 수정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중교통수단에서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려움 없이 상기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560에서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식별된 정류장과 설정된 범위 이내에 대중교통수단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하차 안내 수단(240)은 위치 인식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식별되는 대중교통수단의 위치가 상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로부터 식별된 하차할 정류장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에 놓이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560에서의 판단 결과, 식별된 정류장과 설정된 범위 이내에 대중교통수단이 위치하는 경우, 단계 S570에서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하차와 관련한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하차 안내 수단(240)은 식별된 정류장에 대응하여 기록된 안내정보를, 리드한 경로안내정보에서 추출하고, 대중교통수단 내 시각안내수단(241)을 통해 안내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대중교통수단 내 음성안내수단(242)을 통해 안내정보를 음성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정보는 하차 알람 메시지, 환승할 대중교통수단, 환승 정류장의 위치, 최종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대중교통수단이 하차할 정류장 '명동정류장'의 직전 정류장 '명동시장 정류장'에 정차할 경우, 하차 안내 수단(240)은 대중교통수단(130) 내에 비치된 문자 표시기를 통해 다음 정류장 '명동정류장'에 대한 하차 알림 메시지 '남산에 가실 분은 다음 정거장에서 내리세요'를 출력하고, 환승인 경우, 환승할 대중교통수단과 환승 정류장의 위치에 대한 메시지를 문자 표시기에 표출하고, '명동정류장'이 최종 하차 정류장인 경우,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 '남산'까지의 이동 방법이나 목적지 '남산'의 구체적인 위치에 대한 메시지 '명동정류장에서 도보로 100m 직진하면 남산케이블카 보입니다.'를 문자 표시기에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하차 안내 수단(240)은 상기 하차 알림 메시지, 환승할 대중교통수단과 환승 정류장의 위치에 대한 메시지, 및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 '남산'까지의 이동 방법이나 목적지 '남산'의 구체적인 위치에 대한 메시지를 TTS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차 안내 수단(240)은 키오스크 수단(21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언어정보를 고려하여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외국인 사용자에 의해 '영어'가 선택된 경우, 경로안내정보를 선택된 언어정보에 따라 생성하거나, 또는 '한국어'로 생성된 경로안내정보를 언어정보에 따라 변환하여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 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정보저장장치의 메모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키오스크 수단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키오스크 수단
220: 카드 인식 수단
230: 정류장 식별 수단
240: 하차 안내 수단
211, 241: 시각안내수단
212, 242: 음성안내수단
250: 이동 단말
260: 교통 관제 시스템

Claims (18)

  1.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연동하여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기록하는 정보저장장치를, 카드발권부를 통해 발권하는 키오스크 수단;
    상기 정보저장장치로부터 경로안내정보를 리드하는 대중교통수단 내 카드 인식 수단;
    상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중교통수단에서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하는 정류장 식별 수단; 및
    상기 식별된 정류장과 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대중교통수단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차와 관련한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하차 안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안내 수단은,
    상기 식별된 정류장에 대응하여 기록된 안내정보를, 상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에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안내 수단은,
    하차 알람 메시지, 환승할 대중교통수단, 환승 정류장의 위치, 최종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안내 수단은,
    상기 대중교통수단 내 시각안내수단을 통해 상기 안내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대중교통수단 내 음성안내수단을 통해, 상기 안내정보를 음성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차 안내 수단은,
    상기 언어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수단은,
    상기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시각화하는 시각안내수단; 또는
    상기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음성화하는 음성안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정보는,
    상기 키오스크 수단의 위치지점에서 상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상기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한 승차, 하차, 또는 환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장 식별 수단은,
    상기 대중교통수단이 이동하는 경로이동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수단은,
    카드형, 동전형, 또는 상품에 구비되는 패치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작된 정보저장장치를, 상기 카드발권부를 통해 발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신규 목적지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재기록형(rewritable)의 상기 정보저장장치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식 수단은,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이용에 따라 발생되는 요금을 과금하는 상기 대중교통수단 내 단말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말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차 안내 수단은,
    상기 단말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단말수단에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연동하여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기록하는 정보저장장치를, 키오스크 수단의 카드발권부를 통해 발권하는 단계;
    상기 정보저장장치가 대중교통수단에서 인식 됨에 따라, 상기 정보저장장치로부터 경로안내정보를 리드하는 단계;
    상기 리드한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중교통수단에서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정류장과 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대중교통수단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차와 관련한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와 관련한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교통수단 내 시각안내수단을 통해 상기 안내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대중교통수단 내 음성안내수단을 통해, 상기 안내정보를 음성화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차와 관련한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언어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수단에서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교통수단이 이동하는 경로이동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하차할 정류장을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장치를, 키오스크 수단의 카드발권부를 통해 발권하는 단계는,
    카드형, 동전형, 또는 상품에 구비되는 패치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작된 정보저장장치를, 상기 카드발권부를 통해 발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규 목적지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경로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재기록형의 상기 정보저장장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80024868A 2008-03-18 2008-03-18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75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868A KR100875678B1 (ko) 2008-03-18 2008-03-18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868A KR100875678B1 (ko) 2008-03-18 2008-03-18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678B1 true KR100875678B1 (ko) 2008-12-23

Family

ID=4037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868A KR100875678B1 (ko) 2008-03-18 2008-03-18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6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939A (ko) * 2016-11-25 2018-06-04 한국공항공사 다국어 자동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917055B1 (ko) 2018-03-16 2018-11-08 이병환 비콘을 이용한 근거리 위치 센싱 기반 교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5040B1 (ko) 2018-09-12 2019-01-03 이현수 음성안내 기반 대중교통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80147B1 (ko) * 2022-05-04 2022-12-23 포티투닷 주식회사 정류장이 정해진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길을 안내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939A (ko) * 2016-11-25 2018-06-04 한국공항공사 다국어 자동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917055B1 (ko) 2018-03-16 2018-11-08 이병환 비콘을 이용한 근거리 위치 센싱 기반 교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5040B1 (ko) 2018-09-12 2019-01-03 이현수 음성안내 기반 대중교통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0055128A3 (ko) * 2018-09-12 2020-05-14 주식회사 날다 음성안내 기반 대중교통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80147B1 (ko) * 2022-05-04 2022-12-23 포티투닷 주식회사 정류장이 정해진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길을 안내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7513B1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
US20130103306A1 (en) Naviga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navigation server, navigation apparatus, navig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4592639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方法および端末装置
JP4437168B1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経路探索仲介サーバ及び経路案内方法
US9587946B2 (en) Naviga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navigation server, navigation apparatus, navig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5355718B2 (ja) 地図データ作成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地図処理システム
JP201211787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13072717A (ja) 比較情報提供装置、比較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比較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75067A (ja) 交通機関案内メッセージ提供システム、交通機関案内メッセージ提供装置、携帯通信端末および交通機関案内メッセージ提供方法
KR100875678B1 (ko)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815125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22011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14303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音声案内方法、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
JP4163741B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探索方法
JP4755612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201400607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73035B2 (ja) 路線図表示装置、路線図表示システム、路線図表示方法及び路線情報配信サーバ
JP2013061173A (ja) 端末装置、探索条件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66576A (ja) タクシー運転手案内システム、案内メッセージ提供装置、携帯通信端末、タクシー運転手案内装置およびタクシー運転手案内方法
JP2013040958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経路案内方法
KR101116688B1 (ko)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4885761B2 (ja) 路線図表示装置、路線図表示システム、路線図表示方法及び路線情報配信サーバ
JP2010101668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候補経路表示方法
JP4571120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4761582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案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