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428B1 -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재배법 - Google Patents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재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428B1
KR100475428B1 KR1020040065484A KR20040065484A KR100475428B1 KR 100475428 B1 KR100475428 B1 KR 100475428B1 KR 1020040065484 A KR1020040065484 A KR 1020040065484A KR 20040065484 A KR20040065484 A KR 20040065484A KR 100475428 B1 KR100475428 B1 KR 100475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rs
bellflower
brix
spray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이영춘
정영철
노성환
Original Assignee
이성호
이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이영춘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20040065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01C21/005Following a specific plan, e.g.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라지의 주요 약리성분인 사포닌 함량을 증가시키면서 도라지를 5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병충해가 거의 없이 수확량을 향상시키는 장생도라지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라지 씨앗을 파종할 때 상기 파종토양과 개화 후 도라지 잎에 15종 이상의 한약재 찌꺼기로부터 얻은 가열수 추출물을 일정량 뿌려줌으로써 사포닌 함량이 증가되면서 병충해가 거의 없는 5년 이상 다수확 장생도라지를 재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생도라지 재배방법으로써 이때 5년 주기로 다른 토양에 순차적으로 옮겨 심으면 20년 이상된 도라지를 재배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법{Culture method of a perennial platycodon grandiflorum contained high saponin content using various oriental medicinal remnants}
본 발명은 한약재 찌꺼기 가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5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도라지를 재배할 수 있는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15종의 한약재 찌꺼기를 가열수 추출하여 농축한 다음 파종 초기 토양과 도라지 개화 후 도라지 잎에 직접 뿌려 줌으로써 병충해가 거의 없으면서 도라지의 사포닌함량이 약 1.2배 증가된 도라지를 20년 이상 장기간 재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라지 줄기는 1년에 60~110cm정도 자라는데, 겨울에는 땅위의 잎줄기는 말라죽고 땅속에 뿌리만 남은 채 겨울을 나며, 그 이듬해 다시 새싹이 돋아나 2~3년 동안 생장한다. 뿌리의 길이가 10 내지 15cm, 굵기는 3cm에 달하며 뿌리에는 단백질, 섬유질, 당류, 회분, 철분 등과 약리성분으로 사포닌, 피토스테롤, 화이토스테린, 프락토코디딘 등을 함유하여 식용과 한약재료로 사용한다. 더욱이 도라지 뿌리에는 더덕이나 다른 식물보다 사포닌 함량이 더 많아 약재로서 유용하다.
한약재나 건강식품으로 사용하는 인삼은 1~2년 재배한 수삼보다 5~6년 재배된 인삼의 효능이 더욱 좋고, 자연상태에서 오래 자란 산삼이 약리적 효능이 뛰어난 점에 착안하여 만약 도라지를 오랫동안 생육시키면 도라지 속에 들어 있는 약효성분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종래의 전통적인 재배방법은 한 장소에 파종하여 3년이 지나도록 땅속에 그대로 두게되면 약 90%이상의 도라지 뿌리가 썩어버리기 때문에 파종 후 늦어도 3년이 되는 가을에는 수확을 해야하기 때문에 약효성분이 강화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하여 1991년 특허 등록된 다년생 도라지 재배법은 도라지 씨앗을 파종하여 2~3년 간 생장시킨 후 도라지를 다른 토양에 1차 이식하여 3~5년 간 생장시켜 도라지를 재배하는 방법이 핵심내용인데, 이 기술은 5년근 이상의 도라지를 재배시에 토양 내에 많이 서식하는 Aspergillus 속과 Trichoderma 속 곰팡이에 의해 뿌리가 심하게 상하게 되어 수확량이 약 30~50%까지 감소하는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토양에 소석회를 뿌려 줌으로써 토양을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으로 전환시켜 주는 방법, 그리고 유기질 퇴비를 뿌려주는 방법 등 다양한 시험을 시도하였으나, 자연계의 다양한 조건, 즉 우기시에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토양이 산성으로 전환되고, 특히 유기질 퇴비를 뿌려줄 경우 도라지 성장은 우수하나 오히려 빨리 썩어버리는 단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과 발명자들은 15종의 한약재 찌꺼기의 가열수 추출물을 파종전 토양과 개화 후 도라지 잎에 살포함으로써 도라지의 생장 및 수확량이 향상됨과 동시에 도라지의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도라지를 20년 이상 장기간 병충해가 거의 없이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1989-0008536호 및 제10-2000-0003221호, 발명의 명칭; 장생도라지 재배방법을 개량한 것으로서, 15종 한약재 찌꺼기로부터 가열수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도라지를 파종 전 토양과 개화 후 도라지 잎에 뿌려 줌으로써 5년에서 20년 이상의 도라지를 재배할 수 있는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약재 찌꺼기의 가열수 추출물을 뿌려주지 않을 때 보다 병충해를 현저히 줄이면서 수확량을 5년 재배 시에 도라지 재배수에 따라 57%에서 89%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도라지는 사포닌 함량이 최고 1.2배 증가된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5종 한약재 찌꺼기를 장생도라지 재배에 적용하기 위해 한약재의 10배의 물을 이용하여 가열 추출하여 농축한 다음 파종시 토양의 개화 후 도라지 잎에 각각 살포하는 방법과 살포량 그리고 살포년도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도라지를 재배 시에 병충해가 감소되어 도라지 수확량이 향상되고 또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기술을 제공한다.
길경은 도라지 뿌리를 말한다. 약으로 쓰려면 가을이나 봄철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겉껍질을 벗겨 말려서 쓴다. 뿌리가 곧고 굳으며 충실하다 하여 길경(桔梗)이라고 부른다. 도라지는 기침약으로 이름높다. 사포닌 성분이 가래를 삭이고 염증을 삭이는 작용을 한다. 도라지는 고름을 내보내는 효과도 높아서 곪는데, 기관지염, 편도염, 인후염 등에도 사용한다. 인삼 대신 보약으로 쓰면 좋다고 하며 오래 묵은 것은 산삼 못지 않은 약효가 있다고 한다.
<동의학사전>에는 도라지의 약성을 이렇게 적었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폐경에 작용한다. 담을 삭이고 기침을 멈추며 폐기를 잘 통하게 하고 고름을 빼낸다. 도라지 사포닌이 기관지 분비를 항진시켜 가래를 삭인다. 약리실험에서 진정작용, 진통작용, 해열작용, 혈압낮춤작용, 위액분비 억제작용, 항궤양작용, 항아나필락시아 작용, 염증없애기 작용, 등이 밝혀졌다. 가래가 있으면서 기침이 나고 숨이 찬데, 가슴이 그득하고 아픈데, 목이 쉰 데, 목안이 아픈데, 옹종 등에 쓴다.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인후두염, 등에도 쓸 수 있다. 하루 6~12그램을 달임약, 알약, 가루약 형태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치열(治熱)·폐열·편도염·설사에 사용한다.
오미자는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줄기는 갈색이고 나무를 기어오르는 성질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타원형·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며 뒷면 잎맥 위에는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치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단성화이며 약간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이다. 꽃이 핀 다음 암꽃의 꽃턱은 길이 3∼5cm로 자라서 열매가 수상(穗狀)으로 달린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거의 둥글고 이삭 모양으로 여러 개가 달린다.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1∼2개의 홍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열매에 신맛, 단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다섯 가지 맛이 섞여 있어 오미자라 하며 약용한다.
한방에서 자양(滋養)·강장·진해(鎭咳)·거담(祛痰)·지한(止汗) 등의 효력이 있어 해수·유정(遺精)·구갈(口渴)·도한(盜汗)·급성간염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오미자차를 만들어 마시며 술도 담근다. 한국·일본·중국·우수리·아무르에 분포한다. 잎 뒷면에 처음부터 털이 없는 것을 개오미자(var. glabra)라고 한다.
시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Gomisin A-Q), 시트럴(Citral). 알파이란진(α-Ylangene),능금산(Matic acid),구연산(Citric acic) 등이 있으며, 염폐자신(斂肺滋腎), 생진염한(生津斂汗), 삽정지사(澁精止瀉), 오미자차, 오미자쥬스, 오미자酒 등으로 가공 이용하고, 중추신경 흥분작용, 진해(鎭咳)작용, 거담(祛痰)작용, 자궁 수축작용,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강심작용, 트란스아미나제(Transaminase) 저하작용을 한다.
결명자 일년생 초목으로 높이는 약 1미터이고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가 짧은 털로 덮여 있으며 개화기는 6~8월이며 결실기는 9~10월이며 약용으로 재배하는 것으로서 가을철에 과실이 성숙하면 두과만 따거나 전주를 베어서 종자를 털어 내어 다시 말려 정선한 결명자를 방향이 나올 정도로 볶아 약재나 차로 사용하는 것이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며 간 위경에 들어가며 결명자의 수침액, 알콜 침액은 마취한 개 고양이 토끼에 대하여 모두 혈압강하작용을 하며, 간을 청소하고 눈을 맑게 하고 이뇨작용, 통변의 효능이 있으며 풍열로 인한 눈의 충열, 간염 등을 치료한다.(향약(생약)대사전 영림출판사 저자 정진섭, 신민교 1998년 1월 10일 중판 672 및 673쪽 참조)
감초는 다년생 초목으로 높이는 약 30~70센티미터 내외이고 근경은 원주상인데 주근은 매우 길고 거칠고 크며, 외피는 적갈색에서 암갈색이다. 감초의 뿌리 및 근경은 가을에 뿌리를 캐서 줄기의 밑부분, 작은가지 수염뿌리 등을 제거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되며, 맛은 달고 성질은 평온하며, 식물중독, 체내대사물의 중독 등에 대한 해독작용이 있으며, 기관지의 분비를 촉진하므로 진해거담작용이 있으며, 항염증과 항알레르기 반응작용을 나타내며, 간장을 보호한다.(향약(생약)대사전 영림출판사 저자 정진섭, 신민교 1998년 1월 10일 중판 685 및 686쪽 참조)
두충(Eucommiaceae)은 높이 20미터이며 껍질, 가지, 잎에는 모두 교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단엽이 호생하며 타원형이거나 난형 끈은 날카롭고 밑부분은 넓은 설형이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두충나무 껍질을 4월상순에서 6월 중순사이에 12~15년 이상된 껍질을 벗겨 조피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통풍이 잘되는 곳에 두고 건조한다.
맛은 달고 약간 시며 성질은 따뜻하며, 혈압강압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을 하며, 불면 등의 증상에 효력이 있다.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출판사 저자 정진섭, 신민교 1998년 1월 10일 중판605쪽 참조)
백복령은 학명이 Paria cocos (Schw.) W0lf. 이며, 보통 흔히 볼 수 있는 균핵이며 대부분은 불규칙한 괴상, 구형 등으로 대소가 여러 가지 있으며, 자실체는 우산모양이고,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유성세대는 발견하기가 어렵지만 새등우리 같은 모양으로 보통 균핵의 외피에 붙어서 생기며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점차 연한 갈색으로 변하며 소나무과의 식물로 소나무, 중국적송등의 뿌리에 기생하며 지하 약 20~30Cm의 깊이에 있다.
맛은 담백하고 달며 성질은 평온하며, 이뇨작용, 항균작용, 소화기계에 작용을 하며, 혈당을 저하시키고, 심장수축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40내지 43쪽 참조)
사상자(Torilidis Fructus)는 산형과(Umbelliferae)의 식물로서 학명 Cnidium monieri Cuss.의 과실이며, 한방에서는 조양, 자궁허냉 등에 사용하고 있다.
복분자는 낙엽 관목으로서, 학명은 Rubus crataegifolius BUNGE이며, 한방에서는 맛이 달고 남자의 신장허갈과 여자의 자식 없는 것을 치료하고 남자의 음위를 강하게 하며 간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하며 모발을 검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지(Polygalae Radix)는 원지과(Polygalaceae)에 속하는 학명 Polygala tenuifolia Willd.의 뿌리로서, 한방에 의하면 심기 안정하고 건망증을 개선하며 피로를 회복시키고 불면증에 좋으며 거담지해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귀는 학명이 Anglica sinenses(OLIV) DIELS이며, 다년생의 초본으로 근은 굵고 짧다. 당귀는 왜당귀, 당귀의 뿌리이다. 늦가을에 채취하여 깨끗하게 다듬어 통풍이 좋은 그늘에서 건조하고, 다시 약한불에 쬐어 충분히 건조한다 맛은 달고 시고 성질은 따뜻하며 심장. 간. 비경에 들어간다.
근에는 정유가 0.2%들어 있다. 당귀는 부인의 요약이란 관점에서 자궁에 수축작용을 가지며 정유는 직접 제어작용이 있으며, 물에 잘 녹고 에탄올에도 녹으며, 항균실험에서는 각종균을 제어하며 진통진정작용이 있으며 이뇨작용이 있다. 보혈, 화혈, 지통, 골장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 월경정지, 자궁암에 의한 자궁출혈, 등을 치료한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407,408쪽 참조)
하수오는 학명이 Poluygonum multiflorum THUNB이며, 다년생 덩굴성 초본으로 뿌리는 가늘고, 길며, 말단이 비대하여 괴근을 형성하여 표면은 홍갈색 또는 암갈색이다. 개화기는 8~9월이고 결실기는 11월이며, 원산지는 중구이며, 재식한다. 하수오의 괴근을 심은 지 3~4년 된 것을 봄에는 발아 전에, 가을에는 잎이 마른 뒤 캐서 큰 것은 2개로 쪼개 햇볕에 말리거나 건조시킨다. 맛은 쓰고 달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근과 근경에는 anthraquinone류가 함유되어 있다. 신경조직, 신경을 강장하는 작용이 있고, 혈구를 비롯하여 세포막의 중요한 성분이며 혈구의 신생과 발육을 촉진한다. 콜레스테톨에 좋으며, 부하피질호르몬작용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319쪽 참조)
삼백초는 학명이 Saururus chinensis(LOUR) BAILL이며,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40~100Cm이며, 지하경은 옆으로 뻗어가고 수염뿌리가 달린다. 줄기는 곧게 섰고 혹은 하부는 옆으로 뻗어가고 세로의 선이 있고 털은 없다. 개화기는 6~8월, 결실기는 7~9월이다. 저습지 수변에 나며, 잎,뿌리, 꽃이 희기 때문에 삼백초라 한다. 습기에서 자라며, 제주도 협제 근처에 분포한다.
맛은 쓰고 시며, 성질은 차다. 이수, 제습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814쪽 참조)
어성초는 약모밀의 뿌리가 달린 전초이다. 여름가을에 전초를 뿌리째 뽑아서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려서 잘라 쓴다. 맛은 시고, 성질은 차고, 간, 폐경에 들어간다. 항균작용이 있으며, 항바이러스 작용 및 이뇨작용이 있어 어성초를 두꺼비의 위장 또는 개구리의 발에 관통하면 모세혈관이 확장하여 혈류량과 이뇨분비가 증가하여 이뇨작용을 발휘한다. kalium에 의해 이뇨작용을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812쪽 참조).
산약은 마, 참마의 괴경으로 11~12월에 땅에서 캐어 죽도로 외피를 벗긴 후 통풍이 좋은 곳에서 햇볕이 들어오지 않도록 완전히 말려 저장한다. 괴경에는 사포닌, 점액, cholin, 전분, glyucoprotein과 유리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온하며 무독하다. 자양, 강장, 강정의 효과가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148쪽 참조).
삽주뿌리, 삽주는 학명이 Atractylodes japonica KOIDZ 이며,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70Cm에 달하고 괴경은 비대하고 마디가 있다. 엽병은 길이 3~8Cm이며 경생옆은 긴 유원형, 장유원형, 등이며, 꽃은 2가화로서 원줄기의 끝에 달리고 포엽은 꽃과 길이가 같으며 두줄로 달리고 2회익상으로 갈라 지진다. 개화기는 7~10월이며, 꽃은 백색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전국산지에 분포한다. 맛은 시고 쓰다. 성질은 따뜻하다. 항히스타민작용이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1026쪽 참조).
산사자는 산사나무의 열매로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이다. 잎은 전체적으로 달걀모양이며 깃모양으로 얕게 갈라졌고 밑은 쇄기모양 이다. 잎 끝은 날카롭고 드문드문 톱니가 있다. 흰색의 꽃이 5월에 다섯잎 의 꽃잎을 가지런히 가지며 꽃대 위에 핀다. 과실은 아가위라 부르기도 하며 외면은 붉은색을 띠고 잘 익으면 주름진 것처럼 표면이 쭈글쭈글해지고 짙은 적갈색의 반점이 생기기도 한다. 열매속은 갈색 또는 담갈색이며 식용도 하고 말려서 약용으로 쓴다.
중국, 일본의 각지에서 많이나며 우리나라에서는 지리산 이북의 전북 경
북 강원 등 중·북부 지역에서 주로 생산된다.
우리나라 것은 토산사, 중국 것은 산사육이라고 한다. 관상용, 약용, 식용으로 이용된다.
산사자의 성분은 단백질 지방 회분이 으뜸이고 비타민C, 구연산, 펜토산, 수산, 칼슘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는 건위 소화 지혈약으로서 위 속의 발효작용을 촉진하여 소화를 돕고, 식중독 육류중독 등으로 인한 복통에 효염이 있다. 또 월경과다, 요통, 장출혈, 혈변증상에도 사용한다.
옛날에는 민간에서 생선에 중독되었을 때 달여서 물을 마시면 해독되며 산후복통에는 산사자를 달인 물에 백탕을 가하여 복용하면 진정이 잘 된다.
또 산사자는 고기의 뼈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어서 생선이나 육류를
삶을 때 이 열매 몇 개를 넣으면 고기의 뼈가 아주 부드럽고 연해진다.
산사자의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약간 시큼하고 달콤하여 그
냥 먹기도 하고, 그 즙을 내어 젖이나 우유에 타서 갓난 어린이들에게 먹이면 좋은 효과가 있다. 비장의 염증이나 고환선종 등에 소염완화작용이 있어서 산사자의 열매를 매일 생식하면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다.
동의보감에는 위통이나 위의 팽만감 속이 찬 증상을 다스리는 「내소산」을 맑은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고 기재되어 있다.(인터넷에서 발췌)
본 발명은 5년 이상 재배 시에 썩어버리는 도라지를 5~20년 이상 장기간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을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하던 중, 15종 한약재 찌꺼기를 가열수 추출하여 농축한 다음 도라지 재배토양과 도라지 잎에 뿌려주면 5년 이상 장기간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확량은 5년 간 대조구에 비하여 약 89%까지 증수되었고, 사포닌 함량도 1.2배 증가된 장생도라지를 생산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한약재 찌꺼기의 조성 및 가열수 추출물의 제조)
제1공정
도라지, 오미자, 당귀, 복분자, 원지, 어성초, 감초, 삼백초, 결명자, 산약, 두충, 하수오, 백복령, 산사자, 사상자, 삽주뿌리를 각각 100g 씩 혼합된 15종 한약재를 15ℓ의 물이 저장된 가열탱크에 투입하여 95℃에서 4시간 동안 2회 연속으로 열수 추출하여 제거(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함)한 다음,
여과하여 남은 한약재 찌꺼기를 수집한 후에 물을 한약재 찌꺼기의 중량무게 대비 1:10으로 투입하여 95℃에서 12시간 정도 가열 및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이때 여과액의 고형물 함량은 약 3.5 Brix 이다.), 여과액의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감압가열농축하여 최종 고형물 농도가 20 Brix가 되게 조절하여 가열수추출물을 준비한 다음,
제2공정(한약재 찌꺼기 가열수 추출물의 살포방법)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한약재찌꺼기 고형분 20 Brix 의 가열수 추출물 50㏄에 물 10ℓ를 첨가하여(200배 희석) 파종전 토양에 살포하는 용액을 제조한 후에,
제조된 용액을 밭갈이 후에 평당 약 70㏄를 골고루 살포한 다음 로타리하여 밭이랑을 만들고 파종한 다음,
제3공정(추가살포)
도라지꽃이 완전 개화한 후 꽃이 떨어지는 시점에 상기에서 조제된 액을 도라지 잎에 평당 약 70㏄를 직접 골고루 살포하고,
제4공정(재추가살포)
1년 재배된 도라지를 한 곳에서 2년 이상에서 5년까지 재배 시에는 상기 제3공정과 같이 10월초에 다시 한번 조제된 액을 도라지 잎에 평당 약 70㏄를 직접 골고루 살포하여 생육, 수확량 및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도라지를 재배하였으며,
제5공정(장생도라지재배)
도라지의 재배년수가 10년에서 20년 이상 장기간이 될 때는 상기 제2공정에서 제조된 제조액을 1년에 2~3번 더 살포하면 병충해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5년 주기로 다른 토양에 이식하여 수확량이 더욱 증가된 도라지를 재배하였다.
실험예(장생도라지의 수확량 산출 및 사포닌 정량)
1. 실험방법
(1) 장생도라지의 수확량 산출
장생도라지 5년근, 10년근, 15년근, 20년근을 선별하여 15종 한약재 찌꺼기 가열수 추출물을 실시예와 같이 살포한 100평과 대조구 100평에 각각 파종하여 5년 간 재배한 후 평당 수확되는 도라지의 무게를 평균값으로 산출하였다.
(2) 사포닌 정량
시료 5g에 80% 메탄올 50㎖을 가하여 70℃에서 4회 추출하여 농축한 후 물 500㎖을 첨가한다. 여기에 에테르로 다시 4회 추출하여 물층을 분리하고, 부탄올과 물로 불순물을 제거하여 얻어진 조 saponin을 TLC와 HPLC를 이용하여 분석 및 정량 한다.
2. 실험결과
(1) 한약재 찌꺼기 가열수 추출물의 처리조건에 따른 장생도라지 생산량
상기실험방법에서 예시된 방법과 같이 5년근, 10년근, 15년근, 20년근 도라지를 각각 100평에 이식하여 실시예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5년 간 재배한 후 평당 수확되는 도라지의 무게를 100평 기준으로 평균값으로 산출한 결과는 아래 표1과 같다.
한약재 찌꺼기의 가열수 추출물 처리 횟수가 2회에서 3회, 4회로 증가하면 대조구에 비하여 수확량도 157%에서 189%까지 증가하였고, 특히 재배년수가 많은 20년근에서 그 효과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재배년수가 오래될수록 잘 썩어버리는 장생도라지의 단점을 보완 및 개선시키는데 매우 우수한 기술이라 판단된다.
<표 1> 한약재 가열수 추출물 처리 조건에 따른 년근별 장생도라지 생산량
구분 처리조건 도라지재배년수(년근) 5년 후 평당 수확량(g) 증수률(%)
한약재 찌꺼기 가열수 추출물 처리구 ·2회처리- 파종전 토양 1회- 개화 후 1회 5 년근10 년근15 년근20 년근 1435139213711304 157160169178
·3회처리- 파종전 1회- 개화 후 1회- 10월 1회 5 년근10 년근15 년근20 년근 1481140413901315 162161171180
·4회처리- 파종전 1회- 개화 후 1회- 8월 1회- 10월 1회 5 년근10 년근15 년근20 년근 1524143014051380 167164173189
대조구(무처리) ·무처리 5 년근10 년근15 년근20 년근 910870810730 100100100100
※ 증수률은 대조구 년근별 도라지 중량대비 증수된 양을 %로 표시
(대조구를 100%로 할 때 증수된 양을 년근별 증수율로 표시)
(2) 장생도라지 사포닌 함량
상기 실험 예의 시험방법에 의거 재배된 장생도라지의 사포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한약재 찌꺼기 가열수 추출물을 2회 살포한 도라지에서 사포닌 함량이 20년근의 경우 4.05%로서 대조구의 3.38%에 비해 약 1.2배 증가되었다.
<표 2> 한약재 가열수 추출처리에 따른 년근별 장생도라지 함량 변화
구분 도라지 재배년수(년근) 사포닌 함량(%)
대조구(무처리) 5 년근10 년근15 년근20 년근 2.953.243.313.38
한약재 찌꺼기가열수 추출물 처리구(2회 처리) 5 년근10 년근15 년근20 년근 3.053.563.904.05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15종의 한약재 찌꺼기를 가열수 추출하여 농축한 다음 파종 초기 토양과 도라지 개화 후 도라지 잎에 직접 뿌려 줌으로써 병충해가 거의 없으면서 도라지의 사포닌함량이 약 1.2배 증가된 도라지를 20년 이상 장기간 재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5)

  1.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법에 있어서,
    제1공정
    도라지, 오미자, 당귀, 복분자, 원지, 어성초, 감초, 삼백초, 결명자, 산약, 두충, 하수오, 백복령, 산사자, 사상자, 삽주뿌리를 각각 100g 씩 혼합된 15종 한약재를 15ℓ의 물이 저장된 가열탱크에 투입하여 95℃에서 4시간 동안 2회 연속으로 가열수 추출하여 제거한 다음,
    여과하여 남은 한약재 찌꺼기를 수집한 후에 물을 한약재 찌꺼기의 중량무게 대비 1:10으로 투입하여 95℃에서 12시간 정도 가열 및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이때 여과액의 고형물 함량은 약 3.5 Brix 이다.), 여과액의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감압가열농축하여 최종 고형물 농도가 20 Brix가 되게 조절하여 가열수추출물을 준비한 다음,
    제2공정(한약재 찌꺼기 가열수 추출물의 살포방법)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한약재찌꺼기 고형분 20 Brix 의 가열수 추출물 50㏄에 물 10ℓ를 첨가하여(200배 희석) 파종전 토양에 살포하는 용액을 제조한 후에,
    제조된 용액을 밭갈이 후에 평당 약 70㏄를 골고루 살포한 다음 로타리하여 밭이랑을 만들고 파종한 다음,
    제3공정(추가살포)
    도라지꽃이 완전 개화한 후 꽃이 떨어지는 시점에 상기에서 조제된 액을 도라지 잎에 평당 약 70㏄를 직접 골고루 살포하고,
    제4공정(재추가살포)
    1년 재배된 도라지를 한 곳에서 2년 이상에서 5년까지 재배시에는 상기 제3공정과 같이 10월초에 다시 한번 조제된 액을 도라지 잎에 평당 약 70㏄를 직접 골고루 살포하여 재배하며,
    제5공정(장생도라지재배)
    도라지의 재배년수가 10년에서 20년 이상 장기간이 될 때는 상기 제2공정에서 제조된 제조액을 1년에 2~3번 더 살포하면 병충해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5년 주기로 다른 토양에 이식하여 재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찌꺼기는 도라지, 오미자, 당귀, 복분자, 원지, 어성초, 감초, 삼백초, 결명자, 산약, 두충, 하수오, 백복령, 산사자, 사상자, 삽주뿌리 각각 동일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한약재 찌꺼기 가열수 추출물의 살포방법)은 20 Brix 의 한약재 찌꺼기 가열수 추출물 50㏄에 물 10ℓ를 첨가하여(200배 희석) 파종전 토양에 살포하는 용액을 제조한 후에, 제조된 용액을 밭갈이 후에 평당 약 70㏄를 골고루 살포한 다음 로타리하여 밭이랑을 만들고 파종한 다음, 도라지꽃이 완전 개화한 후 꽃이 떨어지는 시점에 상기에서 조제된 액을 도라지 잎에 평당 약 70㏄를 직접 골고루 살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재추가살포)은 1년 재배된 도라지를 한 곳에서 2년 이상에서 5년까지 재배시에 10월초에 다시 한번 조제된 액을 도라지 잎에 평당 약 70㏄를 직접 골고루 살포하여 재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공정(장생도라지재배)은 도라지의 재배년수가 10년에서 20년 이상 장기간이 될 때 도라지, 오미자, 당귀, 복분자, 원지, 어성초, 감초, 삼백초, 결명자, 산약, 두충, 하수오, 백복령, 산사자, 사상자, 삽주뿌리를 각각 동일중량으로 혼합된 15종 한약재를 상기 한약재의 10배의 물이 저장된 가열탱크에 투입하여 95℃에서 4시간 동안 2회 연속으로 가열수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남은 한약재 찌꺼기를 수집한 후에 물을 한약재 찌꺼기의 중량무게 대비 1:10으로 투입하여 95℃에서 12시간 정도 가열 및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이때 여과액의 고형물 함량은 약 3.5 Brix 이다.), 여과액의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감압가열농축하여 최종 고형물 농도가 20 Brix가 되게 조절하여 가열수추출물을 준비한 다음,
    상기에서 제조된 20 Brix 의 한약재찌꺼기 가열수 추출물 50㏄에 물 10ℓ를 첨가하여(200배 희석) 제조된 제조액을 1년에 2~3번 더 살포하면 병충해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5년 주기로 다른 토양에 이식하여 재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 재배법.
KR1020040065484A 2004-08-19 2004-08-19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재배법 KR100475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484A KR100475428B1 (ko) 2004-08-19 2004-08-19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재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484A KR100475428B1 (ko) 2004-08-19 2004-08-19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재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5428B1 true KR100475428B1 (ko) 2005-03-14

Family

ID=3722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484A KR100475428B1 (ko) 2004-08-19 2004-08-19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재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42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315B1 (ko) 2007-12-26 2008-08-04 강창원 산양 산삼의 재배 방법
CN102577812A (zh) * 2012-03-09 2012-07-18 蔡青先 一种桔梗的种植方法
CN103416206A (zh) * 2013-08-20 2013-12-04 山西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工业大麻良种繁殖技术
CN104838867A (zh) * 2015-05-25 2015-08-19 西北大学 一种提高远志中有效成分含量的化学调控方法
CN105027918A (zh) * 2015-07-27 2015-11-11 贵州省从江县塘洞农民中药材专业合作社 一种何首乌的繁育方法
CN105493855A (zh) * 2015-12-17 2016-04-20 四川农业大学 一种川产道地药材川芎的高值化人工栽培方法
CN109548609A (zh) * 2019-01-11 2019-04-02 甘肃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与啤酒原料研究所(甘肃省农业科学院中药材研究所) 一种直播当归种植的方法
CN109601306A (zh) * 2019-01-24 2019-04-12 衡阳中农高科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叶用覆盆子套种丹参的方法
CN109937722A (zh) * 2019-03-12 2019-06-28 中国科学院华南植物园 一种利用三白草地上茎快速繁殖的方法
CN114027082A (zh) * 2021-11-09 2022-02-11 浙江省耕地质量与肥料管理总站 一种掌叶覆盆子的容器栽培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315B1 (ko) 2007-12-26 2008-08-04 강창원 산양 산삼의 재배 방법
CN102577812A (zh) * 2012-03-09 2012-07-18 蔡青先 一种桔梗的种植方法
CN103416206A (zh) * 2013-08-20 2013-12-04 山西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工业大麻良种繁殖技术
CN103416206B (zh) * 2013-08-20 2015-05-20 山西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工业大麻良种繁殖技术
CN104838867A (zh) * 2015-05-25 2015-08-19 西北大学 一种提高远志中有效成分含量的化学调控方法
CN105027918A (zh) * 2015-07-27 2015-11-11 贵州省从江县塘洞农民中药材专业合作社 一种何首乌的繁育方法
CN105493855A (zh) * 2015-12-17 2016-04-20 四川农业大学 一种川产道地药材川芎的高值化人工栽培方法
CN109548609A (zh) * 2019-01-11 2019-04-02 甘肃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与啤酒原料研究所(甘肃省农业科学院中药材研究所) 一种直播当归种植的方法
CN109601306A (zh) * 2019-01-24 2019-04-12 衡阳中农高科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叶用覆盆子套种丹参的方法
CN109937722A (zh) * 2019-03-12 2019-06-28 中国科学院华南植物园 一种利用三白草地上茎快速繁殖的方法
CN109937722B (zh) * 2019-03-12 2020-12-01 中国科学院华南植物园 一种利用三白草地上茎快速繁殖的方法
CN114027082A (zh) * 2021-11-09 2022-02-11 浙江省耕地质量与肥料管理总站 一种掌叶覆盆子的容器栽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0786227B (zh) 仿野生附树种植铁皮石斛的方法
CN107596324A (zh) 一种含有蒲公英的组合物
KR100475428B1 (ko)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장생도라지재배법
KR1019477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100703897B1 (ko) 약초 성분을 주원료로 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CN105567501A (zh) 一种威灵仙风味荸荠果酒的酿制方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CN104288577A (zh) 防治猪感冒、肺炎的中药制剂及其生产方法
KR20100095336A (ko) 한방국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국밥
CN106258376A (zh) 一种有机百香果的种植方法
Miller Botanicum Officinale: Or a Compendious Herbal: Giving an Account of All Such Plants as are Now Used in the Practice of Physick. With Their Descriptions and Virtues. By Joseph Miller
KR20010103106A (ko)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060134247A (ko) 황토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25342A (ko) 인슐린 분비 촉진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계란 및 그제조방법
KR101517413B1 (ko) 산양산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양산삼음료
KR20110091959A (ko) 암의 치료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136928A (ko) 산양산삼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7169A (ko) 어성초 삼백초 소발나무 스테비아성분이 함유된 치약조성물
Ashok et al. Underutilized leafy vegetables of India and their pharmaceutical value to provoke human immune system
CN105055597B (zh) 治疗孔雀肠胃炎的中药制剂及其生产方法
KR102136615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30100438A (ko) 피부질환 치료용 제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