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231B1 -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배수재 물받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배수재 물받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231B1
KR100475231B1 KR1020040087175A KR20040087175A KR100475231B1 KR 100475231 B1 KR100475231 B1 KR 100475231B1 KR 1020040087175 A KR1020040087175 A KR 1020040087175A KR 20040087175 A KR20040087175 A KR 20040087175A KR 100475231 B1 KR100475231 B1 KR 100475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retaining wall
honeycomb
drainage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정식
Original Assignee
(주)정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정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4008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공 구간에 대한 효율적인 배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토공 구간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공 구간에 설치되는 공동 주택 단지내 옹벽에 있어서, 'ㅗ'자형 단면을 가지고, 하부 기초부에 배수홀(110)이 다수개의 형성된 옹벽(100); 상기 옹벽(100)의 후방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 물받이(200); 상기 옹벽(100)의 후방에 밀착되어 수분이 콘크리트 옹벽(100)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매트(300); 상기 방수 매트(300)의 후방에 밀착되어 배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벌집형 형태로 형성되는 벌집형 배수재(400); 상기 벌집형 배수재(400)의 중앙 내측으로 설치되는 청소관(500); 및 상기 벌집형 배수재(400)의 후방에 형성되는 토목 섬유(6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DRAINAGE SYSTEM USING POLYETHYLENE DRAIN MEMBER FOR APPARTMENT HOUSE}
본 발명은, 토공 구간에 대한 효율적인 배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토공 구간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 단지를 조성하는 경우, 많은 토공 구간이 형성되고, 그로 인해 공동 주택 단지 내 옹벽 및 토공 구간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자연 재해에 따른 붕괴의 위험을 내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옹벽 시스템을 이용한 토공 구간의 배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토공 구간(S)에는 전방에 그 구간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옹벽(90)이 시공되고, 상기 옹벽(90)에는 후방 토공 구간 측으로 드레인 여과재(20)가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여과재(20)가 설치된 위치에는 배수구(92)를 설치하여 지하수 및 우수를 외부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92)를 통해 지하수 및 우수가 외부처리되는 경우, 동절기 등에는 표면에 대한 동파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또한 배수구(92)가 막히는 경우 곧 바로 옹벽(90)의 붕괴로 이루어져 대형의 참사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안게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공동 주택 단지 내에 형성되는 토공 구간에 대한 붕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고, 그로 따른 자연수 및 우수를 빠르게 배출하여 외부 처리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토공 구간에 설치되는 공동 주택 단지내 옹벽에 있어서, 'ㅗ'자형 단면을 가지고, 하부 기초부에 배수홀이 다수개의 형성된 옹벽; 상기 옹벽의 후방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 물받이; 상기 옹벽의 후방에 밀착되어 수분이 콘크리트 옹벽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매트; 상기 방수 매트의 후방에 밀착되어 배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벌집형 형태로 형성되는 벌집형 배수재; 상기 벌집형 배수재의 중앙 내측으로 설치되는 청소관; 및 상기 벌집형 배수재의 후방에 형성되는 토목 섬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옹벽 후방에 설치되는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 물받이에 대한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의 청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동 주택 단지 내 토공 구간(200)에 대한 새로운 배수 시스템(900)을 제공하므로 토공 구간의 붕괴를 방지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인 옹벽(100)에 대한 동절기 동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배수 시스템(900)은, 크게 하부에 배수홀(110)이 형성된 옹벽(100), 상기 옹벽(100)의 후방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 물받이(200), 상기 옹벽(100)의 후방에 밀착되어 수분이 콘크리트 옹벽(100)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매트(300), 상기 방수 매트(300)의 후방에 밀착되어 배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벌집형 형태로 형성되는 벌집형 배수재(400), 상기 벌집형 배수재(400)의 중앙 내부를 관통하는 청소관(500), 및 상기 벌집형 배수재(400)의 후방에 그릴망 형태로 형성되고 토사의 유출을 방지시키는 토목 섬유(6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 시스템(900)은 물공급차(700)를 통해 물호스(730)가 청소관(50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여 벌집형 배수재(400)의 토사에 의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옹벽(100)은, 'ㅗ'자형 단면을 가지고, 하부 기초부에 인접하게 다수개의 배수홀(100)이 형성되어 하부에서만 우수 및 지하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배수로(160)로 배수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 물받이(200)는, 격자형 형태로, 다수개의 관통홀(204)이 형성된 하부 격자판(205)과, 옹벽(100)의 후방에 형성된 배수관 결속구(210)와, 배수관 결속구(210)와 연결되고 옹벽(100)의 하부를 관통하는 배수 드레인(220)과, 배수 드레인(220)과 연결되어 배수로(160)의 끝이 위치되는 배수 연결관(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물받이(200)는, 하부 격자판(205)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204)에 배수관 결속구(210)가 결합되며, 그 배수관 결속구(210)의 볼트부(212)에 배수 드레인(220)의 전방 소켓(224)이 연결되며, 그 배수 드레인(220)의 후방 볼트부(222)가 배수 연결관(230)의 전방에 결합된다.
상기 옹벽(100)에는 후방에 밀착되어 수분이 콘크리트 옹벽(100)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매트(30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방수 매트(300)는 하부에 하부 물받이(200)가 설치된다.
상기 방수 매트(300)의 후방에 밀착되어 배수 공간을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벌집형 배수재(400)는, 벌집형 형태로 형성되고,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제작되며, 후방 하부에 벌집형 배수재가 이중으로 형성된다. 그 후방 하부에 형성된 이중 벌집형 배수재에 의해 하부로 배수 공간이 넓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벌집형 배수재(400)에는, 중앙 내측으로 청소관(500)이 설치되며, 상기 청소관(500)은, 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토공 구간의 상부에 정차된 물공급차(700)와 연결된 물호스(730)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경우 압력에 의해 분사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그로 인해 벌집형 배수재(400)의 내측에 대한 토사 막힘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벌집형 배수재(400)의 후방에는 망 형태로 형성된 토목 섬유(600)가 설치되며, 상기 토목 섬유(600)는, 그릴망 형태로, 미세 물구멍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배수 시스템(900)은,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S)에 입설되는 옹벽(100)의 후방으로 하부 물받이(200), 방수 매트(300), 벌집형 배수재(400), 청소관(500), 및 토목 섬유(6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바, 토공 구간에서 발생되는 우수 및 자연수를 효율적으로 배수로(160)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 시스템(900)은, 배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토사에 의해 막힘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청소관(500)이 설치되므로 황토가 많은 지역에서도 효과적인 배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공동 주택 단지 내 토공 구간에 대한 효율적인 배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토공 구간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동절기 콘크리트 구조물인 옹벽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옹벽 시스템을 이용한 토공 구간의 배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옹벽 후방에 설치되는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 물받이에 대한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의 청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옹벽 200: 하부 물받이
300: 방수 매트 400: 벌집형 배수재
500: 청소관 600: 토목 섬유
900: 배수 시스템

Claims (2)

  1. 토공 구간에 설치되는 공동 주택 단지내 옹벽에 있어서,
    'ㅗ'자형 단면을 가지고, 하부 기초부에 배수홀(110)이 다수개의 형성된 옹벽(100);
    상기 옹벽(100)의 후방 하면에 밀착되는 한편,
    격자형 형태로, 다수개의 관통홀(204)이 형성된 하부 격자판(205)과, 옹벽(100)의 후방에 형성된 배수관 결속구(210)와, 배수관 결속구(210)와 연결되고 옹벽(100)의 하부를 관통하는 배수 드레인(220)과, 배수 드레인(220)과 연결되어 배수로(160)의 끝이 위치되는 배수 연결관(230)으로 구성된 하부 물받이(200);
    상기 옹벽(100)의 후방에 밀착되어 수분이 콘크리트 옹벽(100)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콘크리트 옹벽(100)의 기초부에서 상부까지 설치된 방수 매트(300);
    상기 방수 매트(300)의 후방에 밀착되어 배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벌집형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제작되며, 후방 하부에 벌집형 배수재가 이중으로 형성된 벌집형 배수재(400);
    상기 벌집형 배수재(400)의 중앙 내측으로 설치되는 한편, 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토공 구간에 정차된 물공급차(700)와 연결된 물호스(730)에 의해 물이 공급되어 그 압력에 의해 내측에 대한 토사 막힘을 제거시키는 청소관(500); 및
    상기 벌집형 배수재(400)의 후방에 형성되며, 그릴망 형태로, 미세 물구멍이 형성된 토목 섬유(6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물받이(200)는, 하부 격자판(205)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204)에 배수관 결속구(210)가 결합되며, 그 배수관 결속구(210)의 볼트부(212)에 배수 드레인(220)의 전방 소켓(224)이 연결되며, 그 배수 드레인(220)의 후방 볼트부(222)가 배수 연결관(230)의 전방에 결합되는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 배수재 물받이 시스템.
KR1020040087175A 2004-10-29 2004-10-29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배수재 물받이 시스템 KR100475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175A KR100475231B1 (ko) 2004-10-29 2004-10-29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배수재 물받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175A KR100475231B1 (ko) 2004-10-29 2004-10-29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배수재 물받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5231B1 true KR100475231B1 (ko) 2005-03-14

Family

ID=3722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175A KR100475231B1 (ko) 2004-10-29 2004-10-29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배수재 물받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23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10357A1 (en) Drain assembly for use in an outdoor setting
KR100476331B1 (ko) 유공관을 이용한 구조물 지하배수공법
US20090279954A1 (en)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KR102055272B1 (ko)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KR101129402B1 (ko) 필터 막힘 검측부를 가지는 지하수 배수장치
US7384212B2 (en) Septic system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KR20150065477A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100475231B1 (ko) 공동 주택 단지내 토공 구간 옹벽 뒤측 폴리에틸렌 벌집형배수재 물받이 시스템
JP4608366B2 (ja) 暗渠排水構造及び雨水の浸透処理方法
KR101460758B1 (ko)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JP2009270319A (ja) 雨水桝の施工構造
JP4948832B2 (ja) 側溝ブロック
KR100905661B1 (ko) 배수처리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JP3223219U (ja) 雨水処理マット
KR20090044391A (ko)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03821546U (zh) 一种生态雨水井构造
KR200440768Y1 (ko) 건축물 기초바닥 배수장치
JPH09228362A (ja) 揚排水装置を装備した連続打設中空杭体による連続壁
JP6864424B2 (ja) 雨水処理パンの設置構造体
KR102201825B1 (ko) 배수 특성이 향상된 친환경 측구 구조물
JP3241850U (ja) 水田の排水準備構造
KR100551981B1 (ko) 배수로를 포함한 비탈면 보호 격자틀 및 설치방법
JPH0724421Y2 (ja) 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252583B1 (ko) 배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