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758B1 -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758B1
KR101460758B1 KR1020120140354A KR20120140354A KR101460758B1 KR 101460758 B1 KR101460758 B1 KR 101460758B1 KR 1020120140354 A KR1020120140354 A KR 1020120140354A KR 20120140354 A KR20120140354 A KR 20120140354A KR 101460758 B1 KR101460758 B1 KR 101460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water
pipe
discharge member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627A (ko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102012014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7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지하 주차장 상측의 슬라브 상면에 형성되는 인공지반 조경용 화단 저면의 바닥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시공으로 보다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수시스템과 이 때 상호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접속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을 통해 지하주차장 상측의 슬라브 상의 보다 넓은 면적에 대하여 보다 쉽게 배수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원활한 배수 및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재된 수목에 필요한 물을 충분히 공급하는 동시에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LANDSCAPE ARTIFICIAL GROUND DRAINAGE CONNECTING SYSTEM}
본 발명의 지하 주차장 상측의 슬라브 상면에 형성되는 인공지반 조경용 화단 저면의 바닥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시공으로 보다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수시스템과 이 때 상호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접속부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단지나 빌딩의 주변에는 필히 조경을 위한 화단이 설치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인데, 이러한 화단은 빗물이 신속하고 적절하게 배수되어야 식재된 나무나 꽃들의 생장이 원활하게 된다. 그런데 화단은 통상 지하 주차장의 상측 슬라브 상에 인위적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인공지반이므로, 인공 배수시스템의 역할은 조경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화단의 바닥에는 배수를 위한 구조를 설치하게 되고, 이러한 배수 구조를 통해 빗물이나 물주기에 따른 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조경 화단의 배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경용 화단의 저면은 슬라브(1)로 이루어지고, 측방에는 통상의 화단 벽체가 구비되며, 그 내부 저면에는 방수콘크리트(2)의 상부에 전체적으로 배수판(3)과 자갈(4)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는 토사(5)를 채운 후 수목을 식재한다. 이러한 배수판은 일정 높이를 가지며, 위아래로 연통하는 개방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며, 기존에는 화단 전체에 대하여 이러한 배수판을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즉 배수판(3)을 화단 바닥 전체에 빈틈없이 배치하여야만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방식에 따르면, 인공지반 하부에 배수판을 너무 많이 필요로 하고, 설치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유입된 물이 너무 빨리 배수되어, 식재된 수목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기 전에 물이 빠져버리는 단점이 있다. 점점 조경용 화단의 면적이 넓어지는 추세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은 점점 크게 인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한 구성을 통해 보다 넓은 면적에 대하여 보다 쉽게 인공지반 배수시스템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접속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정량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재된 수목에 필요한 물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반 배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슬라브 상에 인공지반 조경용 부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슬라브 상방의 토사에서 침출된 물을 유입하여 배수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되는 장형의 흡배수재; 및 상기 흡배수재와 연결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유입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부재를 거쳐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슬라브 상에 인공지반 조경용 부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슬라브 상방의 토사에서 침출된 물을 유입하여 배수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되는 장형의 흡배수재; 상기 흡배수재와 연결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유입되는 배출부재; 및 상기 배출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부재 내의 물이 유입되는 유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부재를 거쳐 상기 유출부재를 통해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슬라브 상에 인공지반 조경용 부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슬라브 상방의 토사에서 침출된 물을 유입하여 배수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되는 장형의 흡배수재; 및 상기 흡배수재와 연결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유입되는 유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로 유입된 물이 상기 유출부재를 통해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흡배수재와 상기 배출부재를 연결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상기 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배출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배수재와 상기 배출부재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배출부재와 상기 유출부재를 연결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상기 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배출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부재 내의 물이 상기 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유출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배수재와 상기 유출부재를 연결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상기 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유출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부재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횡방향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구; 및 상기 하우징부의 종방향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부 내측에는 상하를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부재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구;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부재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하단에 밀착된 위치에 형성되며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와 수직의 방향으로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에 비하여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배출구의 하단면과 같은 면에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부재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하단에 밀착된 위치에 형성되며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구;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 일부 또는 전부에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재의 하단 또는 하단 측방에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는 상기 개방구로 삽입되거나 관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출부재의 하단 또는 하단 측방에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개방구로 삽입되거나 관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출부재의 하단 또는 하단 측방에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는 상기 개방구로 삽입되거나 관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출부재의 하방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슬라브 상방으로는 자갈층이 배치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자갈층을 향해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배수재는: 드레인보드, 다발관, 유공관, 무공관, 이중관, 중공관, 배수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재는: 드레인보드, 다발관, 유공관, 무공관, 이중관, 중공관, 배수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출부재는: 드레인보드, 다발관, 유공관, 무공관, 이중관, 중공관, 배수판, 트렌치, 우수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재의 하방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배출부재의 내측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출부재의 하방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유출부재의 내측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부재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구; 및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을 통해 지하주차장 상측의 슬라브 상의 보다 넓은 면적에 대하여 보다 쉽게 배수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원활한 배수 및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재된 수목에 필요한 물을 충분히 공급하는 동시에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조경 화단의 배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접속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은 흡배수재(10)가 화단 저면에 가로, 세로로 교차 배치된다. 흡배수재(10)는 조경 설치 위치의 슬라브(1) 또는 그 상측에 타설된 방수콘크리트(2) 상면에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가로 세로로 배치되는 것의 경우, 십자 형으로 교차배치되도록 한다.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전체의 면적에 대해 배수판(3)을 깔았지만, 본 발명은 일정 영역에 대해서만 선형적으로 배치하므로 유입된 물이 흡배수재(10)의 위치까지 흘러들어온 후, 흡배수재(10)를 따라 배수가 된다. 따라서 물이 유입되자마자 바로 빠져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과도하게 물이 빠지지 않아 수목의 뿌리가 상하게 하는 문제도 없게 된다. 배수 속도와 배수량은 수리 계산에 의해, 흡배수재(10)의 길이, 간격이나 너비 등을 조절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배치된 흡배수재(10)의 저면 또는 상면에는 토목섬유(20)가 배치되는데, 토목섬유(20)는 통상의 부직포를 사용하여, 흡배수재(10) 내로 유입되는 토사, 자갈, 돌들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슬라브, 방수콘크리트, 마감면 등의 바닥 위에는 토목섬유(20)가 한 층 이상 배치되고, 그 상측에는 드레인보드를 사용한 흡배수재(10)가 배치되며, 드레인보드의 하측방에서 유입된 물은 하부 공간을 따라 흡수 또는 배수되어 이동된다. 흡배수재(10)의 외부를 토목섬유(20)로 감싸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흡배수재(20)의 하측 및 상측에 토목섬유를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배수재(20)에 토목섬유(20)가 미리 결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흡배수재(10)의 일측 단부에는 접속부재(310)가 결합되기도 하는데, 접속부재(310)에는 하나 이상의 흡배수재(10) 단부가 결합되어 꽂히게 된다. 접속부재(310)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서, 내부에 지지기둥을 구비하기도 하며, 내측의 공간은 흡배수재(10)로부터 유입된 물을 일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접속부재(310)에는 배출부재(40)가 결합되는데, 흡배수재(10)로부터 유입된 물은 접속부재(310)에 모여 배출부재(40)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 3과 같이 배출부재(40)가 접속부재(310)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속부재(310)에 물이 일정량 이상 수용될 때에야 배출이 시작되므로, 물을 일정 기간 보유하고 있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배출부재(40)는 타측 단부가 외측으로 향하거나, 집수정, 트렌치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할 유출부재와 연결될 수도 있다.
흡배수재(10)는 드레인보드, 다발관, 유공관, 무공관, 이중관, 중공관, 배수판, PDD관, PE관, 콘크리트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수 및/또는 배수의 기능을 하는 구성이라면, 상기 명시된 것 이외에도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배출부재(40) 역시 드레인보드, 다발관, 유공관, 무공관, 이중관, 중공관, 배수판, PDD관, PE관, 콘크리트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배출 기능을 담당하는 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배수재, 배출부재는 양면드레인보드, 양변배수판, 또는 단면 배수판을 2 이상 맞대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드레인보드, 배수판에는 내외 또는 상하를 관통하는 배수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출부재(40)는 다시 다른 접속부재(330)을 통해 유출부재(60)와 연결된다. 유출부재(60)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슬라브 내의 유로로 향하는 관으로 구성되거나, 외측으로 향하는 우수관, 하수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맨홀박스(70), 트렌치 등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유출부재(60)는 전술한 배출부재(40)와 같은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맨홀박스(70)에는 우오수관(72)이 연결된다.
흡배수재(10)로 유입된 물은 접속부재(310)를 통해 배출부재(40)로 모이고, 배출부재(40)로 모인 물은 다시 다른 접속부재(330)를 통해 유출부재(60)로 모여 흐르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좌측의 첫번째 접속부재(310)에는 한 쌍의 관으로 된 배출부재(40)가 연결되고, 이 배출부재(40)들은 다시 또 다른 우측의 접속부재(320)에 연결된다. 접속부재(320)에는 또 다른 배출부재(4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사방의 배출부재(40)로부터 접속부재(320)에 유입된 물은 상측의 다른 배출부재(4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접속부재(320)의 하우징(322)을 반원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자른 형태 또는 사각기둥 등의 형태로 구성하고, 일측에 흡배수재(10)가 인입될 수 있는 유입구(324)를 형성한다. 유입구(324)로 유입된 물은 측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른 배출부재(44)로 배출구를 통해 연결되어 배출된다. 배출부재(44)의 하단 높이는 흡배수재(10)의 유입구(324)의 하단보다 높아서, 접속부재(320) 내에 어느 정도 물이 채워져 수용된 경우에 배출부재(44) 측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접속부재(320)는 배출부재와 유출부재, 흡배수재와 유출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장 좌측에 위치된 접속부재(330)의 형상과 같이 원통형의 유출부재(60)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배출부재(40) 끼리, 또는 유출부재(60) 상호 간에는 연결소켓(50)으로 길이를 연장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측방으로 유입되고 하방으로 개방된 접속부재(340)를 구비하여, 슬라브(1) 하측 지하실 측으로 물을 배출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접속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흡배수재(10)는 접속부재(310)의 측방으로 삽입되며, 그 직각방향으로는 배출부재(40)가 결합된다. 유입구(314)는 하우징(312)의 저면 측에 밀착 또는 최저면측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단부에 형성되어, 흡배수재(10)의 위치, 방향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구(314)의 수직방향으로는 보다 큰 단면적의 배출구(318)가 형성되며, 이 배출구(318)로는 배출부재(40)가 연결되어, 흡배수재(10)로부터 유입구(314)를 통해 유입된 물은 배출구(318)를 통해 배출부재(40) 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 때 상하방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내측에 간격을 두어 지지기둥(31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십자형의 사각박스 형태의 접속부재(320)는 사방으로 유입구(324)를 구비하고, 하우징(322)의 상방으로는 배출구(326)를 구비한다. 배출구(326)는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325)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출구(326)에는 다른 배출부재(42)가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유출부재(60)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접속부재(330)의 하단과 배출부재(40)의 하단과, 접속부재(330)에 결합된 유출부재(60)의 하단 높이가 모두 같아지므로, 배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 때 배출구(338) 측에는 단면적이 큰 유출부재(60)가 결합되는데, 통상의 관 등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유입구(334)에는 배출부재(40) 또는 흡배수재(10)가 결합되도록 한다. 유입구(334)의 하단은 배출구(338)의 하단과 같은 높이에서 시작되도록 하단면부(336) 바로 위에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입구(334)는 측방연장부(333)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측방연장부(333) 없이 단순히 유입구(334)만 하우징(332)에 형성하여 배출부재(40) 등을 결합할 수 있다.
또는 도 9와 같이 접속부재(350)를 구성할 수 있는데, 직육면체 박스형의 하우징(352) 양측방에 유입구(356)를 구비하고, 중앙측 상방으로 배출구(355)를 형성한다. 이 배출구(355) 상방으로는 유출부재(60)가 안착되도록 하고, 유출부재(60)의 하방, 하단 일부를 개방시켜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 이 때 유출부재(60)의 안착을 위해 측방으로 리브가 돌출되고, 유출부재(6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부(35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속부재 없이 관 형태의 유출부재(60)의 하단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이 부분에 배출부재(40) 등이 직접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하여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출부재(60)의 하방측일 일정 너비 절개하여 개방시킨 개방구(62)를 형성하고, 이 개방구에 배수판(110), 배수관(120) 등의 배출부재, 흡배수재를 배치하여 연통시킬 수 있다. 이는 경우에 따라서는 배출부재(40)의 하방에 개방구를 형성하여 동일하게 연결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개방구(62)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수판(110)을 삽입 배치하고, 그 하부에는 별도의 드레인보드(132), 토목섬유(132) 등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개방구(62)에는 흡배수재(10)로 사용되는 드레인보드(130)만을 배치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유출부재(60)의 하방측에 개구(64)를 형성하고, 이 개구(64)는 방수콘크리트(2) 상방에 구비되는 자갈층(6) 상에 토목섬유(7)를 배치한 상측을 바라보도록 배치시켜, 자갈층(6)으로 유입된 물이 개구(64)를 통해 유출부재(60)로 유입되어 외부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개구가 자갈층(6) 내측 위치까지 내입된 것이고, 도 14는 개구가 자갈층(6)의 상측에 놓인 상태의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흡배수재와 배출부재간, 배출부재와 유출부재간에는 별도의 접속부재 없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과 같이 유출부재(60)의 하단 개방구에는 배출부재(40)가 직접 꽂혀있을 수 있으며, 도면 (b)와 같이 배출부재(40)의 단부는 A처럼 약간 상방을 향하도록 하거나, (c)의 B처럼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하여, 일정한 압력 이상시에만 유출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 구조는 배출부재와 흡배수재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유출부재(60)의 하방에는 개구(64)를 형성하고, 이 개구를 통해 배출부재(40)가 연통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a)와 같이 장형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개구(64)를 구성할 수도 있고, (b)처럼 사각홀 형상(64a), 원 형상(64b)으로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개구(64)에는 배출부재(40)의 단부가 직접 꽂히거나, 또는 배출부재(40)의 상단을 개방시켜 연통시키거나, 또는 개구(64) 위치에 도 9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접속부재를 배치시키고 양측으로 배출부재를 연결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 및 연결은 배출부재와 흡배수재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슬라브 2 : 방수콘크리트
3 : 배수판 4 : 자갈층
5 : 토사 10 : 흡배수재
20 : 토목섬유 40 : 배출부재
50 : 연결소켓 60 : 유출부재
310, 320, 330, 340, 350 : 접속부재

Claims (22)

  1. 슬라브 상에 인공지반 조경용 부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슬라브 상방의 토사에서 침출된 물을 유입하여 배수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되는 장형의 흡배수재; 및
    상기 흡배수재와 연결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유입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부재를 거쳐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흡배수재와 상기 배출부재를 연결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상기 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배출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하단에 밀착된 위치에 형성되며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구;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 일부 또는 전부에는 오목하게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2. 슬라브 상에 인공지반 조경용 부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슬라브 상방의 토사에서 침출된 물을 유입하여 배수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되는 장형의 흡배수재;
    상기 흡배수재와 연결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유입되는 배출부재; 및
    상기 배출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부재 내의 물이 유입되는 유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부재를 거쳐 상기 유출부재를 통해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흡배수재와 상기 배출부재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배출부재와 상기 유출부재를 연결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상기 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배출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부재 내의 물이 상기 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유출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하단에 밀착된 위치에 형성되며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구;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 일부 또는 전부에는 오목하게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3. 슬라브 상에 인공지반 조경용 부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슬라브 상방의 토사에서 침출된 물을 유입하여 배수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되는 장형의 흡배수재; 및
    상기 흡배수재와 연결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유입되는 유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로 유입된 물이 상기 유출부재를 통해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흡배수재와 상기 유출부재를 연결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수재 내의 물이 상기 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유출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하단에 밀착된 위치에 형성되며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구;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 일부 또는 전부에는 오목하게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의 하단 또는 하단 측방에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는 상기 개방구로 삽입되거나 관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의 하단 또는 하단 측방에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개방구로 삽입되거나 관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의 하단 또는 하단 측방에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는 상기 개방구로 삽입되거나 관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1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의 하방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슬라브 상방으로는 자갈층이 배치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자갈층을 향해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수재는:
    드레인보드, 다발관, 유공관, 무공관, 이중관, 중공관, 배수판, PDD관, PE관, 콘크리트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드레인보드, 다발관, 유공관, 무공관, 이중관, 중공관, 배수판, PDD관, PE관, 콘크리트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1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는:
    드레인보드, 다발관, 유공관, 무공관, 이중관, 중공관, 배수판, 트렌치, 우수관, PDD관, PE관, 콘크리트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의 하방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배수재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배출부재의 내측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21.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의 하방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유출부재의 내측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22. 삭제
KR1020120140354A 2012-12-05 2012-12-05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KR101460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354A KR101460758B1 (ko) 2012-12-05 2012-12-05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354A KR101460758B1 (ko) 2012-12-05 2012-12-05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627A KR20140072627A (ko) 2014-06-13
KR101460758B1 true KR101460758B1 (ko) 2014-11-13

Family

ID=5112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354A KR101460758B1 (ko) 2012-12-05 2012-12-05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7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9302A (zh) * 2014-10-30 2015-03-04 天津城建大学 一种控制砒砂岩小流域沟道泥沙输移的植物治理方法
CN105230323A (zh) * 2015-11-11 2016-01-13 天津城建大学 一种适用于砒砂岩小流域的抗蚀促生二元立体配置模式
KR20160095270A (ko) * 2015-02-02 2016-08-1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보강그리드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895B1 (ko) 2004-11-26 2005-03-28 (주)한국조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누수막이 배수 시설물 설치구조
KR100655383B1 (ko) 2004-05-28 2006-12-08 엄기형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101309427B1 (ko) * 2012-07-17 2013-09-24 박영옥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83B1 (ko) 2004-05-28 2006-12-08 엄기형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100478895B1 (ko) 2004-11-26 2005-03-28 (주)한국조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누수막이 배수 시설물 설치구조
KR101309427B1 (ko) * 2012-07-17 2013-09-24 박영옥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형성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9302A (zh) * 2014-10-30 2015-03-04 天津城建大学 一种控制砒砂岩小流域沟道泥沙输移的植物治理方法
KR20160095270A (ko) * 2015-02-02 2016-08-1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보강그리드 구조
KR101698758B1 (ko) * 2015-02-02 2017-01-3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보강그리드 구조
CN105230323A (zh) * 2015-11-11 2016-01-13 天津城建大学 一种适用于砒砂岩小流域的抗蚀促生二元立体配置模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627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0819B2 (en) Drain assembly for use in an outdoor setting
US10738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JP3890354B2 (ja) 地下貯水槽
JP2018515070A (ja) 開孔浸透灌漑排水管及び密封式全自動浸透灌漑雨水回収全方位型プランタ
KR20070026831A (ko) 침투 블럭
CN109137940A (zh) 一种适用于松散堆填边坡的新型立体排水系统
JP4303504B2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と屋上緑化プランター
KR101460758B1 (ko)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KR101315287B1 (ko)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CN111792779A (zh) 一种居住区水景系统
KR101019776B1 (ko) 식생블록의 수분공급 시스템
JP2010275843A (ja) 貯水施設および貯水施設構築方法、貯水施設を用いた給水方法
KR101678127B1 (ko) 토목용 블록
KR101233647B1 (ko) 관수장치를 구비한 식생옹벽구조
KR101420821B1 (ko)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의 흡배수재
KR101309427B1 (ko)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형성방법
KR101878286B1 (ko)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EP3411543B1 (en) Modular element for the construction of pools, tanks and ponds.
KR100945595B1 (ko) 지하수 배수장치
TWI598490B (zh) Rainwater recovery filter method and system
CN203821546U (zh) 一种生态雨水井构造
KR101100364B1 (ko)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TWM568868U (zh) Soil water retention system
KR101926930B1 (ko) 배수가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