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991B1 - 접촉자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접촉자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991B1
KR100473991B1 KR10-2002-0045837A KR20020045837A KR100473991B1 KR 100473991 B1 KR100473991 B1 KR 100473991B1 KR 20020045837 A KR20020045837 A KR 20020045837A KR 100473991 B1 KR100473991 B1 KR 100473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opening
base
edge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6160A (ko
Inventor
요시에이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ublication of KR2003007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by an interconnection through aligned holes in the boards or multilayer bo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12Electrical connectors with testing mea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접촉자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는 돌기전극에 확실하게 접촉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접촉자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개구 내로 연장하는 1 이상의 접촉편을 포함하고, 접촉편은 돌기전극의 외주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도록 개구의 중심쪽으로 향하는 접촉연부를 갖춘다.

Description

접촉자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A Contact and a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배선기판이나 반도체 집적회로 등에 갖추어진 돌기전극에 접촉되는 접촉자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배선기판, 접속기판, 반도체 집적회로, 표시용 기판 등의 피접속체는 일반적으로 검사장치의 전기회로, 접속랜드 또는 배선을 갖는 다른 배선기판, 배선기판을 다른 접속체에 접속하는 접속기판 등, 상대쪽 접속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돌기전극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돌기전극은 구상, 반구상, 원추상, 사각뿔상, 반구상의 정수리부를 갖는 원추상 또는 사각뿔상 등의 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정수리부를 상대쪽 접속체의 랜드부, 배선, 전극 등의 접속부에 압축됨으로써, 상대쪽 접속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던가, 프로브, 프로브요소 등의 접촉자를 이용하여 상대쪽 접속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돌기전극의 정수리부를 상대쪽 접속체의 랜드부에 압축하면, 돌기전극의 정수리부, 특히 정점부가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접촉자에서는 그 선단을 돌기전극의 정수리부에 압축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돌기전극의 정수리부, 특히 정점부가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접촉자로서, 띠 형상의 배선의 일단에 링형상의 접촉부를 갖춘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접촉자는 접촉자 자체가 입체적이기 때문에, 복잡한 복수의 공정을 거쳐 제조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돌기전극에 대한 접촉부의 접촉이 불확실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돌기전극에 확실하게 접촉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 내로 연장하는 1 이상의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은 돌기전극의 외주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개구의 중심쪽으로 향하는 접촉연부를 갖춘다.
접촉편과 돌기전극은 돌기전극의 최소한 선단부가 접촉자의 접촉연부보다도 개구의 중앙쪽이 되도록,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서로 압축된다. 이에 의해, 돌기전극은 그 최소한 선단부의 측면을 접촉자의 접촉연부에 눌려 접하지만, 돌기전극의 정수리부는 접촉자에 눌리지 않는다.
접촉자는 접촉자 자체가 평면적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핫레지스트제의 마스크와 같은 적절한 마스크를 이용하는 도금기술이나 에칭기술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결과, 본 발명의 접촉자에 의하면, 돌기전극의 정수리부에 접촉하지 않고, 돌기전극에 확실하게 접촉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접촉자는 상기 돌기전극의 최소한 정수리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의 중심 주위에 180°회전 대칭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접촉편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접촉자와 돌기전극과의 상대적 위치가 복수의 접촉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돌기전극의 정수리부에 접촉하지 않고, 보다 확실하게 돌기전극에 접촉한다.
상기 접촉편은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 내를 상기 베이스의 안쪽 연부를 따라 연장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접편부로서 상기 접촉연부를 갖는 접편부를 갖추고, 상기 접촉연부는 상기 암부와 상기 접편부와의 제1 결합부에서 상기 암부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으로 활형상으로 연장해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접촉연부가 돌기전극에 눌렸을 때, 암부가 탄성변형하고, 그에 따라 접편부는 접촉연부가 돌기전극의 측면을 따라 연장하여 보다 확실하게 돌기전극에 접촉한다.
접촉자는 복수의 상기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촉편은 상기 돌기전극의 최소한 정수리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기 접촉연부를 상기 개구의 중심쪽으로 향하고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접촉자와 돌기전극의 상대적 위치가 복수의 접촉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돌기전극의 정수리부에 접촉하지 않고, 보다 확실하게 돌기전극에 접촉한다.
상기 접촉연부는 접촉연부의 양단을 잇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원추상의 정수리부를 갖는 돌기전극의 경우, 접촉연부는 암부의 탄성변형에 따라 개구의 중심쪽이 되는 단부에서부터 돌기전극의 측면에 접촉하기 시작하고, 최종적으로 나선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돌기전극에 접촉하고, 그 결과 확실하게 돌기전극에 접촉한다.
상기 접촉연부는 상기 암부와 상기 베이스와의 제2 결합부에 가까운 쪽의 단부가 상기 제2 결합부보다 먼 쪽의 단부보다도 상기 개구의 중심쪽이 되도록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원추상의 정수리부를 갖는 돌기전극의 경우, 암부의 탄성변형에 따라 접편부가 나선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확실하게 변형하기 때문에, 접촉연부는 보다 확실하게 돌기전극에 접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촉자는 상기 돌기전극의 최소한 정수리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의 중심 주위에 180°회전 대칭으로 배치된 한쌍의 상기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각 접촉편은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 내를, 상기 베이스의 안쪽 연부를 따라 연장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선단에서부터 암부의 안쪽을 최소한 상기 암부와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접편부로서 상기 접촉연부를 갖는 접편부를 갖추고, 양 접편부는 상기 접촉연부를 상기 개구의 중심쪽으로 향하고 있고, 상기 접촉연부는 활형상으로 연장해 있으며, 또한 상기 암부와 상기 베이스와의 결합부에 가까운 쪽의 부위만큼 상기 개구의 중심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변위되어 있어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개구는 타원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각 암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 내를, 상기 베이스의 안쪽 연부로서 상기 개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안쪽 연부를 따라 연장해 있고, 상기 접촉연부는 상기 암부와 상기 접편부와의 결합부에서 상기 암부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으로 활형상으로 연장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는 전기절연성의 시트로서 이것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1 이상의 구멍을 갖는 시트상 부재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1 이상의 접촉자로서 접촉편의 최소한 선단부가 상기 구멍과 마주보도록 베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시트상 부재의 한쪽면에 배치된 접촉자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전기적 접속장치에 의해서도, 접촉자에 대해서 서술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기적 접속장치는 상기 시트상 부재의 상기 구멍을 사이로 하여 간격을 둔 곳을 관통하는 한쌍의 도전성 핀으로서 상기 접촉자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성의 접속핀을 더 포함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접촉자(10)는 배선기판(12)에 갖추어진 돌기전극(14)과, 전기적 접속장치(16)의 접속핀(18)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전기절연성의 기판(20)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전극(14)은 원추형의 정수리부(22)를 배선기판(12)의 한쪽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접속핀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기판(20)은 아래면에 복수의 배선을 갖고 있고, 또한 타원형의 관통구멍(24)을 접촉자(10)의 배선장소에 갖추고 있다. 기판(20)은 도시한 예에서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수지로 시트나 필름과 같이 얇은 판상으로 제작되어 있던가, 경질의 수지로 두꺼운 판상으로 제작되어 있어도 좋다. 접속핀(18)은 도전성의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고, 또한 기판(20)을 두께방향을 관통하여 기판의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촉자(10)는 기판(20)의 관통구멍(24)보다 큰 눈의 형상을 갖는 베이스(30)와, 베이스(30)로부터 편(片)을 갖는 다리형상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접촉편(32)을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도전성의 금속재료로 얇은 판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제작되어 있다.
베이스(30)는 기판(20)의 관통구멍(24)과 거의 같은 크기의 타원형의 개구(34)를 중앙에 갖고 있다. 개구(34)는 그 장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띠 형상의 한쌍의 장편부(36)와, 단축방햐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단편부(38)로 형성되어 있다.
양 접촉편(32)은 개구(34)의 중심 주위에 180°회전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접촉편(32)은 베이스(30)의 단편부(38)에서 개구(34) 내를, 베이스(30)의 장편부(36)의 안쪽을 따라 개구(34)의 장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띠 형상의 한쌍의 암부(40)와, 각 암부(40)의 선단부에서 암부(40)의 안쪽을 개구(34)의 단축방향으로 활형상으로 연장하는 접편부(42)를 포함한다.
각 접편부(42)는 암부(40)에의 결합부에서 암부(40)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으로 활형상으로 연장해 있고, 또한 활형상의 안쪽 연부를 돌기전극(14)의 정수리부(22)의 측면에 접촉되는 접촉연부(44)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돌기전극(14)의 정수리부를 포함하는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46)을 형성하도록 접촉연부(44)를 개구(34)의 중심쪽으로 향하고 있다.
양 접편부(42)의 접촉연부(44)는 같은 곡률반경을 갖고 있다. 그러나, 양 접촉연부(44)는 접촉연부(44)의 양단을 잇는 방향(개구(34)의 단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양 접촉연부(44)는 암부(40)와 베이스(30)와의 결합부에 가까운 쪽의 단부가 상기 결합부보다 먼 쪽의 단부보다도 개구(34)의 중심쪽이 되도록 변위되어 있다.
접촉자(10)는 그 자체가 평면적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핫레지스트제의 마스크와 같은 적절한 마스크를 이용하는 도금기술이나 에칭기술 등, 복잡한 작업공정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전기적 접속장치(16)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자(10)를 그 베이스(30)의 단편부(38)에 있어서의 접속핀(18)의 상단에 땜납과 같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조립된다. 그러나, 접속핀(18)의 상단부를 받아들이는 구멍을 베이스(30)의 단편부(38)에 형성하고, 접속핀(18)과 단편부(38)를 그 위쪽에서 접착해도 좋다. 또한, 접속핀(18)을 접촉자(10)와 일체적으로 제조해도 좋다.
배선기판(12)과 기판(20)은 전기적 접속장치가 그와 같이 조립된 후, 돌기전극(14)의 정수리부(22), 특히 선단(정점부)을 삽입공간(46)에 받아들이도록 상대적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돌기전극(14)의 정수리부(22)의 측면이 접촉자(10)의 접촉연부(44)에 눌려지고, 접촉자(10)는 주로 각 접촉편(32)의 암부(40)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 때문에, 접촉자(10)와 돌기전극(14)은 접촉하고, 접촉자(10)에 의한 접촉자국이 돌기전극(14)의 정수리부(22)의 측면에 형성된다. 그러나, 돌기전극(14)의 정수리부는 접촉자(10)에 눌리지 않기 때문에, 정수리부는 손상되지 않는다.
접촉편(32)이 개구(34)의 중심 주위에 180°회전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던가, 활형상의 접촉연부(44)가 개구(34)의 중심쪽을 향하고 있으면, 접촉자(10)와 돌기전극(14)의 상대적 위치가 접촉편(32)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돌기전극(14)의 정수리부가 접촉자(10)에 접촉하지 않고, 접촉자(10)와 돌기전극(14)이 보다 확실하게 접촉한다.
또한, 접촉연부(44)가 암부(40)와 접편부(42)와의 결합부에서 암부(40)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으로 활형상으로 연장해 있으면, 접촉연부(44)가 돌기전극(14)에 눌렸을 때의 암부(40)의 탄성변형에 따라 접편부(42)의 접촉연부(44)가 돌기전극(14)의 측면을 따라 연장하여 보다 확실하게 돌기전극(14)에 접촉한다.
게다가, 접촉연부(44)가 개구(34)의 단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으면, 접촉연부(44)는 암부(40)의 탄성변형에 따라 개구(34)의 중심쪽에 위치하는 단부에서부터 돌기전극(14)의 정수리부(22)의 측면에 접촉하기 시작하고, 최종적으로 접촉연부(44)가 나선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돌기전극(14)에 접촉하고, 그 결과로 확실하게 돌기전극(14)에 접촉한다.
특히, 암부(40)와 베이스(30)와의 결합부에 가까운 쪽의 접촉연부(44)의 단부가 그와 같은 결합부보다 먼 쪽의 단부보다도 개구(34)의 중심쪽이 되도록 양 접촉연부(44)가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으면, 접촉연부(44) 중, 먼저 개구(34)의중심에 가까운 단부가 돌기전극(14)의 측면에 접촉하고, 타단부쪽이 돌기전극(14)에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암부(40)의 탄성변형에 따라 접촉연부(44)가 나선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접편부(42)가 확실하게 변형하여, 접촉연부(44)는 보다 확실하게 돌기전극(14)에 접촉한다.
도3을 참조하면, 접촉자(10)는 배선기판(12 및 50) 사이에 배치되고, 양 배선기판(12, 50)을 접속하는 전기적 접속장치(52)의 접속용 랜드로서 이용되고 있다.
전기적 접속장치(52)는 고무판과 같은 탄성판(54)을 기판(20)의 아래면에 겹친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접촉자(10)가 접속된 접속핀(18)은 탄성판(54)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배선기판(12 및 50)은 각각 돌기전극(14) 및 접속핀(18)에 접속된 배선(56 및 58)을 갖고 있다.
전기적 접속장치(52)는 돌기전극(14)이 접촉자(10)에 눌렸을 때, 접촉자(10)의 접촉편(32)이 탄성변형할 뿐만 아니라, 탄성판(54)이 압축변형된다. 이에 의해, 접촉자(10)에 작용하는 과잉의 오버 드라이브가 흡수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접촉자(6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 접촉자(10)와 같은 형상 및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62) 및 그 개구(64)는 원형이고, 각 접촉편(66)의 암부(68)는 베이스(62)의 안쪽을 활형상으로 연장해 있고, 각 접촉편(66)의 접편부(70)는 활형상으로 만곡된 안쪽 연부를 접촉연부(72)로 하고 있다.
양 접촉편(66)은 대응하는 암부(68)쪽의 단부가 다른쪽 단부보다도 개구(64)의 중심쪽이 되도록 변위되어 있지만, 양 접편부(70)에 의해 돌기전극(74)의 정수리부를 포함하는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76)을 형성하고 있다. 접촉자(60)는 원형이기 때문에, 암부(68)의 길이치수는 타원형의 접촉자(10)의 암부(40)에 비해 짧다.
접촉자(60)를 이용하는 전기적 접속장치(78)에 주요부의 일례를 도6에 나타낸다. 기판(80)에 형성된 도전성의 스루 홀(through hole)(82)에 베이스(62)에 있어서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스루 홀(82)은 베이스(62)의 개구(64)와 거의 같은 내경 치수를 갖고 있고, 또한 기판(80)의 관통구멍으로서 작용한다. 스루 홀(82)은 접촉자(60)와 일체적으로 제조해도 좋다.
도시한 예에서는, 돌기전극(74)은 반구상의 정수리부(84)를 갖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원판상의 시트(座)(86)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배선기판에 설치되어 있다.
접촉자(60)와 돌기전극(74)이 상대적으로 눌리면, 접촉자(60)도 접촉자(10)와 같이 작용한다.
도6은 접촉연부의 양 단부 중, 암부와 베이스와의 결합부에 가까운 단부가 그와 같은 결합부보다 먼 단부보다도 베이스의 개구의 중심쪽이 되도록, 양 접촉연부가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음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작용 및 효과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것을 하기에 설명한다.
접촉자(60)와 돌기전극(74)이 상대적으로 눌리면, 양 접촉연부(72) 중, 개구(64)의 중심에 가까운 단부가 먼저 돌기전극(74)의 측면에 접촉하고, 이어서 암부(68)의 탄성변형에 따라, 접편부(70)가 비스듬하게 서서히 변형되고, 최종적으로 접촉연부(72)가 나선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접편부(70)가 비스듬하게 확실하게 변형된다. 이에 의해, 접촉연부(72)는 나선의 일부에 있어서 돌기전극(74)에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연부(72)와 돌기전극(74)의 접촉길이가 커진다.
그러나, 상기 어떤 접촉자도 양 접촉연부를 상기와 같이 변위시키지 않아도 좋고, 상기와는 반대로 (암부와 베이스와의 결합부와 먼 단부가 그와 같은 결합부와 가까운 단부보다도 베이스의 개구의 중심쪽이 되도록) 변위시켜도 좋다.
도7(A) 및 (B)를 참조하면, 접촉자(90)는 원형의 베이스(92)와, 베이스(92)에서 그 원형의 개구(94)를 연장하는 한쌍의 접촉편(96)을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도전성의 금속재료로 얇은 판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제작되어 있다.
양 접촉편(96)은 베이스(92)에서 개구(94)의 중앙을 향해 연장하는 암부(98)와, 암부(98)의 선단에서 거의 활형상으로 연장하는 반원형의 접편부(100)를 갖고 있고, 또한 양 접편부(100)의 안쪽 연부를 접촉연부(102)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양 접촉연부(102)에 의해 돌기전극(14(또는, 74))의 정수리부를 포함하는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104)을 형성하고 있다.
양 접촉편(96)은 개구(94)의 중심 주위에 180°회전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양 접촉연부(102)는 개구(94)의 직경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다. 도9(A)에 있어서는, 각 접촉연부(102)는 선단쪽이 암부(98)쪽보다도 개구(94)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다. 이에 비해, 도9(B)에 있어서는, 각 접촉연부(102)는 선단쪽이 암부(98)쪽보다도 개구(94)의 중심에서 멀어지도록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다.
이 접촉자(90)에 의해서도, 상기한 접촉자(10 및 60)와 같이 작용함과 동시에,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8(A) 및 (B)를 참조하면, 접촉자(110)는 원형의 베이스(112)에서 그 원형의 개구(114) 내를 연장하는 한쌍의 접촉편(116)이 J자상의 형상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 접촉자(90)와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갖고 있다. 각 접촉편(116)은 그 전체로 암부를 겹친 접편부(118)로서 작용한다.
양 접편부(118)는 그 안쪽 연부를 접촉연부(120)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양 접촉연부(120)에 의해 돌기전극(14(또는, 74))의 정수리부를 포함하는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124)을 형성하고 있다.
양 접촉연부(120)는 도8(A)에 있어서는 돌기전극(14)이 접촉연부(120)의 기단부(베이스(112))쪽에 접촉하도록 간격을 두고 있고, 도8(B)에 있어서는 돌기전극(14)이 접촉연부(120)의 선단부에 접촉하도록 간격을 두고 있다.
이 접촉자(110)에 의해서도 상기한 접촉자(60, 90)와 같이 작용하고,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9(A) 및 (B)를 참조하면, 접촉자(130)는 원형의 베이스(132)에서 그 원형의 개구(134) 내를 연장하는 한쌍의 접촉편(136)이 L자상의 형상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 접촉자(90, 110)와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갖고 있다. 각 접촉편(136)은 그 전체로 암부를 겹친 접편부(138)로서 작용한다.
양 접편부(138)는 그 안쪽 연부를 접촉연부(140)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양 접촉연부(140)에 의해 돌기전극(14(또는, 74))의 정수리부를 포함하는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142)을 형성하고 있다.
양 접촉연부(140)는 도9(A)에 있어서는 돌기전극(14)이 접촉연부(140)의 기단부(베이스(132))쪽에 접촉하도록 간격을 두고 있고, 도9(B)에 있어서는 돌기전극(14)이 접촉연부(140)의 선단부에 접촉하도록 간격을 두고 있다.
이 접촉자(130)는 각 접촉편(136)이 2곳에서 돌기전극(14(또는, 74))에 접촉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한 접촉자(90, 110)와 같이 작용하고,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접촉자(150)는 원형의 베이스(152)에서 이것의 개구(154) 내를 연장하는 한쌍의 접촉편(156)이 베이스(152)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암부(158)와, 암부(158)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활형상의 접편부(160)에 의해, Y자상의 형상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 접촉자(90)와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갖고 있다.
양 접편부(160)는 그 길이방향 중앙에 있어서 암부(158)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안쪽 연부를 접촉연부(162)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양 접촉연부(162)에 의해 돌기전극(14(또는, 74))의 정수리부를 포함하는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164)을 형성하고 있다. 각 접촉연부(162)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도 개구(154)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변위되어 있다.
이 접촉자(150)에 의해서도 상기한 접촉자(90)와 같이 작용하고,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접촉자(170)는 원형의 베이스(172)에서 이것의 개구(174) 내를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4개의 접촉편(176)을 풍차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각 접촉편(176)은 그 전체로 암부를 겹친 접편부(178)로서 작용한다.
접편부(178)는 그 폭방향의 한쪽 측연부를 개구(174)의 중앙을 향하는 접촉연부(180)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양 접촉연부(180)에 의해 돌기전극(14(또는, 74))의 정수리부를 포함하는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18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는 모두 복수의 접촉편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일의 접촉편을 갖춘 접촉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활형상의 접편부를 갖춘 접촉자의 경우, 암부에서 베이스와 암부와의 결합부를 향해 연장하는 연부영역과, 암부에서 더 선단쪽으로 연장하는 연부영역에 의해 접촉연부를 형성하는 대신에, 그들 중 어느 한쪽만으로 접촉연부를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돌기전극에 확실하게 접촉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한 접촉자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접촉편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낸 접촉편을 이용한 다른 전기적 접속장치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에 나타낸 접촉편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4에 나타낸 접촉편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A)는 접촉연부를 한쪽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킨 예를 나타내고, (B)는 접촉연부를 다른쪽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A)는 돌기전극을 접촉연부의 기단부쪽에 접촉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B)는 돌기전극이 접촉연부의 선단부에 접촉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 (A)는 돌기전극을 접촉연부의 기단부쪽에 접촉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B)는 돌기전극이 접촉연부의 선단부에 접촉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60, 90, 110, 130, 150, 170 : 접촉자(接觸子)
12, 50 : 배선기판 14, 74 : 돌기전극
16, 52, 78 : 전기적 접속장치 18 : 접속핀
20, 80 : 기판 22, 84 : 돌기전극의 정수리부
24 : 관통구멍
30, 62, 92, 112, 132, 152, 172 : 베이스
32, 66, 96, 116, 136, 156, 176 : 접촉편(接觸片)
34, 64, 94, 114, 134, 154, 174 : 개구
40, 68, 98, 158 : 암부
42, 70, 100, 118, 138, 160, 178 : 접편부(接片部)
44, 72, 102, 120, 140, 162, 180 : 접촉연부(接觸緣部)
46, 76, 104, 124, 142, 164, 182 : 삽입공간(揷入空間)

Claims (9)

  1. 개구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개구 내로 연장하는 1 이상의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개구 내를 상기 베이스의 안쪽 연부를 따라 연장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접편부로서 돌기전극의 외주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개구의 중심 쪽을 향하는 접촉연부를 갖는 접편부를 갖추고, 상기 접촉연부는 상기 암부와 상기 접편부와의 제1 결합부로부터 상기 암부의 연장방향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활형상으로 연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전극의 최소한 정수리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을 같이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의 중심 주위에 180°회전 대칭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접촉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촉편은 상기 돌기전극의 최소한 정수리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을 같이 형성하도록 상기 접촉연부를 상기 개구의 중심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연부는 접촉연부의 양단을 잇는 방향에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연부는 상기 암부와 상기 베이스와의 제2 결합부에 가까운 쪽의 단부가 상기 제2 결합부보다 먼 쪽의 단부보다도 상기 개구의 중심쪽이 되도록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전극의 최소한 정수리부를 받아들이는 삽입공간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의 중심 주위에 180°회전 대칭으로 배치된 한쌍의 상기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원형, 장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각 접촉편은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 내를, 상기 베이스의 안쪽 연부를 따라 연장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선단에서 암부의 안쪽을 최소한 상기 암부와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접편부로서 상기 접촉연부를 갖는 접편부를 갖추고,
    양 접편부는 상기 접촉연부를 상기 개구의 중심쪽으로 향하고 있고,
    상기 접촉연부는 활형상으로 연장해 있고, 또한 상기 암부와 상기 베이스와의 결합부와 가까운 쪽의 부위만큼 상기 개구의 중심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변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장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각 암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개구 내를, 상기 베이스의 안쪽 연부로서 상기 개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안쪽 연부를 따라 연장해 있고,
    상기 접촉연부는 상기 암부와 상기 접편부와의 결합부로부터 상기 암부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으로 활형상으로 연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8. 전기절연성의 시트로서 이것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1 이상의 구멍을 갖는 시트상 부재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의 어느 한 항 기재의 1 이상의 접촉자로서 접촉편의 최소한 선단부가 상기 구멍과 마주보도록 베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시트상 부재의 한쪽면에 배치된 접촉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장치.
  9. 삭제
KR10-2002-0045837A 2002-03-22 2002-08-02 접촉자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 KR100473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80788 2002-03-22
JP2002080788A JP3878041B2 (ja) 2002-03-22 2002-03-22 接触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的接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160A KR20030076160A (ko) 2003-09-26
KR100473991B1 true KR100473991B1 (ko) 2005-03-10

Family

ID=2844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837A KR100473991B1 (ko) 2002-03-22 2002-08-02 접촉자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78041B2 (ko)
KR (1) KR100473991B1 (ko)
CN (1) CN1248369C (ko)
TW (1) TW5884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3843B2 (ja) * 2003-12-18 2009-12-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気的接触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088291B2 (ja) * 2004-11-22 2008-05-21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システムズジャパン 金属間接合方法
JP4224717B2 (ja) 2005-07-11 2009-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WO2009051183A1 (ja) * 2007-10-19 2009-04-23 Nhk Spring Co., Ltd. 接続端子、半導体パッケージ、配線基板、コネクタ、およびマイクロコンタクタ
CN102760997B (zh) * 2012-07-17 2015-01-21 邹政耀 一种轴式耐振动连接器
JP6239494B2 (ja) * 2014-12-16 2017-1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US9627831B1 (en) * 2015-09-30 2017-04-18 Apple Inc. Rotating contact ring with legs extending at an angle to a lower surface of the ring
TWI649923B (zh) * 2016-06-17 2019-02-01 日商阿爾普士電氣股份有限公司 Crimp type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8128451A1 (ko) * 2017-01-06 2018-07-12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접촉단자
KR101854318B1 (ko) * 2017-01-06 2018-05-03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방열 단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0173A (en) * 1983-06-15 1990-08-21 Hitachi, Ltd. Service temperature connector and packaging stru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employing the same
KR0162907B1 (ko) * 1992-06-05 1999-01-15 제이.제이.맥캔 2세 전기 접속 장치, 전기 접속 방법 및 신호 특성 검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824A (en) * 1994-06-07 1997-04-01 Tessera, Inc. Soldering with resilient contac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0173A (en) * 1983-06-15 1990-08-21 Hitachi, Ltd. Service temperature connector and packaging stru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employing the same
KR0162907B1 (ko) * 1992-06-05 1999-01-15 제이.제이.맥캔 2세 전기 접속 장치, 전기 접속 방법 및 신호 특성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8477B (en) 2004-05-21
JP2003282635A (ja) 2003-10-03
JP3878041B2 (ja) 2007-02-07
CN1447479A (zh) 2003-10-08
KR20030076160A (ko) 2003-09-26
CN1248369C (zh)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2436B1 (en) Self retained pressure connection
US7905730B2 (en) Interposer with a pair of contact points
US9759744B2 (en) Contact inspection device
KR100473991B1 (ko) 접촉자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
US20070032102A1 (en) Land grid array connector contact
JP2011181200A (ja) 雌側回路基板及び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ー
US20070155196A1 (en) Land grid array connector contact
JP2010153156A (ja) コネクタ
US20070148998A1 (en) Land grid array connector contact
JPH06203930A (ja) メッキまたはろう付けされた孔のためのコネクター
US20020045365A1 (en) Socket for testing IC package
TW201237422A (en) Contact probe for inspection
US20050112959A1 (en) Large elastic momentum conduction member of IC device socket
JP3128540B2 (ja) 球面形バンプに対するコンタクトの接触構造
JP2005044545A (ja) 電子部品用ソケット
US7520752B2 (en) Electrical contact for land grid array socket assembly
US7448882B2 (en) Connector
US7101200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ircuit board retention structure
JP3372240B2 (ja) 球面形バンプに対するコンタクトの接触構造
JP2005276779A (ja) 電子部品用ソケット
US20070173138A1 (en) Contact used in an electrical connector
JP6086252B2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
JP2009283182A (ja) 電気コネクタ
JP2725252B2 (ja) リセプタクル型端子
JP4599265B2 (ja) インターポー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