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745B1 - 화상의 보간 시스템 및 화상의 보간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의 보간 시스템 및 화상의 보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745B1
KR100473745B1 KR10-2002-7002743A KR20027002743A KR100473745B1 KR 100473745 B1 KR100473745 B1 KR 100473745B1 KR 20027002743 A KR20027002743 A KR 20027002743A KR 100473745 B1 KR100473745 B1 KR 100473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olation
pattern
image
data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229A (ko
Inventor
가나꼬 니시하시
마사아끼 모리야
도모야 시무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8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07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interpolation, e.g. bilinear interpo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Edge-driven scaling; Edge-based sca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0Function-generator circuits, e.g. circle generators line or curve smooth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29De-interlac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14Vertical resolution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화상을 형성하는 각 라인 사이의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화상 라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가상 보간 데이터를 작성하는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100, 120)과, 상기 생성된 가상 보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화소를 보간하는 보간 수단(130, 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의 보간 시스템 및 화상의 보간 방법{IMAGE INTERPOLATION SYSTEM AND IMAGE INTERPOLATION METHOD}
본 발명은 화상의 보간 시스템 및 화상의 보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사선 수가 상이한 텔레비전 방식의 업 컨버트나, 인터레이스 주사 영상 신호로부터 순차 주사 영상 신호로 변환되는 데 있어서, 필드 화상으로부터 프레임 화상을 생성할 때 등의, 라인 보간에 의한 화상의 보간 시스템 및 화상의 보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사선 수가 상이한 텔레비전 방식의 업 컨버트나, 화상의 고선명화를 위해, 인터레이스 영상으로부터 프로그레시브 영상을 생성하는 주사선 보간 방법으로서, 정지 화상에 대해서는 프레임 내 보간이 행해지지만, 동화상에서는 프레임 상관이 붕괴되기 때문에 프레임 내 보간에서는 움직임이 있는 세로선이 들쭉날쭉한 모양으로 오변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동화상에 대해서는 필드 내 보간이 행해진다.
필드 내 보간 방법중 간편한 방법으로는, 보간해야 할 라인으로서 전 라인을 그대로 이용하는 라인 보간 방법이나, 상하의 라인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라인 보간 방법이 있다. 전자의 보간 방법에서는, 사선 등과 같은 수직 방향에 대해 상관을 갖지 않는 화상에서는 화상의 윤곽선에 들쭉날쭉한 모양이 생기고, 또한, 후자의 보간 방법에서는 화상에 흐려짐이 발생하는 화상의 열화를 동반하고 있었다.
이들의 결점을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특개소63-187785호 공보에 기재된 보간 방법에서는, 보간해야 할 라인의 각 화소를, 그 화소의 주변에서 가장 상관이 강한 방향의 화소 정보를 이용하여 보간하는 것으로, 우선 보간 화소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어떤 방향의 화소 신호가 가장 상관이 강한지를 알기 위해, 수직 방향, 우측 경사 방향, 좌측 경사 방향의 인접 화소의 차분 절대값을 구하고, 차분 절대값이 최소로 되는 방향이 가장 상관이 강한 방향이다라고 판단하여, 그 방향에 있는 각 화소의 평균값을 구하고, 그것을 보간 화소의 값으로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보간해야 할 라인의 각 화소에 대하여, 즉, 1화소마다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한 바와 같은 3방향의 차분 절대값을 산출하고, 또한, 이들 차분 절대값의 최소를 판단하여 보간 화소의 값을 구하는 처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간 처리 속도가 느리고, 또한 화상 중의 엣지 부분 이외의 영역(화소 값이 변화되지 않은 영역)과 같이, 어느 방향에서도 상관의 강함에 차이가 없는 경우에서도 상기한 일련의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처리 시간이 소비되어, 보간 처리 속도가 느리고, 상관을 구하는 화소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도 곤란하였다.
그 때문에, 경사 각도가 작은 사선과 같이 꽤 떨어진 곳에서 상관을 갖는 화상의 보간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상관이 강한 화소를 사용한 보간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보간 정밀도가 나빠지고, 여전히 사선부의 엣지에 들쭉날쭉한 모양이 생겼다.
특개평5-30487호 공보에는, 상기 공보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보간 처리 속도를 향상시킴과 함께, 처리 속도의 향상에 따라 상관을 구하는 범위를 확대하여 보간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 이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화상의 보간 방법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 보간 방법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원 화상이 인접하는 n라인과 n+1라인의 각 화소를 비교하여, 각각의 라인 상의 2차원 화상의 엣지 개소 a, b를 검출한다. 보간해야 할 보간 라인에서는, 상기 엣지가 검출된 a, b 사이 이외에서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라인의 화소를 이용하여 보간하는 것으로 하고, 보간 라인의 엣지부를 구한다.
계속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엣지 개소 a, b에서 인접하는 어느 한쪽의 라인(n라인) 상의 주목 화소(여기서는 A로 함)를 중심으로 한 「화소수」와 「보간 위치로부터의 시프트량」으로 이루어진 근방 화소열 (3, 0)으로서 설정하고, 이것과 상관이 있는 대상 화소열 (3, 1)을 인접하는 다른쪽의 라인(n+1라인) 중에서 선출한다.
여기서, 근방 화소열과 대상 화소열과의 상관을 취하기 위한 일반식으로서, 근방 화소열=(2m+1, 0), 대상 화소열=(2m+1, ±Y)를 이용하여, m=Y=1, 2, 3, 4, 5 정도까지를 순서대로 가변시킨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방 화소열 (3, 0)과 대상 화소열 (3, 1) 사이에서, 도면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화소 쌍으로 연산을 행하여, 화소 레벨의 차가 소정의 기준값 이내인지의 여부로 상관의 판정을 행한다. 도 16에 도시한 경우에는, 중앙 화소 쌍에 상관이 없기 때문에, 다음으로 m=Y=2로 하고, 각각 근방 화소열을 (5, 0), 대상 화소열을 (5, 2)로 하여 도면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화소 쌍으로 연산을 행한다. 도면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화소 쌍의 연산에서 상관 있음으로 판단되면, 그 때의 보간 위치로부터의 시프트량이 2화소로 되어, 즉,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a부와 b부가 2화소 어긋나 있는 것으로 하여, 구한 화소수의 절반수만큼, 상기 선출한 화소열 또는 근방 화소열을 위치 어긋남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시프트한 화소열, 즉, A로부터 우측으로 1화소 시프트한 c점을 중심으로 하는 화소열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특개평5-30487호 공보에 기재된 보간 방법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화소 단위에 따른 보간 방법에 비해 화소열에 따른 보간을 도입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발명이지만, 화소열의 엣지 부분을 결정하기 위해, 엣지부 부근에서 적어도 3화소 내지 11화소 정도까지 화소 시프트를 행하면서 라인 간 연산을 행하는 것으로서, 연산 시간이 걸리는 점에서는 아직 문제가 있는 방법이다. 또한, 이 보간 방법은 화상의 윤곽을 매끄럽게 하는 방법으로, 수평에 가까운 세선 화상과 같이, 라인 사이에서 화상이 도중에 끊어진 경우에 복구할 수 없는 문제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세선 영상이나 영상 엣지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영상에 대하여 속도 처리를 대폭 삭감하고, 실시간의 보간 처리를 가능하게 한 화상 보간 시스템 및 화상 보간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요지는 하기와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요지는 화상을 형성하는 각 라인 사이의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화상 라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가상 보간 데이터를 작성하는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생성된 가상 보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화소를 보간하는 보간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요지는 화상을 형성하는 각 라인 사이의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화상 라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가상 보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생성된 가상 보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상에 보간 원(元) 화소를 생성하고, 상하 입력 화상 라인 상의 상기 생성된 보간 원 화소 간의 상호 연산에 의해, 상기 상하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화소를 보간하는 보간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요지는 화상을 형성하는 각 라인 사이의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화상 라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가상 보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생성된 가상 보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보간 구간 및/또는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보간 구간 결정 수단과,
상기 생성된 가상 보간 데이터 및 상기 보간 구간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간 구간 결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상에 보간 원 화소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간 원 화소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를 보간하는 보간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요지는 상기 요지 3에 있어서,
상기 보간 구간 결정 수단은, 패턴 검색 범위를 설정하는 검색 조건 설정 수단과,
일치 패턴 조건을 설정하는 일치 패턴 조건 설정 수단과, 상기 검색 조건 설정 수단 및 상기 일치 패턴 조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조건에 기초하여 일치 패턴을 검색하는 제1 일치 패턴 검색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요지는 상기 요지 3에 있어서,
상기 보간 구간 결정 수단은,
패턴 검색 범위를 설정하는 검색 조건 설정 수단과,
일치 패턴 조건을 설정하는 일치 패턴 조건 설정 수단과,
상기 검색 조건 설정 수단 및 상기 일치 패턴 조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조건에 기초하여, 일치 패턴을 검색하는 제1 일치 패턴 검색 수단과,
상기 검색된 일치 패턴의 벡터 방향을 추출하는 방향 벡터 추출 수단과,
상기 검색 조건 설정 수단 및 상기 일치 패턴 조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된 벡터 방향에서의 일치 패턴을 검색하는 제2 일치 패턴 검색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요지는 상기 요지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보간 데이터는, 화소열을 단위로 하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요지는 상기 요지 2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보간 데이터는, 화소열을 단위로 하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8 요지는 상기 요지 3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보간 데이터는, 화소열을 단위로 하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요지는 상기 요지 4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보간 데이터는, 화소열을 단위로 하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0 요지는 상기 요지 5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보간 데이터는, 화소열을 단위로 하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요지는 상기 요지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2 요지는 상기 요지 2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 요지는 상기 요지 3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4 요지는 상기 요지 4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5 요지는 상기 요지 5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6 요지는 상기 요지 6∼10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7 요지는 상기 요지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과,
동일 보간 라인 상에서 추출된 상기 패턴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코어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8 요지는 상기 요지 2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과,
동일 보간 라인 상에서 추출된 상기 패턴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코어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9 요지는 상기 요지 3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과,
동일 보간 라인 상에서 추출된 상기 패턴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코어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0 요지는 상기 요지 4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과,
동일 보간 라인 상에서 추출된 상기 패턴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코어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1 요지는 상기 요지 5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과,
동일 보간 라인 상에서 추출된 상기 패턴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코어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2 요지는 상기 요지 16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과,
동일 보간 라인 상에서 추출된 상기 패턴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코어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3 요지는 상기 요지 17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패턴 내의 화소 단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하는 패턴 내 화소 연산 수단과,
상기 평균값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패턴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4 요지는 상기 요지 18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패턴 내의 화소 단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하는 패턴 내 화소 연산 수단과,
상기 평균값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패턴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5 요지는 상기 요지 19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패턴 내의 화소 단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하는 패턴 내 화소 연산 수단과,
상기 평균값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패턴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6 요지는 상기 요지 20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패턴 내의 화소 단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하는 패턴 내 화소 연산 수단과,
상기 평균값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패턴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7 요지는 상기 요지 21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패턴 내의 화소 단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하는 패턴 내 화소 연산 수단과,
상기 평균값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패턴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8 요지는 상기 요지 22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패턴 내의 화소 단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하는 패턴 내 화소 연산 수단과,
상기 평균값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패턴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9 요지는 화상을 형성하는 각 라인 사이의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어서,
입력 화상 라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가상 보간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가상 보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화소를 보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0 요지는 화상을 형성하는 각 라인 사이의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어서,
입력 화상 라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가상 보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가상 보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상에 보간 원 화소를 생성하고, 상하 입력 화상 라인 상의 상기 생성된 보간 원 화소 간의 상호 연산에 의해, 상기 상하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화소를 보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1 요지는 화상을 형성하는 각 라인 사이의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어서,
입력 화상 라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가상 보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가상 보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보간 구간 및/또는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가상 보간 데이터 및 상기 결정된 보간 구간 결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상에 보간 원 화소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간 원 화소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에 화소를 보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보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입력 영상의 일례로서의 흰 배경에 검은 세선 영상의 프레임 영상이 투영된 모니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확대 포인트(3)의 입력 영상 라인 및 보간 라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가상 보간 라인 패턴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가상 보간 라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1 일치 패턴 검색부(131) 및 일치 패턴 특정부(134)에서의 일치 패턴 검색 시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방향 벡터 추출부(135) 및 제2 일치 패턴 검색부(136)에서의 벡터 검색 시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보간 원 화소열 설정부(143)에서 설정된 보간 원 화소열(=일치 화소열; 61∼63, 71∼73)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보간 실행부(140)에 의해 보간 실행된 화소열(81∼84)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보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영상 라인과 보간 라인 상에서의 각 화소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영상 라인과 보간 라인 상에서의 각 화소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보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영상 라인과 보간 라인 상에서의 각 화소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어서의 영상 라인과 보간 라인 상에서의 각 화소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어서의 근방 화소열과 대상 화소열과의 상관을 구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어서의 그 밖의 근방 화소열과 대상 화소열과의 상관을 구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어서의 엣지 개소에서의 보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보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100)는 입력 영상을 입력하여 가상 보간 라인 패턴을 생성하는 가상 보간 라인 패턴 생성부, 참조 부호(120)는 생성된 가상 라인 패턴을 저장하는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 참조 부호(130)는 보간 구간 및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보간 구간 결정부, 참조 부호(140)는 연산된 각종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간을 실행하는 보간 실행부이다.
가상 보간 라인 패턴 생성부(100)는, 화소 간 휘도 차분 연산부(101), 정규화 처리부(102), 패턴 추출부(103), 코어링 처리부(coring processor, 110), 패턴 내 휘도 차분 연산부(111), 패턴 편집 판정부(112), 패턴 편집 실행부(113)로 구성된다.
보간 구간 결정 처리부(130)는, 제1 일치 패턴 검색부(131), 일치 패턴 조건 설정부(132), 검색 조건 설정부(133), 일치 패턴 특정부(134), 방향 벡터 추출부(135), 제2 일치 패턴 검색부(136)로 구성된다.
또한, 보간 실행부(140)는, 일치 화소열 검색부(141), 검색 조건 설정부(142), 보간 원 화소열 설정부(143), 일치 화소열 연산부(144), 보정 수단(145)으로 구성된다.
도 2는 입력 영상의 일례로서의 흰 배경에 검은 세선 영상의 프레임 영상이 투영된 모니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참조 부호(1)는 모니터 화면, 참조 부호(2)는 기울어진 세선 영상이고, 참조 부호(3)는 본 실시예의 화상의 보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도 3에 도시한 입력 화상의 확대 포인트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확대 포인트의 입력 영상 라인과 보간 라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A, C, E, G, I는 입력 영상 라인이고, B, D, F, H는 보간 라인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21; A33∼A35), 참조 부호(22; C27∼C31), 참조 부호(23; E21∼E25), 참조 부호(24; G15∼G19), 참조 부호(25; I10∼I13)는 기울어진 세선 영상(2)이 흑 패턴부로서 표시된 부분이고, 다른 부분은 백 패턴부를 표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 영상을 추출한 경우, 영상의 엣지 부분이나 세선 영상의 기울기가 수평에 근접함에 따라 영상의 끊어짐이 커지고, 보간에 의해 프레임 영상을 생성하는 경우라도 적절한 보간 방법을 행하지 않으면 영상이 끊어지거나, 윤곽에 단차가 남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보간 시스템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상 보간 라인 패턴 생성부(100)에서의 가상 보간 라인 패턴의 생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상 보간 라인 패턴 생성부(100)의 화소 간 휘도 차분 연산부(101)에 입력된 입력 영상은, 예를 들면, 휘도 차분값을 ±127로 하고, 도 3에서, A라인과 C라인, C라인과 E라인, E라인과 G라인, G라인과 I라인의 각각의 입력 영상의 상하 2라인 간에서 대향 화소 간의 휘도 차분값을 연산하여, 보간 라인 화소 데이터를 얻는다. 계속해서, 정규화 처리부(102)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기초로, 정규화 처리가 행해져 각 보간 라인 화소 데이터를 +, -, 0의 3종류로 분류한다. 패턴 추출부(103)에서는, 이 중, + 또는 -의 동일한 종류가 연속되어 있는 구간을 패턴으로서 추출한다.
또한, 추출된 패턴은, 코어링 처리부(110)의 패턴 내 휘도 차분 연산부(111)에서 패턴 내의 휘도 차분값의 평균값이 연산된다. 계속해서, 패턴 편집 판정부(112)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나 최소 도트수나 최대 도트수 등의 패턴 편집 기준값과 앞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예를 들면, 평균값이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은 부분은, 눈에 띄지 않는 개소나 판단하기 어려운 개소로 하여 패턴으로서 간주되지 않고, 패턴 편집 실행부(113)에서 삭제된다.
또, 패턴 편집 판정부(112)에서는, 근접하는 패턴 간의 부호 비교에 의해, 패턴의 연장이나 접속 등의 편집 판정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도 4는 가상 보간 라인 패턴 생성부(100)에서, 상기한 처리를 거쳐 얻어진 가상 보간 라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참조 부호(41∼44)는 -로 분류된 가상 보간 라인 패턴, 참조 부호(51∼54)는 +로 분류된 가상 보간 라인 패턴, 기타는 0으로 분류된 가상 보간 라인 패턴이다.
가상 보간 라인 패턴 생성부(100)에서는,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간 라인마다 분류가 종료된 가상 보간 라인 패턴에 대하여, 재차 고쳐진 휘도 차분값의 평균, 각 패턴마다에 개시 위치, 길이, 부호(+, -), 휘도 차분값의 평균값 등의 데이터로서 작성하여,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120)로 송신한다.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120)에서는, 처리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가 가상 보간 패턴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은 필드 내 전부인 경우도 있지만, 보간 구간 결정 처리부(130)나 보간 실행부(140)에서 필요로 하는 복수 라인분만 저장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으로, 보간 구간 결정 처리부(130)에서의 보간 구간 및 보간 방향의 결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 일치 패턴 검색부(131)에서의 일치 패턴 검색 시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가상 보간 데이터가 보간 구간 결정 처리부(130)의 제1 일치 패턴 검색부(131)에 입력되면, 제1 일치 패턴 검색부(131)에서는 각 가상 보간 라인 패턴(41∼44, 51∼54)의 각각에 대하여 일치 패턴을 검색한다. 예를 들면, 가상 보간 라인 D21, D22, D23, D24, D25의 구간에 있는 가상 보간 라인 패턴(42)에 대한 일치 패턴의 검색에 대하여 진술하면, 이 가상 보간 라인 패턴(42)에 대하여, 검색 조건 설정부(133)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검색 범위나 일치 패턴 조건 설정부(132)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부호, 구간 길이, 휘도 차분 평균값 등의 일치 판정 조건에 기초하여, F라인 상에서, 가상 보간 라인 패턴(42)과 합치되는 가상 보간 라인 패턴을, 도 5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 및 아래의 좌우의 가상 보간 라인 패턴으로부터 찾아낸다.
다음으로, 일치 패턴 특정부(134)에서는, 상기한 검색 결과, 검색 범위 내에 존재하고, +, -의 부호가 일치되어 있으며, 또한 구간 길이나 휘도 차분의 평균값이 거의 일치한 경우에는, 그 가상 보간 라인 패턴을 가상 보간 라인 패턴(42)의 일치 패턴으로서 추출한다. 또한, 가상 보간 라인 패턴(42)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추출된 일치 패턴의 중심이 가상 보간 라인 패턴(42)의 중심축에 가장 가까운 것을 축의 좌우로부터 각각 1개씩 찾아낸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보간 라인 F15, F16, F17, F18, F19의 구간에 있는 가상 보간 라인 패턴(43)이 한 방향에만 존재하는 일치 패턴으로서 특정된다.
또한, 실제의 영상에서는 복수 방향에 일치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나, 끊어짐이 있는 세선이나 엣지부 등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어, 일치 패턴의 오추출을 방지하기 위해 벡터 검색을 행한다.
방향 벡터 추출부(135)에서는, 일치 패턴으로서 추출된 후보 패턴에 대하여, 원 패턴으로부터의 벡터를 추출한다. 여기서는, 원 패턴인 가상 보간 라인 패턴(42)으로부터 일치 패턴으로서 추출된 후보 패턴(43)의 벡터를 추출한다. 계속해서, 제2 일치 패턴 검색부(136)에서, 검색 조건 설정부(133)와 일치 패턴 조건 설정부(132)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기초하여, 그 벡터 방향에서의 일치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근사 패턴을 검색한다. 이와 같이, 방향 벡터 추출부(135) 및 제2 일치 패턴 검색부(136)에서의 벡터 검색에 기초하여, 벡터 방향에 근사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간해야 할 구간으로 결정하고, 근사 패턴이 많이 존재하는 방향의 후보 패턴을 일치 패턴으로서 선택한다. 또, 벡터 방향에 근사 패턴이 없는 경우에는 그 구간의 보간은 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서는 세선이나 엣지부의 방향이나 일치 패턴의 오추출을 방지한다.
도 6은 방향 벡터 추출부(135) 및 제2 일치 패턴 검색부(136)에서의 벡터 검색시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방향 벡터 추출부(135)에 의해 원 패턴인 가상 보간 라인 패턴(42)으로부터 후보 패턴(43)에 대하여 화살표로 표시하는 벡터를 추출하고, 제2 일치 패턴 검색부(136)에 의해 벡터 방향의 라인(B라인과 H라인) 상에서 또한 일치 패턴을 검색하고, 그 결과, 가상 보간 라인 B27, B28, B29, B30, B31의 가상 보간 라인 패턴(41)과 일부만이 도시된 H(9), H10, H11, H12, H13의 가상 보간 라인 패턴(44)이 일치 패턴으로 되고, 이에 따라 가상 보간 라인 패턴(42)은 벡터 방향의 입력 영상에서 보간해야 할 구간이다라고 판정된다. 이 때, 가상 보간 라인 패턴(42)과 함께, 참조 부호(43)도 보간해야 할 구간으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간 구간 결정부(130)에서 결정한 보간 결정 구간이나 보간해야 할 방향 등을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하는 경우도 있다.
또, 보간 구간 결정부(130)에서의 판정 방법으로서, 일치 패턴이 벡터 방향의 어떤 라인에 존재하는지, 또 원 패턴의 중심축에 대하여, 각 벡터 방향의 동일 라인 상에 일치 패턴이 몇 개 존재하는지 등, 일치 패턴의 분포 상태에 따라 평가의 가중치를 변화시키거나, 벡터 검색 시의 일치 패턴 판정 조건을 전용으로 설정하여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간 필요성 여부나 보간해야 할 패턴의 방향을 벡터 방향에 존재하는 일치 패턴의 수에 따라 결정하고 있지만, 이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보간 실행부(140)에서의 보간 실행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치 화소열 검색부(141)에서는 입력 영상을 입력함과 함께, 보간 구간 결정 처리부(130)로부터 입력된 보간 결정 구간과 보간해야 할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조건 설정부(142)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일치 조건이나 검색 범위 등의 조건을 기초로, 입력의 필드 영상에 있어서, 보간해야 할 구간의 상하 입력 영상 라인으로부터 일치되는 화소열을 추출한다.
계속해서, 보간 원 화소열 설정부(143)에서는, 보간 결정 구간에 덧씌우기할 화소열을 설정하기 위해 일치 화소열의 위치 데이터와,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얻어지는 인접하는 라인 사이의 일치 패턴의 구간 개시 위치와 길이의 데이터로부터, 일치 화소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보간 원 화소열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간 결정 구간과 영상 라인의 일치 화소열의 길이를 동일하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보간 원 화소열은 일치 화소열 그 자체가 된다.
도 7은 보간 원 화소열 설정부(143)에서 설정된 보간 원 화소열(=일치 화소열; 61∼63, 71∼73)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일치 화소열 연산부(144)에서는, 상 라인의 일치 화소열(61∼63)과 하 라인의 일치 화소열(71∼73)의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과 위치 데이터가 연산된다. 이 연산된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과 위치 데이터로부터, 보간 실행부(140)는 보간 라인 상의 상 라인 일치 화소열(61∼63)과 하 라인 일치 화소열(71∼73)의 중간 위치에,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의 패턴을 덧씌우기함으로써 보간을 실행한다.
도 8은 보간 실행부(140)에 의해 보간 실행된 화소열(81∼84)을 나타낸다. 또, 보간 라인 상의 보간 결정 구간 이외의 화소는 종래 기술의 보간 방법으로 보간을 행한다. 종래 기술의 보간 방법이란, 예를 들면, 상하 입력 라인의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보간 라인을 보충하는 방법이나 상 입력 라인의 영상 데이터로 보간 라인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9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보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의 보간 시스템의 구성은,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보간 원 화소열을 설정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 필요로 하고 있던 보간 실행부(140)에서의 일치 화소열 검색부(141)와 검색 조건 설정부(142)는 불필요해진다.
즉, 보간 실행부(140)는 보간 원 화소열 설정부(143), 화소열 연산부(144a), 보정 수단(145)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보간 시스템의 동작을 도 9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 및 도 11에 영상 라인과 보간 라인 상에서의 각 화소열의 위치 관계를 명시한다.
도 10에서, 영상 화소열(흑)(21∼25; A33∼A34, C27∼C31, E21∼E25, G15∼G19, I10∼I13), 보간 결정 구간(+)(41∼44; B27∼B31, D21∼D25, F15∼F19, H10∼H13), 보간 결정 구간(-)(51∼54; B33∼B34, D27∼D31, F21∼F25, H15∼H19), 보간 원 화소열(61∼64, 71∼74; A30∼A34, C24∼C28, C30∼C34, E18∼E22, E24∼E28, G12∼G16, G18∼G22, I12∼I16)을 나타낸다.
또한, 도 11에서, 영상 화소열(흑)(21∼25; A33∼A34, C27∼C31, E21∼E25, G15∼G19, I10∼I13), 보간 화소열(81∼84; B27∼B31, B33∼B34, D21∼D25, D27∼D31, F15∼F19, F21∼F25, H10∼H13, H15∼H19)을 나타낸다.
우선, 보간 결정 구간(42; D21∼D25)에서의 보간 실행용의 화소열의 설정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보간 원 화소열 설정부(143)는,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얻어지는 보간 결정 구간(42, 43; D21∼D25, F15∼F19)의 구간 개시 위치와 길이의 데이터를 기초로, C라인과 E라인으로부터 보간 원 화소열(62, 63; C24∼C28, E18∼E22)을 설정한다.
이것은, 보간 결정 구간(42, 43; D21∼D25, F15∼F19)의 구간 개시 위치와 길이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구간의 단부 간(D21-F15, D25-F19)을 통과하는 직선이 각 C라인, E라인 상에서 교차되었을 때에 둘러싸이는 구간이다.
다음으로 화소열 연산부(144)에서, 보간 원 화소열(62, 63; C24∼C28, E18∼E22)의 대응하는 화소끼리의 평균값 연산을 행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간 화소열(82; D21∼D25)이 설정된다.
계속해서, 보간 원 화소열(62, 63; C24∼C28, E18∼E22)의 C24와 E18의 평균값 연산에 의해 보간 화소열(82; D21∼D25)의 D21의 화소 데이터가 설정되고, 순차적으로 C28과 E22까지의 평균값 연산에 의해, 보간 화소열(82; D21∼D25)의 데이터가 설정된다.
상기한 처리에 의해, 각 보간 결정 구간에 대한 보간 화소열이 설정되고, 보정 수단(145)에서 보간 라인 주위의 화소와의 조화를 취하면서, 보간 화소열에서 가상 보간 패턴의 화소에 덧씌우기함으로써 라인 보간이 실행된다.
또, 보간 라인 상의 보간 결정 구간 이외의 화소는 종래 기술의 보간 방법으로 보간을 행한다. 종래 기술의 보간 방법이란, 예를 들면, 상하 입력 라인의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보간 라인을 보충하는 방법이나 상 입력 라인의 영상 데이터로 보간 라인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도 10, 도 11에서의 B32, D26, F20, H14의 부분은 코어링부(110)에서의 패턴 편집이나, 보정 수단(145)에 의해 데이터가 설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12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보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에서, 참조 부호(146)는 일치 보간 방향 확인부로, 제1 실시예에서 필요로 하고 있던 보간 실행부(140)에서의 일치 화소열 검색부(141)가 일치 보간 방향 확인부(146)로 교체된다.
도 13은 영상 라인과 보간 라인 상에서의 각 화소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보간 시스템의 동작을 도 12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일치 보간 방향 확인부(146)는,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얻어지는 보간 결정 구간의 보간해야 할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조건 설정부(142)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일치 조건이나 검색 범위 등의 조건을 기초로, 보간 결정 구간과 동일 라인 상의 근접 보간 결정 구간을 추출하고, 보간 결정 구간의 에러 검출이나 보간 구간의 연장을 행한다. 그 결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한 보간 결정 구간(+)(41∼44; B27∼B31, D21∼D25, F15∼F19, H10∼H13)과 비교하여, 연장된 보간 결정 구간(+)(41'∼44'; B27∼B32, D21∼D26, F15∼F20, H10∼H14)으로서 나타낸다.
또, 이후의 본 실시예의 동작은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각 처리에서의 화소 간 연산 시의 화소 데이터로서 휘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원색 데이터나 색차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의 각 수단을 하드웨어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처리 플로우로 소프트 처리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진다.
상기한 각 실시예의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화소 단위에 의한 라인 보간에 대하여, 보간해야 할 구간에 인접하는 입력 영상 라인 사이로부터 추출된 일치 패턴을 연산함으로써 얻어지는 패턴으로 라인 보간을 행하기 때문에, 수평에 가까운 경사 엣지나 세선을 매끄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 영상 라인 간 연산이나 각종 코어링 처리를 행하여 가상 보간 패턴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행하여 보간 구간의 결정이나 보간 실행 시에 참조함으로써, 오판정을 방지하여 정확한 보간을 실행함과 함께, 종합적인 연산 처리의 효율화를 도모함으로써, 실시간의 보간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요지 1, 2, 29, 3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속도 처리를 대폭 삭감하고, 실시간의 보간 처리를 가능하게 함과 함께, 필드 화상에 있어서 라인 사이에 영상의 끊어짐이 있는 경우에도 인접 라인 상의 일치 화소열을 기초로 보간을 실행함으로써, 끊어짐이 없는 원활한 프레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요지 3, 3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세선 영상이나 영상 엣지부 등을 포함하는 각종 영상에 있어서 특히 그 단부의 상태를 단시간에 또한, 광범위하게 검색하여 판정할 수 있고, 정확한 보간 처리와, 화상 단부를 매끄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요지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추출된 일치 패턴의 분포 상태에서 해당 구간의 보간 실행의 필요 여부와 보간해야 할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세선 영상이나 영상 엣지부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하여 오인이 없는 보간이 가능해진다.
상기 요지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추출된 일치 패턴의 분포 상태로부터 해당 구간의 보간 실행의 필요 여부와 보간해야 할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유사 패턴이 많이 혼재하는 영상에 있어서도, 세선 영상이나 영상 엣지부의 상태나 위치를 정확하게 판정하여 오인이 없는 보간이 가능해진다.
상기 요지 6∼1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가상 보간 데이터는 화소열을 단위로 하는 데이터로 구성됨으로써, 화상 단부의 매끄러운 처리와, 연산 처리의 효율 향상이 가능해진다.
상기 요지 17∼2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코어링 처리를 행함으로써, 화상 표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눈에 띄지 않는 개소나 판단하기 어려운 개소 등을 삭제 또는 접속시키고, 화질을 유지하면서 보간 처리 속도를 대폭 개선할 수 있다.

Claims (32)

  1. 삭제
  2. 화상을 형성하는 각 라인 사이의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화상 라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가상 보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의 가상 보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상에 보간 원 화소를 생성하고, 상하 입력 화상 라인 상의 상기 생성된 보간 원 화소 간의 상호 연산에 의해, 상기 상하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화소를 보간하는 보간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3. 화상을 형성하는 각 라인 사이의 화상의 보간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화상 라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가상 보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의 가상 보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보간 구간 및/또는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보간 구간 결정 수단과,
    상기 생성된 가상 보간 데이터 및 상기 보간 구간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간 구간 결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상에 보간 원 화소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간 원 화소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를 보간하는 보간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 구간 결정 수단은,
    패턴 검색 범위를 설정하는 검색 조건 설정 수단과,
    일치 패턴 조건을 설정하는 일치 패턴 조건 설정 수단과,
    상기 검색 조건 설정 수단 및 상기 일치 패턴 조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조건에 기초하여 일치 패턴을 검색하는 제1 일치 패턴 검색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 구간 결정 수단은,
    패턴 검색 범위를 설정하는 검색 조건 설정 수단과,
    일치 패턴 조건을 설정하는 일치 패턴 조건 설정 수단과,
    상기 검색 조건 설정 수단 및 상기 일치 패턴 조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조건에 기초하여, 일치 패턴을 검색하는 제1 일치 패턴 검색 수단과,
    상기 검색된 일치 패턴의 벡터 방향을 추출하는 방향 벡터 추출 수단과,
    상기 검색 조건 설정 수단 및 상기 일치 패턴 조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된 벡터 방향에서의 일치 패턴을 검색하는 제2 일치 패턴 검색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보간 데이터는, 화소열을 단위로 하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보간 데이터는, 화소열을 단위로 하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보간 데이터는, 화소열을 단위로 하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보간 데이터는, 화소열을 단위로 하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16.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17. 삭제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동일 보간 라인 상에서 추출된 상기 패턴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코어링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동일 보간 라인 상에서 추출된 상기 패턴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코어링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과,
    동일 보간 라인 상에서 추출된 상기 패턴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코어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2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과,
    동일 보간 라인 상에서 추출된 상기 패턴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코어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수단과,
    동일 보간 라인 상에서 추출된 상기 패턴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코어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23. 삭제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패턴 내의 화소 단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하는 패턴 내 화소 연산 수단과,
    상기 평균값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패턴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패턴 내의 화소 단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하는 패턴 내 화소 연산 수단과,
    상기 평균값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패턴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패턴 내의 화소 단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하는 패턴 내 화소 연산 수단과,
    상기 평균값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패턴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패턴 내의 화소 단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하는 패턴 내 화소 연산 수단과,
    상기 평균값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패턴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패턴 내의 화소 단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하는 패턴 내 화소 연산 수단과,
    상기 평균값을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판정하여 편집하는 패턴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시스템.
  29. 삭제
  30. 화상을 형성하는 각 라인 사이의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어서,
    입력 화상 라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가상 보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를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의 가상 보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상에 보간 원 화소를 생성하고, 상하 입력 화상 라인 상의 상기 생성된 보간 원 화소 간의 상호 연산에 의해, 상기 상하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화소를 보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단계는,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단계와,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방법.
  31. 화상을 형성하는 각 라인 사이의 화상의 보간 방법에 있어서,
    입력 화상 라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가상 보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를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베이스의 가상 보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의 보간 구간 및/또는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가상 보간 데이터 및 상기 결정된 보간 구간 결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상에 보간 원 화소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간 원 화소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라인 사이에 화소를 보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보간 데이터 생성 단계는,
    입력 영상 라인의 인접 라인 간의 화소 차분을 연산하는 화소 간 연산 단계와,
    상기 연산된 화소 차분마다의 데이터를 복수 등급의 화소로 분류하는 정규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동일 등급의 연속되는 화소열을 패턴으로서 추출하는 패턴 추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보간 방법.
  32. 삭제
KR10-2002-7002743A 1999-08-31 2000-08-30 화상의 보간 시스템 및 화상의 보간 방법 KR100473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245263 1999-08-31
JP24526399A JP3614324B2 (ja) 1999-08-31 1999-08-31 画像の補間システムおよび画像の補間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229A KR20020028229A (ko) 2002-04-16
KR100473745B1 true KR100473745B1 (ko) 2005-03-10

Family

ID=1713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743A KR100473745B1 (ko) 1999-08-31 2000-08-30 화상의 보간 시스템 및 화상의 보간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80254B1 (ko)
EP (1) EP1213923B1 (ko)
JP (1) JP3614324B2 (ko)
KR (1) KR100473745B1 (ko)
CN (1) CN1157060C (ko)
AU (1) AU762673B2 (ko)
DE (1) DE60028584T2 (ko)
ES (1) ES2264669T3 (ko)
HU (1) HUP0202822A3 (ko)
WO (1) WO2001017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507B1 (ko) * 2000-04-21 2008-04-1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화상처리방법 및 화상처리장치
US7206027B2 (en) * 2001-11-01 2007-04-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patial resolution of video images
JP3951695B2 (ja) * 2001-12-11 2007-08-0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画像配信装置および方法、画像受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3915563B2 (ja) * 2002-03-19 2007-05-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7212689B2 (en) * 2002-11-06 2007-05-01 D. Darian Muresan Fast edge directed polynomial interpolation
US7432979B2 (en) * 2003-09-03 2008-10-07 Sony Corporation Interlaced to progressive scan image conversion
JP2006087030A (ja) * 2004-09-17 2006-03-30 Olympus Corp ノイズ低減装置
US20060072038A1 (en) * 2004-10-05 2006-04-06 Wyman Richard H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einterlaced moving thin diagonal lines
US7586649B2 (en) * 2004-12-27 2009-09-0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mpressing image data
WO2008115195A1 (en) * 2007-03-15 2008-09-25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aesthetic transitioning between scene graphs
JP4846644B2 (ja) * 2007-03-30 2011-12-28 株式会社東芝 映像信号補間装置および映像信号補間方法
TWI342714B (en) * 2007-05-16 2011-05-21 Himax Tech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rate up conversion
JP4973542B2 (ja) * 2008-02-26 2012-07-11 富士通株式会社 画素補間装置及び画素補間方法
CN101960843B (zh) * 2008-03-21 2012-12-26 日本电气株式会社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程序
TWI376643B (en) * 2008-03-24 2012-11-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detecting image edge and image interpolation using the same
JP2012501611A (ja) * 2008-09-01 2012-01-19 ミツビシ エレクトリック ビジュアル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画像改善システム
KR101590881B1 (ko) * 2008-12-24 2016-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31020A1 (en) * 2009-09-09 2011-06-02 Conocophillips Company Dip guided full waveform inversion
US8666180B2 (en) 2009-12-04 2014-03-04 Stc.Unm System and methods of compressed sensing as applied to computer graphics and computer imaging
JP5672872B2 (ja) * 2010-09-08 2015-02-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3192094A (ja) * 2012-03-14 2013-09-26 Toshiba Corp 映像拡大装置及び映像拡大方法
US9076230B1 (en) * 2013-05-09 2015-07-07 Altera Corporation Circuitry and techniques for image processing
JP2020034465A (ja) * 2018-08-31 2020-03-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1928B2 (ja) 1987-01-29 1998-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情報補間方法
JP2577416B2 (ja) * 1987-12-24 1997-01-29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非粘着性潤滑被膜
US6331862B1 (en) * 1988-07-06 2001-12-18 Lg Philips Lcd Co., Ltd. Image expansion display and driver
GB2231460B (en) * 1989-05-04 1993-06-30 Sony Corp Spatial interpolation of digital video signals
JPH02312381A (ja) * 1989-05-26 1990-12-27 Victor Co Of Japan Ltd 走査線補間方法
DE69028075T2 (de) * 1989-06-16 1997-03-13 Eastman Kodak Co Digitaler bildinterpolator
JPH03229583A (ja) * 1990-02-02 1991-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走査線補間回路
US5410356A (en) * 1991-04-19 1995-04-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anning-line interpolation apparatus
JPH04364685A (ja) 1991-06-12 1992-12-17 Toshiba Corp 走査線補間装置
JPH05153562A (ja) * 1991-12-02 1993-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相関検出補間方法および装置
JPH0824366B2 (ja) 1991-07-23 1996-03-06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画像の補間方法
KR950000440B1 (ko) * 1991-12-27 1995-01-19 주식회사 금성사 티브이 신호의 주사선 수 2배 증가방법 및 회로
US5253041A (en) 1992-05-26 1993-10-12 General Electric Company Digital television signal compression apparatus
EP0684585B1 (en) * 1994-04-22 2003-02-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5661525A (en) * 1995-03-27 1997-08-2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 interlaced video frame sequence into a progressively-scanned sequence
US5991463A (en) * 1995-11-08 1999-11-23 Genesis Microchip Inc. Source data interpolation method and apparatus
JP3747523B2 (ja) * 1996-07-02 2006-02-2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6380979B1 (en) * 1996-07-02 2002-04-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anning line converting circuit and interpolation coefficient generating circuit
US5936676A (en) * 1997-08-21 1999-08-10 Miranda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ine interpolating an interlaced video signal
MY119346A (en) * 1996-12-24 2005-05-31 Sony Corp Pictur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4536170B2 (ja) * 1996-12-27 2010-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
JP4022935B2 (ja) * 1997-01-21 2007-12-1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3212917B2 (ja) 1997-08-26 2001-09-25 エヌイーシー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走査線補間装置および走査線補間方法
US6295091B1 (en) * 1997-11-07 2001-09-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interlacing video fields for superior edge preservation
WO1999026413A1 (fr) * 1997-11-17 1999-05-27 Sony Corporation Dispositif de television, procede d'affichage du dispositif de television, dispositif de commande de l'ecran et procede de commande de l'ecran
KR100548664B1 (ko) * 1997-11-26 2006-02-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텔레비전 수상기
JP2000059735A (ja) * 1998-08-04 2000-02-25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US6496608B1 (en) * 1999-01-15 2002-12-17 Picsurf, Inc. Image data interpola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8584D1 (de) 2006-07-20
AU6864700A (en) 2001-03-26
HUP0202822A2 (hu) 2003-01-28
EP1213923B1 (en) 2006-06-07
CN1157060C (zh) 2004-07-07
US6980254B1 (en) 2005-12-27
EP1213923A1 (en) 2002-06-12
WO2001017243A1 (fr) 2001-03-08
DE60028584T2 (de) 2007-05-31
AU762673B2 (en) 2003-07-03
EP1213923A4 (en) 2003-04-09
JP2001069469A (ja) 2001-03-16
KR20020028229A (ko) 2002-04-16
JP3614324B2 (ja) 2005-01-26
ES2264669T3 (es) 2007-01-16
CN1343421A (zh) 2002-04-03
HUP0202822A3 (en)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745B1 (ko) 화상의 보간 시스템 및 화상의 보간 방법
US709543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6661470B1 (en) Moving pictur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53793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 contour of an image
CA1335794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mage magnification
US825376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JPH0750752A (ja) 画像密度変換方法及び装置
US20090262144A1 (en) Plant information dispaly device
JP412527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
EP2182484B1 (en) Enlarged image generating device
US2003003125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468786B1 (ko) 방향성을 예측하고 다항식 필터로 보간을 수행하여스케일링 해상도를 높이는 보간기, 이를 구비한 스케일링장치, 및 그 방법
US6728407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rackers along contour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050046266A (ko)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
JP4756436B2 (ja) パターン認識装置とそのパターン認識方法、及びパターン認識プログラム
KR20190080719A (ko) 화상 확대 장치
JP2005341337A (ja) 画素補間方向検出装置、画素補間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装置
JP2001094951A (ja) 走査線補間方法
US62981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ime-series data,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curve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0591491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US7991246B2 (en) Image deinterlacing
JP4371907B2 (ja) 画素特徴判定装置、画素補間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装置
JP2004236012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H06162180A (ja) 領域抽出方式
JP2006270997A (ja) 画像補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