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783B1 - 디칸터원심분리기 - Google Patents

디칸터원심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783B1
KR100472783B1 KR10-1998-0704555A KR19980704555A KR100472783B1 KR 100472783 B1 KR100472783 B1 KR 100472783B1 KR 19980704555 A KR19980704555 A KR 19980704555A KR 100472783 B1 KR100472783 B1 KR 100472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screw
conveyor
decanter centrifug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4430A (ko
Inventor
벤트 마드센
Original Assignee
알파 라발 세퍼레이션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라발 세퍼레이션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알파 라발 세퍼레이션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00064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41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with baffles, plates, vanes or discs attached to the conveying screw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디칸터 원심분리기는 바디(4)와 스크류(7)를 갖는 스크류 콘베이어를 구비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가벼운 상태의 것과 무거운 상태의 것으로 분리될 재료들은 바디의 인입구(6)를 통해 공급되며, 무거운 상태의 재료는 콘베이어의 일단에서 케이싱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무거운 상태의 재료를 위한 배출구와 인입구 사이에 스크류 콘베이어의 바디는 스크류(7)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선형의 면으로 형성된 반경방향의 리브 형태로 된 반경방향 리브와 같이 형성된 배플(8c)을 구비한다. 배플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배플과 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게 되고 능동적으로 작용하여 무거운 상태의 재료를 이송하며, 그 틈새 영역은 배플의 축방향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칸터 원심분리기
본 발명은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된 길다란 케이싱과 그 케이싱에 동일 축중심으로 배치된 스크류 콘베이어를 포함하여, 공급되는 재료를 가벼운 상태의 것과 무거운 상태의 것으로 분리하는 디칸터 원심분리기(decanter centrifuge)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 콘베이어는 스크류를 내장하는 바디와, 분리될 재료 공급을 위하여 스크류 콘베이어에 형성된 인입구들과, 상기 콘베이어의 일단부에 케이싱에서 무거운 상태의 재료를 배출하는 배출구들 및 배플(baffle)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 콘베이어는 무거운 상태의 재료를 배출구를 향해 이송시키도록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배플은 인입구들과 배출구들 사이에 형성배치되고 그 축방향 위치에서 반경방향 거리는 동일 축방향 위치에서의 스크류의 반경방향 거리보다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배플은 콘베이어 스크류의 배출구를 향한 한 날개쪽의 위치로부터 중간에 날개에 대한 간섭없이 배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이어지는 콘베이어 스크류의 날개들중 하나의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의 위치로 연장된다.
미국 특허공보 제 3,885,734호에는 이러한 유형의 디칸터 원심분리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디칸터 원심분리기는 콘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환형의 디스크 형태로 된 배플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플은 가벼운 상태의 재료가 무거운 상태의 재료 배출용 배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디칸터 원심분리기는 상기와 같은 장벽으로 액체 레벨이 배플 디스크의 무거운 상태의 재료측 레벨과 가벼운 상태의 재료측 레벨로 분리되게 조작될 수 있다.
원심분리 과정에서, 스크류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무거운 상태의 재료는 콘베이어 바디의 외측면과 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분리챔버로 부터 무거운 상태의 재료용 배출구들로 이송되며, 상기 배플 디스크는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이송에 이용되는 단면적의 감소로 야기시킨다. 이와같은 제약의 결과로 인하여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량과 밀도에 따라, 바람직하지 못한 량의 무거운 상태의 재료가 가벼운 상태의 재료측 배플 디스크 주변에 축적되어 콘베이어와 케이싱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을 유지하는데 더 큰 토크가 요구됨과 함께 디칸터 원심분리기의 마모 증가, 인입구측의 손상 및 분리상태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미국 특허 제 3,934,792호에는 전술한 바와같은 디칸터 원심분리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디칸터 원심분리기는 2개의 인접한 스크류 날개들과 콘베이어 바디의 외측면 및 케이싱의 내측면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지는 나선형의 챔버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납작하고 반경방향의 플레이트 형태의 배플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배플은 전술한 미국 특허 제 3,885,734호에서 알려진 배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며, 그것은 배플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전술한 종래 기술의 배플에서 보다 배출구로의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이송에 이용될 수 있는 단면적이 감소되게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디칸터 원심분리기의 문제점들을 제거하거나 감소된 디칸터 원심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선행기술의 환형 배플 디스크를 구비한 스크류 콘베이어와 케이싱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칸터 원심분리기의 확대 단면도로서 스크류 콘베이어의 원추형 부분에서 360˚ 로 연장된 배플을 구비한 스크류 콘베이어와 케이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배플이 상기 스크류 콘베이어의 원통형부분에 배치된, 도 2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4는 배플이 일부분은 원통형부분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분은 스크류 콘베이어의 원추형부분에 배치된, 도 2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5는 배플이 90˚ 이상 연장된, 도 2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6은 배플이 720˚ 이상 연장된, 도 4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7은 콘베이어가 90˚ 이상 연장된 배플을 각각 구비한 2개의 그루브들이 형성된 스크류를 포함하는, 도 2와 같은 단면도.
도 8은 스크류의 날개들이 콘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고 배플이 상기 축에 예각으로 형성된 콘베이어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원셈분리기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스크류의 날개들이 콘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되고 배플이 상기 축에 대하여 직각인, 도 8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0은 스크류의 날개들이 콘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에 예각으로 형성된, 도 8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1은 스크류의 날개들이 콘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에 둔각으로 형성된, 도 9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선 XⅡ-XⅡ을 따라 취한 콘베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하류측 스크류 날개가 선행기술의 배플과 만나는 영역을 나타내는, 콘베이어의 단면을 전개된 상태 재료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칸터 원심분리기의 도 13과 같은 개략도이다.
도 15는 상류측 스크류 날개가 선행기술의 배플과 만나는 영역을 나타내는, 콘베이어의 단면을 전개된 상태 재료로 도시한, 도 13과 같은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칸터 원심분리기의 도 13과 같은 개략도이다.
도 17은 스크류의 날개들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 배플을 보여주는 도 4와 같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배플이 스크류 콘베이어와 같은 형태로 된 나선형의 리브 형태로 된 디칸터 원심분리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배플이 콘베이어 스크류와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진 나선형 리브와 같은 형상으로 됨에 따라, 배플이 스크류와 같이 무거운 상태의 재료를 배출구측을 향해 이송하는데 능동적으로 기여하게 됨으로써 배플의 상류측에서의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축적이 감소되어 상술한 종래 디칸터 원심분리기에서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축적에 따른 문제점들이 제거되거나 완전히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플 구성 덕분에 배플 밑의 이송영역이 종래 기술의 배플 구성에서와 같은 틈새를 유지하면서도 종래에서 보다 더 증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배플을 콘베이어의 원주방향으로 360˚ 보다 더 크게 연장될 수 있으며 종래 배플구성에서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긴 축방향 연장거리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플구성은 또한 종래의 배플에서 존재하는 두가지 문제를 해소한다. 그 첫째 문제는 이하에서 소위 하류측이라 불리는 배출구들로 향한 쪽의 스크류의 날개가 배플과 만나는 영역에서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다량 축적이 이하에서 상류측으로 불리는 배출구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한 배플쪽에 발생되며, 그것은 무거운 상태의 재료와 케이싱의 외측벽 사이의 마찰력이 무거운 상태의 재료를 상기 표면들 사이에서 형성된 코너부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과도한 무거운 상태의 재료는 일방향, 즉 배플의 외주면 모서리 밑으로만 보낼 수 있지만, 그러나 상기 이송 영역은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많은 량에 비하여 제한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디칸터 원심분리기의 배플에서 이러한 문제는, 스크류 날개의 하류쪽이 배플과 만나는 곳에 무거운 상태의 재료가 축적될 수 있는 코너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완전히 제거된다 반대쪽에서는 무거운 상태의 재료는 배플에 의해서 그 자체의 나선형상 덕분에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는 않지만 무거운 상태의 재료는 상류쪽으로 배플 밑을 빠져나갈 수 있다.
공지된 종래의 배플의 둘째 문제는 스크류의 상류쪽 날개가 배플과 만나는 영역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거운 상태의 재료가 상류측 배플과 하류측 스크류 날개 사이의 코너부에 축적되기 때문에 배플의 상류쪽에서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부족이 초래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부족은 상기 영역에서 가벼운 상태의 재료가 배플의 외주면 밑으로 침투하게 함으로써 이미 분리되어 무거운 상태의 재료용의 배출구들을 향하여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무거운 상태의 재료와 혼합되게 한다. 이것은 종래 기술의 디칸터 원심분리기의 효율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칸터 원심분리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며, 그것은 상류쪽 스크류 날개가 배플과 만나는 영역에서 무거운 상태의 재료가 케이싱의 외측벽과 무거운 상태의 재료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배플의 모서리부분 밑으로 밀려져 상당한 량의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축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칸터 원심분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플은 점차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하는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배플의 피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배플의 이송 능력이 요구되는 바와같이 변할 수 있다. 둘째 실시예에서 배플은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것으로 될 수 있다. 이것은 콘베이어의 스크류가 일정한 피치를 가질 때 특히 적당하며 이로써 인접한 스크류 날개들과 배플 사이의 간격들이 너무 좁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칸터 원심분리기의 제 3의 실시예에서, 배플을 둘러싸는 면은 원추형으로 될 수 있다. 이것은 케이싱의 내측면과 배플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들어, 배플은 케이싱의 원추형 단부에 배치되고, 배플을 둘러싸는 표면은 케이싱의 원추형 단부의 정점 각도 보다 더 작은 정점 각도를 가지며, 배플과 케이싱 사이의 틈새는 무거운 상태의 재료용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한 배플 단부에서 가장 크고 배플의 반대 단부를 향해 선형으로 감소된다. 배플의 회전축으로 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배출구들을 향한 방향으로 감소되어 틈새가 감소된다. 이것은 무거운 상태의 재료 입자들이 가압되어 틈새가 가장 큰 배플의 외주면쪽 밑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한편, 보다 덜 가압된 무거운 상태의 재료는 다음 스크류 날개들의 상류측을 향해 배플에 의해 이송되어 배플의 외주면 모서리부분으로 가장 작은 반경 부분에서 가벼운 상태의 재료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네 번째 실시예에서, 배플은 스크류 날개들과의 각 연결부가 사실상 날개 표면에 직각으로 되어 있다. 배플과 스크류 날개와의 연결부를 상기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배플과 날개 사이에 청소하기 어려운 불순물과 슬러리 및 부스러기들이 포집되는 쐐기형상의 코너부 형성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는 또한 배플과 스크류 사이의 연결부가 용접으로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 번째 실시예에서, 스크류 콘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에 직각인 배플 단부의 끝단들중 적어도 하나에서 배플의 연결부분은, 그 반경방향 외측부가 케이싱에 대하여 스크류 콘베이어의 회전방향에서 보아 반경방향 가장 내측 부분의 상류측이 되도록 경사지게 된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같이 코너로 가압되는 무거운 상태 재료가 배플의 외주면 모서리 밑으로 보다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수개의 그루브(groove)들을 가진 콘베이어들은 각각의 그루브에 배플을 가질 수 있으며, 배플의 위치와 형상구조는 각각의 그루브에서 동일하게 될 수 있다. 그루브들 각각에서 가벼운 상태의 재료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날개들은 배플을 가져야 하며, 큰 원심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배플들은 각 그루브에서 같은 형태로 설계되고 배치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배플의 두께는 콘베이어 스크류의 리드에 0.05 내지 0.5배로 될 수 잇으며, 특히 0.1에서 0.2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15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는 배플의 두께는 스크류 날개들의 두께에 0.8에서 1.5배, 특히 1,0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플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무거운 상태 재료와 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배플의 상류측에서 무거운 상태 재료의 량이 증가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칸터 원심분리기는 작업조건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배플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디칸터 원심분리기는 일단부에 스크류(7)와 원추형부분(5)이 제공된 원통형 바디(4)를 갖는 스크류 콘베이어(3)을 구비하는 케이싱(2)을 포함한다. 상기 콘베이어(3)는 분리될 재료가 유입되는 인입구(6)들을 포함하고, 케이싱(2)은 분리된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14)들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벼운 상태의 재료(12)는 콘베이어의 케이싱에 근접하여 있게 되는 한편, 무거운 상태의 재료(13)는 케이싱의 내측면에 달라붙어 위치한다. 가벼운 상태 재료는 배출측 벽(10)을 너머로 배출된다. 무거운 상태 재료는 화살표 7로 표시된 바와같이 케이싱의 원추형 단부의 배출구(14)를 향해 이동된다. 도면에는 콘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에 직각으로 환형의 디스크(8)로 이루어진 선행기술의 배플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디칸터 원심분리기에는 콘베이어의 원추형 부분(5)에 본 발명에 따른 배플(8a)이 모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플(8a)은 360˚ 로 연장되어 있다. 점선(15a)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배플을 둘러싸는 면은, 배플의 외주면과 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가 배출구(14)로부터 먼 배플의 단부측이 그 반대쪽에서 보다 더 크도록 원추형부분(5)의 꼭지각도 보다 더 작은 꼭지각도를 갖는 원추형을 이룬다.
도 3은 콘베이어의 원통형부분에 배치된 배플(8a)을 도시하고 있다. 점선(15c)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배플을 둘러싸는 면은 콘베이어의 원추형부분을 향하여 개방된 원추형 표면으로 된다.
도 4의 배플은 콘베이어의 원통형부분과 원추형부분들 사이의 변이지역 너머로 연장되어 있다.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싱의 내측면과 배플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가 케이싱의 원통형 부분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한편, 배출구(14)들이 있는 단부를 향하여 케이싱의 원추형부분에서는 상기 틈새가 감소된다. 배플을 둘러싸는 면에서의 원추형 면과 원통형부분 사이의 변이지역은 스크류를 둘러싸는 면에서의 대응되는 변이지역과 동일 축방향 위치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도 5는 90˚ 로 연장된 배플(8d)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점선(15d)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배플을 둘러싸는 면은 케이싱의 원추형 단부의 꼭지각 보다 작은 꼭지각을 갖는 원추형을 이룬다.
도 6의 배플(8e)은 720˚ 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도면은 본 발명에 따라 어떠한 문제도 없이 배플들이 상당한 축방향 범위에 걸쳐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콘베이어는 스크류 날개(7a,7b)들로 형성되는 2개의 그루브(17a,17b)들을 포함한다. 상기 그루브들 각각은 배플(8f,8g)들을 갖는다. 각각의 배플들은 90˚ 로 연장되어 있다. 도면에서 점선(15f)은 배플을 둘러싸는 면이 케이싱의 원추형부분과 같은 꼭지각을 갖는 원추형임을 보여준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스크류 날개들과 배플은 콘베이어의 길이방향축에 직각으로 배치되었다. 그러나, 항상 이와같을 필요는 없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크류 날개(7h)들은 콘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한편, 배플(8h)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서, 배플(8i)은 콘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에 직각인 한편, 스크류 날개(7i)들은 예각을 형성한다. 스크류 날개(7j)들과 배플(8j)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평행하고 콘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에 예각을 이룬다. 끝으로, 도 11은 배플(8k)이 콘베이어의 길이방향 축에 직각으로 되는 한편, 스크류 날개(7k)들은 둔각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8 내지 도 10은 공지의 경사진 날개들을 구비하는 스크류와 함께, 나선상의 배플이 아무런 문제 없이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2에 도시된 배플(8a)은 일단부(16a)가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 날개의 표면에 직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배플의 타단부(16d)는 스크류의 상류측과 만나고 그 단부는 또한 대응하는 스크류 날개에 직각이지만, 무거운 상태 재료가 상기 배플의 타단부와 만날 때 도 15와 16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같은 장소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플과 스크류 사이를 통과하는 무거운 상태 재료가 배플의 외주면 모서리부분 밑으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경사져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플의 일단부만 경사져 있으나 양단부 모두가 경사지게 될 수 있다. 케이싱에 대하여 콘베이어의 회전방향이 도면에서 화살표(18)로 표시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배플과 스크류 날개의 위치를 보여주는 콘베이어의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스크류의 이동방향은 도면에서 화살표 s로 표시되어 있다. 무거운 상태 재료에 영향을 주는 마찰력의 방향은 화살표 f로 표시된다.
도 13의 해칭부분은 스크류의 날개(7m)의 하류측이 선행기술의 배플 디스크(8m)와 만나는 영역(20)을 나타내고 있다. 스크류의 날개는 화살표 s의 방향으로 무거운 상태의 재료를 가압하게 되는 한편, 마찰력은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무거운 상태의 재료를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무거운 상태의 재료가 영역(20)에서 축적된다.
도 14는 하류측 스크류 날개(7n)가 배플(8n)과 만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칸터 원심분리기에서의 영역(21)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영역(21)에서, 스크류의 날개(7n)에 의해 작용되는 힘과 마찰력 f의 결합된 힘에 의해 무거운 상태 재료가 배플(8n)의 하류측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배플이 나선형 표면으로 된 덕분에 무거운 상태의 재료가 쉽게 이동됨과 동시에 배플 밑을 유동하게 된다.
도 15는, 상류측 스크류 날개(7m)가 공지의 배플 디스크(8m)와 만나는 장소의 영역(22)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영역(22)에서는 무거운 상태 재료가 축적되려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것은 그곳의 무거운 상태 재료가 부분적으로는 마찰력 f의 방향으로 멀어지게 밀려지며, 부분적으로는 배플 디스크의 외주면 밑으로 방향 s로 쉽게 탈출할 수 잇는 한편, 도 13을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배플 디스크(8m)의 관련하여 스크류의 날개(7m)가 무거운 상태 재료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가벼운 상태의 재료가 배플 디스크의 외주면 밑으로 침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벼운 상태의 재료와 무거운 상태 재료가 배플 디스크의 무거운 상태의 재료가 모이는 쪽에서 함께 혼합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와 같은 혼합 현상은 본 발명에 따른 디칸터 원심분리기에서 대응되는, 상류측 스크류의 날개(7n)와 배플(8n)이 만나는 영역(23)에서는 발생되지 않게 되며, 상기 영역에서는 스크류의 이송력과 마찰력에 의한 작용으로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충분한 이송을 보장한다. 무거운 상태의 재료가 축적하려는 경향이 발생되면, 잉여의 무거운 상태의 재료는 배플의 외주면 밑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해소된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플(8n)은 스크류 날개(7) 리드의 0.15배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배플이 콘베이어 스크류와 같은 방향으로 돌아가는 나선형 표면 형상으로 됨에 따라, 배플이 스크류와 같이 무거운 상태의 재료를 배출구측을 향해 이송하는데 능동적으로 기여하게 됨으로써 상류측의 배플에서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축적이 감소되어 상술한 종래 디칸터 원심분리기에서 무거운 상태의 재료의 축적에 따른 문제점들이 제거되거나 완전히 감소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플 구성 덕분에 배플 밑의 이송영역이 종래 기술의 배플 구성에서와 같은 틈새를 유지하면서도 종래에서 보다 더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된 길다란 케이싱(2)과 그 케이싱에 동일 축중심으로 배치된 스크류 콘베이어(3)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 콘베이어(3)는 스크류(7)를 내장하는 바디(4)와, 분리될 재료 공급용 콘베이어의 바디에 형성된 인입구(6)들과, 상기 콘베이어의 일단부에 케이싱에서 무거운 상태의 재료를 배출하는 배출구(14)들 및 배플(baffle:8)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 콘베이어는 무거운 상태의 재료를 배출구를 향해 이송시키도록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배플(8)은 인입구들과 배출구들 사이에 형성 및 배치되고 그 축방향 위치에서 반경방향 거리는 동일 축방향 위치에서의 스크류의 반경방향 거리보다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배플은 배출구(14)를 향한 콘베이어(3) 스크류(7)의 날개쪽의 위치로 부터 중간에 날개에 대한 간섭없이 배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콘베이어 스크류의 날개들중 하나의, 배출구로 부터 멀어지게 향한 쪽의 위치로 연장되며, 상기 배플은 스크류 콘베이어의 회전중 상기 배플을 둘러싸는 면을 그리는 원주를 지니는 디칸터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배플(8a)은 스크류 콘베이어(3)와 같은 형태를 갖는 나선형의 리브(8a)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되는 재료를 가벼운 상태의 재료와 무거운 상태의 재료들로 분리하는 디칸터 원심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8a)은 점차 증감하는 피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칸터 원심분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8a)은 일정한 피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칸터 원심분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8a)을 둘러싸는 면(15)은 원추형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칸터 원심분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7)의 날개들과 연결된 연결부들 각각에서 배플(8a)은 날개의 표면에 사실상 직각인 단부(1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칸터 원심분리기.
  6. 제 4항에 있어서, 스크류 콘베이어(3)의 길이방향 축에 직각인 배플 단부의 끝단들중 적어도 하나에서 배플의 연결부분(16a)은, 그 반경방향 외측부가 케이싱(2)에 대하여 스크류 콘베이어의 회전방향(18)에서 보아 반경방향 가장 내측 부분의 상류가 되도록 경사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칸터 원심분리기.
  7. 제 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그루브(17a,17b)를 구비한 스크류 콘베이어(5)는 각 그루브에 배플(8f,8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칸터 원심분리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8f,8g)의 구조 및 위치는 각 그루브(17a,17b)에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칸터 원심분리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두께는 콘베이어 스크류 리드(lead)의 0.05배 내지 0.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칸터 원심분리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두께는 스크류 콘베이어 날개 두께의 0.8배 내지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칸터 원심분리기.
KR10-1998-0704555A 1995-12-18 1996-12-18 디칸터원심분리기 KR100472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43295A DK143295A (da) 1995-12-18 1995-12-18 Dekantercentrifuge
DK1432/95 1995-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430A KR20000064430A (ko) 2000-11-06
KR100472783B1 true KR100472783B1 (ko) 2005-05-24

Family

ID=810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555A KR100472783B1 (ko) 1995-12-18 1996-12-18 디칸터원심분리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024686A (ko)
EP (1) EP0868216B1 (ko)
JP (1) JP4267069B2 (ko)
KR (1) KR100472783B1 (ko)
CN (1) CN1082839C (ko)
AT (1) ATE187101T1 (ko)
AU (1) AU708860B2 (ko)
BR (1) BR9612052A (ko)
DE (1) DE69605448T2 (ko)
DK (1) DK143295A (ko)
EE (1) EE03339B1 (ko)
ES (1) ES2142103T3 (ko)
GR (1) GR3032750T3 (ko)
NO (1) NO311559B1 (ko)
NZ (1) NZ324672A (ko)
PL (1) PL181374B1 (ko)
PT (1) PT868216E (ko)
RU (1) RU2181075C2 (ko)
WO (1) WO1997022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2524B1 (en) * 2000-07-14 2003-06-03 Alfa Laval Inc. Decanter centrifuge having a heavy phase solids baffle
DK200200598A (da) * 2002-04-22 2003-10-23 Alfa Laval Copenhagen As Dekantercentrifuge
US20040138040A1 (en) * 2003-01-15 2004-07-15 Hensley Gary L. Decanter centrifuge control
SE525413C2 (sv) * 2003-06-18 2005-02-15 Alfa Laval Corp Ab En skruvtransportör för en dekantercentrifug
US20050054506A1 (en) * 2003-07-30 2005-03-10 Bradley Bruce J. Microbial concentration system
ATE524238T1 (de) * 2005-06-23 2011-09-15 Westrup As Dekanterzentrifuge
DE102005061461A1 (de) * 2005-12-22 2007-07-05 Westfalia Separator Ag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DE102007003928A1 (de) * 2007-01-26 2008-08-07 Westfalia Separator Gmbh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einer Stauscheibe
DE102009001054A1 (de) * 2009-02-20 2010-09-02 Hiller Gmbh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Grobstoff-Auslass
CN102716816A (zh) * 2012-06-20 2012-10-10 江苏博威铸业集团有限公司 一种螺旋卸料沉降离心机
DK177710B1 (en) * 2012-09-14 2014-03-31 Alfa Laval Corp Ab Auger conveyor for a centrifugal separator, in particular a decanter centrifuge, and a centrifugal separator
KR101389059B1 (ko) * 2013-05-06 2014-04-29 주식회사성우 원심분리장치
NL2013549B1 (en) * 2014-09-30 2016-10-03 Marel Townsend Further Proc Bv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using a liquid, assembly and method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using a liquid.
EP3106230B8 (en) * 2015-06-19 2020-04-15 Andritz S.A.S. Decanter centrifuge
RU2649448C1 (ru) * 2017-01-17 2018-04-03 Георгий Петрович Трошин Центрифуга осадительная
RU2656330C1 (ru) * 2017-07-05 2018-06-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КНИТУ") Осадительная центрифуга
KR102188288B1 (ko) * 2020-06-11 2020-12-09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고액분리판으로 탈수효율을 증가시킨 디칸터형 원심탈수기
US11772104B2 (en) * 2020-06-22 2023-10-03 National Oilwell Varco, L.P. Decanter centrifuge nozzle
RU208975U1 (ru) * 2021-04-30 2022-01-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рат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Гагарина Ю.А." (СГТУ имени Гагарина Ю.А.) Шнек центрифуги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суспензий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11110B (da) * 1964-04-28 1968-06-04 Thrige Titan As Centrifuge til separering af væskeblandinger.
US3289926A (en) * 1964-10-14 1966-12-06 Flottweg Motorenwerk Dr Georg Screw conveyor for a bowl centrifuge
SE329128B (ko) * 1966-06-07 1970-09-28 Titan Separator As
US3795361A (en) * 1972-09-06 1974-03-05 Pennwalt Corp Centrifuge apparatus
AR205952A1 (es) * 1975-01-03 1976-06-15 Pennwalt Corp Una centrifuga decantadora
JPS5610353A (en) * 1979-07-05 1981-02-02 Suguru Katsume Completely-enclosed type screw-carrying centrifugal separator
US4245777A (en) * 1979-08-30 1981-01-20 Pennwalt Corporation Centrifuge apparatus
DE3027020A1 (de) * 1980-07-17 1982-02-04 Klöckner-Humboldt-Deutz AG, 5000 Köln Vollmantelzentrifuge zum stoffaustausch zwischen fluessigkeiten
US4731182A (en) * 1985-11-18 1988-03-15 Decanter Pty. Limited Decanter centrifuge
US5653673A (en) * 1994-06-27 1997-08-05 Amoco Corporation Wash conduit configuration in a centrifuge apparatus and uses thereof
US5509882A (en) * 1994-09-12 1996-04-2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Decanter centrifuge having an offset conveyor flight to aid rinsing
US5643169A (en) * 1995-06-06 1997-07-01 Baker Hughes Incorporated Decanter centrifuge with adjustable gat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839C (zh) 2002-04-17
DE69605448T2 (de) 2000-09-07
NO982797D0 (no) 1998-06-17
DE69605448D1 (de) 2000-01-05
EP0868216B1 (en) 1999-12-01
ATE187101T1 (de) 1999-12-15
ES2142103T3 (es) 2000-04-01
GR3032750T3 (en) 2000-06-30
RU2181075C2 (ru) 2002-04-10
PL181374B1 (pl) 2001-07-31
DK143295A (da) 1997-06-19
AU708860B2 (en) 1999-08-12
PL327605A1 (en) 1998-12-21
NO982797L (no) 1998-06-17
PT868216E (pt) 2000-05-31
KR20000064430A (ko) 2000-11-06
WO1997022411A1 (en) 1997-06-26
JP2000501987A (ja) 2000-02-22
US6024686A (en) 2000-02-15
AU1189897A (en) 1997-07-14
EE03339B1 (et) 2001-02-15
BR9612052A (pt) 1999-02-23
EP0868216A1 (en) 1998-10-07
CN1205656A (zh) 1999-01-20
NZ324672A (en) 1999-11-29
NO311559B1 (no) 2001-12-10
JP4267069B2 (ja)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783B1 (ko) 디칸터원심분리기
FI101247B (fi) Fluidisoiva keskipakopumppu
US4449967A (en) Conveyor flight configuration
US4190194A (en) Solids liquid separating centrifuge with solids classification
US6290636B1 (en) Helix centrifuge with removable heavy phase discharge nozzles
US5584791A (en) Decanting centrifuges with improved compression
US7083565B2 (en) Solid-bowl centrifuge having a disk stack on the drum cover
US4770604A (en) Pulp centrifugal pump
AU2003226930B2 (en) A decanter centrifuge
RU98113930A (ru) Декантирующая центрифуга
US9321058B2 (en) Centrifugal liquid separation machine to efficiently flow multi-phase solids from a heavy phase discharge stream with a solids plow
FI71790C (fi) Virvelrenare.
EP0068869A2 (en) A centrifuge with a skimmer disc for discharging a liquid phase
US3245613A (en) Centrifuge outlet
US5310399A (en) Sedimentation centrifuge containing screw conveyor with fins
US4602746A (en) Cone crusher labyrinth seal
US4983289A (en) Screen bowl centrifuge
ES2091590T3 (es) Dispositivo para la separacion de fluidos multicomponentes.
CA2240167C (en) A decanter centrifuge
US532391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heavy impurities from fiber suspensions in connection with pumping
KR20030032028A (ko) 물질을 두가지 상태로 분리하는 장치
US3013663A (en) Spiral track centrifugal separator
JPS6135862A (ja) 空気式搬出装置
JP2005334715A (ja) コニカル部の内周面にグルーブを有するデカンタ型の遠心分離機
CA1042719A (en) Centrifugal pump for viscous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