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696B1 -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 - Google Patents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696B1
KR100472696B1 KR10-2002-0018692A KR20020018692A KR100472696B1 KR 100472696 B1 KR100472696 B1 KR 100472696B1 KR 20020018692 A KR20020018692 A KR 20020018692A KR 100472696 B1 KR100472696 B1 KR 100472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opening
partition me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895A (ko
Inventor
정미경
Original Assignee
정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경 filed Critical 정미경
Priority to KR10-2002-001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6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밀폐된 하우징(H) 내부에 공기가 출입되도록 하우징밀폐부재(16)에 출입관통구 (30a)(30b)와 개폐막(32a)(32b)이 형성되고,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분할부재(20)의 회동시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압에 의해 급속낙하가 방지되도록 도어의 경첩부위에 설치되는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통구(30a)(30b)의 외측면에는 분할부재(20)의 회동에 따른 공기 출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소음기(40)가 설치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공기 또는 점성유의 매질이 채워져 완전 밀폐된 하우징(H)과, 하우징 내부를 양측으로 분할하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분할부재(20′)와, 상기 분할부재(20′)에 소정 크기로 관통되어 복수개 형성되는 출입관통구(30a)(30b)와, 상기 분할부재(20′)의 좌·우 회전시 분할부재에 의해 양분된 작동공간부의 좌·우 압력차에 따라 매질이 상호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관통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개폐막(32a)과, 상기 분할부재의 회동시 어느 일측 작동공간부로 매질이 출입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매질이동조절수단(50)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Preventive device of speedy falling the door}
본 발명은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 개폐구조로 이루어진 도어가 구비된 제품에 있어서, 상방으로 개방된 도어가 급하게 닫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각종 안전사고 방지와 제품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의 힌지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채워진 유체 또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도어의 닫힘속도가 제어되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전제품은 물론이거니와 상·하로 동작되도록 도어가 구비된 각종 기기 및 시설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례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김치냉장고에는 상·하 개폐구조의 도어가 구비되어 그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지나, 이러한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경우 상방향 개방시에는 특별한 문제점이 없으나, 하방향 폐쇄시에는 도어가 자연낙하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도어가 닫히는 마지막 순간에 “꽝”하는 소음과 충격이 발생되며, 이러한 충격으로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각종 전자부품이 내장된 본체의 충격으로 기능부위의 오작동 및 고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흔히 있었으며, 특히 도어가 중량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도어의 닫히는 부위에 신체의 일부가 끼이게 되면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위험성이 잔존하였었다.
이러한 종래 각종 제품에 사용되는 상·하 개폐 도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가전제품의 도어 급낙하 방지장치」를 실용신안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제222677호로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은 개폐되는 도어의 속도가 등속도로만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개방시나 폐쇄시에 신속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하여 신속함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고, 도어의 개폐속도 조절에 이용되는 매질이 공기로 한정되어 다양한 매질의 이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가 구비된 종래 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와 중량 및 용도 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제품에 사용 가능한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는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 하우징 내부공간에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밀폐부재에 출입관통구와 개폐막이 형성되고, 밀폐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분할부재의 회동시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압에 따라 급속낙하가 방지되도록 도어의 경첩부위에 설치되는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통구의 외측면에는 분할부재의 회동에 따른 공기 출입시 발생되는 공기 입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소음기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 있어서, 상기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는 그 내부에 공기 또는 점성유가 채워진 상태에서 외부와 출입이 차단되도록 완전 밀폐된 하우징과, 밀폐된 하우징 내부를 양측 작동공간부로 분할하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분할부재와, 상기 분할부재에 소정 크기로 관통되어 복수개 형성되는 출입관통구와, 상기 분할부재의 좌·우 회전시 분할부재에 의해 양분된 작동공간부의 좌·우 기압 또는 유압차에 따라 공기 또는 유체가 상호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관통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개폐막과, 상기 분할부재의 회동시 분할부재의 회동방향에 따라 어느 일측 작동공간부로 공기 또는 유체의 매질(媒質)이 출입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매질출입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에서 도어의 상·하 동작시 하우징의 작동공간부내에서 도어와 함께 회동하는 분할부재의 속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분할부재의 선단부와 하우징커버의 내주연 사이가 이격되는 가속확장부가 하우징의 어느 일정 구간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의 일실시예(개방계)에 대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실시예(개방계)의 내부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10)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작용을 하는 매질(媒質)로 공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반구형 또는 부채꼴 모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우징커버(15)와 하우징밀폐부재(16)로 구성되는 하우징(H)과, 하우징(H)의 내부에서 저면의 하우징밀폐부재(16)의 중심부에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고정설치되고, 타단 선단부는 하우징커버(15)의 내주연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밀폐된 하우징 내부 공간을 제1, 제2 동작공간부(V1, V2)가 구성되도록 양분하는 분할부재(20)와, 상기 분할부재(20)가 고정 설치된 밀폐부재(16)에 소정 크기로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출입관통구(30a)(30b)와, 상기 출입관통구(30a)(30b)의 일측에 출입관통구(30a)(30b)와는 별도로 하우징(H)의 내부로 출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매질이동조절수단(5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출입관통구(30a)(30b)의 외측면에는 미세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음기(40)가 부착되며, 상기 분할부재(20)의 고정단(21) 양측으로는 제품의 도어나 힌지 등에 결합되어 도어와 분할부재(20)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단(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설치단면도와 같이, 하우징(H)의 내측에서 회동되는 분할부재(20)에 의해 하우징(H)의 내·외측 공기가 상호 출입되는 개방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개방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하우징밀폐부재(16)에 복수개 형성된 출입관통구(30a)(30b)에는 분할부재(20)의 좌·우 회전, 즉 도어의 개폐동작시에 분할부재(20)에 의해 제 1, 제 2 동작공간부(V1)(V2)의 확장과 축소에 따라 하우징(H) 내·외부간에 발생되는 공기압 차이에 의해 하우징 내·외부 사이의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관통구(30)의 일측에 개폐가능한 개폐막(32a)(32b)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출입관통구(30a)(30b)의 일측에 구비된 매질이동조절수단(50)은 출입관통구(30a) (30b)와는 별도로 분할부재(20)의 회동시 하우징(H)의 내·외부로 미세하게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는 매질이동공(52)과, 이 매질이동공(52)으로 출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54)로 구성된다.
상기 출입관통구(30a)(30b)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하우징(H)내·외부의 공기출입을 통제하는 개폐막(32a)(32b)은 통상 도어가 개방되어질 때 분할부재(20)가 회전되어 그 내측 공간부가 점차 확대되는 제 1동작공간부(V1)측에 구비된 개폐막(32a)은 출입관통구(30a)의 내측에 결합되고, 도어가 개방되어질 때 분할부재(20)가 회전되어 그 내측 공간부가 점차 축소되는 제 2동작공간부(V2)측에 구비된 개폐막(32b)은 출입관통구(30b)의 외측에 부착되어 제 1동작공간부(V1)측의 개폐막(32a)과 제 2동작공간부(V2)측의 개폐막(32b)은 상호 대칭구조로 이루어져 원활한 공기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우징(H)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분할부재(20)의 동작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 변형실시예의 특징은 도어의 하강시 항상 일정속도로 움직이는 구조를 갖는 종래의 급속낙하 방지구(10)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할부재(20)의 자유단이 슬라이딩 접촉되어 회동되는 제 1동작공간부(V1) 내의 하우징커버(15) 내벽에 다른 부위의 내벽보다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분할부재(20)의 회전시 분할부재(20)의 자유단이 상부커버(15)의 내벽 일정구간에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가속확장부(s)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상승으로 분할부재(2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2동작공간부(V2)의 영역이 축소되면서 압축되는 공기가 다른 곳으로 미쳐 빠져나가지 못하는 순간에 분할부재(20)의 선단부와 하우징커버(15)의 내벽 사이에 틈새가 제공되면서 제 2동작공간부(V2)의 압축 공기가 틈새인 가속확장부(s)를 통해 제 1동작공간부(V1)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분할부재(20)의 이동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가속확장부(s)를 통과한 분할부재(20)는 다시 그 선단부가 하우징의 내벽과 접촉되면서 그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축력으로 인해 정상속도로 복귀하여 천천히 이동되는 구조를 갖게 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닫힘시 분할부재(20)의 하강은 상승때와 반대로 하우징(H) 내·외측의 공기 이동이 가속확장부(s)의 영역에서 빨리 이루어져 도어의 개폐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가속확장부(s)는 제품의 특징이나 용도에 따라 각각 다른 영역에 설치하여 도어의 낙하 가속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징적인 구조는 하우징(H)에 출입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밀폐계(密閉係)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우징(H) 내부에는 공기 또는 점성 있는 유체가 충진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내·외부가 차단된 밀폐계를 구성하고 있는 하우징(H) 내부에 분할부재(2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분할부재(20′)에 의해 제 1 동작공간부(V1)와 제 2동작공간부(V2)가 양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상기 분할부재(20′)에 소정 크기의 출입관통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출입관통구의 일측에는 제 1, 제 2동작공간부(V1)(V2) 내측에 충진된 공기 또는 유체의 출입이 미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매질이동공(52)이 형성되고, 이 매질이동공(52)에는 조절나사(54)가 결합되어 매질 이동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할부재(20′)가 고정단(21)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시 분할부재(20′)에 의해 양분된 좌·우 제 1, 제 2동작공간부(V1)(V2)의 확장과 축소에 따라 발생된 공기압 또는 유압차이에 의해 개폐되어 제 1, 제 2동작공간부(V1)(V2)의공기 또는 유체가 상호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관통구(30)의 일측에 개폐막(32a)(32b)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H)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분할부재(20′)의 상승과 하강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 변형실시예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항상 정속도로 회동되는 분할부재(20′)의 회전속도를 하우징(H)의 내주연에 형성된 가속확장부(s)의 회전영역에 따라 도어의 하강 속도를 가변시켜 사용자의 도어개폐시 그 이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가속확장부(s)는 하우징(H)의 외형이 변화되지 않도록 하우징커버(15)(15′)의 두께 조절에 의해 분할부재(20)(20′)의 선단부와 하우징커버(15)(15′)의 내주연이 이격 형성되어 작동공간부의 공기 또는 점성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만이 설명하고 있으나, 하우징커버(15)(15′)의 일정구간이 변형(돌출)되어 하우징커버(15)(15′)의 내주연과 분할부재(20)(20′)의 선단부 사이가 이격 형성되는 구조로 하우징커버(15)(15′)의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의 작용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의 사용상태도를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는 상·하 개폐구조로 이루어진 도어가 구비된 통상의 가전제품, 특히 세탁기나 김치냉장고, 아이스박스 등에 그 이용이 가능하며, 하우징(H)의 고정축(21)에 연장된 양측 회전단(22)이 힌지 결합되는 도어(70)의 일단 또는 힌지(80)에 결합되어 도어(70)의 상·하 개폐시에 하우징(H)의 내부에 결합된 분할부재도 동시에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하우징(H)의 몸체를 도어 또는 제품의 내측에 함몰되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어(70)측에 분할부재(20)의 고정단(21)이 연결된 회전단(22)이 결합되고, 도어(70)를 고정 지지하는 힌지(8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품의 몸체(100) 측에 하우징(H)의 밀폐부재(16)를 결합 고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 이때 출입관통구(30a)(30b)의 개폐에 따른 공기출입이 용이하도록 제품의 몸체(100)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6)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가 설치된 제품은 사용자가 제품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회전단(22)에 의해 도어(70)와 결합된 하우징(H) 내측의 분할부재(20)가 회전단(22)의 회전력에 의해 도어(70)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며, 분할부재(20)의 회전으로 제 2동작공간부(V2)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압축되면서 출입관통구(30b)의 외측에 결합된 개폐막(32b)이 압축된 공기압의 의해 외측으로 밀리면서 출입관통구(30b)의 표면과 개폐막(32b) 사이가 일정거리 이격됨으로써 제 2동작공간부(V2)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반면에 분할부재(20)의 회전으로 내측 공간부가 확장된 제 1작동공간부(V1)의 영역에서는 부압이 걸리면서 출입관통구(30a)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던 개폐막(32a)이 제 1작동공간부(V1) 내측으로 양단이 젖혀짐으로써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H) 내부로 유입되면서 분할부재(20)의 회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지면서 도어(70)가 개방된다(도 3a참조).
또한, 개방된 도어(70)를 닫게 되면, 도어(70)의 개방시 압축되었던 제 2동작공간부(V2)가 팽창되면서 부압이 발생되지만, 도어(70) 개방시 열렸던 개폐막(32b)이 출입관통구(30b)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열리지 않고, 단지 출입관통구(30b)의 일측에 구비된 매질이동조절수단(50)인 매질이동공(52)으로 미세한 공기가 유입되며, 도어 개방시 팽창되었던 제 1작동공간부(V1)는 압축되어 출입관통구(30a)의 내측면에 결합된 개폐막(32a)은 출입관통구(30a) 내측면에 더욱 밀착되어 출입관통구(30a)로 공기의 출입이 일어나지 않게 되지만, 출입관통구(30a)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조절수단인 매질이동공(52)으로 미세하게 공기가 방출되면서 분할부재(2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조립시에 간격조절나사를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미리 셋팅함), 이로 인해 도어의 닫힘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된다(도 3b참조).
따라서, 종래와 같이 도어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사용자가 도어를 지탱하여야 하는 불편이 없고, 도어를 자연낙하시키더라도 도어가 닫혀지면서 충격이 발생되지 않아 도어의 연결부위나 제품의 본체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오작동이나 고장발생 및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나 다른실시예의 변형예와 같이, 하우징(H)의 내주연 일정 영역에 걸쳐서 가속확장부(s)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정속도로 개폐되는 도어가 가속확장부(s)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빠른 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도어의 개폐시간을 최대한 줄여 사용자의 불편이 없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닫히는 순간에는 천천히 닫힐 수 있도록 하우징 내주연 말단부위에는 가속확장부(s)가 형성되지 않아 도어가 닫히는 마지막 순간에 천천히 닫히도록 하여 소음과 충격으로 인한 각종 불편함을 없앨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공기가 출입되는 출입관통구 외측에 소음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의 흡기 또는 배기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10′)가 좌변기(90)의 뚜껑(92)에 적용된 사용상태를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체적인 설치구조나 방법 및 동작상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하우징이 밀폐계로 이루어져 하우징의 밀폐부재를 제품의 몸체에 고정설치한 후에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뚜껑(92)에 분할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단을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는 특히 개폐되는 도어의 자중이 무거운 경우, 도어의 낙하되는 위치에 신체의 일부가 놓여져 있는 경우 낙하되는 도어의 무게에 신체의 일부가 끼거나 눌려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낙하시 충격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하자발생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다양한 제품에 그 적용이 가능하여 그 이용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실제 제품에 적용시 제품의 품질 향상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제품의 잦은 고장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며, 특히 그 사용이 빈번한 상하 개폐구조로 이루어진 무거운 도어의 낙하시 신체의 일부가 끼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의 일실시예(개방계)에 대한 저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예(개방계)의 내부사시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측 단면도로서,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분할부재의 상승 및 하강동작 상태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분할부재의 상승 및 하강동작 상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의 내부사시도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분할부재의 상승 및 하강동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서 하우징의 변형실시예가 적용된 경우 분할부재의 상승 및 하강동작 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10′: 급속낙하방지구 15, 15′: 하우징커버
16, 16′: 하우징밀폐부재 20, 20′: 분할부재
22 : 회전단 30a, 30b : 출입관통구
32a, 32b : 개폐막 40 : 소음기
50 : 매질이동조절수단 52 : 매질이동공
54 : 조절나사 H : 하우징
s : 가속확장부 V1 : 제 1동작공간부
V2 : 제 2동작공간부

Claims (5)

  1.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 하우징 내부공간에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밀폐부재에 출입관통구와 개폐막이 형성되고, 밀폐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분할부재의 회동시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압에 따라 급속낙하가 방지되도록 도어의 경첩부위에 설치되는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통구의 외측면에는 분할부재의 회동에 따른 공기 출입시 발생되는 공기 입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소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
  2.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급속낙하방지구는 그 내부에 공기 또는 점성유가 채워진 상태에서 외부와 출입이 차단되도록 완전 밀폐된 하우징과, 밀폐된 하우징 내부를 양측 작동공간부로 분할하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분할부재와, 상기 분할부재에 소정 크기로 관통되어 복수개 형성되는 출입관통구와, 상기 분할부재의 좌·우 회전시 분할부재에 의해 양분된 작동공간부의 좌·우 기압 또는 유압차에 따라 공기 또는 유체가 상호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관통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개폐막과, 상기 분할부재의 회동시 분할부재의 회동방향에 따라 어느 일측 작동공간부로 공기 또는 유체의 매질(媒質)이 출입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매질이동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하 동작시 하우징의 작동공간부내에서 도어와 함께 회동하는 분할부재의 속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분할부재의 선단부와 하우징커버의 내주연 사이가 이격되는 가속확장부가 하우징의 어느 일정 구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 낙하방지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확장부는 하우징의 외형이 변화되지 않도록 하우징커버의 두께 조절에 의해 분할부재의 선단부와 하우징커버의 내주연이 이격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 낙하방지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확장부는 하우징커버의 일정구간이 변형되어 하우징커버의 내주연과 분할부재의 선단부 사이가 이격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 낙하방지구.
KR10-2002-0018692A 2002-04-04 2002-04-04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 KR10047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692A KR100472696B1 (ko) 2002-04-04 2002-04-04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692A KR100472696B1 (ko) 2002-04-04 2002-04-04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383U Division KR200283975Y1 (ko) 2002-04-16 2002-04-16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895A KR20020029895A (ko) 2002-04-20
KR100472696B1 true KR100472696B1 (ko) 2005-03-08

Family

ID=1972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692A KR100472696B1 (ko) 2002-04-04 2002-04-04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6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6084A (ja) * 1990-03-31 1991-12-17 Oi Seisakusho Co Ltd ドアチェッカ
WO1995008941A1 (en) * 1993-09-27 1995-04-06 Ken Wiklund Automatic closure mechanism for a toilet seat
JP2000046087A (ja) * 1998-07-28 2000-02-15 Fuji Seiki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
JP2000249182A (ja) * 1999-02-26 2000-09-12 Taiyo Parts Kk ロータリダンパ
KR200222677Y1 (ko) * 2000-11-24 2001-05-15 정미경 가전 제품의 도어 급낙하 방지장치
KR200272856Y1 (ko) * 2001-12-22 2002-04-20 이노트리(주) 도어 힌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6084A (ja) * 1990-03-31 1991-12-17 Oi Seisakusho Co Ltd ドアチェッカ
WO1995008941A1 (en) * 1993-09-27 1995-04-06 Ken Wiklund Automatic closure mechanism for a toilet seat
JP2000046087A (ja) * 1998-07-28 2000-02-15 Fuji Seiki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
JP2000249182A (ja) * 1999-02-26 2000-09-12 Taiyo Parts Kk ロータリダンパ
KR200222677Y1 (ko) * 2000-11-24 2001-05-15 정미경 가전 제품의 도어 급낙하 방지장치
KR200272856Y1 (ko) * 2001-12-22 2002-04-20 이노트리(주) 도어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895A (ko) 200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8014104A (es) Estructura articulada para el auto-cierre de puertas o similares, particularmente puertas de vidrio o similares, y ensamble que incorpora dicha estructura.
JP4016148B2 (ja) 閉鎖緩衝装置
KR100472696B1 (ko)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
KR200283975Y1 (ko) 상·하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의 급속낙하 방지구
KR20080077714A (ko) 제동기능이 구비된 힌지장치
KR200219473Y1 (ko) 유압식 완충경첩
KR19990080576A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토출 밸브
KR100279642B1 (ko) 플로어힌지용 도어클로저
KR20090072629A (ko) 회전식 오일 댐퍼
KR20050080793A (ko) 자동닫힘 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KR100449590B1 (ko)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회전력 제어구조
KR101034804B1 (ko) 속도제어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200222677Y1 (ko) 가전 제품의 도어 급낙하 방지장치
KR101169609B1 (ko) 속도제어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200267283Y1 (ko) 쇽 업소버가 구비된 힌지장치
JP3090408U (ja) 自動閉扉式スライド蝶番
KR0129645Y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차폐장치
KR100534135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JPH03129078A (ja) ダンパ付きドアヒンジ
KR101314161B1 (ko) 도어용 힌지 장치
KR970005507Y1 (ko) 댐퍼 부착힌지
KR100641120B1 (ko)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34127B1 (ko) 김치냉장고
KR200150524Y1 (ko) 가변릴리프댐퍼
KR200349084Y1 (ko) 김치저장고의 상부 개방형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