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144B1 -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144B1
KR100472144B1 KR10-2002-0034304A KR20020034304A KR100472144B1 KR 100472144 B1 KR100472144 B1 KR 100472144B1 KR 20020034304 A KR20020034304 A KR 20020034304A KR 100472144 B1 KR100472144 B1 KR 100472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guide rail
arm
sub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7135A (ko
Inventor
이준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1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7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swinging leve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X'형 암으로 이루어져 윈도우 글라스를 구동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 일정한 곡률을 갖는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 시에 동작성을 개선하여 작동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도어글라스(10)에 고정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20)과, 도어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30) 및 구동수단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20)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30)에 각각 양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서브아암(50)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20)에 일측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구동수단과 연동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아암(50)과 'X'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체결되는 메인아암(60)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슬라이더(100)와; 최소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100)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110)가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서브아암(50)의 하측 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동작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Door window regulato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X'형 암으로 이루어져 윈도우 글라스를 구동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 일정한 곡률을 갖는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 시에 동작성을 개선하여 작동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에는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 조작할 수 있도록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구성되며, 이는 구동원에 따라 직접 탑승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여 윈도우 글라스를 개폐하는 수동식 윈도우 레귤레이터와,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윈도우 글라스를 개폐하는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있다. 수동식 윈도우 레귤레이터와,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구동수단의 차이점은 있으나, 'X'형 암을 이용하여 윈도우 글라스를 개폐하게 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도 1은 일반적인 'X'암 구조의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제2가이드레일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종래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작동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일반적인 'X'암 구조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구성 및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도어 글라스(10)에 제1가이드레일(20)이 고정 설치되며, 도어 패널에는 제2가이드레일(30) 및 레귤레이터 모터(40)와 같은 구동수단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20)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30)에는 서브아암(50)의 양 단부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레일(30) 내에는 슬라이더(3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슬라이더(31)는 서브아암(50)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체결핀(32)으로 결합된다.
도면부호 33은 제2가이드레일(30)을 도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구비된 취부부이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20)과 상기 레귤레이터 모터(40)에는 메인아암(60)의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아암(60)의 상측 단부는 제1가이드레일(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며, 하측 단부에는 레귤레이터 모터(40)와 치차 결합되도록 섹터기어(61)가 구비된다.
상기 서브아암(50)과 상기 메인아암(60)은 'X' 형상으로 교차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부호 11은 윈도우 글라스를 가이드하기 위해 미도시된 도어 샤시 가이드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런채널이며, 재질은 고무류에 코팅처리되어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어에 장착된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스위치 조작에 따라 레귤레이터 모터(4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며, 이 레귤레이터 모터(40)의 회전 구동력은 메인아암(60)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메인아암(6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메인아암(60)과, 서브아암(50)과 연동하는 윈도우 글라스(10)는 런채널(11)에 가이드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메인아암과, 서브아암은 승하강 동작 시에 위치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 하중이 작용됨에 따라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지속적으로 비정상적인 하중이 작용하여 내구성의 저하와, 작동 불량률이 증가할 수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 윈도우 글라스는 평면이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있으며, 반면에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 구동하는 'X'암 구조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평면상에서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면, 도면부호 A는 윈도우 글라스의 작동 궤적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B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메인아암과, 서브아암의 작동 궤적을 나타낸다.
즉, 윈도우 글라스가 승하강됨에 따라 도면부호 a위치 또는 c위치에서 서브아암은 제2가이드레일 측으로 가압되어, 'X'암에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도면부호 b위치에서 서브아암은 제2가이드레일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X'암에는 인장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X'암에는 인장 또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메인아암의 섹터기어와, 레귤레이터 모터 측에 비정상적인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여 작동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윈도우 글라스와 밀착되어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런채널은 마모가 쉽게 발생하여 이음발생의 원인이 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는 윈도우 글라스의 상하 승강에 따른 동작 궤적과,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작동 궤적의 차이에 의해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중을 완화하여 내구성을 높이며, 작동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도어글라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도어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 및 구동수단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각각 양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서브아암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일측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구동수단과 연동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아암과 'X'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체결되는 메인아암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슬라이더와; 최소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가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서브아암의 하측 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가이드레일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며, 도 7은 윈도우 글라스의 위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X'암 구조의 메인아암과 서브아암이 제1가이드레일, 제2가이드레일 및 레귤레이터 모터에 연결되는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며, 이하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종래의 'X'암 구조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 도어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슬라이더(100)와; 최소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100)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110)가 추가로 구성되며, 서브아암(50)의 하측 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핀(112)으로 결합됨을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30)은 제1슬라이더(100) 및 제2슬라이더(110)의 두께 합 보다 일정 길이 더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슬라이더(100)와 제2슬라이더(110)는 사각의 판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특히 제1슬라이더(100)에는 등방적으로 4개의 지지공(101)이 형성되며, 제2슬라이더(110)에는 상기 지지공(101)의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돌기(111)가 구비된다.
제2가이드레일(30) 내에는 공지의 윤활제가 제공됨으로써, 제2가이드레일(30)을 따라 제1슬라이더(100) 및 제2슬라이더(110)가 원활히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제1슬라이더(100)의 각 지지공(101)에는 탄성부재로써 스프링(120)이 탄지되어, 제2슬라이더(110)의 지지돌기(111)와 결합되어 조립된다.
지지돌기(111)가 구비된 제2슬라이더(110)의 타측 면에는 서브아암(50)과 자유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핀(112)을 압입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1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슬라이더에 지지공을 형성하며, 제2슬라이더에 지지돌기를 구비하여 조립되나, 본 발명에 있어 지지공 및 지지돌기의 위치는 제1슬라이더 또는 제2슬라이더의 어느 측에 위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며, 또한 제2가이드레일 내에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가 있다.
또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은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의 형상에 따라 달리 위치될 수가 있으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가 편심되어 지지되지 않는 범위에서 3개 또는 4개 이상의 다수개의 스프링이 등방적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고하면, 도면부호 A는 윈도우 글라스의 작동 궤적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B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메인아암과, 서브아암의 작동 궤적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a위치 또는 c위치에서 서브아암(50)은 제2가이드레일 측으로 가압되며, 이때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제1슬라이더(100) 및 제2슬라이더(110)는 서로 밀착되면서 서브아암(50)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화하게 된다.
도면부호 b위치에서는 서브아암(50)에 인장 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이때 제1슬라이더(100) 및 제2슬라이더(110)는 이격되면서 서브아암(50)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윈도우 글라스가 승하강 시에 윈도우 글라스의 위치에 따라 'X'암에 작용하는 인장 또는 압축 하중은 제2가이드레일 내에서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가 탄성부재에 의해 일정 유격을 유지하면서 완화시키게 되므로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무리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제2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되어 서브아암과 체결되는 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로 구성함으로써,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 시에 'X'암에 작용하는 인장 또는 압축 하중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내구성을 높여 작동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는 등방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X'암 구조의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제2가이드레일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B-B'선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와 윈도우 글라스의 동작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글라스 20 : 제1가이드레일
30 : 제2가이드레일 40 : 레귤레이터 모터
50 : 서브아암 60 : 메인아암
100 : 제1슬라이더 101 : 지지공
110 : 제2슬라이더 111 : 지지돌기
120 : 스프링

Claims (2)

  1. 도어글라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도어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 및 구동수단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각각 양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서브아암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일측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구동수단과 연동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아암과 'X'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체결되는 메인아암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슬라이더와;
    4개의 스프링이 등방적으로 개재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가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서브아암의 하측 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2. 삭제
KR10-2002-0034304A 2002-06-19 2002-06-19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0472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304A KR100472144B1 (ko) 2002-06-19 2002-06-19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304A KR100472144B1 (ko) 2002-06-19 2002-06-19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135A KR20030097135A (ko) 2003-12-31
KR100472144B1 true KR100472144B1 (ko) 2005-03-08

Family

ID=3238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304A KR100472144B1 (ko) 2002-06-19 2002-06-19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922B1 (ko) 2016-11-02 2018-04-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도어 글래스용 커서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672U (ja) * 1983-07-21 1985-02-16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ウインドレギユレ−タ用のガイドロ−ラ装置
JPH04132175U (ja) * 1991-05-29 1992-12-07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窓ガラス昇降装置
JPH0596368U (ja) * 1992-05-29 1993-12-27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ガイド機構
KR0126151Y1 (ko) * 1995-06-29 1998-10-15 김태구 차량 도어유리의 가이드레일용 이동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672U (ja) * 1983-07-21 1985-02-16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ウインドレギユレ−タ用のガイドロ−ラ装置
JPH04132175U (ja) * 1991-05-29 1992-12-07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窓ガラス昇降装置
JPH0596368U (ja) * 1992-05-29 1993-12-27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ガイド機構
KR0126151Y1 (ko) * 1995-06-29 1998-10-15 김태구 차량 도어유리의 가이드레일용 이동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922B1 (ko) 2016-11-02 2018-04-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도어 글래스용 커서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135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022B1 (ko) 차량용파워윈도우레귤레이터
US5595025A (en) Window regulator assembly
KR100472144B1 (ko)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JP2012111284A (ja) 車両用ルーフ装置
US6427385B1 (en) Window lift mechanism
KR100432399B1 (ko) 자동차 창의 승강 장치
US11052736B2 (en) Sunroof apparatus
KR200168246Y1 (ko) 자동차의 도어 그라스 캐리어 어셈블리
KR100812449B1 (ko) 도어 레귤레이터 캐리어 스톱퍼구조
KR20000012745A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100482486B1 (ko) 차량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US11358449B2 (en) Sunroof apparatus
KR200182107Y1 (ko)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슬라이더
JPS5938126A (ja) 自動車のスライドル−フ開閉装置
KR200337417Y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안내장치
US20040221509A1 (en) Door module
CN101370040A (zh) 用于打开和关闭便携式终端的滑动件机构
KR100558744B1 (ko) 사이드 도어 레귤레이터
KR20000012747A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JP2023056706A (ja) サンルーフ装置
KR20040037321A (ko) 볼베어링을 구비한 차량의 윈도우글라스 구동장치
KR20020071320A (ko) 도어 윈도우글라스 승하강용 레귤레이터에 있어서레일접촉용 바아 로울러 구조
KR20000012746A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20000012748A (ko)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마운팅플레이트
KR20030015024A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