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068B1 - 패널 - Google Patents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068B1
KR100472068B1 KR10-2001-7006683A KR20017006683A KR100472068B1 KR 100472068 B1 KR100472068 B1 KR 100472068B1 KR 20017006683 A KR20017006683 A KR 20017006683A KR 100472068 B1 KR100472068 B1 KR 10047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nel
connecting member
connec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9810A (ko
Inventor
모리타고지
Original Assignee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04B2002/7462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using resilient connectors, e.g.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04B2002/7466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us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7Partitions with slotted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종래의 패널에서는 복수의 패널의 측테두리끼리를, 복수의 연결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의 비사용면을 피복하기 위해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패널의 측단면을 피복하기 위해 장착되는 커버는 전혀 다른 것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생산상의 부담증대나, 부품점수, 제조비의 증대를 초래하게 되어 있었기 때문에, 복수의 가동간막이벽(1)의 측테두리끼리를, 복수의 연결면(6a)을 갖는 연결부재(6)를 통해서 연결하는 경우,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을 피복하는 커버(7)를 상기 연결부재(6)의 비사용의 연결면(6a)을 피복하는 커버로서 겸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패널{PANEL}
본 발명은 사무실 등에서 알맞게 이용되는 간막이벽 등의 패널에 관한 것이다.
간막이벽 등으로 사용되는 패널은 소망하는 방의 형상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복수매를, 연결부재를 통하여 각종의 형태로 연결가능하게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연결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2매의 패널을 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형태나 L자형으로 연결하는 형태, 3매를 평면시각으로 T자형을 형성하도록 연결하는 형태, 또는 4매를 평면시각으로 십(十)자형을 형성하도록 연결하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의 사용형태를 채택할 수 있는 연결부재로서는, 인접하는 패널끼리를 평면시각으로 직교하도록 하여 4매의 패널을 4방으로 뻗어날 수 있게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면을 4방으로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에 있어서, 2매의 패널을 평면시각으로 보아 L자형을 형성하도록 연결하는 경우, 연결부재의 4개의 연결면 중, 2개의 면은 비사용면(非使用面)이 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는, 이 비사용면에 커버를 장착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평면시각으로 보아 L자형으로 인접설치한 2매의 패널의 비연결 단부에 위치하는 패널의 측단면도, 통상적으로, 커버 등에 의해 피복되며, 패널전체의 외관상의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비사용면을 피복하기 위해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패널의 측단면을 피복하기 위해 장착되는 커버와는 전혀 다른 것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생산상의 부담증대나, 부품점수, 제조비용의 증대를 초래하고 있었다. 또,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서는, 사용되지 않고 유휴(遊休)커버가 항상 생기며, 그래서 커버의 보관장소를 별도로 마련하여야만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2는 상기 도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도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도면의 일부를 파단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I-I선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면의 1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파단한 평면도.
도 9는 상기 도면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파단한 평면도.
도 10은 연결부재의 1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관련부의 1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부재의 비사용면을 피복하는 커버와, 패널의 측단면을 피복하는 커버의 공통화를 꾀하여 양자를 겸용으로 하여, 생산상의 부담증대나 부품점수, 제조비용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사용상의 편리성도 양호한 패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패널의 측테두리끼리를, 복수의 연결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패널의 측단면을 피복하는 커버를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면 중, 비사용면을 피복하는 커버로서 겸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다.
커버를 패널의 측단면이나 연결부재에 간단하게 착탈시켜 교체설치 가능하게 하는데 있어서는, 커버가 패널의 측단면과, 연결부재의 연결면에 각각 형성된 피관련부에 걸어서 결합할 수 있는 관련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시형태로서는 상기 피관련부가 패널의 측단면과 연결부재에 각각 형성된 개구(開口)이며, 관련부가 상기 패널의 측단면에 형성된 개구와 걸어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에서 돌출한 제1의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면에 형성된 개구와 걸어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에서 돌출한 제2의 결합부재를 들 수 있다.
부품점수의 삭감을 기하기 위해서는, 피관련부가 패널의 측단면과 연결부재에 각각 형성된 개구이며, 관련부가 상기 패널의 측단면 및 연결부재의 연결면에 형성된 개구와 걸려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에서 돌출한 결합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시형태로서는 연결부재가, 인접하는 패널끼리를 평면시각으로 직교시키도록 하여 4매의 패널을 4방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는 4개의 연결면을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적합한 실시형태로서는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간헐위치에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재의 각 연결면에 패널 혹은 커버를 부착한 경우에 인접 설치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메지를 연결부재의 외부측으로부터 은폐할 수 있는 은폐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가 인접설치되는 연결면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상기 은폐부재의 부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의 다른 형태로서는 복수의 패널의 측테두리끼리를, 복수의 연결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간헐위치에 복수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면의 비사용면에 커버를 부착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각 연결면에 패널 혹은 커버를 부착한 경우에 인접설치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메지를 연결부재의 외부측으로부터 은폐할 수 있는 은폐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가, 인접 설치되는 연결면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상기 은폐부재의 부착부를 갖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부착부 및 은폐부재의 적합한 실시형태로서는, 부착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코너부에 형성한 결합 오목부이며, 은폐부재가 상기 인접설치하는 연결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메지를 연결부재의 외측에서 은폐하는 은폐부재본체와 상기 은폐부재 본체에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에 끼워 결합하는 결합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패널의 다른 형태로서는 복수의 패널의 측테두리끼리를, 복수의 연결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간헐위치에 복수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면의 비사용면에 커버를 부착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연결부재가 커버에 형성한 관련부와 걸어져 결합하는 피관련부를 그 연결면에 가지고 있으며, 이 피관련부를 인접설치하는 연결면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를 피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연결부재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서는 연결부재가 절곡성형된 것이나, 블록체 형상으로 된 것을 들 수 있다.
커버의 공용화를 꾀하는 경우, 그 설치구조를 간소화시키는데는 연결부재측의 피관련부가 상기 연결면에 형성된 개구인 것과 동시에, 관련부가 상기 개구의 상향면에 상방으로부터 걸 수 있도록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하향의 결합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소정의 부착위치에 있어서의 커버의 폭방향으로의 덜거덕거리는 동요를 유효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개구의 개구폭 치수가 결합부재의 바깥치수와 거의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결합부재가 소정의 부착위치에서, 그 외면을 대향하는 상기 개구의 측개구단면과 대략 밀접하게 맞닿은 상태로 걸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의 공용화를 꾀하는 경우, 그 설치구조를 간소화시키는데는 연결부재측의 피관련부가 그 외면을 연결면으로 하는 기립벽이며, 관련부가 상기 기립벽의 상향면에 상방으로부터 걸수 있도록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하향의 결합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소정의 부착위치에 있어서의 커버의 폭방향으로의 덜거덕거리는 동요를 유효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립벽이 그 외면에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한 오목함몰부를 가지고 형성되며, 이 오목함몰부의 폭치수가 결합부재의 바깥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결합부재가 소정의 부착위치에서 그 외면을 대향하는 오목한 함몰부의 측단면과 대략 밀접하게 맞닿게 한 상태로 상기 기립벽에 걸어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패널은 복수의 패널의 측테두리끼리를, 복수의 연결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패널의 측단면을 피복하는 커버를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면 중, 비사용면을 피복하는 커버로서 겸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패널의 측단면을 피복하는 커버와 연결부재의 비사용면을 피복하는 커버를 공통화하여 겸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상의 부담경감이나 부품점수, 제조비용의 삭감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항상 커버를 패널의 측단면 혹은 연결부재의 비사용면을 피복하는 것으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휴커버가 생기지 않으며, 패널이 각종의 연결형태를 취하는 경우에도, 사용되지 않는 커버가 생기지 않으며, 따라서 커버의 보관장소를 걱정할 필요도 없다.
또, 패널의 측단면을 피복하는 커버와 연결부재의 비사용의 연결면을 피복하는 커버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외관상의 통일감이 얻어지며, 외관의 미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버가 패널의 측단면과, 연결부재의 연결면에 각각 형성된 피관련부에 걸어 결합될 수 있는 관련부를 가지고 있다면, 이 피관련부와 관련부의 형상을 간단하게 걸어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면, 커버를 패널의 측단면이나 연결부재에 간단하게 착탈시켜 교체설치할 수 있다.
또, 피관련부가 패널의 측단면과 연결부재에 각각 형성된 개구(開口)이며, 관련부가 상기 패널의 측단면에 형성된 개구와 걸어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에서 돌출한 제1의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면에 형성된 개구와 걸어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에서 돌출한 제2의 결합부재라고 한다면, 패널과 연결부재의 각각에 걸어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별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나 패널측의 사용형태 등의 사정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피관련부가 패널의 측단면과 연결부재에 각각 형성된 개구이며, 관련부가 상기 패널의 측단면 및 연결부재의 연결면에 형성된 개구와 걸어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에서 돌출한 결합부재라면, 패널과 연결부재에 걸어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공통화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의 삭감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가 인접하는 패널끼리를 평면시각으로 직교시키도록 하여 4매의 패널을 4방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는 4개의 연결면을 갖는 것이라면, 다양한 사용형태를 알맞게 채택할 수 있다.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을 따른 간헐위치에 복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패널의 상하치수에 대략 동등한 상하치수의 지주를 이용하여 패널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인접설치하는 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인접설치하는 패널사이의 가로배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치수가 다른 각종 규격의 패널에도, 연결부재를 형성하는 위치나 수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연결부재의 각 연결면에 패널, 혹은 커버를 설치한 경우에 인접설치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메지를 연결부재의 외부측으로부터 은폐할 수 있는 은폐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가 인접설치되는 연결면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상기 은폐부재의 부착부를 갖고 있는 것이면,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의 간헐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접설치하는 패널끼리, 커버끼리, 혹은 패널과 커버사이에 형성되는 메지에서 연결부재의 위치가 노출되어 보이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은폐부재에 의해 빛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를 확실하게 외부로부터 은폐하여 패널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패널의 측테두리끼리를, 복수의 연결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을 따른 간헐위치에 복수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면의 비사용면에 커버를 설치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각 연결면에 패널 혹은 커버를 설치한 경우에 인접설치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메지를 연결부재의 외부측으로부터 은폐할 수 있는 은폐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가 인접설치되는 연결면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상기 은폐부재의 부착부를 갖는 것이면, 패널의 상하치수에 대략 동등한 상하치수의 지주를 이용하여 패널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인접설치하는 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인접설치하는 패널사이의 가로배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치수가 다른 각종 규격의 패널에도 연결부재를 형성하는 위치나 수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의 간헐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인접설치하는 패널끼리, 커버끼리, 혹은 패널과 커버 사이의 메지에서 연결부재의 위치가 노출되어 보이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은폐부재에 의해 연결부재를 확실하게 외부로부터 은폐하여 패널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부착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코너부에 형성한 결합오목부이며, 은폐부재가 상기 인접설치하는 연결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메지를 연결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은폐하는 은폐부재 본체와, 상기 은폐부재 본체에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에 끼워 결합하는 결합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면,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메지를 연결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은폐하여 빛의 누설이나 연결부재가 외부로 노출하여 보이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패널의 측테두리끼리를, 복수의 연결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간헐위치에 복수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면의 비사용면에 커버를 부착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연결부재가 커버에 형성된 관련부와 결합하는 피관련부를 그 연결면에 가지고 있으며, 이 피관련부를 인접설치하는 연결면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를 피해서 형성하고 있으면 커버를 부착하여도 상기 연결부재의 코너부가 개방되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으로 간헐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인접설치하는 패널끼리, 커버끼리, 혹은, 패널과 커버의 사이, 즉 연결부재의 코너부에 형성되는 메지로부터 연결부재의 위치가 노출하여 보이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면, 연결부재의 연결면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상기 메지를 은폐하는 은폐부재의 부착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이 부착부에 은폐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메지로부터의 빛의 누설이나 상기 연결부재의 노출을 방지하여 패널의 외관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연결부재가 절곡성형된 것이면, 간단한 가공방법, 그리고 저비용으로 연결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재가 블록체 형상의 것이면,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강도를 갖는 것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측의 피관련부가 상기 연결면에 형성한 개구임과 동시에, 관련부가 상기 개구의 상향면에 상방으로부터 끌어서 걸 수 있도록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시켜 형성한 하향의 결합부재이면, 커버에서 돌출한 부재를 연결부재의 개구에 걸어 결합시켜 부착시키게 되기 때문에, 커버와 연결부재 사이에서 커버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연결부재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오목한 홈에 커버에서 돌출한 돌출부를 가이드시켜 유지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버의 상하방향의 위치결정도 용이하다.
또, 예를 들면, 커버를 패널의 측단면에 부착하는 것으로서 공용하는 경우는 패널의 측단면측에 복잡한 가공을 시공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개구의 개구폭 치수가 결합부재의 바깥치수에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결합부재가 소정의 부착위치에서 그 외면을 대향하는 상기 개구의 측개구단면과 대략 밀접하게 맞닿게 한 상태로 결합하는 것이면, 소정의 부착위치에 있어서의 커버의 폭방향으로의 동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측의 피관련부가 그 외면을 연결면으로 하는 기립벽이며, 관련부가 상기 기립벽의 상향면에 상방으로부터 걸 수 있도록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돌출시켜 형성한 하향의 결합부재라면, 예를 들면, 커버를 패널의 측단면에 부착하는 것으로서 공용하는 경우는, 패널의 측단면측에 복잡한 가공을 시공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기립벽이 그 외면에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한 오목함몰부를 가지고 형성되며, 이 오목함몰부의 폭치수가 결합부재의 바깥치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결합부재가 소정의 부착위치에서, 그 외면을 대향하는 오목함몰부의 측단면과 대략 밀접하게 맞닿게 한 상태로 상기 기립벽에 걸어서 결합하는 것이면, 소정의 부착위치에 있어서의 커버의 폭방향으로의 동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시킨 1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패널인 가동간막이벽(1)(1A,1B)을 연결부재(6)를 통해서 연결하고 있다.
가동간막이벽(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격이 되는 구조틀체(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후 양측의 패널요소(3)를 구비하며, 내부에 배선류를 수용할 수 있는 배선기능을 부여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조틀체(2)를 구성하는 측틀부재(21) 및 가로틀부재(22)와, 패널요소(3)에 의해서 폐지(閉止)되는 위치에, 배선공간(S)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조틀체(2)는 금속제의 것으로서,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을 형성하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치한 좌우의 측틀부재(21)와, 이들 좌우의 측틀부재(21)를 연결하는 좌우방향을 따라서 배치한 복수의 가로틀부재(22)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측틀부재(21)와 가로틀부재(22)를 틀체형상으로 연결하고 있다.
패널요소(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금제의 패널요소본체(31)의 내면에 심재(芯材)(32)를 충전시켜 형성되는 장방형상의 것으로서, 상하방향을 따라서 복수매를 연이어 형성(연설)하는 것에 의하여, 그 구조틀체(2)의 대략 전체영역을 덮는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이들 패널요소(3)는 코너부 근방의 내면측에 각각 상기 심재(32)대신에 상향부재(33a)를 갖는 수지부재(33) 및 하향부재(34a)를 갖는 수지부재(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부재(33a)(34a)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로틀부재(22) 중, 임의의 2개의 사이에 패널요소(3)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동간막이벽(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로틀부재(22)의 상하 양면측에 제1, 제2의 패널 첨설부재(添設部材)(4A)(4B)를 장착하며, 상기 측틀부재(21) 및 가로틀부재(22)의 전후면보다 외측으로 돌출한 위치에 상기 패널요소(3)의 내면(3a)에 첨설되는 패널첨설면(P)을 형성하여, 상기 패널요소(3)의 내면(3a)과 측틀부재(21)의 전후면(21a)을 이간(離間)상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요소(3)의 내면(3a)과 측틀부재(21)의 전후면(21a) 사이에, 상기 배선공간(S)을 구조틀체의 밖으로 연락하는 배선통과부(5)로 형성하고 있다.
또, 도 1 및 도 2중에 부호 23으로 나타내는 것은 패널요소(3)를 구조틀체(2)에 장착하였을 경우, 패널요소(3)의 중앙부분의 함몰을 방지하기 위한 함몰방지부재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갖는 2매의 가동간막이벽(1A)(1B)을 연결부재를 통해서 평면시각으로 대략 L자형이 되도록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간막이벽(1A)(1B)의 측단면(1a)을 피복하는 커버(7)(7A,7B)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커버(7)(7C,7D)를 상기 연결부재(6)의 비사용 연결면(6a)을 피복하는 것으로서 사용하여, 부재의 공통화를 꾀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각부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커버(7)(7A,7B…)는 도 3∼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6)와 연결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는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 및 상기 연결부재(6)의 비사용 연결면(6a)을 피복하도록 장착된다. 이 커버(7)의 상하치수는 가동간막이벽(1)의 상하치수와 대략 동등하며, 폭치수는 가동간막이벽(1)의 두께치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커버(7)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ㄷ”자형의 커버본체(71)와, 이 커버본체(7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측틀부재(21)에 형성한 개구(開口)인 슬릿(213)에 걸어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72)와, 상기 연결부재(6)에 형성한 개구인 노칭(notching)(621)에 걸어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7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상기 제1, 제2의 결합부재(72)(73)는 커버본체(71)의 폭방향 양테두리부를 피해서 폭방향으로 대략 중앙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재(72)는 상기 슬릿(213)내에 삽입한 후, 그 하부의 개구테두리에 상방으로부터 끌어 걸 수 있는 쌍을 이루는 하향의 부재(pawl)이며, 커버본체(71)의 상하방향으로 간헐적으로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부재(73)는 상기 노칭(621)에 상방으로부터 끌어 걸 수 있는 쌍을 이루는 하향의 부재이며, 커버본체(71)의 상하방향으로 간헐적으로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결합부재(73)는 상기 제1결합부재(72)와 비교하여 돌출량이 적은 약간 소형의 것이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결합부재(72)가, 측틀부재(21)의 외측부재(211)에 형성된 슬릿(213)내에 삽입되어 결합할때, 그 선단면이 상기 외측부재(211)의 외면에 닿아서 커버(7)의 위치결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연결부재(6)는 인접하는 가동간막이벽(1)끼리를 평면시각으로 직교시키도록 하여 4매를 4방으로 뻗어나게 할 수 있게 연결할 수 있도록 4개의 연결면(6a)을 갖는 것이며, 가동간막이벽(1)의 상하방향으로 간헐적으로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6)는 판금소재를 절곡하여 성형시킨 것으로서, 평면시각으로 대략 8각 형상의 저벽(61)과, 이 저벽(61)의 8변 중, 전후방향 혹은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뻗는 4변으로부터 일체로 입상시킨 4개의 기립벽(6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기립벽(62)의 외측면을 연결면(6a)으로 하고 있다.
저벽(61)은 상기 기립벽(62)을 기립시키고 있는 이외의 4변의 경사변, 즉, 인접설치하는 기립벽(62)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평면시각으로 부분 원호형상의 결합오목부인 원호형상의 노칭(611)을 가지고 있으며, 이 원호형상 노칭(611)에, 인접설치하는 가동간막이벽(1)사이에 생기는 메지를 은폐할 수 있는 은폐부재(8)를 장착하고 있다.
은폐부재(8)는 합성수지제의 것으로서, 상기 인접 설치하는 기립벽(62)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거의 완전하게 은폐할 수 있도록 위치하는 박판형상의 은폐부재본체(81)와, 상기 은폐부재본체(81)의 내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원호형상의 노칭(611)에 끼워 결합되는 선단부가 부분 원호형상을 이루는 결합볼록부(8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기립벽(62)은 상기 커버(7)의 제2결합부재(73)가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상방이 개구한 오목형상의 개구인 노칭(62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노칭(621)은 인접설치하는 연결면(6a)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를 피해서, 상기 연결면(6a)의 상부테두리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노칭(621)은 커버의 장착시에 제2결합부재(73)가 용이하게 걸릴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노칭(621)을 형성하는 측개구단면의 상단측이 상방으로 갈수록 개구의 폭이 커지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하단측의 개구의 폭은 쌍을 이루는 제2결합부재(73)의 외측면의 이간거리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노칭(621)에 제2결합부재(73)를 결합시켰을때, 노칭(621)의 하단측의 측개구단면이 제2결합부재(73)의 외측면에 대략 밀접하는 상태로 닿아서, 커버(7)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6)를 통해서 복수의 가동간막이벽(1A)(1B)…을 연결할때는 상기 기립벽(62)을 가동간막이벽(1)의 측틀부재(21)에 비스 등의 설치기구(b)로 고정시키며, 복수의 가동간막이벽(1A)(1B)…을 평면시각으로 대략 일직선형상이나, 대략 L자형이나, T자형이나, 십(十)자형을 형성하도록 연결한다.
또한, 도 3중에서 부호 91로 표시하고 있는 것은 최상부의 연결부재(6) 및 연결부재(6)에 부착된 커버(7C)(7D)의 상면을 외부에 적절히 은폐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뚜껑부재이다.
측틀부재(21)는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금소재를 내측면측이 개방되도록 가로단면이 대략 “ㄷ”자 형으로 소성변형시켜 형성되는 외측부재(211)와 내측부재(212)를 조립결합시켜 구성한 대략 각 파이프형상의 것이다.
그리고, 외측부재(211)의 외측면에 상기 커버(7)에서 돌출한 제1결합부재(72)와 결합할 수 있는 슬릿(213)을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슬릿(213)은 그 개구의 폭이, 쌍을 이루는 제1결합부재(72)의 외측면 사이의 이간거리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그 슬릿(213)에 제1결합부재(72)를 결합시켰을때, 슬릿(213)의 측개구단면의 하단측이 제1결합부재(72)의 외측면에 닿아서, 커버(7)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시킨다.
또, 도 5중의 부호 92로 나타내는 것은, 사용시,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에 장착되는 커버(7A)(7B)의 상면을 외부로부터 유효하게 은폐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뚜껑부재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2매의 가동간막이벽(1A)(1B)을 평면시각으로 대략 L자형으로 연결하고 있었던 형태로부터,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운 가동간막이벽(1C)을 가해서 평면시각 T자형으로 설치하는 형태를 취하는 경우는 연결부재(6)의 비사용 연결면(6a)에 부착되어 있던 커버(7C)를 분리시켜, 대응하는 연결부재(6)의 연결면(6a)에 가동간막이벽(1C)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간막이벽(1C)의 측단면(1a)에 상기 커버(7C)를 교체부착시킨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운 가동간막이벽(1D)을 가해서 평면시각 십(十)자형으로 설치하는 형태를 취하는 경우는 연결부재(6)의 비사용 연결면(6a)에 부착되어 있던 커버(7D)를 분리시켜, 대응하는 연결부재(6)의 연결면(6a)에 가동간막이벽(1D)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간막이벽(1D)의 측단면(1a)에 상기 커버(7D)를 교체부착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을 피복하는 커버(7)와 연결부재(6)의 비사용 연결면(6a)을 피복하는 커버(7)를 공통화하여 겸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상의 부담경감이나 부품점수, 제조비용의 삭감이 가능하다.
또, 항상 커버(7)를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 또는 연결부재(6)의 비사용 연결면(6a)을 피복하는 것으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휴커버가 생기지 않으며, 가동간막이벽(1)이 각종의 연결형태를 취하는 경우에도, 쓸데없는 커버가 생기지 않을 뿐 아니라, 커버의 보관장소를 걱정할 필요도 없다.
또,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을 피복하는 커버(7)와 연결부재(6)의 비사용 연결면(6a)을 피복하는 커버(7)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외견상의 통일감이 얻어지며, 외관도 향상된다.
커버(7)가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과 연결부재(6)의 연결면(6a)에 각각 형성된 피관련부인 슬릿(213)과 노칭(621)에 각각 걸어 결합할 수 있는 관련부인 제1, 제2의 결합부재(72)(73)를 가지며, 이들 제1, 제2의 결합부재(72)(73)와 슬릿(213)과 노칭(621)의 형상을 간단하게 걸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7)를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이나 연결부재(6)의 연결면(6a)에 간단하게 착탈시켜 교체부착할 수 있다.
또, 가동간막이벽(1)과 연결부재(6)의 각각에 서로 걸어서 결합하는 결합부재(72)(73)가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간막이벽(1)과 연결부재(6)측의 사용형태 등의 사정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연결부재(6)가, 인접하는 가동간막이벽(1)끼리를 평면시각으로 직교시키도록 하여 4매의 가동간막이벽(1)을 4방으로 뻗어나게 할 수 있게 연결할 수 있는 4개의 연결면(6a)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형태를 알맞게 채택할 수 있다.
또, 연결부재(6)가 가동간막이벽(1)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간헐위치에 복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간막이벽(1)의 상하치수에 대략 동일한 상하치수의 지주를 이용하여 가동간막이벽(1)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코스트화를 기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인접설치하는 연결부재(6)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인접설치하는 가동간막이벽(1)사이의 가로배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치수가 다른 각종 규격의 가동간막이벽(1)에도, 연결부재(6)를 형성할 위치나 수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연결부재(6)의 각 연결면(6a)에 가동간막이벽(1), 혹은 커버(7)를 부착한 경우에 인접설치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메지를 연결부재(6)의 외부측으로부터 은폐할 수 있는 은폐부재(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6)가 인접 설치되는 연결면(6a)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상기 은폐부재(8)의 부착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6)가 가동간막이벽(1)의 상하방향의 간헐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인접설치하는 가동간막이벽(1)끼리, 커버끼리, 혹은 가동간막이벽(1)과 커버(7)사이에 형성되는 메지에서 연결부재(6)의 위치가 노출되어 보이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은폐부재(8)에 의해 연결부재(6)를 확실하게 외부로부터 은폐하여 가동간막이벽(1)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연결부재(6)가 커버(7)에 형성한 제1, 제2의 결합부재(72)73)와 결합하는 노칭(621)을 그 연결면(6a)에 가지고 있으며, 이 노칭(621)을 인접설치하는 연결면(6a)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를 피해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7)를 부착하여도 상기 연결부재(6)의 코너부가 개방되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연결부재(6)가 가동간막이벽(1)의 상하방향의 간헐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인접설치하는 가동간막이벽(1)끼리, 커버끼리, 혹은 가동간막이벽(1)과 커버(7)사이, 즉 연결부재(6)의 코너부에 형성되는 메지로부터 연결부재(6)의 위치가 노출되어 보이는 문제가 생기기 쉽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재(6)의 연결면(6a)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상기 메지를 은폐하는 은폐부재(8)의 부착부인 원호형상의 노칭(611)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이 원호형상의 노칭(611)에 은폐부재(8)를 설치하여 상기 메지로부터의 빛의 누설이나 상기 연결부재(6)의 노출을 방지하여 가동간막이벽(1)의 외관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연결부재(6)가 판금소재를 절곡하여 성형시킨 것이기 때문에, 간단한 가공방법과 저비용으로 연결부재(6)를 형성할 수 있다.
부착부가 상기 연결부재(6)의 코너부에 형성한 원호형상의 노칭(611)이며, 은폐부재(8)가 상기 인접하는 기립면(6a)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메지를 연결부재(6)의 외측으로부터 은폐하는 은폐부재본체(81)와, 상기 은폐부재본체(81)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원호형상의 노칭(611)에 끼워 결합하는 결합볼록부(8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메지를 연결부재(6)의 외측으로부터 은폐하여 빛의 누설이나 연결부재(6)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6)측의 피관련부가 상기 연결면(6a)에 형성한 상방이 개방된 대략 오목형상의 노칭(621)이며, 동시에, 관련부가 상기 개구(621)의 상향면에 상방에서 걸 수 있도록 커버(7)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한 하향의 제2결합부재(73)이기 때문에, 커버(7)에서 돌출한 상기 결합부재(73)를 연결부재(6)의 노칭(621)에 걸어서 결합시켜 부착하므로, 커버(7)와 연결부재(6)사이에서 커버(7)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연결부재(6)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오목한 홈에 커버에서 돌출한 돌출부를 가이드시켜 유지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버(7)의 상하방향의 위치결정도 용이하다.
또, 예를 들면, 커버(7)를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에 부착하는 것으로서 공용하는 경우에,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측에 복잡한 가공을 가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
노칭(621)의 개구폭의 치수가 제2결합부재(73)의 바깥치수에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결합부재(73)가 소정의 부착위치에서, 그 외면을 대항하는 상기 노칭(621)의 측개구단면과 대략 밀접하게 맞닿은 상태로 결합하기 때문에, 소정의 부착위치에 있어서의 커버(7)의 폭방향으로의 동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6)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판금소재를 절곡성형하여 형성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블록체형상의 것을 가동간막이벽(1)의 상하방향의 간헐위치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연결부재(106)는 외형이 대략 8각의 형상을 하고 있는 대략 등횡단면 형상의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결부재(106)는 중공체(中空體)형상의 것으로서, 그 외면을 가동간막이벽(1)을 4WAY 연결할 수 있는 연결면(106a)으로 하는 4개의 제1의 기립벽(1061)과, 인접설치하는 연결면(106a)의 사이인 코너부에 형성된 제2의 기립벽(1062)과, 대향하는 제2의 기립벽(1062)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벽(1063)과, 상기 연결벽(1063)에 의해 4개로 구획된 중공부(106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연결부재(106)에 커버(7)를 부착할 경우는 커버(7)의 제2결합부재(73)의 선단을 상기 중공부(1064)내에 삽입시킨 상태로, 상기 제2의 결합부재(73)를 연결면(106a)의 상부테두리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 상방에서 걸도록 한다.
또한, 제1의 기립벽(1061)의 연결면(106a)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제2결합부재(73)의 바깥치수에 대략 동등한 폭치수를 갖는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한 오목함몰부(10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7)를 연결면(106a)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제2결합부재(73)의 외면이 오목함몰부(106b)의 측단면에 대략 밀접하는 상태로 맞닿으며, 커버(7)의 폭방향으로의 요동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또, 연결부재(106)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2의 기립벽(1062)에는 은폐부재(8)의 결합볼록부(82)에 끼워 결합하는 평면시각으로 부분원호형상으로 함몰한 결합오목부(106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2의 기립벽(1062)의 외면은 상기 은폐부재본체(81)의 외형에 대략 대응시켜서 오목하게 함몰시키고 있으며, 은폐부재(8)를 장착하였을때, 인접설치하는 제1의 기립벽(1062)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거의 완전히 외부로부터 은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06)가 블록체 형상의 것인 경우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강도의 것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1073)가 가동간막이벽(1)의 측단면(1a)에 형성한 개구(1b) 및 연결부재(6)의 연결면(6a)에 형성한 노칭(621)의 양자와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7)로부터 돌출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가동간막이벽(1)과 연결부재(6)에 결합하는 결합부재(1073)를 공통화 하게 되면, 부품점수의 삭감을 기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패널은 사무실 등에 있어서 복수의 패널을 연접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것이다.

Claims (16)

  1. 복수 패널의 측테두리끼리를, 복수의 연결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패널의 측단면을 피복하는 커버를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면 중, 비사용면을 피복하는 커버로서 겸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커버가, 패널의 측단면과 연결부재의 연결면에 각각 형성한 피관련부에 걸어서 결합할 수 있는 관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련부가 패널의 측단면과 연결부재에 각각 형성된 개구(開口)이며, 관련부가 상기 패널의 측단면에 형성된 개구와 걸어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에서 돌출한 제1의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면에 형성된 개구와 걸어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에서 돌출한 제2의 결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련부가 패널의 측단면과 연결부재에 각각 형성된 개구이며, 관련부가, 상기 패널의 측단면 및 연결부재의 연결면에 형성된 개구와 걸어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에서 돌출한 결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인접하는 패널끼리를 평면시각으로 직교시키도록 하여 4매의 패널을 4방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는 4개의 연결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6.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을 따른 간헐위치에 복수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각 연결면에 패널 혹은 커버를 부착한 경우에 인접설치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메지를 연결부재의 외부측으로부터 은폐할 수 있는 은폐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가 인접설치되는 연결면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상기 은폐부재의 부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8. 복수의 패널의 측테두리끼리를, 복수의 연결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을 따른 간헐위치에 복수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면의 비사용면에 커버를 부착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각 연결면에 패널 혹은 커버를 부착한 경우에 인접설치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메지를 연결부재의 외부측으로부터 은폐할 수 있는 은폐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가, 인접설치되는 연결면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상기 은폐부재의 부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코너부에 형성한 결합오목부이며, 은폐부재가 상기 인접설치하는 연결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메지를 연결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은폐하는 은폐부재본체와 상기 은폐부재본체에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에 끼워 결합하는 결합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10. 복수의 패널의 측테두리끼리를, 복수의 연결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가 패널의 상하방향을 따른 간헐위치에 복수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면의 비사용면에 커버를 부착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연결부재가 커버에 설치한 관련부와 걸어 결합하는 피관련부를 그 연결면에 가지고 있으며, 이 피관련부를 인접설치하는 연결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를 피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11. 제7항,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절곡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12. 제7항,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블록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13. 제2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측의 피관련부가 상기 연결면에 형성된 개구인 것과 동시에, 관련부가 상기 개구의 상향면에 상방으로부터 걸 수 있도록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하여 설치된 하향의 결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개구폭 치수가 결합부재의 바깥치수와 거의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결합부재가 소정의 부착위치에서 그 외면을 대향하는 상기 개구의 측개구단면과 대략 밀접하게 맞닿은 상태로 걸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15. 제2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측의 피관련부가 그 외면을 연결면으로 하는 기립벽이며, 관련부가 상기 기립벽의 상향면에 상방으로부터 걸수 있도록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하여 설치된 하향의 결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벽이 그 외면에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한 오목함몰부를 가지고 형성되며, 이 오목함몰부의 폭치수가 결합부재의 바깥치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결합부재가 소정의 부착위치에서 그 외면을 대향하는 오목함몰부의 측단면과 대략 밀접하게 맞닿게 한 상태로 상기 기립벽에 걸어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KR10-2001-7006683A 1999-10-13 2000-09-08 패널 KR100472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91703 1999-10-13
JP29170399A JP3427349B2 (ja) 1999-10-13 1999-10-13 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810A KR20010099810A (ko) 2001-11-09
KR100472068B1 true KR100472068B1 (ko) 2005-03-08

Family

ID=17772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683A KR100472068B1 (ko) 1999-10-13 2000-09-08 패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3427349B2 (ko)
KR (1) KR100472068B1 (ko)
CN (1) CN1195930C (ko)
HK (1) HK1041300B (ko)
MY (1) MY128001A (ko)
TW (1) TW477854B (ko)
WO (1) WO20010274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431B1 (ko) * 2009-08-19 2010-08-18 시스컴인피니티(주)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406B1 (ko) * 2002-03-30 2004-05-14 장주호 플러시 판넬
JP5909126B2 (ja) * 2012-03-28 2016-04-26 西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574B2 (ja) * 1990-04-12 1994-11-09 コクヨ株式会社 パネルの連結装置
JP3520351B2 (ja) * 1997-10-24 2004-04-19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フレームの連結構造
JPH11293822A (ja) * 1998-04-08 1999-10-26 Okamura Corp 間仕切りパネルの連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431B1 (ko) * 2009-08-19 2010-08-18 시스컴인피니티(주)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1300A1 (en) 2002-07-05
HK1041300B (zh) 2005-07-29
MY128001A (en) 2007-01-31
JP2001115586A (ja) 2001-04-24
CN1195930C (zh) 2005-04-06
WO2001027401A1 (fr) 2001-04-19
JP3427349B2 (ja) 2003-07-14
TW477854B (en) 2002-03-01
CN1327501A (zh) 2001-12-19
KR20010099810A (ko)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5430A (en) Interconnecting modular screen assembly
US4601146A (en) Post cover for space dividing wall panel system
KR100472068B1 (ko) 패널
CN205375298U (zh) 边框装配组件及显示器
JPH0741377Y2 (ja) ピンナップボード立設装置
CN211169428U (zh) 凸型电梯吊顶
JP2001295400A (ja) パネル
CN210284162U (zh) 气囊堵盖结构
JP7382206B2 (ja) 間仕切装置
JPH0751564Y2 (ja) 掲示板付室内用電話ボックス
JPH07103Y2 (ja) パネル等への棚板の支持用側板
JP3000620U (ja) 可動扉
JP7268980B2 (ja) パネル体
JP7348480B2 (ja) 間仕切り構造
CN211041356U (zh) 一种空调装饰板及空调
JP7475981B2 (ja) パネル装置及び空間構成体
CN211393428U (zh) 电梯系统的厅外人机装置
JP2543693Y2 (ja) 陳列用ケースの枠材
JP4753507B2 (ja) パネル、および厚み調整部材
JPH07317186A (ja) 間仕切用曲面パネル装置
JPH0740003Y2 (ja) 間仕切装置
JP3563858B2 (ja) 化粧鏡ユニット
JPH0640751Y2 (ja) 建物の屋根へのパーゴラ体取付構造
JP2587605Y2 (ja)
JP3005590U (ja) 可動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