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637B1 -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타일 - Google Patents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637B1
KR100471637B1 KR10-2000-0047026A KR20000047026A KR100471637B1 KR 100471637 B1 KR100471637 B1 KR 100471637B1 KR 20000047026 A KR20000047026 A KR 20000047026A KR 100471637 B1 KR100471637 B1 KR 100471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colors
layer
different colors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3322A (ko
Inventor
서창열
정융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다인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다인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다인그룹
Priority to KR10-2000-004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637B1/ko
Publication of KR2002001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실내.외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타일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다양한 무늬가 형성되면서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토록 된 타일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타일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형성하여야 함으로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고, 고가이기 때문에 보편화되어지지 못하고 있는 단점이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타일의 표면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다층으로 인쇄를 하여 중첩된 인쇄층에서 스크래칭을 가한 후에 코팅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연마함으로서 다층으로 인쇄되어진 서로 다른 색상의 노출되면서 자연스런 무늬가 형성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건축용 타일

Description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타일{Structural tile}
본 발명은 건축시공 시에 건물의 실내.외에 사용되어지는 타일에 관한 것으로, 타일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함으로서 실내.외 분위기를 우아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타일은 타일의 표면에 색상을 도포한 후 불에 구워서 제조하거나 또는 불에 굽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의 타일 색상이 단색이기 때문에 실내외 분위기를 우아하게 연출할 수 있는 한계가 있는 것이고,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전사지를 이용한 다양한 무늬의 연출을 시도하고 있으나 이러한 전사지가 쉽게 벗겨지게 되고, 또한 견고성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타일의 표면에 수작업으로 일일이 그림을 그림으로서 대량생산이 불가능하여 이러한 것들의 제조에는 많은 비용이 소모됨으로 가격이 고가이어서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타일표면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다층으로 인쇄를 한 후 스크래칭에 의한 색상의 노출과 노출된 상태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여 연마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무늬의 색상노출로 디자인을 구성토록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타일 본체의 표면으로 바탕층(1)을 형성하고, 바탕층(1)과 색상이 다른 적층층(2)을 형성한 후 스크래칭(3)에 의한 색상의 섞임을 유도한 후 적층층(2)의 상부로 도포층(4)을 형성한 후 연마하면 3가지 색의 노출에 따라 디자인이 형성토록 되는 구성이다.
이때 바탕층을 도포한 후 마르기 전에 적층층을 도포한 후 로라를 이용하여 밀거나 찍어주게 되는 것이고, 붓을 사용하여 강약을 조절하면서 흔들거나 찍어서 무늬를 형성하고, 그후 원하는 도포층을 형성한다.
그후 마른 다음에 연마를 하면 무늬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정은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여 동일한 물건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바탕층과 적층층 및 도포층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고 이러한 적층층과 도포층을 다층으로 구성하면 다양한 색상의 무늬연출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타일에 다양한 무늬를 대량으로 생산되어지게 함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디자인된 타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공정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바탕층 2: 중첩층
3: 긁힘부분 4: 도포층

Claims (3)

  1. 타일 본체의 표면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바탕층과 적층층을 형성한 후 스크래칭에 의한 무늬라인을 연출하고 그 상부로 도포층을 형성하여 연마함으로서 무늬가 노출토록 되어진 타일.
  2. 제1항에 있어서, 스크래칭이 면을 갖도록 한 타일.
  3. 제1항에 있어서, 스크래칭이 선을 갖도록 한 타일.
KR10-2000-0047026A 2000-08-14 2000-08-14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타일 KR100471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026A KR100471637B1 (ko) 2000-08-14 2000-08-14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026A KR100471637B1 (ko) 2000-08-14 2000-08-14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타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322A KR20020013322A (ko) 2002-02-20
KR100471637B1 true KR100471637B1 (ko) 2005-03-11

Family

ID=1968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026A KR100471637B1 (ko) 2000-08-14 2000-08-14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78B1 (ko) * 2010-12-17 2011-05-16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창문용 밀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9826A (ko) * 1986-04-08 1987-11-30 이재호 표면에 타일무늬를 부각시킨 벽돌
JPH06155436A (ja) * 1992-11-24 1994-06-03 Nitsutai Kogyo Kk スクラッチタイルと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240945B1 (ko) * 1997-05-02 2000-01-15 손홍구 가구용 대나무문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9826A (ko) * 1986-04-08 1987-11-30 이재호 표면에 타일무늬를 부각시킨 벽돌
JPH06155436A (ja) * 1992-11-24 1994-06-03 Nitsutai Kogyo Kk スクラッチタイルと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240945B1 (ko) * 1997-05-02 2000-01-15 손홍구 가구용 대나무문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322A (ko) 200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6225A (en) Mosaic reproductions on a tile substrate
CN103602949A (zh) 一种多色真空镀膜及其加工工艺
KR100471637B1 (ko)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타일
KR100622413B1 (ko) 직접 프린팅 방식의 벽화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495904B1 (ko) 입체 문양 선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27784A (ko) 초박형 전사필름을 갖는 전사인쇄지, 이의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한 전사 인쇄 방법
US20080075865A1 (en) Ceramic bisque product with underglaze outlines
US5968617A (en) Decorative glassware and method of decorating same
KR200189729Y1 (ko) 인쇄면이 형성된 장식용 타일
JPH0515838A (ja) 建築板と多色塗装方法
JPH0474064B2 (ko)
JPH01131000A (ja) 七宝風装飾板の製造方法
KR100817135B1 (ko)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금속박 전사 인쇄 기법 및 이를이용한 건축용 장식재
JP2985923B2 (ja) 窯業系板材の化粧方法
JPH11254895A (ja) 転写紙
Taft Fresco to oils
KR100488248B1 (ko)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타일
JPH0593452A (ja) タイル調塗装の補修方法
KR200393551Y1 (ko) 장식용으로 부착 가능한 아크릴판재
JP3204023U (ja) 陶器用転写シールキット
JPH01249173A (ja) 建築板の化粧方法
KR100905751B1 (ko) 전사용 용지, 전사용 용지의 제조방법 및 전사용 용지를이용한 채색무늬 형성방법
JP3054391U (ja) 鏡面に加飾を施した鏡類またはガラス面に加飾を施した 写真立て、額縁
JPH0728290Y2 (ja) 建築用板
CN1076894A (zh) 紫金光工艺品的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