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312B1 - 유전체 공진기 장치,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유전체 공진기 장치,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312B1
KR100470312B1 KR10-2002-7003173A KR20027003173A KR100470312B1 KR 100470312 B1 KR100470312 B1 KR 100470312B1 KR 20027003173 A KR20027003173 A KR 20027003173A KR 100470312 B1 KR100470312 B1 KR 10047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panel
dielectric
dielectric resonator
resona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593A (ko
Inventor
안도마사미치
구보타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35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8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01P1/2086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multi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에 개구면을 가지고 내부에 유전체 코어(2a, 2b)를 일체로 형성한 세라믹제의 캐버티(1a, 1b)의 상하의 개구면을, 접지판(5a, 5b, 6a, 6b)를 개재하여 상하의 패널(3, 4) 사이에 끼우고, 나사(8)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세라믹제 캐버티의 개구부에 금속 패널을 직접 솔더링한 구조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신뢰성 문제점과, 세라믹제 캐버티의 개구부에 접지판을 이용하여 프린트 기판을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의 부품수의 증대 및 비용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캐버티의 개구부의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전체 공진기 장치,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Dielectric resonator device,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종래, 개구면을 갖는 세라믹제의 캐버티 내에 유전체 코어를 형성하고 캐버티에 도체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캐버티의 개구면을 금속 패널로 피복하도록 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가, 마이크로파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필터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팽창 계수가 공진기 재료의 선팽창 계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금속 패널에 결합 루프 등을 형성하고, 세라믹제 캐버티의 개구면의 전극면에 그 금속 패널을 직접 솔더링한 것으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9-51201호 및 (평)8-222905호가 나타나 있다. 또한, 결합 루프 등을 형성한 프린트 기판으로 세라믹제 캐버티의 개구면을 피복하고, 세라믹제 캐버티의 도체막과 프린트 기판과의 사이를 접지판을 통하여 솔더링한 것, 또는 기판측에 접지판을 나사로 고정한 것으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8-181513호 및 (평)8-65017호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9-51201호 및 (평)8-222905호에개시된 구조에서는, 공진기 장치가 대형이 되면 세라믹제 캐버티의 열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솔더링시에 큰 온도 상승이 발생하기 쉽고 접합면에 변형력이 작용하여, 장시간의 동작 환경에 있어서 접합부에 크랙이 생기고 파괴되기까지의 허용량이 작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8-181513호 및 (평)8-65017호에 개시된 구조에서는, 다수의 접지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져서 전체적으로 고비용이 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예의 모든 구조에서 세라믹제 캐버티의 개구면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제조시의 작업성은 현저하게 저하되고 특히, 의무화되고 있는 납을 함유하지 않은 솔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경향이 현저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캐버티 내에 유전체 코어를 수납하여 이루어진 유전체 공진기 장치, 이것을 이용한 필터, 듀플렉서, 및 이것들을 이용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 및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장치의 입출력 루프 및 결합 루프와 함께 나타낸 캐버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접지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 있어서의 3개의 공진 모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공진 모드간의 결합 조정 및 주파수 조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듀플렉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발명은 개구면을 가지고 내부에 유전체 코어를 수납하며, 표면에 도체막을 피복한 세라믹제의 캐버티와, 이 캐버티의 개구면을 피복하는 도전성을 갖는 패널을 포함하여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구성하지만, 캐버티의 개구면의 도체막과 패널과의 사이에 탄성을 갖는 접지판을 끼움과 동시에, 패널을 고정부재로 캐버티에 고정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캐버티의 개구부와 패널과의 사이에 캐버티 개구면의 도체막과 전기적으로 통하는 접지판을 개재하고, 이들을 탄성 접촉 상태로 접합함으로써, 솔더링에 수반한 접합부의 신뢰성의 문제점과, 접지판의 다양한 이용에 의한 부품수의 증대 및 비용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캐버티 개구부의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제조시의 작업성을 용이하게 한다.
이 발명은, 상기 접지판에 캐버티의 개구면의 도체막과 패널과의 사이 방향에두께를 갖는 돌기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접지판의 재료 자체의 탄성뿐만 아니라, 그 돌기 형상에 의해 전체적으로 큰 탄성을 갖게 하고, 캐버티 개구면의 도체막과 패널과의 전기적 접속 상태(접지 접속)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한다.
또한, 이 발명은 캐버티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 1, 제 2 면을 개구면으로 하고, 각각의 개구면을 피복하는 제 1, 제 2 패널을 배치하고, 이 2개의 패널을 서로 나사로 고정한다. 이 구조에 의해, 대향하는 2개의 패널에 결합 루프 등을 각각 형성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 적응 가능하게 하고, 또한, 캐버티 측에 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캐버티를 2개의 패널 사이에 끼워 넣도록 고정하는 것만으로 그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대향하는 2개의 패널을 여러 부분에서 고정하는 나사 중, 적어도 일부는 캐버티 내를 통과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에 따라, 나사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을 특별히 형성함으로써 초래되는 전체적인 대형화를 피한다.
이 발명은 2개의 유전체 기둥이 교차한 십자 형상을 이루는 상기 유전체 코어를 캐버티 내에 일체 성형한 것으로, 캐버티의 개구면에 평행한 면에서의 그 캐버티의 외벽의 단면 형상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하고, 또한 캐버티의 외벽에 상기 2개의 유전체 기둥의 각각의 축 방향에 잘록한 네킹부(necking)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의 일부를 네킹부에서 캐버티 밖에 배치하고, 다른 나사를 네킹부 이외의 위치에서 캐버티 내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 캐버티의 외부를 통과하는 나사를 캐버티의 외형 형상보다 크게 넓어진 위치에 통과시키지 않음으로써, 전체의 대형화를 피한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의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이용하여 필터 및 듀플렉서를 구성한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필터 또는 듀플렉서를 형성하여 통신 장치를 구성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a 및 1b는 각각 유전체 세라믹제의 캐버티이고, 도면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을 각각 개구면으로 하고 있다. 이들 캐버티의 내부에는 유전체 코어(2a, 2b)를 각각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도 2는 이 유전체 코어를 일체화한 캐버티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3은 캐버티(1a, 1b)의 상부 개구면을 피복하는 금속제 패널, 4는 그 하부 개구면을 피복하는 금속제 패널이다. 5a 및 5b는 캐버티(1a, 1b)의 상부 개구면과 상부 패널(3)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접지판, 6a 및 6b는 캐버티(1a, 1b)의 하부 개구면과 하부 패널(4)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접지판이다. 7a 및 7b는 각각 동축 커넥터이고, 이 예에서는 7a는 입력측, 7b를 출력측으로서 이용한다. 또한, 상부 패널(3)의 내면(도면에서 하면)에는 동축 커넥터(7a, 7b)의 중심 도체와 상부 패널(3)과의 사이에 루프를 구성하는 입출력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하부 패널(4)의 캐버티 내부를 향하는 면(도면에서 상면)에는 결합 루프(10a, 10b)를 장착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버티(1a, 1b)의 내부에는 2개의 유전체 기둥이 교차한 십자 형상을 이루는 유전체 코어(2a, 2b)를 일체 성형하고 있고, 전체를 유전체 코어 일체형 캐버티로 하고 있다. 캐버티의 개구면에 평행한 면에서의 캐버티의 외벽의 단면 형상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하고, 또한 캐버티의 외벽에는 2개의 유전체 기둥의 각각의 축방향에 잘록한 네킹부(11)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캐버티(1a, 1b)의 외측면과 상하의 개구면에는 Ag전극 등의 도체막을 피복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8은 상부 패널(3)과 하부 패널(4)과의 사이에 접지판(5a, 5b, 6a, 6b) 및 캐버티(1a, 1b)를 끼워 넣는 16개의 나사이다. 단, 도면에서는 나사의 포개짐에 의한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일부를 생략하고 있다.이들 16개의 나사는 상부 패널(3)에 형성된 구멍(h11∼h18, h21∼h28)의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고, 그것에 대향하여 형성된 하부 패널(4)의 나사 구멍에 각각 나사식 결합한다. 상부 패널(3)의 구멍(h11, h13, h15, h17)을 통과하는 4개의 나사는 캐버티(1a)의 내부를 통과하고, 구멍(h12, h14, h16, h18)을 통과하는 4개의 나사는 캐버티(1a)의 네킹부의 외측 즉, 캐버티의 외부를 통과한다. 마찬가지로, 상부 패널(3)의 구멍(h21, h23, h25, h27)을 통과하는 4개의 나사는 캐버티(1b)의 내부를 통과하고, 구멍(h22, h24, h26, h28)을 통과하는 4개의 나사는 캐버티(1b)의 네킹부의 외측을 통과하다. 또한, 구멍(h13 및 h23)을 통과하는 나사는 동축 커넥터(7a, 7b)를 상부 패널(3)에 고정하기 위해서도 겸용되고 있다.
캐버티 내부에 도체가 존재하면, 그 도체 표면에서 도체 손실이 생기지만, 상기 캐버티 내부를 통과하는 나사를 Ag 도금한 경우에는, 그 표면에서의 도체 손실을 충분히 절감할 수 있고, 공진기의 Q0의 저하는 5∼6%로 억제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접지판(5a, 5b, 6a, 6b)의 각각의 주요부의 단면도를 도 3에 나타낸다. 이들 접지판은 캐버티(1a, 1b)의 개구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프레임을 이루고 있지만, 그 여러 부분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를 프레임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접지판의 전체의 두께 치수를 증가시키고, 그 두께 방향의 탄성 변형 범위를 넓게 하고 있다. 따라서 접지판을 사이에 두고 캐버티의 개구면에 패널(3, 4)을 장착했을 때, 패널(3, 4)이 캐버티(1a, 1b)의 상하 개구면의 도체막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균일하게 접촉함으로써, 확실한 접지 접속이 이루어진다.
도 2에 있어서, 9a는 동축 커넥터(7a)의 중심 도체에 연결되는 입출력 루프, 9b는 동축 커넥터(7b)의 중심 도체에 연결되는 입출력 루프이다. 10a 및 10b는 각각 결합 루프이고, 하부 패널(4)과의 사이에서 각각 루프를 구성한다. 결합 루프(10a)는 입출력 루프(9a)와 상부 패널(3)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 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루프면을 형성하고, 결합 루프(10b)는 마찬가지로 입출력 루프(9b)와 상부 패널(3)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루프면을 형성한다.
그러면, 다음으로 상기 유전체 공진기 장치가 이용하는 모드와 각 모드간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유전체 코어 일체형 캐버티의 하면도이다. 여기에서 두꺼운 선의 화살표는 제 1모드인 (TM110x+TM110y)모드, 가는 선의 화살표는 제 3모드인 (TM110x-TM110y)모드, 파선의 화살표는 제 2모드인 TM111모드의, 각각의 전계 벡터 방향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한, 네킹부(11)를 형성함으로써, TM111 모드의 주파수를 TM110x+TM110y 모드 및 TM110x-TM110y 모드의 주파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둘 다 캐버티의 하면도이고, 이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3개의 모드 중 소정의 모드간의 결합 조정과 각 모드의 주파수 조정을 위해 형성한 구멍 및 홈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튜닝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 x 방향과 y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유전체 기둥이 교차한 십자 형상을 이루는 유전체 코어의 코너 부분에 45도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홈(28, 26)을 형성하고, 이 홈(28)과 홈(26)의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 1모드 (TM110x+TM110y 모드)와 제 2모드 (TM111 모드)의 전계 강도의 분포에 섭동이 주어진다. 이에 따라, 제 1모드와 제 2모드간의 결합을 도모한다. 마찬가지로, 홈(25)과 홈(27)의 크기에 차이를 줌으로써, 제 2모드와 제 3모드 (TM110x-TM110y 모드)와의 결합을 도모하고, 그 차이에 의해 결합 계수를 조정한다.
구멍(21, 23)으로부터 중앙의 구멍(20)으로 연장하는 홈(21′, 23′)은 제 1모드와 제 3모드의 하나의 결합 모드인 TM110x 모드의 주파수를 변화시키고, 구멍(22, 24)으로부터 중앙의 구멍(20)으로 연장하는 홈(22′, 24′)은 제 1모드와 제 3모드의 다른 하나의 결합 모드인 TM110y 모드의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이 홈(21′, 23′)의 깊이와 홈(22′, 24′)의 깊이의 차이에 의해 제 1모드-제 3모드간을 결합시키고, 그 깊이의 차이의 크기에 의해 결합 계수를 조정한다.
또한, 상기 홈(21′, 22′, 23′, 24′)의 깊이에 의해 주로 제 1모드와 제 3모드의 주파수가 변화하고, 홈(28, 26)의 깊이에 의해 주로 제 1모드와 제 2모드의 주파수가 변화하고, 홈(25, 27)에 의해 주로 제 2모드와 제 3모드의 주파수가 변화한다. 따라서, 홈(21′∼24′)의 제 1, 제 3모드의 주파수 변화에 대한 효과와, 제 2 모드의 주파수에 대한 효과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홈(21′∼24′)은 결합용 홈(25, 26, 27, 28)을 형성함으로써 생기는 제 1, 제 2, 제 3 모드의 주파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서도 형성한다.
도 2에 나타낸 입출력 루프(9a)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100)의 제 1모드 (TM110x-TM110y 모드)와고 결합하고, 결합 루프(10a)는 제 3모드 (TM110x+TM110y모드)와 결합한다. 마찬가지로, 유전체 공진기 장치(101)의 입출력 루프(9b)는 제 3모드와 결합하고, 결합 루프(10b)는 제 1모드와 결합한다. 그리고, 이 제 1모드와 제 3모드는 직교 관계에 있기 때문에, 직접 결합은 하지 않고 제 2모드 (TM111 모드)를 통하여 순서대로 결합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7a, 7b)의 사이에, 유전체 공진기 장치(100)의 제 1모드, 제 2모드, 제 3모드, 유전체 공진기 장치(101)의 제 1모드, 제 2모드, 제 3모드의 순서로 결합하고, 합계 6단의 공진기에 의한 대역 통과 특성을 나타내는 필터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이 캐버티에 대한 상하 패널의 장착을, 솔더링을 행하지 않고 나사로 고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간단해지고, 제조에 필요로 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분해도 용이하기 때문에 실험 단계에서도 단기간의 설계가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듀플렉서의 구성예를 도 6에 나타낸다. 이 듀플렉서는 제 1 실시 형태에 나타낸 2개의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 의한 필터를 2세트 형성한 것으로, 도 6은 상부 패널 측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100TX, 101TX는 송신 필터를 구성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 장치이다. 또한 100RX, 101RX는 수신 필터를 구성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 장치이다. 이 4개의 유전체 공진기 장치(100TX, 101TX, 100RX, 101RX)의 캐버티는 상하 2개의 패널로 일괄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일체화하고 있다.
유전체 공진기 장치(100TX, 101TX)에 의한 합계 6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필터는 제 1 실시 형태에 나타낸 필터와 기본 부분은 동일하다. 단, 유전체 공진기장치(101TX)의 3단째의 공진기 즉, 송신 필터의 마지막단의 공진기에 결합하는 결합 루프(9b)와, 유전체 공진기 장치(100RX)의 1단째의 공진기 즉, 수신 필터의 첫번째단의 공진기에 결합하는 결합 루프(9c)와의 사이를 선로로 접속하고 있고, 안테나 단자로서의 동축 커넥터(7ANT)의 중심 도체를 그 선로의 소정점에 접속하고 있다. 이 선로에 의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분기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합계 6단의 공진기에 의한 송신 필터와, 마찬가지로 6단의 공진기에 의한 수신 필터를 구비하고, 동축 커넥터(7TX)를 송신신호 입력단자, 동축 커넥터(7RX)를 수신신호 출력단자로 하는 듀플렉서를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캐버티와 패널과의 접합부의 신뢰성을 높이고, 부품수를 삭감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한다. 또한 캐버티의 개구면의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그 형상에 따라 캐버티의 내외에 나사를 통과시킴으로써, 소형이며 소정의 특성을 갖는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구성한다.
도 7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듀플렉서는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로 이루어지고,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구조의 유전체 듀플렉서를 이용한다. 이 듀플렉서의 송신신호 입력포트에는 송신회로를 접속하고, 수신신호 출력포트에는 수신 회로를 접속하며, 또한 안테나 포트에는 안테나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송신회로에 있어서의 출력부 및 수신회로에 있어서 입력부에는 도 1∼도 5에 나타낸 구조의 유전체 필터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캐버티와 패널과의 접합부의 신뢰성이 높고, 부품수가 삭감되어 저비용화되고, 또한 캐버티의 개구면의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소형이며 소정의특성을 갖는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이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소형·경량화한 통신 장치를 얻는다.
이 발명에 의하면, 캐버티와 패널과의 솔더링에 수반한 접합부의 신뢰성의 문제점, 접지판의 다양한 이용에 의한 부품수의 증대 및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해소되어 캐버티 개구부의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대응 가능해진다.
또한, 접지판에 캐버티의 개구면의 도체막과 패널과의 사이 방향에 두께를 갖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접지판의 두께 방향에 큰 탄성을 갖게 하고, 캐버티 개구면의 도체막과 패널과의 전기적 접속 상태(접지 접속)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캐버티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 1, 제 2개구면을 피복하는 제 1, 제 2패널을 서로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대향하는 2개의 패널에 결합 루프 등을 각각 형성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 적응 가능해지고, 또한, 캐버티 측에 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캐버티를 2개의 패널로 사이에 배치하도록 고정하는 것만으로 그 장착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향하는 2개의 패널을 여러 부분에 고정한 나사 중, 적어도 일부를 캐버티 내를 통과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나사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을 특별히 형성함으로써 초래되는 전체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캐버티의 외벽에 유전체 코어의 2개의 축방향에 잘록한 네킹부를 형성하고, 나사의 일부를 네킹부에서 캐버티 밖에 배치함으로써, 캐버티의 외부를 통과하는 나사를 캐버티의 외형 형상보다 크게 넓어진 위치에 통과시키지 않음으로써,전체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게다가, 캐버티의 내측을 통과하는 나사와 외측을 통과하는 나사로, 패널을 캐버티의 개구면에 압착하기 때문에, 패널에 굽힘 응력이 작용하기 어렵고, 캐버티의 개구면에 있어서의 평면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나사 압착 토르크에 의해 주파수 특성이 변화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상기 기재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전체 공진기 장치, 필터, 듀플렉서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시스템의 기지국용 통신 장치 등에 응용된다.

Claims (9)

  1. 개구면을 가지고 내부에 유전체 코어를 수납하며, 표면에 도체막을 피복한 세라믹제의 캐버티와, 상기 개구면을 피복하는 도전성을 갖는 패널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로,
    상기 개구면에 있어서의 상기 캐버티 표면의 도체막과 상기 패널과의 사이에 탄성을 갖는 접지판을 끼움과 동시에 상기 패널을 상기 캐버티에 압착 상태로 고정하며, 상기 유전체 코어는 2개의 유전체 기둥이 교차한 십자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캐버티 내에 일체 성형된 것으로 상기 캐버티의 개구면에 평행한 면에서의 그 캐버티의 외벽의 단면 형상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하고, 또한 상기 캐버티의 외벽에 상기 2개의 유전체 기둥의 각각의 축 방향에 잘록한 네킹부(necking)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에, 상기 개구면의 도체막과 상기 패널과의 사이 방향에 두께를 갖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면은 상기 캐버티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 1, 제 2개구면이고, 상기 패널은 상기 제 1, 제 2개구면을 각각 피복하는 제 1, 제 2패널이며, 상기 제 1, 제 2패널 사이를 나사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를 여러 부분에 형성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버티 내를 통과하는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의 표면에 Ag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의 일부를 상기 네킹부에서 캐버티 밖에 배치하고, 다른 나사를 상기 네킹부 이외의 위치에서 캐버티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
  7. 제 1항에 기재된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에 입출력 루프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8. 제 7항에 기재된 필터에 있어서, 상기 캐버티와 상기 유전체 코어에 의한 복수의 공진 영역 중 2개의 공진 영역의 공진 모드와 결합하는 입출력 루프를, 또는 그 입출력 루프에 결합하는 전극을, 공통의 안테나용 입출력부로서 외부로 꺼내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9. 제 7항에 기재된 필터 또는 제 8항에 기재된 듀플렉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2002-7003173A 2000-07-10 2001-06-26 유전체 공진기 장치,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470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08916 2000-07-10
JP2000208916A JP2002026602A (ja) 2000-07-10 2000-07-10 誘電体共振器装置、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593A KR20020035593A (ko) 2002-05-11
KR100470312B1 true KR100470312B1 (ko) 2005-02-07

Family

ID=1870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173A KR100470312B1 (ko) 2000-07-10 2001-06-26 유전체 공진기 장치,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60967B2 (ko)
EP (1) EP1300907A4 (ko)
JP (1) JP2002026602A (ko)
KR (1) KR100470312B1 (ko)
CN (1) CN1205694C (ko)
WO (1) WO2002005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232A (ko) * 2002-11-16 2004-05-2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주파수 필터의 커버 고정 수단
EP1962370A1 (en) * 2007-02-21 2008-08-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electric multimode resonator
CN101895004A (zh) * 2010-03-17 2010-11-24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介质谐振器、弹性导电屏蔽件和介质滤波器
CN102136620B (zh) * 2010-09-03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横磁模介质谐振器、横磁模介质滤波器与基站
CN114270623B (zh) * 2019-05-10 2024-06-11 株式会社Kmw 复合型滤波器组装体
CN209929461U (zh) * 2019-06-28 2020-01-1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谐振器装置和滤波器装置
CN113782929B (zh) * 2021-07-26 2022-08-05 深圳市数创众泰科技有限公司 一种带阻滤波器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927A (en) * 1895-04-23 Ball-bat
US3104876A (en) * 1963-09-24 Baseball bat comprising a square cross
US3246894A (en) * 1963-03-11 1966-04-19 William F Salisbury Baseball training bat or similar article
US3425006A (en) * 1967-02-01 1969-01-28 Johnson Service Co Cavity resonator with mode discriminating means
US3679205A (en) * 1970-07-08 1972-07-25 Eugene D Finkle Tennis racket for developing tennis swing
US4399996A (en) * 1978-10-10 1983-08-23 Boyce Gary C Practice bat
US4555111A (en) * 1983-08-26 1985-11-26 Alvarez Manuel R Practice bat
JPS61251207A (ja) 1985-04-27 1986-11-08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器
JPS62118605A (ja) 1985-11-19 1987-05-30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器
JPS63266902A (ja) * 1987-04-23 1988-11-04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器
US5011145A (en) * 1987-09-04 1991-04-30 Bartkowicz Robert J Baseball bat with rotary grip
JPH01112607A (ja) 1987-10-26 1989-05-0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パターン状電解酸化膜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H01122607A (ja) 1987-11-05 1989-05-15 Kawasaki Steel Corp 連続処理ラインの溶接装置
JPH071846Y2 (ja) * 1988-02-15 1995-01-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の取付構造
IT1244441B (it) 1990-09-13 1994-07-15 Chiesi Farma Spa Dispositivo per l'inalazione boccale di farmaci aerosol
JP3068682B2 (ja) 1990-10-04 2000-07-24 ハマダ印刷機械株式会社 ウェブ加工機
US5165683A (en) * 1991-08-15 1992-11-24 Industrial Design & Engineering Advancement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port swing training
JPH0680961A (ja) 1992-09-03 1994-03-22 Fujitsu Ltd 蛍光体製造方法
JPH06244611A (ja) * 1993-02-12 1994-09-02 Toshiba Corp 高周波分配器
JPH0722887A (ja) 1993-06-30 1995-01-24 Sony Corp 電力制御装置
US5839983A (en) * 1993-07-09 1998-11-24 Kramer; Robert M. T. Adjustable grips for a ball bat
US5395107A (en) * 1993-10-12 1995-03-07 De Pippo; Richard J. Hitting training attachment apparatus
JP3230353B2 (ja) 1993-11-18 2001-11-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共用器
JP3316554B2 (ja) 1994-08-26 2002-08-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装置
JP3339223B2 (ja) 1994-12-26 2002-10-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装置
JPH08222905A (ja) 1995-02-17 1996-08-30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器装置
US5516097A (en) * 1995-04-13 1996-05-14 Huddleston; Allen D. Flexible section baseball bat
JP3554945B2 (ja) 1995-08-09 2004-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装置
JPH1084201A (ja) 1996-09-10 1998-03-31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器装置
JP3577868B2 (ja) * 1997-01-31 2004-10-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3重モード誘電体共振器
JPH11112204A (ja) 1997-10-08 1999-04-23 Alps Electric Co Ltd 誘電体フィルタ及びその誘電体フィルタを有する電子機器
DE19841078C1 (de) * 1998-09-09 2000-05-18 Forschungszentrum Juelich Gmbh Abstimmbarer Hohlraumresonator
JP3389868B2 (ja) 1998-11-09 2003-03-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の自動特性調整方法、自動特性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誘電体フィルタの製造方法
US6241629B1 (en) * 1999-11-26 2001-06-05 Sports Vision, Inc. Baseball and softbal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6539392B1 (en) * 2000-03-29 2003-03-25 Bizrate.Com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llection,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and presentation
JP3506121B2 (ja) * 2000-03-30 2004-03-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6569042B2 (en) * 2001-01-16 2003-05-27 Lachance James L. Sports swing development device
US20040162167A1 (en) * 2003-02-14 2004-08-19 Stevens Craig Kenton Baseball training a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00907A1 (en) 2003-04-09
CN1389001A (zh) 2003-01-01
US6960967B2 (en) 2005-11-01
KR20020035593A (ko) 2002-05-11
JP2002026602A (ja) 2002-01-25
WO2002005377A1 (fr) 2002-01-17
EP1300907A4 (en) 2004-06-16
CN1205694C (zh) 2005-06-08
US20020171509A1 (en) 200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1886B (zh) 具有交叉耦合槽口结构的空腔型射频滤波器
US6549092B1 (en) Resonator device, filter, composite filter device,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US7138891B2 (en) Dielectric resonator device,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327912B1 (ko) 대역저지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를 사용한 통신장치
KR20000057804A (ko) 유전체필터
EP1148574B1 (en) Dielectric resonator,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US6236288B1 (en) Dielectric filter having at least one stepped resonator hole with a recessed or protruding portion, the stepped resonator hole extending from a mounting surface
KR100337166B1 (ko) 유전체 필터, 송수신 공용기 및 통신기
JP5134092B2 (ja) 導波管遷移構成
EP1764858B1 (en) Dielectric device
KR100470312B1 (ko) 유전체 공진기 장치,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JP3480381B2 (ja) 誘電体共振器装置、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装置、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WO1995020248A1 (fr) Appareil a resonateur dielectrique a double mode tm dote d&#39;une fenetre de couplage de champ electromagnetique, et appareil a filtre passe-bande dote de l&#39;appareil a resonateur dielectrique
US6150906A (en) HF filter using resonators having convex-concave structure
JP3512178B2 (ja) 共振器及び高周波フィルタ
JP2001085908A (ja) 多重モード共振器装置、フィルタ、複合フィルタ装置、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2020072450A (ja) 誘電体共振部品
JP3554945B2 (ja) 誘電体共振器装置
US6137382A (en) Dielectric duplexer and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such dielectric duplexer
JPH07147505A (ja) アンテナ共用器
JP2002100912A (ja) 導波管回路の製造方法および導波管回路
JPS594203A (ja) 誘電体フイルタ
JPS625701A (ja) マイクロ波フイルタ
JPH10294602A (ja) 誘電体共振器および誘電体フィルタ
JPH09246808A (ja) 誘電体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誘電体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