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841B1 -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841B1
KR100469841B1 KR10-2002-0011533A KR20020011533A KR100469841B1 KR 100469841 B1 KR100469841 B1 KR 100469841B1 KR 20020011533 A KR20020011533 A KR 20020011533A KR 100469841 B1 KR100469841 B1 KR 100469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ensor
cam sensor
lu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013A (ko
Inventor
오재욱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8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B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OR OF POSITIVE-DISPLACEMENT TYPE, e.g. STEAM ENGINES
    • F01B25/00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 F01B25/02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working-fluid admission or exhaust, e.g. by varying pressure or quantity
    • F01B25/04Sen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를 위하여 캠샤프트내의 캠타이밍을 인지하기 위한 캠센서를 설치함에 있어서, 부품의 진동 등에 의해 캠센서와 캠센서용 러그의 에어갭(D)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면서 연료분사 제어를 위한 캠타이밍이 정확히 인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린더헤드(300)에 캠샤프트(400)를 직각방향으로 향하는 구멍(310)을 형성한 후 상기 구멍(310)통해 캠센서(100)를 끼워넣어 고정하고, 캠샤프트(400)에는 상기 캠센서(100)와 대향된 위치에 캠센서용 러그(200)를 설치하므로서, 캠센서(100)와 캠센서용 러그(200)가 설치되는 실린더헤드(300)와 캠샤프트(400)가 직접 결합됨에 따라 부품이 유동되더라도 캠센서(100)와 캠센서용 러그(200)의 에어갭(D)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캠샤프트(400)가 축방향으로 유동되더라도 캠센서(100)와 캠센서용 러그(200)의 에어갭(D)이 지속적으로 정확히 유지될 수 있으므로 연료분사 제어를 위한 캠타이밍이 정확히 인지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Installing structure of cam sensor for automobiel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를 위해 캠타이밍을 인지하는 캠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캠센서와 캠센서용 러그간의 에어갭(D)을 정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연료분사의 기통별제어와 이그니션의 기통별제어를 위한 캠타이밍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화장치는 연소실내의 공기와 연료를 압축혼합기에 점화해서 연소시키는 장치이며, 이에는 고전압 발생부, 전류 단속부, 점화시기 제어부, 배전부, 스파크 플러그가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부란 전기회로의 과도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것과 마그넷에 의한 발전을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자동차용으로서는 배터리식 점화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며, 10∼30㎸ 의 고전압을 발생한다.
그리고 전류 단속부는 기계 접점식과 트렌지스터식의 2종류로 대별할 수 있는데, 기계 접점식은 기계식 접점에서 직접 1차 전류를 단속하는 방식이며, 트랜지스터식은 파워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1차 전류를 단속하는 방식이다.
또한 점화시기 제어부는 스파크 플러그에 불꽃을 튀기는 타이밍(점화시기)를 최적시기에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방식에 따라 기계식 진각방식과 전자식 진각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계식 진각방식은 디스트리뷰터에 내장된 원심 진각기구와 진공 진각기구로서 구성되며, 전자식 진각방식은 점화시기를 설정하기 위해 엔진의 크랭크각에 대한 기준위치 및 상대적인 크랭크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말하며 설치위치에 따라 캠 샤프트 또는 캠커버 장착과 크랭크 샤프트 장착의 2종류로 대별된다.
즉, 크랭크 샤프트에 설치되는 크랭크 센서는 가솔린 분사장치에서 주로 점화시기 제어에 필요한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각도를 점검하기 위한 센서이고, 캠샤프트 또는 캠커버에 설치되는 캠센서는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에서 연비향상, 에미션감소 등의 효과를 꾀하고자 각 인젝션마다 최적의 타이밍에서 연료를 분사하는 시켄셜분사 방식의 인젝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4사이클 타입 엔진의 각 실린더의 캠각을 크랭크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장착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캠센서의 설치상태를 예시된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센서(10)가 캠커버(50)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캠센서(10)와 대향된 위치의 캠샤프트(40)에는 캠센서용 러그(Lug)(20)가 설치되어 있어 캠센서(10)와 캠센서용 러그(20)가 일정한 간격의 에어갭(D)(Air Gap)(d)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캠센서(10)가 설치되는 캠커버(50)와 캠센서용 러그(20)가 설치된 캠샤프트(40)는 직접 결합되는 부품이 아니므로 각 부품의 개별적인 유동에 의해 캠센서(10)와 캠센서용 러그(20)간의 에어갭(D)(d)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면서 캠타이밍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 의 경우는 캠센서(10)가 실린더헤드(3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캠센서용 러그(20)는 캠기어(60)의 내면에 형성되어 캠센서(10)와 캠센서용 러그(20)가 에어갭(D)(d)을 유지토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경우 캠샤프트(4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축방향으로 유동될 경우 실린더헤드(30)에 설치된 캠센서(10)와 캠기어(60)의 내면에 형성된 캠센서용 러그(20)의 에어갭(D)(d)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되면서 역시 캠타이밍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캠센서와 캠센서용 러그를 서로 결합되는 부품인 실린더헤드와 캠샤프트에 설치하고 캠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유동되더러도 캠센서와 캠센서용 러그 간의 에어갭(D)을 항시 일정하고 정확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헤드에 캠샤프트를 직각방향으로 향하는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캠센서를 끼워넣어 고정시키며, 캠샤프트에는 상기 캠센서와 대향된 위치에 캠센서용 러그를 설치하여 캠센서와 캠센서용 러그가 에어갭(D)을 유지토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캠센서는 실린더헤드에 설치되고 캠센서용 러그는 캠샤프트에 설치됨에 따라 캠센서와 캠센서용 러그가 서로 결합되는 부품에 설치되는 것이며, 이울러 캠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캠센서와 캠센서용 러그의 에어갭(D)이 정확하고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에 따라 캠샤프트의 캠타이밍이 정확히 인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캠센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종래 캠센서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캠센서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캠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란 캠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캠센서 200 : 캠센서용 러그
300 : 실린더헤드 310 : 구멍
400 : 캠샤프트 D : 에어갭(D)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실린더헤드에 캠센서가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캠센서와 캠센서용 러그의 설치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캠센서와 캠센서용 러그의 설치상태를 단면도로 예시한 것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를 위해 캠타이밍을 인지하는 캠센서를 설치함에 있어서, 실린더헤드(300)의 일측에 캠샤프트(400)를 직각방향으로 향하는 관통된 구멍(310)을 형성한 후 상기 구멍(310)을 통해 캠센서(100)를 끼워넣어 고정시키고, 캠샤프트(400)에는 상기 캠센서(100)와 대향된 위치에 캠센서용 러그(200)를 형성하여 캠센서(100)와 캠센서용 러그(200)가 에어갭(D)을 유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캠센서(100)와 캠센서용 러그(200)의 에어갭(D)이 항시 일정하고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동차 연료분사 제어를 위한 캠타이밍의 인지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토록 한 것이다.
즉,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린더헤드(300)의 일측에 외부와 내부를 서로 관통하는 구멍(310)을 형성하되 구멍(310)이 실린더헤드(300)에 축방향으로 설치되는 캠샤프트(400)와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한 것이며 상기 구멍(310)에 캠센서(100)를 끼워넣어 설치하므로서 캠센서(100)의 감지하는 부위가 구멍 (310)을 관통한 후 캠샤프트(400)와 직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헤드(30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설치되는 캠샤프트(400)의 일측에는 도 4 및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외측둘레의 일부분에 캠센서용 러그(200)를 형성하되 상기 캠센서(100)와 대향된 위치에 형성하여 캠센서용 러그 (200)의 바깥면과 실린더헤드(300)의 구멍(310)에 설치되어 있는 캠센서(100)가 일정한 에어갭(D)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캠센서(100)와 캠센서용 러그(200)가 종래와 같이 직접 결합되지 않는 부품인 캠커버(50)와 캠샤프트(40)에 설치하지 않고 직접 결합되는 부품인 실린더헤드(300)와 캠샤프트(400)에 설치함에 따라 실린더헤드(300) 또는 캠샤프트 (400)가 유동되더라도 함께 유동되면서 캠센서(100)와 캠센서용 러그(200)와의 에어갭(D)이 일정한 간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캠샤프트(400)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캠샤프트(400)에 형성된 캠센서용 러그(200)와 실린더헤드(300)에 설치되어 있는 캠센서(100)와의 에어갭(D)은 항시 일정하고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캠센서와 캠센서용 러그가 서로 결합되는 부품인 실린더헤드와 캠샤프트에 서로 직각방향으로 유지하면서 설치됨에 따라 부품의 유동 및 캠샤프트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캠센서와 캠센서용 러그의 에어갭(D)이 변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서, 연료분사 제어를 위한 캠타이밍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연료분사의 제어를 위해 캠타이밍을 인지하기 위한 캠센서(100)와 캠센서용 러그(200)를 실린더헤드(300)와 캠샤프트(400)에 설치함에 있어서,
    실린더헤드(300)의 일측에 캠샤프트(400)를 직각방향으로 향하는 관통된 구멍(310)을 형성한 후 상기 구멍(310)을 통해 캠센서(100)를 끼워넣어 고정시키고, 상기 캠센서(100)와 상응하는 위치면서 상기 실린더헤드(300)와 직접 결합되는 부품(400)인 일측 외측둘레의 일부분에는 캠센서용 러그(200)를 형성하여 상기 캠센서(100)와 캠센서용 러그(200)가 일정한 에어갭(D)을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
KR10-2002-0011533A 2002-03-05 2002-03-05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 KR100469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533A KR100469841B1 (ko) 2002-03-05 2002-03-05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533A KR100469841B1 (ko) 2002-03-05 2002-03-05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013A KR20030072013A (ko) 2003-09-13
KR100469841B1 true KR100469841B1 (ko) 2005-02-02

Family

ID=3222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533A KR100469841B1 (ko) 2002-03-05 2002-03-05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8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4051A (ko) * 1995-12-29 1997-07-26 김태구 자동차용 캠센서 설치구조
KR970043153U (ko) * 1995-12-26 1997-07-29 엔진의 크랭크 포지션 센서 휠 장착구조
KR19980024204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구조
KR19980049024A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서브프레임의 지지구조
KR19990058225A (ko) * 1997-12-30 1999-07-15 양재신 캠 센싱용 러그를 갖는 캠 샤프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153U (ko) * 1995-12-26 1997-07-29 엔진의 크랭크 포지션 센서 휠 장착구조
KR970044051A (ko) * 1995-12-29 1997-07-26 김태구 자동차용 캠센서 설치구조
KR19980024204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구조
KR19980049024A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서브프레임의 지지구조
KR19990058225A (ko) * 1997-12-30 1999-07-15 양재신 캠 센싱용 러그를 갖는 캠 샤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013A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9973A (en) Igni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469841B1 (ko)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
KR200159997Y1 (ko)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구조
US6655367B2 (en) Plug-hole-installed ignition coil uni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0146730B1 (ko) 자동차용 캠센서 설치구조
JPH09219275A (ja) 点火プラグ
JP2000357578A (ja) 点火プラグ
KR200174439Y1 (ko) 자동차용 점화 플러그 장착 구조
JP4659287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7288552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内燃機関の制御方法
US20240072519A1 (en) Method for installing spark plugs on a cylinder hea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03102B1 (ko) 예연소실장착구조
KR101163805B1 (ko) 인젝터 구조
KR100273539B1 (ko) 엔진 운전 정지시 실린더내 연료잔류 방지방법
KR20070052801A (ko) 엔진과 자동변속기의 조립성 향상을 위한 크랭크 포지션센서 휠과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토오크컨버터에의 장착구조
JP2557721Y2 (ja) 燃料噴射ノズルとグロープラグの取付構造
KR19980059821A (ko) 가솔린엔진의 점화플러그
Goering et al. Ignition Circuits
JP2001248531A (ja) 内燃機関の点火プラグ取付構造
JP2006328972A (ja) 点火装置
WO2015053254A1 (ja) センサの誤検出を回避できる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3193950A (ja) 内燃機関及びカバー
JPH09256939A (ja) 点火プラグ及びその取り付け構造
JPS59155572A (ja) 低質燃料を使用する2サイクル内燃機関における混合気加熱装置
KR19980055415U (ko) 자동차점화배전기용 캡과 베이스어셈블리의 체결위치결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