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997Y1 -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997Y1
KR200159997Y1 KR2019960037593U KR19960037593U KR200159997Y1 KR 200159997 Y1 KR200159997 Y1 KR 200159997Y1 KR 2019960037593 U KR2019960037593 U KR 2019960037593U KR 19960037593 U KR19960037593 U KR 19960037593U KR 200159997 Y1 KR200159997 Y1 KR 200159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ensor
cam
air gap
sensor
engin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204U (ko
Inventor
이계신
오재욱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60037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99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2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9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20/00Details on specific features characterising valve gear arrangements
    • F01L2820/04Sensors
    • F01L2820/041Camshafts position or phas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캠 센서를 엔진 블록에 고정시, 캠 센서와 캠 기어의 에어갭을 정확히 설정하더라도, 캠 센서와 연관된 부품의 미세한 공차나 부품과 부품의 조립시 발생되는 공차들이 누적되게 되면 캠 센서와 캠 기어의 에어갭에 변화가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측이 캠 센서(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410)로 되어 있고, 타측은 엔진 블록(500)에 취부하기 위한 체결부(420)로 구성된 캠 센서 브라켓(4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20)를 내향 절곡하여 절곡부(421)로 형성하고, 절곡부(421)에는 캠 센서 브라켓(400)이 유동될 수 있도록 장공(422)을 형성하므로써, 타 부품의 공차로 인하여 에어갭(D)이 달라지더라도 캠 센서 브라켓(400)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유동시켜 캠 센서(300)와 캠 기어(200)간의 에어갭(D)을 다시 정확히 설정해줄 수 있으므로 에어갭(D)의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 구조
일반적으로 점화장치는 연소실내의 공기와 연료의 압축혼합기에 점화해서 연소시키는 장치이며, 이에는 고전압 발생부, 전류 단속부, 점화시기 제어부, 배전부, 스파크 플러그가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부란 전기회로의 과도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바테리를 전원으로 하는 것과 마그넷에 의한 발전을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자동차용으로서는 바테리식 점화시스템이 쓰이고 있으며, 10 ∼ 30㎸의 고전압을 발생한다. 그리고 전류 단속부는 기계 접점식과 트렌지스터식의 2 종류로 대별할 수 있다. 기계 접점식은 기계식 접점에서 직접 1 차 전류를 단속하는 방식이며, 트랜지스터식은 파워트랜지스터를 써서 전기적으로 1 차 전류를 단속하는 방식이다.
또한 점화시기 제어부는 스파크 플러그에 불꽃을 튀기는 타이밍(점화시기)를 최적시기에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방식에 따라 기계식 진각방식과 전자식 진각방식으로 대별된다. 기계식 진각방식은 디스트리뷰터에 내장된 원심 진각기구와 진공 진각기구로서 구성되며, 전자식 진각방식은 점화시기를 설정하기 위해 엔진의 크랭크각에 대한 기준위치 및 상대적인 크랭크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말하며, 설치위치에 따라 캠 샤프트 장착과 크랭크 샤프트 장착의 2 종류로 대별된다.
즉, 크랭크 샤프트에 설치되는 크랭크 센서는 가솔린 분사장치에서 주로 점화시기 제어에 필요한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각도를 점검하기 위한 센서이고 캠샤프트에 설치되는 캠 센서는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에서 연비향상, 에미션감소 등의 효과를 꾀하고자 각 인젝션마다 최적의 타이밍에서 연료를 분사하는 시켄셜분사 방식의 인젝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4 사이클 타입 엔진의 각 실린더의 캠각을 크랭크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장착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상기한 캠 센서는 설치상태를 도 1 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캠 샤프트(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캠 기어(20)의 하단부에 캠 센서(30)를 취부하되, 캠 센서 브라켓(40)의 일측 고정부(41)에 상기 캠 센서(30)를 고정시키고 타측 체결부(42)를 볼트(6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엔진 블록(50)에 체결하여 고정시켰다. 이때 캠 센서 브라켓(40)에 의해 고정된 캠 센서(30)는 그 감지 대상인 캠 기어(20)와 정확한 에어갭(d)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캠 센서(30)와 연결된 여러부품의 공차가 누적되게 되면 캠 센서(30)의 에어갭(d)에 오차가 생기게 때문에 에어갭(d)을 정확히 관리하기가 상당히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엔진 블록에 캠 센서를 취부하기 위한 캠 센서 브라켓의 구조를 변경하여 캠 센서와 캠 기어의 에어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타 부품으로 인하여 누적된 공차를 감안하여 상기 캠 센서를 이동시키므로서, 에어캡을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이 캠 센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로 되어 있고, 타측은 엔진 블록에 취부하기 위한 체결부로 구성된 캠 센서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를 내향 절곡하여 절곡부로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엔진 블록에 볼트로 체결하기 위한 장공을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캠 기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캠 센서가 엔진 블록에 취부된 후, 캠 센서와 연관된 타 부품의 조립과정 중 발생되는 공차로 인하여 캠 센서와 캠 기어의 에어갭이 변하였을 경우, 캠 센서 브라켓의 절곡부 장공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를 풀어준 후, 캠 센서 브라켓을 이동시켜 캠 센서와 캠 기어의 에어갭을 정확히 맞춘 다음 다시 볼트를 조여 캠 센서 브라켓을 고정시킴에 따라 에어갭의 관리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캠 센서 400 : 캠 센서 브라켓
410 : 고정부 420 : 체결부
421 : 절곡부 422 : 장공
500 : 엔진 블록 600 : 볼트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의 캠 센서 브라켓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로써,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측이 캠 센서(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410)로 되어 있고, 타측은 엔진 블록(500)에 취부하기 위한 체결부(420)로 구성된 캠 센서 브라켓(4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20)를 내향 절곡하여 절곡부(421)로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421)에는 엔진 블록(500)에 볼트(600)로 체결하기 위한 장공(422)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은 캠 기어이며, (510)은 엔진 블록(500)의 돌부이고, (700)은 에어갭픽스쳐 게이지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캠 센서 브라켓(400)의 일측 고정부(410)에 캠 센서(300)를 취부한 후, 타측의 절곡된 체결부(420)를 엔진 블록(500)에 체결하되, 상기 체결부(420)의 절곡부(421)가 엔진 블록(500) 중 전방으로 돌출된 돌부(510)의 저면에 위치되게 한 후, 상기 캠 센서(300)와 캠 기어(200)의 에어갭(D)을 설정하기 위하여 에어갭픽스쳐 게이지(700)를 캠 센서(300)와 캠 기어(200)의 사이에 놓고 에어갭(D)을 맞춘 후, 볼트(600)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캠 센서 브라켓(400)의 절곡부(421)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422)을 통해 엔진 블록(500)에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캠 센서(300)를 엔진 블록(500)에 취부하여 캠 기어(200)와의 에어갭(D)을 설정해놓은 상태에서 타 부품의 공차나 부품과 부품의 조립시 발생되는 공차 등이 누적되어 상기 캠 기어(200)와 캠 센서(300)의 에어갭(D)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는 상기 캠 센서 브라켓(400)의 장공(422)을 통해 엔진 블록(500)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600)를 약간 풀어준 후, 에어캡픽스쳐 게이지(700)를 이용하여 캠 센서 브라켓(400)을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에어갭(D)을 정확히 한 후, 상기 풀어준 볼트(600)를 조여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캠 센서를 엔진 블록에 고정시, 캠 센서 브라켓을 프론트 록킹 타입으로 사용하여 캠 센서와 캠 기어의 에어갭을 정확히 설정하더라도, 캠 센서와 연관된 부품의 미세한 공차나 부품과 부품의 조립시 발생되는 공차들이 누적되게 되면 캠 센서와 캠 기어의 에어갭에 변화가 생기게 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캠 센서의 브라켓이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타부품의 공차로 인하여 에어갭이 달라지더라도 캠 센서 브라켓을 유동시켜 캠 센서와 캠 기어간의 에어갭을 다시 정확히 설정해줄 수 있으므로 에어갭의 관리를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캠 센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캠 센서가 엔진 블록에 취부된 후, 캠 센서와 캠 기어의 간격(에어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캠 센서의 브라켓을 구성하므로써, 타 부품의 누적 공차로 인하여 캠 센서와 켐 기어의 에어갭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 상기 캠 센서의 위치를 이동시켜 에어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캠 센서와 캠 기어 간의 에어갭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일측이 캠 센서(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410)로 되어 있고, 타측은 엔진 블록(500)에 취부하기 위한 체결부(420)로 구성된 캠 센서 브라켓(4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20)를 내향 절곡하여 절곡부(421)로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421)에는 엔진 블록(500)에 볼트(600)로 체결하기 위한 장공(422)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 구조.
KR2019960037593U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구조 KR200159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593U KR200159997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593U KR200159997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204U KR19980024204U (ko) 1998-07-25
KR200159997Y1 true KR200159997Y1 (ko) 1999-11-01

Family

ID=1947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593U KR200159997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9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841B1 (ko) * 2002-03-05 2005-02-02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204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9808623A (pt) Instalação de suprimento de combustìvel
US5239973A (en) Igni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513234B1 (en) Pre-chamber igniter having adjustable electrode
BR9607633A (pt) Instalação de injeção de combustível para uma máquina de combustão interna de ignição espontânea
KR200159997Y1 (ko) 자동차의 캠 센서 설치구조
JP2001329930A (ja) 筒内噴射式エンジンの燃料インジェクタ取付構造
KR100469841B1 (ko)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
KR0146730B1 (ko) 자동차용 캠센서 설치구조
KR100920412B1 (ko) 기계식 플런저형 압축착화 엔진으로부터 개조된 불꽃점화 엔진의 크랭크 및 캠 포지션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개조된 불꽃점화 엔진
KR20070052801A (ko) 엔진과 자동변속기의 조립성 향상을 위한 크랭크 포지션센서 휠과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토오크컨버터에의 장착구조
KR100210450B1 (ko) 자동차의 크랭크축 위치센서의 설치구조
KR100279308B1 (ko) 전자식 인젝션펌프의 액츄에이터 고정장치
KR100215509B1 (ko) 가솔린엔진의 점화플러그
KR200174439Y1 (ko) 자동차용 점화 플러그 장착 구조
KR200282407Y1 (ko) 디젤엔진을 개량하여 엘피지 또는 천연가스를 연료로사용하는 엔진
KR100259902B1 (ko) 차량의점화장치점화시기제어방법
KR100203102B1 (ko) 예연소실장착구조
KR19980034338A (ko) 차량에 있어서, 과다 흡기부압에 의한 엔진오일 이상소모 방지방법
KR101163805B1 (ko) 인젝터 구조
KR200176417Y1 (ko) 배전기의 고정장치
KR100412562B1 (ko)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타이밍 보정방법
JPH0658222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ポンプの燃料制限位置管理治具
JP2557721Y2 (ja) 燃料噴射ノズルとグロープラグの取付構造
KR19980045389A (ko) 내연기관의 압력제어 점화장치
Goering et al. Ignition Circ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