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827B1 - 2×1고무편조직을가지는통형상편성포의편성방법 - Google Patents

2×1고무편조직을가지는통형상편성포의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827B1
KR100469827B1 KR1019970055676A KR19970055676A KR100469827B1 KR 100469827 B1 KR100469827 B1 KR 100469827B1 KR 1019970055676 A KR1019970055676 A KR 1019970055676A KR 19970055676 A KR19970055676 A KR 19970055676A KR 100469827 B1 KR100469827 B1 KR 100469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s
knitted fabric
nose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237A (ko
Inventor
하루오 코수기
마사오 오쿠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1998003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전후 1쌍의 침상의 서로 대향하는 각 6본의 합계12본의 바늘을 유니트로 한다.
유니트를 침상에 따라서 복수배치하고, 각 유니트의 전후의 침상의 제1 및 제6침을 표면코의 형성에, 한쪽의 침상의 제2, 4침과 다른 쪽의 침상의 제3, 5침을 이면코의 형성에 할당하고, 다른 바늘을 편목의 배열용의 보조침으로 한다.

Description

2×1고무편조직을 가지는 통형상 편성포의 편성방법
본 발명은, 트릭갭(trick gap)을 사이에 두고 앞뒤로 침상을 배치시킨 횡편기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그 양측단에서 연결된 통형상 편성포를, 2×1편으로 편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횡편기를 사용하여 몸체 및 소매를 통형상으로 편성함과 아울러, 이들을 편성중에 일체화하여, 편성포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대략 완성품에 가까운 스웨터를 생산하는 방법이 주목되고 있다. 횡편기의 앞침상에 스웨터의 소매나 몸체의 앞측부분을, 뒤침상에 그 뒤측부분을 건 상태에서, 각 부의 양단부가 연결된 개략 통형상의 편성포가 편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편성된 것은, 봉제공정이 불필요하던가, 있더라도 극히 약간으로 끝나기 때문에, 봉제작업의 번잡성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미싱에 의한 봉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니트의 특성인 신축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생산방식은, 스웨터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니트의류에 대하여도 채용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무봉제 니트라고 불리고, 본 출원인은 지금까지 일본특허공고 평3-75656호, 특허공고 평3-16413호, 특허공고 평4-15301호, 특허공고 평4-153346호 등에서 다수의 제안을 하여왔다.
본 발명의 주제에 관련하는 통형상체로 고무편부를 편성하는 방법은, 상기 특허공고 평3-75656호나 특허공고 평3-16413호에 개시된다. 특허공고 평3-75656호는, 앞뒤에 1쌍의 침상을 가지는 이른바 2매 베드 횡편기에 의하여 통형상체로 고무편을 편성하기 위한 기본기술을 개시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2매 베드 횡편기에 의한 무봉제 니트의류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일본특허공고 평3-16413호는 1×1고무편 편성되는 옷단부분의 신축성을 높이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한다.
2×1고무편은, 상기의 1×1고무편과 마찬가지로, 몸체나 소매의 옷단부분에 잘 이용되는 편성법이고, 이것은 신축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고무단 등에 사용되는 2×1고무편을 통형상으로 편성하는 방법을 개시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뒤에 침상을 가지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고무단 등에 사용되는 2×1고무편으로 이루어진 통형상체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발명에서는, 좌우방향으로 늘어나고 또한 앞뒤방향으로 대향하는 적어도 앞뒤 1쌍의 침상을 보유하고, 상기 1쌍의 침상은 각각 다수의 바늘을 가지며, 또한 상기 한쌍의 침상은 대향부에 트릭갭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래킹(racking)가능하고, 상기 침상사이에서 편성코의 코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고,
제1의 침상에 제1의 편성포를, 제2의 침상에 제2의 편성포를 부속시켜서, 앞뒤로 포개고, 또한 제1의 편성포와 제2의 편성포가 편폭의 측단에서 연결된 상태에서 편성되는 통형상 편성포를 편성하고, 또한
앞뒤침상의 각 제1~6바늘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하는 합계 12바늘로 이루어진 바늘군을 통형상 편성포의 2×1고무편의 유니트로서 할당하고,
각 유니트의 제1침상의 제1·6바늘을 제1의 편성포의 표면코 형성용의 편침으로 하고, 제2침상의 제1·6바늘을 제2의 편성포의 표면코 형성용의 편침으로 하고, 제2침상의 제2·4바늘을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 형성용의 편침으로 하고, 제1침상의 제3·5바늘을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 형성용의 편침으로 하고, 다른 바늘을 코 배열용 보조바늘로 하고,
그 유니트를 침상위의 소정구간의 바늘에 대하여 반복배치하고,
A) 제2의 편성포를 2×1고무편 편성하기 위해 상기 각 유니트의 제2침상의 제2바늘 및 제4바늘에 걸린 코를 제1침상의 보조바늘로 옮기고, 또한 제2침상의 보조바늘에 걸린 코를 제1침상의 제3바늘과 제5바늘에 옮기고, 그러 후에, 제2침상의 제1·6바늘 및 제1침상의 제3·5바늘에 편사를 공급하는 제2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공정; 및
B) 제1의 편성포의 코단을 2×1고무편 편성하기 위해, 상기 각 유니트의 제1침상의 제3·5바늘에 걸린 코를 제2의 침상의 보조바늘에 옮기고, 또한 제1침상의 보조바늘에 걸린 코를 제2침상의 제2·4바늘에 옮기고, 그런 후에, 제1침상의 제1·6바늘 및 제2침상의 제2·4바늘에 편사를 공급하여 제1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공정을 형성하여,
상기 A), B)의 공정을 반복하여 행하고, 2×1고무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상 편성포를 편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B)의 공정을 반복한 후에, 각 유니트의 제1침상의 제1바늘의 코와 제2침상의 제2바늘의 코를, 제1 또는 제2침상의 제2바늘 위에 포개고, 또한, 제2침상의 제6바늘의 코와 제1침상의 제5바늘의 코를 제1 또는 제2침상의 제5바늘 위에 포갠다.
또, 이 발명에서는, 상기 제1침상의 제1∼6바늘 및 제2침상의 제2∼7바늘로 이루어지고, 서로 바늘 1개만큼 시프트한 합계 12바늘로 이루어진 바늘군을 통형상 편성포의 2×1고무편의 유니트로서 할당하고,
각 유니트의 제1침상의 제2·4바늘(또는 제1·3바늘)을 제1의 편성포의 표면코 형성용 편침으로 하고, 제2침상의 제5·7바늘(또는 제4·6바늘)을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 형성용 편침으로 하고, 제1침상의 제1·3바늘(또는 제2·4바늘)을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 형성용 편침으로 하고, 제2침상의 제4·6바늘(또는 제5·7바늘)을 제2의 편성포의 표면코 형성용 편침으로 하고, 제2침상의 제5바늘(또는 제4바늘)로 형성되는 제1편성포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제1침상의 제5바늘(또는 제4바늘)로 하고, 제2침상의 제7바늘(또는 제6바늘)로 형성되는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제1침상의 제5바늘(또는 제4바늘)로 하고, 제2침상의 제7침(또는 제6바늘)로 형성되는 제1편성포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제1침상의 제6바늘(또는 제5바늘)로 하고, 제1침상의 제1바늘(또는 제3바늘)로 형성되는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제2침상의 제2바늘(또는 제3바늘)로 하고, 제1침상의 제3바늘(또는 제4바늘)로 형성되는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제2침상의 제3바늘(또는 제4바늘)로 하고,
이 유니트를 침상위의 소정구간의 바늘에 대하여 반복배치하고,
A) 제2의 편성포의 코단을 2×1고무편 편성하기 위해, 상기 전개된 각 유니트의 제2침상의 편침에 걸리는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를 제1침상의 보조바늘에 옮기고, 또한, 제2침상의 보조바늘에 걸리는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를 제1침상의 편침에 옮기고, 그런 후, 제1침상 및 제2침상의 제2의 편성포를 건 바늘에 편사를 공급하여 제2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공정; 및
B) 제1의 편성포의 코단을 2×1고무편 편성하기 위해, 상기 전개된 각 유니트의 제1침상의 편침에 걸리는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를 제2침상의 보조바늘에 옮기고, 또한, 제1침상의 보조바늘에 걸리는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를 제2침상의 편침에 옮기고, 그런 후에, 제1침상 및 제2침상의 제1의 편성포를 건 바늘에 편사를 공급하여 제1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공정을 형성하고,
상기 A), B)의 공정을 반복하여 행하여, 2×1고무편조직으로 이루어진 통형상 편성포를 편성한다.
본 발명의 편성방법을, 통형상으로 편성되는 스웨터의 몸체부의 옷단부분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형상 편성포는, 후술하는 실시에서의 앞뒤 편성포의 양단부가 연결된 완전한 통형상체로 편성되는 편성포에만 한정되지 않고, 앞뒤 몸체부의 양단의 한쪽이 개방된 것이거나, 가디건과 같이 앞몸체부의 중앙부에 있어서 편성포가 분단되어 있는 것 등도 포함한다. 편성에 사용되는 횡편기는, 좌우방향으로 늘어나고, 또한, 트릭갭을 사이에 두고 앞뒤방향으로 대향하는 앞뒤 1쌍의 침상을 갖고, 상기 1쌍의 침상은 각각 다수의 바늘을 가지며, 상기 침상사이에서 편성코의 코옮김이 가능하고, 또한, 뒤침상이 좌우로 래킹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실시예1
도 1에 무봉제 편성된 스웨터(1)를 표시한다. 도 2의 P는 2×1고무편조직으로 편성된 스웨터의 고무단부분(5)의 기본이 되는 바늘겨레, 즉, 유니트를 표시한다. 유니트(P)는, 앞침상(제1침상)의 바늘 A*∼F*와, 앞침상(제1침상)의 바늘 a*∼f*의 바늘, 합계 12바늘로 구성된다. 앞고무단부분(5f)의 2×1고무편은, 앞침상의 첫 번째의 바늘A*, 뒤침상의 2·4번째의 바늘 b*·d* 및 앞침상의 6번째의 바늘 F*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뒤고무단부분(5b)는, 뒤침상의 첫 번째의 바늘 a*, 앞침상의 3·5번째의 바늘 C*·E* 및 뒤침상의 6번째의 바늘 f*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앞침상의 2·4번째의 바늘 B*·D*는 뒤침상의 바늘 b*·D*로 형성된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이다. 뒤몸체(3b)의 2×1고무편의 코단의 편성동안, 앞몸체(3f)의 이면코는 이들의 바늘에 맡겨진다. 마찬가지로 뒤침상의 3·5번째의 바늘 c*·e*는 앞침상의 바늘 C*·E*로 형성된 뒤몸체(3b)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이다. 앞몸체(3f)의 2×1고무편의 코단의 편성동안, 뒤몸체(3b)의 이면코는 이들의 바늘에 맡겨진다. 이와 같이하여 구성된 2×1고무편을 위한 유니트(P)는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소망의 편폭을 가지는 통형상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해, 적당수(P1, P2… ) 반복하여 침상위의 각 바늘에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니트(P)를, 앞침상의 바늘 A∼R, 뒤침상의 바늘 a∼r에 전개시켜서, 고무단부분을 편성한다. 알파벳 대문자는 앞침상의 바늘, 소문자는 뒤침상의 바늘을 표시한다.
도 3은, 앞고무단부분(제1의 편성포)를 앞침상의 바늘에 부속시키고, 뒤고무단부분(제2의 편성포)를 뒤침상의 바늘에 부속시켜서 편성이 행하여지는 상태를 표시한다. 도 3(A)는, 앞몸체(3f)의 옷단의 2×1고무편의 코가 앞침상의 바늘에, 뒤몸체(3b)의 옷단2×1고무편의 코가 뒤침상의 바늘에 각각 걸린 상태를 표시하고, 흰동그라미로 표시된 것이 제1의 편성포의 코이고, 검은 동그라미 기호로 표시된 것이 제2의 편성포의 코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부속"이라함은, 앞몸체(3f)의 코단이 편성되는 동안은 도 3(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뒤몸체(3b)의 코를 뒤침상의 바늘에 걸고, 마찬가지로, 뒤몸체(3b)의 코단이 편성되는 동안은, 도 3(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앞몸체(3f)의 코를 앞침상의 바늘에 거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도 6은, 스웨터(1)의 옷단부분의 편성스텝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급사부재(7)를 사용하고, 편사를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먼저 뒤고무단부분의 코단을 형성하고, 이어서 편사를 우측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앞고무단부분의 코단을 편성한다. 이와 같이 편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공급하여, 통형상 편성포를 편성한다. 도면의 우측에, 코단의 편성의 방향과 코옮김의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뒤침상은 앞침상에 대하여 래킹가능하고, 바늘 A-a, B-b… 가 마주보는 상태를 래킹전의 기준위치로 한다. 그리고 편성에 사용하는 바늘수는 설명의 편의상 실제보다 적은 수로 하였다.
이하, 각 편성스텝에 대하여 설명한다. 뒤고무단부분의 편성시작부의 편성이 스텝1∼8, 앞고무단부분의 편성시작부의 편성이 스텝9∼12, 앞뒤고무단부분의 반복 편성이 스텝13∼16, 고무단부분 편성후의 몸체부 편성으로의 배열이 스텝17∼23, 평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의 편성이 스텝24∼25이다. 도면의 S는, 편성포 편성의 최초에 행하여지는 드로오 드레드 편성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침상위의 코의 걸림상태를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앞몸체부의 드로오 드레드의 코가 앞침상의 바늘B,D,H,J,N,P에, 뒤몸체부의 드로오 드레드에 뒤침상의 바늘 c,e,i,k,o,q에 걸린다.
스텝1∼8에서, 드로오 드레드 편성에 이어서 뒤몸체부(3b)의 편성시작과 엔드 자루편성이 행하여진다. 스텝1에서는, 뒤몸체(3b)의 드로오 드레드에 의하여 형성된 코를 앞침상의 바늘 C,E,I,K,O,Q에 옮긴다. 이어서 스텝2에서, 급사부재(7)를 좌우단의 바늘(A)을 건너 뛴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 때에 바늘(A)에 편사를 훅크시킨다. 스텝3에서는 코형성을 행하지 않고, 급사부재(7)만을 바늘(A)의 좌측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스텝1∼3은, 래킹이 없는 기준위치에서 행하여진다.
스텝4는, 뒤몸체의 옷단부분의 편성시작단의 편성을 표시하고, 뒤침상이 좌측으로 바늘 1.5개 만큼 래킹한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급사부재(7)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앞뒤침상의 바늘 a,c,f,E,g,i… 에 급사하여 코형성을 행한다. 스텝5는, 급사부재(7)를 측단의 바늘(R)을 건너 뛴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 때에 바늘(R)에 편사를 훅크시킨 후, 스텝6에서 급사부재(7)를 바늘(R)의 우측까지 이동시킨다. 스텝7, 8은 편성시작단의 편성에 이어지는 엔드 자루편성을 표시하고, 스텝7에서 바늘 r,m,I,g,f,a에 급사하여, 편성시작단에 이어서 코단을 형성한다. 스텝8에서, 바늘 C,E,I,K,O,Q에 급사하여, 코단을 형성한다.
다음에 스텝9∼12에서, 앞고무단부분의 편성시작과 랜드 자루편성을 행한다. 먼저, 스텝9에서, 앞침상의 바늘 C,E,I,K,O,Q에 걸린 뒤몸체(3b)의 이면코를 뒤침상의 보조바늘 c,e,i,k,o,q에 맡기고, 뒤고무단부분의 코를 모두 뒤침상의 바늘에 부속시킨다. 동시에 뒤고무단부분의 드로오 드레드의 코를 뒤침상의 바늘 b,d,h,j,n,p에 옮긴다. 스텝10에서, 앞고무단부분의 편성시작단의 편성을, 뒤침상을 좌측으로 바늘 1.5개 만큼 래킹시켜서 행한다. 급사부재(7)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앞뒤침상의 바늘 R,p,M,n,L,j… 에 급사하여 코를 형성한다. 스텝2, 5에서 훅크된 코를 이때 짜들어가고, 앞뒤고무단부분의 편성시작부분을 편성포의 양측단에서 강고하게 연결한다. 스텝11, 12는 편성시작부 편성후의 엔드 자루편성을 표시하고, 스텝11에서 바늘 A,F,G,L,M,R에 급사하여, 편성시작단에 이어지는 코단을 형성한다. 스텝12에서, 바늘 p,n,j,h,d,b에 급사하여 코단을 형성한다.
스테13에서, 다음에 행하여지는 뒤고무단부분의 2×1고무편을 행하기 위해, 뒤침상의 바늘 d,b,h,j,n,p에 걸리는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일단 앞침상의 보조바늘 B,D,H,J,N,P에 예탁한다. 이것과 함께 스텝9에서 뒤침상의 바늘 c,e,i,k,o,q에 예탁된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앞침상의 바늘 C,E,I,K,O,Q에 옮긴다. 스텝14에서, 급사부재(7)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바늘 a,c,E,f,g,I… 에 급사하여, 뒤고무단부분의 2×1고무편의 코단을 형성한다. 스텝15에서, 스텝9와 동일하게 다음의 앞고무단부분 편성을 위한 코의 배열을 한다. 스텝16에서, 급사부재(7)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바늘 R,p,n,M,L,j… 에 급사하여, 앞고무단부분의 2×1고무의 코단을 편성한다, 상기의 스텝13∼16의 4스텝을 적당회수 반복하면, 소망길이의 고무단부분을 통형상으로 편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뒤침상을 정위치에 정지시킨 채로, 코단의 형성과 배열을 행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2캠시스템이상의 다중캠시스템을 가지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각 스텝을 캠시스템에 할당하면, 더욱 생산성이 높아진다.
스텝17∼23은, 고무단부분의 형성에 이어지는 몸체부 편성을 위한 코의 배열을 표시한다. 먼저, 스텝17에서, 뒤침상에서 바늘 1개만큼 래킹하여, 취침상의 바늘b,h,n에 걸리는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앞침상의 바늘 C,I,O에 옮긴다. 스텝18에서, 뒤침상을 좌측으로 바늘1개만큼 래킹하여, 앞침상의 바늘 A,G,M에 걸리는 앞고무단부분의 표면코를 뒤침상의 바늘 b,h,n에 옮긴다. 이후, 스텝19에서, 이들을 앞침상의 바늘 B,H,N에 재차 코옮김을 행하는 동시에, 뒤침상의 바늘 C,I,O에 옮겨진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바늘 D, J, P에 옮긴다. 이어서, 스텝 20에서 뒤침상을 우측으로 바늘 1개만큼 래킹하고, 앞의 스텝17에서 앞침상의 바늘 C,I,O에 옮겨진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뒤침상의 바늘 b,h,n에 옮긴다. 그 후, 스텝21에서, 이들을 앞침상의 바늘 B,H,N에 옮긴다. 이에 의하여, 앞침상의 바늘 B,H,N에 먼저 옮겨진 앞고무단부분의 표면코에, 뒤침상의 바늘 b,h,n에서 형성된 이면코가 포개진다. 이 시점에서, 앞고무단부분의 코는 1개 띠우기의 바늘 B,D,F,H,J… 에 걸리게 되어, 앞몸체(3f)의 편성의 준비가 완료된다.
스텝21에서, 뒤침상의 바늘 e,k,q에 걸린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앞침상의 바늘 E,K,Q에 옮긴다. 스텝22에서, 뒤침상을 우측으로 바늘1개만큼 래킹하고, 뒤침상의 바늘 f,l,r에 계지되는 뒤고무단부분의 표면코를, 앞침상의 바늘 G,S,M에 옮긴다. 그 후, 스텝23에서, 뒤침상을 우측으로 바늘2개만큼 래킹하여, 이들을 뒤침상의 바늘 e,k,q에 재차 코옮김한다. 스텝24에서, 앞침상의 바늘 E,K,Q에 걸리는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뒤침상의 뒤고무단부분의 표면코를 거는 앞침상의 바늘 e,k,q에 옮겨 포갠다. 이에 의하여 뒤몸체(3b)의 편성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스텝25, 26에서, 고무단부분에 이어서 편직조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의 최초의 코단을 편성하고, 스텝25에서, 뒤몸체(3b)의 코단가, 스텝26에서, 앞몸체(3f)의 코단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니트의 앞침상의 제3·5바늘로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형성하고, 뒤침상의 제2·4바늘로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들에 대신하여, 앞침상의 제2·4바늘로,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형성하고, 뒤침상의 제3·5바늘로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2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1에서의 도 2에 대응하고, 본 실시예의 2×1고무편을 위한 유니트를 표시한다. 유니트(Q)는 앞침상의 1∼6번째의 바늘 A*∼F*와, 뒤침상의 2∼7번째의 바늘 a*∼f*의 합계 12바늘로 구성된다. 앞고무단부분의 2×1고무편은, 앞침상의 2·4번째의 바늘 B*·D* 및 뒤침상의 5·7번째의 바늘 d*·f*로 행하여지고, 뒤고무단부분의 고무편은, 앞침상의 1·3번째의 바늘 A*·e*로 행하여진다. 앞침상의 5번째의 바늘 E*는, 뒤침상의 5번째의 바늘 d*로 형성된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이고, 6번째의 바늘 F*는, 뒤침상의 7번째의 바늘 f*로 형성된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 배열용의 보조바늘이다. 뒤고무단부분의 2×1고무편 편성동안,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는 이들의 바늘에 맡겨진다. 마찬가지로, 뒤침상의 2번째의 바늘 a*은 앞침상의 1번째의 바늘 A*로 형성된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이고, 뒤침상의 2번째의 바늘 b*는, 앞침상의 3번째의 바늘로 형성된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이고, 앞고무단부분의 2×1고무편의 편성동안,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는 이들의 바늘에 예탁된다. 상기 유니트(Q)를 앞침상의 바늘A∼R, 뒤침상의 바늘D∼S에 전개시켜서, 고무단부분을 편성한다.
도 8은 도 3에 대응하고, 도 8A는, 앞고무단부분의 2×1고무편의 코가 앞침상의 바늘에, 뒤고무단부분의 2×1고무편의 코가 침상의 바늘에 걸린 상태를 표시한다. 도 9∼도 11은 편성스텝을 표시하고,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뒤고무단부분, 앞고무단부분, 뒤고무단부분… 의 순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급사하면서, 통형상 편성포의 각 코단을 편성한다.
이하, 각 편성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뒤고무단부분의 편성시작부의 편성이 스텝1∼4이고, 앞고무단부분의 편성시작부의 편성이 스텝5∼9이고, 앞뒤고무단 부분의 반복편성에 스텝10∼15에서 행하여지고, 고무단부분 편성후의 몸체 편성을 위한 코의 배열과, 몸체의 1단의 편성이 스텝16∼26에서 행하여진다. 도면의 S는 드로오 드레드에 의한 편성이 완료된 상태의 침상위의 코의 걸림상태를 표시하고, 앞고무단부분의 드로오 드레드의 코가 앞침상의 바늘 B,H,J,N,P에 뒤고무단부분의 드로오 드레드의 뒤침상의 바늘 c,e,i,k,o,q에 걸린다.
스텝1∼4에서는, 드로오 드레드 편성에 이어서 뒤고무단부분의 편성시작과 엔드 자루편성단을 편성한다. 먼저, 스텝1에서 뒤침상을 좌측으로 바늘 2개만큼 래킹하고, 뒤고무단부분의 드로오 드레드의 코를 앞침상의 바늘 A,C,G,I,M,O에 옮긴다. 스텝2에서, 침상을 래킹시킨 상태에서, 급사부재(7)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앞뒤침상의 바늘 A,d,C,f,G,j,… 에 급사하고, 뒤고무단부분의 편성시작단을 편성한다. 이어서, 스텝3에서 바늘 r,p,l,j,f,d에 급사하고, 스텝4에서 기준위치에서 래킹시킨 후, 바늘 A,C,G,I,M,O에 급사하여 상기 편성시작단에 이어서 엔드자루편성(end tubular knit)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5∼9에서, 앞고무단부분의 편성시작 및 엔드자루편성이 행하여진다. 먼저, 스텝5에서, 앞침상의 바늘 C,I,O에 걸리는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뒤침상의 보조바늘 c,i,o에 예탁한다. 다음의 스텝6에서 뒤침상을 좌측으로 바늘1개만큼 래킹시키고, 앞침상의 바늘 A,G,M에 걸리는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뒤침상의 보조바늘(b,h,n)에 예탁한다. 이와 같이하여, 뒤고무단부분의 코를 모두 뒤침상의 바늘에 부속시킨다. 스텝7에서, 침상을 기준위치로부터 좌측으로 바늘 2개만큼 래킹시킨 상태에서, 급사부재(7)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앞뒤침상의 바늘 s,P,q,N,m,J… 에 급사하여, 앞고무단부분의 편성시작단을 편성한다. 그 후, 스텝8에서, 바늘 B,D,H,J,N,P에 급사하고, 이어서 스텝9에서 침상을 기준위치에 래킹시켜서, 바늘 s,q,m,k,g,e에 급사하고, 이어서 엔드자루편성단을 편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의 실시예의 도 3의 스텝2,3,5,6에 대응하는 편성을 생략하였다.
스텝10, 11에서, 위고무단부분의 2×1편직을 행하기 위해, 코를 배열한다. 먼저, 스텝10에서, 뒤침상의 바늘 e,k,q에 걸리는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일단 앞침상의 바늘 E,K,Q에 예탁함과 아울러, 스텝5에서 뒤침상의 보조바늘 c,i,o에 예탁된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앞침상의 바늘 C,I,O에 옮긴다. 다음에, 스텝11에서, 뒤침상을 좌측으로 바늘 1개만큼 래킹하고, 바늘 g,m,s에 걸리는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앞침상의 바늘 F,L,R에 예탁함과 아울러, 스텝6에서 뒤침상의 보조바늘 b,h,n에 예탁된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앞침상의 바늘 A,G,M에 옮긴다. 스텝12에서, 기준위치에 래킹하여 급사부재(7)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바늘 A,C,d,f,G,I… 에 급사하여, 뒤고무단부분의 2×1고무편단을 편성한다. 스텝13, 14에서, 다음에 행해지는 앞고무단부분의 편성을 위해 코를 배열하고, 앞침상의 바늘 C,E,I,K,O,Q에 걸리는 코를 뒤침상의 바늘 c,e,i,k,o,q에 옮김과 아울러, 앞침상의 바늘 C,A,F,G,L,M,R에 걸리는 코를 뒤침상의 바늘 b,g,h,m,n,s에 옮긴다. 스텝15에서 급사부재(7)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바늘 s,q,P,N,m,k… 에 급사하여, 앞고무단부분의 2×1고무편단을 편성한다. 상기의 스텝10∼15의 6스텝을 적당회수 반복하여, 고무단부분을 통형상으로 편성한다.
반복종료 후, 스텝16∼21에서, 앞뒤 1단씩 고무단부분의 코단을 더 형성한다. 스텝16∼18에서 뒤고무단부분의 코단을 편성하고, 코배열과 코형성이 행하여지고, 상기 스텝10∼12와 같은 편성을 행한다. 이어서, 스텝19, 20에서, 다음의 앞고무단부분의 코단의 편성을 위한 코의 배열을 행함과 아울러, 고무단부분의 편성이 완료된 후 몸체측에서, 몸체부의 편성을 위한 코를 배열한다. 스텝19에서, 뒤침상을 좌측으로 바늘1개만큼 래킹시키고, 앞침상의 바늘 A,C,G,I,M,O에 걸리는 뒤고무단부분의 최종단의 이면코를 뒤침상의 바늘 b,d,h,j,n,p에 옮기고, 그 결과, 앞침상의 바늘 C,I,O에 결려 있던 이면코는 바늘 d,j,p에 걸리는 표면코에 포개진다. 동시에 앞고무단부분의 편성을 위해, 앞침상의 보조바늘 f,l,r에 걸리는 이면코는 뒤침상의 바늘 g,m,s에 옮겨진다. 스텝20에서 기준위치에 래킹하여, 앞침상의 보조바늘 E,K,O에 걸리는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뒤침상의 바늘 e,k,q에 옮긴다. 스텝21에서 앞고무단부분의 코단을 편성한다.
스텝22에서, 뒤침상을 좌측으로 바늘 1개만큼 래킹하여, 뒤침상의 바늘 e,k,q에 걸리는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바늘 D,J,P에 걸리는 표면코에 포개는 동시에, 바늘 g,m,s에 걸리는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앞침상의 바늘 F,L,R에 옮긴다. 이 스텝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앞고무단부분의 코는 앞침상의 바늘 B,D,F,H,J… 에, 뒤고무단부분의 코는 뒤침상의 바늘b,d,f,h,j… 에 각각 걸린다. 스텝23에서, 급사부재(7)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뒤침상의 상기 바늘에 급사하여, 뒤몸체(3b)의 최초의 코단을 편성한다. 이어서, 스텝24, 25에서, 뒤침상의 상기 바늘에 걸리는 뒤몸체(3b)의 코를 바늘 1개만큼 좌측으로 시프트시키고, 뒤몸체(3b)의 코를 바늘 a,c,e,g,i… 에 건다. 이에 의하여 침상위의 각 코를 거는 바늘은, 대향하는 침상위에 빈바늘을 얻는다. 스텝26에서, 급사부재(7)를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앞침상의 바늘 R,P,N,L,J… 에 급사하여, 앞몸체(3f)부의 최초의 코단을 편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니트의 앞침상의 제2·4바늘로 앞고무단부분의 표면코를, 뒤침상의 바늘5·7바늘로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앞침상의 제1·3바늘로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뒤침상의 제4·6바늘로 뒤고무단부분의 표면코를 형성하였다. 뒤침상의 제5바늘로 형성되는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앞침상의 제5바늘로 하고, 뒤침상의 제7바늘로 형성되는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앞침상의 제6바늘로 하고, 앞침상의 제1바늘로 형성되는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뒤침상의 제2바늘로 하고, 앞침상의 제3바늘로 형성되는 뒤고무단부분의 배열용 보조바늘을 뒤침상의 제3바늘로 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신해서, 앞침상의 제1·3바늘로 뒤고무단부분의 표면코를, 뒤침상의 제4·6바늘로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전침상의 제2·4바늘로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를, 뒤침상의 제5·7바늘로 뒤고무단부분의 표면코를 형성하고, 뒤침상의 제4바늘로 형성되는 앞고무단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앞침상의 제4바늘로 하고, 뒤침상의 제6바늘로 형성되는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앞침상의 제5바늘로 하고, 앞침상의 제3바늘로 형성되는 앞고무단부분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뒤침상의 제3바늘로 하고, 앞침상의 제4바늘로 형성되는 뒤고무단부분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뒤침상의 제4바늘로 하여도 좋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유니트를 구성하는 바늘 A*·a*가 편폭의 좌측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3회(정수회)전개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여 앞고무단부분과 뒤고무단부분의 편폭의 경계부분에도 2×1고무편 패턴이 무너지는 일 없이 연속편직되므로, 편성포의 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2×1고무편의 패턴을 무너트리지 않기 위하여는, 편폭의 좌측단을 바늘 A*·a* 또는 바늘 D*·d*로부터 시작하여, 편폭의 우측단을 바늘 F*·f*또는 바늘 C*·c*에서 끝나도록 유니트를 전개시키면 된다. 그러나, 유니트는 반드시 상기와 같이 전개시킬 필요는 없고, 편성포의 좌측단을 바늘 A*·a*∼바늘 F*·f*의 어느 하나의 바늘로부터 시작하여, 우측단의 어느 하나의 바늘에서 끝나도록 하여도 상관이 없다.
그리고, 상기의 예로서는, 스웨터(1)의 옷단부분에 2×1고무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편성포를 편성하였으나, 옷단부에 한정하지 않고, 소매나 몸체부 전체를 고무편으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예컨데 양말이나 서포터 등의 통형상체의 편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통형상체의 고무편을 적용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는 신축성이 풍부한 통형상 편성포를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지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도 3∼도 6의 실시예와, 도 7∼도11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실시예1은 반복부에 래킹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실시예2에 비하여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2메 베드의 횡편기를 사용하였으나, 4매 베드 등의 것 등이라도 좋다.
상기의 편성방법을 실시하면, 제1의 편성포와 제2의 편성포의 측단이 연결된 통형상체에 신축성이 개선된 2×1고무편을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할 수 있고, 무봉제 니트에 의한 편성포 편성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코수가 크기 때문에 강도가 풍부하고, 또한 신축성에 뛰어난 통형상의 2×1고무편 편성포가 얻어진다.
도 1은, 무봉제 편성된 스웨터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2×1고무편의 유니트가 침상위에 전개된 상태를 표시한다.
도 3은, 실시예1에 있어서의 침상위에 있어서의 앞몸체, 뒤몸체의 각 고무단 부분의 코의 걸림상태를 표시한다.
도 4는, 실시예1의 옷단부분의 편성시스템을 표시한다.
도 5는, 실시예1의 옷단부분의 이후부분의 편성시스템을 표시한다.
도 6은, 실시예1의 옷단부분의 더 이후부분의 편성시스템을 표시한다.
도 7은, 발명의 실시예2의 2×1고무편의 유니트가 침상위에 전개된 상태를 표시한다.
도 8은, 실시예2에 있어서의 침상위에 있어서의 앞몸체, 뒤몸체의 각 옷단 고무부의 코의 걸림상태를 표시한다.
도 9는, 실시예2의 옷단부분의 편성시스템을 표시한다.
도 10은, 실시예2의 옷단부분의 이후부분의 편성시스템을 표시한다.
도 11은, 실시예2의 옷단부분의 더 이후부분의 편성시스템을 표시한다.

Claims (3)

  1. 좌우방향으로 늘어나고, 또한 앞뒤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앞뒤 1쌍 이상의 침상을 보유하고, 상기 1쌍의 침상은 각각 다수의 바늘을 가지며, 또한 상기 1쌍의 침상은 대향부에 트릭갭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래킹가능하고, 상기 침상사이에서 편성코의 코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제1의 침상에 제1의 편성포를, 제2의 침상에 제2의 편성포를 부속시켜서, 앞뒤로 포개어 지고 또한 제1의 편성포와 제2의 편성포가 편폭의 측단에서 연결된 상태로 편성되는 통형상 편성포를 2×1고무편으로 이루어진 편조직으로 편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앞뒤침상의 각 제1~6바늘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하는 합계 12바늘로 이루어지는 바늘군을 통형상 편성포의 2×1고무편의 유니트로서 할당하고,
    각 유니트의 제1침상의 제1·6바늘을 제1의 편성포의 표면코 형성용 편침으로 하고, 제2침상의 제1·6바늘을 제2의 편성포의 표면코 형성용 편침으로 하고, 제2침상의 제2·4바늘을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 형성용 편침으로 하고, 제1침상의 제3·5바늘을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 형성용 편침으로 하고, 다른 바늘을 코배열용 보조바늘로 하고,
    그 유니트를 침상위의 소정구간의 바늘에 대하여 반복배치하고,
    A) 제2의 편성포를 2×1고무편 편성하기 위해, 상기 각 유니트의 제2침상의 제2·4바늘에 걸린 코를 제1침상의 보조바늘에 옮기고, 또한, 제2침상의 보조바늘에 걸린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를 제1침상의 제3·5바늘에 옮기고, 그런 후에, 제2침상의 제1·6바늘 및 제1침상의 제3·5바늘에 편사를 공급하여 제2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공정; 및
    B) 제1의 편성포를 2×1고무편 편성하기 위해, 상기 각 유니트의 제1침상의 제3·5바늘에 걸린 코를 제2침상의 보조바늘에 옮기고, 또한, 제1침상의 보조바늘에 걸린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를 제2침상의 제2·4바늘에 옮기고, 그런 후에, 제1침상의 제1·6바늘 및 제2침상의 제2·4바늘에 편사를 공급하여 제1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공정을 형성하여,
    상기 A), B)의 공정을 반복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고무편조직으로 이루어진 통형상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B)공정을 반복한 후에, 각 유니트의 제1침상의 제1바늘의 코와 제2침상의 제2바늘의 코를 제1침상 또는 제2침상의 제2바늘 위에서 포개고, 또한 제2침상의 제6바늘의 코와 제1침상의 제5바늘의 코를 제1침상 또는 제2침상의 제5바늘 위에서 포개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고 무편조직으로 이루어진 통형상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좌우방향으로 늘어나고, 또한, 앞뒤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앞뒤 1쌍 이상의 침상을 보유하고, 상기 1쌍의 침상은 각각 다수의 바늘을 가지며, 또한 상기 1쌍의 침상은 대향부에 트릭갭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래킹가능하고, 상기 침상사이에서 편성코의 코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제1의 침상에 제1의 편성포를, 제2의 침상에 제2의 편성포를 부속시켜서, 앞뒤로 포개고, 또한 제1의 편성포와 제2의 편성포가 편폭의 측단에서 연결된 상태로 편성되는 통형상 편성포를 2×1고무편으로 이루어진 편조직으로 편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침상의 제1∼6바늘 및 제2침상의 제2~7바늘로 이루어지고, 서로 바늘 1개만큼 시프트한 합계 12바늘로 이루어진 바늘군을 통형상 편성포의 2×1고무편의 유니트로서 할당하고,
    각 유니트의 제1침상의 제2·4바늘(또는 제1·3바늘)을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형성용의 편침으로 하고, 제2침상의 제5·7바늘(또는 제4·6바늘)을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 형성용 편침으로 하고, 제1침상의 제1·3바늘(또는 제2·4바늘)을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 형성용 편침으로 하고, 제2침상의 제4·6바늘(또는 제5·7바늘)을 제2의 편성포의 표면코 형성용 편침으로 하고, 제2침상의 제5바늘(또는 제4바늘)로 형성되는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제1침상의 제5바늘(또는 제4바늘)로 하고, 제2침상의 제7바늘(또는 제6바늘)로 형성되는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제1침상의 제6바늘(또는 제5바늘)로 하고, 제1침상의 제1바늘(또는 제3바늘)로 형성되는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제2침상의 제2바늘(또는 제3바늘)로 하고, 제1침상의 제3바늘(또는 제4바늘)로 형성되는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 배열용 보조바늘을 제2침상의 제3바늘(또는 제4바늘)로 하고,
    이 유니트를 침상위의 소정구간의 바늘에 대하여 반복배치하고,
    A) 제2의 편성포를 2×1고무편 편성하기 위해, 상기 각 유니트의 제2침상의 편침에 걸린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를 제1침상의 보조바늘에 옮기고, 또한 제2침상의 보조바늘에 걸린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를 제1침상의 편침에 옮기고, 그런 후에 제1침상과 제2침상의 제2의 편성포를 거는 바늘에 편사를 공급하여, 제2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공정; 및
    B) 제1의 편성포를 2×1고무편 편성하기 위해, 상기의 각 유니트의 제1침상의 편침에 걸린 제2의 편성포의 이면코를 제2침상의 보조바늘에 옮기고, 또한, 제1침상의 보조바늘에 걸린 제1의 편성포의 이면코를 제2침상의 편침에 옮기고, 그런 후에 제1침상과 제2침상의 제1의 편성포를 거는 바늘에 편사를 공급하여 제1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공정을 형성하여,
    상기 A), B)의 공정 반복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고무편조직으로 이루어진 통형상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9970055676A 1996-10-29 1997-10-28 2×1고무편조직을가지는통형상편성포의편성방법 KR100469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286266A JP3126315B2 (ja) 1996-10-29 1996-10-29 2×1ゴム編み組織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96-286266 1996-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237A KR19980033237A (ko) 1998-07-25
KR100469827B1 true KR100469827B1 (ko) 2005-05-19

Family

ID=1770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676A KR100469827B1 (ko) 1996-10-29 1997-10-28 2×1고무편조직을가지는통형상편성포의편성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73266A (ko)
EP (1) EP0839940B1 (ko)
JP (1) JP3126315B2 (ko)
KR (1) KR100469827B1 (ko)
CN (1) CN1104518C (ko)
DE (1) DE69721443T2 (ko)
ES (1) ES219265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9747B1 (fr) * 1998-06-15 2000-08-18 Terrot Procede de fabrication d'un article tricote et article ainsi obtenu
DE10027534A1 (de) * 2000-06-02 2001-12-13 Stoll & Co 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ohlkörper-Gestricks
EP1396564A1 (de) * 2002-09-04 2004-03-10 H. Stoll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ipp-Gestrick-Sektionen
EP1396565B1 (de) * 2002-09-04 2008-03-19 H. Stoll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ipp-Gestrick-Sektionen
JP5695862B2 (ja) * 2010-08-25 2015-04-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出し方法
JP5698482B2 (ja) * 2010-09-17 2015-04-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外増やし方法、および編地
DE102011012767A1 (de) * 2010-09-18 2012-03-22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lauchgestricks
JP5695978B2 (ja) * 2011-06-02 2015-04-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ホール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5736250B2 (ja) * 2011-06-28 2015-06-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5905347B2 (ja) * 2012-06-29 2016-04-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2014025159A (ja) * 2012-07-25 2014-02-06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
JP6084041B2 (ja) * 2013-01-10 2017-02-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物基材の形成方法、編物基材、およ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
CN103866478B (zh) * 2014-03-04 2015-06-17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由双针床横编机编织织可穿1×1罗纹组织织物的方法
CN103866479A (zh) * 2014-03-04 2014-06-18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由双针床横编机编织织可穿2×1罗纹组织织物的方法
CN103866482B (zh) * 2014-03-05 2015-09-23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由双针床横编机编织织可穿2×2罗纹组织织物的方法
US10100445B2 (en) * 2014-04-03 2018-10-16 Nike, Inc. Method of forming a unitary knit article using flat-knit construction
EP3138431B1 (en) * 2014-05-02 2019-04-17 Shima Seiki Mfg., Ltd. Shoe upper and method for knitting shoe upper
CN104264355B (zh) * 2014-08-27 2016-04-06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由双针床横编机编织金属线织物的方法
US10368590B2 (en) 2015-11-03 2019-08-06 Nike, Inc. Flat-knit support garment for upper torso
US10145042B2 (en) 2017-05-02 2018-12-04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10415164B2 (en) 2017-05-02 2019-09-17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US10912340B2 (en) 2017-05-02 2021-02-09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JP6501824B2 (ja) * 2017-05-29 2019-04-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接合方法
US11142854B2 (en) 2018-10-03 2021-10-12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CN111304808B (zh) * 2020-03-09 2021-07-16 斓帛职业培训学校(桐乡)有限公司 一种两针板圆筒状2x1紧罗纹针织结构及其编织方法
CN114000251B (zh) * 2021-11-05 2023-01-13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侧缝仿手缝装饰线的编织方法及其组织和织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4154A (ja) * 1984-03-07 1985-10-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袋編地の編成方法
JPH0268337A (ja) * 1988-09-01 1990-03-07 Shima Seiki Seisakusho:Kk ゴム編組織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930005416A (ko) * 1991-08-21 1993-03-23 정용문 통화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전화기의 브랜치 접속방법 및 그 접속회로
EP0533612A2 (en) * 1991-09-19 1993-03-24 José Maria Picaza Azpiroz Process for knitting a seamless garment on flat knitting machines
EP0613971A1 (en) * 1993-03-05 1994-09-07 BENETTON GROUP S.p.A.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mplete garment on a two needle bed flat knitting machine
JPH08113853A (ja) * 1994-10-12 1996-05-07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み幅側縁部に縄柄を編成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85299A (en) * 1966-06-07 1970-03-25 Courtaulds Ltd Knitting Method
JPH02229248A (ja) * 1989-03-03 1990-09-12 Shima Seiki Seisakusho:Kk 筒状編地の編成方法
US5211035A (en) * 1990-03-27 1993-05-18 Drassel,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plit-heel sock
JPH0765258B2 (ja) * 1990-07-17 1995-07-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端部処理方法
JP2530254B2 (ja) * 1990-10-31 1996-09-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端部処理方法及び端部に意匠的処理を施してなる編地
JP2538421B2 (ja) * 1990-12-13 1996-09-2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ツト製品に於ける衿首用編地の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4154A (ja) * 1984-03-07 1985-10-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袋編地の編成方法
JPH0268337A (ja) * 1988-09-01 1990-03-07 Shima Seiki Seisakusho:Kk ゴム編組織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930005416A (ko) * 1991-08-21 1993-03-23 정용문 통화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전화기의 브랜치 접속방법 및 그 접속회로
EP0533612A2 (en) * 1991-09-19 1993-03-24 José Maria Picaza Azpiroz Process for knitting a seamless garment on flat knitting machines
EP0613971A1 (en) * 1993-03-05 1994-09-07 BENETTON GROUP S.p.A.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mplete garment on a two needle bed flat knitting machine
JPH08113853A (ja) * 1994-10-12 1996-05-07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み幅側縁部に縄柄を編成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9940B1 (en) 2003-05-02
KR19980033237A (ko) 1998-07-25
US5873266A (en) 1999-02-23
CN1181428A (zh) 1998-05-13
ES2192655T3 (es) 2003-10-16
JP3126315B2 (ja) 2001-01-22
JPH10131001A (ja) 1998-05-19
EP0839940A2 (en) 1998-05-06
CN1104518C (zh) 2003-04-02
DE69721443D1 (de) 2003-06-05
EP0839940A3 (en) 1999-04-14
DE69721443T2 (de) 200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827B1 (ko) 2×1고무편조직을가지는통형상편성포의편성방법
CN101910485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KR101244098B1 (ko) 경편지와 그 제조 방법
JP3010480B2 (ja) 筒状編地にダブルジャージー組織からなる編込みジャカードを編成する方法
EP1270782B1 (en)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CN101184879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产品
EP1947224B1 (en) Rib fabric and its knitting method
KR100706657B1 (ko) 편성포 편성방법
CN101263251B (zh) 具有衣领的针织品的编织方法
CN102086560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和针织物
JP3071147B2 (ja) 衿付衣服の編成方法
KR100768346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웨어의 칼라 부분의 편성방법 및 그니트웨어
CN104164737A (zh) 罗纹风格针织物的编织方法及罗纹风格针织物
TW538161B (en) Knit wear knitting method
CN102264963B (zh) 内放针方法及针织物
US5692399A (en) Method of knitting fabric having three-dimensional silhouette shape
KR20020015058A (ko) 신축성이 뛰어난 코빼기 처리방법
CN110592787B (zh) 一种扩大孔眼的编织方法
KR100872365B1 (ko) 칼라 형성방법
EP2208814B1 (en) End-connecting method for doubly-cylindrical fabric
CN102965823A (zh) 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及筒状针织物
JP3699530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017179637A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H08144160A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3541097B2 (ja) 筒状編成における増し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