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196B1 -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 Google Patents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196B1
KR100468196B1 KR10-2002-0073626A KR20020073626A KR100468196B1 KR 100468196 B1 KR100468196 B1 KR 100468196B1 KR 20020073626 A KR20020073626 A KR 20020073626A KR 100468196 B1 KR100468196 B1 KR 10046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extract
present
cosmetic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732A (ko
Inventor
정종각
김용수
김윤사
이영하
Original Assignee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1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감초, 고삼, 백반, 사간, 오배자, 죽순, 천궁, 황금, 황련 또는 황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Antibiotic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herb medicines}
본 발명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초, 고삼, 백반, 사간, 오배자, 죽순, 천궁, 황금, 황련 또는 황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균제는 현재 많은 종류가 제품화되어 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널리사용되고 있다.
항균제는 항균력에 따라 항진균제 및 항세균제로 나눌 수 있는데 항진균제는 곰팡이와 같은 진핵세포를 갖는 고등생물의 성장을 억제 또는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항세균제는 박테리아(세균류)등과 같은 원핵세포를 갖는 하등생물의 성장을 억제 또는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 항생제를 말한다.
현재까지는 주로 항균제(항진균, 항세균제)는 곰팡이 등에서 얻어내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얻어내고 있다.
이들 항진균제로는 예를 들어, 암포테리신 비(Amphotericin B),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크리니판 에이디(Crinipan A D), 플루코나졸(Fluconazole), 그리세오풀빈(Griseofulvin),할로프로긴(Haloprogin),헥사클로로펜(Hexachlorophene),이크티올(Ichthyol),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케토코나졸(Ketoconazole),마이코나졸(Miconazole), 나이스타틴(Nystatin: 마이코스타틴(Mycostatin)), 피마리신 (Pimaricin : 나타마이신(Natamycin)), 테르비나파인(Terbinafine) 등이 있다.
또, 항세균제로는 예를 들어, 아다팔렌 겔(Adapalene gel),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후시딘산(Fusidic acid), 레조키놀(Resorcinol), 레티논산 (Retino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설폰아미드(Sulfonamide), 테트라싸이클린(Tetracycline), 트리클로산(Trichlosan), 페니실린(Penicillin)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 항진균 및 항세균제는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정제과정 등이 까다롭고 제품화되어 사용시 미생물의 내성이 증가하는 부작용이 있었다. 또한, 미용기능에 대한 부분이 검토되지 않아 연고제 등으로 도포하는 경우 원하지 않는 피부 트러블(접촉피부염) 및 부작용이 수반되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부작용이 없으면서 목적하는 항진균 및 항세균 기능을 갖는 항생제 개발이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트러블 등의 부작용이 없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종류의 균만이 아니라 피부병이나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다양한 세균 및 진균에 작용하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균 효과 및 피부 미용 개선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약 추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무좀 유발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여드름 유발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무좀 환자에게 사용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여드름 환자에게 사용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 사용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감초, 고삼, 백반, 사간, 오배자, 죽순, 천궁, 황금, 황련 또는 황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감초, 고삼, 백반, 사간, 오배자, 죽순, 천궁, 황금, 황련 또는 황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항균제(항진균, 항세균)와는 달리, 여러 가지 생약을대상으로 이를 여러 용매를 사용 추출, 정제한 후 피부트러블 유발균 (여드름, 무좀, 칸디다증, 질염등)에 적용, 항균성이 있는 생약을 스크리닝하고, 각 생약을 복합 처방하여 피부병이나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다양한 세균 및 진균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얻게 되었다.
또한 개발된 생약 추출물은 생약 각각 및 복합 추출물에 대하여 피부 부작용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미용기능(미백, 수렴, 각질제거, 항산화, 잔주름제거, 보습, 영양 공급, 항알레르기, UV 차단효과 등)에 대한 효능시험을 행한 결과,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이 다양한 미용 효능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생약 추출물을 피부병(피부트러블)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세균, 진균, 원충 등)에 적용하여 시험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병원성 미생물(피부트러블 유발균)은 다음과 같다.
① 여드름 유발균(1종) :Propionibacterium acnes
② 무좀(백선)유발균 (5종) :Epidermophyton floccosum
Microsporum audouinii
Trichophyton ferrugine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rubrum
③ 비듬유발균(1종) :Pityrosporum ovale
④ 외음질염 또는 항문주위 칸디다증 유발균 (1종) :Candida albicans
⑤ 성병(여성질염, 요도염, 방광염등과 남성의 요도염)
유발균(1종) :Trichomonas vaginalis
위 시험 균주는 균주은행(한국 과학기술원 유전자 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아 시험하였다.
본 발명자는 우선 동의보감, 중약대사전, 본초학, 천연물과학, 대한약전, 생약(生藥)규격집, 약초의 성분과 이용, 생약학등과 학술자료에서 항균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생약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 총 255종의 생약이 피부병(무좀, 백선, 비듬, 외음부 및 항문 칸디다증을 유발하는 표재성 진균증과 여드름 및 피부트러블을 일으키는 세균성 질환등)유발균에 항균효과가 있다고 조사되었다.
이들 생약중 국내 및 외국에서 구입하기 힘들거나 매우 고가의 생약은 경제성과 다량 생산 체계시의 문제점을 감안 실험에서 제외하여 본 시험에 사용된 생약은 총 155종으로 이들 생약 추출물을 위 병원 미생물에 적용하여 그 항균활성을 확인한 바, 상당수의 생약 추출물에서는 항균 활성이 없거나 미약하였다.
*특이한 것은 실험균 모두에 효과가 뛰어난 생약이 있는가 하면 어떤 생약은 세균류인 여드름 유발균에 대해서만 효과가 뛰어나고 곰팡이류인 무좀, 외음질염 유발균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없었으며, 다른 생약은 같은 무좀을 일으키는 진균 5종에 대 해서도 그 항균활성의 정도에 차이가 많은 것이 확인되었다.
공통적으로 비듬 유발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대부분의 생약 추출물(유효농도)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어떠한 생약은 항균활성은 미약하지만 미용기능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였으며 이와는 반대로 항균효과는 뛰어났으나 피부부작용시험(Patch test)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본 발명의 생약에서 제외시킨 것도 있다.
이와 같은 항균 활성과 미용기능 시험에서 우수한 생약 추출물을 선별한 후, 혼합하여 전체 활성을 시험하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실험을 위한 생약시료 준비 과정은 첨부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각각의 생약제를 구입하여 준비한 다음, 품질검사를 실시하고, 세척하여 추출을 행한다. 추출 용매로는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물의 비율이 10중량% 정도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 및 정제한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한 후, 여과하여 식이섬유 등을 제거하고 활성탄(Active carbon)을 사용하여 색소를 제게한다. 이렇게 제조된 1차 시료를 대상으로 항균활성 및 미용기능 시험을 각각 행하여 시험결과에서 효과가 인정되는 것에 대하여 추출용매로 희석한 2차시료를 준비한다. 예를 들면,
·10% 생약추출물을 1/10로 희석 1% 생약추출물을 만듬.
·1% 생약추출물을 1/10로 희석 0.1% 생약추출물을 만듬.
·0.1% 생약추출물을 1/10로 희석 0.01% 생약추출물을 만듬.
이렇게 제조된 2차시료중 항균 및 미용효과가 뛰어난 시료를 재조합하여 만들거나, 재조합 대상이 되는 생약을 복합 추출하여 3차 시료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에는 기타의 생약부원료, 예를 들어, 감송향, 강활, 고본, 계피, 금은화, 녹각, 녹용, 당귀, 독활, 마치현, 만년청, 목향, 박하, 백강잠, 백급, 백부, 백부자, 백복령, 백렴, 백지, 백편두, 석창포, 상백피, 세신, 상엽, 소회향(회향), 알로에, 애엽(쑥), 인삼, 영지, 의이인, 유근피, 은행, 원지, 자초근(자근), 작약, 죽염, 지각, 지유, 지황, 포공영(민들레), 천궁, 택사, 행인, 황기, 황정, 해동피 중 하나 이상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비누류, 세정제류 (외음부 세정제, 샴푸, 목욕용품류,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 사용 목적의 세정제), 의약부외품/의약품, 화장품(로션, 스킨, 맛사지 크림, 영양 크림 등) 및 마사지팩류, 양말등의 면류제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표 1. 항균 시험 조건 및 방법
표 2 항균 효능 시험 결과
미용 효능 확인을 위한 시험조건 및 시험방법은 하기 표 3에 기재하였고, 이 조건 및 방법에 의해 실시된 본 발명의 생약 성분의 시험결과는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표 3. 미용효과 확인을 위한 시험조건 및 방법
표 4. 미용 효능 시험 결과
상기 실험에서 효능이 확인된 각 생약을 조합하거나, 재조합 대상이 되는 생약을 복합 추출하여 제조한 3차 시료에 대한 항균 및 미용 효능 시험결과는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복합생약추출물의 시료농도는 최적의 용매를 사용 생약 기준 0.15% 용액 (복합 생약 추출물 1.5%에 해당)으로 하였다.
도 2 내지 3에는 무좀 유발균과 여드름 유발균의 항균활성 시험을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이 디스크, 컵, 및 액체 배양 방법으로 한 경우의 실험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생약기준 0.02-0.15%(복합 생약 추출물 0.2-1.5% 해당)이하에서 생육최소저지농도(MIC)가 확인되었다.
복합 생약 추출물의 무좀균에 대한 각 균주별 MIC는E.floccosum(1.0%),M.audouinii(1.5%),T.ferrugineum(1.0%),T.mentagrophytes(0.5%),T.rubrum(1.0%) 이하임을 확인하였고, 여드름 유발균의 경우P.acnes(0.02%) 이하임을 확인하였다.
표 5. 복합 생약 추출물의 항세균 및 미용효과 시험결과
* 기호표시의 설명 : ++++ 매우뛰어남, +++뛰어남, ++효과있음, +효과약함, - 효과없음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비누, 화장료, 의약품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품화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의 처방예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무좀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담배 필터 모양의, 거즈에 포장된 탈지면에 추출물을 흡수시킨 다음 그대로 사용하거나 건조시킨 제형으로 제조한 후, 사용시에 알콜 등에 적셔서 사용할 수 있도록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로 제조하여 발가락 사이에 끼워 적용하는 경우 추출물의 효과를 향성시킬 수 있다.
처방예 1 비누(고형 비누)
처방예 2 외음부 세정제 (겔상 의약부외품기준)
처방예 3. 로션
처방예 4. 연고제
처방예 5 액제 (의약품)
실시예 1
상기 처방예 1의 처방대로 조제된 비누를 무좀 (백선)이 있는 환자에게 1일 2회 1개월간 사용하였다. 사용 전 후의 사진을 도 4에 게시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처방예 4의 처방대로 조제된 연고를 여드름이 있는 환자에게 1일 2회 1개월간 사용하였다. 사용 전 후의 사진을 도 5에 게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처방예 5의 처방대로 조제된 액제를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 소아 환자에게 1일 2회 1개월간 사용하였다. 사용 전 후의 사진을 도 6에 게시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실험결과와 실시예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 활성 및 미용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미백기능을 가지므로, 기미,주근깨, 검버섯 제거에 사용할 수 있고, 영양공급, 피부재생, 보습, 수렴, 잔주름제거, 노화억제, 각질제거, 자외선 차단 등을목적으로 하는 화장품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또, 여드름, 무좀, 아토피성피부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외음부 가려움이나 항문주위의 발진, 민감성 피부 등의 피부병의 치료나 여성질염, 요도염, 방광염과 남성의 요도염 등에 대한 치료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의약품에 첨가할 수 있다.

Claims (3)

  1. 오배자 및 황련 추출물을 1-3중량% 포함하는 무좀 예방용 비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는 고형 비누 또는 액체 세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3. 제 1 항에 있어서, 감초, 백반, 사간, 죽순, 또는 천궁 추출물을 0.1-2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KR10-2002-0073626A 2002-11-25 2002-11-25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100468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626A KR100468196B1 (ko) 2002-11-25 2002-11-25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626A KR100468196B1 (ko) 2002-11-25 2002-11-25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075A Division KR100417791B1 (ko) 2000-08-14 2000-08-14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732A KR20030011732A (ko) 2003-02-11
KR100468196B1 true KR100468196B1 (ko) 2005-01-26

Family

ID=2772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626A KR100468196B1 (ko) 2002-11-25 2002-11-25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771A (ko) * 2020-04-16 2020-10-20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천연물을 포함하는 항균비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477A (ja) * 2005-01-14 2006-07-27 Ichimaru Pharcos Co Ltd ウレアーゼ阻害剤
KR20100059188A (ko) * 2008-11-26 2010-06-04 양근영 피부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0277B1 (ko) * 2010-07-28 2013-02-07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죽순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3120722A (zh) * 2011-11-27 2013-05-29 朱凤春 一种口腔溃疡散
KR102070347B1 (ko) 2018-03-28 2020-01-28 김기현 명반을 포함하는 피부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126405B1 (ko) * 2018-11-13 2020-06-25 주식회사 케이바이오랩 석창포 추출물 및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89449B1 (ko) * 2021-02-09 2021-08-11 윤구 고양이 방광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762A (ko) * 1993-09-27 1995-04-19 시바타 미노루 팽팽하고 뻣뻣하며, 탄발성이 우수한 복합사
KR980002226A (ko) * 1996-06-29 1998-03-30 이능희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KR19990079378A (ko) * 1998-04-04 1999-11-05 서경배 여드름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 함유 화장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762A (ko) * 1993-09-27 1995-04-19 시바타 미노루 팽팽하고 뻣뻣하며, 탄발성이 우수한 복합사
KR980002226A (ko) * 1996-06-29 1998-03-30 이능희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KR19990079378A (ko) * 1998-04-04 1999-11-05 서경배 여드름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 함유 화장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771A (ko) * 2020-04-16 2020-10-20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천연물을 포함하는 항균비누
KR102385325B1 (ko) * 2020-04-16 2022-04-12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천연물을 포함하는 항균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732A (ko)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791B1 (ko)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TWI740861B (zh) 育髮/生髮促進劑
KR20030011731A (ko)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101135172B1 (ko) 황백, 어성초, 선학초,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035797B (zh) 用于治疗痤疮的具有益生元特性的协同草药组合物
KR100468196B1 (ko)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JP4101106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浄剤
KR20070105146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1251A (ko) 흑생강 추출물 및 기능성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6129B1 (ko)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JP2005145891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KR101187683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백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2042970A1 (ja) アトピー性皮膚炎の予防剤または治療剤、および外用剤
JPH0987188A (ja) 皮膚外用剤及び浴用剤
JP6753602B2 (ja) プロトンポンプ機能促進剤
KR101347910B1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CN105520869B (zh) 含有红参浓缩液的粉刺改善用组合物
KR20110012601A (ko) 창포 추출물을 이용한 미용향장용 조성물, 바디 전용 비누, 두피 전용 비누 및 두피 세정제
CN115429738A (zh) 一种祛痘修护焕活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1732231B1 (ko) 두피보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972732B2 (ja) 抗菌剤及び皮膚外用剤
KR10167948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2641849A (zh) 一种用于干性皮肤的药物或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060054807A (ko)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