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056B1 -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056B1
KR100468056B1 KR10-2003-0007578A KR20030007578A KR100468056B1 KR 100468056 B1 KR100468056 B1 KR 100468056B1 KR 20030007578 A KR20030007578 A KR 20030007578A KR 100468056 B1 KR100468056 B1 KR 10046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ink liquid
discharge port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027A (ko
Inventor
장현식
오영호
Original Assignee
장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7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056B1/ko
Publication of KR2004007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11Single disc boxes
    • G11B33/0422Single disc boxe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의 잉크액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주입장치는 잉크액이 주입장치 외부로 쉽게 누출되거나 주입되는 잉크액의 량을 정확하게 유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주연의 대향된 양측에 흡입포트(110)와 배출포트(120)가 형성된 실린더(100)와, "V" 자 형태의 홈(210)이 외주면의 일측 끝단 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200)과, 상기 배출포트(120)와 연결관(300)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입노즐(400)을 구성하므로서, 피스톤(200)이 전진될 때에는 피스톤(200)의 홈(210)이 하측을 향하면서 배출포트(120)와 연결되고 이때 흡입포트 (110)는 피스톤(200)의 외주면에 의해 차단되며, 피스톤(200)이 후진될 때에는 피스톤(200)의 홈(210)이 상측을 향하면서 흡입포트(110)와 연결되고 이때 배출포트 (120)는 피스톤(200)의 외주면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실린더(100)에 항시 정확한 량의 잉크액이 채워졌다 배출될 수 있어 제품의 제작성 및 품질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Injection device of ink for write tool}
본 발명은 필기구용 잉크액을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잉크액 주입장치를 통해 주입되는 잉크액의 주입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제품의 제작성 및 품질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는 도 1 과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주입노즐(30)과 실린더(10)와 피스톤(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노즐(30)의 내부에는 스프링(31)과 오링(33)이 구비된 밀폐구(32)가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10)의 외주면 일측에는 공기배출밸브(12)와 잉크액을 흡입하는 흡입포트(11)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피스톤(2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10)의 전방으로 밀폐구(32)와 스프링(31)과 주입노즐(3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 밀폐구(32)가 실린더(10)의 전방을 밀폐시키게 되며 후방에는 피스톤(20)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10)로부터 피스톤(20)을 후진시키면 실린더(10)의 일측은 상기 밀폐구(32)에 의해 밀폐된 상태이므로 실린더(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흡입포트(11)를 통해 잉크액이 실린더(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잉크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실린더(10)를 전진시키면 실린더(10) 내부로 유입되었던 잉크액이 주입노즐(30)쪽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잉크액이 밀폐구(32)를 주입노즐(30)쪽으로 밀게 되어 스프링(31)이 압축되면서 밀폐구(32)가 실린더(10)의 일단으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잉크액이 주입노즐(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잉크액 주입장치는 주입노즐(30)과 실린더(10)가나사결합됨에 따라 주입노즐(30)이 조금이라도 풀리게 되면 상기 풀린 틈새를 통해 잉크액이 누출되면서 제작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스톤(20)의 전진에 의해 실린더(10)의 잉크액이 주입노즐(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후 피스톤(20)을 다시 후진 시켜 실린더(10)의 내부에 잉크액을 채워넣은 과정에서 흡입 진공압에 의해 주입노즐(30) 부위에 잔류하고 있던 잉크액이 실리더(10) 내부로 함께 유입됨에 따라 실린더(10) 내부에 채워지는 잉크액의 량이 항상 일정하지 못해 결국 필기구에 주입되는 잉크의 량을 정확하게 유지시키지 못하게 되면서 제품의 품질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잉크액 주입장치를 통해 잉크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잉크액의 일부가 주입장치의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항시 일정한 량의 잉크액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제작성 및 품질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은 폐쇄되어 있고 외주연의 대향된 양측으로는 흡입포트와 배출포트가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와, "V" 자 형태의 홈이 외주면의 일측 끝단 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과, 상기 배출포트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입노즐을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흡입포트와 배출포트가 설치되어 있는실린더에 피스톤이 끼워져 왕복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피스톤에 형성된 홈이 피스톤의 전진시에는 하측을 향하면서 배출포트와 연결되면서 흡입포트는 피스톤의 외주면에 의해 차단되고, 피스톤이 후진될 때에는 피스톤이 180도 회전되어 홈이 흡입포트와 연결되고 반대로 배출포트는 피스톤의 외주면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실린더에 항시 일정한 잉크액이 채워지면서 정확한 량의 잉크액이 주입노즐을 통해 주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 는 종래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4a 와 도 4b 와 도 4c 와 도 4d 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예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린더 110 : 흡입포트
120 : 배출포트 200 : 피스톤
210 : 홈 300 : 연결관
400 : 주입노즐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a 와 도 2b 와 도 2c 와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의 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잉크액을 주입하기 위한 잉크액 주입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단은 막혀있고 외주면의 중앙 상측과 하측에는 서로 대향된 상태의 흡입포트(110)와 배출포트(1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에 끼워져 왕복운동을 하며 외주면에는 "V" 자 형태의 홈(210)을 끝단부터 일부분 형성하여 구성한 피스톤(200)과, 상기 배출포트(120)에 연결관(300)으로 연결되어 있는 주입노즐(400)로 이루어진 잉크액 주입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11)(121)은 흡입포트(110)와 배출포트(120)를 실린더 (100) 내부와 연결해주는 통공이며, (130)는 잉크액을 교환시 실린더(100)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배출밸브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린더(100)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200)이 후진되면서 흡입포트(110)를 통해 잉크액이 흡입될 때에는 상대적으로 배출포트(120)가 피스톤 (200)에 의해 차단되고 반대로 피스톤(200)이 전진되면서 잉크액이 배출포트(120)를 통해 배출될 때에는 흡입포트(110)가 피스톤(200)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잉크액이 실린더(100) 외부로 누출되거나 주입되는 잉크의 량이 부정확해지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토록 한 것이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잉크액 주입장치중 실린더(100)는 일단은 막혀 있고 중앙부위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된 상태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실린더(100)의 내부와 연결되는 흡입포트 (110) 및 배출포트(120)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00)의 타단쪽으로 끼워져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200)은 외주면에 "V" 자 형태의 홈(210)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홈(210)은 피스톤(200)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피스톤(200)의 일측 끝단부터 시작되어 중앙부위까지만 형성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피스톤(200)을 실린더(100)에 완전히 끼워 넣었을 경우 상기 홈(210)이 끝나는 부분이 배출포트(120) 또는 흡입포트 (110) 부분까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즉, 피스톤(200)이 실린더(100)에 끼워져 전진된 상태에서 피스톤(200)의 홈(210)이 하측을 향하게 되면 상기 홈(210)과 실린더(100)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배출포트(120)의 통공(121)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며, 반대로 피스톤(200)의 홈 (210)이 상측을 향하게 되면 상기 홈(210)과 실린더(100)의 상측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포트(110)의 통공(111)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포트(120)에는 연결관(300)에 의해 주입노즐(400)이 연결되어 있어 배출포트(120)로 배출된 잉크액은 상기 주입노즐(400)을 통해 필기구의 심에 일정량의 잉크액이 주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액 주입장치의 동작과정을 예시된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도 4a 는 실린더에 끼워진 피스톤이 완전히 전진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때 피스톤(200)에 형성된 홈(210)의 위치는 하측을 향하면서 배출포트(120)의 통공(121)과 홈(210)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후 상기 피스톤 (200)을 어느 정도 후진시켜 실린더(100)에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면 주입노즐 (400) 및 연결관(300)에 잔류하던 잉크액의 일부가 실린더(100)내부로 흡입되면서 주입노즐(400)에서 잔류하던 잉크액이 주입노즐(400) 외부로 흘러내려 주입노즐 (400)의 끝단이 지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b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00)을 180도 회전시켜 주면 피스톤(200)의 홈(210)은 흡입포트(110)의 통공(111)과 연결됨과 동시에 배출포트(120)의 통공(121)은 피스톤(200)의 외주면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며, 이후 도 4c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00)을 그대로 후진시키게 되면 흡입포트(110)를 통해 잉크액이 유입되면서 통공(111)을 거쳐 피스톤(200)의 홈(210)을 따라 피스톤(200)의 내부에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잉크액을 흡입포트(110)를 통해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배출포트(120)는 피스톤(200)의 외주면에 의해 계속적으로 차단됨에 따라 배출포트 (120)와 연결된 연결관(300)이나 주입노즐(400)에 일부 잉크액이 잔류해 있더라도 잔류된 잉크액이 실린더(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됨에 따라 피스톤(200)이 후진되면서 실린더(100) 내부에 채워지는 잉크액은 항시 일정한 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200)을 전후진 또는 회전시켜 주는 수단으로 도면에는 예시되어 있지 않지만 캠이나 실린더와 같은 기구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회전 또는 전후진 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4c 와 같이 피스톤(200)을 후진 시켜 잉크액을 실린더(100) 내부에 채운 다음에는 도 4d 와 같이 피스톤(200)을 다시 180도 회전시켜 피스톤 (200)의 홈(210)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면 상기 홈(210)은 배출포트(120)의 통공 (121)과 연결되고 반대로 흡입포트(110)의 통공(111)은 피스톤(20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도 4a 와 같이 피스톤(200)을 전진시키게 되면 실린더(100) 내부에 채워져 있던 잉크액은 피스톤(200)의 홈(210)을 따라 통공 (121)과 배출포트(120)와 연결관(300)과 주입노즐(40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흡입포트(110)의 통공(111)은 피스톤(200)의 외주면에 의해 계속적으로 차단되는 것이다.
즉, 피스톤(200)이 후진될 때에는 홈(210)이 실린더(100) 상측의 흡입포트(110)와 연결되면서 잉크액이 홈(210)을 따라 실린더(100)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실린더(100) 하측의 배출포트(120)는 피스톤(200)의 외주면에 의해 차단되어 배출포트(120)에 잔류하던 잉크액이 실린더(10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실린더(100)에 채워지는 잉크의 량을 부정확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피스톤(200)이 전진할 때에는 홈(210)이 실린더 하측의 배출포트(120)와 연결되면서 실린더(100)에 채워졌던 잉크액이 홈(210)을 따라 배출포트(120)와 연결관(300)과 주입노즐(400)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흡입포트(110)는 실린더(100)의 외주면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잉크액이 흡입포트(110)를 통해 추가로 유입되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를 통해 잉크액을 필기구의 심에 주입함에 있어서, 잉크액이 주입장치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입되는 잉크액의 량이 항시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필기구에 잉크액을 주입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단은 막혀있고 외측둘레의 대향된 양측으로 각각 흡입포트(110)와 배출포트(120)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100);
    상기 실린더(100)에 끼워져 왕복운동 및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면에는 "V" 자 형태의 홈(210)을 일측 끝단부터 중앙부분 까지 형성한 피스톤(200);
    상기 배출포트(120)에 연결관(300)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입노즐(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0)의 왕복운동 및 회전운동은 캠 또는 실린더와 같은 기구적인 수단에 의해 동작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
KR10-2003-0007578A 2003-02-06 2003-02-06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 KR10046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578A KR100468056B1 (ko) 2003-02-06 2003-02-06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578A KR100468056B1 (ko) 2003-02-06 2003-02-06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027A KR20040071027A (ko) 2004-08-11
KR100468056B1 true KR100468056B1 (ko) 2005-01-25

Family

ID=3735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578A KR100468056B1 (ko) 2003-02-06 2003-02-06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709A (ko) 2021-05-31 2022-12-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방용품 손잡이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709A (ko) 2021-05-31 2022-12-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방용품 손잡이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027A (ko)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0735B (fi) Pumppu moniaukkoisella ulostulolla
JP6114405B2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のポンプ及びインジェクションバルブ
CN1328490A (zh) 用于流体喷洒器的齿轮泵和可重新放置的储器
CA2107346A1 (en) Plastic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Gas Assist
US6966339B2 (en) Spool valve arrangement
KR100468056B1 (ko) 필기구용 잉크액 주입장치
CN202893618U (zh) 灌注量精确可控的注胶阀装置
JP6154789B2 (ja) 微量用二液混合型注入機
KR101887550B1 (ko) 고압 플런저 펌프
CN218818287U (zh) 旋转式柱塞阀
JP7205340B2 (ja) 生体接着剤塗布具
JPH0286970A (ja) プランジヤポンプ
CN111608875A (zh) 连续性液体定量精密抽取机
CN207267617U (zh) 一种泵出量稳定的乳液泵
CN201165970Y (zh) 无泄漏回流式柱塞泵
JP4697914B2 (ja) 洗浄用スプレーガン
WO2020259242A1 (zh) 防结晶注液泵
CN210415230U (zh) 低压注塑发泡喷嘴
CN215696247U (zh) 一种防滴漏的除尘罐
CN219827902U (zh) 一种双活塞式高推力气缸
JP4919548B2 (ja) プランジャポンプ
CN219061955U (zh) 一种用于洗牙器的隔膜柱塞泵
CN110374846B (zh) 一种双向气动隔膜泵的交替配气方法
KR100624563B1 (ko) 이젝터 펌프
CN211263988U (zh) 一种用于防雾镜片生产的注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