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030B1 -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030B1
KR100468030B1 KR10-2001-0086336A KR20010086336A KR100468030B1 KR 100468030 B1 KR100468030 B1 KR 100468030B1 KR 20010086336 A KR20010086336 A KR 20010086336A KR 100468030 B1 KR100468030 B1 KR 10046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unit
printed matter
shaft
scree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166A (ko
Inventor
임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팩
Priority to KR10-2001-008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0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0Machines for 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크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한번의 공급에서 배출시까지 인쇄물로 여러색의 인쇄 및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크스크린 인쇄부와 건조부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의 중앙에 내부로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캠 상으로 그 구동캠과 맞닿아 구름되는 구름롤이 형성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축부와; 상기 승하강축부로 상부에 다수의 실크스크린 인쇄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이 다수의 안내봉 상으로 설치되어 고정축관에 의해 장착되는 고정 테이블과; 상기 고정 테이블과 베이스 사이에는 상면 외측에 회전 자유로이 등간격으로 내부에 관통된 각각의 에어홀이 형성된 다수의 꽂이봉이 장착되어 상기 고정축관으로 회전 자유롭게 회전축관이 장착되고, 상기 에어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에어로를 설치하여 인쇄물을 고정 및 배출하는 에어작동부가 구비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고정테이블의 외측 턴테이블에 장착된 꽂이봉)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그 꽂이봉의 후단으로 설치되는 연동롤과, 상기 고정테이블의 브라켓 상에 설치된 실리더와 링크결합되어 회전 자유로이 설치된 지지축으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유동판과, 상기 유동판에 상기 연동롤과 맞닿는 회전롤이 설치된 회전모터가 장착되게 구비되는 회전력전달부와; 상기 회전축관으로 장착되는 종동차와 상기 구동캠의 축과 연동되는 기어박스에 설치된 연동축 상의 원동차인 제너바기어부에 의해 턴테이블을 일정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회동부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 상기 꽂이봉으로 인쇄물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지지프레임 상으로 푸셔와 인쇄물이 수용된 가이드대로 구성되는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multicolored silk screen print}
본 발명은 실크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한번의 공급에서 배출시까지 인쇄물로 여러색의 인쇄 및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크스크린 인쇄는 스크린에 설치된 필름의 패턴을 따라 스퀴이지와 스크레퍼가 연동되도록 이동되면서 피인쇄물의 상면으로 프린트를 행하고 그 프린트된 인쇄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작업이 완료되는 것으로, 이는 다양한 재료를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실크스크린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같이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장치와, 그 인쇄장치를 통하여 인쇄된 인쇄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져 연속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인쇄장치에서의 인쇄작업 또한 셋팅에서부터 프린트 과정까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진행됨은 물론 인쇄완료 후에도 재차 작업자에 의해 건조장치로 운반된 후 건조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상에 여러 번거러운 문제점이 초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 또한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그리고, 종래 실크스크린 인쇄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인쇄 및 건조작업 단계에서 단색의 인쇄작업 만이 이루어지므로서, 하나의 인쇄물로 여러색을 인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인쇄작업에서부터 건조작업까지 연속적으로 반복작업을 행해야 하는 가장 큰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그에 따른 생산성 증대를 기대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 단색의 인쇄공정이 완료된 후 또 다른 색을 인쇄하고자 인쇄물의 셋팅시에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인위적인 셋팅이 이루어 지므로서, 정확한 셋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많은 불량 또한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크스크린 인쇄를 이용하여 한번의 공급에서 배출시까지 인쇄물로 여러색의 인쇄 및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턴테이블의 회전시 일정각도로 정확하게 회전될 수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꽂이봉으로 인쇄물의 고정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실크스크린 인쇄에 따른 꽂이봉이 정확하게 셋팅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턴테이블의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크스크린 인쇄부의 스크린으로 설치되는 필름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물의 공급 및 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오동작 및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크스크린 인쇄부와 건조부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의 중앙에 내부로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캠 상으로 그 구동캠과 맞닿아 구름되는 구름롤이 형성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축부와; 상기 승하강축부로 상부에 다수의 실크스크린 인쇄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이 다수의 안내봉 상으로 설치되어 고정축관에 의해 장착되는 고정 테이블과; 상기 고정 테이블과 베이스 사이에는 상면 외측에 회전 자유로이 등간격으로 내부에 관통된 각각의 에어홀이 형성된 다수의 꽂이봉이 장착되어 상기 고정축관으로 회전 자유롭게 회전축관이 장착되고, 상기 에어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에어로를 설치하여 인쇄물을 고정 및 배출하는 에어작동부가 구비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고정테이블의 외측 턴테이블에 장착된 꽂이봉)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그 꽂이봉의 후단으로 설치되는 연동롤과, 상기 고정테이블의 브라켓 상에 설치된 실리더와 링크결합되어 회전 자유로이 설치된 지지축으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유동판과, 상기 유동판에 상기 연동롤과 맞닿는 회전롤이 설치된 회전모터가 장착되게 구비되는 회전력전달부와; 상기 회전축관으로 장착되는 종동차와 상기 구동캠의 축과 연동되는 기어박스에 설치된 연동축 상의 원동차인 제너바기어부에 의해 턴테이블을 일정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회동부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 상기 꽂이봉으로 인쇄물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지지프레임 상으로 푸셔와 인쇄물이 수용된 가이드대로 구성되는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의 유동판 하나 건너 하나에는 상기 꽂이봉의 후단으로 하나의 랫치홈이 형성되어 장착되는 랫치롤과, 상기 유동판으로 상기 랫치홈으로 걸려지도록 스프링으로 지지된 랫치편이 형성된 꽂이봉 셋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프레임은 안내봉 상에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으로 승하강부재를 설치하여 그 승하강부재의 로드가 상기 승하강축부의 상단과 결합되는 필름 교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푸셔는 지지프레임으로 가이드봉이 형성되어 장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봉 상에서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어 왕복되는 타격봉이 형성된 가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꽂이봉에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꽂이봉의 선단으로 왕복되어 지는 에어척을 구비한 인쇄물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단계 별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고정 테이블과 턴테이블을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회동부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회전력전달부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요부도.
도 6은 도 5a 및 도 5b에 따른 회전력전달부로 장착된 꽂이봉 셋팅부를 나타낸 요부도.
도 7은 도 2에 따른 푸셔를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하강축부
11 : 베이스 12 : 구동모터
14 : 구동캠 16 : 구름롤
20 : 고정테이블
22 : 프레임 24 : 안내봉
25 : 고정축관
30 : 턴테이블
32 : 꽂이봉 35 : 회전축관
300 : 꽂이봉 셋팅부 302 : 랫치홈
304 : 랫치롤 306 : 랫치편
320 : 회전력전달부 322 : 실린더
324 : 지지축 325 : 유동편
326 : 회전모터 326a : 회절롤
40 : 회동부
42 : 종동차 44 : 기어박스
46 : 연동축 48 : 원동차
50 : 공급부
52 : 푸셔 54 : 가이드대
521 : 가이드봉 522 : 가이드부재
524 : 실린더 526 : 타격봉
528 : 가동부재
60 : 에어작동부
62 : 에어로
80 : 지지부
82 : 지지구 84 : 가이드구
90 : 필름 교체부
92 : 승하강부재
100 : 감지부
102 : 감지센서
D : 건조부 P : 실크스크린 인쇄부
S1 : 공급단계 S2 : 삽입단계
S3 : 다색 인쇄단계 S4 : 배출단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단계 별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실크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인쇄방법에 있어,
가이드대에 수용되어 있는 다량의 피인쇄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단계(S1)와;
상기 공급단계 후 텐테이블에 형성된 다수의 꽂이봉으로 푸셔에 의해 피인쇄물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삽입단계(S2)와;
상기 삽입단계 후 턴테이블을 구동부와 연동되는 회동부의 제너바 기어부에 의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각각의 실크스크린 인쇄부 및 건조부로 이루어진 다수의 인쇄부에서 상기 피가공물의 표면으로 서로 다른 색의 인쇄 및 건조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다색 인쇄단계(S3)와;
상기 다색 인쇄단계 후 꽂이봉으로부터 에어분사 또는 에어척으로 인쇄물을 배출하는 배출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공급되는 하나의 피인쇄물이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서로 다른 색을 동시에 인쇄 및 건조하여 배출하므로서, 여러 색의 인쇄가 한번의 작업공정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단시간 내에 최대한의 생산량을 증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고정 테이블과 턴테이블을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회동부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크스크린 인쇄부(P)와 건조부(D)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있어,
본 발명은 베이스(11)의 중앙에 내부로 설치된 구동모터(1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캠(14) 상으로 그 구동캠(14)과 맞닿아 구름되는 구름롤(16)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텐테이블이 회동부에 의해 일정각도 만큼만 회전될 때만 고정 테이블의 안내봉 상에서 실크스크린 인쇄부가 설치된 프레임과 같이 승하강되는 승하강축부(10)와;
상기 승하강축부(10)로 상부에 공지의 스크린에 설치된 필름의 패턴을 따라 스퀴이지와 스크레퍼에 의해 피인쇄물의 상면으로 프린트를 행하는 다수의 실크스크린 인쇄부가 설치되는 프레임(22)이 다수의 안내봉(24) 상으로 설치되어 고정축관(25)에 의해 장착되는 고정 테이블(20)과;
상기 고정 테이블(20)과 베이스(11) 사이에 상면 외측으로 회전자유로이 등간격으로 피인쇄물이 꽂아 지는 다수의 꽂이봉(32)이 장착되어 상기 고정축관(25)으로 회전자유롭게 회전축관(35)이 장착되는 턴테이블(30)과;
상기 회전축관(35)으로 장착되는 종동차(42)와 상기 구동캠(14)의 축과 체인 등과 같은 연결부재로 연동되는 기어박스(44)에 설치된 연동축(46) 상의 원동차(48)인 제너바기어부에 의해 턴테이블(30)을 일정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회동부(40)와;
상기 베이스(11)의 일면으로 상기 꽂이봉(32)으로 인쇄물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지지프레임 상으로 푸셔(52)와 피인쇄물이 수용된 가이드대(55)로 구성되는공급부(50)를 구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상기 건조부는 통상적인 증발건조 또는 가열건조 및 자외선건조 하는 방식 중 택일하여 프레임으로 설치된 다수의 실크스크린 인쇄부 사이에 베이스의 측면이나 아니면 베이스의 외부로 별도의 프레임 상으로 상기 꽂이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꽂이봉(32)에는 내부로 관통된 각각의 에어홀(32a)을 형성하고, 상기 턴테이블(30)에는 상기 에어홀과 대응되는 에어로(62)가 설치된 에어작동부(60)를 구비함에 따라 꽂이봉으로 삽입되는 인쇄물을 흡착하여 그 꽂이봉으로 꽂아진 인쇄물을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꽂이봉으로 꽂아져 회전되면서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부와 건조부를 거쳐 다색으로 인쇄된 인쇄물을 에어압으로 꽂이봉으로부터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를 통하여 인쇄물이 꽂아져 에어를 흡입하여 인쇄물을 흡착하여 고정하기 전에는 상기 에어로를 통하여 먼저 에어를 1차적으로 분사하여 인쇄물로 에어를 공급하여 인쇄물이 팽창되도록 한 후 꽂이봉으로 인쇄물의 삽입시 그 인쇄물이 찌그러져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인쇄물은 일측이 막혀진 튜브형태로의 인쇄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일측이 막혀지지 않은 양단이 틔여진 튜브형태의 인쇄물일 경우에는 상기 꽂이봉으로 공급부의 푸셔를 통하여 삽입될 때 그 양단이 틔여진 인쇄물이 길이에 따라 알맞는 위치로 셋팅될 수 있도록 상기 꽂이봉의 외주면을 일반적인 고정방식인 클램핑이나 스크류로 체결되는 스토퍼(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실크스크린 인쇄부를 통하여 인쇄 및 건조부에서 건조를 행하고 배출시에도 상기한 에어분사로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서, 그 배출부 측으로 에어압에 의해 왕복되어 지는 공지의 에어척(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여 꽂이봉으로부터 인쇄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 상기 베이스(11)의 상면에는 상단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구(82)를 장착하고 상기 턴테이블(30)의 밑면으로 상기 가이드홈에서 안내되는 가이드턱이 형성된 환형의 가이드구(84)가 장착된 지지부(80)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시 편심됨 없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또, 상기 프레임(22)은 안내봉(24) 상에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그 프레임으로 실린더나 기어드모터 등과 같은 승하강부재(92)를 설치하여 그 승하강부재의 로드가 상기 승하강축부(10)의 상단과 결합되는 필름 교체부(90)를 구비하므로서,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부의 스크린으로 필요로 하는 필름의 교체시 모든기기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만을 상승시켜 스크린으로부터 필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공급부(50)와 상기와 같이 인쇄가 완료되어 배출되는 부분에는 그에 위치하는 꽂이봉과 접하는 각각의 감지센서(102)를 설치하여 인쇄물이 공급 및 배출되지 않을 경우 기기를 정지하는 감지부(100)를 설치하여, 기기의 오동작과 불량율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회전력전달부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요부도이고, 도 6은 도 5a 및 도 5b에 따른 회전력전달부로 장착된 꽂이봉 셋팅부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고정테이블(20)의 외측 턴테이블(30)로 장착된 꽂이봉(32)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그 꽂이봉(32)의 후단으로 설치되는 연동롤(321)과, 상기 턴테이블(30)의 브라켓 상으로 설치된 실리더(322)와 링크결합되어 회전자유로이 설치된 지지축(324)으로 고정되는 유동판(325)과, 상기 유동판(325)으로 상하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연동롤(321)과 맞닿는 회전롤(326a)이 장착된 회전모터(326)가 장착되는 회전력전달부(320)를 형성하여 꽂이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꽂이봉을 건조부의 위치에서는 상기 유동판이 실린더에 의해 하강되어 회전모터의 회전력이 회전롤을 통하여 연동롤로 전달되어 꽂이봉을 회전시키게 되어, 실크스크린 인쇄부에서 가공물로 프린트된 부위를 균일하면서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회전력전달부(320)의 유동판(325) 하나 건너 하나에는, 즉 상기 건조부와 건조부 사이로 설치된 실크스크린 인쇄부가 위치한 위치로 상기 꽂이봉이 위치할 경우에 상기 꽂이봉의 회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꽂이봉(32)의 후단으로 하나의 랫치홈(302)이 형성되어 장착되는 랫치롤(304)과, 상기 유동판(325)으로 상기 랫치홈(302)으로 걸려지도록 스프링으로 지지된 랫치편(306)이 형성된 꽂이봉 셋팅부(300)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턴테이블에 의해 실크스크린 인쇄부의 위치로 꽂이봉이 위치하게 되면 회전력전달부에 의해 회전되고 있던 꽂이봉이 상기 랫치편이 랫치롤의 랫치홈으로 걸려져 고정되므로서, 꽂이봉이 정지하게 됨과 아울러 꽂이봉을 항시 같은 위치로 고정함에 따라 다수의 실크스크린 인쇄부에서 서로 다른 위치로의 인쇄를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꽂이봉의 회전력을 차단하게 되면 그 상부로 위치한 실크스크린 인쇄부의 스퀴이지와 스크레퍼가 상기 회전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인쇄물로 프린트를 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푸셔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푸셔(52)는 베이스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으로 가이드봉(521)이 형성되어 장착되는 가이드부재(522)와, 상기 가이드봉(521) 상에서 실린더(524)의 로드와 연결되어 왕복되는 타격봉(526)이 형성된 가동부재(528)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가이드대로 수용되어 있는 인쇄물을 상기 가동부재의 타격봉이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봉 상에서 왕복되면서 순차적으로 인쇄물을 타격하여 꽂이봉으로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부의 가이드대로 수용되어 있는 인쇄물을 푸셔에 의해 턴테이블로 형성된 꽂이봉으로 타격하여 연속적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그 꽂이봉으로 형성된 에어홀과 턴테이블로 형성된 에어작동부의 에어로를 통하여 인쇄물이 꽂이봉으로흡착고정되어 진다.
그런 다음 구동부와 회동부의 구동캠과 제너바 기어부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을 일정각도 만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꽂이봉의 후방 고정테이블로 장착되어 있는 회전력전달부에 의해 꽂이봉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짐과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이 일정각도 만큼 회전되는 각 위치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실크스크린 인쇄부와 건조부 중에서 첫번째 실크스크린 인쇄부로 상기 꽂이봉이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꽂이봉이 실크스크린 인쇄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력전달부에 의해 회전되고 있던 꽂이봉는 그 회전력전달부에 설치되어 있는 꽂지봉 셋팅부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됨과 아울러 실크스크린 인쇄부의 스크린과 스퀴이지 및 스크레퍼가 상기 꽂이봉이 회전되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인쇄물의 표면으로 프린트를 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쇄물로 프린트가 완료되면 다시 구동부와 회동부에 의해 턴테이블이 회전되면서 상기 프린트된 인쇄물은 건조부로 위치하게 되고, 이때 꽂이봉은 회전력전달부로 인하여 회전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인쇄물로 프린트된 부분을 건조부에서 골고루 건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후방의 꽂이봉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실크스크린 인쇄부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건조가 완료된 꽂이봉의 인쇄물은 재차 구동부와 회동부에 의해 턴테이블이 회전되면서 두번째 실크스크린 인쇄부로 위치하게 되고 이때도 전술한 바와 같이 꽂이봉은 다시 꽂이봉 셋팅부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면서 첫번째 인쇄된 다른 색의 2차 프린트가 행하여 지면서 다시 구동부와 회동부에 의하여 회전되어 두번째 건조부에서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인쇄물로 필요로 하는 여러색으로의 인쇄가 완료되면 상기한 턴테이블로 형성된 에어작동부의 에어로를 통하여 꽂이봉의 에어홀로 에어를 공급하여 분사하므로서, 그 꽂이봉으로 삽입되어 있던 인쇄물이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쇄물이 공급되는 공급부와 인쇄가 완료되어 배출되는 배출부 측에는 각각의 감지센서가 설치된 감지부에 의하여 공급시 인쇄물이 꽂이봉을 제대로 꽂아지지 않을 때와 배출시 인쇄물이 꽂이봉으로부터 배출되지 않을 때 상기한 연동되는 모든 과정에 정지하므로서, 기기의 오동작은 물론 불량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처음 공급에서부터 배출시까지 공급되는 하나의 인쇄물로 일련의 순차적인 공정을 통하여 서로 다른 색으로의 인쇄가 동시에 이루어 지므로서, 편리성과 생산성 증대를 최대한 향상할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크스크린 인쇄인 프린트 및 건조가 한번의 공급과정을 거쳐 순차적인 작업공정을 통하여 여러 색으로의 인쇄가 동시에 이루어진 후 배출되어 짐으로서, 한번의 작업공정을 통하여 단시간 내에 여러 색을 갖는 인쇄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턴테이블의 회전시 제너바 기어부에 의해 일정각도로 정확하게 회전되어져, 오동작 및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갖는다.
또, 꽂이봉으로 에어를 흡입하고 배기시키므로서, 인쇄물의 고정 및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꽂이봉이 건조부에 위치시 회전력 전달부로 인해 실크스크린 인쇄부에서 프린트된 부분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건조되어 짐은 물론 실크스크린 인쇄부에서는 꽂이봉 셋팅부로 인하여 인쇄물의 정확한 위치로의 셋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서, 인쇄물로 여러 색으로의 프린트가 정확한 위치로 인쇄될 수 있는 조건도 갖는 것이다.
또, 턴테이블과 베이스 상으로 설치된 지지부에 의하여, 턴테이블의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턴테이블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 고정테이블의 프레임으로 설치되는 필름교체부를 통하여, 필요로 하는 인쇄물로의 인쇄 필름을 간편하면서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도 갖는다.
또, 공급부와 인쇄물이 배출되는 부분으로 설치된 감지부를 통하여, 인쇄물의 공급 및 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기기의 오동작 및 불량율을 최소화하므로서,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10)

  1. 삭제
  2. 실크스크린 인쇄부와 건조부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있어서,
    베이스(11)의 중앙에 내부로 설치된 구동모터(1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캠(14) 상으로 그 구동캠(14)과 맞닿아 구름되는 구름롤(16)이 형성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축부(10)와;
    상기 승하강축부(10)로 상부에 다수의 실크스크린 인쇄부(P)가 설치되는 프레임(22)이 다수의 안내봉(24) 상으로 설치되어 고정축관(25)에 의해 장착되는 고정 테이블(20)과;
    상기 고정 테이블(20)과 베이스(11) 사이에는 상면 외측에 회전 자유로이 등간격으로 내부에 관통된 각각의 에어홀(32a)이 형성된 다수의 꽂이봉(32)이 장착되어 상기 고정축관(25)으로 회전 자유롭게 회전축관(35)이 장착되고, 상기 에어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에어로(62)를 설치하여 인쇄물을 고정 및 배출하는 에어작동부(60)가 구비되는 턴테이블(30)과;
    상기 고정테이블(20)의 외측 턴테이블(30)에 장착된 꽂이봉(32)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그 꽂이봉(32)의 후단으로 설치되는 연동롤(321)과, 상기 고정테이블(20)의 브라켓 상에 설치된 실리더(322)와 링크결합되어 회전 자유로이 설치된 지지축(324)으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유동판(325)과, 상기 유동판(325)에 상기 연동롤(321)과 맞닿는 회전롤(326a)이 설치된 회전모터(326)가 장착되게 구비되는 회전력전달부(320)와;
    상기 회전축관(35)으로 장착되는 종동차(42)와 상기 구동캠(14)의 축과 연동되는 기어박스(44)에 설치된 연동축(46) 상의 원동차(48)인 제너바기어부에 의해 턴테이블(30)을 일정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회동부(40)와;
    상기 베이스(11)의 일면으로 상기 꽂이봉(32)으로 인쇄물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지지프레임 상으로 푸셔(52)와 인쇄물이 수용된 가이드대(55)로 구성되는 공급부(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부(320)의 유동판(325) 하나 건너 하나에는 상기 꽂이봉(32)의 후단으로 하나의 랫치홈(302)이 형성되어 장착되는 랫치롤(304)과, 상기 유동판(325)으로 상기 랫치홈(302)으로 걸려지도록 스프링으로 지지된 랫치편(306)이 형성된 꽂이봉 셋팅부(3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6. 삭제
  7. 제2항 있어서, 상기 프레임(22)은 안내봉(24) 상에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2)으로 승하강부재(92)를 설치하여 그 승하강부재(92)의 로드가 상기 승하강축부(10)의 상단과 결합되는 필름 교체부(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52)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으로 가이드봉(521)이 형성되어 장착되는 가이드부재(522)와, 상기 가이드봉(521) 상에서 실린더(524)의 로드와 연결되어 왕복되는 타격봉(526)이 형성된 가동부재(5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봉(32)에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1)의 일측에는 상기 꽂이봉의 선단으로 왕복되어 지는 에어척을 구비한 인쇄물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KR10-2001-0086336A 2001-12-27 2001-12-27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KR10046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336A KR100468030B1 (ko) 2001-12-27 2001-12-27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336A KR100468030B1 (ko) 2001-12-27 2001-12-27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166A KR20030056166A (ko) 2003-07-04
KR100468030B1 true KR100468030B1 (ko) 2005-01-24

Family

ID=3221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336A KR100468030B1 (ko) 2001-12-27 2001-12-27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955B1 (ko) * 2010-06-15 2012-11-07 주식회사 아이팩 다색도 금박인쇄장치
KR102631801B1 (ko) * 2023-07-06 2024-01-31 주식회사 티앤비컴퍼니 자동 인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452A (ko) * 2012-06-19 2013-12-30 라인시스템(주) 회전 테이블 방식 스크린 인쇄기
KR102588536B1 (ko) * 2022-12-27 2023-10-12 주식회사 신일디앤피 물감 그리기 인쇄 원단 제작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856A (ja) * 1991-11-25 1993-06-08 Fujita Kohan:Kk 多色スクリーン印刷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305112A (ja) * 1993-04-23 1994-11-01 Dainippon Printing Co Ltd 同時多色印刷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版面、スキージ及びドクター
JPH07101039A (ja) * 1993-10-01 1995-04-18 Nippon Bunka Seiko Kk Cd多色印刷装置及びcd多色印刷法
JPH07205400A (ja) * 1994-01-17 1995-08-08 Kyodo Kumiai Riezon Kitakiyuushiyuu 多色印刷装置
JPH08197827A (ja) * 1995-01-25 1996-08-06 Tohoku Ricoh Co Ltd 多色印刷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色印刷装置
JPH10756A (ja) * 1996-06-14 1998-01-06 Sun Tec Kk カラー印刷システム
KR19990025659A (ko) * 1997-09-13 1999-04-06 이윤곤 자동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856A (ja) * 1991-11-25 1993-06-08 Fujita Kohan:Kk 多色スクリーン印刷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305112A (ja) * 1993-04-23 1994-11-01 Dainippon Printing Co Ltd 同時多色印刷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版面、スキージ及びドクター
JPH07101039A (ja) * 1993-10-01 1995-04-18 Nippon Bunka Seiko Kk Cd多色印刷装置及びcd多色印刷法
JPH07205400A (ja) * 1994-01-17 1995-08-08 Kyodo Kumiai Riezon Kitakiyuushiyuu 多色印刷装置
JPH08197827A (ja) * 1995-01-25 1996-08-06 Tohoku Ricoh Co Ltd 多色印刷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色印刷装置
JPH10756A (ja) * 1996-06-14 1998-01-06 Sun Tec Kk カラー印刷システム
KR19990025659A (ko) * 1997-09-13 1999-04-06 이윤곤 자동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955B1 (ko) * 2010-06-15 2012-11-07 주식회사 아이팩 다색도 금박인쇄장치
KR102631801B1 (ko) * 2023-07-06 2024-01-31 주식회사 티앤비컴퍼니 자동 인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166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03985B (zh) 号码压印机
KR101198955B1 (ko) 다색도 금박인쇄장치
US6082257A (en) Printing unit with anilox roller bearer positioning
CN208789230U (zh) 全自动转盘丝印机
KR100468030B1 (ko)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KR100351577B1 (ko) 회전인쇄기
US3139824A (en) Silk screen printing apparatus
US2361325A (en) Rotary printing machine
JPH09115364A (ja) 電線のマーキング方法及び装置
KR20160072456A (ko) 인쇄 정 위치 세팅기능을 구비한 로터리형 스크린 인쇄기
KR100417072B1 (ko) 라벨 인쇄장치
KR930006969Y1 (ko) 실크스크린 인쇄기의 로터리유니트 장치
KR100438398B1 (ko) 튜브용 다색 인쇄장치
CN218948723U (zh) 一种全自动多色丝印烫金设备
US5974964A (en) Printing method
KR20030056168A (ko) 금박 인쇄장치
CN113059935B (zh) 一种瓶体外表面的油墨印刷方法
CN210792410U (zh) 一种化妆瓶印花装置
KR200196441Y1 (ko) 라벨 인쇄기
US5782180A (en) Spray damper
KR200263548Y1 (ko) 라벨 인쇄장치
CN219856515U (zh) 一种包装盒喷码装置
CN221049280U (zh) 一种多色宽幅柔版印刷机
KR100235754B1 (ko) 반도체패키지용 마킹시스템의 인쇄마킹 방법 및그 장치
KR200343760Y1 (ko) 다색 동시 인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