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760Y1 - 다색 동시 인쇄기 - Google Patents

다색 동시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760Y1
KR200343760Y1 KR20-2003-0038814U KR20030038814U KR200343760Y1 KR 200343760 Y1 KR200343760 Y1 KR 200343760Y1 KR 20030038814 U KR20030038814 U KR 20030038814U KR 200343760 Y1 KR200343760 Y1 KR 200343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printing
assembl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대
Original Assignee
대신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8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는 인쇄도수에 맞추어 압동롤러의 개수를 늘릴 필요 없이 하나의 중앙압동롤러의 외주연에 인쇄도수에 맞추어진 개수만큼 조판어셈블리를 방사상으로 설치시킴으로써, 압동롤러와 조판 어셈블리의 구동 시에 공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인쇄물을 고급화 하여 경쟁력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인쇄 전후로 원단을 이송시에 떨림을 방지함으로서 원단의 표면에 인쇄의 선명도 및 색상별 전후좌우의 위치가 정확하게 인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불량률을 줄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색 동시 인쇄기 {Polycheomatic same time printer device}
본 고안은 다색 동시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도수에 맞추어 압동롤러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압동롤러를 통하여 다수의 색상인쇄를 동시에 수행하는 다색 동시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다색 인쇄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함침성을 갖는 액상의 염색료가 수용되는 코팅수지조(31)와, 상기 코팅수지조(31)에 부분적으로 함침되면서 회전되고 외주연에 음각 및 양각으로 인쇄문양이 형성된 인쇄롤러(32)와, 상기 인쇄롤러(32)의 외주연에 접촉되어 인쇄되는 원단을 압박하는 압동롤러(33)로 이루어진 인쇄어셈블리(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쇄어셈블리(30)는 인쇄도수에 맞추어 인쇄어셈블리(30)의 수가 결정되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인쇄어셈블리(30) 사이에는 아이들롤러(34)가 설치되어 다색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인쇄어셈블리(30)의 인쇄방식은 롤러 이송에 의한 대량 고속인쇄 방식으로서 동판이 피복된 원통형의 인쇄롤러(32) 표면에 인쇄모양을 화학처리로 부식시켜서 된 인쇄롤러(32)를 인쇄기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상기 인쇄롤러(32) 하부가 잉크통에 닿는 상태로 회전하여 잉크가 묻게 되고, 고정된 스크레이퍼(미부호)에 의해 음각부에 묻은 잉크 외의 잉크는 긁어 내려져 다시 잉크통으로 흘러내리게 되며, 음각부 잉크가 롤러를 통과하는 두루마리형의 원단위에 전이되면서 인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하나의 인쇄도수의 인쇄가 완료되면 원단은 아이들롤러(34)를 통하여 색상의 수에 따라 설치된 각각의 인쇄어셈블리(30)를 거쳐 원단에 최종 원하는 인쇄를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색 인쇄기는 기존의 각 인쇄도수에 맞추어 인쇄어셈블리(30)를 인쇄 도수별마다 설치시켜야 함으로서 인쇄기의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인쇄물의 생산 코스트가 높아져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다단계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인쇄롤러(32)와 가압롤러(33) 및 원단을 이송하는 아이들롤러(34)들이 갖고 있는 기계적 공차에 의해 인쇄롤러(32)와 압동롤러(33) 및 아이들롤러(34) 사이에서의 원단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여 인쇄의 선명도 및 색상별 전후좌우의 위치가 정확하게 인쇄되지 못하여 원단 인쇄의 상품의 가치를 떨어트려 원단의 불량률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인쇄도수에 맞추어 압동롤러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압동롤러를 통하여 다수의 색상인쇄를 동시에 인쇄 가능하게 함으로서 인쇄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다색 동시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쇄전후로 원단을 이송시에 원단의 떨림을 최소화하고 원단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인쇄의 선명도 및 색상별 전후좌우의위치가 정확하게 인쇄될 수 있도록 하는 다색 동시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색 인쇄기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의 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의 인쇄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의 인쇄부를 나타낸 상세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의 장력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의 권취부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단 20 : 원단권취샤프트
30 : 인쇄어셈블리 31 : 코팅수지조
32 : 인쇄롤러 33 : 압동롤러
34 : 아이들롤러 100 : 공급부
110 : 지지블럭 120 : 안착홈
130 : 장착어셈블리 131 : 장착실린더
132 : 장착레버 133 : 받침롤러
200 : 이송부 210 : 가이드롤러
220 : 프레스롤러 230 : 방향조절롤러
300 : 인쇄부 310 : 중앙압동롤러
320 : 조판어셈블리 321 : 포지션지지파트
321a : 고정스크류 321b : 모터
321c : 고정플레이트 321d : 연결블럭
322 : 포지션이동파트 322a : 이동스크류
322b : 조절뭉치 322c : 조판원동롤러
322d : 조판종동롤러 322e : 잉크챔버
400 : 건조부 410 : 히터
420 : 덕트 500 : 장력조절부
520 : 장력감지센서 530 : 장력조절실린더
540 : 장력조절롤러 560 : 회전레버
600 : 권취부 610 : 원단회수샤프트
612 : 리와인딩롤러 620 : 누름어셈블리
621 : 누름실린더 622 : 누름편
630 : 배출어셈블리 631 : 배출실린더
632 : 링크 633 : 배출레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는 원단을 권회시킨 원단권취샤프트를 대응되게 위치시킨 지지블럭의 안내홈에 장착어셈블리를 통하여 자동으로 안착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단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가이드롤러를 설치시킨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안내되는 원단을 중앙압동롤러측으로 공급하되 중앙압동롤러의 외주연에는 인쇄도수에 맞추어 그 수가 결정되는 조판어셈블리를 방사상으로 설치시킨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의 조판어셈블리에 의해 인쇄가 완료된 원단을 히터가 구비된 덕트 내부로 이송시켜 열풍에 의해 원단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의 열에 의해 통하여 늘어져 있는 원단의 장력을 감지하여 원단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력조절실린더를 상향으로 설치시키되 장력조절실린더 로드에 장력조절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 회전레버를 힌지 결합시키고 장력조절실린더의 측방으로 장력감지센서를 부착시킨 장력조절부와, 상기 장력조절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단을 원단회수샤프트에 권회시킬 수 있도록 원단회수샤프트의 하방에 회전하는 리와인딩롤러를 설치하여 원단회수샤프트를 안착시키고 원단회수샤프트의 상방에는 누름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원단회수샤프트에 회수되는 원단의 지름에 맞추어 원단회수샤프트를 탄력적으로 하방으로 압박시키면서 원단이 긴밀하게 감기도록 하는 권취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어셈블리는 지지블럭의 측방에 장착실린더를 하방으로 설치하여 장착실린더의 로드에 장착레버를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켜 원단이 권취된 원단권취샤프트를 지지블럭의 안착홈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판어셈블리는 중앙압동롤러의 외주연에 고정플레이트를 구비시켜 고정플레이트에 설치시킨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고정스크류를 설치시킨 포지션지지파트와, 상기 포지션지지파트의 고정스크류에 대응되도록 이동스크류를 설치하여 연결블럭에 상호 리이드 이동 가능하게 체결시킨 다음 이동스크류의 일측에 염색료를 내장한 잉크챔버에 부분적으로 함침되는 조판원동롤러를 설치하되 조판원동롤러와 중앙압동롤러 사이에 조판종동롤러를 상호 밀착되게 설치시킨 포지션이동파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어셈블리는 원단회수샤프트의 상부에 누름실린더를 하방으로 설치하고 누름실린더 로드에 원단회수샤프트의 외주연과 맞물려 이를 하방으로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누름편을 결합시켜 원단회수샤프트에 권회되는 원단이 리와인딩롤러 외주연에 압박되면서 보다 긴밀하게 권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원단회수샤프트의 측방으로 배출실린더를 상향으로 설치하여 배출실린더 로드에 링크의 일측을 힌지 연결시키고 링크의 타측에는 하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여지게 배출레버의 일측을 결합시키면서 배출레버의 타측을 힌지 고정시켜 원단회수샤프트에 원단의 권회가 종료되면 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장치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의 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의 인쇄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의 인쇄부를 나타낸 상세단면도이며, 도 6는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의 장력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의 권취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다색 동시 인쇄기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0)을 권회시킨 원단권취샤프트(20)를 대응되게 위치시킨 지지블럭(110)의 안내홈에 장착어셈블리(130)를 통하여 자동으로 안착시킨 공급부(100)와, 상기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원단(10)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가이드롤러(210)를 설치시킨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200)에 의해 안내되는 원단(10)을 중앙압동롤러(310)측으로 공급하되 중앙압동롤러(310)의 외주연에는 인쇄도수에 맞추어 그 수가 결정되는 조판어셈블리(320)를 방사상으로 설치시킨 인쇄부(300)와, 상기 인쇄부(300)의 조판어셈블리(320)에 의해 인쇄가 완료된 원단(10)을 히터(410)가 구비된 덕트(420) 내부로 이송시켜 열풍에 의해 원단(10)을 건조시키는 건조부(400)와, 상기 건조부(400)의 열에 의해 통하여 늘어져 있는 원단(10)의 장력을 감지하여 원단(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장력조절실린더(530)를 상향으로 설치시키되 장력조절실린더(530) 로드에 장력조절롤러(54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 회전레버(560)를 힌지 결합시키고 장력조절실린더(530)의 측방으로 장력감지센서(520)를 부착시킨 장력조절부(500)와, 상기 장력조절부(5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단(10)을 원단회수샤프트(610)에 권회시킬 수 있도록 원단회수샤프트(610)의 하방에 회전하는 리와인딩롤러(612)를 설치하여 원단회수샤프트(610)를 안착시키고 원단회수샤프트(610)의 상방에는 누름어셈블리(620)를 설치하여 원단회수샤프트(610)에 회수되는 원단(10)의 지름에 맞추어 원단회수샤프트(610)를 탄력적으로 하방으로 압박시키면서 원단(10)이 긴밀하게 감기도록 하는 권취부(600)로 구성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0)의 장착어셈블리(130)는 지지블럭(110)의 측방에 장착실린더(131)를 하방으로 설치하여 장착실린더(131)의 로드에 장착레버(132)를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켜 원단(10)이 권취된 원단권취샤프트(20)를 지지블럭(110)의 안착홈(12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안착홈(120)의 하방에는 한 쌍의 받침롤러(133)를 구비시켜 원단(10)을 권회시킨 원단권취샤프트(20)가 장착어셈블리(130)에 의해 이송되어 한 쌍의 받침롤러(133)의 상부 외주연에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원단권취샤프트(20)의 용이한 회전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부(200)는 공급부(100)에서 제공되는 원단(10)의 이송 및 안내를 도울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가이드롤러(210)를 수직상향으로 이격되면서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롤러(210) 중간부에 방향조절롤러(230)를 설치하여원단(10)의 이송방향을 설정 및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송부(200)의 가이드롤러(210)를 통하여 이송되는 원단(10)이 중앙압동롤러(310)측에 공급될 때 상기 중앙압동롤러(310)의 상부 외주연에 프레스롤러(220)를 밀착되게 설치하여 원단(10)이 중앙압동롤러(310)의 상부 외주연에 프레스롤러(220)를 밀착되게 설치하여 원단(10)이 중앙압동롤러(310)의 외주연 표면에 더욱 밀착되면서 권회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판어셈블리(320)는 중앙압동롤러(310)의 외주연에 고정플레이트(321c)를 구비시켜 고정플레이트(321c)에 설치시킨 모터(321b)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고정스크류(321a)를 설치시킨 포지션지지파트(321)와, 상기 포지션지지파트(321)의 고정스크류(321a)에 대응되도록 이동스크류(322a)를 설치하여 연결블럭(321d)에 상호 리이드 이동 가능하게 체결시킨 다음 이동스크류(322a)의 일측에 염색료를 내장한 잉크챔버(322e)에 부분적으로 함침되는 조판원동롤러(322c)를 설치하되 조판원동롤러(322c)와 중앙압동롤러(310) 사이에 조판종동롤러(322d)를 상호 밀착되게 설치시킨 포지션이동파트(322)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조판어셈블리(320)는 포지션지지파트(321)를 기준으로 이동스크류(322a)를 회전시켜 포지션이동파트(322)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이때 포지션이동파트(322)의 전후작동은 모터(321b)의 구동력에 의해 포지션이동파트(322)의 이동스크류(322a)를 회전시켜 연결블럭(321d)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여 중앙압동롤러(310)의 외주연에포지션이동파트(322)의 조판종동롤러(322d)가 1차적으로 상호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중앙압동롤러(310)의 외주연에 조판종동롤러(322d)가 보다 긴밀하고 정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이동스크류(322a)의 일측단에 결합시킨 조절뭉치(322b)를 이용하여 2차로 정밀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판어셈블리(320)를 통하여 원단에 다색의 인쇄문양이 하나의 중앙압동롤러(310)에 의해 동시에 인쇄되는 작업이 완료되면 인쇄된 원단(10)은 표면에 액상의 인쇄안료가 원단에서 굳을 수 있도록 건조부(400)측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건조부(400)는 히터(410)에서 공급된 열풍을 원단(10)이 이송되는 덕트(420) 내부에 공급하여 보다 신속하게 액상의 인쇄안료가 원단의 표면에 긴밀하게 굳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어셈블리(620)는 원단회수샤프트(610)의 상부에 누름실린더(621)를 하향으로 설치하고 누름실린더(621) 로드에 원단회수샤프트(610)의 외주연과 맞물려 이를 하방으로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누름편(622)을 결합시켜 원단회수샤프트(610)에 권회되는 원단이 리와인딩롤러(612) 외주연에 압박되면서 보다 긴밀하게 권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어셈블리(630)는 상기 원단회수샤프트(610)의 측방으로 배출실린더(631)를 상향으로 설치하여 배출실린더(631) 로드에 링크(632)의 일측을 힌지 연결시키고 링크(632)의 타측에는 하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여지게 배출레버(633)의 일측을 결합시키면서 배출레버(633)의 타측을 힌지 고정시켜 원단회수샤프트(610)에 원단의 권회가 종료되면 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단권취샤프트(20)에 원단(10)을 다수회로 권회시켜 일정한 지름의 크기로 형성시킨 다음 상기 원단(10)을 공급부(100) 측으로 굴려 공급부(100)에 원단(10)이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100)는 제공되는 원단(10)을 감지하는 신호에 의해 장착실린더(131)의 로드를 하방으로 내려 지지블럭(110)과 힌지 연결되어 있는 장착레버(132)의 일측을 하방으로 회전시켜 장착레버(132)가 원단권취샤프트(20)의 양끝 측에 걸리도록 위치시킨 다음 장착레버(132)를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원단권취샤프트(20)가 장착레버(132)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지지블럭(110)의 안착홈(12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작동한다.
이후, 원단(10)을 원단권취샤프트(20)에서 인출하여 다수개로 설치시킨 가이드롤러(210) 및 방향조절롤러(230)를 통하여 이송방향이 결정되어지면서 지속적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중앙압동롤러(310)와 같이 연동되는 프레스롤러(220) 사이로 원단(10)을 공급하여 인쇄를 실시할 원단(10)이 중앙압동롤러(310)의 외주연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중앙압동롤러(310) 외주연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원단(10)이 보다 정밀한 패턴으로 중앙압동롤러(310)에 권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원단인쇄의 불량률을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중앙압동롤러(310)에 권회되는 원단(10)은 다수개의 조판어셈블리(320)를 거치면서 다색의 인쇄도수에 맞추어 원단(10)의 표면에 인쇄를 실행하게 된다.
이때, 조판어셈블리(320)는 잉크안료가 내장된 잉크챔버(322e)를 통하여 조판원동롤러(322c)의 외주연에 원하는 인쇄문양으로 잉크안료를 1차로 묻히고 또한 조판원동롤러(322c)와 밀착되어 연동하는 조판종동롤러(322d)측으로 잉크안료를 2차로 묻힌 다음 중앙압동롤러(310)를 통과하는 원단(10)의 표면에 원하는 색상의 인쇄문양을 표시하게 된다.
이후, 다수개의 조판어셈블리(320)를 통하여 각종 문양이 인쇄된 원단(10)은 이송부(200)의 상부에 설치시킨 건조부(400)의 덕트(420) 내부로 이송된다.
이때, 건조부(400)는 히터(410)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덕트(420)내부로 공급하여 액상의 안료로 인쇄되어 있는 원단(10)을 신속하게 건조시킴으로서 액상의 안료가 원단(10)에 신속하게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조부(400)를 빠져나온 원단(10)은 열에 의해 원단의 장력이 신장되어 있음으로서 장력조절부(500)를 통하여 원단(10) 고유의 장력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장력조절부(500)는 장력감지센서(520)에서 감지된 원단(10)의 늘어진 장력 정도에 따라 장력조절실린더(530)의 로드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 길이로 이송시켜 로드 단부에 힌지 연결시킨 회전레버(56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면서 회전레버(560) 단부에 결합시킨 장력조절롤러(540)가 원단(10)을 바깥 측으로 원단(10)을 밀어내어 원단(1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쇄가 완료되고 장력이 조절된 원단(10)은 한 쌍의 리와인딩롤러(612)의 외주연에 안착되어 있는 원단회수샤프트(610)에 권회된다.
그리고, 원단회수샤프트(610)에 권회되는 원단(10)의 권회수가 많을수록 권회되는 원단(10)의 지름은 커지게 되는데, 이때 원단(10)이 원단회수샤프트(610)에 긴밀하고 정밀하게 권회될 수 있도록 원단회수샤프트(610)의 양끝부에 누름실린더(621)에 결합되어 있는 누름편(622)을 통하여 원단회수샤프트(610)에 권회되는 원단(10)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권회되는 원단(10)의 외주연을 항상 리와인딩롤러(612)의 외주연에 압박되도록 함으로서 권회되는 원단(10)과 원단(1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단회수샤프트(610)에 보다 긴밀하고 정밀하게 권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원단회수샤프트(610)에 원단(10)의 권회작업이 완료되면 배출실린더(631)의 로드를 상향으로 이송시켜 로드 단부에 힌지 연결된 링크(632)가 상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출레버(633)의 일측면이 원단(10)의 일측을 밀어 중량이 무거운 원단(10)을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색 동시 인쇄기는 인쇄도수에 맞추어 압동롤러의 개수를 늘릴 필요 없이 하나의 중앙압동롤러의 외주연에 인쇄도수에 맞추어진 개수만큼 조판어셈블리를 방사상으로 설치시킴으로서 다색 인쇄기의 설치비용이 저렴하여 원단의 인쇄물의 코스트가 낮아져 제품의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인쇄되기 전후로 걸쳐 이송되어지는 원단의 떨림을 방지함으로서 원단의 표면에 인쇄의 선명도 및 색상별 전후좌우의 위치가 정확하게 인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불량률을 줄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원단(10)을 권회시킨 원단권취샤프트(20)를 대응되게 위치시킨 지지블럭(110)의 안내홈에 장착어셈블리(130)를 통하여 자동으로 안착시키는 공급부(100)와,
    상기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원단(10)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가이드롤러(210)를 설치시킨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200)에 의해 안내되는 원단(10)을 중앙압동롤러(310)측으로 공급하되 중앙압동롤러(310)의 외주연에는 인쇄도수에 맞추어 그 수가 결정되는 조판어셈블리(320)를 방사상으로 설치시킨 인쇄부(300)와,
    상기 인쇄부(300)의 조판어셈블리(320)에 의해 인쇄가 완료된 원단(10)을 히터(410)가 구비된 덕트(420) 내부로 이송시켜 열풍에 의해 원단(10)을 건조시키는 건조부(400)와,
    상기 건조부(400)의 열에 의해 통하여 늘어져 있는 원단(10)의 장력을 감지하여 원단(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력조절실린더(530)를 상향으로 설치시키되 장력조절실린더(530) 로드에 장력조절롤러(54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 회전레버(560)를 힌지 결합시키고 장력조절실린더(530)의 측방으로 장력감지센서(520)를 부착시킨 장력조절부(500)와,
    상기 장력조절부(5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단(10)을 원단회수샤프트(610)에 권회시킬 수 있도록 원단회수샤프트(610)의 하방에 회전하는 리와인딩롤러(612)를설치하여 원단회수샤프트(610)를 안착시키고 원단회수샤프트(610)의 상방에는 누름어셈블리(620)를 설치하여 원단회수샤프트(610)에 회수되는 원단(10)의 지름에 맞추어 원단회수샤프트(610)를 탄력적으로 하방으로 압박시키면서 원단(10)이 긴밀하게 감기도록 하는 권취부(60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동시 인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어셈블리(130)는 지지블럭(110)의 측방에 장착실린더(131)를 하방으로 설치하여 장착실린더(131)의 로드에 장착레버(132)를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켜 원단(10)이 권취된 원단권취샤프트(20)를 지지블럭(110)의 안착홈(12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동시 인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판어셈블리(320)는,
    중앙압동롤러(310)의 외주연에 고정플레이트(321c)를 구비시켜 고정플레이트(321c)에 설치시킨 모터(321b)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고정스크류(321a)를 설치시킨 포지션지지파트(321)와,
    상기 포지션지지파트(321)의 고정스크류(321a)에 대응되도록 이동스크류(322a)를 설치하여 연결블럭(321d)에 상호 리이드 이동 가능하게 체결시킨 다음 이동스크류(322a)의 일측에 염색료를 내장한 잉크챔버(322e)에 부분적으로 함침되는 조판원동롤러(322c)를 설치하되 조판원동롤러(322c)와 중앙압동롤러(310) 사이에 조판종동롤러(322d)를 상호 밀착되게 설치시킨 포지션이동파트(32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동시 인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어셈블리(620)는 원단회수샤프트(610)의 상부에 누름실린더(621)를 하방으로 설치하고 누름실린더(621) 로드에 원단회수샤프트(610)의 외주연과 맞물려 이를 하방으로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누름편(622)을 결합시켜 원단회수샤프트(610)에 권회되는 원단(10)이 리와인딩롤러(612) 외주연에 압박되면서 보다 긴밀하게 권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동시 인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어셈블리(630)는 원단회수샤프트(610)의 측방으로 배출실린더(631)를 상향으로 설치하여 배출실린더(631) 로드에 링크(632)의 일측을 힌지 연결시키고 링크(632)의 타측에는 하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여지게 배출레버(633)의 일측을 결합시키면서 배출레버(633)의 타측을 힌지 고정시켜 원단회수샤프트(610)에 원단의 권회가 종료되면 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동시 인쇄기.
KR20-2003-0038814U 2003-12-12 2003-12-12 다색 동시 인쇄기 KR200343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14U KR200343760Y1 (ko) 2003-12-12 2003-12-12 다색 동시 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14U KR200343760Y1 (ko) 2003-12-12 2003-12-12 다색 동시 인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760Y1 true KR200343760Y1 (ko) 2004-03-12

Family

ID=4934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814U KR200343760Y1 (ko) 2003-12-12 2003-12-12 다색 동시 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7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33B1 (ko) * 2015-11-13 2016-12-20 김정식 다색의 크레이프 원사 스페이스 염색방법 및 그 장치
KR101698691B1 (ko) * 2015-11-13 2017-01-20 김정식 원사 다색 염색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33B1 (ko) * 2015-11-13 2016-12-20 김정식 다색의 크레이프 원사 스페이스 염색방법 및 그 장치
KR101698691B1 (ko) * 2015-11-13 2017-01-20 김정식 원사 다색 염색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768B1 (ko) 두루마리용지 이송식 로타리 인쇄기
US5233922A (en) Ink fountain for a can coater
KR101198955B1 (ko) 다색도 금박인쇄장치
US5740727A (en) Can decorating apparatus
US8042463B2 (en) Coating device and coating unit in a stencil printing apparatus
KR200343760Y1 (ko) 다색 동시 인쇄기
US20200086627A1 (en) Vertical double-sided rotary screen transfer printing apparatus
JP4740255B2 (ja) グラビアシリンダパッチ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方法
WO2003101737A1 (en) Screen printing machine having a replaceable ink jet printing unit
CN2728764Y (zh) 间歇式可调幅金属卷材连续套色彩印涂装设备
JP2013501646A (ja) ロータリ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方法
US4008661A (en) Printing press for use with bag-making machines
JP3488866B2 (ja) 金属板の印刷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3294018A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rinting images with different kinds of ink
EP0085439B1 (en) Overvarnish apparatus for decorator machine
CN108340663B (zh) 无纸化转移印花机
US6037959A (en) Synchronious re-inking of a re-inkable belt
WO2018133257A1 (zh) 印花部套装置
JP2000079677A (ja) 印刷金属板用の印刷装置
US5907996A (en) Half-tone printing process
CN108327387B (zh) 一种滚筒式织带多色印刷设备
US5235913A (en) Litho start-off device and method of stabilizing an offset lithographic printing press to print a precise ink image
KR20100101231A (ko) 인쇄장치
KR20120007735U (ko) 중앙압동롤 인쇄기
US20040060468A1 (en) Flexographic rotary platen printing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