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052B1 -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052B1
KR100467052B1 KR10-2001-0088762A KR20010088762A KR100467052B1 KR 100467052 B1 KR100467052 B1 KR 100467052B1 KR 20010088762 A KR20010088762 A KR 20010088762A KR 100467052 B1 KR100467052 B1 KR 100467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varying
antistatic agent
weight
ink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346A (ko
Inventor
장윤진
손규복
김종균
홍창석
정지일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01-008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05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1/00Coins; Emergency money; Beer or gambling coins or token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변각형 채색주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기념주화 및 메달류 등의 금속 압인제품에 있어서, 시변각 안료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디자인 구성상 요철(凹凸)문양 중 일부의 양각형상인 평면상의 철(凸)부분에 패드 또는 실크 인쇄 방식으로 인쇄함으로써,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변화를 일으키는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변각형 채색주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변각 효과 뿐만 아니라, 우수한 패드 또는 실크용 인쇄적성 및 금속 접착성을 갖는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품위 및 제품 다양화를 위한 기념주화 및 메달류 등의 금속 압인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Composition for ink used in optically variable coloring coin}
본 발명은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변각형 채색주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각종 기념주화 및 메달류 등의 금속 압인제품에 있어서 시변각형 잉크를 사용하여 고품위와 제품의 다양화를 제공할 수 있는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변각형 채색주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념주화 및 메달류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있어서, 1차적으로는 선정된 금속 성분의 판재(板材)를 제조한 후, 표준 규격에 따라 크기, 두께, 중량, 및 형태 등을 가공한 다음, 외관 표면 상태를 정밀 검사하여 압인 재료로서 사용한다. 또한, 압인을 위한 모형 제작을 위해 디자인 규격대로 금속의 원극인 및 극인을 제작한다. 그 다음, 제작된 상기 극인 및 압인 재료를 압인기에 거치한 후 70∼500톤 정도의 압력을 가해 주화 및 메달류 등을 제조한다.
한편, 이로부터 얻은 제품의 광택성 유무는 극인 제조시 결정되며, 착색 또는 일반 채색과정은 후가공으로써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채색주화 및 메달류는 무광의 극인을 사용하며, 압인 후 일반 유색 패드 또는 스크린 방식의 잉크를 사용하여 1∼5도색으로 인쇄함으로써 칼라의 채색효과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시변각 효과를 갖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제99-64697호는 금속판 표면상에 칼라문양 또는 사진 등을 견고하게 전사 나염할 수 있는 전사 나염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 제99-50164호 및 제98-46772호는 난연성일 뿐 아니라, 인쇄후 신속하게 건조되고, 고온의 마킹조건에서도 인쇄성이 우수한 금속표면 인쇄용 난연성 형광 마킹 잉크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방법은 단순한 단색 또는 다색 도안으로서 시변각 효과를 갖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금속 제품의 공정에 있어서 많은 공정 작업시간이 요구되어 채색주화 및 메달류와 같은 제품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97-58957호는 제관용 특수 폴리에스텔 전사필름을 이용하여 칼라 인쇄물 등을 얻는 전사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방법은 전사필름에 칼라인쇄를 한 후, 상기 필름을 주화 또는 메달류에 정밀하게 맞추어 전사시켜야 하기 때문에, 레지스타를 맞추기가 곤란하고, 작업공정이 비능률적이며, 주화 및 메달 등의 디자인된 금속제품에 결합시켜 사용하기가 어렵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 제98-8600호는 시변각요소가 형성된 금속판을 결합한 주화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방법은 홀로그램 방식의 시변각요소가 형성된 금속판을 따로 제작하여 판체에 접합시켜야 하므로,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시변각 안료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일반 유색의 블랙잉크로 1차 인쇄된 베이스면 위에 2차로 다시 인쇄하거나, 또는 극소량의 블랙잉크가 첨가된 시변각형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쇄함으로써,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변화를 일으키는 시변각형 채색주화를 얻을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패드 또는 실크용 인쇄적성 및 금속 접착성을 갖는 시변각형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고품위 및 제품 다양화를 위한 시변각형 채색주화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잉크 조성물은 액정상 콜레스트릭을 함유한 유기실리콘 고분자 조직을 갖는 반투명성 시변각 안료 5.0∼15.0중량%, 바니시 85.0∼90.0중량%, 흄드 실리카를 0.1∼1.0중량%, 에틸카비톨계 용제 1.0∼2.0중량%, 대전 방지제 0.1∼0.3중량%,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1∼0.3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잉크 조성물은 액정상 콜레스트릭을 함유한 유기실리콘 고분자 조직을 갖는 반투명성 시변각 안료 5.0∼15.0중량%, 바니시 85.0∼90.0중량%, 카본블랙안료 0.1∼0.5중량%, 흄드 실리카를 0.1∼1.0중량%, 에틸카비톨계 용제 1.0∼2.0중량%, 대전 방지제 0.1∼0.3중량%,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1∼0.3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압인기로 70∼500톤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압인제품을 만든 다음, 패드 또는 실크 방식으로 상기 압인제품의 평면 철(凸)문양 중 밑바탕(베이스면)에 1도의 흑색잉크를 인쇄한 후, 그 위에 상기 제1잉크 조성물로 1도 인쇄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압인기로 70∼500톤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압인제품을 만든 다음, 패드 또는 실크 방식으로 상기 압인제품의 평면 철(凸)문양 중 밑바탕에 상기 제2잉크 조성물로 1도 인쇄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변각형 채색주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시변각형 잉크를 사용하여 고품위와 제품의 다양화를 제공할 수 있는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변각형 채색주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주화는 메달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기념주화 등의 금속 압인제품에 있어서 단순히 선택된 금속 성분인 금, 은, 동 등의 색상에 광택을 입히거나, 또는 단순 착색 또는 일반 유색 잉크를 사용하여 칼라 효과를 내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반투명의 시변각형 잉크를 사용하여 패드 또는 실크 방식으로 적용 압인제품에 인쇄함으로써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변화를 일으키는 고품위 및 제품 다양화를 위한 시변각형 채색주화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유색의 블랙잉크로 1차 인쇄된 베이스면 위에 블랙잉크를 함유하지 않는 제1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2차로 다시 인쇄하거나, 또는 극소량의 블랙잉크가 첨가된 시변각형 제2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단 한번 인쇄함으로써,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변화를 일으키는 시변각형 채색주화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변각형 제1잉크 조성물은 액정상 콜레스트릭을 함유한 유기실리콘 고분자 조직을 갖는 반투명성 시변각 안료 5.0∼15.0중량%, 바니시 85.0∼90.0중량%, 흄드 실리카를 0.1∼1.0중량%, 에틸카비톨계 용제 1.0∼2.0중량%, 대전 방지제 0.1∼0.3중량%,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1∼0.3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잉크 조성물에 착색제로서 유색의 카본 블랙 안료를 0.1∼0.5중량% 더욱 첨가하여 미량의 카본 블랙 안료가 첨가된 본 발명의 제2잉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변각 안료는 반투명의 펄 안료로서 극소량의 흑색의 착색안료의 존재하에서도 우수한 시변각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안료로는 독일 WACKER사에서 시판하고 있는 제품인 SLM 90120, SLM 90220, 또는 SLM 90320 등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시변각 안료는 5.0∼15.0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량이 5.0중량% 미만이면 시변각 효과가 미흡하고, 15.0중량%를 초과하면 시변각 효과는 증가되지만, 인쇄적성이 미흡하다.
또한, 상기 바니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과 스티렌의 코폴리머 수지, 및 염화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여 싸이크로 헥사논 용제에 용해시킨 후, 점도 50∼150poise(25℃) 정도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이 때, 상기 바니시는 85.0∼90.0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량이 85.0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져 전이성이 낮아지고, 90.0중량%를 초과하면 잉크가 묽어져 전이성은 증가하지만 작업적성이 저하된다.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흄드 실리카로는 특히 Degussa사의 에어로질 R-812가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1.0∼1.0중량%인 것이 좋다.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카비톨계 용제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에테르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그 함량은 1.0∼2.0중량%인 것이 좋다.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전방지제는 폴리우레탄용 대전방지제, 아크릴용 대전방지제, 합성수지용 대전방지제, 페인트용 대전방지제 및 폴리에스터용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그 함량은 0.1∼0.3중량%인 것이 좋다.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스텔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그 함량은 0.1∼0.3중량%인 것이 좋다.
상기 각각의 잉크 조성물은 3롤밀(연육기)에서 1∼2회 정도 연육되어 우수한 패드 또는 실크용 인쇄적성 및 금속 접착성을 갖는 시변각형 잉크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변각형 채색주화의 제조방법은 압인기로 70∼500톤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압인제품을 만든 다음, 패드 또는 실크 방식으로 상기 압인제품의 평면 철(凸)문양 중 밑바탕(베이스면)에 1도의 흑색잉크를 인쇄한 후, 그 위에 상기 제1잉크 조성물로 1도 인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흑색잉크를 포함한 제2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좀 더 간단한 공정을 통해 압연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변각형 채색주화의 다른 제조방법은 압인기로 70∼500톤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압인제품을 만든 다음, 패드 또는 실크 방식으로 상기 압인제품의 평면 철(凸)문양 중 밑바탕에 상기 제2잉크 조성물로 1도 바로 인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변각 안료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우수한 인쇄적성 및 고품위와 다양성을 함께 갖는 시변각형 채색주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계 수지 25.0중량%에 싸이크로 헥사논계 용제 75.0중량%를 가하여 용해시켜 25℃에서 50∼150poise의 점도를 갖는 바니시를 제조하였다.
액정상 콜레스트릭을 포함한 유기 실리콘 고분자 조직을 갖는 백색 반투명의 펄 안료(Helicon, SLM 90320, 독일 WACKER사 제조) 10.0중량%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바니시 88.2중량%, 친유성의 흄드 실리카로서 에어로질 R-812를 0.5중량%, 에틸카비톨계 용제 1.0중량%, 대전방지제(중일유화, J1-65) 0.2중량%,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CD-1(미국 Troy사) 0.1중량%를 배합하여 연육기에서 최저 압력으로 1∼2회 정도 분산 연육시켜 시변각형 잉크를 제조하였다. 상기 잉크는 정면에서 보는 경우 광의 간섭에 의해 어두운 금색에서 각도 변환시 진록색으로 변했다.
실시예 2
시변각 안료로서 Helicon, SLM 90320 대신에 Helicon, SLM 9022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정면에서 보는 경우 연록색에서 각도 변환시 암청록색으로 변하는 시변각형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시변각 안료로서 Helicon, SLM 90320 대신에 Helicon, SLM 9012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정면에서 보는 경우 암청록색에서 각도 변환시 청자색으로 변하는 시변각형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착색제로서 흑색의 카본 블랙 안료 0.2중량%를 더욱 첨가하여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시변각형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압인기로 80톤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압인제품을 만든 다음, 패드 방식으로 상기 압인제품의 평면 철(凸)문양 중 밑바탕(베이스면)에 1도의 흑색잉크를 인쇄한 다음, 그 위에 다시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시변각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1도 인쇄하여 시변각형 채색주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압인기로 80톤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압인제품을 만든 다음, 패드 방식으로 상기 압인제품의 평면 철(凸)문양 중 밑바탕(베이스면)에 실시예 4에서 얻은 시변각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1도 인쇄하여 시변각형 채색주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얻은 잉크 조성물 대신 실시예 2에서 얻은 잉크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시변각형 채색주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얻은 잉크 조성물 대신 실시예 3에서 얻은 잉크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시변각형 채색주화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단순 금속성분의 색상 또는 유색의 잉크를 사용하여 1∼5도색의 인쇄를 통한 칼라효과를 나타내거나, 또는 시변각 효소가 삽입된 금속판을 결합하여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시변각 효과를 갖는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패드 또는 실크 방식으로 1∼2도 인쇄함으로써 고품위 및 다양성을 갖는 시변각형 채색주화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액정상 콜레스트릭을 함유한 유기실리콘 고분자 조직을 갖는 반투명성 시변각 안료 5.0∼15.0중량%,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과 스티렌의 코폴리머 수지, 및 염화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바니시 85.0∼90.0중량%,
    흄드 실리카 0.1∼1.0중량%,
    에틸카비톨계 용제 1.0∼2.0중량%,
    폴리우레탄용 대전방지제, 아크릴용 대전방지제, 합성수지용 대전방지제, 페인트용 대전방지제 및 폴리에스터용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대전방지제 0.1∼0.3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스텔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1∼0.3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2. 액정상 콜레스트릭을 함유한 유기실리콘 고분자 조직을 갖는 반투명성 시변각 안료 5.0∼15.0중량%,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과 스티렌의 코폴리머 수지, 및 염화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바니시 85.0∼90.0중량%,
    카본블랙안료 0.1∼0.5중량%,
    흄드 실리카 0.1∼1.0중량%,
    에틸카비톨계 용제 1.0∼2.0중량%,
    폴리우레탄용 대전방지제, 아크릴용 대전방지제, 합성수지용 대전방지제, 페인트용 대전방지제 및 폴리에스터용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대전방지제 0.1∼0.3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스텔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1∼0.3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1-0088762A 2001-12-31 2001-12-31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KR100467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762A KR100467052B1 (ko) 2001-12-31 2001-12-31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762A KR100467052B1 (ko) 2001-12-31 2001-12-31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346A KR20030058346A (ko) 2003-07-07
KR100467052B1 true KR100467052B1 (ko) 2005-01-24

Family

ID=3221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762A KR100467052B1 (ko) 2001-12-31 2001-12-31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5008625A2 (pt) * 2012-11-29 2017-10-03 Sicpa Holding Sa Moeda de metal em relevo, processo para preparar a mesma, uso da camada de revestimento e método para a proteção de uma moeda de metal em relevo.
KR102256040B1 (ko) 2018-06-29 2021-05-27 한국조폐공사 형광 보안 요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0350A (ja) * 1992-12-03 1994-08-09 Consortium Elektrochem Ind Gmbh 視角に依存する多色性を有する顔料、その製造方法、該顔料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該顔料を含有する塗料、プラスチック、繊維原料、印刷インキ又は化粧用調剤及び安全標識
JPH083474A (ja) * 1994-05-23 1996-01-09 Basf Corp 光学的に変化し得る顔料の不動態化およびその顔料を含む水性塗料組成物
KR100344080B1 (ko) * 2000-03-21 2002-07-24 한국조폐공사 시변각형 수불식 요판잉크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0350A (ja) * 1992-12-03 1994-08-09 Consortium Elektrochem Ind Gmbh 視角に依存する多色性を有する顔料、その製造方法、該顔料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該顔料を含有する塗料、プラスチック、繊維原料、印刷インキ又は化粧用調剤及び安全標識
JPH083474A (ja) * 1994-05-23 1996-01-09 Basf Corp 光学的に変化し得る顔料の不動態化およびその顔料を含む水性塗料組成物
KR100344080B1 (ko) * 2000-03-21 2002-07-24 한국조폐공사 시변각형 수불식 요판잉크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346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66101B (zh) 一种印刷生产方法
JP2007513206A (ja) 金属粉インキ及び金属粉インキを印刷物の仕上げに使用する方法
JPH11319147A (ja) マーキングが施されたゴルフボール及びゴルフボールへのマーキング方法
JP5061997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水圧転写体
KR101061478B1 (ko) 입체적 무늬가 형성된 자동차 시트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100728167B1 (ko) 유리 표면에 펄 혼합 인쇄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인쇄물
KR100467052B1 (ko) 시변각형 채색주화용 잉크 조성물
CN103666073A (zh) 一种新型紫外光固化丝网珠光油墨及其制备方法
CN102233692B (zh) 装饰印刷品及其制备方法
WO2021106955A1 (ja) 化粧シート、化粧板、及び化粧シート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
CN109823074A (zh) 一种炫彩热转印珠光膜及其制备方法
KR100481627B1 (ko) 금속질감을갖는합성수지재시트의제조방법
JPS6354484A (ja) 着色裏印刷されたパ−ル調接着シ−ト
KR20000047031A (ko) 신규의인쇄용전사조성물,이를이용한인쇄방법및장치
CN207643982U (zh) 一种安全制品
KR200264602Y1 (ko) 입체색상엠보싱스티커
JP7183905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水圧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730761B1 (ko) 투톤 및 에칭조각효과를 갖는 연포장 인쇄물 및 그 인쇄 방법
KR100796786B1 (ko) 부조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JPH11115391A (ja) 転写フィルム
CN105984145B (zh) 一种表面打印纽扣的制备方法
JP4955817B1 (ja) 加飾印刷物およびその製法
CN108929044B (zh) 一种制备高亮金属色玻璃涂层的方法
JP2022068733A (ja) 化粧シート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KR20170126580A (ko) 인쇄면에 금속질감이 더해진 장식용 유리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장식용 유리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