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245B1 -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245B1
KR100465245B1 KR10-2002-0025918A KR20020025918A KR100465245B1 KR 100465245 B1 KR100465245 B1 KR 100465245B1 KR 20020025918 A KR20020025918 A KR 20020025918A KR 100465245 B1 KR100465245 B1 KR 100465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drive roll
feed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838A (ko
Inventor
정영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2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용지공급장치는 인쇄 용지를 픽업하는 용지픽업부; 픽업된 용지를 소정 위치까지 이송하는 용지이송부; 소정 위치까지 이송된 용지를 프린팅 작업이 수행되도록 이송하는 용지피딩부;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용지의 급지 중에 다음 용지를 연속으로 공급할 때, 다음 용지의 위치에 따른 센서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용지 이송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지 이송 중에 연속해서 다음 용지를 급지할 때 뒤에 급지된 용지의 위치에 따라 용지 이송량을 설정하여 용지 이송을 수행함으로써 뒤의 용지를 페이퍼 에러로 인지하여 인쇄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지급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paper suppling of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속해서 용지를 공급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는 용지 급지 시스템에 의해 공급된 인쇄매체, 즉, 인쇄용지에 내/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화상을 감광드럼을 통해 전사시키거나 잉크헤드를 통해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는, 인쇄할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이송 경로로 픽업한 후 용지를 이송하여 프린터 잉크 헤드에서 이송된 용지에 프린팅 작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도 1 및 도 2 를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도 1 은 일반적인 용지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지공급장치는 인쇄할 용지를 픽업하는 용지픽업부, 픽업된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부, 프린팅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용지를 이동시키는 용지피딩(feeding)부, 인쇄된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로 구성된다.
용지픽업부는 픽업롤(111)과 픽업모터(112)로 구성되며, 픽업모터(112)의 구동에 따라 픽업롤(111)이 회전하여 인쇄할 용지를 용지이송경로로 픽업한다. 용지이송경로는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다. 용지이송부는 드라이브롤(123), 드라이브롤(123)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지를 이송하는 아이들드라이브롤(122),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을 드라이브롤(123)측에 위치시키거나(도 1 의 a 방향) 이탈시키는(도 1 의 b 방향) 드라이브캠(도면중 미도시), 상기 드라이브캠과 드라이브롤(123)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브모터(124)로 구성되며, 용지를 소정 위치까지 이송한다. 용지피딩부는 피드롤(131)과 피드모터(132)로 구성되며, 소정 위치까지 이송된 용지가 프린트 헤드(160)에서 프린팅 작업될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배출부(150)는 배지롤러로 구성되어 인쇄작업이 끝난 용지를 용지이송경로에서 배출한다. 센서부는 픽업롤(111)과 드라이브롤(123)사이에 위치한 제1센서(141)와 피드롤 앞에 위치한 제2센서(142)로 구성되어 용지의 위치를 검출한다.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용지공급장치에 의해 용지가 급지되는 단계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이송 경로로 용지를 픽업하는 용지 픽업 단계(s10), 픽업된 용지를 소정위치까지 이송하는 용지 로드 단계(s20, s30, s40, s50), 프린터 헤드에서 프린팅되도록 이송된 용지를 공급하는 탑피드(top feed) 단계(s60)로 구분되어지며, 이후 용지 배출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빠른 인쇄를 위하여 현재 프린팅 될 용지(P1)의 이송 및 배출단계 수행 중에 다음 용지(P2)의 급지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용지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화상형성장치의 호스트 제어부에서 용지 급지 명령이 입력되면 인쇄할 용지의 픽업동작이 이루어진다(s10). 즉, 픽업모터(112)가 구동되고, 픽업모터(112)의 구동에 따라 픽업롤(111)이 회전하여 인쇄 용지를 용지이송경로로 픽업한다.
픽업 동작 수행 중 드라이브모터(124)는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라이브캠(121)에 의해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이 드라이브롤(123)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이 구동위치에 있도록 한다(s20).
드라이브모터(124)을 구동하여 드라이브롤(123)과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이 회전하여 용지를 이송하도록 한다. 제1센서(141)는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검출하여 용지의 선단이 소정 위치에서 멈추도록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1센서(141) 신호에 따라 드라이브모터(124)를 구동하여 용지를 소정 위치, 본 실시예에서는 피드롤(131)까지 이송한다(s30). 피드롤(131)까지 이송된 용지는 제2센서(142)에 의한 용지 위치 검출 신호에 따라 선단이 정렬된 후, 피드모터(132)의 구동에 따라 프린트헤드의 선단까지 이송된다(s40). 용지가 프린트헤드(160) 선단까지 이송되면 드라이브모터(124)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라이브캠에 의해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이 드라이브롤(123)로부터 이탈하여 해제위치에 있도록 한다(s50).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의 해제위치에서 피드모터(132)를 구동하여 피드롤(131)에 의해 용지를 이송시키면서 프린팅 작업을 수행한다. 프린팅 작업이 완료되면 피드모터(132)를 구동시켜 배출부(150)에 의해 용지가 배출되도록 하며 드라이브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이 구동위치에 있도록 한다.
한편, 용지(P1)의 이송 또는 배출 중에 연속해서 용지를 급지할 경우, 픽업모터(112)와 드라이브모터(124)를 이용하여 픽업 동작을 수행하여 다음 장의 용지(P1) 선단이 소정 위치에 정렬되도록 제1센서(141)를 이용하여 이송량을 제어하여 픽업동작을 수행한다. 드라이브모터(124)는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라이브캠에 의해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을 구동위치(a)로 이동시켜 아이들드라이브롤(122)과 드라이브롤(123)의 회전에 의해 다음 용지(P2)가 이송되도록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해서 용지를 공급하게 되면 용지가 중복되어 급지, 이송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용지가 중복되어 급지되어 뒤의 용지 선단이 용지이송 경로 중 특정 위치에 위치할 때, 다음 작업 수행 시 페이퍼 에러로 판단되어 프린팅이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제1센서를 지난 위치에 뒤의 용지가 위치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다음 작업 수행 시 페이퍼 잼 등 페이퍼 에러로 인지한다.
이와 같이 용지의 연속 급지 시 중송이 발생한 경우 페이퍼 에러로 인지되면 화상형성장치는 에러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프린팅 작업을 이 멈추게 되므로 용지 급지율이 저하되고, 인쇄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 급지 중 연속하여 다음 용지를 급지할 때 용지 중송에 따른 페이퍼 에러로 인지하여 프린팅 작업을 정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10 ; 용지픽업부
111 ; 픽업롤 112 ; 픽업모터
120 ; 용지이송부 121 ; 드라이브캠
122 ; 아이들드라이브롤 123 ; 드라이브롤
124 ; 드라이브모터 130 ; 용지피딩부
131 ; 피드롤 132 ; 피드모터
140 ; 센서부 141 ; 제1센서
142 ; 제2센서 150 ; 배출부
160 ; 프린트헤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쇄 용지를 픽업하는 용지픽업부; 픽업된 용지를 소정 위치까지 이송하는 용지이송부; 소정 위치까지 이송된 용지를 프린팅 작업이 수행되도록 이송하는 용지피딩부;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용지의 급지 중에 다음 용지를 연속으로 공급할 때, 다음 용지의 위치에 따른 센서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용지이송부의 용지 이송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지이송부는, 용지를 이송시키는 드라이브롤, 드라이브롤과 쌍으로 설치되어 용지를 이송시키는 아이들드라이브롤, 아이들드라이브롤을 드라이브롤 쪽으로 위치시키거나 이탈시키는 드라이브캠, 및 드라이브롤, 아이들드라이브롤, 그리고 드라이브캠을 구동하는 드라이브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용지를 연속해서 급지할 때 앞의 용지가 소정 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드라이브모터를 제어하여, 아이들드라이브롤을 드라이브롤 쪽으로 이동시키고, 뒤의 용지를 픽업하여 이송시킨 후 센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뒤의 용지의 위치를 판단하여 드라이브모터 구동량을 설정하고 뒤의 용지가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드라이브모터를 구동시켜 뒤의 용지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해서 인쇄 용지를 공급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방법에 있어서, 용지 급지 중 연속해서 용지를 이송시킬 때 뒤의 용지의 위치에 따라 용지이송량을 조절하여 소정 위치까지 뒤의 용지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는 인쇄 용지를 픽업하는 용지픽업부(110), 픽업된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부(120), 이송된 용지를 프린팅 작업이 수행되도록 이동시키는 용지피딩부(130), 프린팅 완료된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부(150),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14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로 구성된다.
용지픽업부(110)는 급지카세트에서 용지이송경로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111)과 픽업롤(111)을 구동시키는 픽업모터(112)로 구성된다.
용지이송부(120)는 드라이브롤(123), 아이들드라이브롤(122), 드라이브캠(121), 및 드라이브모터(124)로 구성된다. 드라이브롤(123)과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은 쌍으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용지를 이송한다. 드라이브캠(121)은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을 드라이브롤(123) 쪽으로 이동시켜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이 구동위치에서 용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이탈시켜 해제위치에 있도록 하여 연속해서 용지 공급시 용지가 구겨지거나 팽팽히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드라이브모터(124)는 드라이브롤(123)과 드라이브캠(121)을 구동시킨다.
용지피딩부(130)는 프린트헤드(160)에서 프린팅 작업이 수행되도록 용지를 이동시키는 피드롤(131)과, 피드롤(131)을 회전시키는 피드모터(132)로 구성된다. 배출부(150)는 배지롤러로 구성되어 인쇄작업이 끝난 용지를 배출한다. 센서부(140)는 픽업롤(111)과 드라이브롤(123)사이에 위치한 제1센서(141)와 피드롤 앞에 위치한 제2센서(142)로 구성되어 용지의 위치를 검출한다.
제어부(100)는 센서부(14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판단하여 픽업모터(112), 드라이브모터(124), 및 피드모터(132)의 구동을 제어하여 용지가 이송되어 프린팅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어부(100)는 인쇄용지를 연속해서 급지하는 경우 센서부(140)의 신호에 따라 앞의 이송중인 용지가 소정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이 구동위치로 이동되도록 드라이브모터(124)를 구동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다음 용지의 급지명령이 입력되면 다음 용지를 픽업한 후, 이송하고, 센서부(14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다음 용지의 위치를 판단하고, 용지의 위치에 따라 드라이브모터(124)의 구동량을 설정하여 소정위치까지 다음 장이 이송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인쇄를 위하여 용지의 이송 중에 연속 급지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먼저 이송중인 용지가 소정 위치를 통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용지의 위치는 센서부(140)의 제1센서(141) 또는 제2센서(142)에서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판단한다. 용지가 소정 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드라이브모터(124)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드라이브캠(121)에 의해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이 구동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앞에 이송 중이던 용지가 소정위치를 통과한 후 해제위치에 있던 아이들드라이브롤(122)을 구동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앞, 뒤 용지를 이송시키는 모터들의 비동기화로 인해 용지가 구겨지거나 팽팽하게 당겨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음 페이지의 프린팅을 위하여 다음 용지의 급지 명령이 있으면, 다음 용지를 픽업 및 이송하도록 픽업모터(112)와 드라이브모터(124)를 구동한다. 다음 용지를 이송하면서 센서부(14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다음 용지의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된 다음 용지의 위치에 따라 드라이브모터(124)의 구분된 구동량을 설정한다. 설정된 구동량에 따라 드라이브모터(124)를 구동하여 용지가 소정 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뒤에 이송 중인 용지의 위치를 검출하여 용지의 위치에 따라 드라이브모터(124)를 구동하여 용지를 피드롤(131)쪽으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용지가 중송되어 뒤에 이송중인 용지를 페이퍼 에러로 판단하여 프린팅 작업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정된 구동량으로 구동된 드라이브모터(124)의 회전에 의해 소정 위치, 본 실시예에서는 피드롤까지 용지가 이송되면, 먼저 이송되어 프린팅된 용지는 배출되었으므로, 연속해서 급지된 용지의 피딩 단계 및 프린팅 단계를 수행하고 프린팅이 완료된 용지를 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 이송 및 배출 시 연속해서 다음 용지를 급지할 때 뒤에 급지된 용지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용지 이송량을 설정하여 용지 이송을 수행함으로써 뒤의 용지를 페이퍼 에러로 인지하여 인쇄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지급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6)

  1. 인쇄 용지를 픽업하는 용지픽업부;
    픽업된 상기 용지를 소정 위치까지 이송하는 용지이송부;
    상기 소정 위치까지 이송된 상기 용지를 프린팅 작업이 수행되도록 이송하는 용지피딩부;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용지를 연속으로 공급할 때, 뒤의 용지 위치에 따른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용지이송부의 용지 이송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이송부는 연속적인 용지급지 및 용지이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이송부는,
    용지를 이송시키는 드라이브롤, 상기 드라이브롤과 쌍으로 설치되어 용지를 이송시키는 아이들드라이브롤, 상기 아이들드라이브롤을 상기 드라이브롤 쪽으로 위치시키거나 이탈시키는 드라이브캠, 및 상기 드라이브롤, 상기 아이들드라이브롤,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캠을 구동하는 드라이브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용지를 연속해서 급지할 때 앞의 용지가 소정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드라이브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아이들드라이브롤을 상기 드라이브롤 쪽으로 이동시키고, 뒤의 용지를 픽업하여 이송시킨 후 상기 센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뒤의 용지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드라이브모터 구동량 설정하여 뒤의 용지가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드라이브모터를 구동시켜 뒤의 용지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용지픽업부와 상기 용지이송부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센서; 와
    상기 용지이송부와 상기 용지피딩부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5. 연속해서 인쇄 용지를 공급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방법에 있어서,
    용지 급지 중 연속해서 용지를 이송시킬 때 뒤의 용지의 위치에 따라 용지이송량을 조절하는 단계; 및,
    조절된 상기 용지이송량에 따라 소정 위치까지 뒤의 용지를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방법.
  6. 용지를 픽업하는 용지픽업부와, 드라이브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롤, 드라이브캠 및 상기 드라이브롤과 쌍으로 용지를 이송하는 아이들드라이브롤로 구성되어 용지이송부, 프린팅 헤드에서 인쇄작업이 수행되도록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피딩부, 및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방법에 있어서,
    a) 용지 급지 중 다음에 인쇄될 용지를 연속하여 급지하는 경우 이전 용지가 소정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아이들드라이브롤을 드라이브롤 쪽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b) 다음에 인쇄될 용지를 픽업시킨 후 이송시키는 단계;
    c)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뒤의 용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뒤의 용지의 검출된 위치에 따라 용지이송부의 구분된 드라이브 모터 구동량 설정하여 소정위치까지 상기 다음 용지를 이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용지피딩부를 구동시키며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방법.
KR10-2002-0025918A 2002-05-10 2002-05-10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65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18A KR100465245B1 (ko) 2002-05-10 2002-05-10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18A KR100465245B1 (ko) 2002-05-10 2002-05-10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838A KR20030087838A (ko) 2003-11-15
KR100465245B1 true KR100465245B1 (ko) 2005-01-13

Family

ID=3238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918A KR100465245B1 (ko) 2002-05-10 2002-05-10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2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3488A (ja) * 1981-10-14 1983-04-15 Tokyo Juki Ind Co Ltd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JPH0585644A (ja) * 1991-09-26 1993-04-06 Fuji Xerox Co Ltd 給紙装置
JP2000159360A (ja) * 1998-11-27 2000-06-13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50349A (ko) * 1999-01-07 2000-08-05 윤종용 인쇄기의 용지공급 제어장치 및 그 용지공급방법
JP2000335759A (ja) * 1999-05-27 2000-12-05 Sharp Corp 給紙装置の給紙タイミング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3488A (ja) * 1981-10-14 1983-04-15 Tokyo Juki Ind Co Ltd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JPH0585644A (ja) * 1991-09-26 1993-04-06 Fuji Xerox Co Ltd 給紙装置
JP2000159360A (ja) * 1998-11-27 2000-06-13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50349A (ko) * 1999-01-07 2000-08-05 윤종용 인쇄기의 용지공급 제어장치 및 그 용지공급방법
JP2000335759A (ja) * 1999-05-27 2000-12-05 Sharp Corp 給紙装置の給紙タイミング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838A (ko) 200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7634B2 (ja) 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H0539147A (ja) 画像記録装置
JP2015229280A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517926B2 (ja) プリンタの記録紙ローディング方法
JP3298985B2 (ja) 印刷装置
JP2018089984A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0465245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379443B2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制御方法
JP3949659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白線補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2144654A (ja) ラベルプリンタ自動用紙セット方法
JP2004175558A (ja) 給紙装置
KR100415608B1 (ko) 프린터의페이퍼잼방지방법및그에따른장치
JP2017208628A (ja) 画像読取装置
KR20080070994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414284B2 (ja) 用紙出力装置
JPH11170640A (ja) プリンタにおける記録媒体搬送方法およびプリンタ
JP2007161376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KR100465239B1 (ko) 사무기기의 수동급지 장치
JP7340074B2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349065B2 (ja) 後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590316B2 (ja) 画像記録装置の仕分け装置、及びその仕分け装置における仕分け方法
WO2021060081A1 (ja) 印刷装置
US11370236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a detaching roller apply a tension to backing sheet for detaching print labels from the backing sheet
JP2006240838A (ja) 画像形成装置
JP2911309B2 (ja) シリアル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