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602B1 -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602B1
KR100464602B1 KR10-2002-0054956A KR20020054956A KR100464602B1 KR 100464602 B1 KR100464602 B1 KR 100464602B1 KR 20020054956 A KR20020054956 A KR 20020054956A KR 100464602 B1 KR100464602 B1 KR 100464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idge
contact
dop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3259A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6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of a laser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는, 기판과; 기판 하부에 형성된 n형 금속막과; 기판 상부에 형성된 n형 클래드층과; n형 클래드층 상부에 형성되며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과;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의 소정 영역 상부에 형성되며, p형 클래드층, 완충층, 콘택트층이 적층 형성된 리지(Ridge)와; 리지 주위에 형성되며, 리지의 높이 만큼 형성된 Si co-doped C-GaAs 층; 및 리지의 콘택트층에 오믹 접촉되어 형성된 p형 금속막;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기판 위에 n형 클래드층, 활성층 및 p형 클래드층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발진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레이저 발진층 위에 완충층을 성장시키고, 그 성장된 완충층 위에 콘택트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콘택트층 위에 소정의 패터닝된 마스크를 형성하고 식각을 수행하여,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 위에 p형 클래드층, 완충층, 콘택트층 및 마스크가 적층된 리지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리지 상부에 마련된 마스크를 제거하고, 리지를 덮도록 Si co-doped C-GaAs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콘택트층이 노출되도록 Si co-doped C-GaAs 층을 식각하는 단계; 및 Si co-doped C-GaAs 층 위에 형성되며 또한 리지 상부의 콘택트층에 오믹 접촉되도록 p형 금속막을 증착 형성시키고, 기판 하부에 n형 금속막을 증착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laser diod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시광 어레이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소자의 열저항을 줄이고 평탄화를 구현함으로써 조립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a) 내지 (d)는 종래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기판(101) 위에 n형 클래드층(n-type clad layer)(102)을 성장시키고, 성장된 상기 n형 클래드층(102) 위에 웨이브 가이드층(wave guide layer) (103)이 구비된 활성층(active layer)(104)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웨이브 가이드층(103) 위에 p형 클래드층(105) 및 완충층(buffer layer)(106)을 성장시키게 되며, 상기 완충층(106) 위에 실제 금속막과 오믹(ohmic) 접촉되게 되는 콘택트층 (contact layer)(107)을 형성한다.
이후,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하여 상기 콘택트층(107) 위에 패터닝된 마스크(108)를 형성하고 식각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리지(Ridge)(110)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복수의 리지(110)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콘택트층(107), 완충층(106) 및 p형 클래드층(105)에 대하여 식각을 수행함으로써 패터닝된 상기 마스크(108) 하부에 복수의 리지(110)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지(120) 상부에 형성된 마스크(108)를 제거하고, PECVD 공정이나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여 SiO2또는 SiN 등의 유전체막(120)을 전류차단막으로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전체막(120) 중에서 리지(120) 상부의 전류가 주입되는 영역에 형성된 유전체막(120)을 제거한 후, p형 금속막(140)을 증착시킴으로써 상기 콘택트층(107)과 오믹(ohmic) 접촉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101)의 하부에는 n형 금속막(130)을 증착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 1의 (a) 내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지(110)를 형성한 후에 전류차단막으로 SiO2또는 SiN 등의 유전체막(120)을 증착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유전체막은 열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실제 전류 주입시 열 발생을 초래하여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특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1의 (a) 내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지(110)를 따라서 표면의 굴곡이 심하게 형성됨을 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조립특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류차단막의 열전달 특성을 향상시켜 소자의 열저항을 줄이고, 소자의 구조적 평탄화를 구현함으로써 조립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201... 기판 102, 202... n형 클래드층
103, 203... 웨이브 가이드층 104, 204... 활성층
105, 205... p형 클래드층 106, 206... 완충층
107, 207... 콘택트층 108, 208... 마스크
110, 210... 리지(ridge) 120... 유전체막
130, 230... n형 금속막 140, 240... p형 금속막
220... Si co-doped C-GaAs 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는,
기판과;
상기 기판 하부에 형성된 n형 금속막과;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된 n형 클래드층과;
상기 n형 클래드층 상부에 형성되며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과;
상기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의 소정 영역 상부에 형성되며, p형 클래드층, 완충층, 콘택트층이 적층 형성된 리지(Ridge)와;
상기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 위의 상기 리지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리지의 높이 만큼 형성된 Si co-doped C-GaAs 층; 및
상기 Si co-doped C-GaAs 층 위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리지의 콘택트층에 오믹 접촉되어 형성된 p형 금속막; 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기판 위에 n형 클래드층,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 및 p형 클래드층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발진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레이저 발진층 위에 완충층을 성장시키고, 그 성장된 완충층 위에 콘택트층을 적층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택트층 위에 소정의 패터닝된 마스크를 형성하고 식각을 수행하여, 상기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 위에 상기 p형 클래드층, 완충층, 콘택트층및 마스크가 적층된 리지(Ridge)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리지 상부에 마련된 마스크를 제거하고, 상기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 전면에 걸쳐, 상기 리지를 덮도록 Si co-doped C-GaAs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택트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Si co-doped C-GaAs 층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Si co-doped C-GaAs 층 위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리지 상부의 콘택트층에 오믹 접촉되도록 p형 금속막을 증착 형성시키고, 상기 기판 하부에 n형 금속막을 증착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류차단막의 열전달 특성을 향상시켜 소자의 열저항을 줄이고, 소자의 구조적 평탄화를 구현함으로써 조립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기판(201) 위에 n형 클래드층(n-type clad layer)(202)을 성장시키고, 성장된 상기 n형 클래드층(202) 위에 웨이브 가이드층(wave guide layer)(203)이 구비된 활성층(active layer)(204)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웨이브 가이드층(203) 위에 p형 클래드층(205) 및 완충층(buffer layer)(206)을 성장시키게 되며, 상기 완충층(206) 위에 실제 금속막과 접촉되게 되는 콘택트층 (contact layer)(207)을 형성한다.
이후,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하여 상기 콘택트층(207) 위에 패터닝된 마스크(208)를 형성하고 식각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리지(210)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복수의 리지(210)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콘택트층(207), 완충층(206) 및 p형 클래드층(205)에 대하여 식각을 수행함으로써 패터닝된 상기 마스크(208) 하부에 복수의 리지(210)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지(220) 상부에 형성된 마스크(208)를 제거하고, 전류차단막으로서 Si co-doped C-GaAs 층(220)을 전면에 두껍게 성장시켜 상기 리지(220)를 덥도록 한다. 이때, 상기 Si co-doped C-GaAs 층(220)이 성장됨에 있어, 수평방향으로의 성장이 매우 잘 되므로 성장 후 매우 평탄한 표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콘택트층(207)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Si co-doped C-GaAs 층(220)에 대한 식각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Si co-doped C-GaAs 층(220)은 고르게 식각됨으로써, 상기 콘택트층(207)의 높이에 맞추어 평탄한 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2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Si co-doped C-GaAs 층(220) 및 콘택트층(207) 위에 p형 금속막(240)을 평탄하게 증착시킴으로써, 상기 콘택트층 (207)과 오믹(ohmic) 접촉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201)의 하부에는 n형 금속막(230)을 증착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전류차단막으로 Si co-doped C-GaAs 층(220)을 성장시키는데, Si co-doped C-GaAs 층(220)은 수평 성장이 매우 잘 진행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소자 표면을 매우 평탄하게 만들 수 있으며, 유전체막에 비하여 열전도도가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유의할 점은, C-doped GaAs 층을 전류차단막으로 성장시키는 경우에도, C-doped GaAs 층 역시 수평 성장이 매우 잘 진행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소자 표면을 매우 평탄하게 만들 수는 있으나, C-doped GaAs 층은 p형의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전류차단층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C-doped GaAs 층을 성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Si co-doping을 수행하여 n형으로 성장시키게 됨에 따라 수평성장된 Si co-doped C-GaAs 층(220)이 전류차단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전류차단막의 열전달 특성을 향상시켜 소자의 열저항을 줄이고, 소자의 구조적 평탄화를 구현함으로써 조립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기판과;
    상기 기판 하부에 형성된 n형 금속막과;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된 n형 클래드층과;
    상기 n형 클래드층 상부에 형성되며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과;
    상기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의 소정 영역 상부에 형성되며, p형 클래드층, 완충층, 콘택트층이 적층 형성된 리지(Ridge)와;
    상기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 위의 상기 리지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리지의 높이 만큼 형성된 Si co-doped C-GaAs 층; 및
    상기 Si co-doped C-GaAs 층 위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리지의 콘택트층에 오믹 접촉되어 형성된 p형 금속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2. 기판 위에 n형 클래드층,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 및 p형 클래드층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발진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레이저 발진층 위에 완충층을 성장시키고, 그 성장된 완충층 위에 콘택트층을 적층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택트층 위에 소정의 패터닝된 마스크를 형성하고 식각을 수행하여, 상기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 위에 상기 p형 클래드층, 완충층, 콘택트층및 마스크가 적층된 리지(Ridge)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리지 상부에 마련된 마스크를 제거하고, 상기 웨이브 가이드층이 구비된 활성층 전면에 걸쳐, 상기 리지를 덮도록 Si co-doped C-GaAs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택트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Si co-doped C-GaAs 층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Si co-doped C-GaAs 층 위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리지 상부의 콘택트층에 오믹 접촉되도록 p형 금속막을 증착 형성시키고, 상기 기판 하부에 n형 금속막을 증착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10-2002-0054956A 2002-09-11 2002-09-11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464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956A KR100464602B1 (ko) 2002-09-11 2002-09-11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956A KR100464602B1 (ko) 2002-09-11 2002-09-11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259A KR20040023259A (ko) 2004-03-18
KR100464602B1 true KR100464602B1 (ko) 2005-01-03

Family

ID=3732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956A KR100464602B1 (ko) 2002-09-11 2002-09-11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6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882A (ko) * 1993-11-13 1995-06-17 김광호 레이저 다이오드와 그 제조방법
KR100278622B1 (ko) * 1993-09-28 2001-02-01 윤종용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 및 그 제조방법
JP2001044567A (ja) * 1999-08-03 2001-02-16 Sanyo Electric Co Ltd 窒化物系半導体素子、窒化物系発光素子及び窒化物系半導体層の形成方法
JP2001217505A (ja) * 1999-11-26 2001-08-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半導体光素子及びその作製方法、並びにAl系化合物半導体層の選択成長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622B1 (ko) * 1993-09-28 2001-02-01 윤종용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 및 그 제조방법
KR950015882A (ko) * 1993-11-13 1995-06-17 김광호 레이저 다이오드와 그 제조방법
JP2001044567A (ja) * 1999-08-03 2001-02-16 Sanyo Electric Co Ltd 窒化物系半導体素子、窒化物系発光素子及び窒化物系半導体層の形成方法
JP2001217505A (ja) * 1999-11-26 2001-08-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半導体光素子及びその作製方法、並びにAl系化合物半導体層の選択成長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259A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5185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476903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JP3242963B2 (ja) レーザダイオード・導波路モノリシック集積デバイス
CN112542533B (zh) 一种高电光转换率倒装结构深紫外micro-LED及其制备方法
KR20110061910A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827326B2 (ja) 半導体レーザの製造方法
US649223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valanche photodiode
JP2007305909A (ja)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の製造方法及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CN112821200A (zh) 一种脊型波导半导体激光器及其制备方法
KR100464602B1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US20020158314A1 (en) Buried mesa semiconductor device
JP4221818B2 (ja) 光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0576224B1 (ko) 광변조기 집적 광전집적송신회로 및 선택적 결정성장법을이용한 제작방법
JP3047049B2 (ja) 埋込み構造半導体レーザの製造方法
KR950012833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KR100558437B1 (ko)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
CN207441732U (zh) 光电探测器
JPH06188456A (ja)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00304B1 (ko)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JPH0377391A (ja) 半導体レーザ
KR100287204B1 (ko) 선택적매몰릿지형반도체레이저다이오드및그의제조방법
KR100282391B1 (ko)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47293B1 (ko) 굴절률 도파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970006607B1 (ko) 부분 고도핑형 고속 광스위치 제조방법
KR100284760B1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