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461B1 - 충격흡수 구두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구두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461B1
KR100464461B1 KR10-2004-0056356A KR20040056356A KR100464461B1 KR 100464461 B1 KR100464461 B1 KR 100464461B1 KR 20040056356 A KR20040056356 A KR 20040056356A KR 100464461 B1 KR100464461 B1 KR 10046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ody
elastic pad
sole
insol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609A (ko
Inventor
손문수
Original Assignee
(주) 스트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스트라스 filed Critical (주) 스트라스
Priority to KR10-2004-005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46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461B1/ko
Priority to PCT/KR2005/001813 priority patent/WO2006009350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7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forced from out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과 달릴 때에 발생하는 발의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하기 위한 구두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에 관한 것이다. 구두의 갑피가 테두리에 고정되는 바닥창의 뒷꿈치 상면을 오목하게 파내어 수용실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실내에 수개의 코일스프링을 상하판으로 고정한 탄성패드체를 삽입하고, 상기 수용실을 돔형상의 가압부가 형성된 가압패드체로 덮어 날개편을 수용실의 둘레에 접착고정하며, 바닥창의 상면으로 설치하는 깔창의 뒷굼치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노출되는 가압부의 돔형상이 발의 뒷굼치와 접촉하는 구성에 의해 발 뒷굼치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눌려지는 가압부와 가압부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패드체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되어 착용자의 발과 다리관절에 무리한 충격이 전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 구두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dress shoes for absorbing sock}
본 발명은 보행할 때 혹은 뛸때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구두에서 원활하게 흡수하며, 동시에 구두내부에 악취제거 및 살균제가 포함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충격흡수 구두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의 기능은 보행하거나, 뛸 때에 지면으로 부터 발바닥을 보호하며, 걷기동작을 편안하게 하기 위한 기능이 있으며, 발이 지면에 닿는 순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발목과 무릎·관절 등을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는 기능과 착용하는 의류등과 함께 패션 역할을 하는 기능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구두의 바닥은 지면과 마찰력을 높혀서 미끄러지지 않게 함과, 걸음걸이를 정확하게 하도록 뒷굼치부를 높힌 고무제로 된 바닥창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창에는 발가락과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갑피가 통상적인 봉제방법으로 고정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바닥창과 갑피 사이에는 발바닥의 안착상태를 안정화 시키기 위한 안창과 깔창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종래의 구두는 사용자가 신고 걸음을 내딛으면 먼저 뒷굽의 후면이 지면에 닿아 충격을 일으키고, 이어서 바닥창이 닿고, 이상태에서 뒷굽이 들려 다음 걸음걸이로 이어진다. 이때 뒷굽이 지면에 닿는 순간에 사용자의 체중이 뒷굼치에 집중되므로 뒷굽의 후면에서 가장 많은 마찰이 발생하여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고, 반면에 바닥창의 앞굼치에서는 걸음을 내딛기 위한 반발력 작용이 일어나는 것이어서 마모가 뒷굼치보다 적게 일어난다.
이처럼 발이 지면에 닿을 때 뒷굼치에서 발생하는 충격은 고무제로 된 뒷굽으로 충분하게 흡수되지 못하는데 이는 뒷굽의 제조과정에서 고무제를 단단하게 압축하여 제조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흡수되지 못하는 충격은 자연적 발의 뼈를 통하여 발목과 무릎으로 전달되며 무릎에서 척추를 통해 머리로 전달되는 상태가 되므로 장시간 동안 구두를 신고 보행을 하면 계속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뇌를 비롯한 신체에 피곤함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계속해서 전달되는 충격은 발목과 무릎의 관절에도 무리를 가하여 걷기나 서있기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구두의 뒷굽이 지면에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구두의 뒷굽에서 대부분 흡수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패드체가 압축 될 때 발산제가 충진된 캡슐도 함께 압축되어 캡슐체내의 발산제가 공기의 이동과 함께 구두의 내부로 이동하여 구두내부의 공기를 정화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몰드작업에 의해 바닥창을 생산하는 공정과, 갑피를 소정의 패턴으로 재단하는 공정과, 상기 패턴으로 재단 된 각각의 조각을 봉제하는 공정과 상기 바닥창의 둘레와 봉제된 갑피의 둘레에 본드를 도포하여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창과 봉제된 갑피의 접착제부분을 상호 접착시켜 압착하는 공정과, 상기 압착공정으로 형성되는 구두의 내부에 깔창과 안창을 적층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 제조시 바닥창의 상면에 오목한 통기홈과 수용실을 형성하여 수용실 바닥과 입구 주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신체 하중을 견디며 충격을 흡수하는 코일스프링이 평판형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조립되어 소정의 높이를 갖는 탄력패드체의 상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탄력패드체에 씌우는 가압패드체의 저면과 탄력패드체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바닥창의 수용실과 탄력패드체 및 가압패드체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상의 숙성로에서 숙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바닥창의 수용실에 탄력패드체, 그리고 탄력패드체 상판에 가압패드체, 상기 바닥창의 상면에 깔창을 순서적으로 적층시킨 뒤 적층된 부위를 소정의 압력으로 압착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의하여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두의 갑피가 테두리에 고정되는 바닥창의 뒷꿈치 상면을 오목하게 파내어 형성되는 수용실로, 수개의 코일스프링을 상,하판으로 고정하여서 된 탄성패드체를 삽입하고, 상기 수용실은 돔형상의 가압부를 구비한 가압패드체로 덮어 가압패드체의 날개편을 수용실의 확장면에 접착고정하며, 상기 바닥창의 상면으로 설치하는 깔창의 뒷굼치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가압패드체의 가압부가 발의 뒷굼치와 접촉되도록 한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두의 갑피가 테두리에 고정되는 바닥창의 표면에 공기의 이동로를 형성하고, 뒷꿈치에서 표면을 오목하게 파내어 수용실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실에는 바닥에 투명마개를 형성하여서, 상기 수용실로 수개의 코일스프링과 하나의 캡술체를 상,하판으로 고정하여서 된 탄성패드체에 삽입하고, 상기 수용실은 돔형상의 가압부를 구비한 가압패드체로 덮어 가압패드체의 날개편을 수용실의 확장면에 접착고정하며, 상기 바닥창의 상면으로 설치하는 깔창의 뒷굼치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가압패드체의 가압부가 발의 뒷굼치와 접촉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달설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대한 생산공정도.
도2은 본 발명에 대한 구두안창과 바닥창에 대한 분리 단면도.
도3는 본 발명을 적용한 구두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4는 도1의 뒷굽부에 대한 확대도.
도5는 본 발명의 뒷굽부에서 탄성패드체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6는 본 발명중 바닥창에 대한 다른 실시예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7은 도6의 뒷굽부에 대한 확대도.
도8는 도7의 뒷굽부 탄성패드체에 결합된 캡슐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9는 도8의 상태에서 캡슐의 공기가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신발 101 : 갑피 110 : 바닥창
111 : 앞굼치부 113 : 뒷굼치부 114 : 안치홈
115 : 수용실 117 : 확장면 118 : 통공
120 : 탄성패드체 121 : 상판 123 : 하판
125 : 코일스프링 140 : 가압패드체 141 : 날개편
142 : 활성부 143 : 가압부 144 : 안치홈
150 : 깔창 160 : 안창 200 : 캡슐체
210 : 상캡 211 : 압축실 212 : 돌부
215 : 유출공 220 : 하캡 222 : 뚜껑
223 : 돌부 224 : 배기공 225 : 유입공
230 : 발산제 300 :투명마개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따르면 통상의 바닥창 성형몰드를 가공하여 생산되는 바닥창의 상면에 오목한 통기홈과 수용실을 구비하는 바닥창공정과,
갑피를 소정의 패턴으로 재단하여 재단된 각각의 조각과 조각을 봉제하여 구두의 외관형태를 이루는 공정과, 상기 수용실에 삽입되는 크기로 되고, 스프링의 압축력을 견디도록 평판형으로 된 상판과 하판 사이에 수개의 코일스프링을 설치고정하여서 되는 탄력패드체 조립공정과, 상기 구두의 깔창 뒷굼치부에 수용실 입구 크기로 통공을 뚫는 공정과, 상기 갑피와 바닥창의 둘레와 수용실 그리고, 탄력패드체의 상하판 및 가압패드체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갑피, 바닥창, 탄력패드체, 가압패드체 등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상의 수단으로 숙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바닥창의 수용실에 탄력패드체를 접착시키고, 탄력패드체의 상면에 가압패드체를 접착시키면서 날개편을 수용실 둘레의 확장면에 접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바닥창 둘레에 봉제된 갑피의 접착제부분을 상호 밀착시켜 압착하는 공정과, 상기 갑피가 접착고정된 바닥창의 상면으로 깔창을 접착시키며 통공이 가압패드체에 씌워지게하는 공정과, 상기 깔창과 가압패드 표면에 안창을 적층시키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이행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구두는 다음 구조를 갖는다.
구두(100)는 발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갑피(101)와, 상기 갑피(101)가 고정되며 지면으로 부터 발을 보호하도록 된 바닥창(1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창(110)은 통상적으로 고무제를 가공하여 발 모양으로 되며 발바닥의 앞굼치부분(111)은 두께가 얇고, 뒷굼치부분(113)은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바닥창(110)의 표면에는 앞굼치부(111)에서 뒷굼치부(113)에 이르는 통기홈(118)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뒷굼치부(113)에는 사각형상의 수용실(115)을 오목하게 형성한다. 이러한 수용실(115)의 입구 주변을 경사지게 깎아 확장면(117)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의 수용실(115)의 바닥에는 추후 설명되는 탄력패드체의 조립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안치홈(116)을 얕게 파내어 형성한다.
상기 수용실(115)에 삽입되는 탄성패드체(120)는 수용실(115)에 삽입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이루어진 상판(121)과, 하판(123) 그리고 코일스프링(1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패드체(120)의 상판(121)과 하판(123)은 바닥창과는 다른 재질로써, 코일스프링의 받침대 역할을 하게 되어 코일스프링을 통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충분히 견디어 내기 위하여 우레탄 소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코일스프링을 통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견디어내는 것이면 어떠한 재질이든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하판(121)(123)에는 코일스프링(125)을 고정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턱(121a)(123a)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턱(121a)(123a)은 코일스프링의 외경을 감싸아 걸리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하판(121)(123)사이에 설치하는 코일스프링(125)은 수용실(115)에 삽입되는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 코일스프링(125)은 착용자의 체중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이 다르므로 이를 위해서 내경과 높이는 동일한 상태에서 선재의 굵기와, 코일스프링의 외경을 다르게 하여 코일스프링(125)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표면에는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금처리를 하거나, 식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야광도료 및 색상도료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오목하게 파여진 바닥창(110)의 수용실(115) 상부에는 가압패드체(140)를 형성한다.
가압패드체(140)는 발 뒷굼치와의 접촉이 안정적이며 용이하게 되도록 가압부(143)를 돔형상으로 형성하고, 가압부(143) 주변에는 수용실(115)의 확장면(117)에 결합하기 위한 날개편(141)을 형성한다. 그리고 가압부(143)의 저면에는 탄성패드체(120)의 상판(121)이 안착되는 안치홈(144)을 형성하며 상기 가압부(143)와 날개편(141)사이에는 두께를 얇게하여 가압부의 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활성부(142)를 형성한다.
상기 안창(150)은 구두(100)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바닥에 얹어 설치하는 것으로 바닥창(110)에서 발바닥을 보호하며 걸음시에 안정화 되도록 하는 것으로, 안창(150)의 뒷굼치부에 가압패드체(140)의 가압부(143)가 관통되는 통공(152)을 뚫어 형성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0은 상기 안창(140)위에 설치하는 깔창으로 구두를 신을 때 용이하게 삽입되고 걸음시에는 뒷굼치와 발사이에 마찰이 최소화 되도록 하는 것이고, 161은 깔창(160)에 뚫린 흡입공이고, 162는 배출공이다.
(실시예1)
상기 탄성패드체(120)를 형성함에 있어 상,하판(121)(123)사이에 코일스프링(125)이 설치되면 스프링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그 공간 사이로 탄성패드체120)가 압축될 때 공기를 방출하는 캡슐체(2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캡슐체(200)의 상캡(210)은 내부에 공간으로 된 압축실(211)을 구비하여 뚜껑형태로 되어 상부에 상판(121)과의 결합용 돌부(212)를 돌출되게 형성하며, 둘레에 공기 배출을 위한 유출공(215)을 뚫어 형성한다.
하캡(220)은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충진실을 형성하며, 상면에 공기가 충진실로 유입되는 유입공(225)을 뚫어 형성하고, 외주연에는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공(224)을 뚫어 형성한다. 그리고 저면에는 하판(123)과의 결합을 위한 돌부(223)을 돌출형성한다.
상기 하캡(220)은 그 내부에 발산제(230)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저면에 뚜껑(222)을 형성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그 뚜껑(222)의 저면에 하판(123)과의 결합을 위한 돌부(223)를 형성한다. 상기 상캡(210)에 형성된 유출공(215)과 하캡(220)에 형성된 배기공(224)은 캡슐체(200)가 압축되는 동안에 일치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캡슐체(200)가 압축되지 않을 때에는 상호 엇갈리는 위치에 있도록 함이 요구된다. 또한, 상·하캡(210)(220)은 신축이 유연하며 투명한 수지제로 형성하여 그 내부가 투시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창(110)의 저면 즉, 탄성패드체(120)가 삽입되는 수용실(115)의 바닥면에는 통공(118)을 뚫고, 상기 통공(118)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한 마개(300)를 삽입하여 투명마개(300)를 통하여 수용실(115)의 내부를 투시하게 한다.
상기 바닥창(110)의 수용실(115)에 뚫어 형성하는 통공(118)으로 삽입하는 투명마개(300)는 그 중앙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투시되는 상을 확대할 수 있는 렌즈(320)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실(115)의 통공(118)에 삽입되는 투명한 마개(300)가 이탈되지 않게하기 위하여 통공(118)에는 걸림홈(118a)을, 투명 마개(300)에는 걸림턱(31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구두(100)는 바닥창(110)의 뒷굽부(113)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수용실(115)을 구비하여 이에 탄성패드체(120)를 삽입하고, 탄성패드체(120)의 상면에 돔형상의 가압패드체(140)를 얹어 압착하면 접촉되는 부위에 도포된 접착제들이 상호 접착되어 가압패드체(140)의 날개편(141)은 수용실(115)입구의 확장면(117)에 접착되고, 안치홈(144)은 탄성패드체(120)의 상판(121)과 접착된다. 그리고 수용실(115)에 삽입된 탄성패드체(120)의 하판(123)은 수용실(115)바닥의 안치홈(116)에 접착되어 일체의 바닥창(110)과 탄성패드체(120) 및 가압패드체(140)는 일체의 상태가 된다.
이처럼 바닥창(110)에 탄설패드체(120)·가압패드체(140)가 일체로 된 상태에서 봉제된 갑피(101)를 바닥창(110)에 접착시킨다. 상기 갑피(101)가 바닥창(110)에 접착 고정되면 구두(100)가 형성되는 것으로, 구두(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안창(150)의 삽입하여 바닥창(110)에 접착시키면 안창(150)의 뒷굼치부에 뚫린 통공(151)으로 가압패드체(140)의 돔형상으로 된 가압부(143)가 관통된 상태로 되어 구두의 공간에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구두의 공간으로 깔창(160)을 설치하되 뒷굼치부 즉, 가압패드체(140)의 가압부(143)가 노출된 부분에 씌워지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본 발명의 구두(100)를 착용하게 되면 발의 뒷꿈치 바닥에 가압패드체(140)의 가압부(143)가 접촉되며, 이때 가압부(143)는 탄성을 보유한 소재이므로 신체의 하중에 의해 1차적으로 압축이 되는상태가 되고, 탄성패드체(120)도 1차적으로 압축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태에서 보행을 하면 구두(100)의 바닥창(110) 뒷굼치부(113)가 지면에 닿으면서 신체의 하중에 의해 충격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된 충격으로 바닥창(110)의 뒷굼치부(113)가 눌려지고 가압패드체(140)를 통해 탄성패드체(120)도 눌려지는 상태로 된다.
이과정에서 가압패드체(140)의 가압부(143)가 압축되고, 탄성패드체(120)의 코일스프링(125)도 압축되는 상태가 되는데 가압패드체(140)가 압축되면서 충격이 일부 흡수되고, 스프링이 압축될 때 기계적 성질에 의하여 잔여 충격이 흡수되는 작용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구두에는 지면에 닿을 때 발생된 최초의 충격력은 뒷굽부(113)에 흡수되는 것이어서 착용자의 발에 전달되는 충격은 극히 미약한 상태가 된다.
이후 바닥창(110)은 앞굼치부(111)를 지면에 닿게 되고 뒷굼치부(113)는 지면에서 들려지는 상태가 되는 데, 뒷굼치부(113)에 가해지던 하중이 제거되므로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125)과 가압부(143)는 자연적 최초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걸음을 걸을 때 바닥창의 뒷굼치부(143)에 구비된 탄성패드체(120)와 가압패드체(140)에서 발생하는 압축과 복원작용에 의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은 구두 자체에서 거의 소멸되는 작용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걸을때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탄성패드체(120)를 구비한 구두(100)를 신고 있으면 그 내부의 공기는 순환되지 못하므로 장시간 착용함에 따라서 땀에 의해 냄새 및 곰팡이 균등으로 발냄새는 물론 무좀 등이 발에서 발생하게 되므로 공기의 순환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바닥창(110)의 수용실(115)내에 설치하는 탄성패드체(120)의 상·하판(121)(123)사이로 향기입자 혹은 무좀치료제를 혼합시켜서 된 발산제(230)를 충진시킨 캡슐체(200)가 설치된다.
상기 캡슐체(200)는 상·하캡(210)(220)으로 되고, 주사기처럼 하캡(220)에 상캡(210)이 씌워진 상태에서 하캡슐(220)내부에 상기 발산제(230)가 충진되고, 하캡(220)에는 외부공기 유입공(225)과 내부공기 배기공(224)이 형성되어 있는데, 배기공(224)은 압축에 의해 내려오는 동안에만 상캡(210)의 유출공(215)과 일치되는 것이어서 상캡(210) 내부의 공기는 압축될 때 유입공(225)을 통해 하캡(220)의 내부로 유입되어 향 또는 무좀치료제의 입자와 혼합된 상태로 되어 일치하는 배기공(224)과 유출공(215)을 통해 수용실(115)로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압축력은 수용실(115)을 압축하기 때문에 향 또는 무좀치료제와 혼합돤 공기는 바닥창(110)의 앞굼치부(111)까지 연장된 통기홈(119)으로 이동되고, 안창(150)의 앞굼치부에 뚫린 배기공(162)을 통해 구두(100)의 내부로 공급되어 확산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바닥창(110)의 앞굼치부(111)가 지면에 닿으면 자연적 뒷굼치부(113)는 들려지게 되는데, 이때 압축되었던 탄성패드체(120)와 가압패드체(140)가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동시에 캡슐체(200)도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면서 상캡(210)에 뚫린 흡기공(213)과 가압패드체(140)의 흡기공(146) 및 안창(160)의 흡기공(161)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캡슐체(200)내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걸음을 걸을 때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탄성패드체(120)는 바닥창(110)의 수용실(115)내에 장착되어 있으나 바닥창(110)의 저면에 설치된 투명마개(300)를 통하여 수용실(115) 내부가 투시된다. 상기 투명마개(300)를 통해 수용실(115)내에 탄성패드체(120)가 설치된 상태를 투시할 수있고, 상기 탄성패드체(120)의 상·하판(121)(123)도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하판(121(123)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25)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바닥창(110)의 수용실(115)내부를 투명마개(300)를 통하여 확인함에 따라서 소비자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데, 코일스프링(125)의 표면에 색상도료가 도포되어 있으면 코일스프링(125)의 존재를 더 선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구두를 착화하여 걸을 때 가압패드체가 1차적으로 압축되고, 2차적으로 탄성패드체가 압축되면서 코일스프링에서 충격이 흡수되는 상태로 인하여 사용자의 발 관절에 충격이 현저하게 감소된 상태로 전달되는 것이어서 걷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각 관절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구두의 안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탄성패드체와 연결된 가압패드체가 발 뒷굼치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게 하므로서 충격의 전달이 확실하게 차단되어 걸으 때, 쿠션력을 직접적으로 느끼도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력으로 탄성패드체가 압축될 때 탄성패드체 사이에 설치한 캡슐체도 압축되어 캡슐체의 내부에 충진된 발산제의 공기가 수용실과 통기홈을 통해 구두의 내부로 확산되어 구두내부의 공기 정화 및 살균효과를 이루는 이점이 있고, 바닥창의 저면에 형성한 투명마개르 통해 수용실 내부에 설치된 탄성패드체의 존재여부를 용이하게 확일되는 것으로 인한 신뢰가 향상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통상의 바닥창 성형몰드를 가공하여 생산되는 바닥창의 상면에 오목한 통기홈과 수용실을 형성하는 공정과,
    갑피를 소정의 패턴으로 재단하여 재단된 각각의 조각과 조각을 봉제하여 구두의 외관형태를 이루는 공정과,
    상기 수용실에 삽입되는 크기로 되고, 스프링의 압축력을 견디도록 평판형으로 된 상판과 하판 사이에 수개의 코일스프링을 설치고정하여서 되는 탄력패드체 조립공정과,
    상기 구두의 깔창 뒷굼치부에 수용실입구 크기로 통공을 뚫는 공정과,
    상기 갑피와 바닥창의 둘레와 수용실 그리고, 탄력패드체의 상하판 및 가압패드체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갑피, 바닥창, 탄력패드체, 가압패드체 등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상의 수단으로 숙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바닥창의 수용실에 탄력패드체를 접착시키고,탄력패드체의 상면에 가압패드체를 접착시키면서 날개편을 수용실 둘레의 확장면에 접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바닥창 둘레에 봉제된 갑피의 접착제부분을 상호 밀착시켜 압착하는 공정과,
    상기 갑피가 접착고정된 바닥창의 상면으로 깔창을 접착시키며 통공이 가압패드체에 씌워지게하는 공정과, 상기 깔창과 가압패드 표면에 안창을 적층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 구두의 제조방법.
  2. 구두의 갑피가 테두리에 고정되는 바닥창의 뒷꿈치 상면을 오목하게 파내어 형성되는 수용실로, 수개의 코일스프링을 상,하판으로 고정하여서 된 탄성패드체를 삽입하고, 상기 수용실은 돔형상의 가압부를 구비한 가압패드체로 덮어 가압패드체의 날개편을 수용실의 확장면에 접착고정하며, 상기 바닥창의 상면으로 설치하는 깔창의 뒷굼치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가압패드체의 가압부가 발의 뒷굼치와 접촉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 구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패드체에는 날개편과 가압부 사이를 얇은 두께의 활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구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패드체의 저면에는 탄성패드체의 상판이 삽입되는 오목한 안치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구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의 수용실 바닥면에 탄성패드체의 위치안정을 위한 안치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구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체의 상,하판은 투명한 합성수지에 안료를 혼합하여 반투명한 색상을 띠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충격흡수 구두.
  7. 구두의 갑피가 테두리에 고정되는 바닥창의 표면에 공기의 이동로를 형성하고, 뒷꿈치에서 표면을 오목하게 파내어 수용실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실에는 바닥에 투명창을 형성하여서, 상기 수용실로 수개의 코일스프링과 하나의 캡술을 상,하판으로 고정하여서 된 탄성패드체를 삽입하고, 상기 수용실은 돔형상의 가압부를 구비한 가압패드체로 덮어 가압패드체의 날개편을 수용실의 확장면에 접착고정하며, 상기 바닥창의 상면으로 설치하는 깔창의 뒷굼치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가압패드체의 가압부가 발의 뒷굼치와 접촉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 구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이동로는 적어도 한줄이상으로 형성되며,앞굼치부분에서 분산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충격흡수 구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은 바닥에 통공을 뚫어, 투명마개를 바닥창의 통공으로 삽입하여 고정하고, 투명마개의 중앙에 오목한 렌즈를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충격흡수 구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체는 상면으로 돌출된 돌부에 유입공, 외주연에 배기공이 뚫린 상측캡과, 상기 상측캡에 삽입되는 크기로 충진실을 형성하며 충진실 상단에 배기공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돌부를 형성한 하측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진실에 발산제를 충진하여 탄력패드체의 상,하판에 돌부룰 끼워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충격흡수 구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패드체를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하고, 상기 탄력패드체의 중앙에 설치되는 캡슐체도 그 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 합성수지로 형성하여서, 수용실의 바닥에 설치하는 투명마개를 통해 수용실이 투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충격흡수 구두.
KR10-2004-0056356A 2004-07-20 2004-07-20 충격흡수 구두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 KR10046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356A KR100464461B1 (ko) 2004-07-20 2004-07-20 충격흡수 구두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
PCT/KR2005/001813 WO2006009350A1 (en) 2004-07-20 2005-06-14 Dress shoes for absorbing s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356A KR100464461B1 (ko) 2004-07-20 2004-07-20 충격흡수 구두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628U Division KR200370083Y1 (ko) 2004-08-09 2004-08-09 충격흡수 구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609A KR20040078609A (ko) 2004-09-10
KR100464461B1 true KR100464461B1 (ko) 2005-01-17

Family

ID=3578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356A KR100464461B1 (ko) 2004-07-20 2004-07-20 충격흡수 구두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64461B1 (ko)
WO (1) WO200600935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75B1 (ko) 2005-04-19 2007-02-01 오종세 복합 기능 건강 구두
KR100697616B1 (ko) 2005-03-02 2007-03-22 (주) 스트라스 안전화
KR100881744B1 (ko) * 2007-07-18 2009-02-06 하영배 에어 쿠션이 구비된 신발 밑창.
KR101129991B1 (ko) 2008-11-06 2012-03-26 최철규 신발용 충격흡수 뒷굽
KR20190084711A (ko) 2018-01-09 2019-07-17 유홍식 다양한 무늬 구현이 가능한 구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구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01B1 (ko) * 2006-09-13 2008-01-23 (주)레오파드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100914795B1 (ko) * 2007-08-14 2009-09-02 조동선 쿠션 조절형 충격흡수 기능성 신발의 제조방법
KR101005848B1 (ko) * 2008-02-01 2011-01-05 장광식 여성용 구두 뒷굽
DE202008004735U1 (de) * 2008-04-07 2009-10-29 Head Technology Gmbh Sportschuh, insbesondere Tennisschuh
KR200443953Y1 (ko) * 2008-11-26 2009-03-27 김종하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신발
CN101810380B (zh) * 2009-02-24 2013-08-21 董凤立 一种空调鞋
CN101810378B (zh) * 2009-02-24 2013-02-06 董凤立 一种保健空调鞋
WO2013109791A1 (en) * 2012-01-17 2013-07-25 Gravity Defyer, Inc. Resilient shoe with pivoting sole
CN103330333B (zh) * 2013-07-04 2015-04-08 东莞华宝鞋业有限公司 一种鞋垫
GB2582798B (en) * 2019-04-03 2022-08-24 Fitflop Ltd A method of forming an item of footwear
CN110326840A (zh) * 2019-06-21 2019-10-15 温州方所飞织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弹性赤脚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1142Y2 (ko) * 1976-04-14 1979-07-27
KR19980059495A (ko) * 1996-12-31 1998-10-07 김영귀 차량의 시트구조
KR20000063150A (ko) * 2000-02-26 2000-11-06 장찬일 항균방향기능의 신발하부구조
JP2001275708A (ja) * 2000-03-28 2001-10-09 Yamato Kensetsu:Kk 水虫防止用靴
KR200248630Y1 (ko) * 2001-06-14 2001-10-31 한상천 통풍신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16B1 (ko) 2005-03-02 2007-03-22 (주) 스트라스 안전화
KR100676675B1 (ko) 2005-04-19 2007-02-01 오종세 복합 기능 건강 구두
KR100881744B1 (ko) * 2007-07-18 2009-02-06 하영배 에어 쿠션이 구비된 신발 밑창.
KR101129991B1 (ko) 2008-11-06 2012-03-26 최철규 신발용 충격흡수 뒷굽
KR101155760B1 (ko) 2008-11-06 2012-06-12 최철규 신발용 충격흡수 뒷굽
KR20190084711A (ko) 2018-01-09 2019-07-17 유홍식 다양한 무늬 구현이 가능한 구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구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09350A1 (en) 2006-01-26
KR20040078609A (ko) 200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461B1 (ko) 충격흡수 구두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
US6497057B1 (en) Heel cushion
WO2007148910A1 (en) Shoes and shoes insole capable of buffering shock by air circulation
KR101601673B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US20100186263A1 (en) Structure of shoes uppers, a manufacturing method of shoes and a structure of shoes
US5604998A (en) Sports shoe providing heel stabilization
JP4777961B2 (ja) 靴の中敷
JP2000501329A (ja) 使用者の足裏の形状に適合する変形可能な内底を有する履物
KR200370083Y1 (ko) 충격흡수 구두
JP2001520561A (ja) 指圧用インソ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指圧用靴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0180294B1 (ko) 공기순환식 깔창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9434A (ko)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KR101754904B1 (ko) 다기능 신발
JP2005185675A (ja) 履物
KR20110012180A (ko) 신발용 에어 솔
KR200172246Y1 (ko) 안창에 숯가루를 갖는 신발
CN111148445A (zh)
KR200210639Y1 (ko) 신발의 공기 흡입장치
KR20190010983A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JP3050460U (ja) 履物台
KR20120129223A (ko)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
KR20110053140A (ko) 다기능신발
KR101068823B1 (ko) 지압기능을 갖춘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200458030Y1 (ko) 족궁 마사지 기능을 갖춘 신발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6